KR20000048198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198A
KR20000048198A KR1019990058474A KR19990058474A KR20000048198A KR 20000048198 A KR20000048198 A KR 20000048198A KR 1019990058474 A KR1019990058474 A KR 1019990058474A KR 19990058474 A KR19990058474 A KR 19990058474A KR 20000048198 A KR20000048198 A KR 20000048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orming
drain layer
semiconductor substrate
silicon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하시도시후미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4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8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initial gate mask or masking layer complementary to the prospective gate location, e.g. with dummy source and dr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7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 H01L29/4237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r the sectional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the removal of at least part of spacer, e.g. disposable spac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5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inside spacers, permanent or n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1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 H01L29/66621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using etching to form a recess at the gate 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 H01L29/7834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with a non-planar structure, e.g. the gate or the source or the drain being non-plan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채널 효과를 억제하여, 컨택트와 실리콘 기판 사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소스 드레인 영역(도 1의 3), 실리콘 산화막(도 1의 4) 및 실리콘 질화막(도 1의 5)이 차례로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이들을 관통하여 소스 드레인 영역을 분단하는 홈을 구비하고, 홈의 내부에는 그 측벽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형성된 기둥형 게이트 전극(도 1의 9)을 구비하며, 홈 바닥부의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LDD 영역(도 1의 10)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길이의 축소화에 따른 단채널 효과를 억제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미세화·고속화에 따라, 반도체 소자 각부, 특히 게이트 길이의 치수도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D)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 상에 소자 분리 영역(2)을 예를 들면 트렌치 분리 형성법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계속해서 게이트 산화막(8)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9)이 되는 다결정 실리콘막(15) 등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게이트 전극(9)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6)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 패턴(6)을 마스크로 하여 다결정 실리콘막(15)을 에칭하고, 그 후 이온 주입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N채널 영역에는 비소 또는 인을, P채널 영역에는 붕소 또는 불화붕소를 5E12 ㎝-2내지 2∼5E14 ㎝-2의 주입량으로 주입하여 저농도 드레인(LDD: Lightly Doped Drain) 영역(10)을 형성한다. 이 LDD 구조는, 단채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9)의 외측에 측벽(7)을 30㎚∼100㎚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 후, 이온 주입법에 의해 예를 들면, N채널 영역이면 비소 또는 인을, P채널 영역이면 붕소 또는 불화붕소를 1E15 ㎝-2내지 2∼1E16 ㎝-2의 주입량으로 주입하고, 확산층 영역이 되는 소스, 드레인 영역(3)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막(11)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컨택트(12)를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층간막(11)을 에칭한다. 이 때의 에칭은 실리콘 산화막(5)과 선택비가 얻어지는 조건에서 행한다. 그 후, 컨택트(12) 내부를 예를 들면 텅스텐을 이용하여 매립하고, 계속해서 배선(13)을 형성하여 반도체 장치를 제조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게이트 길이를 리소그래피의 한계보다도 작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소스, 드레인 영역(3)을 게이트 전극(9)보다도 깊게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스, 드레인 영역(3) 사이의 내압이 저하하여 펀치스루가 발생하기 쉽게 되는 단채널 효과를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택트(12)를 소자 분리(2) 상에 개구하는 경우, 컨택트(12)의 에칭 시에, 소자 분리 영역(2)이 에칭에 의해 침식되기 때문에 소자 분리 영역(2)이 생기게 되어, 컨택트(12)와 실리콘 기판(1) 사이의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단채널 효과를 억제하고, 컨택트와 실리콘 기판 사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시점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소자 분리 영역에 끼워진 영역에 소스/드레인층,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드레인층,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홈의 측벽과 격리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 산화막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접촉하는 기둥형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홈이 접하는 영역 중 상기 게이트 전극으로 덮혀 있지 않은 영역에는 저농도 드레인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시점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소자 분리 영역에 끼워진 영역에 저농도 드레인층, 소스/드레인층,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드레인층,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관통하여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홈의 측벽과 격리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 산화막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접촉하는 기둥형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홈이 접하는 영역 중 상기 게이트 전극의 하부에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을 분단하는 불순물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시점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반도체 제조 방법은, (a)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b) 이온 주입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 (c)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 (d)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층을 에칭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홈의 내벽에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홈의 상기 측벽에 끼워진 공극에 게이트 전극이 되는 제1 도전 부재를 매립하는 공정, (g) 상기 측벽을 제거하는 공정, (h) 상기 측벽을 제거한 영역을 통해 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 (i) 상기 반도체 기판 전체에 층간막을 형성하는 공정, (j) 상기 층간막, 상기 실리콘 질화막 및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에칭에 의해 관통시킴으로써 컨택트홀을 형성하는 공정, 및 (k) 상기 컨택트홀 내부를 제2 도전 부재로 매립한 후, 소정의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시점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조 방법은, (a)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b) 이온주입에 의해 저농도 드레인층 및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공정, (c)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 (d)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층을 에칭함으로써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홈의 내벽에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측벽을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홈 하부의 저농도 드레인층을 분단하는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g) 상기 홈의 상기 측벽에 끼워진 공극에 게이트 전극이 되는 제1 도전 부재를 매립하는 공정, (h) 상기 측벽을 제거하는 공정, (i) 상기 반도체 기판 전체에 층간막을 형성하는 공정, (j) 상기 층간막, 상기 실리콘 질화막 및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에칭에 의해 관통하여 컨택트홀을 형성하는 공정, 및 (k) 상기 컨택트홀 내부를 제2 도전 부재로 매립한 후 소정의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리콘 기판
2 : 소자 분리
3 : 소스 드레인 영역
4 : 실리콘 산화막
5 : 실리콘 질화막
6 : 레지스트 패턴
7 : 측벽
8 : 게이트 산화막
9 : 게이트 전극
10 : LDD 영역
11 : 층간막
12 : 컨택트
13 : 배선
14 : 임계치 전압 제어용 불순물
15 : 다결정 실리콘막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그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스 드레인 영역(도 1의 3), 실리콘 산화막(도 1의 4), 실리콘 질화막(도 1의 5)이 차례로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이들을 관통하여 소스 드레인 영역을 분단하는 홈을 구비하고, 홈의 내부에는 그 측벽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형성된 기둥형 게이트전극(도 1의 9)를 구비하며, 홈 바닥부의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LDD 영역(도 1의 10)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길이의 축소화에 따른 단채널 효과를 억제한다.
[실시예]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 상에 소자 분리 영역(2)을 예를 들면 트렌치 분리 형성법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그 후 이온 주입법에 의해, 예를 들면 N채널 영역이면 비소 또는 인을, P채널 영역이면 붕소 또는 불화붕소를 1E15㎝-2내지 1E16㎝-2의 주입량으로 주입하여 확산층 영역이 되는 소스, 드레인 영역(3)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4)을 열산화에 의해 5㎚∼30㎚의 막 두께로 형성하고, 실리콘 질화막을 CVD법 등에 의해 50㎚∼200㎚의 막 두께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게이트 전극(9b)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6)을 형성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6)을 마스크로 하여 실리콘 질화막(5), 실리콘 산화막(4) 및 실리콘 기판(1)을 차례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이방성 에칭함으로써 홈부를 형성한다. 또, 실리콘 기판(1)의 에칭량은 소스, 드레인 영역(3)보다도 깊게 에칭되도록 조정한다.
다음에,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홈부의 내측에 측벽(7)을 30㎚∼100㎚의 두께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게이트 산화막(8)을 열산화에 의해 2㎚∼5㎚의 막 두께로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9)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CVD법에 의해 다결정 실리콘을 두께 10㎚∼ 50㎚로 퇴적하여 에치백한다. 또, 이 때의 에치백은, 예를 들면 CMP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질화막(5)을 에칭 스토핑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7)을 에칭 제거하고, 계속해서 이온 주입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N채널 영역에는 비소 또는 인을, P채널 영역에는 붕소 또는 불화붕소를 5E12㎝-2내지 5E14㎝-2의 주입량으로 주입함으로써 LDD 영역(10)을 형성한다.
그 후, 층간막(11)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컨택트(12)를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층간막(11) 및 실리콘 질화막(5)을 차례로 에칭한다. 이 때의 에칭은, 우선 층간막(11)의 에칭 시에는 실리콘 질화막(5)과의 선택비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으로 행하고, 실리콘 질화막(5)의 에칭 시에는 실리콘 기판(1)과 소자 분리(2)와의 선택비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으로 행한다. 그 후, 컨택트(12) 내부를 예를 들면 텅스텐을 이용하여 매립하고, 계속해서 배선(13)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9)의 형성 시에 측벽(7)에 의해 게이트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9)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6)이 0.2㎛일 때, 측벽 폭을 0.05㎛으로 함으로써, 0.1㎛의 게이트 길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9) 형성 전 홈부를 형성할 때, 실리콘 기판(1)의 굴착량을 소스, 드레인 영역(3)보다도 깊게 형성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이 소스, 드레인 영역(3)보다도 깊은 위치에 형성되어, 트랜지스터의 단채널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12)의 에칭에 있어서, 층간막(11)의 에칭 시에는 실리콘 산화막(5)과 선택비가 얻어지는 조건으로 행하고, 실리콘 질화막(5)의 에칭 시에는 실리콘 기판(1)과 소자 분리(2)와의 선택비가 얻어지는 조건으로 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컨택트(12)가 소자 분리(2) 상에 개구되는 경우에도 소자 분리(2)가 마모되지 않기 때문에, 컨택트(12)와 실리콘 기판(1) 사이의 누설 전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 상에 소자 분리 영역(2)을, 예를 들면 트렌치 분리 형성법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온 주입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N채널 영역에는 비소 또는 인을, P채널 영역에는 붕소 또는 불화붕소를 5E12㎝-2내지 5E14㎝-2의 주입량으로 주입하여 LDD 영역(10)을 형성한다. 그 후, 이온 주입법에 의해, 예를 들면 N채널 영역이면 비소 또는 인을, P채널 영역이면 붕소 또는 불화붕소를 1E15㎝-2내지 1E16㎝-2의 주입량으로 주입하여 확산층 영역이 되는 소스, 드레인 영역(3)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4)을 열산화에 의해 5㎚∼30㎚의 막 두께로 형성하고, 실리콘 질화막을 CVD법에 의해 50㎚∼200㎚의 막 두께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게이트 전극(9b)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패턴(6)을 형성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6)을 마스크로 하여 실리콘 질화막(5), 실리콘 산화막(4) 및 실리콘 기판(1)을 차례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이방성 에칭함으로써 홈부를 형성한다. 또, 이 때의 실리콘 기판(1)의 에칭량은, LDD 영역(10)보다는 얕고, 소스, 드레인 영역(3)보다는 깊게 되도록 에칭한다.
다음에,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홈부의 내측에 측벽(7)을 30㎚∼100㎚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 후, 이온 주입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붕소, 불화붕소, 비소, 인 등의 불순물(14)을 홈부에 주입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전압을 제어한다. 계속해서, 게이트 산화막(8)을 열산화에 의해 2㎚∼5㎚의 막 두께로 형성하고, 그 후 게이트 전극(9)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CVD법에 의해 다결정 실리콘을 두께 10㎚∼50㎚ 퇴적하고, 에치백한다. 이 때의 에치백은, 예를 들면 CMP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질화막(5)을 에칭 스토핑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막(11)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컨택트(12)를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층간막(11), 실리콘 질화막(5)을 차례로에칭한다. 이 때의 에칭은 우선 층간막(11)의 에칭 시에는 실리콘 질화막(5)과의 선택비가 얻어지는 조건으로 행하고, 실리콘 질화막(5)의 에칭 시에는 실리콘 기판(1)과 소자 분리(2)와의 선택비가 얻어지는 조건으로 행한다. 그 후, 컨택트(12) 내부를 예를 들면 텅스텐을 이용하여 매립하고, 계속해서 배선(13)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LDD 영역(10)의 형성을 소스, 드레인 영역(3)의 형성 공정에서 형성하기 때문에, 측벽(7)을 제거하는 공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길이의 제어를 측벽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게이트 길이를 리소그래피의 한계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채널부는 기판을 파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확산층인 소스, 드레인 영역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채널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실리콘 질화막을 스토퍼로 이용하여 컨택트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컨택트를 소자 분리 영역 상에 개구하는 경우에서도, 컨택트의 에칭에 의해 소자 분리 영역이 에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와 실리콘 기판 사이의 누설 전류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9)

  1.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스/드레인층을 분단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홈의 측벽과 격리된 위치에 기둥형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저농도 드레인(LDD)층과 소스/드레인층이 차례로 형성된 반도체 기판에, 상기 소스/드레인층을 분단하고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하부에는,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을 분단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불순물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홈의 측벽과 격리된 위치에 기둥형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반도체 기판의 소자 분리 영역에 끼워진 영역에 소스/드레인층,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드레인층,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홈의 측벽과 격리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 산화막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접촉하는 기둥형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홈이 접하는 영역 중, 상기 게이트 전극으로 덮혀 있지 않은 영역에 저농도 드레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반도체 기판의 소자 분리 영역에 끼워진 영역에 저농도 드레인층, 소스/드레인층,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드레인층,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관통하고,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홈의 측벽과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게이트 산화막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접촉하는 기둥형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홈이 접하는 영역 중, 상기 게이트 전극의 하부에는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을 분단하는 불순물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영역은 붕소, 불화붕소, 비소 또는 인 중 어느 한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b) 이온 주입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
    (c)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
    (d)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층을 에칭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홈의 내벽에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홈의 상기 측벽에 끼워진 공극에 게이트 전극이 되는 제1 도전 부재를 매립하는 공정,
    (g) 상기 측벽을 제거하는 공정,
    (h) 상기 측벽을 제거한 영역을 통해 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
    (i) 상기 반도체 기판 전체에 층간막을 형성하는 공정,
    (j) 상기 층간막, 상기 실리콘 질화막 및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에칭에 의해 관통시켜 컨택트홀을 형성하는 공정, 및
    (k) 상기 컨택트홀 내부를 제2 도전 부재로 매립한 후, 소정의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b) 이온 주입에 의해 저농도 드레인층과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공정,
    (c)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
    (d)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소스/드레인층을 에칭함으로써, 상기 저농도 드레인층에 도달하는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홈의 내벽에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측벽을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홈 하부의 저농도 드레인층을 분단하는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g) 상기 홈의 상기 측벽에 끼워진 공극에, 게이트 전극이 되는 제1 도전 부재를 매립하는 공정,
    (h) 상기 측벽을 제거하는 공정,
    (i) 상기 반도체 기판 전체에 층간막을 형성하는 공정,
    (j) 상기 층간막, 상기 실리콘 질화막 및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에칭에 의해 관통시켜 컨택트홀을 형성하는 공정, 및
    (k) 상기 컨택트홀 내부를 제2 도전 부재로 매립한 후, 소정의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 공정의 불순물 영역은, 불소, 불화붕소, 비소 또는 인 중 어느 한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j) 공정에서,
    상기 층간막을 에칭할 때는, 상기 실리콘 질화막의 에칭율이 작아지는 조건으로 에칭을 행하고,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에칭할 때는, 상기 실리콘 산화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에칭율이 작아지는 조건으로 에칭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90058474A 1998-12-18 1999-12-17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481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035798A JP3189817B2 (ja) 1998-12-18 1998-12-18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1998-360357 1998-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198A true KR20000048198A (ko) 2000-07-25

Family

ID=1846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474A KR20000048198A (ko) 1998-12-18 1999-12-17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66216B1 (ko)
JP (1) JP3189817B2 (ko)
KR (1) KR200000481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022B2 (ja) * 2000-01-25 2012-01-25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4813757B2 (ja) * 2003-02-14 2011-11-09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半導体装置
KR100672763B1 (ko) * 2003-12-24 2007-01-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CN103165453B (zh) * 2011-12-12 2015-11-2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高介电金属栅mos及其制造方法
CA3010067A1 (en) * 2017-09-04 2019-03-04 Grupo Gayosso S.A. De C.V. Conveyor mechanism with illuminated chamber for concealing coffin
US10224430B1 (en) * 2017-12-06 2019-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s with epitaxial source/drain and drain field relie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866A (ja) 1983-08-19 1985-03-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11762A (ja) 1987-02-27 1988-09-02 Sony Corp 絶縁ゲ−ト型半導体装置とその製法
JPH04259258A (ja) 1991-02-14 1992-09-14 Nissan Motor Co Ltd Mis電界効果形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29340A (ja) 1991-07-24 1993-02-05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374575A (en) * 1993-11-23 1994-12-20 Goldstar Electron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MOS transistor
US5620911A (en) 1993-12-31 1997-04-15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a meta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recessed gate
US5545579A (en) * 1995-04-04 1996-08-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abricating a sub-quarter micrometer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elevated source/drain areas and lightly doped drains
JPH09116142A (ja) 1995-10-23 1997-05-02 Denso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38913A (en) * 1995-11-13 1996-07-2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Process for fabricating MOS transistors having full-overlap lightly-doped drain structure
US6100146A (en) * 1996-10-30 2000-08-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forming trench transistor with insulative spa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6216B1 (en) 2003-05-20
JP3189817B2 (ja) 2001-07-16
JP2000183342A (ja) 200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1963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245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7534726B2 (en) Method of forming a recess channel trench pattern, and fabricating a recess channel transistor
US806779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cess channe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07856B1 (ko) Mos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474591B1 (ko) 트렌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디램 셀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030043597A (ko) 트렌치 분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48198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380088B1 (en) Method to form a recessed source drain on a trench side wall with a replacement gate technique
US6207513B1 (en) Spacer process to eliminate corner transistor device
US6828209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trench isolation region
US6200841B1 (en) MOS transistor that inhibits punchthrough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29635B1 (ko) 수직형 트랜지스터 및 그의 형성방법
US5705440A (en) Methods of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reduced-area device isolation regions
KR10028245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140193A (en) Method for forming a high-voltage semiconductor device with trench structure
KR19990056737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40011096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US5872392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11099B1 (ko) 트렌치 구조의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5811864A (en) Planarized integrated circuit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it
KR20070016741A (ko) 반도체 소자의 보더리스 컨택 구조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511095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오스/드레인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0372637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20040060318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424

Effective date: 200502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15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424

Effective date: 200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