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883U -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883U
KR19980047883U KR2019960061041U KR19960061041U KR19980047883U KR 19980047883 U KR19980047883 U KR 19980047883U KR 2019960061041 U KR2019960061041 U KR 2019960061041U KR 19960061041 U KR19960061041 U KR 19960061041U KR 19980047883 U KR19980047883 U KR 19980047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battery
vehicle
oper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제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1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883U/ko
Publication of KR19980047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883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1)와, 상기 배터리(1)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받는 조작 스위치(2)와, 상기 조작 스위치(2) 및 배터리(1)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3)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도어 록 컨트롤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차량에 도어 록 컨트롤 유닛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음과 아울러 고가인 상기 부품이 사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보다 간단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등 차량의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고 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차량의 외관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차체는 통상적으로 일체형 프레임을 사용함과 아울러 차체의 하부를 프론트 멤버, 크로스 멤버 등으로 보강하게 되고, 상기한 일체형 프레임에 도어를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도어는 차체의 프론트 휀더 부분과 센터 필러에 도어 힌지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한 도어 힌지와 대응되는 힌지를 도어에 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힌지로 결합된 도어의 타측에는 도어를 잠글 수 있는 도어 래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도어 스트라이커가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키고 자동차에서 떠날 때는 자동차나 자동차 내부의 물건들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잠가야 하는 바, 상기 도어 래치가 상기 도어 스트라이커에 걸린 상태로 잠금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중 도어를 열게 되면 위험하므로 운전자가 도어의 잠금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자제어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록 컨트롤 유닛(Door Lock Control Unit)(50)을 채용하는 바, 상기 도어 록 컨트롤 유닛(50)에 운전자의 조작 스위치(51)를 연결하고, 상기 도어 록 컨트롤 유닛(50)에는 도어 래치가 도어 스트라이커에 걸린 상태를 잠그거나 풀수 있도록 하는 4개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52)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 록 컨트롤 유닛(50)은 그 부피가 크고 자격이 고가여서 차량에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과 차량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운전자가 도어의 잠금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도 적게드는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이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터리 2:조작 스위치
3:도어 록 액츄에이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받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 및 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터리(1)와, 상기 배터리(1)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받는 조작 스위치(2)와, 상기 조작 스위치(2) 및 배터리(1)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3)는 각각 차량의 전방 좌측 도어용 액츄에이터(FL)와, 전방 우측 도어용 액츄에이터(FR), 후방 좌측 도어용 액츄에이터(RL), 후방 도어용 액츄에이터(RR)로 이루어 4도어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상기 조작 스위치(2)를 온(on)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각 도어 록 액츄에이터(3)가 작동되면서 각각의 도어에서 도어래치가 도어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자동차의 도어 잠금상태가 확보된다.
물론, 운전자가 상기 조작 스위치(2)를 오프(off)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각 도어 록 액츄에이터(3)가 작동 해제되면서 도어의 개별적인 여닫힘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도어 록 컨트롤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차량에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음과 아울러 고가의 부품이 사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받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 및 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2019960061041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19980047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041U KR19980047883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041U KR19980047883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883U true KR19980047883U (ko) 1998-09-25

Family

ID=5399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041U KR19980047883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88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3566B2 (ja) 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
WO1997013942A3 (de) Kraftfahrzeug-türschloss od. dgl.
KR19980047883U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200146845Y1 (ko) 자동차의 도어용 키세트
BE1014161A3 (nl) Deurslot voor motorvoertuigen.
KR100419115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구비된 리어윈도우글라스 체결구조
KR100394715B1 (ko) 자동차용 도어언록 시스템
KR100356875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래치장치
KR10023382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릴리즈 핸들의 도난 방지 장치
KR200147498Y1 (ko)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엑튜에이터 취부구조
KR0171789B1 (ko) 자동차 열쇠 장치
KR0171793B1 (ko) 자동차의 트렁크래치용 액츄에이터 구조
KR0115992Y1 (ko) 트렁크리드 핸들
KR19990001675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장치
KR19980042627U (ko)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RU2138610C1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KR0171787B1 (ko) 자동차 도어 키 장치
KR20010055019A (ko) 자동차의 백도어를 통한 도난 방지구조
KR200191650Y1 (ko) 테일게이트 오픈 방지장치
KR0140239Y1 (ko) 자동차용 본네트의 잠금장치
KR20014450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를 이용한 콘택트 스위치 오작동 방지장치
KR19990059946A (ko)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200445372Y1 (ko) 자동차용 언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스위치케이스 구조
WO2000001555A3 (es) Protector para compartimiento de equipaje
KR19980053319U (ko)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