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271A - 스크롤형 유체기계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유체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71A
KR19990037271A KR1019980044132A KR19980044132A KR19990037271A KR 19990037271 A KR19990037271 A KR 19990037271A KR 1019980044132 A KR1019980044132 A KR 1019980044132A KR 19980044132 A KR19980044132 A KR 19980044132A KR 19990037271 A KR19990037271 A KR 19990037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pin
drive
counterweight
fluid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3626B1 (ko
Inventor
카주히데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3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7Balance weight, 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선회스크롤 단판 표면의 중앙에 구멍을 뚫어 설치한 보스(20);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보스로 삽입된 드라이브부시(21); 다양한 메커니즘의 선회반경을 통해 선회스크롤과 상호 회전하도록 짝지어진 회전축(7); 드라이브부시에 부착된 평형추(27); 및 부상방지핀(40), 평형추의 윗면과 접촉하는 핀 헤드의 뒷면 부분,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평형추에 제공된 구멍을 통과하는 핀의 축, 및 회전축의 한쪽 단면으로 드라이브부시측에 존재하는 내단대경부(內端大徑部)에 고정된 축 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드라이브부시 측에 있는 핀의 헤드부분을 절단한다. 따라서, 핀의 부착 위치를 드라이브부시측에 더 가깝게 할 수 있고, 핀과 이웃하는 부분의 구조 크기를 감소시키고, 핀 축의 직경을 더 크게 할 수 있어서, 축을 강하게 한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유체기계
본 발명은 압축기 또는 팽창기로서 사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은 참조로서 여기서 통합된 내용인 일본국 특허 제97-311060호에 기초한다.
도3은 종래의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참조부호1은 컵형 본체(2) 및 볼트(도면에 나타나지 않음)를 사용한 본체(2)에 조여진 프론트하우징(6)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프론트하우징(6)을 통과하는 회전축(7)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형으로 베어링(8 및9)을 통해 이 프론트하우징(6)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1) 내부에 고정스크롤(10) 및 선회스크롤(14)이 배치되어 설치된다.
이 고정스크롤(10)은 판(11)의 표면(11a)에 배치된 단판(11) 및 나선형 랩(12), 후술하는 표면 단판(15)을 포함한다. 단판(11)은 볼트(13)를 통해 컵형 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서, 단판(11)의 외주면은 컵형 본체(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의 내부 분할을 토출캐버티(31)가 단판(11)의 외측으로 한정되는 방법으로 설치하고, 흡입실(28)을 단판(11)의 내측에 제한적으로 설치한다.
한편, 단판(11)의 중앙에는 토출포트(29)가 뚫리고, 이 토출포트(29)의 개폐 동작이 토출밸브(30)를 사용함으로서 수행된다. 토출밸브(30)를 올리는 동작은 밸브압착기(32)에 의해 규제되고, 토출밸브(30) 및 밸브압착기(32) 양쪽 중 하나가 볼트(33)를 통해 단판(11)에 고정된다.
선회스크롤(14)은 단판(15) 및 단판(11)과 접하는 표면인 단판(15)의 표면(15a)에 배치된 나선형 랩(16)을 포함한다. 이 나선형 랩(16)은 고정스크롤(10)에 포함된 나선형 랩(12)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선회스크롤(14) 및 고정스크롤(10)의 축은 미리 결정된 거리, 즉, 편심형이 되도록 한 거리에 의해 서로 편심으로 분리되어 있다. 첨가로, 이들 스크롤의 위상은 180。로 서로 다르고,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나선형 랩(12)의 각 헤드면에 제공되고 매설된 팁실(17)은 단판(15)의 표면(15a)과 밀착되어 있고, 나선형 랩(16)의 각 헤드면에 제공 및 매설된 팁실(18)은 단판(11)의 표면(11a)에 밀착되어 있다. 나선형 랩(12 및 16)의 측면은 많은 위치에서 선접촉을 가지므로, 복수의 압축실(19a 및 19b)은 나선 중심에서 보아 대칭점의 위치에 반드시 형성된다.
단판(15)의 외면 중앙부(내부 표면(15a)과 반대)에 구멍을 뚫어 설치한 원판형 보스(20)의 내부에, 드라이브부시(21)가 선회베어링(23)을 통해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슬라이드홈(24)이 드라이브부시(21)로 절단되고, 편심구동핀(25)이 슬라이드홈(24)으로 삽입되어 핀의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진다. 돌출한 편심구동핀(25)은 회전축(7)의 본체(2) 끝에 제공된 내단대경부(7a)의 단편에 편심으로 제공된다.
단판(15)의 외면의 원주 가장자리와 프론트 하우징(6)의 내단면 사이에, 추력베어링(36) 및 올담링크(Oldham link)가 삽입된다. 선회스크롤(14)의 선회동작으로 동적으로 불균형한 상태를 균형있게 하기 위해, 평형추(27)가 드라이브부시(21)에 부착되고, 평형추(37)가 회전축(7)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서, 회전축(7)이 회전할 때, 선회스크롤(14)이 편심구동핀(25), 슬라이드홈(24), 드라이브부시(21), 선회베어링(23), 보스(20)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의 선회반경을 통해 구동된다. 선회스크롤(14)은 회전반경을 가지는 원형 궤도를 따라서 선회하고, 스크롤(14)의 회전은 올담링크(26)에 의해 저지한다.
이 방법으로, 나선형 랩(12 및 16) 측면의 상술한 선접촉부가 점차 "와류형"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압축실(19a 및 19b)이 각 압축실의 부피가 점차 감소하는 와류형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흡입구(도면에 나타나지 않음)를 통해서 흡입실(28)로 들어가는 가스가 나선형 랩(12 및 16)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적으로 정해진 개구부로부터 압축실(19a 및 19b)로 들어간다. 이 가스는 점차 압축되어 중앙실(22)에 도달한다. 중앙실(22)로부터 가스가 토출포트(29)를 통과하고, 토출밸브(30)를 가압 및 개구함으로서, 가스가 토출캐버티(31)로 토출된다.
스크롤형 압축기를 작동 시, 선회스크롤(14)이 선회할 경우, 평형추(27)가 회전축(7)의 내단대경부(7a)로부터 부상하여, 드라이브부시(21) 및 선회스크롤(14)이 기울어진다.
선회스크롤(14)의 이 기울기는 나선형 랩(16)의 헤드 또는 루트부가 고정 스크롤(11)의 나선형 랩(12)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이들 슬라이딩측 면 사이의 비정상적인 마멸이 일어날 뿐 아니라, 스크롤형 압축기의 체적효율이 이들 슬라이딩면 사이에 생성된 틈으로부터의 가스 누출로 인해 떨어진다. 첨가로, 추력베어링(36), 올담링크(26), 및 선회베어링(23) 등의 미끄럼부가 관련된 각 슬라이드 동작에서의 반대부분과 균일하게 접촉하지 않으므로서, 비정상적인 마멸 및 시저(seizure)가 발생한다.
상기 상태를 고려하여, 구멍(38)이 도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평형추(27)에 제공되어, 자유자재하게 움직이는 형태의 이 구멍(38)을 통과하는 부상방지핀(40)의 헤드가 회전축(7)의 내단대경부(7a)에 제공된 구멍(39)에 가압 및 고정된다. 도2B에서와 같이 부상방지핀(40) 헤드(40a)의 뒷면에 있어서는, 드라이브부시(21)에 반대쪽에 존재하는 주변부분이 평형추의 상층면(27a)과 접촉함으로서 평형추(27)가 회전축(7)의 내단대경부(7a)의 단면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에서, 부상방지핀(40)의 축(40b)이 회전축(7)의 내단대경부(7a)에 고정되어서, 핀의 헤드(40a)가 미리 설정된 직경의 원형을 가진다. 그러므로, 구조, 모양, 크기 및 부상방지핀(40)의 접착 위치에 부가되는 규제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으로 해결함으로서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선형 랩을 설치하고, 스크롤을 양쪽의 나선형 랩이 서로 맞물려 있고, 이들 스크롤의 위상이 서로 다르도록 편심으로 부착시킨 단판을 포함하는 고정스크롤(10)과 선회스크롤(14);
나선형 랩이 설치된 표면 반대쪽의 표면인 선회스크롤의 단판 표면 중앙에 구멍을 뚫어 설치한 보스(20);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보스로 삽입된 드라이브부시(21);
보스와 드라이브부시를 포함하는 선회반경의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선회스크롤로 상호회전하도록 짝지어진 회전축(7);
드라이브부시에 부착된 평형추(27); 및
부상방지핀(40), 평형추의 윗면과 접촉하는 핀 헤드의 뒷면 부분,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평형추에 제공된 구멍을 통과하는 핀의 축, 및 회전축의 한쪽 단면으로 드라이브부시측에 존재하는 내단대경부에 고정된 축 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있어서, 드라이브부시측에 존재하는 부상방지핀의 헤드 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일반적인 형태에서, 부상방지핀의 헤드가 절단되어 부상방지핀 헤드의 드라이브부시측의 외측 가장자리 위치가 핀 축의 외주면의 드라이브부시측에 결합하는 위치와 반드시 일치한다.
상기 구조에 따라서, 부상방지핀의 접착위치가 절단부와 일치하는 거리에 의해 드라이브부시측과 더욱 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상방지핀과 이웃하는 위치에서의 구조적 요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첨가로 부상방지핀 축의 직경을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축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A는 부분적인 확대단면도이고, 도1B는 도1A에서의 화살표B로 가리키는 방향에서 관찰된 도면이다.
도2A는 부상방지핀의 이웃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종래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2B는 평형추가 부상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1A 및 도1B에서 나타난다. 도1A는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관찰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부상방지핀(40)의 헤드(40a)에서, 드라이브부시(21) 측 부분이 절단되어, 헤드(40a)의 드라이브부시에서 외측 가장자리 위치(또는 도면에서의 높이)가 핀 축(40b)의 외주면의 드라이브부시 측의 결합위치와 거의 일치한다.
그 밖의 구조적 형태는 종래 실시예와 관련된 도2A, 2B 및 3에서 나타낸 것과 유사하고, 도2A, 2B 및 3과 동일한 도1A 및 도1B에서의 부분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세하게, 부상방지핀(40) 헤드(40a)의 드라이브부시측의 부분이 절단되어 이 부상방지핀(40)의 접착위치가 절단부와 일치하는 거리에 의해 드라이브부시 측에 더욱 가까워 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7)의 내단대경부(7a) 및 베어링(9) 등의 부상방지핀(40)과 이웃하는 부분에서의 구조적 요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첨가로, 부상방지핀(40) 축(40b)의 직경은 더 커져서, 축의 강도가 증가하거나 축(40b)이 축을 나사로 죔으로서 내단대경부(7a)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평형추(27)가 부상하면, 부상방지핀(40) 헤드(40a)의 반대편, 즉, 헤드(40a)의 뒷면 외주 부분(드라이브부시(21)에 반대쪽)이 평형추(27)의 상층면(27a)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평형추(27)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상방지핀(40) 헤드(40a)의 드라이브부시측의 부분이 절단되어 이 부상방지핀(40)의 접착위치가 절단부와 일치하는 거리에 의해 드라이브부시 측에 더욱 가까워 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7)의 내단대경부(7a) 및 베어링(9) 등의 부상방지핀(40)과 이웃하는 부분에서의 구조적 요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첨가로, 부상방지핀(40) 축(40b)의 직경은 더 커져서, 축의 강도가 증가하거나 축(40b)이 축을 나사로 죔으로서 내단대경부(7a)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평형추(27)가 부상하면, 부상방지핀(40) 헤드(40a)의 반대편, 즉, 헤드(40a)의 뒷면 외주 부분(드라이브부시(21)에 반대쪽)이 평형추(27)의 상층면(27a)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평형추(27)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나선형 랩을 설치하고, 스크롤을 양쪽의 나선형 랩이 서로 맞물려 있고, 이들 스크롤의 위상이 서로 다르도록 편심으로 부착시킨 단판을 포함하는 고정스크롤(10)과 선회스크롤(14);
    나선형 랩이 설치된 표면 반대쪽의 표면인 선회스크롤의 단판 표면 중앙에 구멍을 뚫어 설치한 보스(20);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보스로 삽입된 드라이브부시(21);
    보스와 드라이브부시를 포함하는 선회반경의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선회스크롤로 상호회전하도록 짝지어진 회전축(7);
    드라이브부시에 부착된 평형추(27); 및
    부상방지핀(40), 평형추의 윗면과 접촉하는 핀 헤드의 뒷면 부분,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평형추에 제공된 구멍을 통과하는 핀의 축, 및 회전축의 한쪽 단면으로 드라이브부시측에 존재하는 내단대경부에 고정된 축 단부를 포함하고, 드라이브부시 측에 존재하는 부상방지핀의 헤드 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스크롤 및 선회스크롤의 위상이 실제로 180。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홈이 드라이브부시로 절단되고, 스크롤형 유체기계가 슬라이드홈으로 삽입된 다양한 메커니즘의 선회반경 구성요소로서 편심구동핀(25)을 더욱 포함하고, 핀이 돌출되어, 회전축 내단대경부의 단면에 편심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브부시가 선회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자재한 형태의 보스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부상방지핀의 헤드가 절단되어서, 부상방지핀 헤드의 드라이브부시 외측 가장자리의 위치가 핀 축의 외주면의 드라이브부시측 위치와 실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019980044132A 1997-10-28 1998-10-21 스크롤형유체기계 KR100303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11060 1997-10-28
JP9311060A JPH11132166A (ja) 1997-10-28 1997-10-28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71A true KR19990037271A (ko) 1999-05-25
KR100303626B1 KR100303626B1 (ko) 2002-09-17

Family

ID=1801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132A KR100303626B1 (ko) 1997-10-28 1998-10-21 스크롤형유체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77060A (ko)
EP (1) EP0913580A1 (ko)
JP (1) JPH11132166A (ko)
KR (1) KR100303626B1 (ko)
CN (1) CN1109824C (ko)
AU (1) AU702417B1 (ko)
CA (1) CA2249852C (ko)
TW (1) TW438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4353C (zh) * 2003-06-17 2008-10-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涡旋式压缩机的防止磨损的装置
EP1919613B1 (en) * 2005-08-05 2009-10-07 Basf Catalysts Llc Diesel exhaust article and catalyst compositions therefor
JP5027717B2 (ja) * 2008-04-08 2012-09-19 株式会社モリヤマ 2軸押出機
CN103089619A (zh) * 2012-11-14 2013-05-08 柳州易舟汽车空调有限公司 涡旋压缩机
CN103470501A (zh) * 2013-09-30 2013-12-25 柳州易舟汽车空调有限公司 涡旋压缩机
KR102273608B1 (ko) * 2014-11-24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17168631A1 (ja) * 2016-03-30 2017-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10385874B2 (en) * 2017-05-08 2019-08-20 Solar Turbines Incorporated Pin to reduce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f disk and spacer of turbine engine
CN111102192A (zh) * 2019-12-19 2020-05-05 湖南华强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设有柔性调节防噪音结构的涡旋压缩机、车载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3602C (en) * 1990-08-30 1995-08-01 Hiroaki Kondo Scroll type fluid machinery
JPH0487382U (ko) * 1990-12-06 1992-07-29
JPH0599167A (ja) * 1991-10-11 1993-04-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837019B2 (ja) * 1992-02-27 1998-12-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071316B2 (ja) * 1992-09-10 2000-07-3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スクロール式圧縮機
JP3106735B2 (ja) * 1992-10-28 2000-11-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7317666A (ja) * 1993-07-28 1995-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868998B2 (ja) * 1994-03-14 1999-03-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7317669A (ja) * 1994-05-20 1995-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の旋回半径可変駆動装置
JP3249303B2 (ja) * 1994-08-09 2002-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636398B2 (ja) 1996-05-24 2005-04-06 東洋計器株式会社 リードスイッチを備えた流量計
JP3453254B2 (ja) * 1996-07-05 2003-10-06 三菱化学株式会社 液晶性ポリエステルアミド、その製造法および液晶性ポリエステルアミド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3580A1 (en) 1999-05-06
CA2249852A1 (en) 1999-04-28
KR100303626B1 (ko) 2002-09-17
CN1215804A (zh) 1999-05-05
TW438939B (en) 2001-06-07
CA2249852C (en) 2002-06-25
US6077060A (en) 2000-06-20
CN1109824C (zh) 2003-05-28
JPH11132166A (ja) 1999-05-18
AU702417B1 (en)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338B1 (ko) 스크롤형 압축기
KR950013017B1 (ko) 스크로울형 유체기계
KR910000172B1 (ko) 스크롤형 유체압축기의 궤도 스크롤을 위한 구동장치
KR10037117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반경방향 순응구조
KR19990037271A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KR0153006B1 (ko) 스크롤형 유체 변위장치
JPS62199983A (ja) 公転型圧縮機
JPH0849681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041741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JPH05240174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20020067729A (ko) 스크롤 압축기의 자전 방지 장치
KR100202622B1 (ko) 가변속 스크롤 압축기
JP4949796B2 (ja) 圧縮機用スクロール及び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43733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반경 방향 실링장치
KR100306336B1 (ko)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JPH05302580A (ja) 圧縮機の給油ポンプ装置
JP200122117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050060336A (ko) 스크롤 압축기
KR960010650B1 (ko) 스크롤형 압축기
KR20050062998A (ko) 스크롤압축기의 오일 공급구조
JPH0717761Y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100234775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유입방지구조
JPH1150984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913036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11132167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