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112A -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112A
KR20000043112A KR1019980059435A KR19980059435A KR20000043112A KR 20000043112 A KR20000043112 A KR 20000043112A KR 1019980059435 A KR1019980059435 A KR 1019980059435A KR 19980059435 A KR19980059435 A KR 19980059435A KR 20000043112 A KR20000043112 A KR 2000004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lock device
vehic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필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5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3112A/ko
Publication of KR2000004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11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저부에 제 2 의 도어 록킹 구조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바디 프레임에 홈 구조를 형성하여, 일정이상의 속도에서 자동으로 도어록 되는 제 1 도어록 장치에 연계하여 동시에 도어 저부에서 제 2의 도어록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록 스위치를 작동시 제 1 도어록이 진행되어 어린이 승객이 실수로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막도록 하면서 동시에 제 2 도어록을 진행시켜 차량 측면 충돌시 외부 충격에 대하여 프레임의 버팀 강도를 높여 승객을 보호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감쇄용 도어 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본 발명은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저부에 제 2 의 도어 록킹 구조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바디 프레임에 홈 구조를 형성하여, 일정이상의 속도에서 자동으로 도어록 되는 제 1 도어록 장치에 연계하여 동시에 도어 저부에서 제 2의 도어록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록 스위치를 작동시 제 1 도어록이 진행되어 어린이 승객이 실수로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막도록 하면서 동시에 제 2 도어록을 진행시켜 차량 측면 충돌시 외부 충격에 대하여 프레임의 버팀 강도를 높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가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도어록 장치가 각각 상하, 또는 좌우로 작용되어 차량 운행도중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토록 작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도어록 장치는 수동으로 탑승자가 가압하여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도록 버튼이 돌출되어 있고, 한편, 운전석에서 자동으로 록 시킬 수 있도록 전자적인 제어스위치와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어 트림(1)내에 개,폐를 단속하도록 된 도어록 장치(2)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록 장치는 외력을 전달하도록 된 록 로드(3)의 일단 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동하는 록 크랭크(4)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록 크랭크(4)에 외력을 전달받는 프레스 로드(5)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도어 트림(1)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6)에 돌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는 프레스 로드(5) 상단부에 위치하는 록 버튼(7)을 푸싱시켜 도어를 록 시킬 수 있고, 상기 록 버튼(7)을 상승시키면 도어록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록 버튼(7)을 푸싱시 프레스 로드(5) 하단부에 위치한 록 크랭크(5)가 회전동작을 실시하고, 이때 록 로드(3)가 밀리면서 도어록 장치(2)를 작동시켜 도어록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해제시에는 록 로드(3)가 당겨지면서 도어록 장치(2)를 작동시켜 도어록을 해제하는 작동을 실시한다. 또한 연결 콘넥터(8)에는 도어록 전자제어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도어의 록 및 언록을 전자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도어록 장치의 회로적인 매커니즘을 살펴보면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원공급수단(10)으로부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 프론트 우측 도어 솔레노이드(도어록 장치, 12a)를 스위칭하는 전방우측 도어 스위치(11a)와, 좌측 도어 솔레노이드(12b)를 스위칭하는 전방좌측 도어 스위치(11b)와, 리어 우측도어 솔레노이드(12c)를 스위칭하는 후방우측 도어 스위치(11c)와, 리어 좌측 도어 솔레노이드(12d)를 스위칭하는 리어좌측 도어 스위치(11d)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전자제어 시스템을 갖는 차량은 운전자가 도어록 스위치(11)를 작동시키면 각각의 솔레노이드(12)가 작동됨으로써 도어를 록 또는 언록 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록 장치는 실제로 차량 측면 충돌시 충분한 보호 역할을 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즉, 현재의 차량은 상기와 같이 도어록 장치만을 탑재하기 때문에 결국, 도어를 보강하는 측면에서 일개의 래치만으로 충돌의 강도를 버텨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측면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통해 실내로 침입사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도어의 하단부 내지는 기타 부위중 도어와 바디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제 2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여, 사이드에 부착되는 도어록 장치가 작동할 때, 상기 제 2 도어록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2개의 지지점을 확보하여 보다 차량 충돌에 대해서 보다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도어와 맞닿는 부위의 보디 프레임에 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솔레노이드 결합홈을 상기 프레임에 맞닿는 도어에 형성하여 제 2 도어록 장치를 제작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록 장치는 제 1 도어록 장치의 작동과 연계되어, 제 1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면 동시에 작동되고, 제 1 도어록 장치가 해제되면 동시에 해제되는 동작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도어록 제어장치의 회로적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A부분 확대도.
도 3c는 도 3a의 B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록 제어장치의 회로적인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도어트림 2: 도어 록
3: 록 로드 4: 록 크랭크
5: 프레스 로드 6: 홀
7: 록 버튼 20: 도어 프레임
21: 솔레노이드 22: 슬라이드 몸체
23: 사이드 아웃 패널 24 PVC 커버
25: 푸시로드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b, 도 3c는 도 3의 A부분과,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 하부의 보디 프레임(20)에 솔레노이드(21)가 설치되고, 상기 보디 프레임(20)에 맞물리는 도어(30)에 상기 솔레노이드(21)의 푸시로드(25)가 삽입되는 홈을 구성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록 제어는 제 1 도어록 제어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21)가 위치하는 바디 프레임(20)측에는 슬라이드 몸체(22)에 삽입된 구조이며, 그 외부는 사이드 아웃 패널(22)과 PVC 커버(23)로 둘러쌓여 있으며, 솔레노이드 삽입홈이 위치하는 도어(30)측에는 PVC 커버(31)와 도어 인너패널(32) 그리고 보강재(33)가 위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21) 역시 각 도어마다 1개씩 모두 4개(21a, 21b, 21c, 21d)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먼저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현재 차량에 거의 모두 제 1 도어록 장치(11, 12)가 탑재되는바, 상기 제 1 도어록 장치(11, 12)는 어린이 탑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실수로 해제시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현재의 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도 있고, 아니면 일정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도어록이 진행되도록 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운전자가 도어록을 하지 않아도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일정속이 이상이면 자동으로 도어록이 진행되도록 하는 장치로 나가는게 일반적인 추세이며, 이는 운전자가 도어록을 잊어버려도 자동으로 도어록을 진행시켜 승객들을 보호하려고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차량 안전성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작동에 연계한 것으로, 운전자가 제 1 도어록 장치(11, 12)를 작동시키던지, 아니면 일정속도이상에서 자동으로 제 1 도어록 장치(11, 12)의 작동이 진행될 때, 동시에 본 발명의 제 2 도어록 장치(21,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도어록 장치(21)는 측면 충돌을 대비하여 도어(30)의 충돌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통 승객이 탑승하고 나면 자동으로 도어록이 진행되는바, 이때 본 발명의 제 2 도어록 장치(21)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여, 도어록이 이중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도어록 장치(11, 12)가 해제되면 본 발명의 제 2 도어록 장치(21)가 해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기 위해 제 1 도어록을 해제할 때 제 2 도어록이 동시에 해제되기 때문에 승하차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즉, 제 1 도어록 장치의 도어록 스위치(11)를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12)가 작동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21)가 작동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 2 도어록 장치(21)는 측면 충돌에 대하여 좀더 강하게 도어를 보강하여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 록 스위치(11)를 작동시키면 제 1 도어록 솔레노이드(12)에 각각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어 도어 록 작동이 일어나게 되고, 동시에 제 2 도어록 솔레노이드(22)에 각각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어 도어 측면 보강을 위한 도어록 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도어록 스위치 작동시 2중으로 도어를 잡아주기 때문에 어린이 탑승객의 실수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저부에 제 2 의 도어 록킹 구조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바디 프레임에 홈 구조를 형성하여, 일정이상의 속도에서 자동으로 도어록 되는 제 1 도어록 장치에 연계하여 동시에 도어 저부에서 제 2의 도어록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록 스위치를 작동시 제 1 도어록이 진행되어 어린이 승객이 실수로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막도록 하면서 동시에 제 2 도어록을 진행시켜 차량 측면 충돌시 외부 충격에 대하여 프레임의 버팀 강도를 높여 승객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 1 도어록 장치를 스위칭하여 도어가 록 되도록 하는 도어록 스위치(11)와,
    상기 도어록 스위치(11) 작동시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와 바디를 체결하는 제 1 도어록 장치(12)와,
    상기 도어록 스위치(11) 작동으로 인하여 제 1 도어록 장치(12)가 작동시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와 바디의 다른 부위를 체결하는 제 2 도어록 장치(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록 장치는 바디 프레임(20)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드 몸체(22)에 삽입된 구조이고, 그 외부는 사이드 아웃 패널(22)과 PVC 커버(23)로 커버링되며, 푸시로드(25) 삽입홈이 위치하는 도어(30)측에는 PVC 커버(31)와 도어 인너패널(32) 그리고 보강재(33)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KR1019980059435A 1998-12-28 1998-12-28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KR20000043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435A KR20000043112A (ko) 1998-12-28 1998-12-28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435A KR20000043112A (ko) 1998-12-28 1998-12-28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112A true KR20000043112A (ko) 2000-07-15

Family

ID=1956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435A KR20000043112A (ko) 1998-12-28 1998-12-28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31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859B1 (ko) * 2000-12-29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충돌완화용 도어잠금장치
US10375999B2 (en) 2016-02-29 2019-08-13 Talon Technologies, Inc. Expandable and flexible shirt collar stand and shirt with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859B1 (ko) * 2000-12-29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충돌완화용 도어잠금장치
US10375999B2 (en) 2016-02-29 2019-08-13 Talon Technologies, Inc. Expandable and flexible shirt collar stand and shirt with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4397A (en) Automobile door locking systems
EP0902143B1 (en) Locking mechanism of door loc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6913303B2 (en) Moun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000043112A (ko) 차량 측면 충돌 충격 감쇄용 도어 록장치
KR20080038892A (ko) 차량의 후드 래치 조립체
KR200151528Y1 (ko) 운전석에서의 도어록 장치
JP4067252B2 (ja) 車両用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10087451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100384947B1 (ko)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잠금노브레버 절환장치
KR100204964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도어 핸들
EP1087081A1 (en) A child lock for a motor vehicle
KR200245209Y1 (ko) 자동차용내측도어핸들안전노브구조
KR19980024525U (ko) 차량 충돌 감지 수단을 갖는 도어 락 풀림 장치
KR100348072B1 (ko) 자동차의 도어용 잠금해제장치
KR100372417B1 (ko) 잠금 해제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KR0165784B1 (ko) 자동차 도어 해제장치
KR0183257B1 (ko) 안전기능을 구비한 리어도어 록킹 시스템
KR19980042627U (ko)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JPH10211865A (ja) 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用ガーニッシュ
KR19980062568A (ko) 비상용 도어 록 해제 장치
KR19980036890U (ko) 자동차 도어 록 버튼의 충돌 감응형 언록장치
KR19980030604A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록장치
KR19980048092U (ko) 자동차 도어 잠금 확인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