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101A -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 형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 형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101A
KR20000036101A KR1019997002120A KR19997002120A KR20000036101A KR 20000036101 A KR20000036101 A KR 20000036101A KR 1019997002120 A KR1019997002120 A KR 1019997002120A KR 19997002120 A KR19997002120 A KR 19997002120A KR 20000036101 A KR20000036101 A KR 2000003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inting
printing
frame
tens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쉴링크리스티안
바우만호스트
레너마르틴
Original Assignee
세파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파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세파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3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7Meshes, gauzes, woven or similar screen materials; Preparation thereof, e.g. by plasma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10T428/24785Edge feature including layer embodying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 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e.g., weave,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9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9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 Y10T442/11Including an additional free metal or alloy constitu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9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 Y10T442/124Including a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9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 Y10T442/126Including a preformed film, foil,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84Nonwoven scrim
    • Y10T442/188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Screen Printer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으로 교차한 플라스틱 실을 구성하는 스크린 인쇄 모직물 및 에멀젼을 구성한 코팅을 가진 스크린 인쇄 형태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플라스틱 실들 (12,14)은 증기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그 위에 제조되는 케이싱 층(18)으로 코팅되고 차례로 갈바니 전기에 의해 제조된 에멀젼을 이동하는 금속 코팅(22)에 의해 덮어 씌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의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인쇄 프레임에서, 스크린 인쇄 형태는 고정되고 치환 가능한 고무 걸레 또는 그와 같은 도구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른 두 개의 평행한 영역에서 인장될 수 있고, 상기 스크린 인쇄 형태(26)가 한편으로 인쇄 프레임(24)의 프레임 측(34a 내지 34f) 및 다른 한편으로 인장 막대 (40) 또는 그와 같이 상기 프레임 측에 평행한 인쇄 프레임내에서 치환 가능한 구동 요소인 두 개의 평행 판 가장자리에 나열된 연결 막대(28, 28a,28f,44)의 삽입물과 함께 고정된다.

Description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 형태 및 장치{SCREEN PRINTING FORM AND FLEXIBLE SCREEN PRINTING FORM ACCOMMODATING DEVICE}
대략 19세기 이후 유럽에서 알려진 스크린 인쇄 공정; 인쇄 구조내로 확장되고 잉크에 대하여 불침투되기 위해서 이미지 자유 영역에서 덮어지게 되는 미세한 망사 (mesh) 직물의 모직물 또는 와이어 망사 재료로 대략 19세기 이후 유럽에서 알려진 스크린 인쇄 공정이 수 세기 후 중국에서 첫 번째 사용되었다. 그 외에 수동으로 절단하는 스텐실 인쇄 - 예를 들면 라벨링 또는 필적 - 요즈음에는 바람직하게 사진같이 제조된 직접 또는 간접 스텐실들이 보통 실행되고; 스텐실 종류의 선택 - 직접 스텐실의 경우에서 상기 것들은 에멀젼, 직접 필름 및 에멀젼 또는 직접 필름 및 물과 함께 채택되고 - 스크린 인쇄의 분별에 대해 좌측이다.
복수개의 단계들이 스크린 인쇄 형상을 제조하기 위해 보통 요구된다. 첫 째로 스크린 인쇄 모직물은 경금속 또는 합금, 나무 등의 클램핑 프레임 위로 확장되고, 그의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구조에 접착시킨다. 모직물의 세정은, 예를 들면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인 코팅 장치를 가진 기계에 의해 코팅 체널을 사용한 감광성 에멀젼의 연속적인 적용을 인가하다. 상기 코팅에서 처럼 상기에서는 프레임의 내측에서 만큼은 정확하게 생산될 수 없고, 나머지 표면 영역은 스크린 충전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밀봉되지 말아야 한다. 상기 코팅된 표면은 인쇄 형상에 일치하여 카피 원본(필름)의 수단에 의해 노출되어졌다. 노출되지 않은 상기 인쇄 형상의 영역은 씻겨진다.
상기 세척 작동 후, 제조된 어떤 것은 사실상 실제 스크린 인쇄 스텐실이고, 종종 스틸(still)의 가장자리 영역은 덮혀져야 한다. 상기 덮는 부분들이 건조되었을 때, 인쇄는 스텐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텐실 제조 공정을 위해 사용된 상기 개별적인 장비의 목록들은 세정되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의 양은 스크린 인쇄 스텐실의 제품에 관계되고 특히 개별적인 스텐실은 비교적으로 크다.
사용의 어떠한 영역에 대해서, 상기는 표면의 화학적 처리에 의해 표면 위에 팔라듐 핵들 또는 작은 알갱이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및 가는 실들을 금속을 입히기 위해 플라스틱 망사들로 처리될 때 알려져 있다. 상기 화학적 처리 절차들은 복수개의 단계를 포함하고 그들의 성분 및 관계된 각각의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작동 절차의 관점에 맞추어져 있다. 재료 선택에 관한 한계는 바탕이 빈약한 또는 적절하지 않은 재료로 미리 결정된다. 알려진 고가의 예비 처리는 고가의 화학 금속 증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의 부적절한 전도성 때문에, 상기 전 처리된 플라스틱 모직물 표면은 직접적으로 갈바닉 금속 증착으로 직접적으로 덮혀질 수 없다.
추가적인 양상은 실제 스텐실의 장착에 우선하여 요즈음 스텐실 인쇄에서 사용된 상기 스텐실 캐리어들이 모든 측상의 프레임상에 아교로 접착되거나 버팀대로 지지되어야 한다. 상기 관점에서 인쇄의 질은 정확한 모직물 인장, 모직물의 이완, 적용된 편향 효과, 고무 걸레 압력 등의 요소에 의존한다. 모직물과 인쇄되는 대상 사이에서 상기 적용된 편향 효과는 극복될 수 있고, 스텐실의 신장성이 필요하다. 자연적인 신장이 없는 또는 단지 자연적인 신장의 매우 낮은 수준과 함께 스텐실 케리어의 경우에서, 높은 교차 인장 하중에서 상기 결과는 빠른 피로 효과로 부터 겪게되는 상기 스텐실 케리어에서 얻어질 수 있고 또는 가능하게 파괴로 얻어질 수 있다.
인쇄가 평평한 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낮은 신장 스텐실 케리어와 함께 만족스럽게 발생할 때,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은 편향 영향에 의해 일어나는 길이의 변화를 위한 보상의 능력이 필요하다.
US-A-3 303 777호에는 스크린 인쇄기의 스텐실을 위한 지지 장치를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는 스크린 망사를 통하여 인쇄 잉크를 눌러 짜는 치환 가능한 고무 걸레의 이동의 방향을 가로지른 두개의 평행한 영역에 고정되거나 인장되어 있다.
상기 요소들을 고려하여 발명가들은 그들 스스로가 상당히 제조를 단순화하고 스크린 인쇄 형태 또는 스텐실의 취급하고, 빈번하게 사용하는 작업자가 더욱 인쇄기내에서 사용을 형성하고 및 그들의 안팎 인쇄면의 정합 정확성 - 심지어 많은 인쇄 운영의 수를 증가시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구조와 함께 균질한 코팅에 의해 미세한 라인들 및 패턴의 경우에서 낙관되어지는 인쇄 질을 제공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발명은 서로가 교차하는 플라스틱 방사(紡絲)를 구성하는 스크린 인쇄 모직물을 가진 스크린 인쇄 형상 및 -특히 감광성- 에멀젼을 구성하는 코팅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2의 분류 부 내에서 설명한 것으로써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모직물을 통한 단면내의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모직물의 확대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결합하는 두 개의 수동으로 교차하는 실들 사이의 결합체 위의 사시도와 함께 도 2의 부분에 대한 확대된 규모를 도시하였다.
도 4는 스크린 인쇄 스텐실 및 고무 걸레를 가진 스크린 인쇄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은 스크린 인쇄 스텐실을 가진 스크린 인쇄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통한 길이 방향 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2는 도 5 내지 7 보다 큰 규모로써, 스크린 인쇄 프레임의 일부를 통한 단면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도 5 내지 12 보다 큰 규모의 단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및
도 15 및 16은 조립체 보조를 도시한 도시학적 도면이다.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에 관하여,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편향 효과에 의해 일어나는 길이의 변화, 및 스텐실의 인장 변화를 제거하려고 시도하는 동안 자연적인 신장 없이 스텐실 케리어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최소 스텐실 팽팽한 인장은 최소 고무 걸레 압력을 인가하려고 의도되어졌고, 스텐실 및 고무 걸레의 마모의 양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단지 일 방향으로 팽팽해진 스크린 인쇄 스텐실은 인쇄 폭 위로 일정한 특별한 고무 걸레 압력을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 실 또는 실 가닥들은 증기 증착에 의해 제조된 케이싱 층으로 코팅되어 졌고 차례로 에멀젼을 이동시키는 금속 코팅에 의해 위에 덮어 씌워졌고 갈바니 전기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 모직물은 케이싱 층과 함께 소위 스퍼터링 또는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갈바닉 전기 작동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에서, 얻어진 결과는 금, 은, 니켈, 구리, 강 및/또는 경금속, 특히 알루미늄, 단일 또는 합금으로써 바람직하게 함유하는 금속 재료를 구성하는 케이싱 층이다.
상기 언급된 증기 증착 또는 스퍼터링 절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인쇄 모직물에 대해, 약 5 내지 200 나노미터 이상 - 특히 50nm 이상- 의 층 두께가 제조되었고, 모직물의 형태 및 증기 증착의 종류에 의존하는 0.2 ohm/2 내지 100 ohm/2 이하의 표면 저항 값을 가진다.
상기 모직물의 전기 전도성은 증기 증착, 상기에서 언급된 것으로써 음극 스퍼터링 또는 진공 플라즈마 분사의 건조 공정 단계에 의해 제공된다.
금속으로 이루어진 모직물의 기계적 특성은 우선적으로 그의 금속화, 예를 들면 갈바닉 니켈 도금의 수단에 의해 결정된다. 신축성은 처음의 모직물들의 특성과 상관없이 모직물의 강도의 증가된 평균과 함께 극도로 감소되고, 상기 모직물의 슬립 (slip) 저항성은 비범한 수준으로 증가된다.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재료들은 플라스틱 기지 재료들의 모직물의 결합 위치에서 강도에 공헌하고 전도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의 것들은 유사한 특성과 함께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에 의해 고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모직물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종 조건내에서 제조되었고 코팅으로 제공된 스크린 인쇄 판을 위해 사용된 기초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 바람직하게는 그의 일반적인 강도 때문에 니켈로 코팅하는 금속이다. 스크린 인쇄 판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표면은 스텐실의 마모를 감소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는 후자와 함께 매우 높은 수의 인쇄 사본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전도 표면은 공전(空電) 전하 현상을 방지한다. 공전의 문제로 인한 인쇄되기 위한 재료에 관한 한계 또는 인쇄용 잉크들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은 기본적인 강도의 적절한 수준과 함께 매우 최소한의 신축 현상을 보장하고 설정된 클램핑 인장에 상관없이 스텐실 상의 기록 차이를 간신히 측정할 수 있다.
기계에 의해 그의 충분한 표면 영역 위에 코팅되는 한정되게 유연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모직물은, 우수한 가장자리 날카로움 및 정확한 잉크 미터링(metering)과 함께 재 생산 가능한 스텐실 품질의 높은 수준을 제공한다. 보호 막은 만약 코팅의 질의 손상 원인이 될 수 있는 부적절한 처리 작동 감소가 필요하다면 적용된다. 상기 코팅이 모직물의 끝없는 롤상에 영향을 받는 것 처럼, 상기에는 현재에서 종래에 실행된 것처럼 덮는 작동이 필요없다.
상기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의 밖으로 미리 결정된 형태의 크기의 스크린 인쇄 판을 절단하기 위한 장점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요소와 함께 두 개의 반대편으로 배치된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한 연결 요소는 개요된 연결 막대들이고, 비교적으로 단단한 스크린 인쇄 판은 연장한다.
상기 언급된 고정된 형태의 크기에 대한 스크린 인쇄판을 절단하는 작동은, 만약 필요하다면 안팎 인쇄면의 정합기 천공과 함께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정확한 안팎 인쇄면의 정합 관계에서 상기 스크린 인쇄판의 노출이 직접적으로 시작되는 표준 작업 절차를 좋아하는 최종 사용자에게 인가한다.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을 세정하고 건조하기 위한 절차 후, 상기는 인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스크린 인쇄 판에 의하여, 사용하는 동안 실패하게 되는 개개의 스크린 인쇄 스텐실의 복구가 매우 짧은 기간 동안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명은 두 개의 평행판 가장자리에 나열된 연결 막대의 삽입물과 함께 스크린 인쇄 판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에 언급된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을 포함하고, 한편 상기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의 일 측 및 다른 한편 인장 막대 등과 같은 구동 요소는 첫 번째 언급된 측에 평행한 프레임에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인장 막대는 스텐실을 통하여 인쇄 잉크를 눌러 짜는 고무 걸레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단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무 걸레 방향 - 및 확보되지 않은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 를 가로지른 두 영역내에 고정하는 상기 형태는 상기 길이 방향 가장자리 사이의 단면에서 발생된 쇠사슬 모양의 형태이서 인쇄 결과를 일그러뜨리는 처짐을 제거한다.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두 개의 가장자리 영역의 특별한 형상에 의하여, 상기는 인쇄 기구 상의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에 메우 쉽게 조화되고 인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특별한 연결 또는 부착 프로파일 부재들은 판의 단부에 배치되어진다. 그러나, 위치내에서 상기 판들의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천공 장치의 설비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특히 큰 스텐실 판을 다룰 때 취급을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는 상기 장치 영역 또는 금속 시트의 폐쇄된 얇은 벽 프레임 등의 재료에서 상기 스크린 인쇄 판으로써 같은 사이즈의 막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모직물의 금속화는,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이 단지 일 방향으로 인장되어져야 하는 결과와 함께 각 강도의 적절한 수준을 제공하고 및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의 경우에서 인장하는 방향에 관하여 횡단으로 안팎 인쇄면의 정합 차이는 없다. 또한 상기 인쇄 상 일측 수단에서 인장 효과는 스크린 인쇄 판의 가장자리 만큼 측면으로 가져질 수 있다; 상기는 단지 위치에서 아교 접착, 용접, 봉합 또는 임의의 디른 방법에서 고정될 수 있는 잉크 결정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남겨둘 필요가 있다.
상기는 일측 또는 프레임 부재에 대한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 내부에 힘 저장 수단에 의해 연결되기 위한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을 인장하는 인장 막대를 위해 바람직하게 발견된다.
상기 인장 막대 또는 인장의 인장 위치 및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인쇄 위치의 조절을 위해서, 상기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계, 기압, 유압 또는 다른 수단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인쇄 작동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은 인쇄될 상부 표면에 관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연결 또는 접착 막대들의 다양한 형태들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에는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S-형상으로 각진 형상인 연결 막대 및 인장 위치에서그것을 지지하는 림(limb)이 제공되었고, 한편으로 상기 프레임의 측부, 또는 인장 막대의 낮은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및 다른 한편으로 하부 절단 형상, 프레임의 중공 측부 또는 중공 인장 막대의 내부 어깨부에 대항하여 놓인다.
대략적으로 S-형상으로 각진 형상의 다른 연결 막대의 경우에서, 상기 지지 림은 프레임의 중공 측부 또는 중공 인장 막대의 내부에 연장하는 인장 축의 지지 표면에 대항하는 클램핑 위치에 놓인다.
추가의 연결 막대의 형태는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평면에 관계하여 경사지고 및 프레임의 측부 또는 인장 막대내에서 경사진 그루브(groove) 내부에 맞춰지도록 채택되는 훅(hook) 막대이다. 추가 연결 막대는 일정한 각으로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평면이 굽어지고 및 프레임의 측부 또는 인장 막대내에서 평행하게 경사진 슬롯 (slot) 내부로 맞춰지도록 채택되는 지지 림과 함께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따라서, 추가 형상내 스크린 인쇄 판은 연결 요소로써 장착 프로파일 부재 내부로 맞춰질 수 있는 각각의 스트립 비드(strip bead)를 두 개의 평행한 가장자리에서 구비한다.
상기 형태들에 의해,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은 광감성 재료를 가진 기구에 의해 코팅되고 가능하게 상기 코팅 측부상에 호일로 보호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을 구성한다. 상기는 스크린 인쇄 스텐실의 제품내에서 요즈음 전래적으로 채택되는 모든 준비 작동이 제거됨을 의미하고;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은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및 개발될 수 있다.
또한 스텐실 케리어의 금속 표면은 실질적인 화학 저항 및 높은 수준의 기계적 마찰 저항을 보장한다.
기계에 의한 코팅 작업은 화려한 가장자리 예민함 및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정확한 측정의 매체를 가진 균일하게 높은 인쇄 질을 보장한다.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용도는 스텐실 제품 절차의 길이가 상당히 감소하고 인쇄를 위한 준비에 있어서 잘목된 근원을 가능한 한 제거한다.
사실 추가의 장점으로 고려되어지는 것은, 전체 표면 영역에 대한 인쇄할 수 있는 표면 영역의 비율을 말하는 상기 스크린 인쇄판의 실용의 정도이고, 종래 모직물에 대해서는 상기의 것과는 멀리 떨어지고 가능하게 중복되어 있다.
스크린 인쇄판의 높은 고유의 안정성 및 그의 각의 완고함 때문에, 단지 일 측에서 인쇄를 진행하는 동안 상기 인쇄 판의 인장은 또한 가능하다. 고무 걸레 방향내로 국부적인 인장에도 불구하고, 인장 방향에 대해 횡단으로 두드러지게 안팎 인쇄면의 정합 차이가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고무 걸레내에 인장 효과와 함께, 하나의 판 고정 위치는 고정(인쇄 시작)시키기 위해 및 다른 것을 이동(인쇄 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이 위치에서 죔쇠로 되어질 때 스프링의 편향력 또는 기압 또는 수압 시스템은 영향을 받는다.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이 고무 걸레의 편향 효과에 의해 아래로 가압될 때, 길이의 변화는 스크린 인쇄판의 이동 가능한 고정에 의해 보상받는다. 그의 위에 인장력은 일정하고 선택된 편향의 독립하여 유지되고 및 상기는 능가하게 되는 적절한 편향에 의해 임의의 피로 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스크린 인쇄판이 단지 일 측에서 인장될 때, 상기에서는 횡단 강압에 의해 무엇이든지 부가적인 하중은 없다.
고무 걸레 압력은 극복하려는 인쇄 케리어의 변형 현상은 없을 때 최소한 남는다. 상기 인쇄 폭 위의 고무 걸레 하중은 횡단 인장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지 않은 고무 걸레 단부에서 알려진 부가적인 힘이 일정하다.
실시예를 위한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
- 단일 측으로 구동하는 스텐실 지지 장치에 의해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은 그도로 낮은 고유의 신장의 수준을 가진 스크린 인쇄 스텐실의 용도를 인가한다.;
- 상기 스크린 인쇄 스텐실 케리어상의 인장 하중은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 수단에 의해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최소 고무 걸레 압력 설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인쇄판 및 고무 걸레에 관한 마모는 최소화될 수 있다.
- 상기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은 정확한 안팎 인쇄면의 정합(整合) 관계에서 스크린 인쇄 판과 함께 인쇄를 인가하고,; 스텐실 편향을 능가하는 것에 의해 스텐실의 길이 변화와 불 균등한 고무 걸레 마찰력에 의해 스텐실의 길이 변화가 제거된다.; 및
- 클램핑 프레임내 일정한 팽팽해진 인장에 의해 스텐실 케리어상의 교차 하중의 결핍은 스크린 인쇄판의 서비스 수명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형태 및 상세한 사항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과 같은 기술 및 도시학적인 도면을 참고로하여 명백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스크린 인쇄 스텐실들의 제품을 위한 모직물(10)은 도 1에 나타낸 것 처럼 두 개의 뒤틀린 방사(12) 및 두 개의 직물 실(14)이 각각 반복하여, 즉, (16)에서 지시된 것 처럼 결합 위치의 주어진 수에 의해 고정된 반복 장치에 속해 있는 소위 리넨 (linen) 또는 바구니 짜기에서 수동으로 교차하여 뒤틀린 실 또는 방사(12) 및 직물 방사 또는 실(14)로 부터 제조된다. 상기 실(12,14)들은 임의의 플라스틱 베이스 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을 구성한다.
상기 플라스틱 모직물(10)은 연속적으로 증기 증착 공정을 위해 롤로써 영향을 받고, 최대 웨브 길이는 상기 증기 증착 기구내 가능한 한 가장 큰 감는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사용된 상기 증기 증착 재료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니켈, 강, 알루미늄 등의 철이 함유되지 않은, 중 또는 경금속 - 각각 단일 또는 결합되어 있고, 특히, 그러한 방법내에서 다음의 갈바니 전기 작동에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증기 증착 또는 스퍼터링 작동 - 또는 가능하게 진공 플라즈마 적용이 양 측상에 영향을 받고 가능하게 특별한 요구에 있어서 여러 번 되풀이된다. 상기 작동에서, 도 3에 분명하게 나타낸, 약 50 내지 200nm를 넘는 층 두께(b)의 케이싱 층 (18)이 각각의 플라스틱 코어로써 각각의 실(12, 14)들 둘레에 제조되었고, 도면의 선명함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직경, 예를 들면 15μm 내지 100μm의 각각 뒤틀린 및 방사 실들(12 및 14)로 부터 그들을 구별하는 인용 부호 (12a및 14a)로 도 2 및 3에 명료화되었다.; 모직물의 형태 및 증기 증착의 종류에 의존하여, 상기 케이싱 층들은 아래로 0.5 ohm/2 내지 100 ohm/2의 표면 저항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코팅 작동은 수동으로 교차하는 실들(12, 14) 사이의 도 2 에서 지시된 그러한 결합체의 하나인 각 결합체(16)의 영역에서 재료의 축적의 결과일 수 있다.
직접 갈바닉 금속 증착은 상기 기술된 방법에서 증기 증착으로 준비된 플라스틱 모직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갈바닉 적용 절차에서, 여러번 임의의 금속들, 예를 들면 Cu, Ni 등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기 증착 재료 및 증기 증착 두께는 갈바닉 욕조에 의해 감소된 것으로 부터 상기 케이싱 층(18)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의 갈바닉 공정에 맞추어지게 되고, 여기에서 상기 증기 증착의 전도성은 감소되거나 연장된 노출 시간 때문에 결국 제거된다. 갈바닉 금속화를 위한 결합은 특히 다음과 같다.:
- 다음의 갈바닉 니켈 -도금을 위해 약 0.5 내지 1 ohm/2의 표면 저항을 가진 Cu-증기 증착, 또는
- 다음의 갈바닉 니켈 -도금을 위해 약 0.4 ohm/2 내지 10 kohm/2의 표면 저항을 가진 강 증기 증착,
상기 갈바닉 금속화 작동은 바람직하게 전체 모직물(10)을 넘는 2μm 내지 20μm 및 그 이상의 선택할 수 있는 층 두께 (e)의 폐쇄된 금속 코팅(22)에서 얻어지고 실질적으로 임의의 롤 길이를 가진 연속적인 절차로써 실행될 수 있고,; 상기 금속 코팅(22)은 기계적 안정의 높은 수준, 특히 슬립 저항, 및 금속화된 모직물(10)의 부분에 대한 화학 저항을 위해 양쪽에 제공되고,; 명백히 규정된 것으로써, 상기의 강도는 신장성에서 상당한 감소와 함께 상당히 증가된다.
도 4는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모직물(10a)을 구성한 판-형 스크린 인쇄 스텐실 또는 스크린 인쇄 형체(26), 및 두 개의 반대편에 배치된 측부에 고정된 연결 프로파일 부재 또는 막대(28)들을 인쇄 또는 클램핑 프레임 (24)내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에는 모직물(10a)이 사진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되고 그 바로 아래에 배치된 인쇄 재료(30)상에 인쇄되기 위한 인쇄 형태를 포함하는 광감성 층의 에멀젼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인쇄 재료(30)는 스크린 인쇄 스텐실(26)의 인장 면(도 4에 미도시) 바로 아래 편향 거리 또는 일정한 간격에서 인쇄 테이블상에 지지되어있다. 인쇄 작업시 고무 걸레(32)는 인쇄 재료 (30) 위의 선 형상내 모직물 (10a)을 밀어내는 연결 막대(28)의 평행 관계에서 모직물(10a) 위로 안내된다. 또한 스크레이퍼(scraper) 또는 조절기(doctor)로써 인용된 상기 고무 걸레(32)는 상기의 경우에서 대략적으로 연결 막대(28)에 일치한 직사각형 부재의 길이로 인쇄 가장자리(33)를 가진 직사각형 부재이고, 및 그의 이동 통로 위로 고무걸레는 인쇄 형태내 개구인 상기 모직물(10a)의 그물코 개구를 통하여 인쇄 잉크를 눌러 짜낸다.
상기 직사각형 인쇄 프레임(24)은 중공 프로파일 부의 형상내에 존재하는 네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 또는 프레임 측(34)을 구성하고 및 그 중 하나인 34a로 지시된 것은 하나의 연결 막대(28)의 체결을 위해 아래가 절단된 형상의 내부 공간(36)을 제공하고,; 후자는 실질적으로 그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서 반대 방향내에 돌출하고, 주 스트립 부(28a)의 양 측에서 지지 림(29)를 가진 단면내 S-형상이고,; 지지 림(29)중의 하나는 모직물(10a)상에 배열된 다른 것이 중공 프로파일 부재의 하부 가장자리(38)를 대항하여 아담하게 지탱하는 동안 내부 공간(28)내에 고정되어 있다.
같은 형상이고 단면에 관하여 반대 위치에 배치된 다른 연결 막대(28)는 상기 기술된 방법에서 하부 절단 형상, 단면에 관하여 그러나 중공 프로파일 부재(30a)에 대하여 반대 관계에서 동등하고 힘 저장 수단(42)으로써 코일 스프링 작용에 의해 인쇄 프레임(24)의 근접한 평행한 중공 프로파일 부재(34)에 연결된 인장 막대(40)의 내부 공간(36)내에 장착되어 있고, 따라서 압력이 상기 모직물(10a)에 적용될 때 상기는 인장 방향(X)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한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 처럼 유사한 형체의 스크린 인쇄 스텐실(26)은 인쇄 프레임(24) 그 안에 및 또는 모직물의 표면에 관계하여 경사진 훅 막대(44)에 의해 같은 형상의 인장 막대(40b)내에 나타낸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b)에 부착된다. 도 11은 상기에 관해 상세히 도시하였다.
도 6은 도 4에 참고로 기술된 평행한 연결 막대(28)를 가진 스크린 인쇄 스텐실 (26)을 도시하였고, 부가 막대(47)의 내부 어깨부(46)에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 (34c) 및 인장 축(50)의 분할 어깨부(48) 위의 인장 막대(40c)상에 장착된다.
도 7에는 인장 스프링(52)은 각각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d) 또는 인장 막대(40d)의 지지 돌출부(56)에 대해 하중을 적용하는 장착 프로파일 부재(54)에 대항하여 누르고,; 막대와 같은 장착 프로파일 부재(54)내에 있는 스크린 인쇄 스텐실(26)의 스트립 비드(58)는 스트립 그루브내에 배치된다.
도 10에서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e)는 경사진 슬롯(60)내에 대략적으로 단면내에서 각 형상의 연결 막대(28e)의 < 40°의 각 W로 위로 향하여 경사진 림(29a)을 수용한다. 상기 림(29a)은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e)의 스프링 적재 클램핑 부(62)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은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b)에 대한 경사진 그루브(66)의 그루브 벽(64) 뒤로 체결하는 상기 기술된 훅 막대(44)의 장착을 도시하였고, 상기 그루브 벽(64)은 스크린 인쇄 스텐실(26)에 관계하여 약 120°의 각 t로 경사져 있다.
평평한 연결 막대(28f)를 가진 스크린 인쇄 스텐실(26)이 사용될 때,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f)의 수직 안팎 인쇄판의 정합 또는 인장 핀(68)을 도시한 것으로써 연결 막대(28f)내 일치한 구멍들을 통하여 체결한다. 후자는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f)에 나사로 체결된 압력 막대(70)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34f)의 지지 표면을 대항하여 지지된다.
도 13 및 14는 인쇄 테이블(74) 상의 스크린 인쇄 판(26)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으로 가능한 고정 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위에 형성된 두 개의 측부 막대 부(76)와 함께 제공된 중공 프로파일 부재(78)의 경사진 그루브(66)내에 배치된 것은 대략적으로 사각 단면의 에어 주름상자(80)이고, 플라스틱 막대(82)를 대항하여 외부 표면으로 누른다. 후자는 차례로 스크린 인쇄판(26)의 가장자리에 관계된 고무 스트립(84)을 대항하여 지탱하고,; 도 15에 나타낸 것 처럼, 그것을 통해서 통과하는 것은 플라스틱 막대(82)내 일 단부 및 고무 스트립(84) 아래로 체결하는 웨브(79)내 다른 단부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53)이다. 상기 웨브는 도 13의 오른 쪽인 측부 막대 부(76)에 나사로 체결되어 있고, 인쇄 테이블(74)에 평행한 경사진 표면(79a)과 함께 테이블을 향하여 제공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3)은 에어 주름상자(80)내 압력이 0 바로 떨어질 때 상기 방법에서 제조된 클램핑 좁은 입구(jaw) 장치(86)를 개방한다.
웨브(79)와 고무 스트립(84) 사이에 있는 클램핑 좁은 입구(jaw) 장치(86)에서,다른 측 막대 부(76)의 밖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한 탄성 비드 부(88)의 수단에 의해 인쇄 테이블(74)에 공급되는 스크린 인쇄 판(26)의 가장자리 영역을 연장한다. 상기 탄성 가장자리(88)는 여기에서 매끄러운 효과를 만든다.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53)을 가지지 않는다.; 플라스틱 막대(82a)는프레임의 유연성을 보상하기 위해 또는 판 가장자리 위의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해 가능하게 위로 휘어진다.
도 15 및 16은 조립체 보조품을 나타내고; 도 15에서 클램핑 좁은 입구(jaw) 장치 (86)는 각을 이루고 안팎 인쇄판의 정합 또는 맞추는 핀(68a) 및 축(92) - 자성 스트립(94) 아래에 결합된 자성 판(90)을 수용한다. 상기 장치에 의해 스텐실(26)의 가장자리 영역은 더 좋게 취급될 수 있다.
도 16은 안내 및 좌측 수단으로써 스크린 인쇄 판(26)을 대항하는 가장자리에서 탄성 호일(27)을 구비한 진공 막대(98) 위에 흡입관 컵(96)을 도시한다.
보호는 도 15 및 16에서 나타낸 조립체 보조품을 위해 개별적으로 청구되었다.

Claims (30)

  1. 플라스틱 실들(12,14)은 증기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그 위에 제조되는 케이싱 층(18)으로 코팅되고 차례로 에멀젼을 이동하는 금속 코팅(22)에 의해 덮어 씌워지고 및 갈바니 전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으로 교차한 플라스틱 실을 구성하는 스크린 인쇄 모직물 및 에멀젼을 구성한 코팅을 가진 스크린 인쇄 형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층(18)은 금속 재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층(18)은 가능한 순수 형태에서 금, 은, 니켈 또는 구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층(18)은 합금 구성분 또는 구성분들로써 금, 은, 니켈, 구리, 강 및/또는 경금속, 특히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와 200 나노미터 사이, 특히 약 50과 200 나노미터 사이의 케이싱 층(18)을 위한 층 두께 및/또는 약 0.2 ohm/2 내지 200 ohm/2의 케이싱 층(18)에 관한 표면 저항으로 특징지워지는 스크린 인쇄 형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층(18) 위에 갈바닉 전기로 제조된 금속 코팅 (22)은 약 2μm 내지 20μm의 층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26)은 니켈을 함유하고 및 바람직하게 니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22) 위의 덮개를 형성하는 에멀젼은 보호 호일(foil)에 의해 덮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형체 크기의 스크린 인쇄 판(26)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10a)의 밖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 판(26)은 인쇄 프레임(24)에 고정을 위한 연결 요소(28,28e,28f)와 함께 두 개의 반대편으로 배치된 가장자리에 제공되고 및/또는 스크린 인쇄 판(26)의 가장자리를 위한 연결 요소는 연결 막대(28,28e,28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형태.
  11. 선행하는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 프레임에서, 스크린 인쇄 형태는 고정되고 치환 가능한 고무 걸레 또는 그와 같은 도구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른 두 개의 평행한 영역에서 인장되는 것으로써,
    상기 스크린 인쇄 형태(26)가 한편으로 인쇄 프레임(24)의 프레임 측(34a 내지 34f) 및 다른 한편으로 인장 막대 (40) 또는 그와 같이 상기 프레임 측에 평행한 인쇄 프레임내에서 치환 가능한 구동 요소인 두 개의 평행 판 가장자리에 나열된 연결 막대(28, 28a,28f,44)의 삽입물과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모직물의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인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막대(40)가 인쇄 프레임 내부 힘 저장 수단(42)의 수단에 의해 인쇄 프레임(24)의 프레임 측(34) 중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인장 위치에서 그의 프레임 측(34)으로 부터 인장 막대(40)의 공간이 기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위치에서 그의 프레임 측(34)으로 부터 인장 막대(40)의 공간이 기압 또는 수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 판(26)은 인쇄될 상부 표면(30)에 관하여 일정한 간격(h)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S-형상으로 각을 이룬 형상의 연결 요소 또는 연결 막대(28) 및 인장 위치에서 단부 지지 림 (29)이 한편으로 프레임 측(34a,34c) 또는 틀램핑 막대(40)의 하부 가장자리(38)에 대항하여 및 다른 한편으로 중공 프레임 측 또는 중공 인장 막대의 하부 절단 형상의 내부 공간내 어깨부에 대항하여 놓인( 도 4 및 6)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S-형상으로 각을 이룬 형상인 연결 막대(28) 및 인장 위치에서 단부 지지 림(28)이 중공 프레임 측 (34) 또는 중공 인장 막대(40c)의 내부 공간에 연장하는 인장 축(50)의 지지 표면 (48)을 대항하여 지탱(도 6 및 9)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8.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막대(44)가 스크린 인쇄 판(26)의 판에 관하여 경사지고 및 프레임 측(34b) 또는 인장 막대(40b) 의 경사진 그루브(66) 내부로 맞춰지게 되는 것으로 채택되는 훅 막대(도 5 및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9.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막대(28e)가 각(W)에서 스크린 인쇄 팜의 평면의 밖으로 굽어지고 및 프레임 측(34e) 또는 인장 막대(40) 내의 평행하게 경사진 슬롯(60) 내부로 맞춰지도록 채택되는 지지 림 (29a)(도 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0.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 판(26)이 연결 요소로써 장착 프로파일 부재(54) 내부로 맞춰지는 각 스트립 비드(58)를 각각의 두 개의 평행한 가장자리에 구비하는(도 7)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8,28e,44,54)는 힘 저장 수단(52)에 의해 인장 위치에 지지되고, 여기에서 가능하게 상기 힘 저장 수단(52)은 프레임 측(34d,34e) 또는 인장 막대(40)의 클램핑 부(62)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2.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34f) 또는 인장 막대(40)의 안팎 인쇄판의 정합 또는 클램핑 핀(68)이 연결 막대(28f)를 통하여 관통하고, 및 상기 연결 막대는 압력 바(bar)(70)에 의해 프레임 측 또는 인장 막대의 표면 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3. 제 1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에어 주름상자인 단면이 변할 수 있는 프로파일 부재 (80)가, 경사진 그루브(68)와 함께 개방 중공 프로파일 (78)내에 제공되고, 및 탄성 스트립 부(84)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막대 부(82)인 그루브 개구를 향하여 그것과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립 부(84)가 상기 스크린 인쇄 판(26)과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클램핑 좁은 입구(jaw) 장치(86)를 형성하는 막대 부(82)가, 상기 막대 부 위로 체결하고 및 중공 프로파일 부재(78)에 연결되는 웨브(79)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힘 저장 수단(53)은 클램핑 좁은 입구(jaw) 장치(86)를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7.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비드(88) 또는 상기와 같은 탄성 가장자리가 스크린 인쇄 판(26)을 위한 접합부로써 중공 프로파일 부재(78)로 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8.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79) 및/또는 상기 탄성 비드(88)가 중공 프로파일 부재(78)의 상기 막대 부(76)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9. 제 23 항 및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립 (84)이 상기 막대 부(82)와 함께 유연하게 결합되고 및 스크린 인쇄 판(26)의 고정 조건에서 스크린 인쇄 판(26)의 가장자리 영역과 함께 죄여지도록 동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 판의 가장자리, 심지어 그것에 마주하는 인쇄 영역은 임의의 강화 수단 또는 그와 같은 연결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19997002120A 1996-09-13 1997-09-10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 형태 및 장치 KR20000036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7272 1996-09-13
DE19637272.0 1996-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101A true KR20000036101A (ko) 2000-06-26

Family

ID=780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120A KR20000036101A (ko) 1996-09-13 1997-09-10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 형태 및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258445B1 (ko)
EP (1) EP0925195B1 (ko)
JP (1) JP2001500077A (ko)
KR (1) KR20000036101A (ko)
CN (1) CN1230147A (ko)
AT (1) ATE203462T1 (ko)
AU (1) AU4702097A (ko)
BR (1) BR9711793A (ko)
CA (1) CA2265683A1 (ko)
CZ (1) CZ75399A3 (ko)
DE (3) DE19738873A1 (ko)
ES (1) ES2162673T3 (ko)
ID (1) ID19179A (ko)
PT (1) PT925195E (ko)
TW (1) TW494063B (ko)
WO (1) WO1998010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4030B2 (en) * 2002-12-30 2009-04-07 Albany International Corp. Fabric characteristics by flat calendering
DE502005005446D1 (de) 2004-04-21 2008-11-06 Kissel & Wolf Gmbh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textilen Flächenbildes an einer Halterung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20060222828A1 (en) * 2005-04-01 2006-10-05 John Boyle & Company, Inc. Recyclable display media
GB2435011B (en) * 2006-02-08 2010-06-02 Dek Int Gmbh Printing screens, frames therefor and printing screen units
DE102007010936A1 (de) 2007-03-07 2008-09-11 Biotronik Crm Patent Ag Siebdruck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FR2977189B1 (fr) * 2011-07-01 2014-11-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impression serigraphique pour cellule photovoltaique
TWI532537B (zh) * 2011-08-10 2016-05-11 太陽誘電化學技術股份有限公司 包含底質薄膜之印刷用構造體、印刷用孔版及該印刷用構造體之製造方法
TW201313489A (zh) * 2011-09-16 2013-04-01 Askey Technology Jiangsu Ltd 佈錫於印刷電路板用的網板
KR20170048375A (ko) * 2014-08-01 2017-05-0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스크린 프린팅 장치 및 방법
US9573357B2 (en) 2014-12-12 2017-02-21 Patricia G. Bordeaux One-piece foam frame for mounting screen and/or screen stencil film to create screens for manual and small off-contact printing substrates
CN106739448A (zh) * 2017-01-22 2017-05-31 赫日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无网结网版
DE102018004023A1 (de) * 2017-05-17 2018-11-22 AGC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r gedruckten schicht versehenen basiselements und mit gedruckter schicht versehenes basiselement
EP3482934B1 (de) * 2017-11-10 2021-06-30 Exentis Group AG 3d-siebdrucksystem zum drucken dreidimensional geformter struktur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53973A (en) 1971-10-27 1974-09-03 Robert L. Morrison Screen printing plates
DE2936135A1 (de) 1979-09-07 1981-03-19 Elmar Dr. 8000 München Messerschmitt Siebdruckrahmen mit wechselgeweberahmen
JPS60262689A (ja) 1984-06-12 1985-12-26 Sono Kogyo Kk 改良スクリ−ン版
JPH0736748Y2 (ja) 1989-05-29 1995-08-23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版
NL9200495A (nl) 1992-03-17 1993-06-01 Stork X Cel Bv Dessineerraam.
NL9302238A (nl) 1993-12-22 1995-07-17 Stork Screens Bv Metallisch zeefmateriaal met draad- of vezelstruktuur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een dergelijk materia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00077A (ja) 2001-01-09
BR9711793A (pt) 1999-08-24
ATE203462T1 (de) 2001-08-15
EP0925195B1 (de) 2001-07-25
CN1230147A (zh) 1999-09-29
ID19179A (id) 1998-06-28
DE19738879A1 (de) 1998-04-30
US6258445B1 (en) 2001-07-10
ES2162673T3 (es) 2002-01-01
PT925195E (pt) 2002-01-30
TW494063B (en) 2002-07-11
CA2265683A1 (en) 1998-03-19
CZ75399A3 (cs) 1999-07-14
DE19738873A1 (de) 1998-04-16
EP0925195A1 (de) 1999-06-30
WO1998010941A1 (de) 1998-03-19
DE59704140D1 (de) 2001-08-30
AU4702097A (en) 199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6101A (ko) 유연한 스크린 인쇄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 형태 및 장치
US5660632A (en) Apparatus for spreading material onto a substrate
US4705608A (en) Process for making screen printing fabrics for screen printing cylinders
CA2651816C (en) Fixture for anti-marking coverings for printing presses
US6364247B1 (en) Pneumatic flotation device for continuous web processing and method of making the pneumatic flotation device
US6284679B1 (en) Method to produce a fabric strip, especially for a screen printing form, and fabric, especially screen printing fabric
US6189448B1 (en) Dual image stencil apparatus having stencil including sections with curled edges
JPH04361043A (ja) 裏写りを生じない孔版印刷法
US6079352A (en) Apparatus for coating a solution onto a sheet substrate
MXPA99002290A (en) Screen printing form and flexible screen printing form accommodating device
CA2317031C (en) Process for coating a solution onto a substrate
US5740734A (en) Drum and stencil for a stencil printer
JP2005187910A (ja) めっき処理用治具及びめっき処理方法
EP0904937B1 (en) Stencil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165295A (ja) 輪転式孔版印刷装置の版胴
US20010032555A1 (en) Stencil printing apparatus
JPH08104022A (ja) 画像形成装置
JPH026076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