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946A -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946A
KR19990059946A KR1019970080160A KR19970080160A KR19990059946A KR 19990059946 A KR19990059946 A KR 19990059946A KR 1019970080160 A KR1019970080160 A KR 1019970080160A KR 19970080160 A KR19970080160 A KR 19970080160A KR 19990059946 A KR19990059946 A KR 1999005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selector
door unlock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8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946A/ko
Publication of KR1999005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946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운전자가 시동을 걸어놓고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킨 경우, 차량의 외부에서 차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를 제공한다
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는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15)와, 상기한 전원 공급장치(15)와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스위칭 온이 되어 그 전원 공급장치(15)에서 발생된 전류를 공급받는 스위칭부(17)와, 상기한 스위칭부(17)와 연결되어 스위칭부(17)를 통과한 전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전 및 통전시키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19)와, 상기한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19)와 연결되어 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19)가 통전 상태일 때 전류를 인가받아 도어를 개방시키는 액츄에이터 부재(2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부재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의 폐쇄를 해제시키므로서, 차량의 외부에서 차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웜업시에 운전자가 도어감금장치를 작동시키고 차량에서 자유롭게 이탈할 수 있는 도어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주요부분을 크게 나누면 차체와 섀시로 구분할 수 있다.
그중 차체는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부분이며, 그 모양은 승용차, 버스, 화물차 등 그 용도에 따라 구분되며, 차실, 기관실, 트렁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체의 지붕, 옆판 및 바닥이 일체로 되어 1개의 상자로서 튼튼하고 가벼운 구조로 된 모노콕 보디(Monocoque body)를 많이 쓰고 있으며, 이것은 보디 자체가 프레임 역할을 하며, 여기에 섀시의 각 장치가 결합된다.
이러한 차체는 일반적으로 그 양 측면에 승차자 및 화물을 차체내로 용이하게 진입시키도록 도어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도어는 외측의 아웃패널과 내측의 이너 패널을 합쳐서 창유리를 둘러싼 도어프레임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어는 도어프레임과 아웃패널을 일체로 성형하여 만든 것이며, 이것을 프레스 도어 또는 풀 도어라고 칭한다.
이 도어에는 차량의 도난에 대한 안전 및 주행중 차량의 안전성을 위해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최근에 각종 차량 도난사고가 급증하는 바, 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증가되는 추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추세에 의해 차량에는 도어핸들을 돌려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 도어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서로 맞물려서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부분과, 아웃사이드 핸들과 인사이드 핸들을 연결하는 도어개방에 관계된 기구 및 실린더의 푸시로드에 연결하는 로크장치 관련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를 닫으면 로크래칫 부분이 스트라이커부분과 접촉되면서 로크래칫 부분이 스트라이커 부분과 접촉되면서 로크래칫부가 회전하여 잠기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겨울철 오랜시간의 차량 엄업이 실시되는 경우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건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할 때 차량도난 등의 이유 때문에 임의대로 차량을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시동을 걸어놓고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킨 경우, 차량의 외부에서 차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의 장착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체 5; 차실 7; 기관실
9; 트렁크 13; 윈드 실드 글라스 15; 전원 공급장치
19;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 21; 액츄에이터 부재 23; 하우징
25; 스위칭 접점 27; 자석부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는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와;
상기한 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스위칭 온이 되어 그 전원 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전류를 공급받는 스위칭부와;
상기한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스위칭부를 통과한 전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전 및 통전시키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와;
상기한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와 연결되어 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가 통전상태일 때 전류를 인가받아 도어를 개방시키는 액츄에이터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동을 건 상태에서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면 스위칭부가 스위칭 되어 전원 공급장치의 전류를 통전시킨다.
이때,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를 작동시키면 그 스위칭부를 통과한 전류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를 통과한 전류에 의해 액츄에이터 부재가 작동되어 도어 잠금장치에 의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의 장착부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차체(1)와, 상기한 차체(1)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을 구동시키는 차륜(3)을 도시한다.
상기한 차체(1)는 사람이 승차하는 운전석을 포함한 차실(5)과, 상기한 차실(5)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엔진 등의 동력 발생장치 등을 내장시키는 기관실(7)과, 차실(5) 뒷부분에 설치되어 화물을 탑재하는 트렁크(9)로 구성된다.
차체(1)의 측면에는 승차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도어(11)가 설치되고, 그 차체(1)의 앞부분에는 운전자가 운전시의 외부조건을 인식하도록 하는 윈드 실드 글라스(13)가 설치된다.
상기한 도어(11)에는 도면에 표시는 생략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 윈드 실드 글라스(13)의 A부분에는 그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강제로 폐쇄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잠금 해제장치가 설치된다.
도2는 상기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즉, 도어 잠금 해제장치는 차체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인 배터리(15)와, 상기한 배터리(15)와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온이 되어 그 배터리(15)에서 발생된 전류를 공급받는 스위칭부(1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위칭부(17)는 윈드 실드 글라스(13) 일측에 설치되어 스위칭부(17)를 통과한 전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전 및 통전시키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19)를 포함한다.
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19)는 통전된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액츄에이터(2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3은 도2의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차실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윈드 실드 글라스(13)와, 상기한 윈드 실드 글라스(13)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23)을 도시한다.
상기한 윈드 실드 글라스(13)와 하우징(23)의 사이에는 일측은 스위칭부(17)와 연결되고 타측은 액츄에이터 부재(21)와 연결되는 스위칭 접점(25)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윈드 실드 글라스(13)에 도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한 스위칭 접점(25)을 온시키는 자석부재(27)를 설치된다.
따라서, 웜업시 등과 같이 운전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도어를 폐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를 폐쇄시킨다.
하지만, 상기한 배터리(15)와 연결된 스위칭부(17)는 시동이 걸린 상태이므로,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그 배터리(15)에 의해 발생된 전류는 통전된다.
이때,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운전자는 도체를 윈드 실드 글라스(13) 상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그 도체에 의해 하우징(23) 내부에 설치된 자석부재(27)는 윈드 실드 글라스(13)에 접촉하게 되고, 그 자석부재(27)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 접점(25)은 자석부재(27)와 접촉하게 되어 스위칭이 온으로 된다.
그 스위칭 접점(25)의 스위칭 온에 따라 스위칭부재(17)를 통해 인가된 전류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19)를 거쳐서 액츄에이터 부재(21)로 인가된다.
따라서, 그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부재(21)는 도어 잠금장치의 도어폐쇄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부재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의 폐쇄를 해제시키므로서, 차량의 외부에서 차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와;
    상기한 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스위칭 온이 되어 그 전원 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전류를 공급받는 스위칭부와;
    상기한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스위칭부를 통과한 전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전 및 통전시키는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와;
    상기한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와 연결되어 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가 통전상태일 때 전류를 인가받아 도어를 개방시키는 액츄에이터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그 도어 잠금 해제 선택부는
    차체의 프론트쪽에 설치되는 윈드 실드 글라스와,
    상기한 윈드 실드 글라스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한 윈드 실드 글라스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일측은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타측은 액츄에이터 부재와 연결되는 스위칭 접점과;
    상기한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윈드 실드 글라스에 도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한 스위칭 접점을 온시키는 자석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1019970080160A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19990059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160A KR19990059946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160A KR19990059946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946A true KR19990059946A (ko) 1999-07-26

Family

ID=6618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160A KR19990059946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9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38B1 (ko) * 2001-11-20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38B1 (ko) * 2001-11-20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0306B2 (en) Low voltage system controller for a truck
US9481325B1 (en) Control of an access opening in a body of a vehicle
JPH0735710B2 (ja) 自動車用ドア錠システム
US8224532B2 (en) Vehicles including master control device for control of power door
CN112211510A (zh) 车门智能开关控制系统及方法
KR19990059946A (ko)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CN110359786B (zh) 门锁系统、车门以及对门锁系统进行控制的方法
KR0160022B1 (ko) 자동차 도어 레버 표시 장치
JPS6340375Y2 (ko)
KR200144108Y1 (ko) 자동차 뒷문 개폐 장치
KR19990018646U (ko) 차량용 트렁크 개방장치
KR200149535Y1 (ko) 운전자 전용 도어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KR200149231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해제장치
KR0183257B1 (ko) 안전기능을 구비한 리어도어 록킹 시스템
JP3050896U (ja) 自動車の盗難警報装置
JP3038965U (ja) 自動車用ドア開閉器制御用機器
KR200144109Y1 (ko) 자동차 뒷문 개폐 장치
JPH02292479A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0129972A (ja) 自動車用防犯装置
KR19980047883U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20020048731A (ko) 자동차의 엔진룸용 조명등 조립체
KR20030008780A (ko) 자동차의 트렁크 오프닝 장치
JPH0545448B2 (ko)
KR19980042627U (ko)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