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290A -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법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법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290A
KR20000029290A KR1019990046420A KR19990046420A KR20000029290A KR 20000029290 A KR20000029290 A KR 20000029290A KR 1019990046420 A KR1019990046420 A KR 1019990046420A KR 19990046420 A KR19990046420 A KR 19990046420A KR 20000029290 A KR20000029290 A KR 20000029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ight
component
parts
n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714B1 (ko
Inventor
마츠오카히데오
오키타시게루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0002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25Microwav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1Three-dimensional joints, i.e. the joined area being substantially non-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12Rheological properties
    • B29C66/73121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 0.1-50중량부, 성분(C)로서 유리섬유 10-150중량부, 성분(D)로서 구리화합물 0-3중량부, 및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 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및 이 용착용 수지조성물로부터 용착(진동용착 등)에 의해 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법 및 성형품{WELDABLE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THEREOF, AND MOLDED PRODUCT THEREOF}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내열성, 외관, 치수안정성, 및 균일용착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 본 발명은 2이상의 용융성형품으로부터 용착에 의해 중공성형체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나일론수지는 양호한 성형성, 내열성, 강인성, 내오일·가솔린성 및 내마모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및 기계부품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 나일론수지의 개발은 주로 금속재료의 대체물로서 의도되었다. 실제로, 대체는 나일론 수지가 중량감소 및 부식성 방지와 같은 그것의 장점을 발휘하는 분야로부터 진행되었다. 최근의 재료성능 및 용착기술의 향상에 따라, 나일론수지의 연구는 대체가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었던 크고 복잡한 부품에까지 그 응용이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
나일론수지로부터의 이러한 부품의 제조는 각각의 성형기술(예를 들면, 사출성형, 압출성형 및 블로성형)뿐만 아니라 후가공 기술(예를 들면 절삭, 접착 및 용착)을 조합하여 필요로 한다. 불행하게도, 종래의 나일론수지조성물은 후가공을 고려하지 않고 제조된다. 만약 2이상의 유리강화 나일론수지가 함께 용착되어 원하는 형태의 복합물부분을 형성한다면, 용착부분에서 원하는 수준의 강도를 이루기 어렵다. 이것은 특히 큰 부품에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나일론수지의 사용은 제한되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용착강도의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복잡한 굴곡의 용착표면을 가지는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용착용 나일론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수지조성물은 높은 용착강도를 변함없이 보증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양호한 성형성, 내열성, 강인성, 내오일·가솔린성, 내마모성 및 표면평탄성과 같은 나일론의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는 성형품을 산출하는 용착용 나일론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진동용착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시험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선도(線圖)이다. A, B, C 및 D 부분은 각각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진동용착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또 다른 시험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A, B, 및 C 부분은 각각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 시험편으로부터 진동용착에 의해 얻어진 중공성형품(中空成形品)의 형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A, B, 및 C 부분은 각각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사출용착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시험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사출용착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고, 도 4에 도시된 시험편으로부터 형성된 성형체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 0.1-50중량부, 및 성분(C)로서 유리섬유 10-150중량부를 함께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용착용 수지조성물로 구체화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 0.1-50중량부, 성분(C)로서 유리섬유 10-150중량부, 성분(D)로서 구리화합물 0-3중량부 및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 0-5중량부를 함께 용융혼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구체화된다. 이 구체예는 성분 (A), (C), (D), 및 (E)를 함께 용융혼련하고, 이어서 그 결과의 조성물에 성분(B)를 첨가하는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는 상기 용착용 수지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상기 용착용 수지조성물로 제조된 1이상의 성형품으로부터 용착에 의해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성형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이하의 설명에서, "중량"은 "질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용착"은 1이상의 성형품의 접촉표면을 용융시켜 용융된 표면을 함께 접착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용착은 예를 들면, 진동용착, 초음파용착, 방사용착, 사출용착, 마이크로파용착(RF 유도용착), 핫플레이트용착, 또는 열풍용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들 용착방법 중, 진공용착, 사출용착(다이 슬라이드 또는 회전), 초음파용착, 및 마이크로파용착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진동용착이 높은 강도와 공정의 용이성간의 양호한 균형으로 인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A)는 디카르복실산과 아미노산, 락탐 및 디아민중 어느 것으로 주로 구성되는 폴리아미드인 나일론수지이다.
주요성분의 대표예는 이하 열거된다.
·6-아미노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및 p-아미노메틸벤조산 등의 아미노산.
·ε-카프로락탐 및 ω-라우로락탐 등의 락탐.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메틸렌디아민, m-크실일렌디아민, p-크실일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및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아민.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5-메틸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및 헥사히드로이소프탈산 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일론수지는 이들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일론수지는 양호한 내열성 및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바람직하게 200℃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나일론수지의 대표예는 이하 열거된다.
폴리카프로아미드(나일론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나일론66),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 공중합체(나일론6/66), 폴리테트라메틸렌 아디파미드(나일론46), 폴리헥사메틸렌 세바카미드(나일론610), 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카미드(나일론612),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카프로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T/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6/6T),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6/6I),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6/6T/6I),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T/6I),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도데칸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T/12),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2-메틸펜타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T/M5T), 폴리크실일렌 아디파미드(나일론XD6), 및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나일론9T). 이들은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예 중에서,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66 공중합체, 주로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나일론, 나일론 610,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가지는 공중합체(나일론6T/66 공중합체, 나일론6T/6I 공중합체 및 나일론6T/6 공중합체 등)가 바람직하다. 나일론6, 나일론66, 및 그것의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성형성, 내열성 및 용착성 등 이들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나일론수지를 2종류이상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나일론66, 나일론6 및 이것들로 주로 구성된 나일론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나일론수지인 성분(a) 99-50중량%와, 적어도 1종의 상기와 다른 나일론수지(나일론610, 및 나일론612 등의 고급 나일론과 나일론6T/6, 나일론6T/12, 나일론6T/66, 나일론66/6I, 나일론66/6T/6I, 나일론6T/6I, 및 나일론6T/M5T 등의 세미방향족 나일론으로부터 선택됨)인 성분(b) 1-50중량%(바람직하게 15-30중량%)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용착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나일론수지는 중합도에 있어서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1.5-5.0, 특히 2.0-4.0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것들이 바람직하다(25℃에서 98% 농황산중 1%의 용액으로 측정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B)는 주 사슬로서 폴리올레핀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레핀수지이다. 그 결과의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정체 또는 비결정체 또는 그것의 조성물이 될 수 있다. 불포화 단량체의 단일중합체 또는 1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그것의 조성물이 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랜덤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 또는 그것의 조성물이 될 수 있다.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의 예는 이하 열거된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폴리-1-부텐, 폴리-1-펜텐, 및 폴리메틸펜텐 등의 단일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닐알콜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
·비닐알콜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의 부분 또는 전체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비닐알콜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부분 또는 전체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에틸렌과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카르복실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어 금속염을 형성한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카르복실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어 금속염을 형성한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카르복실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어 금속염을 형성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에스테르)의 공중합체.
·공액 디엔 및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블록 공중합체.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 생성물.
이들 예 중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카르복실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어 금속염을 형성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에스테르)의 공중합체, 공액 디엔과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는 것, 바람직하게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12의 α-올레핀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야 한다. 이 공중합체는 기계적 강도와 변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
탄소원자수가 3-20인 α-올레핀의 예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9-메틸-1-데센, 11-메틸-1-도데센, 및 12-에틸-1-테트라데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1-30몰%, 바람직하게 2-25몰%, 보다 바람직하게 3-20몰%의 양으로 α-올레핀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어야 한다. 공중합체는 1,4-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2,5-노르보르나디엔, 5-에틸리덴노르보르난, 5-에틸-2,5-노르보르나디엔, 및 5-(1'-프로펜일)-2-노르보르넨 등의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에스테르)의 공중합체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그것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불포화 카르복실에스테르로서 이들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펜틸에스테르, 헥실에스테르, 헵틸에스테르, 옥틸에스테르, 노닐에스테르 또는 데실에스테르 또는 그것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 중에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어 금속염을 형성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관하여, 그 금속의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될 수 있는 금속은 알카리금속(Li, Na, K, Mg, Ca, Sr 및 Ba 등) 및 알카리토금속(Al, Sn, Sb, Ti, Mn, Fe, Ni, Cu, Zn, 및 Cd)이다. 이들 금속중에서, Zn이 가장 바람직하다.
공액 디엔과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블록 공중합체는 말단 블록 A 및 A'가 동일하거나 다르고 방향족기가 단환 또는 다환인 A-B 형태 또는 A-B-A' 형태의 블록 공중합체 탄성체를 나타낸다. 이것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크실렌, 에틸비닐크실렌, 및 비닐나프탈렌, 및 그것의 혼합물로 예시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열가소성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블록 B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및 그것의 혼합물로 예시되는 공액 디엔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이다. 또한 블록 B는 수소첨가된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는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것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 변성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변성 폴리올레핀수지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성 폴리올레핀수지는 향상된 상용성과 소량의 첨가량으로 용착강도를 증가시키는 능력에 의해 특징된다.
변성제는 금속염, 에스테르, 이미드 또는 산무수물의 형태의 불포화 카르보실산 유도체가 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것의 유도체의 예는 이하 열거된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메틸말레산, 메틸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및 글루타콘산 및 그것의 금속염.
·메틸수소 말레이트, 메틸수소 이타코네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말레이트, 및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엔도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및 엔도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및 N-페닐말레이미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에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및 글리시딜 시트라코네이트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실산.
이들 중에서,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그것의 산무수물이 적합하다. 말레산 및 무수 말레산이 특히 적합하다.
관능기함유성분은 방법에 특히 제한없이 올레핀화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올레핀화합물(주성분으로서)을 관능기함유 올레핀화합물과 공중합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미변성 폴리올레핀에 관능기함유 올레핀화합물을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그래프트도입하는 것이다. 관능기함유성분의 도입양은 변성 폴리올레핀중 올레핀 단량체 전체량의 0.001-40몰%, 바람직하게 0.01-35몰%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는 특별한 제한없이 어떤 방법으로든 제조될 수 있다. 라디칼중합,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한 배위중합, 음이온중합,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배위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성분(A)로서의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성분(B)로서의 폴리올레핀수지의 양은 0.1-50중량부, 바람직하게 0.1-3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0.5-30중량부가 되어야 한다. 0.1중량부미만의 양으로, 폴리올레핀수지는 수지조성물의 용착성에 있어서의 향상에 기여하지 않는다. 50중량부초과의 양으로, 올레핀수지는 용융성형시 유동성의 감소와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의 감소와 같은 불리한 영향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 성분(C)로서 유리섬유는 수지강화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장섬유, 단섬유(절단유리섬유), 또는 분쇄섬유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유리섬유의 직경에 있어서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섬유직경은 통상 5 내지 15㎛의 범위이다. 유리섬유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열경화성수지로 피복되거나 피복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집속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다. 유리섬유는 바람직하게 실란결합제 및 티타네이트결합제와 같은 표면처리제로 피복되어야 한다. 수지조성물중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유리섬유의 양은 10-150중량부, 바람직하게 20-8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20-60중량부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성분(D)로서 구리화합물은 예를 들면, 염화제1구리, 염화제2구리, 브롬화제1구리, 브롬화제2구리, 요오드화제1구리, 요오드화제2구리, 황산제2구리, 질산제2구리, 인산구리, 아세트산제1구리, 아세트산제2구리, 살리실산제2구리, 스테아르산제2구리 및 벤조산제2구리를 들 수 있다. 상기의 무기 할로겐화구리는 크실일렌 디아민,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등과 착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중, 1가의 구리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할로겐화제1구리가 보다 바람직하며, 아세트산제1구리 및 요오드화제1구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구리 화합물은 성형된 부품을 서로 접착시키거나 용착된 제품을 어닐링시킬때 용착부위의 강도에 기여한다.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리화합물의 양은 3중량부이하, 예를 들면, 0.01-3중량부, 바람직하게 0.015-2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0.02-2중량부가 되어야 한다. 0.01중량부미만의 양으로, 구리화합물은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반대로, 3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구리화합물은 용융성형시 금속구리를 유리하여 퇴색됨으로써 제품의 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리화합물은 할로겐화알카리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할로겐화알카리 화합물의 예는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요오드화리튬, 염화칼륨, 브롬화칼륨, 요오드화칼륨, 브롬화나트륨, 및 요오드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이들 예 중에서, 요오드화칼륨 및 요오드화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할로겐화알카리화합물의 양은 5중량부이하, 예를 들면,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 0.05-3중량부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은 실록산결합을 골격으로 하여, 그것의 규소원소에 유기기가 직접 결합된 유기실리콘화합물이다. 유기기의 예는 메틸기, 에틸기, 페닐기, 비닐기, 및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어떤 공지된 실리콘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유기기는 에폭시기, 아미노기, 폴리에테르기, 카르복실기, 메르캅토기, 에스테르기, 클로로알킬기, 히드록실기, 또는 탄소원자수 3이상의 알킬기로 부분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실리콘화합물은 가교의 정도에 따라서 실리콘오일, 실리콘탄성체 및 실리콘수지로 분류된다. (Toray-Dow Corning Co., Ltd.,에 의한 "Silicone Material Handbook", 1993년 8월, 참조) 이들 중 어느 것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디메틸 실리콘오일, 페닐메틸 실리콘오일, 알킬-변성 실리콘오일, 플루오로실리콘오일,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오일, 지방족에스테르-변성 실리콘오일, 아미노-변성 실리콘오일, 카르복실산-변성 실리콘오일, 카르비놀-변성 실리콘오일, 에폭시-변성 실리콘오일, 및 메르캅토-변성 실리콘오일을 들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는 용착강도에 기여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변성 실리콘오일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변성 실리콘오일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화합물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의 양은 5중량부이하, 예를 들면, 0.1-5중량부, 바람직하게 1-3중량부가 되어야 한다.
상기 열거된 유리섬유는 다른 섬유상 또는 비섬유상 무기 충전재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는 이하 열거된다.
·탄소섬유, 티탄산칼륨 휘스커, 산화아연 휘스커, 붕산알루미늄 휘스커,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나섬유, 탄화규소섬유, 세라믹섬유, 아스베스토섬유, 석고섬유 및 금속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재.
·규회석, 제올라이트, 견운모, 카올린, 운모, 점토, 파이로필라이트, 벤토나이트, 아스베스토, 탈크 및 규산알루미나 등의 규산염.
·알루미나,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및 산화철 등의 금속화합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및 백운석 등의 탄산염.
·황산칼슘 및 황산바륨 등의 황산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수산화물.
·중공일 수 있는, 유리비드, 세라믹비드, 질화붕소, 탄화규소 및 실리카 등의 비섬유상 충전재.
이것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섬유상 또는 비섬유상 충전재는 더 큰 기계적 강도를 부가하는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유기실란화합물, 유기티타네이트화합물, 유기보란화합물, 또는 에폭시화합물로 전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일론수지조성물은 이하 예시되는 바와 같은 몇가지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탈크, 카올린, 유기인화합물 및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등의 결정핵제.
·차아인산염 등의 착색방지제.
·장해성 페놀 및 장해성 아민 등의 산화방지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활제.
·열안정화제, UV 광안정화제 및 착색제.
본 발명의 나일론수지조성물은 방법에 특히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한가지 효율적인 방법은 모든 원료(나일론수지, 폴리올레핀수지, 및 유리탄소, 그리고 필요에 따라 구리화합물 및 실리콘화합물 등)를 공지된 용융혼련기(1축 또는 2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기, 혼련기, 및 믹싱롤 등)에서, 나일론수지의 융점에 따라 선택된 220-330℃의 온도에서 용융혼련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폴리올레핀수지를 제외한 모든 원료로부터 조성물을 제조하고, 폴리올레핀수지는 이후에 그 조성물에 가하는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이 얻어진다. 이 조성물은 용융점도의 전단속도의존계수가 1.05 이상이다. 그러므로 이 조성물은 현저한 용착성을 나타낸다.
전단속도의존계수는 [저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고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로 정의되는 값이다. [저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은 [저전단속도시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저전단속도시의 성분(B)를 함유하지 않은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로 정의되는 값이다. [고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은 [고전단속도시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고전단속도시의 성분(B)를 함유하지 않은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로 정의되는 값이다. 저전단속도는 60sec-1이고 고전단속도는 6000sec-1이다. 용융점도(poise)는 하기 조건하에서 측정된다.
장치: Toyo Seiki제의 Capillograph B1
온도: 나일론수지(2이상의 나일론수지가 사용된다면 배합량이 많은 것)의 융점보다 20℃ 높은 온도
체류시간: 5분
피스톤속도: 5mm/min(60sec-1의 전단속도) 또는 500mm/min(6000sec-1의 전단속도).
덧붙여 "성분(B)를 함유하지 않은 용착용 수지조성물"은 성분(A), 성분(C) 및 기타 필요에 따른 성분으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을 의미한다.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의 전단속도의존계수가 높을 때, 수지조성물은 양호한 유동성을 나타내고, 따라서 고전단속도(사출성형시 정상적으로 적용됨)에서 양호한 성형성을 나타내고, 또한 저전단속도(용착시 적용됨)에서 점도가 증가하고, 따라서 높은 용착강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수지조성물은 1.05이상의, 바람직하게 1.08이상의, 보다 바람직하게 1.10이상의 전단속도의존계수를 가져야 하고, 그럼으로써 실용적인 양호한 용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용착용 나일론수지조성물은 통상의 성형방법(사출성형, 압출성형, 및 블로성형 등)에 의해 통상의 성형조건하에서 용착용 성형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착용 성형품은 함께 접합되어 원하는 형태의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용착용 성형품은 그것의 용착표면에 리브를 가져 진동용착, 초음파용착 또는 마이크로파용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용착용 성형품의 용착은 하기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진동용착: 2개의 성형품을 이들이 맞댄 표면에서 서로에 대해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께 수직으로 붙들고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용착을 위한 마찰열을 마주댄 표면에서 생성시킨다. 진동수는 100-300Hz이고, 진동의 진폭은 0.5-2.0mm이다.
·사출성형: 성형품을 금형에 투입하거나 또는 금형내에서 이동시키고, 수지조성물을 접합이 형성되는 공간에 주입한다. 후자의 방법은 다이 슬라이드 성형 또는 다이 회전 성형으로 불려진다.
·초음파성형: 2개의 성형품을 이들이 맞댄 표면에서 서로에 대해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께 수직으로 붙들고 수직방향에서 초음파진동시킴으로써 용착을 위한 마찰열을 마주댄 표면에서 생성시킨다. 진동수는 100-300Hz이고, 진동의 진폭은 0.5-2.0mm이다.
·마이크로파성형: 2개의 성형품을 이들이 맞댄 표면에서 서로에 대해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께 붙들고 고진동수 전기장을 가함으로써 유도손실(분자간의 마찰로 인함)을 발생시키고 용착을 위한 열을 생성시킨다.
상기의 용착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로부터 용착된 성형체를 생산할 수 있다. 그 결과의 용착된 성형체는 용착강도, 내열성, 외관, 치수안정성, 및 용착균일성에서 우수하다. 안정하고, 높은 용착강도가 주요한 장점이다. 이 장점으로 인하여, 용착된 성형체는 흡기매니폴드(흡기계부품), 급수 및 배수(냉각계부품), 연료주입 및 연료송달관(연료계부품), 및 오일탱크와 기타 관 등의 자동차부품의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하기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양은 중량부의 단위로 표현된다.
재료의 강도, 유동성 및 용착강도는 이하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재료의 강도:
인장강도: ASTM D638
굴곡탄성율: ASTM D790
(2) 유동성:
재료의 샘플을 하기의 지정된 조건하에서 나선형 유동 측정용 금형(10mm 폭, 2mm 두께, 및 600mm 길이)내로 주입하였다.
주입온도: 나일론(2이상의 나일론수지가 사용된다면 배합량이 많은 것)의 융점보다 20℃ 높은 온도.
주입압력: 30kgf/㎠G
성형온도: 80℃
유동성은 금형에서 주입된 용융물이 흐른 거리의 길이단위로 표현된다. 거리가 길수록, 유동성이 더 양호하다.
(3) 용착강도(진동용착의 경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mm 폭의 용착면과 2.5mm 높이의 비드(1)를 각각 가지는 2개의 시험편을 통상의 조건하에서 사출성형한다. 이들을 진동용착기계, Branson Co., Ltd제의 모델 2850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하에서 진동용착시킴으로써 서로 접합시킨다. 진동에 의해 생성된 마찰열이 비드를 용융시키고, 그럼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착된 중공성형체를 제조하였다.
클램프압력: 100kgf
진동수: 240Hz
진폭: 1.5mm
용융: 1.5mm
그 결과 얻어진 용착된 중공성형체를 물로 채우고, 물탱크에서 내부압력을 가한다. 파열시의 압력을 용착강도로 한다.
용착된 중공성형체를 가열오븐내에서 150℃로, 10시간동안 둔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착강도를 측정한다. 용착강도의 유지정도를 산출한다.
(4) 용착강도(사출용착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시험편(10mm 두께)을 통상의 조건하에서 사출성형한다. 시험편을 약화시험 샘플용 금형내로 삽입하고 a면이 용착부위가 되도록 사출성형함으로써 함께 접합시킨다. 그 결과로 얻어진 용착된 성형체에 인장시험(5mm/sec의 견인속도 및 50mm의 스팬)을 실시한다. 용착부위(a)를 파열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용착강도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나일론수지 및 폴리올레핀수지는 이하 열거된다.
나일론수지
N6: 225℃의 융점 및 2.70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나일론6수지.
N6/66: 217℃의 융점 및 2.65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나일론6/66 공중합체(몰비 97/3).
N66: 265℃의 융점 및 2.90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나일론66수지.
N610: 225℃의 융점 및 2.70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나일론610수지.
6T/12: 300℃의 융점 및 2.50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나일론6T/12 공중합체(몰비 60/40).
폴리올레핀수지
B-1: 폴리프로필렌 (MFR=1.5)
B-2: B-1 100중량부, 무수 말레산 1중량부,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0.1중량부를 220℃의 실린더 온도에서 2축 압출기를 통과시켜 용융압출시킴으로써 얻어진 변성 폴리프로필렌.
B-3: 카르복실산기가 부분적으로 아연염을 형성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
B-4: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100중량부, 무수 말레산 1중량부,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0.1중량부를 230℃의 실린더 온도에서 2축 압출기를 통과시켜 용융압출시킴으로써 얻어진 변성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B-5: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05,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됨) 100중량부, 무수 말레산 1중량부,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0.1중량부를 230℃의 실린더 온도에서 2축 압출기를 통과시켜 용융압출시킴으로써 얻어진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실시예 1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4
표 1 내지 5에서 나타낸 배합조성에 따라서, 나일론수지, 폴리올레핀수지, 유리섬유(직경 13㎛) 및 구리화합물로부터 몇가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을 250-280℃의 실린더 온도, 150rpm의 축속도로 2축 압출기(Japan Steel Works, Ltd.제의 모델 TEX30)를 통과시켜 용융혼련함으로써 펠릿화하였다. 그 결과의 펠릿을 건조시킨 후, 사출성형(80℃의 성형온도)하여 다양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펠릿샘플 및 시험편의 용융점도, 유동성 및 강도를 측정하였다. 중공성형체를 시험편을 진동용착시켜 형성하고 용착강도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내지 5에 나타낸다.
덧붙여, 비교예 2에서, MAH-PPE는 무수 말레산으로 변성된 폴리페닐렌 에테르수지를 나타낸다. 내열성 재료로서 사용된 화합물은 CuI(요오드화제1구리) 또는 KI(요오드화칼륨)이다. 실리콘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변성 실리콘오일이다.
실시예 1 내지 16은 본 발명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이 서로 잘 균형된 양호한 유동성 및 재료강도를 가지고, 용융점도의 전단속도의존계수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수지조성물은 진동용착에 의해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는 중공성형체를 제공하였다.
그에 비해, 폴리올레핀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4의 수지조성물은 용착강도 및 어닐링 후의 강도유지에서 불량한 중공성형체를 제공하였다.
항목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배합조성 나일론수지(a)배합량 ―중량부 N6100 N6100 N6100 N6100 N6100
폴리올레핀수지배합량 ―중량부 B-15 B-25 B-35 B-45 B-55
유리섬유의 배합량 중량부 45 45 45 45 45
유동성 유동길이 mm 150 145 150 145 148
재료강도 인장강도 MPa 160 165 170 165 165
굴곡탄성율 GPa 8.2 8.2 8.0 7.8 8.0
용융점도 저전단속도 poise 12520 13700 12600 14910 14600
고전단속도 poise 1710 1820 1700 1860 1790
전단속도의존계수 1.05 1.08 1.06 1.15 1.17
용착성 진동용착의 강도 kgf/cm2 11.2 11.9 12.5 13.8 13.9
어닐링후(150℃,10h) kgf/cm2 9.7 10.5 11.0 12.0 12.2
강도의 유지 % 87 87 88 87 88
항목 단위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배합조성 나일론수지(a)배합량 ―중량부 N6100 N6100 N6100 N6100 N6100
폴리올레핀수지배합량 ―중량부 B-22 B-410 B-510 B-415 B-45
유리섬유의 배합량 중량부 45 45 45 50 45
구리화합물배합량 ―중량부 Cul/Kl0.04/0.35 Cul/Kl0.04/0.35 Cul/Kl0.04/0.35 Cul/Kl0.04/0.35
실리콘화합물배합량 ―중량부 1
유동성 유동길이 mm 147 140 140 137 150
재료강도 인장강도 MPa 170 165 165 160 165
굴곡탄성율 GPa 8.0 7.5 7.5 7.0 7.7
용융점도 저전단속도 poise 12000 15890 16120 17560 14800
고전단속도 poise 1690 1900 1850 2000 1800
전단속도의존계수 1.02 1.20 1.25 1.26 1.18
용착성 진동용착의 강도 kgf/cm2 10.0 14.4 14.5 15.0 14.8
어닐링후(150℃,10h) kgf/cm2 8.8 14.2 14.4 14.7 14.6
강도의 유지 % 88 99 99 98 99
항목 단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배합조성 나일론수지(a)배합량 ―중량부 N66100 N66100 N66100 N6/66100
폴리올레핀수지배합량 ―중량부 B-45 B-510 B-415 B-45
유리섬유의 배합량 중량부 45 45 50 45
구리화합물배합량 ―중량부 Cul/Kl0.04/0.35 Cul/Kl0.04/0.35 Cul/Kl0.04/0.35 Cul/Kl0.04/0.35
유동성 유동길이 mm 150 150 145 145
재료강도 인장강도 MPa 180 180 174 155
굴곡탄성율 GPa 8.3 8.0 7.8 7.3
용융점도 저전단속도 poise 9300 9300 11050 11200
고전단속도 poise 1130 1100 1240 1300
전단속도의존계수 1.09 1.12 1.18 1.11
용착성 진동용착의 강도 kgf/cm2 10.0 11.3 12.1 13.4
어닐링후(150℃,10h) kgf/cm2 10.0 11.2 11.8 13.4
강도의 유지 % 100 99 98 100
항목 단위 실시예15 실시예16
배합조성 나일론수지(a)배합량 ―중량부 N670 N6680
나일론수지(b)배합량 ―중량부 N61030 6T/1220
폴리올레핀수지배합량 ―중량부 B-45 B-45
유리섬유의 배합량 중량부 45 45
구리화합물배합량 ―중량부 Cul/Kl0.04/0.35 Cul/Kl0.04/0.35
유동성 유동길이 mm 150 140
재료강도 인장강도 MPa 160 175
굴곡탄성율 GPa 7.2 8.5
용융점도 저전단속도 poise 13050 13780
고전단속도 poise 1600 1460
전단속도의존계수 1.17 1.25
용착성 진동용착의 강도 kgf/cm2 14.0 13.2
어닐링후(150℃,10h) kgf/cm2 13.8 13.0
강도의 유지 % 99 98
항목 단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배합조성 나일론수지(a)배합량 ―중량부 N6100 N6100 N66100 N6/66100
기타수지배합량 ―중량부 MAH-PPE10
유리섬유의 배합량 중량부 45 45 45 45
유동성 유동길이 mm 150 138 155 150
재료강도 인장강도 MPa 170 165 180 158
굴곡탄성율 GPa 8.2 8.2 8.5 7.5
용융점도 저전단속도 poise 11430 15430 7550 8930
고전단속도 poise 1640 2150 1000 1150
전단속도의존계수 1.03
용착성 진동용착의 강도 kgf/cm2 9.0 8.5 7.5 9.4
어닐링후(150℃,10h) kgf/cm2 7.8 7.6 6.0 7.7
강도의 유지 % 87 89 80 82
실시예 17 및 18과 비교예 5 및 6
배합조성을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진동용착을 사출용착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내지 16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낸다. 덧붙여, 비교예 6에서, MAH-PPE는 무수 말레산으로 변성된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를 나타낸다.
실시예 17 및 18은 본 발명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이 서로 잘 균형된 양호한 유동성과 재료강도를 가지고 용융점도의 전단속도의존계수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수지조성물은 사출용착에 의해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는 중공성형체를 제공하였다.
그에 비해, 폴리올레핀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5 내지 6에서의 수지조성물은 용착강도에서 불량한 중공성형체를 제공하였다.
항목 단위 실시예17 실시예18 비교예5 비교예6
배합조성 나일론수지(a)배합량 ―중량부 N6100 N6100 N6100 N6100
폴리올레핀수지배합량 중량부 B-45 B-55
기타수지배합량 ―중량부 MAH-PPE5
유리섬유의 배합량 중량부 45 45 45 45
유동성 유동길이 mm 145 148 150 138
재료강도 인장강도 MPa 165 165 170 165
굴곡탄성율 GPa 7.8 8.0 8.2 8.2
용융점도 저전단속도 poise 14910 14600 11430 15430
고전단속도 poise 1860 1790 1640 2150
전단속도의존계수 1.15 1.17 1.03
용착성 사출용착의 강도 MPa 73 75 66 5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내열성, 외관, 치수안정성, 및 균일한 용착성에서 우수하고 사출성형, 압출성형, 블로성형으로 얻어진 성형품을 진동용착 등에 의해 용착시켜 사용하는 경우 특히 유용하며 그 이점을 살려 자동차의 흡기매니폴드 등의 흡기계부품, 급수 및 배수 등의 냉각계부품, 연료주입 및 연료송달관 등의 연료계부품, 오일탱크 등의 용기류와 같은 중공성형부품용 등에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 0.1-50중량부, 및 성분(C)로서 유리섬유 10-150중량부를 함께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용착, 사출용착, 초음파용착, 또는 마이크로파용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용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점도의 전단속도의존계수가 1.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전단속도의존계수 = [저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고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
    [저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 = [저전단속도시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저전단속도시의 성분(B)를 함유하지 않은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
    [고전단속도시의 용융점도증가율] = [고전단속도시의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고전단속도시의 성분(B)를 함유하지 않은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용융점도],
    여기서 저전단속도는 60sec-1이고 고전단속도는 6000sec-1이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카르복실기가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어 금속염을 형성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공액 디엔과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 생성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부분은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그 공단량체의 양은 1-3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것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변성제에 의해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이 불포화 카르복실산, 그것의 금속염, 그것의 에스테르, 그것의 아미드, 및 그것의 산무수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변성제에 의해 변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성분(D)로서 구리화합물 0.01-3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구리화합물이 1가의 구리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1가의 구리화합물이 할로겐화제1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 0.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일론수지는 나일론66, 나일론6, 및 이것들로 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는 (a) 나일론66, 나일론6 및 그것들로 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99-50중량% 및 (b) 상기 (a)이외의 나일론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1-5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
  16.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 0.1-50중량부, 성분(C)로서 유리섬유 10-150중량부, 성분(D)로서 구리화합물 0-3중량부, 및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 0-5중량부를 용융혼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성분(A)로서 나일론수지 100중량부, 성분(C)로서 유리섬유 10-150중량부, 성분(D)로서 구리화합물 0-3중량부, 및 성분(E)로서 실리콘화합물 0-5중량부를 용융혼련한 후 그 결과의 조성물을 성분(B)로서 폴리올레핀수지 0.1-50중량부와 용융혼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용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용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8.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용 수지조성물로부터 형성된 2이상의 성형품을 용착시킴으로써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성형체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의 제조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KR1019990046420A 1998-10-26 1999-10-25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법 및 성형품 KR100640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454498 1998-10-26
JP98-304544 1998-10-26
JP12189799 1999-04-28
JP99-121897 199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290A true KR20000029290A (ko) 2000-05-25
KR100640714B1 KR100640714B1 (ko) 2006-10-31

Family

ID=2645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420A KR100640714B1 (ko) 1998-10-26 1999-10-25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법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10018485A1 (ko)
EP (1) EP0997496B1 (ko)
KR (1) KR100640714B1 (ko)
CN (1) CN1153816C (ko)
DE (1) DE69930076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00A (ko) * 2001-05-03 200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자동차 엔진 커버용 제진 재료조성물
KR20140046387A (ko) * 2012-10-10 2014-04-18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성형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8850A1 (de) 1999-10-08 2001-04-12 Bayer Ag Thermoformbare Polyamide
US7089952B2 (en) * 2001-03-16 2006-08-15 Ube Industries, Ltd. Fuel par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705268B2 (en) * 2001-09-21 2004-03-16 Basf Aktiengesellschaft Engine noise barrier
US6880593B1 (en) 2003-12-10 2005-04-19 Dayco Products, Llc Fuel fill system
US6902208B1 (en) 2003-12-10 2005-06-07 Dayco Product, Llc Gas impermeable tube joi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100543083C (zh) * 2004-11-03 2009-09-23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高耐寒、抗水解增强尼龙6及其制备方法
DE102005035914A1 (de) * 2005-07-28 2007-02-01 Chemische Fabrik Budenheim Kg Laserschweißverfahren und -material
CN100372885C (zh) * 2006-02-23 2008-03-05 广州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长纤维增强尼龙/聚烯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7862671B2 (en) * 2007-01-11 2011-01-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Welding of a polymeric material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EP2121820B1 (en) * 2007-03-19 2010-1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KR100963673B1 (ko) * 2007-10-23 2010-06-15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수지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5181221B2 (ja) * 2008-01-15 2013-04-10 日立化成株式会社 低熱膨張性低誘電損失プリプレグ及びその応用品
US20090239979A1 (en) * 2008-03-20 2009-09-24 Masahiro Nozaki Polymer resin compositions
ITTO20080404A1 (it) * 2008-05-27 2009-11-28 Dayco Fluid Technologies Spa Elemento cavo per il trasporto di un fluido refrigerante in un autoveicolo
US20120091626A1 (en) * 2008-10-22 2012-04-19 Hou Hsine-Chang Process for fabricating an integral plastic faucet member
KR101257693B1 (ko) * 2008-11-05 2013-04-24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KR101247627B1 (ko) * 2008-11-05 2013-04-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CN102009906B (zh) * 2010-12-01 2014-02-26 中实洛阳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尼龙地滚及制备方法
FR3010090B1 (fr) 2013-09-05 2016-09-02 Arkema France Raccords pour tubes bases sur une composition de polyamide
DE102013218964A1 (de) * 2013-09-20 2015-03-26 Evonik Industries Ag Formmasse auf Basis eines teilaromatischen Copolyamids
HUE047680T2 (hu) 2013-11-28 2020-05-28 Lanxess Deutschland Gmbh Poliamid-kompozíciók
CN103665844A (zh) * 2013-11-29 2014-03-26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高焊接性能的玻纤增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03694693B (zh) * 2013-11-29 2016-01-20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焊接溢料改善的增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06084757A (zh) * 2016-07-12 2016-11-09 广西南宁桂尔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塑胶材料
BR112019002526B1 (pt) 2016-08-08 2022-09-27 Ticona Llc Composição polimérica termicamente condutora para um dissipador de calor
EP3636714B1 (de) * 2018-10-12 2024-02-28 AKRO-PLASTIC GmbH Thermoplastische bauteile für die verwendung in kühlkreisläufen
US20230002568A1 (en) * 2019-12-11 2023-01-05 Dow-Mitsui Polychemical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bod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5451A (en) * 1975-04-03 1976-11-01 Asahi Chem Ind Co Ltd Polyamide composition
US4174358A (en) * 1975-05-23 1979-11-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thermoplastic nylon compositions
DE3911695A1 (de) * 1989-04-10 1990-10-11 Inventa Ag Verbundwerkstoffe und ihre verwendung
AT399158B (de) * 1991-09-13 1995-03-27 Danubia Petrochem Polymere Verwendung von aus polyolefinen, polyamiden und haftvermittlern bestehenden formteilen zur hochfrequenzschweissung, sowie folien aus polyolefinen, polyamiden und haftvermittlern
DE69219548T2 (de) * 1991-10-09 1997-09-04 Sumitomo Chemical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stärkten kristallinen technischen Kunststoffen
JPH06322264A (ja) * 1993-05-07 1994-11-22 Asahi Chem Ind Co Ltd 自転車ホイール用樹脂組成物
EP0859698B1 (en) * 1995-11-08 2001-07-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mproved performance of vibration welded thermoplastic joints
JP3675090B2 (ja) * 1996-12-17 2005-07-27 東レ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3551674B2 (ja) * 1997-01-17 2004-08-11 東レ株式会社 溶着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00A (ko) * 2001-05-03 200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자동차 엔진 커버용 제진 재료조성물
KR20140046387A (ko) * 2012-10-10 2014-04-18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성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0076D1 (de) 2006-04-27
EP0997496B1 (en) 2006-03-01
US20010018485A1 (en) 2001-08-30
CN1253971A (zh) 2000-05-24
EP0997496A1 (en) 2000-05-03
KR100640714B1 (ko) 2006-10-31
CN1153816C (zh) 2004-06-16
DE69930076T2 (de)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4B1 (ko) 용착용 수지조성물, 그것의 제조법 및 성형품
KR102292165B1 (ko) 고압 수소에 접하는 성형품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92160B1 (ko) 고압 수소에 접하는 성형품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성형품
JP4281165B2 (ja) 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溶着樹脂成形体
JPWO2009069725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10640647B2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JPH1133555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4078823B2 (ja) バリア性多層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67107A (ja) 自動車用樹脂製複合部品
JP2017226817A (ja) 高圧水素に触れる成形品用の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2007196474A (ja) ポリアミド系積層成形体
JP200810624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複合成形品
JP2003128056A (ja) バリア性多層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35042A (ja) 振動溶着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4253946B2 (ja) 振動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2006274121A (ja) 溶着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4003432B2 (ja) バリア性多層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08526A (ja) 溶着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4387712B2 (ja) 薬液および/またはガスの搬送または貯蔵用の容器もしくはその付属部品
WO2021187616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4238382B2 (ja) 自動車燃料系溶着部品用導電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導電性成形体
CN114008138B (zh) 树脂组合物及由该树脂组合物形成的树脂成型品
CN115380082B (zh) 聚酰胺树脂组合物
JP2008087318A (ja) ポリアミド樹脂製射出溶着成形体
JP2007211116A (ja) 射出成形キャニ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