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336B1 -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 Google Patents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336B1
KR100306336B1 KR1019980056088A KR19980056088A KR100306336B1 KR 100306336 B1 KR100306336 B1 KR 100306336B1 KR 1019980056088 A KR1019980056088 A KR 1019980056088A KR 19980056088 A KR19980056088 A KR 19980056088A KR 100306336 B1 KR100306336 B1 KR 10030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gas
capacity
teeth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197A (ko
Inventor
츠네오 유자키
미노루 가와다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38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24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383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24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383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246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6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부 우회 시스템을 구비한 용량 조절식 스크롤형 압축기에 의하면, 용량을 조절할 때 가스 흡입구(44) 또는 우회 가스의 주 흐름 근처의 팁 틈새 가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 흡입구에 인접한 팁 틈새에 대해서, 가스 흡입구에 가까운 스크롤(10, 14)의 일부분의 치의 길이는 스크롤의 다른 부분의 치의 길이보다 짧다. 우회 가스의 주 흐름에 인접한 팁 틈새에 대해서, (i) 우회 가스의 주 흐름에 가까운 스크롤의 일부분의 치의 길이는 다른 부분의 치의 길이보다 짧거나, 또는 (ii) 가스 흡입구는 우회 가스의 주 흐름에 인접한 영역의 온도 증가를 억제시키기 위해 우회 가스의 주 흐름 근처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CAPACITY-CONTROLLED SCROLL-TYPE COMPRESSOR HAVING INTERNALLY-BYPASSING SYSTEM}
본 발명은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internally-bypassing system)을 구비한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capacity-controlled scroll-type compressor)에 관한 것이다.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종래의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의 용량 제어시에, 고온의 바이패스 가스가 통과하는 영역과 저온 흡입 가스가 통과하는 영역 사이에서 온도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가스 흡입구 근처의 각 치(teeth)의 헤드상에 제공된 팁의 틈새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스커핑(scuffing)이 발생된다.
한편, 압축기의 용량 제어시에, 고온의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main stream)에 가까운 스크롤의 일부분의 온도는 다른 부분의 온도보다 높다. 따라서, 고온부의 치가 확장됨으로써, 치의 팁에서 틈새가 감소되고, 이 경우에도 스커핑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팁 틈새의 감소로 인한 스커핑과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하며, 하우징과, 스크롤과, 가스 흡입구를 포함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되, 가스 흡입구는 하우징 내측의 저압측에 위치되고, 가스 흡입구에 가까운 스크롤의 일부분의 치의 길이는 스크롤의 다른 부분의 치의 길이보다 짧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용량을 제어할 때, 가스 흡입구 근처의 팁 틈새가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기에서 대상 나선형 랩(lap)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스커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하며 스크롤을 포함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되,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가까운 스크롤의 일부분의 치의 길이는 다른 부분의 치의 길이보다 짧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용량을 제어할 때,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의 팁 틈새가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기에서 대상 나선 랩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스커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치를 줄이기 위한 대상부는 상기 스크롤의 경화 처리된 스크롤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되, 상기 압축기는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인접한 영역의 온도 증가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에 위치된 가스 흡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체에 있어서, 용량을 제어할 때,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의 팁 틈새가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기에서 대상 나선형 랩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의 내면 사이의 스커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는 종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는 종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컵형상 본체
10 : 고정 스크롤 11, 15 : 단부 플레이트
14 : 회전 스크롤 44 : 가스 흡입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은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번호(1)은 하우징을 나타내며, 상기 하우징은 컵형상 본체(2)와, 볼트(도시 않됨)를 사용하여 본체(2)에 고정된 전방 하우징(6)을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7)는 베어링(8, 9)을 거쳐 전방 하우징(6)에 회전 자재식으로 지지된다.
고정 스크롤(10), 회전 스크롤(14) 및 용량 제어 블록(50)이 하우징(1)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고정 스크롤(10)은 단부 플레이트(11) 및 상기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부면(11a)상에 배치된 나선형 랩(spiral lap)(12)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면은 단부 플레이트(11)에 면한다.
회전 스크롤(14)의 단부 플레이트(15)의 외부면[내부면(15a)에 대향됨]의 중앙 구역에 제공된 돌출된 디스크형 보스(20)의 내측에는, 드라이브 부쉬(drive bush)(21)가 회전 베어링(23)을 거쳐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드라이브 부쉬(21)에 슬라이드 홀(24)이 제공되며, 편심 구동 핀(25)이 상기 슬라이드홀(24)내로 자유로운 활주 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돌출된 구동 핀(25)은 회전 샤프트(7)의 큰 직경부(7a)의 단부면상에 편심상태로 제공되는바, 상기 큰 직경부(7a)는 회전 샤프트(7)의 본체(2)의 단부상에 제공된다.
회전 스크롤(14) 및 고정 스크롤(10)의 축은 서로 소정 거리 만큼 분리되어 있다. 즉, 그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스크롤의 위상은 180°만큼 상이하고,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랩(12)의 각 헤드면에 제공되고 매립된 팁 시일(tip seal)(17)은 단부 플레이트(15)의 면(15a)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한편, 나선형 랩(16)의 각 헤드면에 제공되고 매립된 팁 시일(18)은 단부 플레이트(11)의 면(11a)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나선형 랩(12, 16)의 측면은 다수의 위치에서 선 접촉(linear contact)을 이루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는 나선형 랩의 중심에 대한 점대칭의 위치에서 다수의 압축실(19a, 19b)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플레이트(11)의 중앙부가 천공되어 배출 포트(29)를 제공하며, 압축하는 동안 압축실(19a, 19b)에 연통하는 한쌍의 바이패스 포트(33a, 33b)가 제공된다.
또한, 용량 제어 블록(50)이 단부 플레이트(11)의 외부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열됨으로써, 오목한 구역(87, 88)을 한정한다. 용량 제어 블록(50) 및 컵형상 본체(2)를 관통하는 스크류 볼트(13)의 헤드가 고정 스크롤(10)의 단부 플레이트(11)내로 삽입됨으로써, 고정 스크롤(10)과 용량 제어 단부 블록(50)을 컵형상 본체(2)에 고정시킨다.
용량 제어 블록(5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51)의 외주면이 컵형상 본체(2)의 내면과 긴밀하게 접촉함으로써, 하우징(1)의 내부가 다수의실로 분할한다. 다시말하면, 배출 공동(31)이 플랜지(51)의 외측에 한정되는 한편, 저압실(28)이 플랜지(51)의 내측에 한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제어 블록(50)의 중앙 구역에 배출 포트(29)와 연통하는 배출 구멍(53)이 제공되며, 이 배출 구멍(53)의 개방/폐쇄 동작은 볼트(36)를 거쳐 용량 제어 블록(50)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배출 밸브(30)에 의해 수행된다.
배출 구멍(53)의 일측면에는 일단부 막힘 개구(blind opening)와 같은 실린더(54)가 제공되며, 일단부 막힘 개구부(55)가 상기 실린더(54)와 평행하게 타측면에 제공된다.
컵형상 피스톤(56)을 실린더(54)내로 밀접하면서도 자유로운 활주 상태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 압력실(80)이 피스톤(56)의 내측 단부의 측면에 한정됨과 아울러, 압력 제어실(81)이 타측면에 한정된다. 제어 압력실(81)은 흡입실(28)과 연통한다.
실린더(54)에는, 배출 구멍(53)과 연통하는 연통 구멍(92) 및 오목한 구역(88)과 연통하는 연통 구멍(89)이 제공된다.
피스톤(56)은 그것과 스프링 베어링(82) 사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83)에 의해서 제어 압력실(80)을 향하여 추진된다.
피스톤(56)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원형 홈(93)은 어떠한 작동 상태에서도 다수의 구멍(94)을 거쳐 제어 압력실(81)과 연통한다.
한편, 개구(55)내에는 제어 밸브(58)가 삽입된다. 이 제어 밸브(58)는 배출 공동(31) 내측의 고압과 저압실(28) 내측의 저압을 감지하며,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어 압력을 발생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크롤(14)의 단부 플레이트의 외부면의 외주부와 전방 하우징(6)의 내측 단부면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36) 및 올드햄 링크(Oldham link)(26)가 삽입된다.
회전 스크롤(1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한 동력학적 불균형 상황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드라이브 부쉬(21)에 균형추(27)가 부착되고, 회전 샤프트(7)에 균형추(37)가 부착된다.
또한, 배관 부품(40)이 볼트(41)를 거쳐 컵형상 본체(2)의 상부에 고정되고, 가스 흡입 경로(42) 및 가스 배출 경로(43)가 배관 피팅(40)과 컵형상 본체(2)의 상부의 외주면 사이에 한정된다.
이러한 가스 흡입 경로(42)는 가스 흡입구(44)를 거쳐 저압실(28)과 연통하며, 가스 배출 경로(43)는 구멍(45)을 거쳐 배출 공동(31)과 연통한다.
따라서, 압축기의 완전 부하 운전(full-loading operation)시에 회전 샤프트(7)가 회전하면, 회전 스크롤(14)은 편심 드라이브 핀(25), 슬라이드 구멍(24), 드라이브 부쉬(21), 회전 베어링(23) 및 보스(20)를 거쳐 구동된다. 회전 스크롤(14)은 그것의 회전이 올드햄 링크(26)에 의해 억제되면서, 원형 궤도를따라 회전한다.
이런 방식으로, 나선형 랩(12, 16)의 측면의 선 접촉부가 "나선형상체(swirl)"의 중심을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압축실(19a, 19b) 또한 나선형상체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면서 각 압축실의 체적이 점차 감소된다.
따라서, 가스 흡입 경로(42) 및 가스 흡입구(44)를 통해 저압실(28)내로 흐르는 가스는 나선형 랩(12, 16)의 외주 연부에 의해 한정된 개구로부터 압축실(19a, 19b)에 유입된다. 가스는 점진적으로 압축되어 중앙의 실(22)에 도달한다. 가스가 중앙의 실로부터 배출 포트(29) 및 배출 구멍(53)을 통과하며, 또 배출 밸브(30)를 가압하여 개방시킴으로써, 가스가 배출 공동(31)내로 배출된다. 그 후, 가스는 배출 구멍(45) 및 가스 배출 경로(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압축기의 비부하 운전(non-loading operation)시에는, 제어 밸브(58)를 통해 저압의 제어 압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어 압력이 제어 압력실(80)내로 도입되면, 피스톤(56)은 코일 스프링(83)의 복원력을 받아 가압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압축실(19a, 19b)내에서 압축하는 동안, 가스는 바이패스 포트(33a, 33b), 오목한 구역(87, 88) 및 연통 구멍(89)을 통해 제어 압력실(81)내로 도입된다(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설명). 한편, 압축 후에 가스는 중앙의 실(22)로부터 배출 포트(29), 배출 구멍(53), 연통 구멍(92), 홈(93) 및 구멍(94)을 통해 제어 압력실(81)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양자의 가스의 흐름은 제어 압력실(81)에서 합류하며, 합류된 가스는 고정 스크롤(10)의 단부 플레이트(11)의 외주면의 일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홈(84)을 통해 저압실(28)내로 흐른다.
압축기의 완전 부하 운전시에, 제어 밸브(58)를 사용하여 고압의 제어 압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어 압력이 제어실(80)내로 도입되면, 피스톤(56)은 코일 스프링(83)의 충격 탄성력(impact-resilient force)에 대항하여 후퇴하고, 피스톤의 외측 단부는 스프링 베어링(82)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연통 구멍(89, 92) 양자는 피스톤(56)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용량 제어(또는 감소) 운전 모드에서는, 제어 밸브(58)를 사용하여 소망의 감소비에 대응하는 제어 압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어 압력이 제어실(80)을 거쳐 피스톤(56)의 내측 단부면상에 작용하면, 피스톤(56)은 제어 압력으로 인한 압축력과 코일 스프링(83)에 의한 충격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낮은 제어 압력의 상태에서는, 연통 구멍(89) 만이 개방되고, 압축실(19a, 19b)에서 압축하는 동안 가스의 일부는 연통 구멍(89)의 개방 정도에 따라 저압실(28)내로 방출된다.
또한, 연통 구멍(92)은 제어 압력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개방된다. 그에 따라, 구멍(92)의 개방 정도는 증가되고, 구멍(92)이 완전히 개방될 때 압축기의 용량은 영(0)으로 된다.
압축기의 비 부하 운전시에, 즉 용량이 제어될 때, 고온 바이패스 가스가 피스톤(56)의 제어 압력실(81)을 통해 저압실(28)내로 유입된다[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설명]. 따라서,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인접한 구역의 온도, 즉 컵형상 본체(2)의 하부의 온도가 증가되는 반면, 저온 흡입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흡입구(44)에 인접한 구역의 온도, 즉 컵형상 본체(2)의 상부의 온도는 저온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컵형상 본체(2)에서 온도차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열팽창의 차이가 발생된다.
여기서, 고정 스크롤(10)은 컵형상 본체(2)에 고정된다. 따라서, 열팽창의 차이가 발생되면, 가스 흡입구(44) 부근의 나선형 랩(12)의 일부분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5)의 내부면(15a) 사이의 틈새와, 또한 가스 흡입구(44) 부근의 나선형 랩(16)의 일부분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부면(11a) 사이의 틈새, 즉 그러한 부분들의 "팁 틈새"는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 흡입구(44) 부근에 위치한 고정 스크롤(10)의 나선형 랩(12)의 그러한 부분의 (치의) 길이 및/또는 회전 스크롤(14)의 나선형 랩(16)의 그러한 부분의 (치의) 길이는 다른 부분의 길이보다 약 20㎛ 더 짧다. 이러한 설정은 약 90°의 위상 각도 범위내에서 적절히 수행된다.
따라서, 용량을 제어할 때, 가스 흡입구(44) 부근의 팁 틈새가 다른 부분의 팁 틈새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나선형 랩(12)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5)의 내부면(15a) 사이의 스커핑과, 또한 나선형 랩(16)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부면(11a) 사이의 스커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제어되고 고온 바이패스 가스가 피스톤(56)의 제어 압력실(81)을 통해 저압실(28)내로 흐를 때, 바이패스 가스의 흐름 근처에 있는 나선형 랩 부분의 온도는 증가되고 그 부분은 열팽창된다. 따라서, 가스 흡입구(44) 부근의 나선형 랩(12)의 일부분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5)의 내부면(15a) 사이의 틈새와, 또한 가스 흡입구(44) 부근의 나선형 랩(16)의 일부분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부면(11a) 사이의 틈새, 즉 그러한 부분들의 "팁 틈새"는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 부분에 대해서,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에 위치한 고정 스크롤(10)의 나선형 랩(12)의 그러한 부분의 (치의) 길이 및/또는 회전 스크롤(14)의 나선형 랩(16)의 그러한 부분의 (치의) 길이는 다른 부분의 길이보다 약 20㎛ 더 짧다. 이러한 설정은 약 90°의 위상각 내에서 적절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용량을 제어할 때,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의 팁 틈새가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나선형 랩(12)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5)의 내면(15a) 사이와, 또한 나선형 랩(16)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부면(11a) 사이에 스커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가지 경우에 대해서 필요한 치수 오차를 실현하기 위해서, 고정 스크롤(10) 및 회전 스크롤(14)중 하나의 단부 플레이트의 내부면과 관련 나선형 랩의 외부면이 표면 경화 처리된다면, 표면 경화된 나선형 랩의 치가 짧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조는 가스 흡입구(44) 및 그것과 결합되거나 연결된 관련 요소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관 피팅(40)은 볼트(41)를 거쳐 컵형상 본체(2)의 하부에 고정되며, 배관 피팅(40)과 컵형상 본체(2)의 하측의 외주면 사이에 가스 흡입 경로(42) 및 가스 배출 경로(43)가 한정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비부하 운전시에, 저압의 제어 압력이 제어 밸브(58)를 통해 발생된다. 이러한 제어 압력이 제어 압력실(80)내로 도입되면, 피스톤(56)은 코일 스프링(83)의 복원력을 받아 가압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기의 완전 부하 작동 및 비부하 작동은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하다.
여기서, 용량을 제어할 때, 고온 바이패스 가스가 피스톤(56)의 제어 압력실(81)을 통해 저압실(28)내로 흐른다. 따라서,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및 가스 흡입구(44)가 하우징내에서 서로 멀리 이격되는 경우,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인접한 고정 스크롤(10) 및 회전 스크롤(14)의 부분의 온도가 증가되고 그 부분들이 열팽창되며, 그에 따라 나선형 랩(12)의 관련부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5)의 내부면(15a)사이의 틈새와 또한 나선형 랩(16)의 관련부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부면(11a) 사이의 틈새, 즉 팁 틈새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 흡입구(44)는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에 제공되므로, 가스 흡입구(44)로부터 흡입되는 저온 흡입 가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인접한 구역의 온도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량을 제어할 때,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의 팁 틈새가 다른 영역의 팁 틈새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나선형 랩(12)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15)의 내부면(15a)사이와 또한 나선형 랩(16)과 단부 플레이트(11)의 내면(11a) 사이의 스커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에 의하면, 용량을 제어할 때, 흡입 측면 입구 근처의 팁 틈새가 다른 부분의 틈새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기에서 대상 나선형 랩의 헤드와 단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스커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하며, 하우징(1), 스크롤(10, 14), 가스 흡입구(44)를 포함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 내측의 저압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스 흡입구에 가까운 상기 스크롤의 일부분의 치의 길이는 상기 스크롤의 다른 부분의 치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
  2.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하며, 스크롤(10, 14)을 포함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가까운 스크롤의 일부분의 치의 길이는 다른 부분의 치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를 짧게 하기 위한 대상부는 상기 스크롤의 경화 처리된 스크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를 짧게 하기 위한 대상부는 상기 스크롤의 경화 처리된 스크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
  5. 내부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에 인접한 영역의 온도 증가를 억제시키기 위해 바이패스 가스의 주류 근처에 위치된 가스 흡입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제어식 스크롤형 압축기.
KR1019980056088A 1997-12-18 1998-12-18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KR100306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383297A JPH11182465A (ja) 1997-12-18 1997-12-18 スクロール圧縮機
JP97-363833 1997-12-18
JP36383497A JPH11182468A (ja) 1997-12-18 1997-12-18 スクロール圧縮機
JP97-363832 1997-12-18
JP36383397A JPH11182464A (ja) 1997-12-18 1997-12-18 スクロール圧縮機
JP97-363834 199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197A KR19990063197A (ko) 1999-07-26
KR100306336B1 true KR100306336B1 (ko) 2002-01-17

Family

ID=2734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088A KR100306336B1 (ko) 1997-12-18 1998-12-18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34763B2 (ko)
EP (1) EP0924429B1 (ko)
KR (1) KR100306336B1 (ko)
CN (1) CN1085306C (ko)
AU (1) AU705577B1 (ko)
CA (1) CA2256152A1 (ko)
DE (1) DE698171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3448B2 (en) * 2002-12-30 2005-07-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oad-regulating device for scroll type compressors
CN102032180B (zh) * 2011-01-05 2012-11-07 天津商业大学 带径向能量调节的涡旋式制冷压缩机
CN102678564A (zh) * 2011-03-09 2012-09-19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轴向双浮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320B2 (ja) * 1981-10-12 1985-08-26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ル型圧縮機
US4472120A (en) * 1982-07-15 1984-09-18 Arthur D. Little, Inc.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JPS59176483A (ja) * 1983-03-26 1984-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流体機械
KR910001552B1 (ko) * 1985-05-16 1991-03-15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스크롤 유체기계
JPH0219677A (ja) * 1988-07-08 1990-01-23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圧縮装置
JP2928657B2 (ja) * 1991-04-26 1999-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JP2831193B2 (ja) * 1992-02-06 1998-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US5248244A (en) 1992-12-21 1993-09-28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a thermally responsive bypass valve
JP3046486B2 (ja) * 1993-12-28 2000-05-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US5421707A (en) * 1994-03-07 1995-06-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croll type machine with improved wrap radially outer tip
US5466134A (en) 1994-04-05 1995-11-14 Puritan Bennett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having idler cranks and strengthening and heat dissipating ribs
JP3376692B2 (ja) * 1994-05-30 2003-02-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028054B2 (ja) * 1996-02-14 2000-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気体圧縮機
JP3550872B2 (ja) * 1996-05-07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容量制御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310688A (ja) * 1996-05-21 1997-12-02 Sanden Corp 可変容量型スクロール圧縮機
US5857844A (en) * 1996-12-09 1999-01-12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reduced height orbiting scroll wrap
US5951270A (en) * 1997-06-03 1999-09-14 Tecumseh Products Company Non-contiguous thrust bearing interface for a scroll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7130D1 (de) 2003-09-18
CN1085306C (zh) 2002-05-22
US20010028852A1 (en) 2001-10-11
EP0924429A1 (en) 1999-06-23
CA2256152A1 (en) 1999-06-18
DE69817130T2 (de) 2004-06-09
US6334763B2 (en) 2002-01-01
CN1220346A (zh) 1999-06-23
KR19990063197A (ko) 1999-07-26
AU705577B1 (en) 1999-05-27
EP0924429B1 (en) 200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137B1 (ko) 용량 조절 어셈블리를 가진 압축기
EP0809032B1 (en) Scroll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100274612B1 (ko) 스크롤기체압축기
EP0555945B1 (en) A capacity control mechanism for scroll-type compressor
JPH0423458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用軸方向コンプライアンス装置
JPH0756274B2 (ja) スクロール式圧縮機
JPH08270578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10034368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중간압 배압구조
KR20020002874A (ko) 스크롤 압축기의 반경방향 순응구조
KR100306069B1 (ko) 무마모실린더를구비한용량-제어기구를갖는압축기
KR100306336B1 (ko)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KR19990037271A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JP4051596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H0584394B2 (ko)
JPH10205463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20020067729A (ko) 스크롤 압축기의 자전 방지 장치
JPH0117669Y2 (ko)
CA2255359C (en) Scroll-type compresso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H11148472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712062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1118246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32782A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H1118246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0009065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1118246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