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095A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095A
KR20160003095A KR1020157033574A KR20157033574A KR20160003095A KR 20160003095 A KR20160003095 A KR 20160003095A KR 1020157033574 A KR1020157033574 A KR 1020157033574A KR 20157033574 A KR20157033574 A KR 20157033574A KR 20160003095 A KR20160003095 A KR 2016000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witch
piece
spr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사 오쿠노
가쓰야 이마이
가즈야 바바
히데토 다다
다카시 구사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45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스위치(10)는, 푸시 버튼 핸들(32)이 설치된 기체(5)와, 기체(5)의 전방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푸시 버튼 핸들(32)과 맞닿는 피아노 핸들(43)과,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접점을 개폐하는 스위치 기구부(40)와,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반전 핸들(31)을 교호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반전 기구부(41)를 구비하고, 반전 기구부(41)는, 푸시 버튼 핸들(32)과 반전 핸들(31)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푸시 버튼 핸들(32)이 반전 핸들(31)의 한쪽만을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슬라이딩 캠(33)과,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슬라이딩 캠(33)의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 편(33a)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위치, 더욱 상세하게는, 피아노 핸들의 푸시 조작에 의해 접점을 반전(反轉)시키는 피아노 핸들식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아노 핸들의 푸시 조작에 의해 접점을 반전시키는 피아노 핸들식의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종류의 피아노 핸들식의 스위치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11―162292호 공보를 참조). 이하에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162292호 공보를 문헌 1이라고 한다.
특허 문헌 1의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기체(器體; device)(301) 및 커버체(302)를 구비하고 있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커버체(302)에 장착되고, 압입(押入) 및 복원 이동 가능한 조작체(310)를 구비하고 있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조작체(310)에 푸시 버튼(314)을 장착하고 있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기체(301)의 내부에, 단자 부재(303), 해제 버튼(304), 고정 접점 부재(305), 가동(可動) 접점 지지 단자(306), 가동 접점 지지 단자(306)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점 부재(307)를 내장하고 있다. 고정 접점 부재(305)는, 고정 접점(305a)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307)는, 가동 접점(307a)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307)는, 가동 접점 지지 단자(306)의 가동 접점 지지 스프링부(306a)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가동 접점 부재(307)의 요동에 따라, 가동 접점(307a)이 고정 접점(305a)에 접촉 또는 이격된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전환자(轉換子)(313)와 가동 접점 부재(307)가 링크 기구(機構)를 형성하고, 전환자(313)의 요동에 연동하여 가동 접점 부재(307)도 요동한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기체(301)의 내저부(內底部)에 코일 스프링(315)을 배치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315)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307) 및 전환자(313)를 커버체(302) 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코일 스프링(315)의 가압력에 의해, 전환자(313)와 가동 접점 부재(307)에 의해 형성하는 링크 기구가 토글(toggle)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조작체(310), 슬라이딩 구동체(311), 가압 부재(312) 및 전환자(313)로 구성되며, 가동 접점 부재(307)를 요동시키는 접점 개폐 기구를 가지고 있다. 가압 부재(312)는, 기판(312a)과 일체로 조작체 가압 스프링부(312b) 및 슬라이딩 구동체 가압 스프링부(312c)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가압 부재(312)는, 조작체 가압 스프링부(312b)에 의해, 조작체(310)를 복원 이동 방향으로 가압한다. 슬라이딩 구동체 가압 스프링부(312c)는, 슬라이딩 구동체(311)의 양 측단면에 걸어맞추어지고, 슬라이딩 구동체(311)를 양측으로부터 대략 균등하게 가압하고 있다.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슬라이딩 구동체 가압 스프링부(312c)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체(311)를 중립 위치로 되돌릴 수가 있다.
그런데,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는, 푸시 버튼(314)의 압압(押壓) 조작에 의한 슬라이딩 구동체(311)의 이동에 따라, 조작음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피아노 핸들식의 스위치는, 보다 정음성(靜音性)이 요구되고 있고, 전술한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다른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16229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음성이 우수한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10)는, 기체(5)와, 피아노 핸들(43)과, 복귀 스프링(37)과, 스위치 기구부(40)와, 반전 핸들(31)과, 반전 기구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5)는, 푸시 조작되는 푸시 버튼 핸들(push button handle)(32)이 전면(前面)에 설치되어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기체(5)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기체(5)의 전방에 배치된다. 피아노 핸들(43)은, 일단부가 기체(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아노 핸들(43)은, 후면이 푸시 버튼 핸들(32)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37)은, 기체(5)에 수납된다. 복귀 스프링(37)은, 푸시 버튼 핸들(32)이 푸시 조작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푸시 버튼 핸들(32)에 가한다. 스위치 기구부(40)는, 기체(5)에 수납된다. 스위치 기구부(40)는,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접점을 개폐한다. 반전 핸들(31)은, 복귀 스프링(37)의 내측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반전 기구부(41)는,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반전 핸들(31)을 교호적(交互的)으로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반전 기구부(41)는, 슬라이딩 캠(33)과, 스프링 편(spring piece)(33a)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 캠(33)은, 푸시 버튼 핸들(32)과 반전 핸들(3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캠(33)은, 푸시 버튼 핸들(32)이 반전 핸들(31)의 한쪽만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푸시 조작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스프링 편(33a)은,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 편(33a)은,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설치된다. 스프링 편(33a)은, 슬라이딩 캠(33)의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캠(33)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스위치는, 보다 정음성이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면은, 본 교시(敎示)에 따라, 1 또는 복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한정되지 않고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다른 주요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사용 형태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의 A는 피아노 핸들을 장착하기 전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의 B는 피아노 핸들을 장착한 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푸시 버튼식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피아노 핸들식의 스위치(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각각의 도면이 나타내는 부재의 크기나 위치 관계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要素)는, 복수의 요소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 하나의 부재로 복수의 요소를 겸용하는 태양(態樣)이라도 되고, 반대로 하나의 부재의 기능을 복수의 부재로 분담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이하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피아노 핸들식의 스위치(10)는, 스위치(10)라고도 한다.
스위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조작되는 푸시 버튼 핸들(32)이 전면에 설치된 기체(5)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기체(5)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기체(5)의 전방에 배치된 피아노 핸들(43)을 구비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일단부가 기체(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아노 핸들(43)의 후면은, 푸시 버튼 핸들(32)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10)는, 기체(5)에 수납되고 푸시 버튼 핸들(32)이 푸시 조작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푸시 버튼 핸들(32)에 가하는 복귀 스프링(37)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기체(5)에 수납되고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접점(100)을 개폐하는 스위치 기구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복귀 스프링(37)의 내측에 있어서 요동 가능한 반전 핸들(31)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반전 핸들(31)을 교호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반전 기구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반전 기구부(41)는, 푸시 버튼 핸들(32)과 반전 핸들(31)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푸시 버튼 핸들(32)이 반전 핸들(31)의 한쪽만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푸시 조작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캠(33)을 구비하고 있다. 반전 기구부(41)는,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캠(33)의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슬라이딩 캠(33)에 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 편(33a)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스위치(10)는, 보다 정음성이 우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스위치(1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위치(1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 등의 시공면(施工面)(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장착 프레임(2)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10)는, 푸시 버튼 핸들(32)을 구비하고 푸시 조작 시마다 접점(100)을 반전시키는 스위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푸시 버튼 핸들(32)은, 푸시 버튼 핸들(32)의 표면측에 형성한 요철(凹凸)에 의해, 스위치 본체(1)의 설치 방향을 시사하는 도형이나 문자를 표시해도 된다. 스위치(10)는, 스위치 본체(1)의 전면[도 1의 지면(紙面)의 상측]에 대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일단부가 스위치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푸시 버튼 핸들(32)을 압입 가능한 피아노 핸들(43)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스위치 본체(1)가 직육면체형의 기체(5)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5)는, 장착 프레임(2)에 유지된다. 장착 프레임(2)은, 직사각형 프레임형이며 기구(器具) 장착용의 창공(窓孔)(2a)을 가지고 있다. 장착 프레임(2)은, 장착 프레임(2)의 전면측에, 장착 프레임(2)의 창공(2a)보다 긴 치수 또한 광폭의 제1 개구부(120a)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프레임(120)과, 제2 개구부(130a)를 구비하는 화장(化粧) 플레이트(130)를 중첩시켜 배치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장착 프레임(2)은, 장착 프레임(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기구 장착공(2b)을 3조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기체(5)의 치수를 매립형 배선 기구의 1개의 모듈의 3개분에 상당하는 1련(連)의 모듈의 크기로 하고 있다. 기체(5)는, 커버체(5a)와, 보디체(5b)를 구비하고 있다. 보디체(5b)는, 전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각통형(角筒形)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체(5b)는, 합성 수지 성형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커버체(5a)는, 보디체(5b)의 전면측에 결합되는 후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각통형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5a)는, 합성 수지 성형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커버체(5a)는, 커버체(5a)의 폭 방향의 양 측벽의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립편(3)을 형성하고 있다. 보디체(5b)는, 보디체(5b)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 커버체(5a)의 조립공(4)과 결합 가능한 조립 돌기(6)를 구비하고 있다. 조립 돌기(6)는, 보디체(5b)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커버체(5a) 측일수록 작은 경사면(6a)을 구비하고 있다. 조립 돌기(6)는, 커버체(5a)를 보디체(5b)에 씌우는 것에 의해, 조립편(3)이 조립 돌기(6)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체(5)는, 커버체(5a)의 조립편(3)에 형성한 조립공(4)과 보디체(5b)의 조립 돌기(6)를 끼워맞춤으로써, 보디체(5b)와 커버체(5a)를 결합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기체(5)의 폭 방향의 치수를, 장착 프레임(2)의 창공(2a)의 길이 방향의 치수의 대략 3분의 1의 치수로 하고 있다. 또한, 기체(5)는, 기체(5)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장착 프레임(2)의 창공(2a)의 폭 방향의 치수와 거의 같게 하고 있다. 기체(5)는, 도 2,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5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1 측면에, 장착 프레임(2)의 창공(2a)을 에워싸는 부위에 형성한 기구 장착공(2b)과 끼워맞춤 가능한 제1 장착 클로우(claw)(11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기체(5)는, 한 쌍의 제1 장착 클로우(11a)를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기체(5)는, 도 1, 도 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5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측면에, 장착 프레임(2)의 창공(2a)을 에워싸는 부위에 형성한 기구 장착공(2b)과 끼워맞춤 가능한 제2 장착 클로우(11b)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10)는, 장착 프레임(2)의 기구 장착공(2b)에 기체(5)의 제1 장착 클로우(11a) 및 제2 장착 클로우(11b)를 끼워맞춤으로써, 스위치 본체(1)를 장착 프레임(2)에 장착할 수 있다. 커버체(5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5a)의 제1 측벽에, 한 쌍의 절입홈(切入溝) 즉 커트인(cut-in) 홈(11c)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체(5a)는, 한 쌍의 절입홈(11c)의 사이에, 측벽의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벤딩편(11d)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체(5a)는, 벤딩편(11d)을 커버체(5a)의 내측으로 휘게 함으로써, 제1 장착 클로우(11a)를 커버체(5a)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장착 프레임(2)에 스위치 본체(1)를 장착하는 경우, 먼저, 장착 프레임(2)의 기구 장착공(2b)에 커버체(5a)의 제2 장착 클로우(11b)를 삽입한다. 다음에, 스위치(10)는, 제2 장착 클로우(11b)와는 반대측의 제1 장착 클로우(11a)를 변형시켜, 장착 프레임(2)의 창공(2a)에 기체(5)를 삽입하면, 장착 프레임(2)에 스위치 본체(1)를 장착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벤딩편(11d)을 커버체(5a)의 내측으로 압입하도록 하면, 제1 장착 클로우(11a)가 기구 장착공(2b)으로부터 빠진다. 스위치(10)는, 기구 장착공(2b)으로부터 제1 장착 클로우(11a)가 빠진 상태에서, 제2 장착 클로우(11b)를 기구 장착공(2b)으로부터 빠뜨리면, 장착 프레임(2)으로부터 스위치 본체(1)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스위치 본체(1)는, 벤딩편(11d)의 압입을 용이하게 하는 푸시 돌기(11e)를 벤딩편(11d)에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장착 프레임(2)은, 벽 등에 매립되는 도시하지 않은 매립 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박스 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2c)을 구비하고 있다. 장착 프레임(2)은,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나사를 삽통하기 위한, 나사 삽통공(揷通孔)(2d)을 구비하고 있다. 장착 프레임(2)은,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 사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램핑(clamping) 금속 부재를 거는 클램핑 금속 부재 걸림공(2e)을 구비하고 있다. 장착 프레임(2)은, 플레이트 프레임(12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나사(123)를, 나사고정하는 장착 나사공(2f)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체(5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체(5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보디체(5b)의 내부 공간을 3실로 구획하고 있다. 보디체(5b)는, 보디체(5b)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의 구획이 제1 단자 수납실(13) 및 제2 단자 수납실(14)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단자 수납실(13)은, 제1 단자판(15)과, 2개의 제1 쇄정(鎖錠) 스프링(16)과, 제1 해제 버튼(17)을 가지는 단자부를 수납한다. 제2 단자 수납실(14)은, 제2 단자판(18)과, 제3 단자판(22)과, 2개의 제2 쇄정 스프링(19)과, 제2 해제 버튼(21)을 가지는 단자부를 수납한다. 보디체(5b)는, 보디체(5b)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스위치 기구부(40)를 수납하는 중앙 수납실(23)을 구성하고 있다. 보디체(5b)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 측에 있어서, 보디체(5b)의 제1 단자 수납실(13)에 제1 전선 삽입구(13a)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보디체(5b)는, 한 쌍의 제1 전선 삽입구(13a)의 근방에 제1 해제공(13b)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디체(5b)는, 바닥면 측에 있어서, 보디체(5b)의 제2 단자 수납실(14)에, 한 쌍의 제2 전선 삽입구(14a)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디체(5b)는, 한 쌍의 제2 전선 삽입구(14a)의 근방에, 제2 해제공(14b)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2 전선 삽입구(14a) 중, 1개를 제3 전선 삽입구(14a1)라고 하고, 나머지를 제4 전선 삽입구(14a2)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하에서는, 2개의 제2 쇄정 스프링(19) 중, 1개를 제2 쇄정 스프링(19)으로서 설명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3 쇄정 스프링(26)이라고 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제1 쇄정 스프링(16)은, 평판형의 제1 중앙편(16c)과, 제1 중앙편(16c)의 제1 단부(端部)에 형성한 제1 쇄정편(16a)과, 제1 중앙편(16c)의 제2 단부에 형성한 제1 접촉편(16b)을 가지고 있다. 제1 쇄정편(16a)은, J자형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중앙편(16c)과의 연결 부위로부터 선단을 향해 제1 중앙편(16c)과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1 접촉편(16b)은, S자형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중앙편(16c)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쇄정 스프링(19)은, 평판형의 제2 중앙편(19c)과, 제2 중앙편(19c)의 제3 단부에 형성한 제2 쇄정편(19a)과, 제2 중앙편(19c)의 제4 단부에 형성한 제2 접촉편(19b)을 가지고 있다. 제2 쇄정편(19a)은, J자형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중앙편(19c)과의 연결 부위로부터 선단을 향해 제2 중앙편(19c)과의 거리를 넓히도록 경사져 있다. 제2 접촉편(19b)은, S자형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중앙편(19c)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제1 쇄정 스프링(16)이나 제2 쇄정 스프링(19)은,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導電性)의 금속재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 쇄정 스프링(16)은, 제1 쇄정 스프링(16)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2 쇄정 스프링(19)은, 제2 쇄정 스프링(19)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1 단자판(15)은, 제1 연결편(15a)과, 제1 연결편(15a)에 연결한 제1 압접편(15b)과, 제1 연결편(15a)과 연결되고 제1 압접편(15b)에 대향하는 제1 접촉편(15c)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쇄정 스프링(16)은, 제1 중앙편(16c)이 제1 단자판(15)의 제1 접촉편(15c)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여, 제1 쇄정편(16a) 및 제1 접촉편(16b)을 제1 압접편(15b)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 본체(1)는, 제1 전선 삽입구(13a)에 도입되는 전선이, 제1 쇄정 스프링(16)의 제1 쇄정편(16a) 및 제1 접촉편(16b)과, 제1 단자판(15)의 제1 압접편(15b)과의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1)는, 제1 단자판(15), 제1 쇄정 스프링(16) 및 제1 전선 삽입구(13a)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스위치 본체(1)는, 기체(5)의 제1 전선 삽입구(13a)에 전선이 삽입되면, 제1 쇄정편(16a) 및 제1 접촉편(16b)과, 제1 단자판(15)의 제1 압접편(15b)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압력접촉시켜 협지(sandwich)한다. 스위치 본체(1)는, 제1 쇄정편(16a)의 선단이 전선의 심선(芯線)에 파고들어 스톱을 행한다. 스위치 본체(1)는, 제1 쇄정편(16a) 및 제1 접촉편(16b)에 의해, 전선의 심선과 제1 단자판(15)과의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스위치 본체(1)는, 제1 쇄정 스프링(16)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단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을 접속할 수 있다. 즉, 제1 쇄정 스프링(16)과 제1 단자판(15)은, 절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심선이 삽입되므로, 전선과의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행해지는 속결(速結)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단자판(18)은, 제2 연결편(18a)과, 제2 연결편(18a)에 연결한 제2 압접편(18b)과, 제2 연결편(18a)과 연결되고 제2 압접편(18b)에 대향하는 제2 접촉편(18c)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단자판(18)은,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의 금속재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2 단자판(18)은, 제2 단자판(18)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2개의 제2 쇄정 스프링(19) 중 1개는, 제2 중앙편(19c)이 제2 단자판(18)의 제2 접촉편(18c)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고, 제2 쇄정편(19a) 및 제2 접촉편(19b)을 제2 압접편(18b)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 본체(1)는, 제3 전선 삽입구(14a1)에 전선이 도입된다. 스위치 본체(1)는, 제2 쇄정 스프링(19)의 제2 쇄정편(19a) 및 제2 접촉편(19b)과, 제2 단자판(18)의 제2 압접편(18b)과의 사이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2 단자판(18) 및 제2 쇄정 스프링(19)과, 제3 전선 삽입구(14a1)와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1)는, 제3 전선 삽입구(14a1)에 전선이 삽입되면, 제2 쇄정편(19a) 및 제2 접촉편(19b)과, 제2 단자판(18)의 제2 압접편(18b)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압력접촉시켜 협지한다. 스위치 본체(1)는, 제2 쇄정편(19a) 및 제2 접촉편(19b)에 의해, 전선의 심선과 제2 단자판(18)과의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접속을 행하는 속결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제3 단자판(22)은, 제3 연결편(22a)과, 제3 연결편(22a)에 의해 연결된 제3 압접편(22b)과, 제3 연결편(22a)에 의해 연결되고 제3 압접편(22b)과 대향하는 제3 접촉편(22c)을 구비하고 있다. 제3 단자판(22)은,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의 금속재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3 단자판(22)은, 제3 단자판(22)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3 쇄정 스프링(26)은, 제3 중앙편(26c)이 제3 단자판(22)의 제3 접촉편(22c)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고, 제3 쇄정편(26a) 및 제3 접촉편(26b)을 제3 압접편(22b)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 본체(1)는, 제4 전선 삽입구(14c2)에 전선이 도입된다. 스위치 본체(1)는, 제3 쇄정 스프링(26)의 제3 쇄정편(26a) 및 제3 접촉편(26b)과 제3 단자판(22)의 제3 압접편(22b)과의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3 단자판(22) 및 제3 쇄정 스프링(26)과 제4 전선 삽입구(14c2)와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1)는, 제4 전선 삽입구(14c2)에 전선이 삽입되면, 제3 쇄정편(26a) 및 제3 접촉편(26b)과, 제3 단자판(22)의 제3 압접편(22b)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압력접촉시켜 협지한다. 스위치 본체(1)는, 제3 쇄정편(26a) 및 제3 접촉편(26b)에 의해, 전선의 심선과 제3 단자판(22)과의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접속을 행하는 속결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해제 버튼(17)은, 제1 해제공(13b)에 제1 해제 버튼(17)의 후부를 노출시키는 형태로 보디체(5b)의 제1 단자 수납실(13)에 수납한다. 제1 해제 버튼(17)은, 제1 해제 버튼(17)의 일부를, 제1 쇄정 스프링(16)의 제1 쇄정편(16a)에 접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1)는, 제1 해제공(13b)을 통하여, 제1 해제 버튼(17)을 푸시 조작한 경우, 제1 단자판(15)의 제1 압접편(15b)으로부터 제1 쇄정편(16a)을 갈라 놓아, 전선을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제1 해제 버튼(17)은, 제1 단자판(15)에 대응하는 각각의 한 쌍의 제1 쇄정 스프링(16)에 각각 걸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1 해제 버튼(17)은, 제1 단자판(15)에 대응하는 2개씩의 제1 쇄정 스프링(16, 16)의 각 제1 쇄정편(16a)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해제 버튼(21)은, 제2 해제공(14b)에 제2 해제 버튼(21)의 후부(後部)를 노출시키는 형태로 보디체(5b)의 제2 단자 수납실(14)에 수납한다. 제2 해제 버튼(21)은, 제2 해제 버튼(21)의 일부를, 제2 쇄정 스프링(19)의 제2 쇄정편(19a)과 제3 쇄정 스프링(26)의 제3 쇄정편(26a)에 별개로 접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2 해제 버튼(21)은, 제2 해제공(14b)을 통하여, 제2 해제 버튼(21)을 푸시 조작한 경우, 제2 단자판(18)의 제2 압접편(18b)으로부터 제2 쇄정편(19a)을 갈라 놓아, 전선을 제3 전선 삽입구(14a1)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해제 버튼(21)은, 제2 해제공(14b)을 통하여, 제2 해제 버튼(21)을 푸시 조작한 경우, 제3 단자판(22)의 제3 압접편(22b)으로부터 제3 쇄정편(26a)을 갈라 놓아, 전선을 제4 전선 삽입구(14c2)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제2 해제 버튼(21)은, 제2 단자판(18) 및 제3 단자판(22)에 대응하는 각 제2 쇄정 스프링(19) 및 제3 쇄정 스프링(26)에 각각 걸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2 해제 버튼(21)은, 제2 단자판(18)에 대응하는 제2 쇄정 스프링(19)의 제2 쇄정편(19a)과, 제3 단자판(22)에 대응하는 제3 쇄정 스프링(26)의 제3 쇄정편(26a)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해제 버튼(17)이나 제2 해제 버튼(21)은, 제1 해제 버튼(17)이나 제2 해제 버튼(21)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우레아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해제 버튼(17)이나 제2 해제 버튼(21)은,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선단부에서 푸시 조작할 수 있다.
스위치 본체(1)는, 제2 단자판(18)의 제2 연결편(18a)을 제2 단자 수납실(14)에 수납하고, 제2 단자판(18)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제2 접점 유지편(18d)을 중앙 수납실(23)에 삽입한다. 제2 단자판(18)은, 중앙 수납실(23) 내에 있어서, 제2 접점 유지편(18d)의 선단부에 고정 접점(25)을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접점 유지편(18d)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고정 접점(25)을, 제1 고정 접점(25a)이라고도 한다. 스위치 본체(1)는, 제3 단자판(22)의 제3 연결편(22a)을 제2 단자 수납실(14)에 수납하고, 제3 단자판(22)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제3 접점 유지편(22d)을 중앙 수납실(23)에 삽입한다. 제3 단자판(22)은, 중앙 수납실(23) 내에 있어서, 제3 접점 유지편(22d)의 선단부에 고정 접점(25)을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접점 유지편(22d)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고정 접점(25)을, 제2 고정 접점(25b)이라고도 한다.
제1 단자판(15)은, 연락편(連絡片)(15d)의 선단부에 중앙 수납실(23)의 후벽 내주면을 따라 배치하는 지지편(15e)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단자판(15)은, 제1 접촉편(15c)보다 제1 압접편(15b) 측에 위치하도록 연락편(15d)을 형성하고 있다. 제1 단자판(15)은, 연락편(15d)을 제1 접촉편(15c)보다 제1 압접편(15b) 측으로 함으로써, 연락편(15d)과 중앙 수납실(23) 내에 배치되는 제2 접점 유지편(18d)과의 절연 거리를 비교적 크게 하고 있다. 제1 단자판(15)은, 개폐자(24)의 후단(後端) 에지(24b)가, 지지편(15e)에 맞닿는다. 개폐자(開閉子)(24)는, 개폐자(24)의 양측 에지에 돌출부(28)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개폐자(2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수납실(23) 내에서 설치한 전단측(前端側)이 넓은 V자형의 위치 규제 오목부(27)에 돌출부(28)를 삽입하고 있다. 개폐자(24)는, 지지편(15e)에 후단 에지(24b)가 접촉된 상태에서 후방 에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위치 규제 오목부(27)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개폐자(24)는, 제2 접점 유지편(18d)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개폐자(24)는, 제2 접점 유지편(18d)에 설치한 제1 고정 접점(25a)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점(29)을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고정 접점(25a)과 대향하는 가동 접점(29)을 제1 가동 접점(29a)이라고도 한다. 제1 가동 접점(29a)과 제1 고정 접점(25a)은, 접점(100)을 구성한다. 스위치(10)는, 개폐자(24)가 회전함으로써, 제1 가동 접점(29a)이 제1 고정 접점(25a)에 접리(接離)되고, 제1 단자판(15)과 제2 단자판(18)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폐쇄하는 상태와 개방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개폐자(24)는, 제3 접점 유지편(22d)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개폐자(24)는, 제3 접점 유지편(22d)에 설치한 제2 고정 접점(25b)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점(29)을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2 고정 접점(25b)과 대향하는 가동 접점(29)을, 제2 가동 접점(29b)이라고도 한다. 제2 가동 접점(29b)과 제2 고정 접점(25b)은, 접점(100)을 구성한다. 스위치(10)는, 개폐자(24)가 회전함으로써, 제2 가동 접점(29b)이 제2 고정 접점(25b)에 접리되고, 제1 단자판(15)과 제3 단자판(22)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폐쇄하는 상태와 개방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스위치(10)에서는, 접점(100)은, 개폐자(24)의 회전에 사용되는 반전 스프링(30), 반전 핸들(31)과 함께 스위치 기구부(40)를 구성하고 있다. 반전 스프링(3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다. 반전 스프링(30)은, 반전 스프링(30)의 후단부에 개폐자(24)의 앞쪽 주위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는 스프링 시트 편(24a)을 삽입한다. 반전 스프링(30)은, 반전 스프링(30)의 전단부(前端部)가, 반전 핸들(31)에 설치한 후면이 개구된 통부(31a) 내에 수납된다. 반전 핸들(31)은, 커버체(5a)의 전면에 형성한 오목부(51)의 저벽에 관통하여 형성한 제1 관통공(52)을 통하여, 반전 핸들(31)의 전단부가 커버체(5a)의 전면측으로 노출된다.
반전 핸들(31)은, 반전 핸들(31)의 중간부의 양 측면에, 반전 핸들(31)의 전단부 측이 끝이 가늘어지는 삼각기둥 형상의 지점 돌기(31b)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반전 핸들(31)은, 커버체(5a)의 제1 관통공(52)의 양측 에지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개방된 제1 베어링부(50)에 지점 돌기(31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커버체(5a)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위치(10)는, 커버체(5a)의 제1 관통공(52)에 후방으로부터 반전 핸들(31)의 전단부를 삽입하고, 커버체(5a)의 제1 베어링부(50)에 지점 돌기(31b)를 삽입함으로써, 커버체(5a)에 대하여, 반전 핸들(31)을 요동 자재로 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반전 스프링(30)을 통하여, 반전 핸들(31)과 개폐자(24)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10)에서는, 반전 핸들(31)의 요동에 의해, 요동 범위의 중간에서 반전 스프링(30)이 가장 압축된다. 스위치(10)는, 반전 스프링(30)이 가장 압축되는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반전 스프링(30)으로부터 개폐자(24)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의 방향이 반전하고, 반전 스프링(30)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자(24)가 이동한다.
반전 핸들(31)은, 제1 관통공(52)을 통해 커버체(5a)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반전 핸들(31)의 양 측부에, 슬라이딩 캠(33)에 걸어맞추어지는 한 쌍의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4)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커버체(5a)에 설치한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에, 반전 핸들(31)의 위치에 대응하고, 푸시 버튼 핸들(32)의 이면(裏面)을 따라 슬라이딩 캠(33)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시 버튼 핸들(32)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양 외측면의 후단부로 돌출하는 가이드 돌기(36)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커버체(5a)의 오목부(51)의 양측 내주면(內周面)의 후부에 전후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35)에, 푸시 버튼 핸들(32)의 가이드 돌기(36)를 삽입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전방으로의 스톱을 행하고 있다. 푸시 버튼 핸들(32)은, 푸시 버튼 핸들(32)의 후면에 돌기(32d)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푸시 버튼 핸들(32)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37)의 평편(37b)에 천공한 구멍(37d)에 돌기(32d)를 삽입함으로써, 복귀 스프링(37)을 푸시 버튼 핸들(32)의 후면에 장착하고 있다. 스위치(10)는, 복귀 스프링(37)의 복귀 스프링 편(37a)의 선단이, 오목부(51)의 바닥면에 탄력 접촉함으로써, 푸시 버튼 핸들(32)이 전방을 향해 힘이 가해진다.
슬라이딩 캠(33)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과 같은 탄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O자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슬라이딩 캠(33)은, 반전 핸들(31)의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4)에 대응하는 걸어맞추어지는 캠체(38)를, 슬라이딩 캠(33)의 측변부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다. 슬라이딩 캠(33)은,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캠(33)의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슬라이딩 캠(33)에 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 편(33a)과,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서 맞닿아 있다. 스프링 편(33a)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33a1)와, 입설부(立設部; erected portion)(33a2)와, 한 쌍의 연장부(33a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33a1)는, 평면에서 볼 때가 C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입설부(33a2)는, 베이스부(33a1)의 선단과 반대의 각각의 기단부(基端部) 측으로부터 세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연장부(33a3)는, 각각의 입설부(33a2)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 편(33a)은, 스프링 편(33a)의 베이스부(33a1)로부터 이격된 슬라이딩 캠(33)의 측단부에, 한 쌍의 연장부(33a3)가 맞닿아 있다. 스프링 편(33a)은, 각 연장부(33a3)의 선단부를 반원관형(half round tube shape)으로 하고 있다. 스프링 편(33a)은, 각 연장부(33a3)의 선단부를 반원관형으로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슬라이딩 캠(33)이 슬라이딩 이동해도, 각 연장부(33a3)의 선단부가 슬라이딩 캠(33)의 측단부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스프링 편(33a)은, 푸시 버튼 핸들(32)로부터 돌출하는 제1 보스(32b)를 베이스부(33a1)에 형성한 제1 삽통공(33ba)에 삽통하고, 제1 보스(32b)의 일부를 용융시킴으로써, 푸시 버튼 핸들(32)에 고정하고 있다. 스프링 편(33a)은, 푸시 버튼 핸들(32)로부터 돌출하는 제2 보스(32c)를 삽통(揷通) 가능한 제2 삽통공(33bb)을 베이스부(33a1)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편(33a)은, 금속재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스위치(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버튼 핸들(32)과, 복귀 스프링(37)으로, 슬라이딩 캠(33) 및 스프링 편(33a)을 협지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37)은, 복귀 스프링(37)의 제3 삽통공(37bb)을 삽통하는 푸시 버튼 핸들(32)의 제2 보스(32c)의 일부를 용융시킴으로써, 금속제의 스프링 편(33a)을 통하여, 푸시 버튼 핸들(32)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10)에서는, 슬라이딩 캠(33)과 스프링 편(33a)을 별체로 구성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과 스프링 편(33a)을 별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편(33a)을 슬라이딩 캠(33)과 비교하여 저강성(低剛性)으로 하고, 스프링 편(33a)의 변형을 작게 억제한 설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과 스프링 편(33a)을 별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스프링 편(33a)의 변형을 작게 억제하는 설계로 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스프링 편(33a)의 변형을 작게 억제하는 설계로 함으로써, 스프링 편(33a)과 슬라이딩 캠(33)을 일체로 구성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스프링 편(33a)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스프링 편(33a)의 변형을 작게 억제하는 설계로 함으로써, 스프링 편(33a)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스프링 편(33a)의 변형을 작게 억제하는 설계로 함으로써, 스프링 편(33a)의 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스위치(10)는, 금속제의 스프링 편(33a)이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편(33a)을 저응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치(10)에서는, 스프링 편(33a)이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아노 핸들(43)을 저압압(低押壓)으로 가동시키는 설계로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을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저불균일과 저속화로, 이상음(異音)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어, 장수명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이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설치되고, 스프링 편(33a)을 금속재의 벤딩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의 내측에 스프링 편(33a)을 슬라이딩 캠(33)과 일체로 구성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슬라이딩 캠(33)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과 복귀 스프링(37)을 별체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 편(33a)은, 푸시 버튼 핸들(32)로의 복귀 스프링(37)의 힘의 하중에 따른 복귀 스프링(37)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슬라이딩 캠(33)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과 복귀 스프링(37)을 별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편(33a)은, 스프링 편(33a)과 복귀 스프링(37)을 일체로 구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복귀 스프링(37)의 형상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프링 편(33a)의 길이의 제한이 완화된다.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과 복귀 스프링(37)을 별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편(33a)과 복귀 스프링(37)을 일체로 구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스프링 편(33a)의 저불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스위치(10)는, 푸시 버튼 핸들(32)과, 스프링 편(33a)을 별체로 구성하는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치(10)는, 도시하지 않지만, 푸시 버튼 핸들(32)과, 스프링 편(33a)을 일체로 구성하는 구조라도 된다. 스위치(10)는, 푸시 버튼 핸들(32)과, 스프링 편(33a)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스위치(10)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삭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스프링 편(33a)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딩 캠(33)의 내측에 스프링 편을 구비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스프링 편(33a)의 연장부(33a3)의 스프링 길이의 제한이 완화된다. 스프링 편(33a)은, 슬라이딩 캠(33)의 스트로크에 따른 최대 응력을 억제함으로써, 슬라이딩 캠(33)의 장수명화를 도모하여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이 슬라이딩 캠(33)의 외측에 슬라이딩 캠(33)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캠(33)의 내측에 스프링 편을 설치한 구조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캠(33)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 전체를 작게 하여, 피아노 핸들(43)의 조작 스트로크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 전체를 작게 하면, 슬라이딩 캠(33)이 가벼워져, 슬라이딩 캠(33)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이 원활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 전체의 소형화에 따라, 슬라이딩 캠(33)의 재료비를 저감하고,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 전체의 소형화에 따라, 반전 핸들(31)을 작게 하여, 피아노 핸들(43)의 조작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다.
커버체(5a)는, 피아노 핸들(43)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경사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축부(軸部)(192)를 커버체(5a)의 표면측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축부(192)는, 커버체(5a)의 폭 방향을 따른 원기둥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아노 핸들(43)의 후면의 일단부에, 금속제의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한 베어링용 스프링(191b)을, 끼워넣기용 구멍(191a)에 장착하는 제2 베어링부(191)를 설치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끼워넣기용 구멍(191a)의 내주면의 한쪽에 걸림공(190)을 구비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끼워넣기용 구멍(191a)에 수납하는 베어링용 스프링(191b)의 이탈 방지 클로우(191c)를 걸림공(190)에 의해 걸어, 베어링용 스프링(191b)를 유지하고 있다. 베어링용 스프링(191b)은, 선단을 끼워넣기용 구멍(191a) 내로 돌출하도록 굽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91d)와 끼워넣기용 구멍(191a)에 의해 축부(192)를 유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끼워넣기용 구멍(191a)의 개구 부근에 베어링용 스프링(191b)의 돌출부(191d)를 형성하여, 끼워넣기용 구멍(191a)의 내부보다 개구폭을 좁게 하고 있다.
스위치(10)는, 베어링용 스프링(191b)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피아노 핸들(43)의 끼워넣기용 구멍(191a)에, 커버체(5a)의 축부(192)를 탄성적으로 끼워넣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축부(192)의 축 주위에 제2 베어링부(19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커버체(5a)로부터 피아노 핸들(43)이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위치(10)는, 축부(192)를 제2 베어링부(19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음으로써, 피아노 핸들(43)을 회전 가능하고 장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위치(1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아노 핸들(43)의 타단부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돌출하는 이탈방지용의 스톱편(43a)을 피아노 핸들(43)에 설치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커버체(5a)의 전벽(前壁)에 형성한 삽입공(54)을 통해 중공부(中空部)(12) 내에 스톱편(43a)을 삽입하고, 스톱편(43a)의 선단부에 설치한 걸림 클릭(43b)을 삽입공(54)의 주위 에지에 거는 것에 의해, 피아노 핸들(43)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커버체(5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나란히 삽입공(54)을 형성하고 있다. 제1 단자판(15)은, 제1 압접편(15b)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삽입공(54)에 근접시키는 안내편(15f)을 설치하고 있다. 안내편(15f)은, 제1 단자판(15)에 접속되는 전선이 삽입공(54) 측으로 돌출되어, 스톱편(43a)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스위치(10)는, 피아노 핸들(43)이 스위치 본체(1)에 장착되어 있고, 피아노 핸들(43)의 타단부를 푸시 조작하면, 축부(192)를 축으로 하여 피아노 핸들(43)이 회전한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후면에 한 쌍의 조작용 리브(rib)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이 푸시 조작되면, 조작용 리브에 의해 스위치 본체(1)에 설치한 푸시 버튼 핸들(32)이 기체(5) 측으로 압입된다.
이하, 스위치(10)의 동작을, 도 13 및 도 14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스위치(10)는, 3웨이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지만,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제2 가동 접점(29b)과 제2 고정 접점(25b)과의 접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위치(10)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29)이 고정 접점(25)과 접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단자판(15)과 제3 단자판(22)과의 사이의 접점(100)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10)는, 반전 핸들(31)이 도 13의 지면의 우측으로 넘어져 있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이, 스프링 편(33a)에 의해 이동 범위의 중앙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스위치(10)는, 피아노 핸들(43)에 압력을 작용하게 하면 푸시 버튼 핸들(32)이 복귀 스프링(37)에 저항하여 기체(5)에 압입된다. 스위치(10)에서는, 푸시 버튼 핸들(32)과 함께 슬라이딩 캠(33)이 도 13의 지면의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10)는, 도 13의 지면의 좌측의 슬라이딩 캠(33)의 걸어맞추어지는 캠체(38)가, 도 13의 지면의 좌측의 반전 핸들(31)의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4)와 맞닿아 반전 핸들(31)의 좌단부를 도 13의 지면의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스위치(10)에서는, 슬라이딩 캠(33)의 걸어맞추어지는 캠체(38)가 반전 핸들(31)의 좌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반전 핸들(31)이 지점 돌기(31b)의 전단(前端)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 주위로 회전한다.
스위치(10)는, 좌측의 걸어맞추어지는 캠체(38)가 좌측의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4)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반전 핸들(31)의 회전에 따라, 도 14 중의 좌측으로 슬라이딩 캠(33)이 슬라이딩한다. 스위치(1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 핸들(3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전 스프링(30)이 반전하여 개폐자(24)도 반전한다. 스위치(10)는, 개폐자(24)의 반전에 의해, 가동 접점(29)과 고정 접점(25)이 이격된 상태로 되어, 제1 단자판(15)과 제3 단자판(22)과의 사이의 접점(100)이 개방 상태로 된다.
스위치(10)는, 피아노 핸들(43)에 작용시킨 압력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37)의 스프링력에 의해 푸시 버튼 핸들(32)이 가압되어 되돌려진다. 스위치(10)는, 푸시 버튼 핸들(32)과 맞닿아 있는 피아노 핸들(43)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스위치(10)는, 스프링 편(33a)의 스프링력에 의해, 슬라이딩 캠(33)이 슬라이딩하여 중앙 위치로 복귀한다.
스위치(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접점(100)이 개방 상태에 있어서, 피아노 핸들(43)에 압력을 작용하게 하면 반전 핸들(31)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위치(10)는, 접점(100)이 개방 상태의 경우, 반전 핸들(31)의 우측의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4)가 슬라이딩 캠(33)의 우측의 걸어맞추어지는 캠체(38)와 맞닿아, 반전 핸들(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위치(10)는, 반전 핸들(31)의 회전에 따라, 반전 스프링(30)을 통하여, 가동 접점(29)을 고정 접점(25)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치(10)는, 피아노 핸들(43)의 푸시 조작 시마다 접점(100)을 개폐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캠(33)과 스프링 편(33a)과 반전 핸들(31)의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4)와 복귀 스프링(37)에 의해,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시마다 반전 핸들(31)을 교호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반전 기구부(41)를 구성하고 있다.
스위치(10)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버튼 핸들(32)의 내측면에서의 가이드 돌기(36)의 양 인접한 부위에 각기둥형(角柱形)의 규제 리브(39)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스위치(10)에서는,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에 따라, 복귀 스프링(37)의 복귀 스프링 편(37a)이 휘어져 외측으로 개방된다. 스위치(10)는, 복귀 스프링 편(37a)이 휘어져 외측으로 개방된 경우, 각 복귀 스프링 편(37a)의 선단이 규제 리브(39)에 닿는다. 스위치(10)는, 각 복귀 스프링 편(37a)의 선단이 규제 리브(39)에 닿으면, 푸시 버튼 핸들(32)의 푸시 조작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복귀 스프링(37)의 변위가 억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스위치(1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제1 개구부(120a) 및 화장 플레이트(130)의 제2 개구부(130a)를 1개로 덮는 치수의 피아노 핸들(43)을 설치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크기를 1개로,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제1 개구부(120a) 및 화장 플레이트(130)의 제2 개구부(130a)를 덮는데만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10)의 기체(5)에 맞추어 적절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피아노 핸들(43)을 푸시 버튼 핸들(32)보다 조작면의 면적을 크게 하면, 푸시 버튼 핸들(32)를 푸시 조작하는 것보다 피아노 핸들(43)의 조작성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10)에서는, 피아노 핸들(43)의 후면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부(191)이, 스위치 본체(1)에 설치한 한 쌍의 축부(192)에 대응하도록 2개 설치되어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2개의 제2 베어링부(191)에 스위치 본체(1)의 2개의 축부(192)를 끼워넣어 장착된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후면의 타단부에 2개의 스톱편(43a)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다. 피아노 핸들(43)은, 스위치 본체(1)의 삽입공(54)에 각각의 스톱편(43a)을 삽입한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표면에서의 타단부에, 푸시 위치 지시 돌기(114)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아노 핸들(43)은, 피아노 핸들(43)의 표면에, 여러 개의 평행한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형의 화장 라인(115)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 프레임(120)은, 장착 프레임(2)의 전면측에 장착 나사(123)에 의해 장착할 수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12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서, 상편과 하편에 각각 장착 나사(123)가 삽통되는 장착 나사 삽통공(121)을 형성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ABS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좌편 및 우편 각각에, 화장 플레이트(13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편이 삽입 걸리는 걸림공(122)을 형성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4코너에 도시하지 않은 금속제의 간이 내화 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유지공(保持孔)(125)을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주위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스텝부(段部)(124)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화장 플레이트(130)는, 플레이트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장 플레이트(130)는, 화장 플레이트(13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ABS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 플레이트(130)는, 화장 플레이트(130)의 이면에 플레이트 프레임(120)에 결합하기 위한 걸림편을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스위치(10)에서는, 장착 나사(123)에 의해, 스위치 본체(1)를 장착한 장착 프레임(2)에 플레이트 프레임(120)을 장착하고 있다. 스위치(10)에서는, 화장 플레이트(130)가 플레이트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있다. 스위치(10)에서는, 스위치 본체(1)에 피아노 핸들(43)을 장착하고 있다. 스위치(10)는,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제1 개구부(120a) 및 화장 플레이트(130)의 제2 개구부(130a)를 통하여, 피아노 핸들(43)의 일부를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위치(10)는, 피아노 핸들(43)의 일부를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피아노 핸들(43)을 푸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화장 플레이트(130)는, 플레이트 프레임(120)에 대하여 걸림편에 의해 끼워맞추어져 있을뿐이며, 플레이트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설치한 벗김홈(126)에, 선단부가 뾰족한 공구를 삽입하여, 화장 플레이트(130)를 플레이트 프레임(120)으로부터 벗길 수 있다. 선단이 뾰족한 공구는, 각종 공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10)는, 화장 플레이트(130)를 장착한 상태에서, 표면측에 장착 나사(123)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외관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스위치(10)는, 유지보수 시에는 화장 플레이트(130)를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Claims (1)

  1. 푸시 조작되는 푸시 버튼(push button) 핸들이 전면(前面)에 설치된 기체(器體; device);
    상기 기체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상기 기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후면이 상기 푸시 버튼 핸들과 맞닿는 피아노 핸들;
    상기 기체에 수납되고 상기 푸시 버튼 핸들이 푸시 조작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푸시 버튼 핸들에 가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기체에 수납되고 상기 푸시 버튼 핸들의 푸시 조작 시마다 접점을 개폐하는 스위치 기구부;
    상기 복귀 스프링의 내측에 있어서 요동(搖動) 가능한 반전(反轉) 핸들; 및
    상기 푸시 버튼 핸들의 푸시 조작 시마다 상기 반전 핸들을 교호적(交互的)으로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반전 기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반전 기구부는,
    상기 푸시 버튼 핸들과 상기 반전 핸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버튼 핸들이 상기 반전 핸들의 한쪽만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 조작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캠; 및
    상기 슬라이딩 캠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슬라이딩 캠에 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 편(spring piece);을 구비한,
    스위치.
KR1020157033574A 2013-07-08 2014-06-03 스위치 KR20160003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2914 2013-07-08
JP2013142914A JP6245503B2 (ja) 2013-07-08 2013-07-08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PCT/JP2014/002948 WO2015004842A1 (ja) 2013-07-08 2014-06-03 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95A true KR20160003095A (ko) 2016-01-08

Family

ID=5227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574A KR20160003095A (ko) 2013-07-08 2014-06-03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991090A4 (ko)
JP (1) JP6245503B2 (ko)
KR (1) KR20160003095A (ko)
CN (1) CN105247645A (ko)
PH (1) PH12015502605A1 (ko)
TW (1) TWI567772B (ko)
WO (1) WO2015004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9137B (zh) * 2015-10-19 2018-03-21 Switch wiring device
ES2859776T3 (es) * 2018-03-16 2021-10-04 Simon S A U Mecanismo eléctrico
CN116868295A (zh) * 2021-02-25 2023-10-10 松下控股株式会社 布线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2292A (ja) 1997-11-28 1999-06-18 Jimbo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8030A (ja) * 1989-04-26 1990-11-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H03222218A (ja) * 1990-01-26 1991-10-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193786B2 (ja) * 1992-09-25 2001-07-30 松下電工株式会社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496325B2 (ja) * 1995-03-15 2004-02-09 松下電工株式会社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1135196A (ja) * 1999-11-02 2001-05-18 Hosiden Corp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2000195365A (ja) * 2000-01-01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及び配線器具の取付構造
JP2001216871A (ja) * 2000-02-04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3217400A (ja) * 2002-01-28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US6875940B2 (en) * 2003-07-25 2005-04-0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Robust rocker switch mechanism
CN2807440Y (zh) * 2005-06-09 2006-08-16 Tcl国际电工(惠州)有限公司 滑块复位机构开关
CN1741219A (zh) * 2005-09-06 2006-03-01 Tcl国际电工(惠州)有限公司 一种按键式开关
JP5027479B2 (ja) 2006-10-26 2012-09-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2292A (ja) 1997-11-28 1999-06-18 Jimbo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1090A1 (en) 2016-03-02
PH12015502605A1 (en) 2016-02-29
TW201523676A (zh) 2015-06-16
JP2015018605A (ja) 2015-01-29
CN105247645A (zh) 2016-01-13
TWI567772B (zh) 2017-01-21
WO2015004842A1 (ja) 2015-01-15
EP2991090A4 (en) 2016-06-22
JP6245503B2 (ja)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3095A (ko) 스위치
KR101810213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JP200429623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4553088B2 (ja) スイッチ装置
JP6406594B2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2009230972A (ja) スイッチ装置
JP4715694B2 (ja) スイッチ
KR100301879B1 (ko) 스위치및그스위치를사용한스위치장치
JP2014120209A (ja) スイッチ
JP200121687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5216549A (ja) 配線器具
JP2003007172A (ja) スイッチ
JP3882498B2 (ja) 接点装置
JP3533868B2 (ja) 押釦スイッチ
JP4232643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7173125A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2004296230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5216779A (ja) スイッチ
JP2003242859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861684B2 (ja) スイッチ
JPH0435855B2 (ko)
JP2005259510A (ja) スイッチ装置
JP2007311110A (ja) スイッチ装置
JP2002197944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121018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