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894A - 스크롤유체기계 - Google Patents

스크롤유체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894A
KR20000047894A KR1019990054713A KR19990054713A KR20000047894A KR 20000047894 A KR20000047894 A KR 20000047894A KR 1019990054713 A KR1019990054713 A KR 1019990054713A KR 19990054713 A KR19990054713 A KR 19990054713A KR 20000047894 A KR20000047894 A KR 2000004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orbiting scroll
fixed scroll
position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977B1 (ko
Inventor
즈치야다케시
하야세이사오
사쿠라이가즈오
마츠나가무츠노리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2000004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1C21/102Adjustment of the interstices between moving and fixed parts of the machine by means other than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6Fluid pump or compressor making
    • Y10T29/4924Scroll or peristal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유체기계에 있어서, 선회스크롤부재와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적정한 맞물림상태를 실현시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정스크롤(30)을 고정하는 프레임에 고정스크롤 (30)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위치결정 긴구멍(31)을 고정스크롤(30)에, 위치결정핀(41)을 프레임에 각각 배치하고, 고정스크롤(30)을 고정스크롤랩 (30a)의 축선에 수직인 면내에 있어서,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스크롤랩(30a)의 중심 (OF)을 지나는 직선(32)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하고, 또한 그 직선(3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는 이동불가로 하고, 또한 직선(32)과 고정스크롤(30)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교차하는 위치를 지나 상기 축선에 평행한 직선의 주위로 회전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스크롤유체기계{SCROLL FLUID MACHINE}
본 발명은 냉매, 공기 및 그 밖의 압축성가스를 취급하는 스크롤유체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선회스크롤랩의 개략 중심을 지나는 개략 직선방향으로는 이동자유롭게 하고, 또한 상기 개략 직선방향에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불가하게 하고, 또한 회전자유롭게 하는 1개의 비선회스크롤부재와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의 위치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회스크롤부재와 비선회스크롤부재가 적정한 맞물림상태를 실현시켜 높은 에너지효율의 확보를 도모하는 데 적합한 스크롤유체기계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유체기계는 냉동·공조기기용 압축기 등의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다른 형태의 압축기에 비교하여 고효율, 고신뢰성, 조용한 소리 등의 우위성을 구비한 유체기계로서 개발·연구가 한창이다.
스크롤유체기계의 일구성을 개략 설명한다. 압축부의 기본요소는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과 프레임이고, 프레임은 밀폐용기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정스크롤의 빈구멍, 프레임의 고정나사부 및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스크롤과 고정되어 있다. 고정스크롤의 기본구성부분은 랩과 경판과 랩톱니바닥과 랩톱니끝과 토출포트이고, 선회스크롤의 기본구성부분은 랩과 경판과 랩톱니바닥과 랩톱니끝이다.
선회스크롤을 선회구동하는 구동부의 기본요소는, 전동기인 스테이터, 로터와, 크랭크축과, 선회스크롤의 자전방지기구의 주요부품인 올덤링과, 프레임과 크랭크축을 회전자유롭게 걸어맞추는 크랭크축의 지지부재와, 선회스크롤과 크랭크축의 편심핀부를 회전축방향인 스러스트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자유롭게 걸어맞추는 선회스크롤의 지지부재이다.
계속해서 도 10을 사용하여 스크롤유체기계의 압축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고정스크롤(2)의 랩(2a)과 선회스크롤(3)의 랩(3a)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형성된 압축실(4al, 4a2, 4bl, 4b2)을 나타내고 있다. 압축실(4al, 4a2, 4bl, 4b2)은 압축과정에 있는 압축실을 나타내고, 선회스크롤(3)이 선회운동함으로써 압축실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압축동작이 행하여진다. 압축동작에는 선회스크롤 (3)의 선회운동에 따라 작동유체가 흡입구(5), 흡입공간(15)을 경유하여 압축실로 흡입된다. 흡입된 작동유체는 압축실이 4a1, 4a2 및 4bl, 4b2와 같이 차례로 용적이 감소되어 고정스크롤 토출포트(2e)와의 도통위치에 압축실이 도달한 시점에서 토출공간, 토출구를 경유하여 토출된다.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3)을 맞물게 하여 선회운동시킬 때는, 흡입공간(15)-압축실(4al, 4b1)사이, 압축실 (4al, 4a2, 4bl, 4b2)상호간, 압축실(4a2, 4b2)-토출포트(2e)사이에 작동유체의 누설이 전혀 생기지 않는 충분한 기밀성의 확보가 필요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11을 사용하여 고정스크롤(2)과 프레임(7)의 고정구조의 일예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고정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고정스크롤(2)과 프레임(7)을 고정할 목적은, 프레임(7)과 고정스크롤(2)에 의하여 구성한 공간(8)을 토출공간이나 흡입공간으로부터 압력적으로 이격하여 적정한 압축동작을 실행시키는 데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구조의 일예에서는 고정스크롤(2)의 빈구멍(2f)과 프레임(7)의 고정나사부(7b)와 고정볼트(20)를 사용하여 고정스크롤(2)과 프레임(7)을 고정한다. 공간(8)과 토출공간이나 흡입공간을 압력적으로 격리하기 위하여 도 10의 고정스크롤의 빈구멍(2f)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의 빈구멍(2f)은 고리형상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또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고려하여 고정스크롤의 빈구멍(2f)의 직경은 고정볼트(20)가 간단하게 통과가능한 크기로 하고 있다.
고정스크롤(2)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5-332267호 공보에 개시된 도 12에 나타내는 예가 있다. 이 예에서는 고정스크롤(100)은 제 l 대판 (100a)과 제 1 소용돌이체(100b)와 2개의 기준구멍(100c, 100d)으로 구성되고, 2개의 기준구멍(100c, 100d)을 사용하여 고정스크롤 소용돌이체와 요동스크롤 소용돌이체의 위상이 정확히 180°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끼워맞춤핀으로 고정스크롤을 위치결정한다. 도 12에서 기준구멍(100d)은 긴구멍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특별히 긴구멍일 필요는 없다. 긴구멍이면 양 기준구멍사이에 피치정밀도 오차가 있더라도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끼워맞춤핀과 각 기준구멍과의 클리어런스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양 스크롤의 위상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스크롤과 프레임의 고정구조에는,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적정한 맞물림상태를 실현시켜 높은 에너지효율의 확보에 있어서 몇가지의 과제가 있다. 도 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스크롤랩(3a)과 고정스크롤랩(2a)의 맞물림에 있어서, 이론상 각 랩(2a, 3a) 측면의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간극은 존재하지않기 때문에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3)을 일의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정스크롤(2)이나 선회스크롤(3)을 비롯하는 기계가공부품에는 가공공차가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랩(2a, 3a) 측면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가지게 하여 조립시 및 선회운동시의 선회스크롤랩(3a)과 고정스크롤랩(2a)의 간섭을 막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동일수단의 스크롤유체기계만으로도 반드시 가공공차범위내에서 랩(2a, 3a) 측면간의 간극량에 편차가 존재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고정스크롤(2)과 프레임(7)의 고정구조의 일예에서는 고정스크롤의 빈구멍(2f)에 고정볼트(20)를 간단하게 통과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것 처럼 고정스크롤의 빈구멍(2f)과 고정볼트(20)의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21)을 형성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정스크롤(2)을 프레임(7)에 고정할 때에는 간극(21)의 분만큼 고정스크롤(2)이 중립위치로부터 회전 또는 평행이동하여 고정될 가능성이 있다.
도 13(a)에 고정스크롤을 이론상의 맞물림위치인 중립위치에 고정한 경우의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3)의 맞물림상태를, 도 13(b)에 고정스크롤을 중립위치로부터 회전이동하여 고정한 경우의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3)의 맞물림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고정스크롤랩(2a)과 선회스크롤랩(3a)의 측면사이에는 실제로 가공공차에 의하여 수㎛∼수십㎛의 간극이 존재하나, 눈으로 인정될 있는 정도의 크기가 아니다. 도 13에서는 고정스크롤이 회전이동하여 고정된 경우의 간극변화의 양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도 13(a)에 있어서 고정스크롤랩(2a)과 선회스크롤(3a)의 이론상 접하는 부분의 간극이 되는 Bl, B2 및 Cl, C2를 눈으로 인정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구성하여 묘화하였다. 고정스크롤랩(2a)의 X, Y축 및 중심을 XF, YF 및 OF, 선회스크롤랩(3a)의 X, Y축 및 중심을 XM, YM 및 0M으로서 나타낸다.
도 l3(a)는 선회스크롤(3)이 Y축 정방향으로 선회하여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고정스크롤랩(2a)과 선회스크롤랩(3a)의 Y축은 일치한다. 도 13(a)의 상태로부터, 고정스크롤(2)을 고정스크롤랩의 중심(OF)을 중심으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맞물린 상태가 도 13(b)이다. 고정스크롤(2)을 회전하여 고정한 경우는 도 13(a)의 B1, B2와 C1, C2부분이 B3, B4와 C3, C4부분과 같이 변화된다. B3, B4의 간극은 확대하고, C3, C4의 간극은 축소한다. 도 13(b)와 같이,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고정한 예이면, C3, C4의 간극이 0 이 되는 각도에서 고정스크롤(2)은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고정한 경우는, B3, B4의 간극이 O 이 되는 각도에서 고정스크롤(2)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l3(b)에 나타내는 회전이동후에 고정한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 (3)의 90°마다의 맞물림상태를 (a)∼(d)의 순으로 도 14에 나타내며, 회전이동후에 고정한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3)의 맞물림에 있어서 생기는 간극(D1∼D5, E1∼E5)의 변화의 양상을 설명한다. 고정스크롤랩(2a)의 X, Y축 및 중심을 XF, YF 및 OF, 선회스크롤랩(3a)의 X, Y축 및 중심을 XM, YM 및 OM으로서 나타낸다. D1의 간극은 도 13의 B3에 대응하여 중립위치에서 고정한 경우의 간극보다 크고, 선회운동중에도 D1∼D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상 큰 간극의 상태로 존재한다. 한편 E1의 간극은 도 13의 C3에 대응하여 중립위치에서 고정한 경우의 간극보다 작고, 선회운동중에도 E1∼E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상 작은 간극의 상태로 존재한다. 특히, D1∼D5에서 발생하는 간극의 크기는, 회전이동에 의하여 곡율이 다른 랩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중립위치에 있어서 생기는 간극보다도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D1∼D5를 밀봉부로서 구성하는 압축실은, 항상 간극이 커져, 압축중의 누설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스크롤유체기계의 에너지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고정방법에서는, 고정스크롤이 가공공차의 범위내에서 회전 및 평행이동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압축실의 밀봉부에 대응하는 간극의 크기가 불일치하게 되어 동일수단의 스크롤유체기계만으로도 에너지효율에 큰 편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 도 12에 나타낸 일본국 특개평5-332267호 공보기재의 2개의 기준구멍을 사용한 고정스크롤 위치결정수단에는,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이 적정한 맞물림 상태를 실현시켜 높은 에너지효율을 확보함에 있어서 몇가지의 과제가 있다. 2개의 기준구멍을 사용한 위치결정수단은, 미리 설정한 고정위치에 고정스크롤을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즉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맞물림상태가 미리 결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정스크롤, 선회스크롤, 올덤링 및 프레임 등의 스크롤유체기계 구성부재에는 가공공차내의 치수편차가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미리 설정한 고정스크롤의 고정위치가 반드시 적정한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맞물림상태를 실현시킨다고는 하기 어렵다. 가령,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긴 구멍형상을 사용한 곳에서 기준구멍(10Oc)과의 짜춤에 의하여 일의적으로 고정스크롤의 고정위치를 결정하고 있음에 변화는 없으며, 긴구멍범위에서 적정한 끼워맞춤핀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공지예에 의한 위치결정수단은, 미리 설정한 고정스크롤의 고정위치에 확실하게 고정스크롤을 위치결정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 고정위치가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에 대하여 반드시 적정한 맞물림상태를 구성시키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크롤유체기계에 있어서, 선회스크롤의 스크롤랩과 비선회스크롤의 스크롤랩이 적정한 맞물림상태의 실현을 용이하게 하고,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제 l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긴구멍과 위치결정핀의 기능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4는 고정스크롤 평행이동에 의한 양 랩측면의 간극변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고정스크롤 평행이동에 의한 양 랩측면의 간극변화에 관한 상세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핀의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핀의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스크롤압축기의 압축실의 개략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과 프레임의 고정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과 프레임의 위치결정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 회전이동에 의한 양 랩측면의 간극변화에 관한 설명도,
도 14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 회전이동에 의한 양 랩측면의 간극변화에 관한 상세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용기 2, 30, 50 : 고정스크롤
2a, 30a, 50a : 랩 2b, 30b, 50b : 경판
2c, 30c, 50c : 랩톱니바닥 2d, 30d, 50d : 랩톱니끝
2e, 30e, 50e : 토출포트 2f, 30f, 50f : 빈구멍
3 : 선회스크롤 3a : 랩
3b : 경판 3c : 랩톱니바닥
3d : 랩톱니끝 4, 4a, 4b : 압축실
7, 40, 60 : 프레임 7a, 40a, 60a : 키홈
7b, 40b, 60b : 고정나사부 20 : 고정볼트
21 : 간극 31, 61, 71, 81 : 위치결정 긴구멍
32, 52 : X축 33, 53 : Y축
34 : 랩(30a)의 중심 41, 51, 72, 82 : 위치결정핀
42, 62 : 직선 54 : 랩(50a)의 중심
100 : 고정스크롤 100a : 제 1 대판
100b : 제 1 소용돌이체 100c, 100d : 기준구멍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유체기계는 소용돌이형상의 스크롤랩을 가지며, 그 축선에 수직인 면내에 있어서의 운동이 규제되는 비선회스크롤부재와, 그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상기 스크롤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소용돌이형상의 스크롤랩을 가지며, 상기 축선에 수직한 면내를 자전하지 말고 선회운동하는 선회스크롤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상기 축선에 수직한 면내에서의 운동을 규제하는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 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의 상기 축선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의 상대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스크롤유체기계에 있어서, 스크롤유체기계의 조립시에 사용하는 상기 위치결정수단을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쌍방에 형성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조립하여 위치결정할 때,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축선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상기 비선회스크롤랩의 개략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하나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 그 하나의 직선과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교차하는 위치를 지나 상기 축선에 평행한 직선의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추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며, 그 하나의 직선에 평행하고 또한 그 하나의 직선을 끼워 대향하는 한 쌍의 벽면을 가지는 긴구멍구조와, 그 긴구멍구조에 상기 한 쌍의 벽면을 따라 이동자유롭게, 또한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추는 핀부를 가지는 핀구조로 구성되고, 그 긴구멍구조와 그 핀구조중 어느 하나가 상기 비선회스크롤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다른쪽이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제의 위치결정시에는 상기 긴구멍구조에 상기 핀구조의 핀부에 끼워맞추고, 또한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스크롤랩에 상기 선회스크롤부재의 스크롤랩이 선회가능하게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상기 긴구멍의 장축을 따라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스크롤랩의 중심이 상기 선회스크롤부재의 스크롤랩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능한 한 가까이 끌어들이고, 이어서 상기 선회스크롤부재를 그 위치로부터 개략 180도 선회시킨 곳에서 마찬가지로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상기 긴 구멍의 장축을 따라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스크롤랩의 중심이 상기 선회스크롤부재의 스크롤랩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능한 한 이동시키고, 이 이동의 중간위치에 비선회스크롤을 위치결정하면 좋다.
상기 이동으로 설정한 위치에 있어서 다시 상기 핀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상기 선회스크롤부재의 선회운동이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시켜, 이 회전각도의 중앙위치에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위치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하면, 상기 선회스크롤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고정하는 부재와 상기 선회스크롤부재를 선회구동하는 구동수단에 있어서의 구성부품의 가공공차 누적으로부터 생기는 조립오차내에 양 스크롤랩측면간 간극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 도 1, 도 2로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고정스크롤(3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b)는 고정스크롤(30)의 랩측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1(a)는 도 1(b)의 A-A선 화살표 표시단면을 나타낸다. 고정스크롤(30)의 기본구성부분은 랩(30a)과 경판(30b)과 랩톱니바닥(30c)과 랩톱니끝(30d)과 토출포트 (30e)와 고정용 빈구멍(30f)과 위치결정 긴구멍(31)이다.
또한 XY 좌표는 랩(30a)의 중심(34)을 기점으로 X축(32), Y축(33)으로서 나타내었다. 여기서 고정스크롤의 위치결정 긴구멍(31)의 평행부를 X축(32)에 대하여 평행하게 구성하였으나, 위치결정 긴구멍(31)은 랩(30a)의 중심(34)을 개략 통과하는 직선에 대하여 개략 평행해지는 장축방향의 평행부를 가지면 어디에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단, 위치결정 긴구멍(31)의 장축방향의 평행한 부분의 사이에 상기 중심(34)을 지나는 직선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X축(32)이 위치결정 긴구멍(31)이 평행한 부분의 사이를 지나도록 위치결정 긴구멍(31)의 위치와 방향을 선정한 예를 나타내었다. 환언하면, 랩(30a)의 중심(34)을 개략 통과하는 직선이란, 랩(30a)의 중심(34)으로부터 위치결정 긴구멍(31)의 단축방향의 길이의 l/2 정도 떨어진 위치를 지나는 직선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랩(30a)의 중심에 있어서의 랩(30a)의 세워설치하는 방향, 즉 경판(30b)의 법선을 고정스크롤의 축선이라 한다. 위치결정 긴구멍(31)은 고정용 빈구멍(30f)이 배치된 고정스크롤(30)의 둘레가장자리부의 프레임(40)에 대향하는 면, 즉 상기 축선에 수직한 평면으로 개구하고, 상기 개략 통과하는 직선에 평행하고 또한 그 직선을 끼워 대향하는 한 쌍의 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고정스크롤(30)을 고정하는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인 프레임(4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는 프레임(40)의 고정스크롤측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2(a)의 B-B선 화살표로 표시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프레임(40)에는 자전방지기구의 주요부품인 올덤링에 형성되는 서로 직교한 2세트의 키부분 중 1세트가 활동하는 키홈(40a)과, 고정스크롤의 빈구멍(30f)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나사부(40b)와, 위치결정핀(41)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40)은 선회스크롤과 소정의 위치관계를 가지고 배치되며, 고정스크롤의 상기 축선에 수직한 면내에 있어서의 프레임(40)과의 상대운동을 규제, 저지한다.
이하, 설명의 간단화를 위하여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이 이론상의 맞물림위치가 되는 고정스크롤(30)의 배치위치를 중립위치라 부른다. 또한 고정스크롤(30)이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에 선회스크롤과 올덤링과 프레임에 형성하는 키홈(40a)과의 위치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프레임의 배치위치를 프레임의 중립위치라 부른다.
여기서 위치결정수단중 핀구조의 핀부를 이루는 위치결정핀(41)의 프레임(40)에 있어서의 배치위치는, 프레임을 중립위치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고정스크롤(30)의 위치결정 긴구멍(31)의 평행부를 구성할 때 사용한 고정스크롤랩(30a) 의 중심을 개략 통과하는 직선상에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스크롤(30)의 X축(32)에 대응하는 프레임상의 직선(42)상이 된다. 환언하면 위치결정핀(41)의 프레임(40)에 있어서의 배치위치는, 직선(42)이 고정스크롤 둘레가장자리부의 상기 빈구멍(30f)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프레임(40)의 면과 교차하는 위치에 있다. 도 2에서는 위치결정핀(4l)과 프레임(40)은 별개체로 구성하고 있으나, 일체구조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 고정스크롤(30)과 프레임(40)을 중립위치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미리 프레임(40)상에 위치결정핀(41)을 결정하고, 상기 위치결정핀(41)의 핀중심에 대응하는 고정스크롤(30)의 장소와 고정스크롤랩(30a)의 중심을 개략통과하는 직선에 평행한 부분을 가지는 위치결정 긴구멍(31)을 고정스크롤(30)상에 구성하여도 좋다.
도 3에, 도 1, 도 2에 나타낸 고정스크롤(30)의 위치결정 긴구멍(31)과 프레임(40)의 위치결정핀(41)을 맞추게 한 경우의 모식도를 나타내며, 위치결정 긴구멍(31)과 위치결정핀(41)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결정수단의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고정스크롤랩(30a)의 중심을 개략 통과하는 직선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스크롤랩(30a)의 X축(32)에 대응한다. 위치결정 긴구멍(31)과 위치결정핀(41)은 고정스크롤(30)을 위치결정 긴구멍(31)의 평행부를 따라 평행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 평행부에 구속되어 평행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불가로 하며, 또 위치결정핀(41)을 회전중심으로한 고정스크롤(3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위치결정핀(41)이 도 3과 같이 위치결정 긴구멍(31)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배치가 고정스크롤(30)의 중립위치가 되도록 위치결정핀(41)의 반경방향위치를 결정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도 4, 도 5를 사용하여, 위치결정 긴구멍(3l)과 위치결정핀(41)에대한 위치결정의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에 고정스크롤을 이론상의 맞물림 위치인 중립위치에 고정한 경우의 고정스크롤(30)과 선회스크롤(3)의 맞물림상태를 도 4(b)에 고정스크롤을 중립위치로부터 평행이동하여 고정한 경우의 고정스크롤(30)과 선회스크롤(3)의 맞물림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고정스크롤랩(30a)의 X, Y축 및 중심을 중립위치에서는 XF1, XF1 및 OF1, 평행이동후에는 XF2, YF2 및 OF2, 선회스크롤랩(3a)의 X, Y축 및 중심을 XM, YM 및 OM으로서 나타낸다. 또 도 4의(a), (b)에서는 선회스크롤(3)이 Y축 정방향으로 선회하여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고정스크롤랩(30a)의 Y축 YF1, YF2와 선회스크롤랩(3a)의 YM이 일치한다.
실제로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의 측면사이에는,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 등을 비롯하는 구성부품의 가공공차에 의하여 수㎛∼수십㎛의 간극이 존재하나, 눈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아니다. 도 4에서는 고정스크롤이 평행이동하여 고정된 경우의 간극변화의 양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도 4(a)에 있어서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3a)의 이론상 접하는 부분의 간극이 되는 F1, F2 및 G1, G2를 눈으로 인정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구성하여 묘화하였다. 도 4(a)의 상태로부터, Y축 YFl의 음방향으로 고정스크롤(30)을 평행이동시켜 맞물리게 한 상태가 도 4(b)이다. 도 1∼도 3에서 설명한 고정스크롤(30)에 배치한 위치결정 긴구멍(31)과 프레임(40)에 설치한 위치결정핀(4l)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스크롤(30), 선회스크롤(3)의 Y축 YF1, YF2 및 YM 상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고, 고정스크롤(30)의 평행이동과 위치결정핀(41)을 중심으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고정스크롤(30)을 Y축 음의 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고정한 경우는, 도 4(a)의 Fl, F2 및 G1, G2부분이 F3, F4 및 G3, C4부분과같이 변화된다. F3, F4 및 G3, G4의 간극은 도 l3에 나타내는 회전이동의 경우와 달리 모두 축소하게 된다.
도 4(b)에 나타낸 평행이동후에 고정한 고정스크롤(30)과 선회스크롤(3)의 90°마다의 맞춤림상태를 도 5에 (a)∼(d)의 순으로 나타내며, 평행이동후에 고정한 고정스크롤(30)과 선회스크롤(3)의 맞물림에 있어서 생기는 간극(H1∼H5, J1 ∼J5)의 변화의 모양을 설명한다. 고정스크롤랩(30a)의 X, Y축 및 중심을 XF2, YF2 및 OF2, 선회스크롤랩(3a)의 X, Y축 및 중심을 XM, YM 및 OM으로서 나타내고, 고정스크롤(30)에 설치한 위치결정 긴구멍(31)과 프레임(40)에 설치한 위치결정핀(41)은 도 5에 도시 생략하였으나, 도 4와 같이 고정스크롤(30)의 Y축 YF2상의 양방향에 설치하였다고 한다. H1의 간극은 도 4(b)의 F3에 대응하고, 중립위치에서 고정한 경우의 간극보다 작으며, 선회운동중은 H1∼H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간극과 큰 간극의 상태를 반복한다. 마찬가지로 J1의 간극은 도 4(b)의 G3에 대응하고, 중립위치에 고정한 경우의 간극보다 작으며, 선회운동중은 J1∼J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 간극과 큰 간극의 상태를 반복한다.
회전이동하여 고정한 경우는, 항상 큰 간극이거나 또는 항상 작은 간극의 상태가 존재하는 것에 대하여, 평행이동만으로 고정한 경우는 큰 간극과 작은 간극을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하는 것이 크게 다른 점이다. 평행이동만의 경우, H1∼H5 및 J1∼J5를 밀봉부로서 구성하는 압축실에는, 선회운동중에 반드시 작은 간극의 상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이동후에 고정한 경우에 발생하는 항상 큰 간극에 기인하는 압축중인 누설이 존재하지 않고 스크롤유체기계의 에너지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염려는 없다.
또한 선회스크롤(3)이 선회운동가능한 상태에서 선회스크롤랩(3a)의 중심(OM)으로부터 고정스크롤랩(30a)의 중심(OF2)방향으로 가능한 한 고정스크롤(30)을 평행이동시킨 상태를 도 5(a)라 하면, 도 5(a)의 선회위치로부터 개략 180° 선회운동한 맞물림상태인 도 5(c)에 있어서 생기는 간극(H3 및 J3)이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 등을 비롯하는 구성부품의 가공공차의 누적으로부터 생기는 조립오차의 고정스크롤(30)의 Y축 YF2의 음방향 성분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도 5(c)의 맞물림상태에 있어서, 선회스크롤(3)이 선회운동가능한 상태에서 선회스크롤랩(3a)의 중심(OM)으로부터 고정스크롤랩(30a)의 중심(OF2)방향으로 가능한 한 고정스크롤(30)을 평행이동시킨 후, 개략 l80°선회운동시킨 맞물림상태인 도 5(a)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간극이 H1, H5 및 J1, J5에 생긴다. 이들 간극이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 등을 비롯하는 구성부품의 가공공차의 누적으로부터 생기는 조립오차의 고정스크롤(30)의 Y축 YF2의 양방향성분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고정스크롤의 평행이동범위의 중심(중점)에 고정스크롤(30)을 고정하면, 고정스크롤(30)을 Y축 YF2방향에 관해서는 개략 중립위치에 설정할 수 있고,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이 적정한 맞물림 상태가 되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30)에 배치한 위치결정 긴구멍(31)과 프레임에 배치한 위치결정핀(41)은, 도 5에 도시 생략하였으나, 도 4와 같이 고정스크롤(30)의 Y축 YF2상의 양방향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스크롤(30)은 위치결정핀(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5(b)에 나타내는 맞물림상태에 있어서, 고정스크롤(30)은 고정스크롤의 X축 XF2방향으로 간극(H2 와 J2)의 개략 합분 만큼, 또 도 5의(d)에 나타내는 맞물림상태에 있어서, 고정스크롤(30)은 고정스크롤의 X축방향 XF2으로 간극(H4 와 J4)의 개략 합분만큼 이동가능하다. 이 때의 고정스크롤(30)의 X축방향 XF2의 이동가능량인 H2와 J2의 개략 합분 또는 H4와 J4의 개략 합분은,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 등을 비롯하는 구성부품의 가공공차의 누적으로부터 생기는 조립오차의 고정스크롤(30)의 X축 XF2방향성분과 개략 같다고 할 수 있다. 또 위치결정핀(41)과 H2, J2부분 또는 H4, J4부분까지의 평행거리가, 상기 H2와 J2의 개략 합분 또는 H4와 J4의 개략 합분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위치결정핀(41)의 회전에 의한 고정스크롤(30)이동은, 고정스크롤(30)의 X축 XF2방향에 있어서의 개략 평행이동으로서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5(b) 또는 도 5(d)의 맞물림상태에 있어서 선회스크롤(3)이 선회운동가능한 상태에서 선회스크롤랩(3a)의 중심(OM)으로부터 고정스크롤(30)의 중심(OF2)방향으로 가능한 한 고정스크롤(30)을 회전이동시킨 상태로부터 반대방향으로가능한 한 회전이동하였을 때의 이동량의 개략 절반분의 위치에서 고정스크롤(30)을 고정하면, 고정스크롤(30)을 X축 XF2방향에 관해서도 개략 중립위치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높은 에너지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가령 상기한 고정스크롤(30)을 개략 중립위치에 강제적으로 위치결정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아도 선회스크롤(3)이 선회가능한 상태에서 고정스크롤(30)을 고정하면, 고정스크롤(30)에 설치한 위치결정 긴구멍(31)과 프레임(40)에 설치한 위치결정핀(41)에 의하여 고정스크롤랩(30a)과 선회스크롤랩(3a) 등을 비롯하는 구성부품의 가공공차의 누적으로부터 생기는 조립오차내에 랩간 간극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작용이 있다. 즉 고정스크롤랩의 중심에 관한 회전이동을 적극 억제하여, 1개의 위치결정 긴구멍과 위치결정핀의 맞춤에 의하여 고정스크롤을 평행이동시키고, 구성부품의 가공공차의 누적으로부터 생기는 조립오차내에 랩간 간극을 간단하게 조정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큰 특징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여 위치결정한 고정스크롤(30)을 고정하는 위치는, 설계상의 개략 중립위치이거나 설계상의 조립오차내에 랩간 간극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부품으로부터 실제로 결정되는 개략 중립위치이거나 각 구성부품으로부터 실제로 결정되는 조립오차내에 랩간 간극을 조정하는 것으로 이것도 본 발명의 하나의 큰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6, 도 7에 의하여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위치결정 긴구멍과 위치결정핀의 배치부재가 반대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나,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6에 고정스크롤(5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b)는 고정스크롤(50)을 랩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도 6(a)는 도 6(b)의 C-C선 화살표로 표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고정스크롤(50)의 기본구성부분은 랩(50a)과 경판(50b)과 랩톱니바닥(50c)과 랩톱니끝(50d)과 토출포트 (50e)와 고정용 빈구멍(50f)과 위치결정핀(51)이다. 또한 XY 좌표는 랩(50a)의 중심(54)을 기점으로 X축(52), Y축(53)으로서 도시하였다. 위치결정핀(51)은 고정스크롤상이면 어디에 설치하여도 상관없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랩(50a)의 X축(52)상에 설치하였다. 도 6에서는 위치결정핀(51)과 고정스크롤(50)은 별개체로 구성하고 있으나, 일체구조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도 7에 고정스크롤(50)을 고정하는 프레임(6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a) 는 프레임(70)을 고정스크롤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D-D 선을 화살표로 표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프레임(60)의 기본구성부분은, 자전방지기구의 주요부품인 올덤링에 형성되는 서로 직교한 2세트의 키부분중의 1세트가 활동하는 키홈(60a)과 고정스크롤의 빈구멍(50f)에 대응하는 고정나사부(60b)와 위치결정 긴 구멍(61)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결정핀(51)이 랩(50a)의 X축(52)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스크롤(50)과 프레임(60)을 중립위치에 설치한 경우에 랩(50a)의 X축(52)에 대응하는 프레임(60)상의 직선(62)에 개략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긴구멍(61)의 평행부의 사이를 상기 직선(62)이 지나도록 프레임의 위치결정 긴구멍(61)의 평행부를 구성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X축(52)에 대응하는 프레임(60)상의 직선(62)에 개략 평행한 부분으로서 위치결정 긴구멍(61)의 평행부분을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X축(52)에 평행일 필요는 없고, 위치결정핀(51)의 핀부중심과 랩(50a)의 중심을 개략 통과하는 개략 직선에 대응하는 프레임(60)상의 직선에 개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단, 위치결정 긴구멍(61)의 평행선의 사이에 상기 직선이 위치하도록 위치결정 긴구멍(61)의 위치와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우연히도 고정스크롤랩(50a)의 X축(52)과 프레임(60)의 키홈(60a)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으나, 일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부호(73)는 위치결정 긴구멍(7l)이 형성되는 부재를 나타내며, 부호 74는 위치결정핀(72)이 설치되는 부재이다. 도 8(a)는 위치결정 긴구멍(71)과 위치결정핀 (72)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고, 도 8(b)는 위치결정핀(72)의 형상 및 위치결정핀(72)이 설치되는 부재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위치결정핀의 형상이 다르다. 도 8에 나타내는 위치결정핀(72)은, 위치결정 긴구멍(71)에 있어서 긴구멍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긴구멍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불가능임과 동시에, 위치결정핀자체의 축선의 주위에 회전자유롭게 기능하며,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효과는 제 1,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위치결정핀(72)의 특징은 위치결정 긴 구멍(71)과 끼워맞추는 부분(핀부)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을 구비하며, 이 평면으로 끼워진 부분이 원주면(핀부 축선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형상이 개략 원형형상)으로 되어있는 점이며, 원주면의 부분은 위치결정핀(72)의 회전동작에 필요 충분한 영역으로 한다.
여기서 위치결정핀(72)의 원주면의 부분만이 위치결정 긴구멍(71)의 벽면과 접하는 부분이며, 높은 정밀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위치결정핀(72)의 높은 정밀도 가공부분을 특정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치결정핀(72)의 가공시간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원주형상의 위치결정핀과는 달리 평면부를 가지기 때문에, 위치결정핀이 배치되는 부재(74)에 위치결정핀(72)을 삽입할 때 등의 위치결정핀(72)의 유지성이 높아, 보다 확실한 삽입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삽입시에 위치결정핀(72)의 위치결정 긴구멍(71)과 접하는 원주면의 부분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염려가 없어진다. 위치결정핀(72)이 설치되는 부재(74)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핀(72)의 구멍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은, 압축기의 조립단계에서 위치결정핀(72)이 그 삽입구멍의 안에서 회전하는 일이 없는 크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의 부호 83은 위치결정 긴구멍(81)이 형성되는 부재를 나타내며, 부호 84는 위치결정핀(82)이 배치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위치결정핀형상이 다르다. 도 9(a)는 위치결정 긴구멍(81)과 위치결정핀(82)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며, 도 8(b)는 위치결정핀(82)의 형상 및 위치결정핀(82)이 배치되는 부재(84)에 대한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D-D 선을 화살표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위치결정핀(82)은, 위치결정 긴구멍(81)에 있어서 긴구멍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긴구멍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고, 또한 회전자유롭게 기능하며,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효과는 제 1∼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위치결정핀(82)의 특징은 위치결정핀(82)의 위치결정 긴구멍(81)에 끼워맞추게 하는 부분(핀부)중심과 위치결정핀이 배치되는 부재(84)에 삽입되는 부분 인 구멍중심이 편심되어 있는 것에 있다. 편심방향은 위치결정 긴구멍(81)의 긴구멍방향으로 개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9에 나타낸 핀부의 형상은, 제 3 실시형태인 위치결정 긴구멍(8l)과 끼워맞추는 부분의 일부가 원주면으로 되어있는 형상이나, 원주형상의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또 핀부의 개략 원구조부의 직경보다 구멍부의 직경을 크게 구성함으로써 도 9와는 달리 핀부의 형상을 위치결정핀이 설치되는 부재(84)의 내부로까지 연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인 위치결정 긴구멍(81)의 긴구멍방향으로 개략 직교하는 방향에 편심시킨 위치결정핀(82)을 사용함으로써 고정스크롤랩이나 선회스크롤랩의 가공정밀도의 변동으로 발생하는 회전이동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항상 적정한 양 랩의 맞물림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위치결정핀이 배치되는 부재(84)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핀(82)의 삽입구멍은, 압축기의 조립단계에서 위치결정핀(82)이 그 삽입구멍안에서 간단하게 회전하는 일이 없는 크기로 함과 함께, 위치결정핀(82)의 삽입시, 편심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할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랩에 랩을 맞물리게 하여 설치된 선회스크롤의 조립으로 구성된 스크롤유체기계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스크롤은 문자 그대로 프레임에 고정된 것 뿐만 아니라, 구동축의 축선방향에서의 어느정도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는 구조의 것도 있다. 그와 같은 고정스크롤에 있어서도, 구동축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내에서의 프레임과의 상대위치, 결국은 선회스크롤과의 상대위치는 상기 각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치결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구동축의 축선방향에서의 어느정도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는 고정스크롤과, 프레임에 고정볼트(20)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스크롤을 합쳐서 비선회스크롤이라 부른다. 상기 위치결정핀이나 위치결정 긴구멍은, 비선회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스크롤유체기계에 대하여 적용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여 선회스크롤부재와 비선회스크롤부재가 적정한 맞물림상태를 실현시켜 높은 에너지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스크롤유체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소용돌이형상의 스크롤랩을 가지며, 그 축선에 수직한 면내에 있어서의 운동이 규제되는 비선회스크롤부재와, 그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상기 스크롤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소용돌이형상의 스크롤랩을 가지며, 상기 축선에 수직한 면내를 자전하는 일 없이 선회운동하는 선회스크롤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상기 축선에 수직한 면내에서의 운동을 규제하는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의 상기 축선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의 상대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스크롤유체기계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와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쌍방에 형성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축선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상기 비선회스크롤랩의 개략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하나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그 하나의 직선과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교차하는 위치를 지나 상기 축선에 평행한 직선의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하나의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며, 그 하나의 직선에 평행하고 또한 그 하나의 직선을 끼워 대향하는 한 쌍의 벽면을 가지는 긴구멍구조와, 상기 긴구멍구조에 상기 한 쌍의 벽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는 핀부를 가지는 핀구조로 구성되며, 그 긴구멍구조와 그 핀구조중 어느 한쪽이 상기 비선회스크롤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다른쪽 이 상기 비선회스크롤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조의 핀부를 핀부축선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형상이 개략 원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그 개략 원형상의 중심을 상기 하나의 직선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조를 핀부와 그 핀부를 고정하는 구멍부로 나누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상기 비선회스크롤고정부재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의 조립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긴구멍구조에 상기 핀부를 끼워맞추게 한 상태에서 임의의 선회각도로 선회스크롤랩의 중심으로부터 비선회스크롤랩의 개략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능한 한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이동시키고, 다음에 그 선회각도보다 개략 180° 선회한 각도로 상기 선회스크롤랩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비선회스크롤랩의 개략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능한 한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 임의의 선회각도에 있어서의 이동 후의 위치와 그 개략 180°의 선회각도에 있어서의 이동 후의 위치의 중점에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위치결정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의 조립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적어도 1세트의 선회각도에 있어서 상기 이동을 실시하여, 상기 이동의 중점에 상기 비선회스크롤부재를 위치결정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유체기계의 조립방법.
KR1019990054713A 1998-12-04 1999-12-03 스크롤유체기계 KR100310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548898A JP3718758B2 (ja) 1998-12-04 1998-12-04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10-345488 1998-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894A true KR20000047894A (ko) 2000-07-25
KR100310977B1 KR100310977B1 (ko) 2001-10-18

Family

ID=1837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713A KR100310977B1 (ko) 1998-12-04 1999-12-03 스크롤유체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80165B1 (ko)
JP (1) JP3718758B2 (ko)
KR (1) KR100310977B1 (ko)
CN (1) CN1107805C (ko)
TW (1) TW4839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680B1 (ko) * 2001-09-28 2008-03-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회전식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433A (ko) * 2017-05-08 2018-11-16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롤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3817B2 (en) * 2003-10-02 2006-05-16 Scroll Technologies Method of aligning scroll compressor pump cartridge
EP2246330A1 (en) * 2009-04-30 2010-11-03 Siegwerk Benelux SA New photoinitiators
JP5171864B2 (ja) * 2010-03-10 2013-03-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及びその組立方法
JP5880398B2 (ja) * 2012-11-13 2016-03-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05500642B (zh) * 2016-01-06 2017-12-26 陕西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管件切水口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086A (ja) * 1982-10-27 1984-05-08 Hitachi Ltd スクロ−ル流体機械
JPS618404A (ja) * 1984-06-21 1986-01-16 Daikin Ind Ltd スクロ−ル形流体機械
JPH03294681A (ja) * 1990-04-09 1991-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
JP2712777B2 (ja) * 1990-07-13 1998-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5106279A (en) * 1991-02-04 1992-04-21 Tecumseh Products Company Orbiting scroll member assembly
JPH051882U (ja) * 1991-06-27 1993-01-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518202A (ja) * 1991-07-08 1993-01-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134008B2 (ja) * 1991-11-29 2001-02-1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スクロール式圧縮機
JPH05149266A (ja) * 1991-11-29 1993-06-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626471A (ja) * 1992-07-10 1994-02-01 Toshiba Corp スクロール式圧縮機
TW253929B (ko) * 1992-08-14 1995-08-11 Mind Tech Corp
JP3017007B2 (ja) * 1994-01-25 2000-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ロール型圧縮機
DE69504233T2 (de) * 1994-03-15 1999-01-07 Denso Corp., Kariya, Aichi Spiralverdichter
US5496160A (en) * 1995-07-03 1996-03-05 Tecumseh Products Company Scroll compressor having a suction check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680B1 (ko) * 2001-09-28 2008-03-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회전식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433A (ko) * 2017-05-08 2018-11-16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롤 압축기
US10890183B2 (en) 2017-05-08 2021-01-12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Scroll compressor with fixing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0165B1 (en) 2001-08-28
TW483987B (en) 2002-04-21
CN1107805C (zh) 2003-05-07
KR100310977B1 (ko) 2001-10-18
JP3718758B2 (ja) 2005-11-24
CN1256364A (zh) 2000-06-14
JP2000170672A (ja) 200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9334A (en) Scroll-type machine with rotation controlling means and specific wrap shape
KR101132894B1 (ko) 스크류 로터
KR102027695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310977B1 (ko) 스크롤유체기계
JP2007255191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940000215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H02277984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585313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2199983A (ja) 公転型圧縮機
WO2021193595A1 (ja) 軸心位置調整機構及び軸装置
KR19990037271A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JPH05202855A (ja) 流体回転装置
JPH093275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277414B1 (ko) 스크롤 유체 기계 및 그 조립 방법
US6312236B1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rotated oldham ring
JPH10213082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824231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の組立方法
KR960009868B1 (ko) 스크로울형 유체기계
JPS5870003A (ja) スクロ−ル流体機械
JP2010285928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CN2549211Y (zh) 涡旋式压缩机径向柔性补偿机构
JP2981512B2 (ja) 真空ポンプ
JPH0673388U (ja) スクリュ圧縮機
JP3123623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JPH03237202A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