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218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218A
KR20000035218A KR1019990048487A KR19990048487A KR20000035218A KR 20000035218 A KR20000035218 A KR 20000035218A KR 1019990048487 A KR1019990048487 A KR 1019990048487A KR 19990048487 A KR19990048487 A KR 19990048487A KR 20000035218 A KR20000035218 A KR 2000003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handle
handle
window hole
switch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914B1 (ko
Inventor
노무라히데가즈
사가베마사시
다데이시히로유키
하야후네마사미
우지하라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2000003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이 양호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스위치본체(10)는 앞면이 개구된 거의 상자형의 보디(1)와, 보디(1)의 앞면에 감싸도록 붙이는 커버(2)로 구성된다.
커버(2)의 양 측면에는 조영면(造營面)에 고정된 플레이트프레임의 계합홈과 계지(係止)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림클릭(29)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클릭(29)을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홈에 걸어 맞춤으로써 스위치본체(10)가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다.
스위치본체(10)의 내부에는 편절(片切) 타입의 접점부가 수납되어 있으며, 이 접점부의 온(ON) 오프(OFF)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반전핸들(30)이 커버(2) 앞면에 반전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핸들(38a)은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감싸도록 붙여지는 외장플레이트의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의 길이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전핸들(30)의 앞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스위치장치로서는, 앞면에 조작부가 설치되고, 벽면 등의 조영면 (造營面)에 고정되는 장착프레임을 사용하여 매설 배선되는 스위치본체를 구비한 것이 있었다.
상기 구성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스위치본체에 설치된 조작부를 이용하여 스위치조작을 하였으나, 조작부의 크기는 스위치본체에 비하여 작으므로 조작성이 나쁘고, 외관도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작성을 개선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가늘고 긴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기구장착부를 가지는 개구창을 구비한 장착프레임의 기구장착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장착수단을 가지고, 폭방향의 외형치수가 상기 개구창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기구 부착부의 수로 분할한 치수로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 수납된 접점부의 전환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앞면에 가지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창에 대향하는 가늘고 긴 창구멍을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의 앞쪽으로 배치되는 외장플레이트의 상기 창구멍의 단변(短邊)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단변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스위치본체의 개수를 분모로 하는 정수분(整數分)의 1의 크기로 형성되어, 외장플레이트의 창구멍내에 배설되는 스위치본체의 앞면에 장착되는 조작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작핸들은 창구멍의 단변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의 단변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스위치본체의 개수를 분모로 하는 정수분의 1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본체의 조작부에 비하여 조작핸들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스위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 일측에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장착되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을 설치하고, 상기 판편의 폭방향의 한변에 상기 홈내에 형성된 피(被)요철계지부와 요철을 걸어 맞추는 요철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판변(板邊)의 길이방향의 양측변에 상기 홈내에 형성된 피계지부와 걸어 맞추는 계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창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통하는 판편이 조작핸들의 앞면에 장착되므로, 이 판편에 의해 조작핸들을 슬림하고 콤팩트(소형)하게 보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판편을 조작핸들에 장착할 때는, 먼저 판편의 폭방향의 한변에 형성한 요철계지부를 피요철계지부에 요철을 걸어 맞춘 후, 판변의 폭방향의 다른변을 조작핸들에 밀어 넣음으로써, 계지부를 피계지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판편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온(ON)조작할 때에 누르는 조작핸들 부위에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돌기가 조작핸들 앞면에 돌출하고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또는 돌기의 감촉에 의해 온(ON)조작할 때에 누르는 조작핸들의 부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 일측에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장착되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을 설치하는 동시에, 설치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램프를 스위치본체에 배설한 경우에는 위치표시램프의 빛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부재가 상기 조작핸들 및 상기 판편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핸들, 상기 판편 및 상기 도광부재는, 접점부의 종류나 위치표시램프의 유무에 따라서 복수 종류 형성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조작핸들, 판편 및 도광부재의 외형치수 및 장착치수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 종류의 조작핸들이나 판편이나 도광부재의 외형치수 및 부착치수를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조작핸들과의 사이에 네임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작부와 조작핸들과의 사이에 네임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네임카드가 장착된 조작핸들을 사용할 수 있고, 네임카드의 표시에서 스위치장치의 용도나 명칭 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에 요소(凹所)가 형성되고, 이 요소의 저면(底面)에 네임카드가 배치되는 저면보다 한층 낮게 된 카드수납요소를 형성하고, 요소의 한쪽 끝면에 요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요소의 다른쪽 끝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요소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네임커버의 일단측에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철부(凸部)를 형성하는 동시에, 커버의 타단측에 상기 관통공의 끝에지와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네임카드가 배치되는 카드수납요소는 요소의 저면보다 한층 낮게 되어 있으므로, 카드수납요소내에 수납된 네임카드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또한 네임커버는 철부를 요소의 요홈과 걸어 맞추는 동시에, 계지수단을 관통공과 걸어 맞춤으로써 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네임커버의 요소에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네임카드의 교환작업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3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3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구창의 길이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스위치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스위치본체를 어느 부착위치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종류를 줄여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장착위치를 혼동하는 일은 없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2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2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구창의 길이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스위치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스위치본체를 어느 부착위치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부착위치를 혼동하는 일은 없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1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1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구창의 길이방향으로 1개 배열하여 스위치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스위치본체를 어느 부착위치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부착위치를 혼동하는 일은 없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피계지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작핸들의 계지수단과 조작부의 피계지부를 걸어 맞춤으로써 조작핸들은 조작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조작핸들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작핸들의 교환작업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3은 도 2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우측에서 본 요부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을 나타내고,
a 는 배면도,
b 는 우측에서 본 도면,
c 는 아래쪽에서 본 도면.
도 7은 도 6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에 핸들라인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A'단면도,
d 는 B-B' 단면도.
도 8은 도 7a 에 있어서의 C-C'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에 핸들라인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a 는 배면도,
b 는 A-A' 단면도.
도 10a, 10b 는 핸들라인의 조작핸들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a, 11b 는 조작핸들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a ∼ 12c 는 조작핸들의 분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를 시공면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레이트프레임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
도 14a, 14b 는 스위치장치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되는 외장플레이트를 나타내고,
a 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b 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6a, 16b는 스위치장치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 2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19는 도 18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A'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배면도,
b 는 B-B' 단면도.
도 22a, 22b는 도 21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의 조작핸들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도 22의 스위치장치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실시형태 3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25는 실시형태 4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27은 상기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측면도,
d 는 A-A' 단면도,
e 는 B-B' 단면도.
도 29a, 29b는 도 28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의 조작핸들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실시형태 5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1은 도 30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32는 도 31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배면도,
d 는 A-A' 단면도,
e 는 B-B' 단면도.
도 34a, 34b 는 도 33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의 조작핸들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5는 실시형태 6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36은 실시형태 7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38은 도 37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9는 도 38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배면도,
d 는 A-A' 단면도.
도 40a, 40b는 도 39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의 조작핸들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1은 실시형태 8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2는 도 41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43은 도 42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4는 도 43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배면도,
d 는 A-A' 단면도.
도 45a, 45b는 도 44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핸들라인의 조작핸들에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6은 실시형태 9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47은 실시형태 10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8은 도 47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49는 도 48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0은 도 49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배면도,
d 는 A-A' 단면도,
e 는 B-B' 단면도.
도 51은 실시형태 11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2는 도 51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53은 도 52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배면도,
d 는 A-A' 단면도,
e 는 B-B' 단면도.
도 55는 실시형태 12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56은 실시형태 13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7은 도 56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58은 도 57에 사용하는 조작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A-A' 단면도,
c 는 B-B' 단면도.
도 59는 도 58에 사용하는 네임커버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A' 단면도.
도 60a ∼ 60e 는 상기에 사용하는 네임카드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1a ∼ 61c 는 상기에 사용하는 네임커버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2a ∼ 62c 는 상기에 사용하는 네임커버의 분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3은 도 62에 사용하는 반전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64는 도 63의 별도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65는 비교예의 조작핸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6은 비교예의 핸들라인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67a ∼ 67d 는 비교예의 조작핸들에의 핸들라인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8은 비교예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도 69는 비교예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도 70은 비교예의 스위치장치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1은 비교예의 반전핸들을 나타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도 72는 비교예의 반전핸들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3은 각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조작핸들, 핸들라인, 프리즘의 조합을 나타낸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커버,
10 : 스위치 본체, 29 : 걸림클릭,
30 : 반전핸들, 38a : 조작핸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에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a 에 정면도, 도 2b 에 측면도, 도 2c 에 저면도, 도 3에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 스위치장치는 앞면이 개구된 거의 상자형의 합성수지제의 보디(1)와, 앞면이 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보디(1)의 앞면에 감싸도록 붙이는 합성수지제 커버(2)로 구성되는 스위치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보디(1)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는 각각 1쌍의 계지철부(3)가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커버(2)의 후단 에지부터는 계지철부(3)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지공(4)이 각각 형성된 설편(舌片)(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계지철부(3)와 계지공(4)을 요철 걸어 맞춤으로써 보디(1)와 커버(2)가 조립된다.
보디(1)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간막이되어 있으며, 속결(速結)단자부(6)를 수납하는 단자 수납실(9),(9)이 양측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편절(片切)타입(B접점 타입)의 접점부(8)를 수납하는 접점수납실(7)이 거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납실(9),(9)에는 각각 도전재료로 형성된 단자판(11),(12)이 수납되어 있다. 단자판(11),(12)은 각각 거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ㄷ"자형부(13),(14)를 가지고 있으며, "ㄷ"자형부(13),(14)에는 각각 1쌍의 쇄정(鎖錠)스프링(15)이 수납되어 속결단자부(6)가 구성되어 있다. 또, 보디(1)의 저면에는 각 단자수납실(9)에 연통(連通)하는 전선삽입구멍(16)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판(11),(12)의 "ㄷ"자형부(13),(14)및 쇄정(鎖錠)스프링(15)으로 구성되는 속결단자부(6)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쇄정스프링(15)의 갈고리형상편(15b) 및 접촉편(15c)은 탄성을 가지는 도전재료의 대판(帶板)의 양단부를 구부려서 중앙편(15a)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또, 단자판(11),(12)의 "ㄷ"자형부 (13),(14)는 각각 중앙편(13a),(14a)과 중앙편(13a),(14a)의 양단 에지에서 중앙편 (13a),(14a)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접촉편(13b),(14b) 및 접촉편 (13c),(14c)으로 구성된다.
쇄정스프링(15)의 중앙편(15a)은 단자판(11),(12)의 접촉편(13b),(14b)에 접촉되고, 쇄정편(15b)은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에서 선단에지를 향하여 "ㄷ"자형부(13),(14)의 접촉편(13c),(14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접촉편(15c)은 거의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쇄정스프링(15)에 형성된 쇄정편(15b) 및 접촉편(153c)이 "ㄷ"자형부(13),(14)의 접촉편(13c),(14c)과 대향한다.
속결단자부(6)에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芯線)(도시하지 않음)을 전선삽입공(16)에서 삽입하면, 쇄정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해 쇄정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접촉편(15c)과, 단자판(11),(12)의 접촉편 (13c),(14c)과의 사이에 심선의 도체가 협지되고, 쇄정편(15b)의 선단에지가 심선의 도체에 파고듬으로써 심선의 탈락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삽입공(16)에 전선의 심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선의 심선이 지지되는 동시에, 단자판(11),(12)에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전선삽입공(16)은 안쪽일수록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공(16)에서 보디(1)내에 삽입된 전선의 심선이 단자판(11),(12)과 쇄정스프링 (15)과의 사이에 확실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단자수납실(9)내에는 1쌍의 쇄정스프링(15)의 갈고리형상편(15b)과 대향시켜 해제버튼(17)이 수납되어 있다. 속결단자부(6)에 접속된 전선의 심선을 벗기는 경우는 보디(1)의 저면에 형성된 공구삽입공(18)에서 일자형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버튼(17)을 누름으로써, 해제버튼(17)의 돌기(17a)가 갈고리형상편(15b)을 눌러, 갈고리형상편(15b)을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 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므로, 갈고리형상편(15b)이 심선의 도체에서 떨어져, 심선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다.
또한, 해제버튼(17)은 양측에 돌기(17a)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제버튼(17)을 조작함으로써, 1쌍의 쇄정스프링(15)의 갈고리형상편(15b)을 동시에 휘게 하여, 1쌍의 쇄정스프링(15)과 심선과의 걸림상태를 동시에 해제하여, 심선을 한번에 벗길 수 있다.
한편, 접점부(8)는 단자판(11),(12)과 가동접점판(19)으로 구성된다. 한쪽의 단자판(11)의 중앙편(13a)과 접촉편(13b)과의 연결부위에는 끝부에 고정접점 (21)이 형성된 거의 "L"자형의 단자편(2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단자판(12)의 접촉편(14b)의 끝부로부터는 선단에 가동접점판(19)의 요동지지점이 되는 지지점돌기(22)가 형성된 지지편(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판(19)은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대판(帶板)을 거의 "ㄷ"자형으로 구부려 형성되며, 중앙편(19a)의 양단에지에 측편(19b),(19b)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측편(19b)에는 고정접점(21)과 접속 이탈이 가능하게 접촉되는 가동접점(24)이 형성되어 있다.
보디(1)의 양측면의 거의 중앙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리브(33),(33)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보디(1)의 접점수납실(7)내에 단자판(11),(12)을 수납한 상태로, 중앙편(19a)을 보디(1) 저면측으로 하여 가동접점판(19)을 접점수납실(7)내에 수용하면, 가동접점판(19)의 중앙편(19a)이 단자판(12)의 지지점돌기(22)와 접촉하고, 가동접점판(19)이 지지점돌기(22)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가동접점판(19)의 양측에 리브(33),(33)가 배치되고, 보디(1)의 단폭(短幅)방향으로 가동접점판(19)의 이동이 리브(33),(33)에 의해 규제된다.
또, 가동접점판(19)의 측편(19b)에는 옆쪽으로 돌출하는 돌기(3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37)가 리브(33)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가동접점판(19)의 요동범위가 규제된다.
한편, 커버(2)는 앞면에 거의 사각형의 개구(25)가 형성되고, 개구(25)의 길이방향 거의 중앙의 개구에지에는 앞쪽으로 돌출하는 축받이대(26)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각 축받이대(26)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의 단폭방향의 양측면에는 커버(2)의 앞면보다 한단 높아진 스텝부(28),(28)가 형성되고, 각 스텝부(28)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하는 장착수단인 1쌍의 걸림클릭(29)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클릭(29)에서 시공면에 고정되는 장착프레임인 후술하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형성된 기구장착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장착수단이 구성된다.
접점부(8)의 개폐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인 합성수지제의 반전핸들(30)은 배면이 개구된 거의 상자형이고, 앞면이 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는 커버(2)의 홈(27)에 파고 들어가는 돌기(3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반전핸들(30)의 앞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에는 개구(34)가 형성되고, 개구(34)의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피계지부인 클릭(35),(35)이 돌출 형성되고, 반전핸들(30) 앞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 거의 중앙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클릭(3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 앞면의 뒤측에는 코일스프링(32)이 수납되는 거의 원통형의 스프링수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핸들(30)의 앞면측에는 합성수지제의 조작핸들(38a)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작핸들(38a)은 도 4 및 도 7 ∼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핸들(30)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74a)와, 주부(74a)의 주위 에지에서 전주(全周)에 걸쳐서 뒤쪽으로 돌출하는 측벽(74b)을 연속 일체로 형성한 거의 상자형의 것으로, 주부(74a) 뒷면의 길이방향 거의 중앙에는 탄성을 가진 계지수단인 걸림클릭편 (39),(4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클릭편(39),(40)의 선단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클릭(39a),(40a)이 돌출 형성되어, 걸림클릭편(39),(40)의 클릭(39a),(40a)과 반전핸들(30)의 클릭(35), (36)을 걸어 맞춤으로써, 조작핸들(38a)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심과 스위치본체 (10)의 단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이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조작핸들(38a)이 반전핸들(30)에 장착된다.
또, 반전(反轉)핸들(30)의 개구(34)에 대응하는 조작핸들(38a)의 부위에는, 조작핸들(38a)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홈(41)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선단에 둥글고 가늘은 돌기(42)가 돌출 형성되고, 홈(41)의 양단부 및 중간부위에는 조작핸들(38a)을 관통하는 구멍(43a ∼ 43d)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41)의 일단측에 형성된 구멍(43a)의 안쪽에는 피요철계지부인 요소(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41)내에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으로 이루어지는 핸들라인(45a)이 장착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라인(45a)의 거의 중앙에는 돌기 (42)를 삽통시키는 창구멍(46)이 형성되고, 폭방향의 일변에는 홈(41)의 일단측에 형성된 요소(44)와 요철을 걸어 맞추는 요철계지부로서의 철부(4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핸들라인(45a)의 길이방향의 양측에지에 있어서의 구멍(43b ∼ 43d)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계지부로서의 걸림클릭편(48)이 돌출 설치되고, 걸림클릭편(48)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릭(49)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핸들라인(45a)을 조작핸들(38a)에 장착할 때는, 도 10a, 10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핸들라인(45a)의 철부(47)를 조작핸들(38)의 구멍(43a)내에 삽입하고, 이 철부(49)를 지지점으로 하여 핸들라인(45a)을 도 10b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핸들라인(45a)의 걸림클릭편(48)을 대응하는 구멍(43b ∼ 43d)내에 삽입하여, 걸림클릭편(48)의 선단에 설치된 클릭(49)과 구멍(43b ∼ 43d)의 끝에지를 걸어 맞춤으로써, 핸들라인(45a)이 조작핸들(38a)에 장착된다.
이 때, 핸들라인(45)의 창구멍(46)내에 돌기(42)가 삽입되어, 돌기(42)의 선단이 조작핸들(38)의 앞면에서 돌출하므로, 조작 감촉이나 시각에 의해 접점부(8)를 온조작할 때에 누름조작하는 조작핸들(38a)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에, 구멍(43b ∼ 43d)의 끝에지에서 걸림클릭편(48)이 걸어 맞추는 피계지부가 구성된다.
그런데,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38)의 앞면에 형성된 홈(41)의 양단부 및 중간부에 구멍(43a ∼ 43d)을 형성하고, 핸들라인(45)의 길이방향의 양측 에지에 있어서의 구멍(43a ∼ 43d)에 대응하는 부위에 뒤쪽으로 돌출하는 걸림클릭편(48)을 형성하여, 걸림클릭편(48)의 선단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릭(49)을 돌출 형성한 경우에 핸들라인(45)을 조작핸들(38)에 장착할 때는, 도 67a ∼ 67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라인(45)을 조작핸들(38)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하여, 핸들라인(45)의 걸림클릭편(48)을 대응하는 구멍(43a ∼ 43d)내에 삽입하고, 핸들라인(45)을 조작핸들(38)측으로 누름으로써, 핸들라인(45)을 조작핸들 (38)에 장착하는 것이지만 핸들라인(45)은 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폭방향의 치수가 짧게 되어 있으므로 도 67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라인(45)이 회전되기 쉬워 조립작업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라인(45a)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에 철부(47)를 돌출 형성하여, 먼저 철부(47)를 홈(41)의 일단측에 형성된 구멍 (43a)에 삽입하고, 구멍(43a)의 안쪽에 형성된 요소(44)와 철부(47)를 요철을 걸어 맞춘 후, 철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핸들라인(45a)을 회전시켜서, 걸림클릭편 (38)을 대응하는 구멍(43b ∼ 43d)에 삽입하여 클릭(39)과 구멍(43b ∼ 43d)의 단부를 걸어 맞추고 있으므로, 도 67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라인(45a)이 회전하여, 장착하기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
아래에 스위치장치를 조립하는 순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보디(1)의 각 단자수납실(9)내에 1쌍의 쇄정스프링(15) 및 해제버튼 (17)을 수납하는 동시에, 접점수납실(7)내에 단자판(11),(12) 및 가동접점판(19)을 수납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32)의 일단을 스프링수납부내에 수용된 반전핸들(30)을 코일스프링(32)의 타단이 가동접점판(19)의 중앙편(19a)에 파고 들도록 하여 보디(1)에 내장한 후, 커버(2)를 보디(1)의 앞면측에서 장착하고 보디(1)의 계지철부(3)와 커버(2)의 계지공(4)을 요철 걸어맞춤으로써, 보디(1)와 커버(2)를 결합한다.
이때, 가동접점판(19)과 반전핸들(30)과의 사이에서 코일스프링(32)이 눌려서 휘어져, 코일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전핸들(30)의 돌기(31)가 축받이부(26)의 홈(27)에 압착하고, 반전핸들(30)은 전환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도 1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핸들(30)을 도면중 좌측 아래로 경사시킨 상태(즉, 반전핸들(30)의 2개의 클릭(35)이 돌출 형성된 측을, 클릭(36)이 돌출 형성된 측보다 도면중 상측으로 한 상태)로, 먼저 반전핸들(30)의 클릭(35)에 대응하는 걸림클릭편(40)의 클릭(40a)을 클릭(35)에 걸어맞춘 후, 조작핸들(38)의 거의 중앙을 스위치본체(10)측으로 눌러서 걸림클릭편(39)에 돌출 형성된 클릭 (39a)과 반전핸들(30)의 클릭(36)을 걸어맞춤으로써, 조작핸들(38a)이 반전핸들 (30)에 장착된다.
한편, 조작핸들(38a)을 반전핸들(30)에서 분리할 때는, 먼저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핸들(30) 및 조작핸들(38a)이 도면중 우측 아래로 경사지고 있는 상태(즉, 반전핸들(30)의 2개의 클릭(35)이 돌출 형성된 측을, 클릭(36)이 돌출 형성된 측보다 도면중 하측으로 한 상태)로, 커버(2)의 스텝부(28)와 조작핸들(38a)과의 사이에 일자형 드라이버 등의 공구(150)를 삽입하여, 스텝부(28)를 지지점으로 하여 공구(150)를 도면중 좌측 방향으로 넘어뜨리면,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38a)의 측벽(74b)이 공구(150)에 의해 외측으로 끌어 당겨져, 조작핸들(38a)의 주부(74a)가 휘어, 조작핸들(38a)의 주부(74a) 뒷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클릭편(39)이 외측으로 경사지므로, 걸림클릭편(39)의 클릭(39a)과 반전핸들(30)의 클릭(36)과의 걸림상태가 풀려, 조작핸들(38a)을 반전핸들(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핸들(38a)을 반전핸들(3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으므로 조작핸들(38a)의 파손시에는 조작핸들(38a)만을 교환할 수 있고, 또 다양한 색의 조작핸들(38a)을 준비함으로써, 시공현장 분위기에 맞춘 색의 조작핸들(38a)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핸들(38a)의 주부(74a) 뒤측에는 반전핸들(30)의 앞면 및 측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리브(51a),(51b)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전핸들(30)에 조작핸들(38a)을 장착했을 때에 조작핸들(38a)의 유동(遊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스위치장치는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3a, 1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100)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 의해 사각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스위치본체(10)의 앞면에 장착된 조작핸들(38a)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사각형의 개구창(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창(101)의 주위에지 배면측에는, 개구창(101)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밴드형의 고정량부(固定梁部)(102) 및 가동량부(可動梁部)(103)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량부(103)는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1쌍의 측프레임편 (片)(104a),(104b)중 한쪽의 측프레임편(104b)에서 떨어지고, 또한 연결부(105)에 의해 그 양단에 있어서 측프레임편(104b)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량부(103) 및 연결부(105)를 포함하여 플레이트프레임(100)을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는 가요성(可撓性) 재료이며, 플레이트프레임(100)에 대하여 가동량부(103) 및 연결부(105)는 각각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측프레임편(104b)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폭이 좁은 1쌍의 리브(106)에 의해 가동량부(103)가 지지되고 있으며, 가동량부(103)와 측프레임편(104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상기 리브(106)에 의해 3개의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 (107a) ∼ (107c)이라고 함)으로 분할되게 된다.
그중, 양측 슬릿(107a),(107c)은 외측단부가 연결부(105)의 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측프레임편(104b)의 각 리브(106) 가까이의 부위에는 가동량부(103)를 휘어지기 쉽게 하기 위한 긴 구멍형상의 홈(108)이 1쌍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의 개구창(101)측의 면에는, 스위치본체(10)의 양측면에서 1쌍씩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29)이 걸리는 기구부착부인 계지홈(109),(110)을 각각 3쌍씩 같은 피치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본체(10)에 형성된 걸림클릭(29)을 각 계지홈(109),(110)에 걸음으로써 조작핸들(38a)을 개구창(101)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프레임 (100)에 스위치본체(10)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의 선단부분에는 스위치본체(10)의 걸림클릭(29)을 각 계지홈(109),(110)에 가이드하므로, 각각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지는 가이드부(111),(112)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4a, 1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스위치장치의 스위치본체(10)를 장착할 때는, 스위치본체(10)의 걸림클릭(29)을 가이드부(111), (112)의 테이퍼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스위치본체(10)를 플레이트프레임(100)의 배면측에서 앞면측으로 밀어 넣으면, 걸림클릭(29)이 가이드부(111),(112)의 테이퍼면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111),(112)에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계지홈 (109),(110)에 걸리게 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개구창(101)에 대하여 개구창(101)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스위치본체(10)를 3개 배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스위치본체(10)의 부착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고정량부(103) 및 가동량부(103)의 계지홈(109),(110)의 가까이에 간막이 리브(119)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들 간막이 리브(119)는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의 내측면에 각 1쌍씩 모두 3조(組)가 형성된 계지홈(109),(110)의 각조의 외측 위치에 각각 1쌍씩이 플레이트프레임(100)과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간막이 리브(119)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스위치본체(10)를 장착했을 때에 스위치본체(10)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본체(10)를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장착한 상태로 스위치본체(1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고정량부(102)에는 각 계지홈(109)의 사이에 플레이트프레임(100)의 앞면측으로부터 관통하는 기구분리공(1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라이버나 분리 전용 지그 등의 선단부분을 이 기구분리공(113)에 삽입하여,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스위치본체(10)를 가동량부(103)측으로 눌러 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103)를 휘게 할 수 있어, 고정량부(102)측의 계지홈(109)과 스위치본체(10)의 걸림클릭(29)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플레이트프레임(100)에서 스위치본체(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2)의 양측면에는 기구분리공(113)에서 삽입된 지그의 선단이 접촉하는 경사부(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그의 선단이 경사부(76)와 접촉함으로써 가동량부(103)를 휘게 하는 힘을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어 스위치본체(10)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개구창(101)의 치수는 도 2에 나타낸 스위치본체(10)의 치수를 배선기구의 기준치수(이하, 이 치수를「1개 모듈치수」라고 함)로 했을 때에, 스위치본체(10)의 길이방향을 개구창(101)의 길이방향과 거의 직교시킨 상태에서 1개 모듈치수의 스위치본체(10)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3개 배열되어 장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에 형성된 각 계지홈(109),(110)의 피치는 1개 모듈치수의 스위치본체(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클릭(29)의 피치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개 모듈치수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되고, 이와 같은 모듈치수에 적합한 배선기구라면 공통으로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양측편(114)에는 각각 요소(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소(115)에는 플레이트프레임(100)을 매설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116)과, 플레이트프레임(100)을 벽면 등의 조영면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117)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피팅금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맞추는 피팅금구 계지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프레임(100)의 앞면측에는 합성수지제의 외장플레이트(13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플레이트 (130)는 플레이트프레임(100)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131)와 주부(131)의 주위 에지에서 전주(全周)에 걸쳐 뒤쪽으로 돌출하는 측벽(132)을 연속 일체로 형성한 거의 상자형의 것으로, 뒤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돌기(133)를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계지공(120)에 삽입하여 걸리게 하여 고정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100)의 앞면에 배설된다.
주부(131)의 거의 중앙에는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개구창(101)과 대향하는 가늘고 긴 창구멍(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창구멍(134)에서 스위치본체(10)에 장착된 조작핸들(38a)이 노출된다.
여기서, 조작핸들(38a)의 단폭(短幅)방향치수(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 (134)의 단폭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단폭방향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핸들(38a)의 길이방향치수(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즉, 1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핸들(38a)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을 스위치본체(10)의 중심과 거의 일치시켜 스위치본체(1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도 1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본체(10)는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에 각 3조씩 형성된 계지홈(109),(110)중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 형성된 계지홈(109),(110)의 조에 걸림클릭(29)을 걸리게 하여 고정시켜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핸들(38a)은, 단폭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단폭방향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길이방향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전핸들(30)에 비하여 조작핸들(38a)을 충분히 큰 치수로 형성할 수 있고, 스위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조작핸들(38a)의 조작면이 크게 보이므로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뻗는 핸들라인(45a)을 조작핸들(38a)의 일단측에 장착함으로써, 조작핸들(38a)을 슬림하고 콤팩트(소형)하게 보여 외관을 좋게 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38a) 및 반전핸들(30)이 도 3중 우측 아래에 경사지고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온상태)로, 조작핸들(38a)의 도 3중 좌측을 누르면 조작핸들(38a)을 누르는 힘에 의해 반전핸들 (30)이 반전 동작하여 도면중 좌측 아래에 경사진 상태가 된다.
반전핸들(30)의 반전동작에 따라서 코일스프링(32)은 도 3중 우측으로 휘므로, 코일스프링(32)의 휘는 정도에 따라서 가동접점판(19)이 지지점돌기(22)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 3중 우측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과 떨어진다.
그때, 반전핸들(30)은 코일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접점부(8)는 오프(OFF)상태인 채로 된다.
한편, 조작핸들(38a) 및 반전핸들(30)이 도 3중 좌측 아래로 경사지고,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과 떨어져 있는 상태(오프상태)로, 조작핸들(38a)의 도 3중 우측을 누르면 조작핸들(38a)을 누르는 힘에 의해 반전핸들(30)이 반전 동작하여 도면중 우측 아래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반전핸들(30)의 반전동작에 따라서 코일스프링(32)은 도 3중 좌측으로 휘므로 코일스프링(32)의 휘는 정도에 따라서 가동접점판(19)이 지지점돌기(22)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 3중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과 접촉한다.
그때, 반전핸들(30)은 코일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접점부(8)는 온상태인 채로 된다. 또한, 조작핸들(38a)의 주부(74a) 배면에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거의 "V"자형의 리브(74)가 1쌍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핸들(38a)의 끝부가 눌렸을 때에 리브(75)의 선단이 커버(2)와 접촉하므로, 조작핸들(38a)이 스위치본체(10)측으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1개의 스위치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2개의 스위치장치를 병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도 68 ∼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본체(10)를 장착프레임 (100)의 개구창(101)의 상측 및 하측의 부착위치에 장착하는 경우, 도 70중 상측의 부착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장치에서는, 스위치본체(10)의 단폭(短幅)방향의 중심보다 조작핸들(38)의 중심을 도 68중 하측으로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조작핸들(38)이 스위치본체(10)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 70중 하측의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장치에서는 스위치본체(10)의 단폭방향의 중심보다 조작핸들(38)의 중심을 도 69중 상측으로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조작핸들(38)이 스위치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스위치장치의 장착위치가 도 70중 상측 또는 하측에 한정되므로 시공시에 상하를 혼동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도 70중 상측 또는 하측의 부착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장치마다 전용조작핸들(38)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코스트상승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각 측프레임편(104a),(104b)에 형성된 인접한 3개의 계지홈(109),(110)중 양측의 계지홈 (109),(110)에 걸림클릭(29)을 걸어 맞춤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100)의 상하 어느 부착위치에도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17에, 정면도를 도 18a 에, 측면도를 도 18b 에, 저면도를 도 18c 에, 단면도를 도 19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d)에 핸들라인(45d)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20a 에 ,측면도를 도 20b 에, A-A' 단면도를 도 20c 에, 배면도를 도 21a 에, B-B'단면도를 도 21b 에, 조작핸들(38d)에의 핸들라인(45d)의 조립방법을 도 22a, 22b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10)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38)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스위치본체(10)가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장착피치로 걸림클릭(29)이 커버(2)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2) 앞면의 양단부에 형성된 스텝부(28)에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에 각각 형성된 인접한 3개의 계지홈(109),(110)중의 양측의 위치하는 계지홈(109),(110)과 각각 걸리게 하여 고정된 걸림클릭(29)을 2개씩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인접한 3개의 계지홈(109),(110)중 인접하는 어느 2개의 계지홈(109),(110)의 사이에 형성된 1쌍의 간막이 리브(119)가 각각 파고 든 1쌍의 홈(50)을 2조씩 형성하고 있다.
또, 조작핸들(38d)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치수의 거의 2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10)의 중심과 조작핸들(38d)의 중심이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조작핸들(38d)이 스위치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의 양측면에는 기구분리공(113)에서 삽입된 지그의 선단이 접촉하는 경사부(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그의 선단이 경사부(76)와 접촉함으로써 가동량부(102)를 휘게 하는 힘을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어, 스위치본체(10)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76)는 스위치본체(10)의 단폭방향에 있어서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본체(10)가 플레이트프레임(100)의 어느 부착위치에 장착되었다고 해도 지그의 선단이 확실하게 경사부(76)에 접촉하여, 스위치본체 (10)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스위치본체(10)를 2개 배열하여 장착한 경우, 도면중 상측의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본체(10)에서는 고정량부(102) 및 가동량부(103)에 3조씩 형성된 계지홈 (109),(110)중 도면중 상측에 형성된 조(組)중의 상측에 있는 계지홈(109),(110)과 도면중 중앙에 형성된 조중의 상측에 있는 계지홈(109),(110)에, 스위치본체(1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29)을 걸리게 하여 고정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 (100)에 장착된다.
한편, 도면중 하측의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본체(10)에서는 도면중 중앙에 형성된 조중의 하측에 있는 계지홈(109),(110)과, 도면중 하측에 형성된 조중의 하측에 있는 계지홈(109),(110)에 스위치본체(1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클릭 (29)을 걸어 맞춤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100)에 장착된다.
그때, 계지홈(109),(110)의 각조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2개의 간막이 리브(119)는 스텝부(28)에 형성된 홈(50)에 파고 드므로 간막이 리브(119)가 간섭하여 스위치본체(10)가 장착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또, 조작핸들(38d)의 앞면에는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에 따른 방향으로 통하는 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41)의 양단부에는 조작핸들(38)을 관통하는 구멍(43a),(43b)이 형성되고, 구멍(43a)의 안쪽에는 요소(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41)내에 장착되는 핸들라인(45d)은 도 2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중앙에는 홈(41)내에 돌출 형성된 돌기(42)를 삽통시키는 긴 구멍형상의 창구멍(46)이 형성되고, 폭방향의 한변에는 홈(41)의 일단측에 형성된 요소(44)와 요철을 걸어 맞추는 철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핸들라인(45d)의 길이방향의 양측 에지에 있어서의 구멍(43b)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걸림클릭편(48)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걸림클릭편 (48)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릭(49)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핸들라인(45d)을 조작핸들(38d)에 장착할 때는 도 2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핸들라인(45d)의 철부(47)를 조작핸들(38d)의 구멍(43a)내에 삽입하고, 이 철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핸들라인(45d)을 도 22b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라인(45d)의 걸림클릭편(48)을 대응하는 구멍(43b)내에 삽입하고, 걸림클릭편(48)의 선단에 형성된 클릭(49)과 구멍(43b)의 양 에지를 걸어 맞춤으로써 핸들라인(45d)이 조작핸들(38d)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핸들라인(45d)을 조작핸들(38d)에 장착할 때는 핸들라인(45d)의 일단에 형성된 철부(47)를 조작핸들(38d)의 구멍(43a)내에 삽입하고, 이 철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핸들라인(45d)의 타단을 조작핸들(38d)의 앞면에 밀어 넣음으로써, 핸들라인(45d)을 조작핸들(38d)에 장착하고 있으므로, 핸들라인(45d)이 회전하여, 장착작업을 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1개의 스위치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100)에 3개의 스위치장치를 병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도 24a ∼ 2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조작핸들(38g)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3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스위치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 조작핸들(38g)의 일단측에는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내에 핸들라인(45g)이 장착되어 있다.
또, 조작핸들(38g) 및 핸들라인(45g)의 치수 관계 이외는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편절타입의 접점부(8)의 오프시에 점등하여 스위치장치의 설치장소를 표시하는 점등표시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25에, 정면도를 도 26a 에, 측면도를 도 26b 에, 저면도를 도 26c 에, 배면도를 도 27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b)에 핸들라인(45a)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28a 에, 측면도를 도 28b 에, 배면도를 도 28c 에, A-A'단면도를 도 28d 에, B-B' 단면도를 도 28e 에, 조작핸들(38b)에의 핸들라인(45a)의 조립방법을 도 29a, 29b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편절타입의 접점부(8)의 오프시에 점등하여 스위치장치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램프인 네온램프(53)을 가지는 점등표시부(52)를 반전핸들(30)내에 내장하고, 반전핸들(30)의 앞면에 형성된 개구(34)에 네온램프(53)를 면하게 하고 있다.
또, 조작핸들(38b)의 홈(41)에 있어서의 핸들라인(45a)의 창구멍(4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조작핸들(38b)을 관통하는 긴 구멍형상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부재인 프리즘(55a)은 구멍(45) 및 창구멍(46)에 삽통되어 선단이 핸들라인(45a) 앞면에서 돌출하는 선단에 둥글게 한 돌기인 가늘고 긴 철부(56)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핸들(38b)의 뒷면측에서 구멍(54)내에 철부(56)를 삽입한 상태로, 프리즘(55a)은 조작핸들(38b)에 코킹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조작핸들(38b)을 반전핸들(30)에 장착하면 프리즘(55a)의 입사면(57)이 네온램프(5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 프리즘(55a)의 철부(56)의 선단이 조작핸들(38)의 앞면에서 돌출하고 있으므로, 철부(56)에 의해 접점부(8)를 온(ON)조작할 때에 누름조작하는 조작핸들(38)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접점부(8)가 오프(OFF)상태로 되면, 점등표시부(52)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양 단자판(11),(12)에 접속되고, 네온램프(53)가 단자판(11),(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점등되고, 네온램프(53)의 발광이 프리즘(55a)의 입사면(57)에 입사하여 프리즘(55a)내에서 굴곡되어 철부(56)에서 외부로 출사되어, 접점부(8)의 오프시에 스위치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핸들라인(45a)을 사용하고 있으며, 핸들라인(45a)을 공용(共用)함으로써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2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편절타입의 접점부(8)의 오프시에 점등하여 스위치장치의 설치장소를 표시하는 점등표시부(5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30에, 정면도를 도 31a 에, 측면도를 도 31b 에, 저면도를 도 31c 에, 단면도를 도 32 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e)에 핸들라인(45d)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33a 에, 측면도를 도 33b 에, 배면도를 도 33c 에, A-A'단면도를 도 33d 에, B-B' 단면도를 도 33e 에, 조작핸들(38e)에의 핸들라인(45d)의 조립방법을 도 34a,34b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2 또는 실시형태 4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핸들(38e)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2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핸들(38e)의 일단측에는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통하는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38e)의 홈(41)에 있어서의 핸들라인(45d)의 창구멍(4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조작핸들(38e)을 관통하는 긴 구멍형상의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조작핸들(38e)에는, 조작핸들(38e)의 뒷면측에서 구멍(54)내에 철부(56)를 삽입한 상태로 프리즘(55a)이 코킹 고정되고, 이 조작핸들(38e)을 반전핸들(30)에 장착하면, 프리즘(55a)의 입사면(57)이 네온램프(5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입사면(57)에서 입사된 네온램프(53)의 발광은 프리즘(55a)내에서 굴곡되어 철부(56)에서 외부로 출사되고, 접점부(8)의 오프시에 스위치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 프리즘(55a)의 철부(56)의 선단이 조작핸들(38e)의 앞면에서 돌출하고 있으므로, 철부(56)에 의해 접점부(8)를 온조작할 때에 누름조작하는 조작핸들 (38)의 위치를 조작 감촉이나 시각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핸들라인(45e), 실시형태 4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프리즘(55a)을 사용하고 있으며, 핸들라인(45e) 및 프리즘(55a)을 공용함으로써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3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편절타입의 접점부(8)의 오프시에 점등하여 스위치장치의 설치장소를 표시하는 점등표시부(5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정면도를 도 35a 에, 측면도를 도 35b 에, 저면도를 도 35c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3 또는 4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본체에서는,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조작핸들(38h)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3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핸들(38h)의 일단측에는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통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홈내에 핸들라인(45g)이 장착된다. 실시형태 4 와 마찬가지로, 조작핸들(38h)의 홈에 있어서의 핸들라인(45g)의 창구멍(4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조작핸들(38e)을 관통하는 긴 구멍형상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내에 철부(56)를 삽입한 상태로 프리즘 (55a)이 조작핸들(38h)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프리즘(55a)의 철부(56)는 핸들라인(45g)의 창구멍(46)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반전핸들(30)내에 수용된 네온램프의 광은 프리즘(55a)내에서 굴곡되어, 철부(56)에서 외부로 출사되므로, 접점부(8)의 오프시에 스위치장치의 설치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핸들라인(45g)을 사용하고, 실시형태 5와 동일한 프리즘(55a)을 사용하고 있으며, 핸들라인(45g), 프리즘(55a)을 공용함으로써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7)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에서는 편절타입의 접점부(8)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3로(路) 타입(C 접점 타입)의 접점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36에, 정면도를 도 37a 에, 측면도를 도 37b 에, 저면도를 도 37c 에, 단면도를 도 38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b)에 핸들라인(45b)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39a 에, 측면도를 도 39b 에, 배면도를 도 39c 에, A-A'단면도를 도 39d 에, 조작핸들 (38b)에의 핸들라인(45b)의 조립방법을 도 40a, 40b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접점부(8)는 단자판(12)과 가동접점판(19)과 고정접점판(58),(60)으로 구성된다. 단자판(12)은 거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ㄷ"자형부(14)를 가지고 있으며, 이 "ㄷ"자형부(14)에 1쌍의 쇄정스프링(15)이 배치되어 속결단자부(6)를 구성한다.
단자판(12)의 "ㄷ"자형부(14)는 중앙편(14a)과 중앙편(14a)의 양단 에지에서 중앙편(14a)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접촉편(14b) 및 접촉편(14c)으로 구성되고, 접촉편(14b)의 단부로부터는 선단에 가동접점판(19)의 요동 지지점이 되는 지지점돌기(22)가 형성된 지지편(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판(19)은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대판(帶板)을 거의 "ㄷ"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중앙편(19a)의 양단 에지에 측편(側片)(19b),(19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측편(19b)에는 고정접점(59),(61)과 각각 접속 이탈이 가능하게 접촉하는 가동접점(24a),(24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접점판(58),(60)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접점판(58), (60)과 1쌍의 갈고리형 스프링(15)으로 속결단자부(6)가 구성된다. 한쪽의 고정접점판(58)의 중앙편(58a)의 일단측에는 쇄정스프링(15)의 접촉편(15b) 및 접촉편 (15c)과 대향하는 접촉편(58b)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편(58a)의 타단측으로부터는 가동접점판(19)의 한쪽의 가동접점(19a)과 접속 이탈이 가능하게 접촉되는 고정접점(59)이 선단에 설치된 거의 "L"자형 단자편(58c)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다른쪽의 고정접점판(60)의 중앙편(60a)의 일단측에는 쇄정스프링(15)의 접촉편(15b) 및 접촉편(15c)과 대향하는 접촉편(60b)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편(60a)의 타단측으로부터는 고정접점(61)이 선단에 설치된 거의 "L"자형의 단자편 (60c)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보디(1)의 단자수납실(9)내에 쇄정스프링(15) 및 해제버튼(17)을 수납하고, 접점수납실(7)내에 단자판(12)과 고정접점판(58),(60)을 수납한 상태로, 중앙편(19a)을 보디(1)저면측으로 하여 가동접점판(19)을 접점수납실(7)내에 수용하면, 가동접점판(19)의 중앙편(19a)이 단자판(12)의 지지점돌기(22)와 접촉하여, 가동접점판(19)이 지지점돌기(2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조작핸들(38b)의 홈(41)내에는 창구멍(4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핸들라인(45b)이 장착되어 있다. 조작핸들(38b)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핸들(38)의 조작면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통하는 핸들라인(45)이 조작핸들(38)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작핸들(38)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4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조작핸들(38b)을 사용하고 있으며, 조작핸들(38b)을 공용함으로써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38b) 및 반전핸들(30)이 도면중 우측 아래로 경사지고, 가동접점(24a)이 고정접점(59)과 접촉하고, 또한 가동접점(24b)이 고정접점(61)과 떨어져 있는 상태로 조작핸들(38b)의 도면중 좌측을 누르면 조작핸들(38b)을 누르는 힘에 의해 반전핸들(30)은 반전 동작하여, 도면중 좌측 아래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반전핸들(30)의 반전동작에 따라서 코일스프링(32)은 도면중 우측으로 휘므로 코일스프링(32)의 휘는 정도에 따라서 가동접점판(19)이 지지점돌기(22)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24a)이 고정접점(59)과 떨어지고, 가동접점(24b)이 고정접점(61)과 접촉한다.
그때, 반전핸들(30)은 코일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동접점(24b)이 고정접점(61)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조작핸들(38b) 및 반전핸들(30)이 도 38중 좌측 아래에 경사지고, 가동접점(24a)이 고정접점(59)과 떨어지고, 또한 가동접점(24b)이 고정접점(61)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조작핸들(38)의 도 38중 우측을 누르면 조작핸들(38)을 누르는 힘에 의해 반전핸들(30)이 반전 동작하여, 도면중 우측 아래에 경사진 상태가 된다.
반전핸들(30)의 반전동작에 따라서 코일스프링(32)은 도면중 좌측으로 휘므로 코일스프링(32)의 휘는 정도에 따라서 가동접점판(19)이 지지점돌기(22)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 38중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24b)이 고정접점(61)과 떨어지고, 가동접점(24a)이 고정접점(59)과 접촉한다.
그때, 반전핸들(30)은 코일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동접점(24a)이 고정접점(59)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형태 8)
실시형태 2의 스위치장치에서는 편절타입의 접점부(8)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 3로(路) 타입의 접점부(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41에, 정면도를 도 42a 에, 측면도를 도 42b 에, 저면도를 도 42c 에, 단면도를 도 43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e)에 핸들라인(45e)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44a 에, 측면도를 도 44b 에, 배면도를 도 44c 에, A-A'단면도를 도 44d 에, 조작핸들 (38e)에의 핸들라인(45e)의 조립방법을 도 45a, 45b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2 또는 실시형태 7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핸들(38e)의 홈(41)내에 창구멍(46)의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핸들라인(45e)을 장착하고 있다. 조작핸들(38e)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2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핸들(38e)의 조작면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조작핸들(38e)에는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핸들라인(45e)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작핸들(38e)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5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조작핸들(38e)을 사용하고 있으며, 조작핸들(38e)을 공통화함으로써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9)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3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편절 타입의 접점부(8) 대신,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 3로 타입의 접점부(8)를 사용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정면도를 도 46a 에, 측면도를 도 46b 에, 저면도를 도 46c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3 또는 7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핸들(38h)의 홈(41)내에 창구멍(4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핸들라인(45)을 장착하고 있다. 조작핸들(38h)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3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3개의 스위치장치를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5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조작핸들(38h)을 사용하고 있으며, 조작핸들(38h)을 공통화함으로써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10)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7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점등표시부(5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47에, 정면도를 도 48a 에, 측면도를 도 48b 에, 저면도를 도 48c 에, 단면도를 도 49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b)에 핸들라인(45a)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50a 에, 측면도를 도 50b 에, 배면도를 도 50c 에, A-A'단면도를 도 50d 에, B-B'단면도를 도 50e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4, 실시형태 7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4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조작핸들(38b),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핸들라인(45a)을 사용하고 있으며,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접점부(8)의 접점상태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부하(예를 들면 참조부하)의 오프시에 점등하여 스위치장치의 장소를 표시하는 점등표시부 (52)를 반전핸들(30)내에 내장하고, 반전핸들(30)의 앞면에 형성된 개구(34)에 점등표시부(52)의 네온램프(53)를 면하게 하고 있다.
프리즘(55b)은 조작핸들(38b)의 구멍(54) 및 핸들라인(45a)의 창구멍(46)에 삽통되는 선단이 평평하고 가늘고 긴 철부(62)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핸들(38b)의 뒷면측에서 구멍(54)내에 철부(62)를 삽입한 상태로, 프리즘(55b)은 조작핸들(38b)에 코킹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조작핸들(38b)을 반전핸들(30)에 장착하면, 프리즘(55b)의 입사면(57)이 네온램프(53)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입사면(57)에서 입사된 네온램프 (53)의 발광은 프리즘(55b)내에서 굴곡되어 철부(56)에서 외부로 출사되고, 부하의 오프시에 스위치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표시부(52)를 구성하는 네온램프(53) 등의 부품이 실장(實裝)된 기판(52a)은. 기판(52a)의 뒷면에 설치된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탄성접촉하는 탄접부(63a),(64a)를 가지는 도전부재(63),(64)를 통하여 고정단자판(58),(60)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부하의 오프시에 도전부재(63),(64)를 통하여 점등표시부(52)에 급전(給電)되어 네온램프(53)가 점등된다.
(실시형태 11)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8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실시형태 10에서 설명한 점등표시부(5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51에, 정면도를 도 52a 에, 측면도를 도 52b 에, 저면도를 도 52c 에, 단면도를 도 53에 각각 나타낸다. 또, 이 스위치장치에 사용하는 조작핸들(38e)에 핸들라인(45d)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 54a 에, 측면도를 도 54b 에, 배면도를 도 54c 에, A-A'단면도를 도 54d 에, B-B'단면도를 도 54e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8 또는 실시형태 10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5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조작핸들(38e), 실시형태 2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핸들라인(45d)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시형태 10과 동일한 프리즘(55b)을 사용하고 있고,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조작핸들(38e)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2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핸들(38e)의 조작면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통하는 핸들라인(45d)이 조작핸들(38e)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작핸들(38e)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12)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8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실시형태 10에서 설명한 점등표시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위치장치의 정면도를 도 55a 에, 측면도를 도 55b 에, 저면도를 도 55c 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형태 8 또는 실시형태 10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핸들(38h)은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3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장치를 플레이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6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조작핸들 (38h), 실시형태 3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핸들라인(45g), 실시형태 10과 동일한 프리즘(55b)을 사용하고 있고,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13)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를 도 56 내지 도 6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장치의 명칭이나 용도 등을 표시하기 위해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장치의 명칭이나 용도 등의 문자정보가 표시된 표시부재인 네임카드(65)를 조작핸들(38)에 장착하여, 소비자가 스위치장치의 명칭이나 용도 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 1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8a ∼ 58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38a')의 앞면에 있어서의 홈(41) 이외의 부위에는 사각형의 요소(66)가 형성되고, 요소(6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에는 요소(66)보다 한단 낮아진 표시부재 수납요소인 카드수납요소(69)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66)의 끝면에 있어서의 카드수납요소(69)양측의 부위에는, 요소(66)의 끝면에서 내측으로 파고 드는 요부(70),(70)가 형성되고, 이 요부(70),(70)는 조작핸들(38a')의 배면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또, 홈(41)측의 요소(66) 끝면의 카드수납요소(69)를 사이에 두고 대칭의 위치에는 요소(66) 끝면에서 내측으로 파고 드는 요홈(67),(67)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 요홈(67),(67)은 조작핸들(38a')의 배면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또, 홈(41)과 반대측의 요소(66) 끝면의 카드수납요소(69)를 사이에 두고 대칭의 위치에는 조작핸들(38a')을 관통하는 요홈(67)보다 큰 관통공(68),(68)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38a')의 요소(66)에는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거의 사각형의 네임커버(7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9a ∼ 59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임커버(71)에 있어서의 요홈(67), (67)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철부(72),(72)가 형성되어 있으며, 네임커버(71)에 있어서의 관통공(68),(68)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수단인 걸림클릭편(73),(73)이 돌출 설치되고, 각 걸림클릭편(73)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릭(73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임카드(65)가 장착되는 요소(66)를 가진 조작핸들(38a')에서는 요소(66)분만큼 앞면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 71 및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핸들(30)의 두께 치수(D1)가 큰 경우, 반전핸들(30)에 조작핸들(38)을 장착한 상태로 반전핸들(30)의 앞면과 조작핸들(38)의 뒷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으므로, 네임카드(65)가 수납되는 요소(66)를 가진 조작핸들(38a')을 장착할 수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핸들(30)의 두께치수(D1)를 충분히 얇게 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핸들(30)에 조작핸들(38a)을 장착한 상태로, 반전핸들(30)의 앞면과 조작핸들(38a)의 뒷면과의 사이에 네임카드 (65)를 부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네임카드(65)를 수납하기 위한 요소(66)를 가진 조작핸들(38a')을 반전핸들(30)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네임카드(65)를 조작핸들(38a')에 장착할 때는, 도 60a ∼ 60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네임카드(65)중 어느 일단을 한쪽의 요부(70)내에 삽입한 후, 네임카드(65)를 휘게 하여 네임카드(65)의 타단을 다른쪽의 요부(70)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네임카드(65)를 카드수납요소(69)내에 장착한 경우, 도 61a ∼ 6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네임커버(71)의 철부(72)를 요홈(67)에 삽입한 후, 철부(72)를 지지점으로 하여 네임커버(71)의 걸림클릭편(73)측을 조작핸들(38a')의 앞면측에서 밀어 넣으면 걸림클릭편(73)이 관통공(68)에 삽입되어, 네임커버(71)를 조작핸들(38a')에 압입력에 의해 걸림클릭편(73)이 내측으로 휘게 되어, 걸림클릭편(73)의 클릭(73a)이 조작핸들(38a')의 뒷면측에 파고 들어, 클릭(73a)이 관통공 (68)의 끝 에지와 걸어 맞춤으로써 네임커버 (71)가 조작핸들(38a')에 장착된다.
그리고, 네임카드(65)가 배치되는 카드수납요소(69)는 요소(66)의 저면보다 한층 낮게 되어 있으므로 네임카드(65)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네임커버(71)를 분리할 때는, 도 62a ∼ 6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임커버(71)의 걸림클릭편(73)을 도 62a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휘게 하면, 클릭 (73a)과 관통공(58)의 끝에지와의 걸림상태가 풀어지고, 이 상태에서 걸림클릭편 (73)을 조작핸들(38a')의 앞면측으로 누르면, 네임커버(71)가 철부(72)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클릭편(73)이 관통공(68)에서 이탈되어, 네임커버(71)를 조작핸들(38a')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플레이트(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조작핸들(38)의 치수를,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하고 있지만, 도 64a ∼ 6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2분의 1의 치수로 형성해도 되고,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3분의 1의 치수로 형성해도 되며, 실시형태 4 ∼ 12의 스위치장치에 네임카드(65)를 수납하는 요소(66)가 형성된 조작핸들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네임카드(65)의 장착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3 은, 플레이트프레임(130)의 창구멍(134)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조작핸들(38a …)의 치수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경우와, 창구멍(134)의 길이방향 치수의 거의 2분의 1의 치수로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조작핸들(38a …), 핸들라인(45a …), 프리즘(55a …)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으며, 접점부(8)의 종류(편절타입 또는 3로(路) 타입)나 점등표시부(52)의 유무 등의 시방이 다른 스위치장치로 조작핸들(38a …), 핸들라인(45a …), 프리즘 (55a …)의 외형치수나 장착치수를 동일한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을 공통화하고,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은, 가늘고 긴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기구장착부를 가지는 개구창을 구비한 장착프레임의 기구장착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장착수단을 가지고, 폭 방향의 외형치수가 상기 개구창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기구 장착부의 수로 분할한 치수로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 수납된 접점부의 전환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앞면에 가진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창에 대향하는 가늘고 긴 창구멍을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의 앞쪽으로 배치되는 외장플레이트의 상기 창구멍의 단변(短邊)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단변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스위치본체의 개수를 분모로 하는 정수분의 1의 크기로 형성되어, 외장플레이트의 창구멍내에 배설되는 스위치본체의 앞면에 장착되는 조작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작핸들은 창구멍의 단변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의 단변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창구멍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스위치본체의 개수를 분모로 하는 정수분의 1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본체의 조작부에 비하여 조작핸들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스위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 일측에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장착되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을 설치하고, 상기 판편의 폭방향의 한변에 상기 홈내에 형성된 피(被)요철 계지부와 요철을 걸어 맞추는 요철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판변(板邊)의 길이방향의 양측변에 상기 홈내에 형성된 피계지부와 걸어 맞추는 계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판편이 조작핸들의 앞면에 장착되므로, 이 판편에 의해 조작핸들을 슬림하고 콤팩트(소형)하게 보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판편을 조작핸들에 장착할 때는, 먼저 판편의 폭방향의 한 변에 형성한 요철계지부를 피요철계지부에 요철을 걸어 맞춘 후, 판변의 폭방향의 다른 변을 조작핸들에 밀어 넣음으로써, 계지부를 피계지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판편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온(ON)조작할 때에 누르는 조작핸들 부위에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돌기가 조작핸들 앞면에 돌출하고 있으므로, 시각적 또는 돌기의 감촉에 의해 온(ON)조작할 때에 누르는 조작핸들의 부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 일측에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장착되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을 설치하는 동시에, 설치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램프를 스위치본체에 배설한 경우에는 위치표시램프의 빛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부재가 상기 조작핸들 및 상기 판편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핸들, 상기 판편 및 상기 도광부재는 접점부의 종류나 위치표시램프의 유무에 따라서 복수 종류 형성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조작핸들, 판편 및 도광부재의 외형치수 및 장착치수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 종류의 조작핸들이나 판편이나 도광부재의 외형치수 및 부착치수를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조작핸들과의 사이에 네임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작부와 조작핸들과의 사이에 네임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네임카드가 장착된 조작핸들을 사용할 수 있고, 네임카드의 표시에서 스위치장치의 용도나 명칭 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에 요소)가 형성되고, 이 요소의 저면에 네임카드가 배치되는 저면보다 한층 낮게 된 카드수납요소를 형성하고, 요소의 한쪽의 끝면에 요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요소의 다른쪽의 끝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요소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네임커버의 일단측에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철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커버의 타단측에 상기 관통공의 끝에지와 걸리게 하여 고정하는 계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네임카드가 배치되는 카드수납요소는 요소의 저면보다 한층 낮게 되어 있으므로, 카드수납요소내에 수납된 네임카드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또한 네임커버는 철부를 요소의 요홈과 걸어 맞추는 동시에, 계지수단을 관통공과 걸어 맞춤으로써 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네임커버의 요소에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네임카드의 교환작업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3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3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구창의 길이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스위치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스위치본체를 어느 부착위치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부착위치를 혼동하는 일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2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2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구창의 길이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스위치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스위치본체를 어느 장착위치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장착위치를 혼동하는 일은 없다는 효과가 있다 .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1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1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구창의 길이방향으로 1개 배열하여 스위치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스위치본체를 어느 장착위치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종류를 감소시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부착위치를 혼동하는 일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피계지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가늘고 긴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기구장착부를 가지는 개구창을 구비한 장착프레임의 기구장착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리게 하여 고정하는 장착수단을 가지고, 폭방향의 외형치수가 상기 개구창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기구장착부의 수로 분할한 치수로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 수납된 접점부의 전환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앞면에 가지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창에 대향하는 가늘고 긴 창구멍을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의 앞쪽으로 배치되는 외장플레이트의 상기 창구멍의 단변(短邊)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단변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스위치본체의 개수를 분모로 하는 정수분의 1의 크기로 형성되어, 외장플레이트의 창구멍내에 배설되는 스위치본체의 앞면에 장착되는 조작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 일측에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장착되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을 설치하고, 상기 상기 판편의 폭방향의 한변에 상기 홈내에 형성된 피(被)요철 계지부와 요철을 걸어 맞추는 요철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판변(板邊)의 길이방향의 양측변에 상기 홈내에 형성된 피계지부와 걸어 맞추는 계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온(ON)조작할 때에 누르는 조작핸들 부위에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 일측에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장착되는 긴 형상의 판편(板片)을 설치하는 동시에, 설치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램프를 스위치본체에 배설한 경우에는 위치표시램프의 빛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부재가 상기 조작핸들 및 상기 판편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핸들, 상기 판편 및 상기 도광부재는, 접점부의 종류나 위치표시램프의 유무에 따라서 복수 종류 형성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조작핸들, 판편 및 도광부재의 외형치수 및 장착치수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조작핸들과의 사이에 네임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앞면에 요소(凹所)가 형성되고, 이 요소의 저면(底面)에 네임카드가 배치되는 저면보다 한층 낮게 된 카드수납요소를 형성하고, 요소의 한쪽의 끝면에 요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요소의 다른쪽의 끝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요소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네임커버의 일단측에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철부(凸部)를 형성하는 동시에, 커버의 타단측에 상기 관통공의 끝에지와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3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3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2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2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창구멍의 거의 1/1 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창구멍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스위치본체의 중심위치를 조작핸들의 중심위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1개의 스위치본체가 장착프레임에 부착되는 장착수단을 스위치본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의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피계지부와 계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19990048487A 1998-11-25 1999-11-04 스위치장치 KR100357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725 1998-11-25
JP10334725A JP2000164074A (ja) 1998-11-25 1998-11-25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218A true KR20000035218A (ko) 2000-06-26
KR100357914B1 KR100357914B1 (ko) 2002-10-25

Family

ID=1828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7A KR100357914B1 (ko) 1998-11-25 1999-11-04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0164074A (ko)
KR (1) KR100357914B1 (ko)
CN (1) CN1094244C (ko)
HK (1) HK1027209A1 (ko)
ID (1) ID24511A (ko)
TW (1) TW432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8487B2 (ja) * 2004-12-20 2009-04-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表示付きスイッチ並びにスイッチ装置
JP4281703B2 (ja) 2005-04-18 2009-06-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ハンドル及びこれを含むスイッチ
JP4626567B2 (ja) * 2006-05-12 2011-02-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器具
CN102928637B (zh) * 2012-10-29 2018-02-13 浙江久恒电气有限公司 活动式空气开关保护装置
JP6399598B2 (ja) * 2015-01-21 2018-10-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64074A (ja) 2000-06-16
CN1254936A (zh) 2000-05-31
TW432417B (en) 2001-05-01
HK1027209A1 (en) 2001-01-05
ID24511A (id) 2000-07-20
CN1094244C (zh) 2002-11-13
KR100357914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4886A1 (en) Structure for holding switching board in small size electronic appliance
KR20000035218A (ko) 스위치장치
JP2001297658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3849402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125078B1 (ko) 스위치
JP2007157644A (ja) スイッチ装置
JP3815147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60003095A (ko) 스위치
JP4303413B2 (ja) 端子装置
KR100399173B1 (ko) 피아노핸들식 스위치
KR100301879B1 (ko) 스위치및그스위치를사용한스위치장치
JPH10326541A (ja) スイッチ及びそのスイッチ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3826650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823687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2203455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7173125A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3835159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121018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2171634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412254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H10302856A (ja) アース用配線器具
KR10045844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겸용 버튼구조
JP2002008491A (ja) スイッチ装置
JP2001210188A (ja) スイッチ
JPH03491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