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703A - 테이프 절단기 - Google Patents

테이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703A
KR20000036703A KR1020000015403A KR20000015403A KR20000036703A KR 20000036703 A KR20000036703 A KR 20000036703A KR 1020000015403 A KR1020000015403 A KR 1020000015403A KR 20000015403 A KR20000015403 A KR 20000015403A KR 20000036703 A KR20000036703 A KR 2000003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ll tape
roll
cut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584B1 (ko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김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수 filed Critical 김한수
Priority to KR10-2000-001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5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테이프의 절단에 따른 전 과정을 자동으로 하여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제품)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테이프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롤테이프 투입구로 투입되어 롤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롤테이프를 전달받아 가공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공급리프트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 및 기어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스크루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거리만큼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롤테이프의 일단을 클램프 시키는 클램프수단 및 롤테이프의 절단완료후 잔류 롤테이프를 밖으로 밀어내는 추출수단을 구비하는 주축회전부와; 상기 주축회전부와 대향된 위치에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테이프의 클램프를 가이드하는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과; 상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뒤쪽 위치에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클램프수단에 의하여 프레임 상에서 클램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테이프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동시에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수용하는 절단보조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주축회전부와 절단보조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테이프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상기 절단보조수단측에 함께 설치되어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받이하여 밖으로 송출하는 반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절단기{TAP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롤테이프를 소정크기(폭)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건축용 및 사무용 등으로 사용되는 점착테이프, 접착테이프, 양면테이프, 알루미늄테이프, 천테이프, OPP테이프, PE테이프, PP테이프, 고무테이프, 실리콘테이프, 반사테이프, 형광테이프, 마스킹테이프, 스카치테이프 등 각종 테이프는 처음부터 그 폭이 사용하는 폭으로 절단되지 않고 소정의 길이(예로, 1.2미터)로 제조(이하, 롤테이프로 정의한다)된 다음, 테이프 절단기에서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폭(예로, 10미리, 20미리, 30미리 등등)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회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제조된 롤테이프를 용도에 적합한 폭으로 절단하는 종래의 테이프 절단기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절단기(200)는,
구동모터(202)와 체인연결수단(204)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며 프레임(206) 상에 설치되는 주축회전부(208)와;
상기 주축회전부(208)를 구성하는 주축(210)에 삽입된 롤테이프(500)를 클램프/언클램프하는 테이퍼척(212)과;
상기 주축(210)의 일측단 센터를 지지하는 지지수단(214)과;
상기 프레임(206) 상에 설치된 레일(216)에서 좌,우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블록(218)을 통해 설치되어 롤테이프(500)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팅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테이프 절단기(200)는, 먼저 절단하고자 하는 롤테이프(500)의 길이에 해당하는 커터날보호용 수지관(222)을 주축(210)에 삽입시킨 다음 이 커터날보호용 수지관(222)을 통해 절단할 롤테이프(500)를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테이퍼척(222)으로 롤테이프(500)를 클램프 시킨다. 그리고 지지수단(214)을 구동시켜 주축(210)의 일측 센터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202)를 구동시킴에 따라 주축(210)이 회전되어 이에 설치된 롤테이프(500)도 함께 회전되며, 커팅수단(220)의 작동에 의해 커터날(224)이 롤테이프(500)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해 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테이프 절단기(2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먼저 커팅수단(220)에 의하여 롤테이프(500)에서 절단된 테이프(제품)가 주축(2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되어 이 과정에서 절단된 테이프들의 절단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불량(테이프의 풀림 등)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커터날보호용 수지관(222)은 커터날(224)이 주축(210)에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모품으로서 롤테이프(500)의 길이만큼 필요하게 됨으로서 낭비가 심해 절단에 따른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롤테이프(500)의 투입시 긴 주축(210)을 통해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여 공간확보에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롤테이프의 절단에 따른 전 과정을 자동으로 하여 절단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동시에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제품)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테이프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롤테이프 투입구로 투입되어 롤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롤테이프를 전달받아 가공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공급리프트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 및 기어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스크루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거리만큼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롤테이프의 일단을 클램프시키는 클램프수단 및 롤테이프의 절단완료후 잔류 롤테이프를 밖으로 밀어내는 추출수단을 구비하는 주축회전부와;
상기 주축회전부와 대향된 위치에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테이프의 클램프를 가이드하는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과;
상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뒤쪽 위치에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클램프수단에 의하여 프레임 상에서 클램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테이프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동시에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수용하는 절단보조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주축회전부와 절단보조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테이프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상기 절단보조수단측에 함께 설치되어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받이하여 밖으로 송출하는 반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테이프 절단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테이프 절단기의 전체 구성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테이프 절단기에 있어 공급리프트수단의 구성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프 절단기에 있어 공급리트트수단 및 정렬수단을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공급리프트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고정판 상부의 상세도.
도 6 및 도 7은 도 2b에 도시된 가이드로드부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이 테이프 절단기에 있어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롤러부 상세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롤러부 상세 단면도.
도 11a, 도 11b는 도 8에 도시된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및 평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축회전부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축회전부 및 이송스크루부의 상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축회전부의 상세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클램프 홀더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절단보조수단의 상세 정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로드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커팅수단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커팅수단 및 클램프수단을 예시한 측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커터뭉치의 상세 예시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롤테이프 반출수단의 상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레일
30 : 롤테이프 투입구 34 : 실린더
71 : 주축 79 : 클램프 홀더
109 : 롤러 127 : 롤테이프지지튜브
130 : 수지롤러 153 : 커터날
500 : 롤테이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테이프 절단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롤테이프(500)가 투입되는 롤테이프 투입구(30)가 설치된다.
상기 롤테이프(5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조회사에서 소정의 길이(두루마리 형태)로 제조된 것을 말하는 것이며, 이 롤테이프(200)는 내부에 중공형의 지관(또는 플라스틱관)(502)을 통해 감김되어 있다.
상기 롤테이프 투입구(30)에는 롤테이프 투입구(30)로부터 투입된 롤테이프 (500)를 전달받아 후술하는 공급리프트수단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정렬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롤테이프 정렬수단은,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테이프 투입구(30)의 하부에 지지브래킷(31)이 설치되고, 이 지지브래킷(31)의 하부를 통해 센터축(32)이 롤테이프 투입구(3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터축(32)에는 시소되는 복수의 시소레버(33)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시소레버(33)의 양단에는 롤테이프 투입구(30)에 올려진 롤테이프(500)를 받침하고 넘기는 밤침로드(35) 및 넘김로드(36)가 조인트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10)에는 상기 센터축(32)과 링크(38)를 매개로 연결되는 실린더(34)가 설치되어 이 실린더(3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시소레버(33)가 1회 반전 운동하여 받침로드 (35) 및 넘김로드(36)가 롤테이프 투입구(30)의 표면으로 출몰 동작하여 롤테이프 (500)를 한 개씩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37은 롤테이프 투입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렬수단을 수용하는 정열수단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정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롤테이프(500)를 전달받아 가공위치(절단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공급리프트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공급리프트수단은, 도 2b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 내의 상,하부에 설치된 브래킷(40)을 매개로 양측에 고정판(41) 및 가동판(42)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41) 및 가동판(42)의 하부에는 구동축(43)이 베어링부재(44) (45)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3)에는 고정판(41) 쪽 가까이 구동스프로킷(46)이 설치되어 프레임(10) 내에 설치된 구동모터(47)와 상기 구동스프로킷(46)이 체인(48)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축(43)은 구동스프로킷(46)이 설치된 부분 이후부터 가동판(42) 쪽으로의 단면이 육각으로 형성되어 가동판(42)이 구동축(43)을 매개로 고정판(41)을 향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43)의 단면은 육각 또는 스플라인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43)의 양단에는 구동기어(49)가 설치된다. 즉, 고정판(41) 측의 구동기어(49)는 구동축(43)에 직접 설치되고, 가동판(42) 측의 구동기어(49)는 베어링부재(45)를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양 구동기어(49)는 고정판(41) 및 가동판(42)에 설치된 축(5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51)와 치합되어 구동축(43)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종동기어(51)의 축(50) 상에는 스프로킷(52)이 설치되고, 고정판(41)과 가동판(42)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로킷(53)이 설치되어 이들 스프로킷(52)(53)을 통해 리프트체인(5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 고정판(41)과 가동판(42)에는 수직으로 레일(55)이 설치되고, 이 레일(55) 상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블록(56)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블록(56)은 상기 리프트체인(54)과 볼트의 고정수단으로 연결되어 리프트체인(54)의 구동에 따라 레일(55)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양 가이드블록(56)의 전면으로는 지지판(57)에 고정된 볼트축(58)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리프트바(59)가 너트(60)로 고정되고, 이 리프트바(59)의 상부에는 상기 롤테이프 투입구(30)로부터 공급되는 롤테이프(500)를 전달받아 가공위치까지 리프팅시키는 롤테이프 받침편(61)(6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41) 측의 롤테이프 받침편(61)은 롤테이프(500)의 지관(502)을 받침하게 되고, 가동판(62) 측의 롤테이프 받침편(62)은 롤테이프(500) 외경을 받침하게 된다.
도면부호 63은 상기 리프트바(59)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일측의 고정판(41)에 대하여 타측의 가동판(42)이 복수의 가이드로드(64)로 연결되어 가동판(42)이 가이드로드(64) 및 구동축(43)을 통해 고정판 (41) 쪽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판(42)이 가이드로드(64)를 통해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동판(42)이 가이드로드(64)와 베어링브래킷(65)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급리프트수단에 의하면, 롤테이프 투입구(30) 및 정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롤테이프(500)가 롤테이프 받침편(61)(62)에 올려진 상태에서 구동모터(47)가 구동하게 되면, 체인(48)과 연결된 구동스프로킷(46)이 구동축(43)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기어(49)가 종동기어(51)를 회전시켜 스프로킷(52)(53)에 연결된 리프트체인(54)이 폐쇄 이동하면서 이에 연결된 가이드블록(56)을 레일(55)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블록(56)과 함께 연동하는 리프트바(59)가 이동하여 이에 설치된 롤테이프 받침편(61)(62)이 상승하여 롤테이프 (500)가 가공위치(절단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 상에 나란히 설치된 두 개의 레일(11)을 통하여 주축회전부가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축회전부는 이송스크루(12)에 의하여 레일(11)에서 이송되게 설치되며, 상기 주축회전부는 구동모터(70)에 의하여 구동되며, 롤테이프(500)의 일단을 클램프 시키는 클램프수단 및 롤테이프(500)의 절단완료후 잔류 롤테이프(500)를 밖으로 밀어내는 추출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주축회전부는, 주축(71)이 프레임(10)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0)와 풀리(72)(73)와 벨트(74)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되게 된다.
상기 주축회전부의 클램프수단은, 도 12 및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71)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터리조인트(94)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75)의 반발력에 의해 복귀하는 피스톤 로드(76) 및 상기 피스톤 로드(76)의 단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76)와 연동하는 테이퍼 클램퍼 (77)와, 상기 주축(71)의 단부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71a)에 각각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 클램퍼(77)에 의해 동작되어 롤테이프 (500)의 지관(502) 내벽을 클램프하는 클램퍼(78)와, 상기 주축(71)의 단부에 설치되어 주축(71)의 단부로 삽입되는 지관(502)을 안내하여 지관(502)의 외경을 지지하면서 상기 클램퍼(78)와 함께 롤테이프(500)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홀더(7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축회전부의 추출수단은, 주축(71)의 외부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80)의 반발력에 의해 복귀하는 피스톤(81)과, 상기 주축(71)의 단부에 설치된 클램프 홀더(79)의 내경부에 일정간격의 축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안내홈(79a)을 통해 슬라이딩 안내되고 일단이 상기 피스톤(81)에 의해 축방향 이동되는 푸시링(82)에 고정되어 클램프 홀더(79)에 삽입된 롤테이프 (500)의 지관(502)을 추출하는 이젝트핀(83)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84는 주축회전부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이고, 85는 주축 커버로서 로터리조인트(94)와 연결되어 공압을 주축(71) 내로 공급하며, 86은 패킹이고, 87은 베어링이며, 88은 베어링 커버이고, 89는 피스톤(81) 측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커버이고, 90은 베어링이며, 91은 너트이고, 92는 베어링이며, 93은 베어링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주축(71)의 선단은 롤테이프(500)의 지관(502)이 클램프 홀더(79) 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7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축회전부를 레일(11)에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12)는, 기어드 모터(13)와 타이밍벨트(14)와 연결된 타이밍풀리(15)에 이송스크루(12)가 연결되어 정역회전되고, 상기 이송스크루(12)에 설치된 너트블록(16)이 주축회전부를 구성하는 하우징(84)의 저부에 설치된 일측의 가이드블록(17)과 연결판(18)을 매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기어드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주축회전부가 가이드블록(17)에 의하여 레일(11)에서 설정된 소정거리만큼 좌,우 수평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주축회전부와 대향된 위치에는 프레임(10) 상에 설치된 레일(11)에 의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테이프(500)를 주축회전부로 안내하여 클램프 되도록 가이드하는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은, 도 8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블록(100)을 통해 베이스판(101)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절단보조수단에 설치된 전,후진 실린더(102)가 상기 베이스판 (101)과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 실린더(10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1)이 가이드 블록(100)을 통해 레일(11) 상에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101)에는 두 장의 고정판(104)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그 테두리를 연결편(105)으로 연결하여 고정판(104)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04)의 중앙으로 형성된 롤테이프 진입공(104a)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120°)을 갖고 장공(104b)이 각각 형성되고, 이 장공(104b)이 형성된 고정판(104)의 내부 공간에는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편(105)이 고정 설치되고, 이 가이드편(105) 사이에는 가이드편(105)에 의하여 안내되어 원주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더(10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104)의 양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가이드 원판(107)이 고정되고, 이 가이드 원판(107)의 내경으로 회전원판(10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원판(108)에는 상기 고정판(104)에 형성된 장공(104b)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는 장공(108a)이 형성된다.
그리고 롤테이프(500)의 클램프를 가이드하는 롤러(109)의 축(110)이 상기 장공(108a)(104b)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더(106)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1)에 브래킷(111)을 매개로 제1실린더(112) 및 제2실린더(113)가 설치되고 제2실린더(113)의 작동로드(114)가 상기 회전원판(108)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실린더(112)(113)의 작동에 따라 회전원판(108)을 회전시켜 상기 롤러(109)의 물림내경을 가변시키고 동시에 롤러(109)가 롤테이프(500)의 외경을 클램프/언클램프 시키게 된다.
상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뒤쪽 위치에는, 프레임(10) 상에 설치된 레일(11)에 의하여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클램프수단에 의하여 프레임(10) 상에서 클램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테이프(50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동시에 롤테이프(500)에서 절단된 테이프(600)를 수용하는 절단보조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절단보조수단은, 도 2a 및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상에 설치된 레일(11)에서 좌,우 이동 가능한 가이드블록(120)을 통해 베이스판(121)이 연결되고, 이 베이스판(121) 상에 하우징(122)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2)에는 축방향으로 중공홀(123)이 형성되고, 이 중공홀(123)을 통해 공압을 공급하는 로드(124)의 일단이 고정판(125)을 통해 너트(126)로 체결되고, 상기 로드(124)의 외측에는 상기 중공홀(123)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드(124)로부터의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롤테이프지지튜브(127)가 설치되고, 이 롤테이프지지튜브(127)의 전면에는 커버축(128)을 통해 베어링(129)을 매개로 수지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면부호 131은 피스톤이고, 132는 튜브커버이고, 133, 134는 로드(124)에 형성된 에어공급홀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절단보조수단에 설치되는 클램프수단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1)에 힌지브래킷(135)이 설치되고, 이 힌지브래킷(135)의 상,하부에 대향되는 클램퍼(136)가 힌지핀(137)으로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136)가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9)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클램퍼(136)의 일단이 클램프실린더(138)와 조인트(139)(140)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실린더(138)의 작동에 따라 클램퍼(136)가 고정편(19)을 클램프/언클램프 시키게 된다. 도면부호 141은 클램퍼(136)에 부착된 클램프 패드이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주축회전부와 절단보조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테이프(500)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팅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커팅수단은,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된 일측의 레일(11)과 나란히 설치되어 회전 및 직선이동을 제공하는 가이드축 (150)과, 상기 가이드축(150)에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브래킷 (151)을 매개로 설치되는 무빙바(152) 및 이 무빙바(152)를 매개로 설치되어 롤테이프(500)를 절단하는 커터날(15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커터뭉치(154)와, 상기 베어링브래킷(151)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155)의 하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절단보조수단의 베이스판(121)과 고정되어 상기 커터뭉치(154) 부분이 절단보조수단과 레일(11) 상에서 함께 이동되게 하는 연결판(156)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브래킷(157)을 매개로 설치된 실린더(158) 및 이 실린더(158)의 로드(159)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150)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158)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축(150)을 회전시켜 커터날(153)이 롤테이프(500)를 절단케하는 가동링크(16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가이드축(150)은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동시에 갖기 위하여 그 단면이 육각 또는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터뭉치(154)는, 무빙바(152)와 연결되는 베어링하우징(16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161) 내에 베어링(162)을 매개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축(163)과, 상기 축(163)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커터날(153)을 착탈 가능하게 볼트(164)로 고정되는 날고정판(165)과, 상기 베어링하우징(161)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쐐기블록(166) 및 축(163)의 후방에 나사 체결되는 쐐기고정볼트(167)에 의해 쐐기 (168)가 축(163)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단면도형 커터날(169)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63)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쐐기고정볼트(167)를 고정시킴에 따라 쐐기(168) 및 쐐기블록(166)이 베어링하우징(161)을 통해 축(163)의 회전을 고정시키게 되고, 원형 커터날(153)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쐐기고정볼트(167), 쐐기 (168) 및 쐐기블록(166)을 제거시킴으로서 축(163)이 베어링하우징(16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절단보조수단에는 롤테이프(500)에서 절단된 테이프(600)를 받이하여 밖으로 송출하는 반출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반출수단은,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받침판(180)이 겹쳐져 롤테이프(500)에서 절단된 테이프(600)를 받이하도록 절단보조수단의 하우징(122)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겹판(181)과, 상기 슬라이드겹판(181) 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겹판(181)을 전개시키는 토션스프링(182)과, 상기 슬라이드겹판(181)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슬라이드겹판(181)의 전개 및 축소시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단보조수단과 공급리프트수단을 구성하는 가동판(42)의 움직임이 서로 연동되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보조수단의 구성하는 베이스판(121)과 상기 가동판(42)이 연결판(20)(21)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 대상인 롤테이프(500)를 롤테이프 투입구(30)로 투입시킨다. 이에 따라 롤테이프(500)는 프레임(10) 내부 쪽으로 경사진 롤테이프 투입구(30)에서 구름하여 정렬수단을 구성하는 받침로드(35)에 의하여 구름이 정지된다. 이때 공급리프트수단은 대기 상태에 있으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도 공급리프트수단의 상승에 대비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전,후진 실린더(102)가 후진된 상태에 있어 베이스판(101)이 후진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정렬수단이 1회 작동함에 따라 실린더(34)의 로드가 왕복 동작하여 링크(38)가 센터축(32)을 일정각도로 정역 회전시켜 시소레버(33)를 작동시킴에 따라 받침로드(35)에 대기하고 있던 롤테이프(500)가 경사진 롤테이프 투입구(30)에서 구름하여 공급리프트수단으로 공급되어 롤테이프 받침편(61)(62)에 위치되게 되며, 상기 받침로드(35)와 넘김로드(36)의 1회 반전에 따라 다음에 가공될 롤테이프(500)가 받침로드(35)에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테이프(500)가 롤테이프 받침편(61)(62)에 위치된 것을 통상의 스위치(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센서)(도시생략)가 감지함에 따라 구동모터(47)가 구동하여 체인(48)과 연결된 구동스프로킷(46)이 구동축(43)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축(43)의 회전력을 구동기어(49)와 종동기어(51)가 전달받아 스프로킷 (52)(53)과 연결된 리프트체인(54)을 동작시키게 되어 이와 연결된 가이드블록(56)이 레일(55)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블록(56)과 함께 연동하는 리프트바(59)가 이동하여서 롤테이프 받침편(61)(62)에 위치된 롤테이프(500)가 가동위치 (절단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때 스위치(도시생략)가 롤테이프(500)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7)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이 작동하여 롤테이프(500)의 일단을 주축회전부에 클램프 안내하게 된다.
즉,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을 구성하는 전,후진 실린더(102)가 1차 전진(약 75㎜)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일(11)을 따라 가이드 블록(100)상에 구성된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 전체가 이동하여 롤테이프(500)의 일단에 고정판(104)에 형성된 롤테이프 진입공(104a)이 진입하여 롤러(109)가 롤테이프(500)의 일단에 위치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제2실린더(112)(113)가 작동하여 작동로드(114)가 회전원판(108)을 회전시킴에 따라 롤러(109)의 물림내경이 좁혀지면서 롤테이프 (500)의 외경을 클램프 시키게 된다.
즉, 회전원판(108)이 회전되면 회전원판(108)에 형성된 장공(108a)에 의하여 슬라이더(106)가 고정판(104)의 중심을 향해 가이드편(105)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함으로서 상기 슬라이더(106)에 고정된 축(110)을 통해 롤러(109)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회전원판(108)의 회전에 따라 물림내경이 가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러(109)가 롤테이프(500)의 외경을 클램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실린더(102)가 2차 전진(약 25㎜)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테이프(500)의 타측에 돌출된 지관(502)이 주축회전부의 클램프 홀더(79) 내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주축회전부의 클램프수단이 작동하여 지관(502)을 클램프 시키게 된다.
즉, 롤테이프(500)의 지관(502)이 클램프 홀더(79)로 삽입되게 되면, 로터리조인트(94)와 연결된 주축 커버(85)로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피스톤 로드(76)가 전진하여 이 피스톤 로드(76)의 전방으로 연결된 테이퍼 클램퍼(77)가 함께 전진하여 이와 접촉되어 있는 클램퍼(78)를 밀게 됨에 따라 클램퍼(78)가 주축(71)에 형성된 홀(71a)로 안내되어 테이퍼 클램퍼(77)의 전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작용하여 지관 (502)의 내벽을 클램프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축회전부에 롤테이프(500)의 클램프가 이루어지게 되면, 공급리프트수단은 하강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여서 롤테이프 투입구(30)에서 다음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롤테이프(500)를 공급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절단보조수단이 작동하여 수지롤러(130)가 롤테이프(500)의 타단에 삽입되어 롤테이프(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로드(124)의 에어공급홀(133)을 통해 공압을 공급함에 따라 롤테이프지지튜브(127)가 중공홀(123)에서 스트로크만큼 빠져나와 롤테이프지지튜브(127)의 단부에 설치된 수지롤러(130)가 롤테이프(500)의 지관에 삽입되어 롤테이프(50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절단보조수단은 클램프실린더(138)의 작동으로 클램퍼(136)가 프레임 (10)의 고정편(19)을 클램프하여 절단보조수단이 레일(11)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테이프(500)가 주축회전부에 클램프되고 수지롤러(13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롤테이프(500)를 클램프 가이드 했던 롤러 (109)의 물림을 해제시킨다. 이때에는 제1실린더(박판실린더)(112)를 작동시켜 롤러(109)가 롤테이프(500) 외경에서 약간만 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70)를 구동시켜 주축(7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롤테이프(500)가 회전되며, 커팅수단을 구성하는 실린더(158)가 1회 왕복 동작함에 따라 가동링크(160)와 연결된 가이드축(150)이 정역회전함으로서 무빙바(152)와 커터뭉치(154)를 매개로 연결된 커터날(153)이 롤테이프(500)를 절단하여 제품으로서의 테이프(600)를 마침내 생산하게 된다. 이때 커터날(153)이 롤테이프(500)를 완전히 커팅하게 되면 그 커터날(153)이 수지롤러(130)에 접촉하게 되어 커터날(153)이 보호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첫 번째 롤테이프(500)의 절단이 완료되면 커터널(153)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설정된 기어드 모터(13)가 작동하여 이송스크루(12)를 회전시킴에 따라 너트블록(16)이 연결판(18)을 매개로 주축회전부의 가이드블록 (17)과 연결되어 주축회전부는 레일(11)을 따라 소정거리(즉, 절단할 테이프(600)의 폭만큼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 기어드 모터(13)의 정지로 주축회전부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커팅수단이 1회 동작하여 두 번째의 테이프(600)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팅수단 및 이송스크루(12)에 의한 수축회전부의 반복되는 이동에 따라 테이프(600)가 계속해서 절단 생산되게 되며, 절단된 테이프(600)는 롤테이프지지튜브(127)로 수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테이프(600)가 롤테이프지지튜브(127)에 계속해서 수용되어 롤테이프지지튜브(127)의 전 길이(테이프 수용길이)까지 수용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70)가 정지하여 주축(71)이 정지하게 되고, 제1실린더(112)가 작동하여 롤러(109)가 나머지 롤테이프(500)의 일단 외경을 클램프 시키게 된다.
이후 로드(124)의 에어공급홀(134)로 공압을 공급시켜 롤테이프지지튜브 (127)를 중공홀(123)로 다시 삽입시킴에 따라 롤테이프지지튜브(127)에 수용되어 있던 테이프(600)들이 차례로 자중 낙하하여 그 하부에 전개되어 있는 슬라이드겹판(181)으로 떨어져 밖으로 반출된다.
이후, 나머지 롤테이프(500)를 절단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된 절단보조수단이 작동하여 수지롤러(130)가 나머지 롤테이프(500)의 타단에 삽입되어 롤테이프(500)를 다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고, 이후 롤테이프(500)를 클램프 가이드 했던 롤러(109)의 물림을 제1실린더(112)의 작동으로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70)가 주축(71)을 회전시켜 롤테이프(500)를 커팅수단으로 절단하여 테이프(600)를 반복 생산하여 반출수단으로 반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주축회전부에 있는 롤테이프(500)의 절단이 모두 이루어지게 되면, 커팅수단은 원위치로 복귀하고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도 전,후진 실린더 (102)의 후진동작으로 완전 복귀하게 되며, 이때 반출수단의 슬라이드겹판(181)이 푸시되어 축소되며, 주축회전부의 클램프수단이 해제되어 스프링(75)의 반발력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76)가 후방으로 후진함에 따라 테이퍼 클램퍼(77)도 함께 후진하여 클램퍼(78)에 의해 클램프 홀더(79)에 클램프되어 있던 지관(502)의 클램프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후, 추출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클램프 홀더(79)에 잔류하는 지관(502)을 클램프 홀더(79)에서 추출시키게 된다.
즉, 공압에 의하여 피스톤(81)이 스프링(80)의 반발력을 이기고 전진하여 푸시링(82)에 고정된 이젝트핀(83)이 클램프 홀더(79) 내에 있는 지관(502)을 푸시하여 밖으로 추출시킨 다음, 스프링(80)의 반발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기어드 모터(13)의 동작으로 주축회전부는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여 한 개의 롤테이프(500) 절단 사이클이 종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테이프 절단기는 제조된 롤테이프(500)의 길이에 따라 절단보조수단을 레일(11)에서 이송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절단보조수단의 이송시 연결판(20)(21)을 매개로 연결된 공급리프트수단을 구성하는 가동판(42) 및 상기 절단보조수단과 연결판(156)을 매개로 연결된 커터뭉치(154) 부분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롤테이프의 절단에 따른 전 과정을 자동으로 하여 절단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는 절단보조수단을 구성하는 롤테이프지지튜브에 수용되어 절단된 테이프가 손상되지 않게 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커터날의 보호를 위해 종래에는 롤테이프 전 길이에 걸쳐 수지관을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를 수지롤러로 대체함으로서 소모품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롤테이프의 공급이 롤테이프 투입구 측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 테이프 절단기에 비하여 작업공간을 축소시켜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롤테이프 투입구로 투입되어 롤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롤테이프를 전달받아 가공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공급리프트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 및 기어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스크루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거리만큼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롤테이프의 일단을 클램프 시키는 클램프수단 및 롤테이프의 절단완료후 잔류 롤테이프를 밖으로 밀어내는 추출수단을 구비하는 주축회전부와;
    상기 주축회전부와 대향된 위치에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테이프의 클램프를 가이드하는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과;
    상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의 뒤쪽 위치에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클램프수단에 의하여 프레임 상에서 클램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테이프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동시에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수용하는 절단보조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주축회전부와 절단보조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테이프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상기 절단보조수단측에 함께 설치되어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받이하여 밖으로 송출하는 반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테이프 정렬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테이프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을 매개로 롤테이프 투입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센터축과;
    상기 센터축에 설치되어 시소되는 복수의 시소레버와;
    상기 시소레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축과 연결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동작하여 롤테이프를 받침하고 넘기는 받침 및 넘김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리프트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을 매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판 및 가동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설치된 구동기어 및 이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고정판 및 가동판에 설치된 축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 축상에 설치된 스프로킷과 고정판 및 가동판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리프트체인과;
    상기 양 고정판과 가동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레일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체인과 고정수단으로 연결되어 리프트체인의 이동에 따라 수직 운동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과 전면으로 연결되어 함께 수직 운동하는 리프트바 및 이 리프트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롤테이프를 롤테이프 투입구로부터 전달받아 가공위치로 리프팅시키는 롤테이프 받침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고정판에 대하여 타측의 가동판이 양 고정판과 가동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가이드로드 및 구동축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회전부의 클램프수단은,
    주축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복귀하는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와 연동하는 테이퍼 클램퍼와;
    상기 주축의 단부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에 각각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 클램퍼에 의해 동작되어 롤테이프의 지관 내벽을 클램프하는 클램퍼와;
    상기 주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주축의 단부로 삽입되는 지관을 안내하여 지관의 외경을 지지하면서 상기 클램퍼와 함께 롤테이프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회전부의 추출수단은,
    주축의 외부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복귀하는 피스톤과;
    상기 주축의 단부에 설치된 클램프 홀더의 내경부에 일정간격의 축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안내홈을 통해 슬라이딩 안내되고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축방향 이동되는 푸시링에 고정되어 클램프 홀더에 삽입된 롤테이프를 추출하는 이젝트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테이프 클램프가이드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후진 실린더에 의하여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 및 이 가이드 블록과 연결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연결편에 의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으로 형성된 롤테이프 진입공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갖고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이 장공이 형성된 고정판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편이 고정 설치되어 이 가이드편에서 원주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판의 원주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 원판의 내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장공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는 장공이 형성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과 고정판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더에 고정된 롤러축을 통해 설치되어 롤테이프의 클램프를 가이드하는 롤러와;
    상기 베이스판을 매개로 설치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회전원판과 연결되어 롤테이프의 직경에 따라 회전원판을 회전시켜 상기 롤러의 물림내경을 가변시키고 동시에 롤러가 롤테이프를 클램프/언클램프시키도록 하는 제1 및 제2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보조수단은, 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에 의해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블록과 연결된 베이스판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중공홀의 일단으로 고정판을 통해 체결 고정되고 공압을 공급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로부터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어 절단된 테이프를 수용하는 롤테이프지지튜브 및 이 롤테이프지지튜브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동시에 커팅수단의 커터날을 보호하는 수지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보조수단의 클램프수단은,
    상기 절단보조수단을 구성하는 베이스판에 설치된 힌지브래킷과;
    상기 힌지브래킷의 상,하로 대향되게 힌지핀으로 설치되어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편을 클램프하는 클램퍼와;
    상기 각 클램퍼의 일단부와 조인트 연결되어 클램퍼의 클램프/언클램프 동작시키는 클램프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과 나란히 설치되어 회전 및 직선이동을 제공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브래킷을 매개로 설치되는 무빙바 및 이 무빙바를 매개로 설치되어 롤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날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커터뭉치와;
    상기 베어링브래킷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의 하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절단보조수단의 베이스판과 고정되어 커터뭉치부분이 절단보조수단과 레일 상에서 함께 이동되게 하는 연결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브래킷을 매개로 설치된 실린더 및 이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가이드축을 회전시켜 커터날이 롤테이프를 절단케하는 가동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뭉치는,
    무빙바와 연결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축과;
    상기 축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커터날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날고정판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쐐기블록 및 축의 후방에 나사 체결되는 쐐기고정볼트에 의해 쐐기가 축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수단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받침판이 겹쳐져 롤테이프에서 절단된 테이프를 받이하도록 절단보조수단의 하우징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겹판과;
    상기 슬라이드겹판 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겹판을 전개시키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겹판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슬라이드겹판의 전개 및 축소시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보조수단과 공급리프트수단을 구성하는 가동판의 움직임이 서로 연동되도록 상기 절단보조수단의 구성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이 연결판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KR10-2000-0015403A 2000-03-27 2000-03-27 테이프 절단기 KR10039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403A KR100399584B1 (ko) 2000-03-27 2000-03-27 테이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403A KR100399584B1 (ko) 2000-03-27 2000-03-27 테이프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703A true KR20000036703A (ko) 2000-07-05
KR100399584B1 KR100399584B1 (ko) 2003-10-01

Family

ID=1965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403A KR100399584B1 (ko) 2000-03-27 2000-03-27 테이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5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24A (ko) * 2014-07-18 2016-01-27 김용관 롤테이프 자동절단장치
CN107876865A (zh) * 2017-11-29 2018-04-06 广东海富纳数控科技有限公司 自动送料切断机
CN109677720A (zh) * 2017-10-26 2019-04-26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拆箱机
CN110539421A (zh) * 2019-09-05 2019-12-06 宜昌崟锦包装有限责任公司 废酒盖回收用塑料内嘴环切机及使用方法
CN114229576A (zh) * 2021-12-27 2022-03-25 深圳市兴威格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双面胶的分切工艺及其分切设备
CN116714305A (zh) * 2023-08-10 2023-09-08 常州宏业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包装纸箱印刷用输纸装置及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9680B (zh) * 2017-02-07 2018-06-01 晋江市超骏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卷带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996A (ja) * 1986-01-10 1987-07-17 Mitsubishi Metal Corp 粉子分散金属メッキ方法及び装置
JP2871770B2 (ja) * 1989-12-26 1999-03-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切断用スリッター
JPH09239689A (ja) * 1996-03-06 1997-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ル巻テープ切断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24A (ko) * 2014-07-18 2016-01-27 김용관 롤테이프 자동절단장치
CN109677720A (zh) * 2017-10-26 2019-04-26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拆箱机
CN107876865A (zh) * 2017-11-29 2018-04-06 广东海富纳数控科技有限公司 自动送料切断机
CN110539421A (zh) * 2019-09-05 2019-12-06 宜昌崟锦包装有限责任公司 废酒盖回收用塑料内嘴环切机及使用方法
CN110539421B (zh) * 2019-09-05 2024-05-28 宜昌崟锦包装有限责任公司 废酒盖回收用塑料内嘴环切机及使用方法
CN114229576A (zh) * 2021-12-27 2022-03-25 深圳市兴威格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双面胶的分切工艺及其分切设备
CN116714305A (zh) * 2023-08-10 2023-09-08 常州宏业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包装纸箱印刷用输纸装置及工艺
CN116714305B (zh) * 2023-08-10 2023-10-13 常州宏业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包装纸箱印刷用输纸装置及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9584B1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9910B (zh) 一种汽车刹车管接头自动钻孔及外螺纹加工装置
US3760491A (en) Tool change mechanism
CN107650220B (zh) 自动破竹设备及其破竹方法
CA1037244A (en) Device on peeling machine
KR100399584B1 (ko) 테이프 절단기
CN110803496A (zh) 圆管定向选料机构
EP0087520B1 (en) Veneer lathe
US8506736B1 (en) Core joiner and cutter apparatus
KR100220495B1 (ko) 파이프 절단 방법과 그 장치
CN211810614U (zh) 一种泡棉剥料串料机
CN210336892U (zh) 玻璃自动覆膜切膜机
JPH10175087A (ja) レーザ加工機における棒材供給装置および棒材搬送方法並びに棒材の芯出し・位置決め装置および棒材の芯出し・位置決め方法並びに棒材加工方法
CN209773941U (zh) 齿轮自动插滚针机
CN109719771B (zh) 清污型太阳能背板切割机
JP2959935B2 (ja) 材木からの薄板切断装置
CN111934060A (zh) 一种动力电池单体异构兼容的拆解方法及装备
CN111673520A (zh) 一种轴类件端部内孔倒角设备
CN218836234U (zh) 一种钢材切割装置
JP3437269B2 (ja) 切断機における送材装置およびその送材装置を用いた端材と最終製品処理方法
CN212126903U (zh) 一种对接式卷底胶机构
CN219379139U (zh) 方管分切装置
CN220964600U (zh) 一种电机磁环点胶组装装置
CN114700768B (zh) 一种变速器箱体镗孔设备
CN219767536U (zh) 一种下料机构
KR20130067663A (ko) 자동공급장치가 구비된 수차식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