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578A - 자기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578A
KR20000035578A KR1019990051492A KR19990051492A KR20000035578A KR 20000035578 A KR20000035578 A KR 20000035578A KR 1019990051492 A KR1019990051492 A KR 1019990051492A KR 19990051492 A KR19990051492 A KR 19990051492A KR 20000035578 A KR20000035578 A KR 20000035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mory cell
layer
signa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988B1 (ko
Inventor
후고 반덴 베르크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0003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 G11C11/1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using multiple magnetic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73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메모리 셀(1)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필드(11), 워드 라인(3)에 할당된 어드레싱 회로 및 센스 라인(4)에 할당된 평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셀(1)은 워드 라인(3)과 센스 라인(4)의 교차점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셀의 논리적인 데이터 내용은 자기적 상태에 의해서 규정되며,
상기 어드레싱 회로에 의해서는, 데이터 내용이 판독 출력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메모리 셀(1)의 워드 라인(3)에 판독 전압(V)이 공급되며,
상기 평가 회로에 의해서는,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 내용에 상응하는 신호가 검출 및 평가되며, 이 경우 상기 평가 회로는 비교 회로(16)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회로에 의해서는 기준 요소로부터 제공되는 기준 신호(Vr)가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들)의 센스 신호(Vs)와 비교되도록 구성된, 선택적(optional) 액세스 타입 자기 기억 장치(MRAM)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 기억 장치 {MAGNETIC MEMORY}
본 발명은, 다수의 메모리 셀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필드, 워드 라인에 할당된 어드레싱 회로 및 센스 라인에 할당된 평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셀은 워드 라인과 센스 라인의 교차점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셀의 논리적인 데이터 내용은 자기적 상태에 의해서 규정되며, 상기 어드레싱 회로에 의해서는, 데이터 내용이 판독 출력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메모리 셀의 워드 라인에 판독 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평가 회로에 의해서는,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 내용에 상응하는 신호가 검출 및 평가되도록 구성된, 선택적 액세스 타입 자기 기억 장치(MRAM)에 관한 것이다.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상기 방식의 자기 기억 장치(MRAMs)에서 데이터 정보는, 워드 라인과 센스 라인의 교차점에 배치된 자기 메모리 셀의 정보 매체층내에 자기화 방향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메모리 셀을 판독 출력하기 위해서는, 센스 라인 또는 워드 라인에 (하기에서는 항상 워드 라인에) 판독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워드 라인 또는 센스 라인을 통해서는 메모리 상태를 재반영하는 메모리 셀의 임피이던스에 의해 변동된 신호가 관련 워드 라인 증폭기 회로 및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에 의해서 평가된다.
이 경우 정보 내용("1" 또는 "0")에 따른 메모리 셀의 임피이던스내에서의 상대적인 차이는 통상적으로 약 20%에 달하며, 이것은 비교적 적은 값이다. 다른 모든 메모리 셀이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에 대해 측면 경로(side path)를 형성하고,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의 임피이던스 차이의 효과를 이미 워드 라인당 약 100개의 요소에서 일정 크기만큼 약화시킬 정도로 큰 기생 임피이던스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기생 임피이던스가 하기의 평가 회로에 의해 분석되는, 센스 라인을 통해 얻어지는 신호(센스 신호)에 유리하지 않게 작용한다는 사실은 임피이던스 차이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자기 기억 장치에서는 제조로 인하여 전하 내부에서, 웨이퍼 내부에서 및 개별 자기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 필드 내부에서도 메모리 셀의 절대 임피이던스의 변동이 나타난다. 그 결과, 절대적인 임피이던스 측정은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의 메모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부속품을 필요로하지 않게 된다.
하나의 메모리 셀의 메모리 내용을 결정하는 지금까지 공지된 조치는 하기와같다: 메모리 셀은 관련 워드 라인 및 센스 라인의 작동에 의해서 및 메모리 셀에 판독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리고 메모리 셀의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판독 출력된다. 그렇게 얻어진 측정-신호는 예를 들어 용량성으로 일시 기억된다. 그 다음에 메모리 셀이 공지된 값("1" 또는 "0")으로 새롭게 기록되어 재차 판독 출력되며, 실제의 메모리 상태를 검출할 수 있기 위하여 일시 기억된 측정-신호와 상기 새로운 측정-신호가 비교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치를 다수의 단계로 실시하는 것이 명백하게 단점이 된다.
공지된 추가의 부속품으로서는 메모리 셀 내부에 있는 자기 기준층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영구적인 자기 기준층과 가변적인 자기 기준층 사이가 재차 상이할 수 있다. 영구적인 자기 기준층에서는 이미 전술된 절대 임피이던스의 변동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절대 임피이던스의 변동이 상세하게 관찰되지 않는다. 자기적 방위가 가변적인 자기 기준층은 메모리 셀을 판독 출력하기 위해서 워드 라인 또는 센스 라인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규정된 방향으로 자기적으로 방향 설정될 수 있다(기준 방향). 이 경우 방위의 방향 변동 및 그에 따른 절대 임피이던스의 방향 변동은 절대적인 임피이던스값 대신에 평가된다. 이 때 데이터 내용과 동등하게 될 수 있는 정보 매체층의 자기화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며, 비교적 약하게 자기화된 기준층은 자성 전도된다. 기준층이 자기적으로 더 강한 층이고 정보 매체층이 변환되는 기억 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지금까지 공지된 모든 방법 및 기억 장치는, 메모리 셀 정보의 판독 출력이 더 큰 시간 비용을 야기하는 연속 공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으로 진행되는 공정 또는 방법에 의해 야기되는 정보의 재기록에 의해서 시간 손실이 나타나지 않으며, 메모리 셀의 절대 임피이던스의 제조에 기인한 변동과 무관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자기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서로 교차되는 센스 라인 및 워드 라인을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CPP-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평가 회로의 기본 원리 회로도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신호 형성에 중요한 소자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메모리 셀 필드 외부에 기준 요소를 갖춘 평가 회로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6은 자기 메모리 셀이 필드내에 집중된 메모리 셀 필드 외부에 기준 요소를 갖춘 평가 회로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7은 센스 라인을 통해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메모리 셀 필드 외부에 기준 요소를 갖춘 평가 회로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8은 워드 라인을 통해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메모리 셀 필드 내부에 기준 요소를 갖춘 평가 회로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9는 워드 라인을 통해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평가 회로의 기본 원리 회로도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기준 요소의 도움으로 신호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소자들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11은 스위치와 접속된 워드 라인을 통해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메모리 셀 필드 내부에 기준 요소를 갖춘 평가 회로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12는 워드 라인을 통해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메모리 셀 필드 내부에 평가 회로 및 다수의 기준 요소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메모리 셀 2 : 기판
3 : 워드 라인 4 : 센스 라인
5 : 제 1 자기 재료층 6 : 터널 배리어층
7 : 제 2 자기 재료층 8 : 제 1 타입의 자기층
9 : 감결합층 10 : 제 2 타입의 자기층
11 : 메모리 셀 필드 12 :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
13 : 기록 전류 소스 14 : 스위치
16 : 비교 회로 16A : 차동 증폭기
16B : 저항기 17 : 기준 요소
18 : 기준 증폭기 회로
V : 판독 전압 Vr : 기준 신호
Vs : 센스 신호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술된 방식의 자기 기억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평가 회로는 비교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 회로에 의해서는 기준 요소로부터 제공되는 기준 신호가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센스 신호와 비교된다.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 칩상에 형성된 기준 요소가 제공됨으로써 웨이퍼 또는 전하의 절대 임피이던스 변동의 영향에 의해 판독 출력 과정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럼으로써, 절대 임피이던스의 강한 변동이 초래되지 않으면서 메모리 셀의 정보가 판독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메모리 셀의 센스 신호 및 기준셀의 기준 신호에 의해 비교 회로내에서 차분 신호가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 비교 회로는 바람직하게 저항기가 할당된 차동 증폭기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저항기의 한 단부는 차동 증폭기의 입력과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차동 증폭기의 출력과 접속되며, 차동 증폭기의 입력 앞에 저항기가 접속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워드 라인 및 센스 라인은 접지 스위치에 의해 각각 접지와 접속될 수 있다. 그로부터 얻어지는 장점은, 신호 검출을 위해 필요치 않은 워드 라인 및 센스 라인이 접지되는 경우에는 전체 메모리 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기생 요소가 확연하게 감소된다는 점이다.
기준 요소는 바람직하게,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이 메모리 셀(들)의 특성에 매칭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특성의 변동에 의해 메모리 셀의 특성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준 요소는 메모리 셀 필드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기준 요소는 바람직하게 기준 증폭기 회로와 직접 접속되며, 상기 회로는 기준셀의 신호를 기준 신호로 편집한다.
메모리 셀의 자기적 및 전기적 특성이 메모리 셀 필드 내부에서 지나치게 변동되면, 상기 메모리 셀 필드를 거의 동일한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을 갖는 관련 메모리 셀의 다수의 상이한 셀 영역으로 세분하고, 상기 셀 영역들에 고유의 기준 요소 및 기준 신호를 할당하는 것은 본 발명에 장점이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의 센스 신호와 기준 요소의 센스 신호의 차분 신호의 질(quality)이 그대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들)과 가급적 동일한 자기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기준 요소가 메모리 셀 필드 내부에 배치된 메모리 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준 요소의 센스 라인은 기준 증폭기 회로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고 공간적으로 변동 가능하게 형성된 기준 요소는, 상기 요소가 판독 출력될 기억 소자 옆에 배치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준 요소는 동일한 워드 라인상에 및 또한 동일한 센스 라인상에도 배치되지 않는다. 즉,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인접한 워드 라인 및 센스 라인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기준 요소의 워드 라인이 비교 회로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라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에 인접한 다수의 기준 요소가 제공되는데,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의 워드 라인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기준 요소의 워드 라인은 비교 회로와 공통으로 접속된다. 그에 따라 추가 실시예에서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의 워드 라인에 제공되는 전압 레벨과 다른 전압 레벨이 기준 요소의 센스 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 셀 필드의 메모리 셀은 바람직하게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기판상에 워드 라인이 제공되고, 상기 워드 라인상에 제 1 자기 재료층, 자기 터널 배리어층 및 제 2 자기 재료층이 제공되며, 상기 층들 위에는 워드 라인과 교차된 센스 라인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층구성의 컨덕턴스는 제 1 자기 재료층 및 제 2 자기 재료층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금속 전극의 페르미 레벨(Fermi level)에서의 에너지 레벨 밀도에 비례한다. 상기 2개의 전극이 자성을 가짐으로써 터널 배리어층을 통과하는 전류는 2개의 스핀 채널(spin channel)로 분리되며, 이 때 상기 채널의 스핀 방향은 다른 하나의 자기층보다 자기적으로 더 강한 상이한 타입의 자기층의 자기화를 따른다. 이 경우 각각 하나의 스핀 채널내의 터널 전류는 상기 스핀 방향을 위해 배리어의 양측면에서의 에너지 레벨 밀도에 비례한다. 더 약한 층의 자기화 방향이 더 강한 층과 관련하여 변동되면, 그와 동시에 더 약한 층의 에너지 레벨 밀도가 2개의 스핀 채널을 위해 변동된다. 그 결과 배리어를 통해 흐르는 전체 전류가 변동된다.
메모리 셀은 또한 매우 바람직하게는 제 1 타입의 자기층, 감결합층, 제 2 타입의 자기층 및 재차 감결합층 그리고 상기 배열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연속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연속층은 서로 교차되는 센스 라인과 워드 라인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2 타입의 자기층에 대한 제 1 타입의 자기층의 자기화 방향의 전환에 의해서는 상기 연속층 스택의 저항이 변동된다. 그럼으로써 제 1 타입 자기층 및 제 2 타입 자기층의 병렬 자기화와 역병렬(anti-parallel) 정렬 사이의 저항차가 저항차에 의한 비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계속 설명된다.
도 1에는 메모리 셀(1)을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판(2)상에는 센스 라인(4)이 제공되며, 센스 라인상에는 그 위에서 센스 라인(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워드 라인(3)이 제공된다. 워드 라인(3)과 센스 라인(4) 사이의 교차점에는 제 1 자기 재료층(5), 터널 배리어층(6) 및 제 2 자기 재료층(7)으로 구성된 연속층이 배치되며, 이 연속층이 메모리 셀(1)을 형성한다. 2개의 자기층(5 및 7)은 한편으로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준층으로서 이용된다. 하기에서 자기층(7)은 정보 매체층으로 가정되고, 자기층(5)은 상기 정보 매체층(7)보다 자기적으로 더 약한 재료로 이루어진 기준층으로 가정된다. 하나의 메모리 셀(1)을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해 상응하는 워드 라인(3)에는 전압이 공급되며, 해당 센스 라인(4)은 적어도 가상으로 접지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 셀을 판독 출력하기 위해서는, 정보 매체층(7)의 자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기준층(5)의 자기화 방향이 목표한 대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층구조의 컨덕턴스는 제 1 및 제 2 자기 재료층(5 및 7)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금속 전극의 페르미 레벨에서의 에너지 레벨 밀도에 비례하며, 상기 금속 전극은 한편으로는 워드 라인(3)과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센스 라인(4)과 접속된다. 상기 전극이 자성을 가짐으로써 터널 배리어층(6)을 통과하는 전류는 2개의 스핀 채널로 분리되며, 이 때 상기 채널의 스핀 방향은 다른 자기층보다 자기적으로 더 강한 상이한 타입의 자기층(5 또는 7)의 자기화를 따른다. 이 경우 각각 하나의 스핀 채널내의 터널 전류는 상기 스핀 방향을 위해 배리어의 양측면에서의 에너지 레벨 밀도에 비례한다. 더 약한 층의 자기화 방향이 더 강한 층과 관련하여 변동되면, 그와 동시에 더 약한 층의 에너지 레벨 밀도가 2개의 스핀 채널을 위해 변동된다. 그 결과 배리어를 통해 흐르는 전체 전류가 변동된다.
도 2는 층들이 연속으로 적층된 형태로 된 자기 기억 장치 셀(1)의 추가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보여주며, 상기 연속층 스택은 제 1 타입의 자기층(8), 감결합층(9), 제 2 타입의 자기층(10) 및 재차 감결합층(8), 그리고 이와 같은 배열의 반복으로 조성된다. 자기 기억 장치 셀(1)을 형성하는 상기 연속층 스택은 서로 교차되는, 센스 라인(4)과 이 센스 라인(4)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워드 라인(3)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매트릭스 형태의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는 워드 라인(3)(M개) 및 센스 라인(4)(N개)의 교차점에 배치된 메모리 셀(1)을 보여준다. 센스 라인(4)은 기록 전류 스위치(13A)를 통해서는 기록 전류 소스(13)와 접속되고, 판독 스위치(12B)를 통해서는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와 접속된다. 메모리 셀(1)을 판독 출력하기 위해 워드 라인(3)에는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셀(1B, 1C 및 1D)에 의해 직접 둘러싸여 있는 메모리 셀(1A)이 판독 출력되어야 한다면, 워드 라인(3A)에는 판독 전압(V)이 공급되고, 기록 전류 스위치(13A)는 개방되며 판독 스위치(12B)는 폐쇄된다.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센스 라인(4A)을 통과하는 자체 조절되는 신호 전류(Is)는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에 의해서 평가되며, 상기 회로의 입력(12C)은 가상으로 접지된다. 이 경우 전류-전압 트랜스(12A)는, 2가지 정보 상태("1" 및 "0")에서의 메모리 셀(1A)의 임피이던스 차(ΔR/R)로 인해 하나의 정보를 가지는 신호 전류(Is)를 검출될 신호(ΔV)로 변환시키는 트랜스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단점은, 다른 메모리 셀들(1)이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까지 이르는 측면 경로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입력(12C)이 가상으로 접지되지 않고 오히려 임피이던스를 통해 결합되면, 다른 메모리 셀들(1)의 측면 경로는 하기의 식으로 산출되는 기생 전체 임피이던스(Zp)에 모두 합산된다(하기 식에서 R은 개별 메모리 셀(1)의 임피이던스이다):
검출될 신호(ΔV)에 대해서, 절연된 개별 메모리 셀에 비해 신호 편차가 하기의 식에 따라 적어도 (약 팩터 104의) 크기만큼 감소된다고 가정하면, 워드 라인당 다만 약 100개의 소수의 요소만이 받아들여진다:
판독 과정을 위한 셀(1A)을 재프로그래밍하기 위해 필요한 용량이 하기 식에 따라 M과 더불어 더 강하게 증가하면, 펄스 지속 시간이 10ns이고, 워드 라인이 약 100개이며, 판독 과정당 R=105Ω, ΔR/R=20% ΔV=50mV일 때 상기 메모리 셀에서는 약 5nJ가 소산되며, 이것은 상기 적용을 위해서는 일정 크기만큼 지나치게 높게된다: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센스 라인(4A)의 가상 접지에 의해서 및 접지 스위치를 통한 필요치 않은 모든 센스 라인(4)의 접지에 의해서는, 기생 임피이던스의 네트워크 및 그에 따라 전체 기생 임피이던스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의 개수가 명백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ELESE는 M3대신 M에 계속적으로 비례한다.
도 4에는, 접지 스위치(14)를 통해 필요치 않은 센스 라인(4)이 접지된 기생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센스 라인(4A)의 접지 스위치(14A)는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 병렬 회로 및 직렬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기생 네트워크(22 및 23)는 하기와 같이 조성된다: 네트워크(22)는 워드 라인(3A)(2개의 요소가 도시됨)의 M-1 메모리 셀 임피이던스의 병렬 회로로 이루어지고, 전체 네트워크(23)는 (N-1)-배로 나타나며, 이 경우 하부 네트워크(24)는 각각 M-1 메모리 셀 임피이던스의 병렬 회로로 이루어진다(2개의 요소가 도시됨).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에 대한 입력(12C)은 가상으로 접지된다. 그렇기 때문에 출력 신호(ΔV)는 실제로 전류-전압 트랜스(12A)의 임피이던스(RU), 및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임피이던스(RS) 및 변동(ΔRS)에 의해서 하기의 식에 따라 결정된다:
자기 기억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근거로 하는 메모리 셀의 절대 임피이던스(RS)의 변동에 의해서는, 상기 임피이던스의 절대적인 규정들이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메모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메모리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하기의 조치일 수 있다. 워드 라인(3A)에 판독 전압(V)을 공급하고,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임피이던스를 측정하며, 그 결과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 셀(1A)을 규정된 메모리 상태로 재프로그래밍하며, 메모리 셀(1A)의 임피이던스를 재차 측정한 후에 얻어지는 결과를 이전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데이터 상태가 검출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판독 출력 후에는 정보가 재차 새롭게 기록 입력되어야 하고 판독 과정이 연속으로 진행되는 소수의 개별 단계들로 나누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사용된 자기 기준층이 정보 매체층보다 자기적으로 더 약한 소위 강-약 시스템으로 메모리 셀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정보의 새로운 기록 입력이 필요치 않은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는 자기 기준층의 자기화 방향이 변동되기 때문이다.
도 5에는, 메모리 셀 필드(11) 및 해당 기준 증폭기 회로(18) 외부에 추가의 기준 요소(17), 및 상기 기준 증폭기 회로(18)의 신호 및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의 신호를 서로 비교하는 비교 회로(16)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준 요소(17)의 전기적 특성 및 자기적 특성은 메모리 셀들(1)의 전기적 특성 및 자기적 특성에 매칭된다. 이와 같은 매칭은 기준 요소 자체를(예를 들어 상기 요소의 표면을) 변동시킴으로써 또는 기준 증폭기 회로(18)의 임피이던스(18a) 혹은 관련 저항 네트워크를 매칭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판독 출력 과정을 위해서는 워드 라인(3A)을 통해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에 판독 전압(V)이 공급된다. 세팅되는 신호 전류는 센스 라인(4A)을 통해 얻어지고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에 의해 평가된다. 그렇게 얻어진 센스 신호(Vs)는 기준 증폭기 회로(18)의 기준 신호(Vr)와 함께 비교 회로(16)에 의해서 평가되며, 상기 비교 회로는 하기에서 측정-신호(Vm)로 언급되는, Vs 및 Vr로부터 얻어지는 차분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회로의 기본 사상은, 메모리 셀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에 상응하는 신호와 센스 신호(Vs)의 차이 형성에 의해서 메모리 셀(1)의 특성이 비교 회로(16)를 이용한 평가시에 제거됨으로써, 다만 메모리 셀의 자기화 상태만이 임피이던스 측정의 결과를 결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이상적인 경우에는 메모리 셀의 절대 임피이던스의 제조에 의해 야기되는 변동의 장애적인 영향이 충전에 따라서 또는 심지어 하나의 웨이퍼의 전체 메모리에 의해서도 제거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볼 수 있다. 임피이던스 특성이 유사한 메모리 셀들은 셀 영역(19)으로 종합된다. 상기 셀 영역(19)에 고유의 판독 전압(Vi)이 할당되거나 또는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의 임피이던스(12A) 및/또는 기준 증폭기 회로(18)에 할당된 임피이던스(18A)가 매칭되거나 또는 기준 요소(17)에 상이한 전압(Vg)이 공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측정 신호(Vm)는 메모리 셀들(1)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의 장애적인 영향을 거의 받지않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해당 기준 요소(17)를 갖는 기준 증폭기 회로(18)가 또한 다중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셀 영역(19)을 한정하고 기준 특성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자기 기억 장치가 측정되어야 한다. 이 때 자기 기억 장치의 극복될 분산은 제한된다.
도 7은, 기준 요소가 메모리 셀 필드(11) 내부에 배치된 기준셀(1R)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추가 변형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에 인접한 메모리 셀에 의해 형성되는 기준셀(1R)의 신호가 센스 라인(4B)을 통해 기준 증폭기 회로(18)에 제공된다. 기준셀(1R)에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워드 라인(3A)을 통해 판독 전압(V)이 공급된다. 이 경우 신호(Vs 및 Vr)를 비교 측정할 때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 및 기준셀(1R)이 동일한 메모리 상태를 가지면, 즉 메모리 셀(1A)의 명백하게 한가지 메모리 상태가 전압(Vm)에 할당될 수 없으면 비교 회로(16)의 출력 신호(Vm)가 0이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더이상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동일 워드 라인(3A)상에 배치되지 않는 기준셀(1R)의 신호는 워드 라인(3B)을 통해 기준 증폭기 회로(18)에 제공된다. 이 때 메모리 셀(1E)은 기준셀(1R)에 등가인 셀이다. 메모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기준셀(1R)이 있는 센스 라인(4B)에 및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워드 라인(3A)에 판독 전압(V)이 공급된다.
도 9에는, 집적 방식으로 형성된 기준 요소(1R)를 갖는 자기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1D, 1B 및 1R)은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직접 이웃이다. 측정 검출에 관여하지 않은 모든 센스 라인 및 워드 라인(4 및 3)은 폐쇄된 접지 스위치(14)를 통해 접지된다(14A 내지 14D는 개방됨). 워드 라인(3A) 및 센스 라인(4B)에는 판독 전압(V)이 공급된다.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신호는 판독 스위치(12B)를 통해 접속된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까지 센스 라인(4A)을 통해서 안내되며, 상기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의 출력에서는 센스 신호(Vs)가 준비된다. 기준셀(1R)의 신호는 워드 라인(3B) 및 기준 스위치(18B)를 통해 기준 증폭기 회로(18)까지 안내되어 기준 신호(Vr)로 처리된다. 비교 회로(16)는 2개의 신호(Vr 및 Vs)를 측정-신호(Vm)로 계속 처리한다.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센스 라인(4A)상에 있는 메모리 셀(1B)은 기준 증폭기 회로(18)의 입력 및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의 입력을 통해 양측면으로 가상으로 접지되기 때문에, 기준 요소(1R)의 신호에 대해 단점적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메모리 셀(1D)은 워드 라인(3A) 및 센스 라인(4B)상에서 판독 전압(V)과 양측면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측정-전압(Vm)에 대해 단점적인 영향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도 10에는, 접지 스위치(14)를 통해 불필요한 센스 라인(4) 및 워드 라인(3)이 접지된, 중요 기생 요소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생 임피이던스(1F)는 (N-2)-배로(도면에는 단지 2개만 도시됨) 그리고 기생 임피이던스(1G)는 (M-2)-배로(도면에는 단지 2개만 도시됨) 병렬 회로로서 나타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판독 전압(V)과 양측면으로 결합된 메모리 셀(1D)은 신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기준 증폭기 회로(18)의 입력 및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의 입력을 통해 양측면으로 가상으로 접지된 메모리 셀(1B)도 마찬가지로 신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 회로로부터, 기준 신호(Vr)는 거의 기준 요소(1R)의 임피이던스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메모리 셀 및 기준셀의 2개의 신호가 비교되는 자기 기준층(5)의 참여없이 이루어지는 스태틱 측정시에는, 정보 매체층(7)의 자기화 방향이 동일한 경우, 즉 메모리 셀의 메모리 상태가 동일한 경우에는 2개의 셀이 논리적으로 1을 갖는지 혹은 0을 갖는지가 결정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이내믹 측정시에는, 메모리 셀 및/또는 기준셀의 메모리 내용이 측정-신호(Vm)의 제 1 측정 후에 규정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초기에) 오버라이팅되고, 측정-신호(Vm)의 제 2 측정시에 (최종적으로) 검출된다. 메모리 상태는 하기 표와 같이 재현된다.
신호 변동(ΔVm)이 신호 평가에 함께 고려되면, 포지티브한 부호(Vm(최종) 및 하기 표에서의 ΔVm)를 갖는 신호만이 결과로 나타나게 되고, 메모리 셀 및/또는 기준셀의 자성 전도 전에 부호 규정에 따라 신호를 검출할 필요가 없으며, 이것은 판독 과정을 좀 더 신속하게 한다.
기억 소자의 상태를 연속으로 검출해야 하는 필수성은 단점이 된다.
예를 들어 그것의 신호(Vr)가 메모리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의 메모리 셀 및 기준셀의 메모리 상태가 전술한 방식에 따라 결정된 후에는, 상기 신호(Vr)의 기억에 의해서 및 상기 기준셀의 공지된 메모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정보의 추가 판독 과정이 비교를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 칩의 균일성이 이것을 허용하면, 심지어 기준셀의 메모리 상태의 결정 및 기준 신호(Vs)의 결정이 추가의 모든 판독 과정을 위해 충분하게 될 수 있으며, 이것은 신속한 스태틱 판독과 상응한다.
메모리 셀(1A) 및 기준셀(1R)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도 자기 기준층(5)의 도움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측정 신호(Vm)가 자성 전도 전에 및 후에 검출될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다이내믹 측정시 정보 매체층(7)보다 자기적으로 훨씬 더 약한 기준셀(1R)의 자기 기준층(5)은 센스 라인 전류(Ir)가 기준셀(1R)의 센스 라인(4B)을 통과함으로써 전환된다. 이 때 자기 기준층(5)의 자기화 방향은 기준셀(1R)의 정보 매체층(7)의 자기화 방향에 대해 수직이고 센스 라인(4B)을 통과하는 센스 라인 전류(Ir)에 대해 수직이다. 그럼으로써 기준셀(1R)의 임피이던스는 기준셀(1R)내에 저장된 정보와 무관하다. 즉, 메모리 셀들(1)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은 기준셀내에 저장된 정보와 관계없이 다시 반영되며, Vm의 연산 부호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정보 내용을 명확하게 결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매체층의 자기화 방향이 센스 라인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으로 가정되었고, 상기 자기화 방향이 센스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물론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자기 기준층의 "전환 필드"가 워드 라인에 의해서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는, 메모리 상태의 결정 후에 메모리 셀이 재차 새롭게 기록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큰 시간 절약을 의미하는 규정된 상태로 될 필요가 없다.
도 11에는 기준셀(1R)의 센스 라인(4B)을 통과하는 센스 라인 전류(Ir)가 개관을 명확히 할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준 증폭기 회로(18)가 제공되며, 기준셀(1R)의 개별 워드 라인(3)은 작동 스위치(20)에 의해 기준 증폭기 회로(18)와 접속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메모리 셀 필드(11) 내부에서 메모리 셀(1) 임피이던스의 강한 측면 기울기를 보상하기 위해서 상이한 기준셀(1H)의 다수의 신호가 평균된다.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에 대해 대칭으로 및 인접하여 배치된 기준셀(1H)에는 센스 라인(4B 및 4C)을 통해서 센스 라인 전류 스위치(21)에 의해 센스 라인 전류(Ir)가 제공되며, 그 다음에 기준셀(1H)의 자기 기준층(5)의 자기화 방향이 중립으로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4개의 기준셀(1H)의 신호들은 워드 라인(3B 및 3C)으로부터 작동 스위치(20)를 통해 기준 증폭기 회로(18)에 제공된다. 이 때 기준 증폭기 회로(18)는, 기준 신호(Vr)가 올바른 레벨에 있도록 맞추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연속으로 진행되는 공정 또는 방법에 의해 야기되는 정보의 재기록에 의해서 시간 손실이 나타나지 않으며, 메모리 셀의 절대 임피이던스의 제조에 기인한 변동과 무관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자기 기억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9)

  1. 다수의 메모리 셀(1)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필드(11), 워드 라인(3)에 할당된 어드레싱 회로 및 센스 라인(4)에 할당된 평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셀(1)은 워드 라인(3)과 센스 라인(4)의 교차점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셀의 논리적인 데이터 내용은 자기적 상태에 의해서 규정되며,
    상기 어드레싱 회로에 의해서는, 데이터 내용이 판독 출력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메모리 셀(1)의 워드 라인(3)에 판독 전압(V)이 공급되며,
    상기 평가 회로에 의해서는,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 내용에 상응하는 신호가 검출 및 평가되도록 구성된, 선택적 액세스 타입 자기 기억 장치(MRAM)에 있어서,
    상기 평가 회로가 비교 회로(16)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 회로에 의해서, 기준 요소로부터 제공되는 기준 신호(Vr)가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들)의 센스 신호(Vs)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워드 라인(3) 및 센스 라인(4)을 개별적으로 접지와 접속시킬 수 있는 스위치(1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선택된 메모리 셀(들) 및 기준셀이 적어도 한 측에서는 가상으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회로(16)가 센스 신호(Vs) 및 기준 신호(Vr)로부터 얻어지는 차분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기준 요소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이 메모리 셀(들)(1)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기준 요소(17)가 메모리 셀 필드(11)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준 요소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요소(17)가 기준 증폭기 회로(18)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필드가 거의 동일한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을 갖는 관련 메모리 셀의 다수의 상이한 셀 영역(19)으로 세분되며, 각각의 셀 영역에는 매칭되는 기준 신호 또는 고유의 기준 요소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요소가 메모리 셀 필드의 메모리 셀(1)(기준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기준셀(1R)의 신호가 센스 라인(4)을 통해 기준 증폭기 회로(18)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 필드의 메모리 셀로 형성되는 기준 요소(1R)가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들)(1A)의 인접한 워드 라인(3) 및/또는 센스 라인(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기준셀(1R)의 워드 라인(3)이 기준 증폭기 회로(18)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에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기준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기준셀들이 기준 증폭기 회로(18)와 공통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셀에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에 제공되는 전압 레벨과 다른 전압 레벨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비교 회로(16)가 차동 증폭기(16A)로 형성되며,
    상기 증폭기에는 저항기(16B)가 할당되고, 상기 저항기의 한 단부는 차동 증폭기(16A)의 입력과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출력과 접속되며,
    상기 차동 증폭기의 입력 앞에 저항기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회로(16) 앞에는, 한편으로는 기준 요소(17)의 또는 기준셀(1R)의 신호를 기준 신호(Vr)에 제공하기 위한 기준 증폭기 회로(18)가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1A)의 신호를 센스 라인(Vs)에 제공하는 센스 라인 증폭기 회로(12)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억 장치.
  18. 자기 메모리 셀에 있어서,
    기판(2)상에 워드 라인(4)이 제공되고, 상기 워드 라인상에는 제 1 자기 재료층(5), 자기 터널 배리어층(6) 및 제 2 자기 재료층(7)이 제공되며,
    상기 층들상에는 워드 라인과 교차된 센스 라인(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메모리 셀.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기 재료층(5)이 제 2 자기 재료층(7)보다 자기적으로 더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메모리 셀.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제 1 타입의 자기층(8)은 자기 기준층을 형성하고, 제 2 타입의 자기층(10)은 정보 매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메모리 셀.
  21. 자기 메모리 셀에 있어서,
    메모리 셀이 제 1 타입의 자기층(8), 감결합층(9), 제 2 타입의 자기층(10) 및 감결합층, 그리고 이와 같은 배열의 반복으로 구성된 연속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속층이 서로 교차되는 센스 라인과 워드 라인(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메모리 셀.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자기층(8)이 제 2 타입의 자기층(10)보다 자기적으로 더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메모리 셀.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자기층(8)은 자기 기준층을 형성하고, 제 2 타입의 자기층(10)은 정보 매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메모리 셀.
  24. 다수의 메모리 셀(1)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필드(11), 워드 라인(3)에 할당된 어드레싱 회로 및 센스 라인(4)에 할당된 평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셀(1)은 워드 라인(3)과 센스 라인(4)의 교차점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셀의 논리적인 데이터 내용은 자기적 상태에 의해서 규정되며,
    상기 어드레싱 회로에 의해서는, 데이터 내용이 판독 출력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메모리 셀(1)의 워드 라인(3)에 판독 전압(V)이 공급되며,
    상기 평가 회로에 의해서는,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 내용에 상응하는 신호가 검출 및 평가되도록 구성된, 선택적 액세스 타입 자기 기억 장치(MRAM)를 판독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준 요소로부터 제공되는 기준 신호(Vr)를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들)의 센스 신호(Vs)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기준 요소의 기준 신호(Vr)를 저장하며, 메모리 셀의 메모리 내용을 추가로 결정할 때 비교를 위해서 상기 저장된 기준 신호를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의 센스 신호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기준 요소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준 요소의 신호를 기준 증폭기 회로(18)에 의해 공통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셀에는 판독 출력될 메모리 셀에 제공하는 전압 레벨과 다른 전압 레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자기 기준층, 터널 배리어층 및 정보 매체층의 연속층, 또는 자기 기준층, 감결합층, 정보 매체층 및 감결합층 그리고 상기 배열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연속층으로 구성된, 메모리 셀(들)로서 형성된 기준 요소(들)의 자기 기준층의 자기화 방향을 센스 신호(Vs)와 기준 신호(Vr)의 비교 동안에는 정보 매체층(들)의 자기화 방향(들)에 대해 수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51492A 1998-11-19 1999-11-19 자기 기억 장치 KR100349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3447A DE19853447A1 (de) 1998-11-19 1998-11-19 Magnetischer Speicher
DE19853447.7 1998-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578A true KR20000035578A (ko) 2000-06-26
KR100349988B1 KR100349988B1 (ko) 2002-08-22

Family

ID=788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492A KR100349988B1 (ko) 1998-11-19 1999-11-19 자기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59829B1 (ko)
EP (1) EP1003176B1 (ko)
JP (1) JP3801823B2 (ko)
KR (1) KR100349988B1 (ko)
CN (1) CN1252726C (ko)
DE (2) DE19853447A1 (ko)
TW (1) TW498335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932B1 (ko) * 2002-12-10 2005-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셀들을 갖는 자기 램 소자 및 그 구조체
KR100542159B1 (ko) * 2002-01-30 2006-0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고정도로 회로 소자 수가 적은 데이터 판독 구성을 구비한박막 자성체 기억 장치
KR100798092B1 (ko) * 1999-12-08 2008-01-28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Mtj가 적층된 셀 메모리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0824131B1 (ko) * 2001-01-10 2008-04-21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메모리 셀 판독 방법 및 시스템
KR100845524B1 (ko) * 2001-07-24 200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어레이 판독 방법
KR100846542B1 (ko) * 2000-11-27 2008-07-1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6526B1 (en) 1999-06-17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o-resistance effect element, magneto-resistance effect memory cell, MRA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formation write to or read from the magneto-resistance effect memory cell
KR100348863B1 (ko) * 1999-12-30 2002-08-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던던시 평가회로를 구비한 메모리소자 및 리던던시평가방법
US6185143B1 (en) * 2000-02-04 2001-02-06 Hewlett-Packard Company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device including differential sense amplifiers
JP3682208B2 (ja) * 2000-06-30 2005-08-10 株式会社東芝 スピンバルブトランジスター
DE10032271C2 (de) 2000-07-03 2002-08-01 Infineon Technologies Ag MRAM-Anordnung
DE10032273C2 (de) 2000-07-03 2002-07-18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ompensation von parasitären Stromverlusten
DE10043218C2 (de) * 2000-09-01 2003-04-24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Alterungsbeschleunigung bei einem MRAM
DE10060432A1 (de) * 2000-12-05 2002-07-25 Infineon Technologies Ag Magnetoresistiver Speicher und Verfahren zu seinem Auslesen
DE10061580A1 (de) * 2000-12-11 2002-06-27 Infineon Technologies Ag Speich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6351409B1 (en) * 2001-01-04 2002-02-26 Motorola, Inc. MRAM write apparatus and method
DE10102431C2 (de) 2001-01-19 2003-03-27 Infineon Technologies Ag Auswahleinrichtung für eine Halbleiterspeichereinrichtung
US6584006B2 (en) * 2001-01-24 2003-06-24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MRAM bit line word line architecture
US6567297B2 (en) * 2001-02-01 2003-05-2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resistance values of memory cells
JP2002269968A (ja) * 2001-03-13 2002-09-20 Canon Inc 強磁性体メモリの情報再生方法
DE10118196C2 (de) 2001-04-11 2003-02-2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MRAM-Halbleiterspeicheranordnung
JP5355666B2 (ja) * 2001-04-26 2013-11-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薄膜磁性体記憶装置
US6682943B2 (en) * 2001-04-27 2004-01-2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minimally spaced MRAM structures
JP4731041B2 (ja) * 2001-05-16 2011-07-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薄膜磁性体記憶装置
DE10149737A1 (de) * 2001-10-09 2003-04-24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speicher mit sich kreuzenden Wort- und Bitleitungen, an denen magnetoresistive Speicherzellen angeordnet sind
JP3906067B2 (ja) 2001-11-30 2007-04-18 株式会社東芝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US6512689B1 (en) * 2002-01-18 2003-01-28 Motorola, Inc. MRAM without isolation devices
JP3875568B2 (ja) 2002-02-05 2007-01-3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42771A (ja) 2002-02-15 2003-08-2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884312B2 (ja) 2002-03-28 2007-02-21 株式会社東芝 磁気記憶装置
US6693824B2 (en) * 2002-06-28 2004-02-17 Motorola, Inc. Circuit and method of writing a toggle memory
US7209378B2 (en) * 2002-08-08 2007-04-24 Micron Technology, Inc. Columnar 1T-N memory cell structure
JP2004086934A (ja) * 2002-08-22 2004-03-18 Renesas Technology Corp 不揮発性記憶装置
JP2004103104A (ja) 2002-09-09 2004-04-02 Renesas Technology Corp 薄膜磁性体記憶装置
DE10255857B3 (de) * 2002-11-29 2004-07-15 Forschungsverbund Berlin E.V. Magnetische Logikeinrichtung
DE10311717B4 (de) * 2003-03-17 2007-09-13 Forschungsverbund Berlin E.V. Magnetische Logikeinrichtung, Logikschaltung, Verfahren zu deren Betrieb und deren Verwendung
US7244997B2 (en) * 2003-07-08 2007-07-1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agneto-luminescent transducer
DE602005009411D1 (de) * 2004-01-29 2008-10-16 Sharp Kk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US7102916B2 (en) * 2004-06-30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selecting anisotropy axis angle of MRAM device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CN1790543B (zh) * 2004-12-17 2010-05-05 电子科技大学 一种磁性随机存储器参考信号的产生方法
KR100827448B1 (ko) * 2007-02-16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JP5221222B2 (ja) * 2008-06-25 2013-06-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2010134994A (ja) * 2008-12-04 2010-06-17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カリブレーション方法
US9685954B2 (en) * 2014-03-09 2017-06-20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Pure memristive logic gate
US9472257B2 (en) * 2014-05-15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magnetoresistive read only memory (MRAM) cache mixing single-ended and differential sensing
US10536281B2 (en) * 2014-07-30 2020-01-1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agnetic memory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s
CN105006244B (zh) * 2015-05-13 2017-10-10 湖北中部慧易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放大器、磁存储器的读取电路及其操作方法
CN111383691A (zh) * 2018-12-28 2020-07-07 上海磁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写状态检测单元的mram存储器件
KR102632050B1 (ko) 2022-12-27 2024-02-02 주식회사 케이엠티 주차정보 및 편의성 위한 스마트시티형 스마트 카 스토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233A (en) 1974-02-19 1976-09-21 Ampex Corporation Core memory with improved sense-inhibit recovery time
US5012444A (en) * 1990-04-04 1991-04-30 Honeywell Inc. Opposed field magnetoresistive memory sensing
US5173873A (en) * 1990-06-28 1992-12-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High speed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US5343422A (en) * 1993-02-23 1994-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volatile magnetoresistive storage device using spin valve effect
US5477482A (en) * 1993-10-01 1995-12-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ltra high density, non-volatile 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US5841611A (en) * 1994-05-02 1998-1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oresistance effect device and magnetoresistance effect type head, memory device, and amplifying device using the same
US5640343A (en) * 1996-03-18 1997-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memory array using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in the memory cells
US5699293A (en) * 1996-10-09 1997-12-16 Motorola Method of operating a random access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airs of memory cells as the memory device
TW411471B (en) * 1997-09-17 2000-11-11 Siemens Ag Memory-cell device
US5936882A (en) * 1998-03-31 1999-08-10 Motorola, Inc.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55179A (en) * 1998-05-19 2000-04-25 Canon Kk Memory device utilizing giant magnetoresistance effect
US6111781A (en) * 1998-08-03 2000-08-29 Motorola,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arra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ory banks
US6055178A (en) * 1998-12-18 2000-04-25 Motorola,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with a reference memory array
US6191972B1 (en) * 1999-04-30 2001-02-20 Nec Corporatio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ircui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92B1 (ko) * 1999-12-08 2008-01-28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Mtj가 적층된 셀 메모리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0846542B1 (ko) * 2000-11-27 2008-07-1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 장치
KR100824131B1 (ko) * 2001-01-10 2008-04-21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메모리 셀 판독 방법 및 시스템
KR100845524B1 (ko) * 2001-07-24 200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어레이 판독 방법
KR100542159B1 (ko) * 2002-01-30 2006-0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고정도로 회로 소자 수가 적은 데이터 판독 구성을 구비한박막 자성체 기억 장치
KR100506932B1 (ko) * 2002-12-10 2005-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셀들을 갖는 자기 램 소자 및 그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59829B1 (en) 2002-03-19
CN1254929A (zh) 2000-05-31
EP1003176A2 (de) 2000-05-24
KR100349988B1 (ko) 2002-08-22
CN1252726C (zh) 2006-04-19
DE59912387D1 (de) 2005-09-15
DE19853447A1 (de) 2000-05-25
JP3801823B2 (ja) 2006-07-26
JP2000163950A (ja) 2000-06-16
EP1003176B1 (de) 2005-08-10
EP1003176A3 (de) 2001-01-03
TW498335B (en) 200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988B1 (ko) 자기 기억 장치
US6590804B1 (en) Adjustable current mode differential amplifier
KR100450794B1 (ko) 마그네틱 랜덤 엑세스 메모리 및 그 작동 방법
US6744087B2 (en) Non-volatile memory using ferroelectric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US6795340B2 (en) Non-volatile magnetic memory
US5872739A (en) Sense amplifier for low read-voltage memory cells
US6567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resistance values of memory cells
US6504779B2 (en) Resistive cross point memory with on-chip sense amplifier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450464B1 (ko) Mram-메모리의 메모리 셀의 비파괴 판독을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450466B1 (ko) Mram용 판독-/기록 아키텍처
US20040090852A1 (en) Power-saving reading of magnetic memory devices
US20010053104A1 (en) Reference signal generation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KR20010034057A (ko) 기준 메모리 어레이를 갖는 자기 임의 접근 메모리
KR20010024102A (ko) 메모리 셀 장치, 그리고 자기 ram 및 연관메모리로서의 그 용도
JP2005501370A (ja) 中間値発生器基準を有するmram
KR20030009303A (ko) 메모리 셀의 정보 내용 평가 방법 및 그 회로 배열
KR100457265B1 (ko) 자기저항 메모리 내 셀 저항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KR20020012165A (ko) 자기저항 메모리 내 셀 저항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US6930910B2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device using magnetic tunnel junction
KR100453580B1 (ko) 자기 저항성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를 판독하기 위한 방법
US5923583A (en) Ferromagnetic memory based on torroidal elements
US5864498A (en) Ferromagnetic memory using soft magnetic material and hard magnetic material
US6667901B1 (en) Dual-junction magnetic memory device and read method
US6707710B1 (en) Magnetic memory device with larger reference cell
KR101054363B1 (ko) 판독 동작 수행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