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627U -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627U
KR19980042627U KR2019960055732U KR19960055732U KR19980042627U KR 19980042627 U KR19980042627 U KR 19980042627U KR 2019960055732 U KR2019960055732 U KR 2019960055732U KR 19960055732 U KR19960055732 U KR 19960055732U KR 19980042627 U KR19980042627 U KR 199800426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unk lid
locking device
locker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련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5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627U/ko
Publication of KR19980042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627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6Emergency opening means for persons trapp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종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는 차량의 실내에서 오픈레버를 조작하거나, 차량의 외부에서 키실린더에 키를 조작하여 개방시키는 구조이므로, 즉 트렁크룸의 내부에서는 열 수 없는 구조이므로 차량을 악용하여 유괴 등의 범죄에 사용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트렁크룸의 내부에서도 트렁크리드를 열 수 있게하여 차량의 악용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본 고안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물림으로써 잠금되고 회동됨으로써 개방되도록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록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트렁크룸 내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록커(20)의 일측에는 개방수단(60)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룸 내부에서도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동차의 중요 부분을 이루게 되는 섀시와, 상기 섀시 위에 설치되어 운전석이나 객실 등을 구성하는 바디로 구성되고, 바디와 프레임을 분리한 프레임식 바디와, 바디와 프레임이 일체로 된 일체구조식 바디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현재 승용차의 대부분이 일체구조식 바디를 사용한다.
상기한 섀시는 엔진과, 상기한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와, 주행중 노면의 충격이 자동차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이 주체이며 이것에 도어, 휀더 등의 외장부분이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는 시트 등의 내장부분이 장착되며 운전자 및 승차원에 필요한 안전성, 공간, 쾌적함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편, 자동차의 리어바디에는 트렁크 리드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트렁크 리드는 운전석에서 레버나 노브로 로크를 해제하고 열거나, 외부에서 키조작으로 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장치는 트렁크 리드를 닫을 때에 차체(B)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에 록커(20)의 스토퍼부(22)가 부딪쳐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록커(20)의 오목홈(24)과 스트라이커(10)가 맞물려 잠금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긴 상태의 록킹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설치된 키실린더(미도시)에 키를 조작하여 브라킷(3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라킷(30)에 스프링(40)으로 연결된 록커(20)를 회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킷(30)은 차실내에 설치된 레버 또는 로드(미도시)에 케이블(5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 또는 로드의 조작으로 케이블(50)을 당기면 상기 브라킷(30)이 회동되고, 상기 브라킷(30)과 스프링(40)으로 연결된 록커(20)가 회동됨으로써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록킹장치는 차실내에 설치된 오픈레버를 조작하거나 외부에서 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열 수 없게된 구조이므로, 즉 트렁크룸의 내부에서는 열 수 없는 구조이므로 유괴사건 등의 차량을 이용한 악용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렁크룸의 내부에서도 트렁크리드를 열 수 있도록하여 차량을 이용한 악용사고를 방지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라이커20 : 록커
30 : 브라킷40 : 스프링
50 : 케이블60 : 개방수단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물림으로써 잠금되고 회동됨으로써 개방되도록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록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트렁크룸 내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록커의 일측에는 개방수단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수단은 록커에 고정된 회동브라킷과, 상기 회동브라킷을 조작가능하도록 케이블로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를 닫을 때에 차체(B)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에 록커(20)의 스토퍼부(22)가 부딪쳐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록커(20)의 오목홈(24)과 스트라이커(10)가 맞물려 잠금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긴 상태의 록킹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설치된 키실린더(미도시)에 키를 조작하여 브라킷(3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라킷(30)에 스프링(40)으로 연결된 록커(20)를 회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킷(30)은 차실내에 설치된 레버 또는 로드(미도시)에 케이블(5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 또는 로드의 조작으로 케이블(50)을 당기면 상기 브라킷(30)이 회동되고, 상기 브라킷(30)과 스프링(40)으로 연결된 록커(20)가 회동됨으로써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커(20)의 일측에는 회동레버(6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레버(62)에는 케이블(64)이 연결되어 트렁크룸 내부에서 조작가능하도록 레버(66)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블(64)은 차실내에 설치된 오픈레버 또는 키의 조작으로 열리고 닫히는 것에 방해되지 않도록 가이드부재(68)에 관통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로 느슨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는 차량의 실내에서, 외부에서의 키조작으로, 그리고 트렁크룸 내부에서 각각 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에 의하면 트렁크룸 내부에서도 트렁크리드를 열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량을 이용한 악용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된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물림으로써 잠금되고 회동됨으로써 개방되도록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록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트렁크룸 내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록커(20)의 일측에는 개방수단(60)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60)은
    록커(20)에 고정된 회동브라킷(62)과;
    상기 회동브라킷(62)을 조작가능하도록 케이블(64)로 연결된 레버(66)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KR2019960055732U 1996-12-24 1996-12-24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KR199800426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732U KR19980042627U (ko) 1996-12-24 1996-12-24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732U KR19980042627U (ko) 1996-12-24 1996-12-24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627U true KR19980042627U (ko) 1998-09-25

Family

ID=5399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732U KR19980042627U (ko) 1996-12-24 1996-12-24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6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955A (ko) 2022-01-12 2023-07-19 김강수 트렁크 도어의 완전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955A (ko) 2022-01-12 2023-07-19 김강수 트렁크 도어의 완전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68228B2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
US20020063440A1 (en) Vehicle including a door
KR19980042627U (ko)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US4535613A (en) T-top lock-handle
KR100418022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KR100394715B1 (ko) 자동차용 도어언록 시스템
KR10042488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20010087451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100226668B1 (ko) 자동차의 유속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JP3102188B2 (ja) ノブの収容構造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KR0140239Y1 (ko) 자동차용 본네트의 잠금장치
KR200144497Y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잠금 장치
KR19980047078U (ko) 자동차의 보닛용 힌지
KR200149231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해제장치
KR0128623Y1 (ko) 차량의 후드 잠금장치
JPS6198884A (ja) 電気錠および電気錠制御システム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KR200147471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0125721Y1 (ko) 자동차의 본넷 힌지구조
KR10087863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세이프티노브 장치
KR100376445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9980047883U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