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412A -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412A
KR20000031412A KR1019980047454A KR19980047454A KR20000031412A KR 20000031412 A KR20000031412 A KR 20000031412A KR 1019980047454 A KR1019980047454 A KR 1019980047454A KR 19980047454 A KR19980047454 A KR 19980047454A KR 20000031412 A KR20000031412 A KR 2000003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ate
common
poi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746B1 (ko
Inventor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746B1/ko
Priority to US09/433,930 priority patent/US6392626B1/en
Priority to CNB991236874A priority patent/CN1134696C/zh
Priority to JP31693999A priority patent/JP4819209B2/ja
Publication of KR2000003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19Reducing feedthrough effects in active matrix panels, i.e. voltage changes on the scan electrode influencing the pixel voltage due to capacitive coup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통 전압 발생부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가까운 곳에 있는 제1 지점의 공통 전극에 제1 공통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먼 곳에 있는 제2 지점의 공통 전극에 상기 제1 공통 전압 보다 큰 제2 공통 전압을 인가한다. 이 공통 전압 발생부는 전원 전압과, 전원 전압에 한쪽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접지점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저항 또는 제2 저항은 가변 저항이며,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공통 전극 기판의 내부 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통 전압 발생부의 가변 저항 값을 조절하여 제2 공통 전압과 제1 공통 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과 상기 제2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의 차이와 같도록 함으로써, 플리커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FT-LCD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신호를 얻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TFT-LCD의 기판 위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게이트선과 이 게이트선에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되며, 이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하나의 화소를 규정한다. 각 화소의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TFT가 형성된다.
도1은 일반적인 TFT-LCD에서 단위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10)의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은 각각 게이트선(Gn), 데이터선(Dm), 화소 전극(P)에 연결된다. 화소 전극(P)과 공통 전극(Com)사이에는 액정 물질이 형성되는데 이를 등가적으로 액정용량(Clc)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화소 전극과 전단 게이트선(Gn-1)사이에는 축적 용량(Cst)이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오정렬(misalignment)등에 기인한 기생 용량(Cgd)이 생긴다. 액정 용량(Ccl)과 축적 용량(Cst)은 TFT-LCD가 구동해야 하는 부하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은 TFT-LCD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시하고자 하는 게이트선(G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하여 TFT(10)를 도통시킨 후에,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을 소스 전극(s)에 인가하여 이 데이터 전압이 드레인 전극(d)에 인가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전압은 화소 전극(P)을 통해 각각 액정 용량(Clc)과 축적 용량(Cst)에 인가되고, 화소 전극(Cp)과 공통 전극(Com)의 전압 차에 의해 전계가 형성된다. 이 때, 액정 물질에 같은 방향의 전계가 계속해서 인가되면 액정이 열화되기 때문에, LCD 패널에서는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상 신호를 공통 전극에 대해 양, 음 반복되도록 구동하며, 이와 같은 구동 방식을 반전 구동 방식이라 한다.
한편, TFT가 온 상태로 된 경우에 액정 용량(Clc) 및 축적 용량(Cst)에 인가된 전압은 TFT가 오프 상태로 된 후에도 계속 지속되어야 하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있는 기생 용량(Cgd) 때문에, 화소 전극에 인가된 전압은 왜곡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왜곡된 전압을 킥백 (kick-back)전압이라 하는데, 이 킥백 전압(ΔV)은 다음의 수학식 1로 구해진다.
여기서, ΔVg는 게이트 전압의 변화량 즉,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차를 의미한다.
이 전압 왜곡은 데이터 전압의 극성에 관계없이 항상 화소 전극의 전압을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를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서, Vg, Vd, Vp는 각각 게이트 전압, 데이터 전압, 화소 전극의 전압을 나타내며, Vcom, ΔV는 각각 공통 전극 전압(공통 전압)과 킥백 전압을 나타낸다.
도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적인 TFT-LCD에서는 게이트 전압 Vg이 온일 때 데이터 전압(Vd)이 화소 전극에 인가되어 게이트 전압이 오프로 되는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 전압을 유지하나, 실제 TFT-LCD에서는 도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압이 바뀌는 부분에서는 킥백 전압(ΔV)의 영향으로 화소전압(Vp)이 킥백 전압만큼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한편,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치는 화소 전압(Vp)과 공통 전압(Vcom) 사이의 면적으로 정해지는데, 액정 표시 장치를 반전구동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공통전압을 중심으로 한 화소전압의 면적이 대칭이 되도록 공통 전압 레벨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화소 전압의 면적이 대칭이 되는 일정한 공통 전압을 공통 전극에 인가하였다.
이는 공통 전압(Vcom)을 중심으로 한 화소 전압(Vp)의 면적이 대칭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각 화소에 충전되는 화소 전압의 양이 프레임마다 차이가 발생하여, 화소 전압이 반전될 때 화면이 깜박이는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일정한 공통 전압을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플리커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선은 저항 성분과 기생 용량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 두 값의 곱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 만큼의 게이트 전압의 지연이 생기게 된다. 이 신호 지연은 액정 패널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욱 커지게 된다.
도3은 게이트선의 길이에 따라 지연되는 게이트 전압 Vg의 측정값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서 Vg1과 Vg2는 각각 게이트 전압의 입력단에서 가까운 곳과 먼 곳의 게이트선에서 측정되는 게이트 전압을 나타낸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압의 입력단에서 멀수록, 즉 게이트 신호의 지연이 클수록 게이트 전압의 변화량(수학식1의 ΔVg)은 작게되며, 이에 따라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킥백 전압(ΔV)은 작게 된다.
따라서, 공통 전압을 일정하게 인가할 경우 이 전압이 화소 전압의 중심값으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로 화소에 충전되는 전압의 값이 달라져서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이 대형화되어 게이트선이 길어짐에 따라 더욱 더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이트 전압의 신호 지연에 의해 생기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단위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킥백 전압에 의한 전압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게이트선의 신호지연에 따라 지연되는 게이트 전압의 측정값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압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압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다수의 게이트선, 다수의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가지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되어 있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과; 상기 게이트선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가까운 곳에 있는 제1 지점의 공통 전극에 제1 공통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먼 곳에 있는 제2 지점의 공통 전극에 상기 제1 공통 전압 보다 큰 제2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전압 발생부를 포함한다.
공통 전압 발생부는 전원 전압과, 상기 전원 전압에 한쪽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접지점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저항 또는 상기 제2 저항은 가변 저항이며,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2 기판의 내부 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통 전압 발생부는 상기 제2 지점에 한쪽이 연결되며 접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1 지점에 한쪽이 연결되며 접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공통 전압 발생부의 가변 저항 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공통 전압과 상기 제1 공통 전압의 차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변 저항 값을 조절하여 상기 제2 공통 전압과 상기 제1 공통 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과 상기 제2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의 차이와 같도록 함으로써 플리커를 방지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4에서, A는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에 가까운 부분이고, B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인가하는 지점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선의 양쪽 끝(A, B)에 서로 다른 공통 전압(Vom1, Vcom2)을 인가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선에 의한 신호 지연에 의해 B점의 킥백 전압이 A점의 킥백 전압보다 작기 때문에 생기는 종래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100)의 B 지점에 인가된 공통 전압(Vcom2)을 A지점에 인가된 공통 전압(Vcom1)보다 크게 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게이트 드라이버의 인접 부분에 위치한 A 지점의 킥백 전압을 ΔV(0)라 하고, 먼 곳에 위치한 B 지점의 킥백 전압을 ΔV(L)라 하면, 이들 킥백 전압은 다음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Von(0)과 Von(L)은 각각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게이트 온 전압을 나타내며, Cgd, Cst, Clc는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기생 용량, 축적 용량, 액정 용량을 나타낸다.
위의 수학식 2에서, 게이트선의 신호 지연에 의해 Von(0) 〉Vom(L)이므로, ΔV(0) 〉ΔV(L) 이 된다. 즉,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멀수록 킥백 전압은 작게 되며, 이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먼 부분일수록 킥백 전압에 의해 화소 전압이 아래로 내려가는 현상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A 지점에서의 공통 전압 (Vcom(0))보다 B 지점에서의 공통 전압 (Vcom(L)을 크게 하면, 게이트 지연에 의한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지연에 의한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한 킥백 전압과 공통 전압 사이의 관계식은 수학식 3과 같다.
Vcom(L)=Vcom(0)+[ΔV(0)-ΔV(L)]
수학식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B 지점과 A 지점에서의 공통 전압의 차이 (Vcom(L)-Vcom(0))가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의 차이(Von(0)-Vom(L))와 같게 되도록 하면, 게이트선의 신호 지연에 의한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FT-LC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FT-LCD는 TFT-LCD 패널(1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공통 전압 발생부(400)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을 TFT-LCD 패널(100)의 각 데이터선(D)에 인가하고,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각 데이터선(D)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이 화소 전극에 인가될 수 있도록 각 화소의 TFT를 온시키는 게이트 전압을 출력한다.
TFT-LCD 패널(100)에는 데이터 드라이버(300)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선(D)과 게이트 드라이버(200)로부터의 게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게이트선(G)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각 화소의 TFT의 소스 전극과 게이트 전극은 이 데이터선과 게이트선에 연결된다. 도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TFT-LCD 패널(100)에 한 개의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만을 도시하였으며, 여기서 화소 전극에 충전되는 전압은 Vp로 축적 용량 전극에 충전되는 전압은 Vst로 표시하였다.
공통 전압 발생부(400)는 게이트선의 양 끝 지점(A, B)에 서로 다른 공통 전압(Vcom1, Vcom2)을 인가한다. 이때, Vcom2 은 Vcom1 보다 큰 값이 인가되며, 구체적으로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값이 인가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은 제1 기판(110),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제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제2 기판(120)은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 기판이라고 불린다.
두 기판(110, 120)의 중앙에는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표시영역(130)이 있다. 노출된 제1 기판(110)의 상부는 다수의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패드(140)가 군집되어 있다. 또한, 노출된 제1 기판의 좌측은 다수의 게이트선(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게이트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 패드(150)가 군집되어 형성되어 있다. 표시영역(130)과 패드(140, 150)들 사이에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각각의 패드(140,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41, 1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표시영역(130) 밖의 네 귀퉁이에는 4개의 공통 전극 접촉점(161, 162, 163, 164)이 분포되어 있으며, 접촉점(161, 162, 163, 164)은 패드(140, 150)의 옆에 여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더미 패드(171, 172, 17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통전압을 인가받는다. 또한 두 기판(110, 120)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두 접촉점(163, 164)은 공통 연결선(180)으로 연결되는 데, 이 공통 연결선(180)은 두 접촉점(163, 164) 사이의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저저항 금속막의 배선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공통 전극 접촉점(161, 162), (163, 164)에는 각각 서로 다른 공통 전압(Vcom1, Vcom2)이 인가되어 게이트선의 신호 지연에 의한 플리커 현상을 방지한다.
다음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압 발생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압 발생부(400)는 제1 공통 전압 발생부(410)와 제2 공통 전압 발생부(420)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공통 전압 발생부(410, 420)는 각각 독립적으로 공통 전압 Vcom1과 Vcom2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전압(Va), 저항(R1, R2, R3, R4), 연산 증폭기(OP1, OP2)로 이루어진다.
도7에서, 제1 공통 전압 발생부(410)는 전압 Va를 저항 R1, R2로 분압한 후, 연산 증폭기(OP1)를 통해 이 분압된 전압을 증폭하여 공통 전압 Vcom1을 생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공통 전압 발생부(420)는 전압 Va를 저항 R3, R4로 분압한 후, 연산 증폭기(OP2)를 통해 이 분압된 전압을 증폭하여 공통 전압 Vcom2를 생성한다.
이때, 공통 전압 (Vcom1, Vcom2)은 수학식 3의 관계식을 만족하는데, 이들 관계식은 TFT-LCD 패널 제조 시에 적절한 저항(R1, R2, R3, R4) 값을 선택하거나 적절한 연산 증폭기(OP1, OP2)의 이득 값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도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TFT-LCD 패널의 변이(panel to panel variation)에 따라 각 패널의 게이트선 지연 특성이 다른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선 지연이 작은 'A' 라는 패널의 B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이 ΔV(L)라 하고, 게이트선 지연이 큰 'B'라는 패널의 B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이 ΔV(L)'라 하면, ΔV(L) 〉ΔV(L)'이 된다.
이 경우에는 수학식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A' 패널의 B 지점과 A 지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차 (Vcom(L)-Vcom(0))는 'B' 패널의 B 지점과 A 지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차 (Vcom(L)'-Vcom(0)') 보다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각 TFT-LCD 패널의 변이에 따른 게이트선의 지연 특성에 대응하여, 게이트선의 양 끝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 전압의 차를 조절함으로써 플리커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TFT-LCD 제조 시에 이미 저항 값 및 연산 증폭기의 이득 값이 고정되기 때문에, 패널의 변이에 따라 각 TFT-LCD 패널의 게이트선 지연 특성이 변하는 경우에 생기는 플리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압 발생부(4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8에 이를 도시하였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압 발생부(400)는 전원 전압(VDD), 가변 저항(VR), 저항(R6)과 커패시터(C1, C2)로 이루어진다.
도8에서, 가변 저항(VR)의 한쪽 끝은 전원 전압(VDD)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C)은 커패시터(C1)의 한쪽 끝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1)의 다른 쪽 끝은 접지점에 연결된다. 가변 저항(VR)과 커패시터(C1) 사이의 접점의 전압은 공통 전압 Vcom2으로서 TFT-LCD 패널(100)의 B 부분에 인가된다.
저항(R5)의 한쪽 끝은 접지점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D)은 커패시터(C2의 한쪽 끝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2)의 다른 쪽 끝은 접지점에 연결된다. 저항 (R5)과 커패시터(C2) 사이의 접점의 전압은 공통 전압 Vcom1으로서 TFT-LCD 패널(100)의 A 부분에 인가된다.
한편, 가변 저항 (VR)과 커패시터 (V1) 사이의 접점 (C)과 저항(R5)과 커패시터(C2) 사이의 접점은 TFT-LCD 패널(100)의 내부 저항(Rin)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8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 TFT-LCD 패널의 A 부분과 B 부분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 Vcom(0), Vcom(L)은 각각 다음의 수학식 4로 구할 수 있다.
위의 수학식 4로부터 패널의 B 지점 및 A 지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전압차는 다음의 수학식 5로 구할 수 있다.
수학식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패널의 양단간의 전압차는 가변 저항 (VR)에 의해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의 변이에 따른 게이트선의 지연 특성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플리커도 이 가변 저항값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8의 커패시터(C1, C2)는 공통 전극단에서 발생하는 리플(ripple)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리플은 공통 전극과 연결되는 액정 커패시터에서 필요한 전하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서 이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게이트선에 대응되는 액정 커패시터의 용량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많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변 저항을 사용하였으나, 둘 이상의 가변 저항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선이 양쪽 끝에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게이트 전압의 신호 지연에 의해 생기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변이에 따른 게이트선의 지연 특성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게이트선, 상기 다수의 게이트선에 절연되어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가지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되어 있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과;
    상기 게이트선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가까운 곳에 있는 제1 지점의 공통 전극에 제1 공통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먼 곳에 있는 제2 지점의 공통 전극에 상기 제1 공통 전압 보다 큰 제2 공통 전압를 인가하며, 상기 제2 공통 전압과 상기 제1 공통 전압의 차를 조절할 수 있는 공통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공통 전압 발생부는
    전원 전압과;
    상기 전원 전압에 한쪽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접지점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또는 상기 제2 저항은 가변 저항이며,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2 기판의 내부 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지점에 한쪽이 연결되며 접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1 지점에 한쪽이 연결되며 접지점에 다른 쪽이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 공통 전압과 상기 제1 공통 전압의 차이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과 상기 제2 지점에서의 킥백 전압의 차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80047454A 1998-11-06 1998-11-06 서로다른공통전압을가지는액정표시장치 KR10059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454A KR100590746B1 (ko) 1998-11-06 1998-11-06 서로다른공통전압을가지는액정표시장치
US09/433,930 US6392626B1 (en) 1998-11-06 1999-10-26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different common voltages
CNB991236874A CN1134696C (zh) 1998-11-06 1999-11-05 具有不同公共电压的液晶显示器
JP31693999A JP4819209B2 (ja) 1998-11-06 1999-11-08 互いに異なる共通電圧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454A KR100590746B1 (ko) 1998-11-06 1998-11-06 서로다른공통전압을가지는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412A true KR20000031412A (ko) 2000-06-05
KR100590746B1 KR100590746B1 (ko) 2006-10-04

Family

ID=1955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454A KR100590746B1 (ko) 1998-11-06 1998-11-06 서로다른공통전압을가지는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92626B1 (ko)
JP (1) JP4819209B2 (ko)
KR (1) KR100590746B1 (ko)
CN (1) CN1134696C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995A (ko) * 2001-03-08 2002-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킥백 전압을 보상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91690A (ko) * 2001-05-31 2002-12-06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 표시장치의 게이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KR20030027201A (ko) * 2001-09-14 2003-04-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 및 그 회로
KR2003005652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840314B1 (ko) * 2001-11-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40331B1 (ko) * 2002-08-07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853212B1 (ko) * 2001-11-26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85015B1 (ko) * 2002-08-23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981615B1 (ko) * 2003-07-03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99112B1 (ko) * 2003-12-01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032B1 (ko) * 1998-01-09 2006-04-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액정표시장치
KR100604718B1 (ko) * 1999-07-05 2006-07-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액정표시장치의 킥백전압 보정방법.
KR100326880B1 (ko) * 1999-09-21 2002-03-13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소자
KR100666119B1 (ko) * 1999-11-18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757840B2 (ja) * 2000-11-30 2006-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実装基板、電気光学装置、液晶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407993B1 (ko) * 2001-06-01 2003-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KR100767364B1 (ko) * 2001-06-19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6911966B2 (en) * 2001-08-24 2005-06-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trix display device
KR100815897B1 (ko) * 2001-10-13 2008-03-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TWI267050B (en) * 2001-11-26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53209B1 (ko) * 2002-03-28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장치
KR100878232B1 (ko) * 2002-04-26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킥백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TW588183B (en) * 2002-06-07 2004-05-21 Hannstar Display Corp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creasing flick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101581A (ja) * 2002-09-04 2004-04-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画像表示装置
JP4366914B2 (ja) 2002-09-25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用駆動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206048B2 (en) 2003-08-13 2007-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nel therefor
KR100982121B1 (ko) * 2003-12-23 2010-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5234496A (ja) * 2004-02-23 2005-09-0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フリッカ補償回路
KR101021202B1 (ko) * 2004-04-16 201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온 온도보상 구동회로를 구비한 에프에스씨 모드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6119581A (ja) * 2004-09-24 2006-05-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635503B1 (ko) * 2005-01-31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귀환 회로부가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KR100712121B1 (ko) * 2005-02-24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플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필터링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136318B1 (ko) * 2005-04-29 2012-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652649B2 (en) * 2005-06-15 2010-01-26 Au Optronics Corporation LCD device with improved optical performance
KR101209039B1 (ko) 2005-10-13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US20070097054A1 (en) * 2005-10-28 2007-05-03 Jung-Chieh Cheng Method for driving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WI277035B (en) * 2005-11-04 2007-03-21 Innolux Display Corp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WI327717B (en) * 2005-11-22 2010-07-21 Prime View Int Co Ltd Method and circuit for common voltage setup and measurement
KR101177593B1 (ko) * 2005-12-29 2012-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026738B2 (ja) * 2006-05-31 2012-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8441424B2 (en) * 2006-06-29 2013-05-14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TWI354968B (en) * 2006-11-17 2011-1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 panel thereof
CN101191925B (zh) * 2006-11-29 2010-08-11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显示面板
TWI341430B (en) * 2006-12-01 2011-05-0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panel
TWI354977B (en) * 2007-04-18 2011-12-2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 and opto-electronic apparatus
CN101312014B (zh) * 2007-05-25 2010-08-2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1334543B (zh) * 2007-06-29 2010-10-0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0492115C (zh) * 2007-07-12 2009-05-27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降低液晶面板闪烁度的调节装置和调节方法及液晶面板
EP2023195B1 (en) * 2007-08-09 2017-04-05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382711B (zh) * 2007-09-07 2010-07-1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薄膜晶体管液晶显示器残像的改善方法及装置
CN101847376B (zh) * 2009-03-25 2013-10-3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公共电极驱动电路和液晶显示器
JP5306926B2 (ja) * 2009-07-09 2013-10-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装置
CN102054449A (zh) * 2009-10-30 2011-05-1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TWI436328B (zh) * 2011-03-29 2014-05-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的驅動方法與採用此方法之顯示裝置
GB201121928D0 (en) 2011-12-20 2012-02-01 Samsung Lcd Nl R & D Ct Bv Driving of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02522071B (zh) * 2011-12-30 2013-11-27 北京大学 Lcd像素选择信号产生电路、lcd控制器及其控制方法
US8736538B2 (en) * 2012-03-16 2014-05-2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VCOMs of a display
KR101994971B1 (ko) 2012-05-16 2019-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3345091A (zh) * 2013-07-05 2013-10-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4142591B (zh) * 2014-07-11 2017-07-18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制作方法、一种显示装置
CN104062789A (zh) * 2014-07-21 2014-09-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5719605A (zh) * 2014-12-04 2016-06-29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驱动模块、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驱动方法
US9626925B2 (en) * 2015-03-26 2017-04-1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Source driver apparatus having a delay control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777942B (zh) * 2015-05-08 2018-02-0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驱动方法及触控显示装置
CN106648189A (zh) * 2015-10-30 2017-05-10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系统及其驱动装置与驱动方法
CN110310607A (zh) * 2018-03-20 2019-10-08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共用电压补偿方法
TWI697887B (zh) * 2018-03-21 2020-07-01 奕力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8711406A (zh) * 2018-05-31 2018-10-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控制方法
CN108873419B (zh) * 2018-06-26 2020-12-04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电压调整方法
KR20220037909A (ko) 2020-09-18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2173T2 (de) * 1988-03-11 1994-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nsteuerverfahren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JPH0442212A (ja) * 1990-06-08 1992-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ディスプレイ
JPH0566386A (ja) * 1991-09-09 1993-03-19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288142B2 (ja) * 1992-10-20 2002-06-04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06175622A (ja) * 1992-12-07 1994-06-24 Hitachi Ltd 液晶駆動回路
US5400046A (en) * 1993-03-04 1995-03-21 Tektronix, Inc. Electrode shunt in plasma channel
US5774099A (en) * 1995-04-25 1998-06-30 Hitachi, Ltd. Liquid crystal device with wid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JP3575872B2 (ja) * 1995-06-20 2004-10-13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用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JP3037886B2 (ja) * 1995-12-18 2000-05-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5818402A (en) * 1996-01-19 1998-10-0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river for reducing crosstalk by detecting current at the common electrode and applying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common electrode
KR100206581B1 (ko) * 1996-12-31 1999-07-01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용 계조 전압 발생회로
KR100200369B1 (ko) * 1996-12-31 1999-06-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용 플리커 제어 회로
KR100271092B1 (ko) * 1997-07-23 2000-11-01 윤종용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280874B1 (ko) * 1997-09-12 2001-02-01 구본준 액정패널
JP3943687B2 (ja) * 1997-12-26 2007-07-11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995A (ko) * 2001-03-08 2002-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킥백 전압을 보상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91690A (ko) * 2001-05-31 2002-12-06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 표시장치의 게이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KR20030027201A (ko) * 2001-09-14 2003-04-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 및 그 회로
KR100853212B1 (ko) * 2001-11-26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40314B1 (ko) * 2001-11-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5652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840331B1 (ko) * 2002-08-07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885015B1 (ko) * 2002-08-23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981615B1 (ko) * 2003-07-03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99112B1 (ko) * 2003-12-01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3303A (zh) 2000-05-17
US6392626B1 (en) 2002-05-21
KR100590746B1 (ko) 2006-10-04
CN1134696C (zh) 2004-01-14
JP4819209B2 (ja) 2011-11-24
JP2000147460A (ja) 200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746B1 (ko) 서로다른공통전압을가지는액정표시장치
US88788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common electrode drive circuit thereof
KR100271092B1 (ko)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40865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US795254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09701B1 (ko)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619163B1 (ko) 공통전압 발생장치
KR100521270B1 (ko) 공통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KR20040059321A (ko) 액정표시장치
JP3245733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590747B1 (ko)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의 차를 파인 튜닝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463601B1 (ko) 액정표시소자의 공통 전압 발생 회로
KR100350646B1 (ko) 공통 전압 발생 장치
KR19990051224A (ko) 액정표시장치의 공통 전압 조절회로
KR20020071995A (ko) 킥백 전압을 보상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10320A (ko) 액정표시장치의 공통 전압 조절회로
JP3361265B2 (ja) 表示装置
KR100922787B1 (ko) 공통전압 발생장치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870021B1 (ko) 액정 표시 장치
JPH09179098A (ja) 表示装置
KR100309924B1 (ko) 액정표시장치및액정표시장치의구동방법
KR10084031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2848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3111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H0815728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