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874A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874A
KR20000028874A KR1019990043035A KR19990043035A KR20000028874A KR 20000028874 A KR20000028874 A KR 20000028874A KR 1019990043035 A KR1019990043035 A KR 1019990043035A KR 19990043035 A KR19990043035 A KR 19990043035A KR 20000028874 A KR20000028874 A KR 20000028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aturated
alkali metal
carbon atoms
hydrocarb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364B1 (ko
Inventor
아베고지
미야하라레이지
난바도미유키
아쿠츠다카히로
후쿠다도시오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527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51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527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5505B2/ja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2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8Sulfonation products derived from fatty acids or their derivatives, e.g. esters,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2Sulfobetaines ; Sulfitobeta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발생이 양호하고 사용 후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생기지 않는 사용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① N-아실메틸타우린, 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알킬술폰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 또는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 ② N-아실메틸타우린, 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알킬술폰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 또는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 ③ N-아실메틸타우린, 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알킬술폰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 또는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품발생이 양호하고 사용 후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생기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거품발생이나 사용성의 관점에서, 클렌징 폼, 바디 샴푸, 샴푸 등의 세정료에 알킬황산염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알킬황산염으로 세정한 모발은 뻣뻣한 느낌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샴푸에서는 옛날부터 주 기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클렌징 폼이나 바디 샴푸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주 기제로서는 아니고 거품발생력을 부여하는 보조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감촉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생기기 때문이고, 알킬황산염으로도 산뜻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면 응용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킬황산염은 거품발생이 양호하다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산뜻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면 샴푸 이외의 세정료에도 주 기제로서 사용함으로써 거품발생이 양호한 세정료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발생이 양호하고 사용 후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생기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청구항 1-10에 기재된 발명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CH3)-CH2-CH2-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CH3)-CH2-CH2-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H-CH2-CH2-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d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H-CH2-CH2-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f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g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CH2CH2O)n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h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CH2CH2O)n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i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j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2. 청구항 11-20에 기재된 발명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CH3)-CH2-CH2-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CH3)-CH2-CH2-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H-CH2-CH2-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H-CH2-CH2-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e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f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g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CH2CH2O)n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h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CH2CH2O)n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i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j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SO3 -H2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3. 청구항 21-30에 기재된 발명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CH3)-CH2-CH2-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b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CH3)-CH2-CH2-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c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H-CH2-CH2-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d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CO-NH-CH2-CH2-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e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f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g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CH2CH2O)n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h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O(CH2CH2O)n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i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j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R-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1a∼1j, 2a∼2j, 3a∼3j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식 중의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구체예로는 예컨대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테트라에이코실기 등의 직쇄상 포화 탄화수소기, 2-에틸헵타데실기, 2-에틸펜틸기 등의 분지 포화 탄화수소기, 8-헵타데센일기, 올레일기, 4,6-옥타데카디에텐일기 등의 직쇄 불포화 탄화수소기, 2-메틸옥타데카-6-에텐일기 등의 분지 불포화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a, 1c, 1e, 1g, 1i, 2a, 2c, 2e, 2g, 2i, 3a, 3c, 3e, 3g 및 3i에 있어서, X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1b, 1d, 1f, 1h, 1j, 2b, 2d, 2f, 2h, 2j, 3b, 3d, 3f, 3h 및 3j에 있어서, Y는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리딘 등의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1a∼1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각 식에 대응하여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a: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화학식 1b: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1c: N-라우로일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화학식 1d: N-라우로일타우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1e: 라우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나트륨
화학식 1f: 라우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1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나트륨
화학식 1h: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1i: 라우릴술폰산N-메틸타우린나트륨
화학식 1j: 라우릴술폰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2a∼2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각 식에 대응하여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a: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하이포타우린나트륨
화학식 2b: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2c: N-라우로일타우린하이포타우린나트륨
화학식 2d: N-라우로일타우린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2e: 라우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나트륨
화학식 2f: 라우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2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나트륨
화학식 2h: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2i: 라우릴술폰산하이포타우린나트륨
화학식 2j: 라우릴술폰산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3a∼3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각 식에 대응하여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a: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화학식 3b: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3c: N-라우로일타우린타우린나트륨
화학식 3d: N-라우로일타우린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3e: 라우릴황산에스테르타우린나트륨
화학식 3f: 라우릴황산에스테르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3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타우린나트륨
화학식 3h: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화학식 3i: 라우릴술폰산타우린나트륨
화학식 3j: 라우릴술폰산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1a∼1j, 2a∼2j, 3a∼3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배합량으로서는 0.5∼90중량%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중량%이고, 이 범위로 조제한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이룰 수 있다. 배합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는 얻어지기 어렵고, 배합량이 90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악화되는 등의 불리한 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1a∼1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약 80℃에서 N-아실메틸타우린, 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알킬술폰산을 용해시키고, 이것에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 또는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의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가하거나, N-메틸타우린 수용액과 다른 알칼리 수용액을 각각 별도로 교반하면서 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2a∼2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약 80℃에서 N-아실메틸타우린, 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알킬술폰산을 용해시키고, 이것에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 또는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의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가하거나, 하이포타우린 수용액과 다른 알칼리 수용액을 각각 별도로 교반하면서 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상기 화학식 3a∼3j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약 80℃에서 N-아실메틸타우린, 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알킬술폰산을 용해시키고, 이것에 타우린알칼리금속염 또는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의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가하거나, 타우린 수용액과 다른 알칼리 수용액을 각각 별도로 교반하면서 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란 어떤 것에 대하여 세정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조성물을 말하고, 세정되어야 할 것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의약부외품 등 신체에 적용되는 세정제를 가리키고, 상기 필수성분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통상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누,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히드록시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등의 음이온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린계양성계면활성제, 베타인계양성계면활성제등의 양성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멀티톨히드록시지방족에테르등의 비이온계면활성제, 트리메틸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등의 양이온계면활성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등의 보습제, 센브리, 샤쿠야쿠, 이리스, 스기나등의 식물추출성분, 트라넥삼산, 알부틴등의 약제, 향료, 방부제등 다른 성분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화학식 1a∼1j, 2a∼2j, 3a∼3j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1. 진탕법에 의한 거품발생 시험
70ppm의 염화칼슘을 용해한 이온교환수에 각 시료를 0.5중량%의 비율로 용해한 후, 염산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조정하였다. 각 시료액을 30℃에서 유지하고, 20ml를 내경 3cm, 높이 20cm의 마개가 부착된 네슬러관에 넣고, 진자식 진탕기에 의해 1초간에 1회의 비율로 90°씩 경사지게 하였다. 1분후에 장치로부터 꺼내어, 거품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또, 거품의 높이가 반이 될 때까지의 시간(지속시간)도 측정하였다.
관능에 의한 실사용시험
패널 50명과 함께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실사용시험은 각 시료의 10%수용액 10ml를 취하고, 30초간 손을 씻고, 그 사용감 및 물세안후의 사용감촉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난 평가기준을 기초로 5단계로 평가하였다. 그 평균점을 50명의 종합평가로 하였다.
평가점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5 상당히 양호 상당히 산뜻함
4 조금 양호 조금 산뜻함
3 보통 보통
2 조금불량 조금 미끈거림
1 상당히불량 상당히 미끈거림
◎: 평가점의 평균 4∼5○: 평가점의 평균 3∼3.9△: 평가점의 평균 2∼2.9×: 평가점의 평균 1∼1.9
1. 청구항 1-10의 실시예
시험시료 1, 2, 비교시료 1∼3
표 2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1∼2는 각각 화학식 1a, b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비교시료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칼륨
비교시료 3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1 15.8 200
시험시료 2 16.0 150
비교시료 1 11.5 40 ×
비교시료 2 12.0 50
비교시료 3 13.0 70 ×
시험시료 3, 4, 비교시료 4∼6
표 4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3, 4는 각각 화학식 1c, d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3 N-라우로일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4 N-라우로일타우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4 N-라우로일타우린나트륨
비교시료 5 N-라우로일타우린칼륨
비교시료 6 N-라우로일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3 14.8 310
시험시료 4 13.0 280
비교시료 4 10.5 60 ×
비교시료 5 11.5 40
비교시료 6 11.0 75
시험시료 5, 6, 비교시료 7∼9
표 6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5, 6은 각각 일반식 1e, f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기포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5 라우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6 라우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7 라우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비교시료 8 라우릴황산에스테르칼륨
비교시료 9 라우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5 20.5 340
시험시료 6 19.0 300
비교시료 7 18.0 100 ×
비교시료 8 14.0 150 ×
비교시료 9 13.9 90 ×
시험시료 7, 8, 비교시료 10∼12
표 8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7, 8은 각각 화학식 1g, h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기포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7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8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비교시료 1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칼륨
비교시료 1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7 16.5 250
시험시료 8 15.0 300
비교시료 10 10.0 80 ×
비교시료 11 12.0 100 ×
비교시료 12 9.8 75 ×
시험시료 9, 10, 비교시료 13∼15
표 10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9, 10은 각각 화학식 1i, j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기포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9 라우릴술폰산N-메틸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10 라우릴술폰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3 라우릴술폰산나트륨
비교시료 14 라우릴술폰산칼륨
비교시료 15 라우릴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9 22.5 470
시험시료 10 19.0 390
비교시료 13 14.0 120 ×
비교시료 14 13.5 95 ×
비교시료 15 15.8 70 ×
이상의 결과에서, 시험시료는 비교시료에 비하여 거품발생 및 거품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도 생기지 않는 것을 알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세정제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각종성분의 배합량은 중량%이다.
실시예 1
(샴푸)
중량부
(1) 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2.0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10.0
(3) 도데실말토시드 5.0
(4) 라우릴술포베타인 10.0
(5) 라우르산디에탄올아마이드 5.0
(6) 프로필렌글리콜 2.0
(7) 색제, 향료 적당량
(8)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2
(샴푸)
중량부
(1) 나트륨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8.0
(2) 라우릴황산에스테르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20.0
(3)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4.0
(4) 향료 적당량
(5) EDTA·2Na 적당량
(6)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3
(바디샴푸)
중량부
(1) 글리세린 5.0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N-메틸
타우린나트륨 5.0
(3) 자당미리스트산에스테르 1.0
(4)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10.0
(5) 라우릴술폰숙신산나트륨 5.0
(6) 야자유디에탄올아마이드 3.0
(7) 킬레이트제 0.1
(8) 색제, 향료 적당량
(9)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4
(액체비누)
중량부
(1) 라우르산 3.0
(2) 미리스트산 7.0
(3) 팔미트산 3.0
(4) 올레산 2.5
(5) 라우로일디에탄올아마이드 6.0
(6) 프로필렌글리콜 11.0
(7) 에리스리톨 4.0
(8)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10.0
(9) 자당 5.0
(10) 수산화나트륨 3.0
(11) EDTA 0.1
(12) 향료 적당량
(13)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5
(의료용 액체세제)
중량부
(1) POE(3몰)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0.0
(2) 말토트리톨도데실에테르 30.0
(3) N-라우로일타우린나트륨 15.0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0
(5) 표백제 적당량
(6)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6
(샴푸)
중량부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10.0
(2)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나트륨 5.0
(3)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마이드 2.0
(4) 양이온성셀루로오스 0.3
(5) 킬레이트제 적당량
(6) 방부제 적당량
(7) 향료 적당량
(8)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7
(바디샴푸)
중량부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N-메틸타우린나트륨 3.0
(2) 라우르산N-메틸타우린나트륨 5.0
(3) 라우르산 1.0
(4) 미리스트산 4.0
(5) 팔미트산 2.0
(6) 수산화칼륨 1.5
(7)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마이드 2.0
(8) 글리세린 5.0
(9) 킬레이트제 적당량
(10) 방부제 적당량
(11) 향료 적당량
(12)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1∼7은, 어떤 것도 기포성이 우수하고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이 없어 사용성이 우수하였다.
2. 청구항 11∼20의 실시예
시험시료 1, 2, 비교시료 1∼3
표 12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1, 2는 각각 화학식 2a, b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하이포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비교시료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칼륨
비교시료 3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1 15.8 200
시험시료 2 16.0 150
비교시료 1 11.5 40 ×
비교시료 2 12.0 50
비교시료 3 13.0 70 ×
시험시료 3, 4, 비교시료 4∼6
표 14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3, 4는 각각 화학식 2c, d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해서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3 N-라우로일타우린하이포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4 N-라우로일타우린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4 N-라우로일타우린나트륨
비교시료 5 N-라우로일타우린칼륨
비교시료 6 N-라우로일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3 13.8 230
시험시료 4 12.0 190
비교시료 4 8.5 50
비교시료 5 7.0 40
비교시료 6 8.0 95
시험시료 5, 6, 비교시료 7∼9
표 16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5, 6은 각각 화학식 2e, f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5 라우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6 라우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7 라우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비교시료 8 라우릴황산에스테르칼륨
비교시료 9 라우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5 20.5 340
시험시료 6 19.0 300
비교시료 7 18.0 100 ×
비교시료 8 14.0 150 ×
비교시료 9 13.9 90 ×
시험시료 7, 8, 비교시료 10∼12
표 18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7, 8은 각각 화학식 2g, h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9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7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8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비교시료 1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칼륨
비교시료 1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7 16.5 250
시험시료 8 15.0 300
비교시료 10 10.0 80 ×
비교시료 11 12.0 100 ×
비교시료 12 9.8 75 ×
시험시료 9, 10, 비교시료 13∼15
표 20에 나타난 각화합물(시험시료 9, 10은 각각 화학식 2i, j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9 라우릴술폰산하이포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10 라우릴술폰산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3 라우릴술폰산나트륨
비교시료 14 라우릴술폰산칼륨
비교시료 15 라우릴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9 22.5 470
시험시료 10 19.0 390
비교시료 13 14.0 120 ×
비교시료 14 13.5 95 ×
비교시료 15 15.8 70 ×
이상의 결과에서, 시험시료는 비교시료와 비교하여 거품발생 및 거품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도 생기지 않는 것을 알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세정제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각종성분의 배합량은 중량%이다.
실시예 1
(샴푸)
중량부
(1) 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2.0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하이포타우린나트륨 10.0
(3) 도데실말토시드 5.0
(4) 라우릴술포베타인 10.0
(5) 라우르산디에탄올아마이드 5.0
(6) 프로필렌글리콜 2.0
(7) 색제, 향료 적당량
(8)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2
(샴푸)
중량부
(1) 나트륨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8.0
(2) 라우릴황산에스테르하이포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20.0
(3)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4.0
(4) 향료 적당량
(5) EDTA·2Na 적당량
(6)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3
(바디샴푸)
중량부
(1) 글리세린 5.0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하이포
타우린나트륨 5.0
(3) 자당미리스트산에스테르 1.0
(4)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10.0
(5) 라우릴술폰숙신산나트륨 5.0
(6) 야자유디에탄올아마이드 3.0
(7) 킬레이트제 0.1
(8) 색제, 향료 적당량
(9)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4
(액체비누)
중량부
(1) 라우르산 3.0
(2) 미리스트산 7.0
(3) 팔미트산 3.0
(4) 올레산 2.5
(5) 라우로일디에탄올아마이드 6.0
(6) 프로필렌글리콜 11.0
(7) 에리스리톨 4.0
(8)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하이포타우린나트륨 10.0
(9) 자당 5.0
(10) 수산화나트륨 3.0
(11) EDTA 0.1
(12) 향료 적당량
(13)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5
의료용 액체세제
중량부
(1) POE(3몰)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0.0
(2) 말토트리톨도데실에테르 30.0
(3) N-라우로일하이포타우린나트륨 15.0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0
(5) 표백제 적당량
(6)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에 1∼5는 어떤 것도 기포성이 우수하고,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도 없어 사용성이 우수하였다.
3. 청구항 21∼30의 실시예
시험시료 1, 2, 비교시료 1∼3
표 22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1, 2는 각각 화학식 3a, b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기포발생 시험 및 실사용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비교시료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칼륨
비교시료 3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1 14.8 240
시험시료 2 15.0 210
비교시료 1 9.5 100 ×
비교시료 2 11.0 65
비교시료 3 11.8 70 ×
시험시료 3, 4, 비교시료 4∼6
표 24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3, 4는 각각 화학식 3c, d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5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3 N-라우로일타우린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4 N-라우로일타우린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4 N-라우로일타우린나트륨
비교시료 5 N-라우로일타우린칼륨
비교시료 6 N-라우로일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3 14.5 300
시험시료 4 12.0 210
비교시료 4 11.5 100
비교시료 5 9.0 85
비교시료 6 8.0 90
시험시료 5, 6, 비교시료 7∼9
표 26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5, 6은 각각 화학식 3e, f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7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5 라우릴황산에스테르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6 라우릴황산에스테르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7 라우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비교시료 8 라우릴황산에스테르칼륨
비교시료 9 라우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5 21.5 300
시험시료 6 23.0 330
비교시료 7 18.0 150 ×
비교시료 8 19.5 100 ×
비교시료 9 13.0 145
시험시료 7, 8, 비교시료 10∼12
표 28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7, 8은 각각 화학식 3g, h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9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7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8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비교시료 1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칼륨
비교시료 1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7 15.5 220
시험시료 8 17.0 285
비교시료 10 13.5 110 ×
비교시료 11 12.0 100 ×
비교시료 12 9.8 75 ×
시험시료 9, 10, 비교시료 13∼15
표 30에 나타난 각 화합물(시험시료 9, 10은 각각 화학식 3i, j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응)을 시료로 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거품발생 시험 및 실사용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1에 나타낸다.
시료 No. 화합물명
시험시료 9 라우릴술폰산타우린나트륨
시험시료 10 라우릴술폰산타우린에탄올아민
비교시료 13 라우릴술폰산나트륨
비교시료 14 라우릴술폰산칼륨
비교시료 15 라우릴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거품발생 시험결과 실사용 시험결과
거품의 높이(cm) 지속시간(분) 거품발생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
시험시료 9 21.5 370
시험시료 10 19.0 350
비교시료 13 14.5 80 ×
비교시료 14 13.0 95 ×
비교시료 15 15.0 60 ×
이상의 결과에서, 시험시료는 비교시료에 비하여 거품발생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이 생기지 않는 것을 알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세정제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각종성분의 배합량은 중량%이다.
실시예 1
(샴푸)
중량부
(1) 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2.0
(2)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10.0
(3) 도데실말토시드 5.0
(4) 라우릴술포베타인 10.0
(5) 라우르산디에탄올아마이드 5.0
(6) 프로필렌글리콜 2.0
(7) 색제, 향료 적당량
(8)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2
(샴푸)
중량부
(1) 나트륨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8.0
(2) 라우릴황산에스테르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20.0
(3)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4.0
(4) 향료 적당량
(5) EDTA·2Na 적당량
(6)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3
(바디샴푸)
중량부
(1) 글리세린 5.0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
타우린나트륨 5.0
(3) 자당미리스트산에스테르 1.0
(4)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10.0
(5) 라우릴술폰숙신산나트륨 5.0
(6) 야자유디에탄올아마이드 3.0
(7) 킬레이트제 0.1
(8) 색제, 향료 적당량
(9)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4
(액체비누)
중량부
(1) 라우르산 3.0
(2) 미리스트산 7.0
(3) 팔미트산 3.0
(4) 올레산 2.5
(5) 라우로일디에탄올아마이드 6.0
(6) 프로필렌글리콜 11.0
(7) 에리스리톨 4.0
(8) N-라우로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10.0
(9) 자당 5.0
(10) 수산화나트륨 3.0
(11) EDTA 0.1
(12) 향료 적당량
(13)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예 5
(의료용 액체세제)
중량부
(1) POE(3몰)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0.0
(2) 말토트리톨도데실에테르 30.0
(3) N-라우로일타우린나트륨 15.0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0
(5) 표백제 적당량
(6) 정제수 나머지
(제법)
정제수를 70℃에서 가열하고, 다른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제거한다.
실시에 1∼5는 어떤 것도 기포성이 우수하고, 사용후의 미끈거리는 느낌도 없어 사용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품발생이 양호하고 사용후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생기지 않는 사용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30)

  1.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a)
    R-CO-N(CH3)-CH2-CH2-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2.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b)
    R-CO-N(CH3)-CH2-CH2-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3.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c)
    R-CO-NH-CH2-CH2-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4. 하기 화학식 1d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d)
    R-CO-NH-CH2-CH2-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5.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e)
    R-O-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6. 하기 화학식 1f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f)
    R-O-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7. 하기 화학식 1g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g)
    R-O(CH2CH2O)n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8. 하기 화학식 1h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h)
    R-O(CH2CH2O)n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9. 하기 화학식 1i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N-메틸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i)
    R-SO3 -H2N+(CH3)-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10. 하기 화학식 1j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N-메틸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j)
    R-SO3 -H2N+(CH3)-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11.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a)
    R-CO-N(CH3)-CH2-CH2-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12. 하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b)
    R-CO-N(CH3)-CH2-CH2-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13. 하기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c)
    R-CO-NH-CH2-CH2-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14. 하기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d)
    R-CO-NH-CH2-CH2-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15. 하기 화학식 2e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e)
    R-O-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16. 하기 화학식 2f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f)
    R-O-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17. 하기 화학식 2g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g)
    R-O(CH2CH2O)n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18. 하기 화학식 2h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h)
    R-O(CH2CH2O)nSO3 -H3N+-CH2-CH2-SO2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19. 하기 화학식 2i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하이포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i)
    R-SO3 -H3N+-CH2-CH2-SO2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20. 하기 화학식 2j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하이포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2j)
    R-SO3 -H2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21. 하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a)
    R-CO-N(CH3)-CH2-CH2-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22. 하기 화학식 3b로 표시되는 N-아실메틸타우린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b)
    R-CO-N(CH3)-CH2-CH2-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23. 하기 화학식 3c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c)
    R-CO-NH-CH2-CH2-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24. 하기 화학식 3d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d)
    R-CO-NH-CH2-CH2-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25. 하기 화학식 3e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e)
    R-O-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26. 하기 화학식 3f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f)
    R-O-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27. 하기 화학식 3g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g)
    R-O(CH2CH2O)n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28. 하기 화학식 3h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h)
    R-O(CH2CH2O)n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n은 1∼40의 정수,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29. 하기 화학식 3i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타우린알칼리금속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i)
    R-SO3 -H3N+-CH2-CH2-SO3 -X+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X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30. 하기 화학식 3j로 표시되는 알킬술폰산의 타우린유기알칼리염을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3j)
    R-SO3 -H3N+-CH2-CH2-SO3 -Y+
    (단, 식 중 R은 탄소수 7∼23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유기알칼리를 나타낸다.)
KR1019990043035A 1998-10-07 1999-10-06 세정제 조성물 KR100575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5271 1998-10-07
JP28527198A JP3695174B2 (ja) 1998-10-07 1998-10-07 洗浄剤組成物
JP98-285269 1998-10-07
JP28527098A JP3695505B2 (ja) 1998-10-07 1998-10-07 洗浄剤組成物
JP98-285270 1998-10-07
JP28526998 1998-10-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84A Division KR100581531B1 (ko) 1998-10-07 2006-01-23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74A true KR20000028874A (ko) 2000-05-25
KR100575364B1 KR100575364B1 (ko) 2006-05-03

Family

ID=273371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035A KR100575364B1 (ko) 1998-10-07 1999-10-06 세정제 조성물
KR1020060006784A KR100581531B1 (ko) 1998-10-07 2006-01-23 세정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84A KR100581531B1 (ko) 1998-10-07 2006-01-23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03559B1 (ko)
EP (2) EP0999260B1 (ko)
KR (2) KR100575364B1 (ko)
CN (5) CN1276067C (ko)
DE (2) DE69913467T2 (ko)
TW (1) TW5463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212B1 (ko) * 2000-09-18 2005-03-0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투명형상 고형세정제 조성물
KR20180025863A (ko) * 2015-07-09 2018-03-09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헤어 샴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6639B (en) * 1998-11-13 2006-11-21 Ajinomoto Kk Weak acid skin cleanser
US6987085B2 (en) * 2003-06-13 2006-01-17 Kao Corpor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s
AU2007328936B2 (en) * 2006-12-08 2010-09-02 Unilever Plc Concentrated surfactant compositions
EP3530722B1 (en) * 2016-10-19 2022-11-16 Shiseido Company, Ltd. Detergent composition
CN111936112A (zh) * 2018-04-18 2020-11-13 株式会社资生堂 洗涤剂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690B2 (ja) 1988-01-06 1996-07-03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
JPH02212598A (ja) 1989-02-13 1990-08-23 Kawaken Fine Chem Co Ltd 液体洗浄剤組成物
JP2867339B2 (ja) 1989-04-21 1999-03-08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1分子中にスルホン基、アミド基、カルボキシル基を含有するアルケニル又はアルキルコハク酸無水物誘導体及びその塩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H05246829A (ja) 1992-03-05 1993-09-24 Nippon Oil & Fats Co Ltd 洗浄剤組成物
JP3178085B2 (ja) 1992-05-14 2001-06-18 日本油脂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2920028B2 (ja) 1992-07-13 1999-07-19 鐘紡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186284B2 (ja) 1992-12-04 2001-07-11 日本油脂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522817B2 (ja) * 1994-02-22 2004-04-26 花王株式会社 タウリン誘導体、その製造法、該化合物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中間体
JPH08183993A (ja) 1994-11-02 1996-07-16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3443490B2 (ja) * 1995-10-03 2003-09-02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
JP3436836B2 (ja) * 1995-12-15 2003-08-18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4017203B2 (ja) 1996-03-29 2007-12-05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
US5929009A (en) * 1998-12-11 1999-07-27 Colgate Palmolive Co.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mine oxi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212B1 (ko) * 2000-09-18 2005-03-0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투명형상 고형세정제 조성물
KR20180025863A (ko) * 2015-07-09 2018-03-09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헤어 샴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28645B (zh) 2012-01-11
EP0999260B1 (en) 2003-12-10
CN1935967A (zh) 2007-03-28
EP0999260A3 (en) 2000-05-31
CN1276067C (zh) 2006-09-20
CN1250084A (zh) 2000-04-12
KR20060014078A (ko) 2006-02-14
CN1935967B (zh) 2011-02-09
DE69917082T2 (de) 2005-03-31
DE69913467D1 (de) 2004-01-22
US6303559B1 (en) 2001-10-16
CN101928645A (zh) 2010-12-29
KR100575364B1 (ko) 2006-05-03
EP1225214A3 (en) 2003-04-23
EP1225214B1 (en) 2004-05-06
CN1611592A (zh) 2005-05-04
CN1187431C (zh) 2005-02-02
CN102660391A (zh) 2012-09-12
TW546378B (en) 2003-08-11
DE69913467T2 (de) 2004-10-21
EP0999260A2 (en) 2000-05-10
EP1225214A2 (en) 2002-07-24
DE69917082D1 (de) 2004-06-09
KR100581531B1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0323B1 (en) Shampoo composition
KR100581531B1 (ko) 세정제 조성물
WO2004092315A1 (ja) 洗浄剤組成物
JP2008231346A (ja) 洗浄料
JPH0756037B2 (ja) 洗浄剤組成物
EP0324575A2 (en) Detergent composition
JP2003041299A (ja) 洗浄剤組成物
US6602848B2 (e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salts of hydroxyalkyl ether carboxylic acids
JP3695174B2 (ja) 洗浄剤組成物
JP4017203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3048822A (ja) 洗浄剤組成物
JP3443490B2 (ja) 洗浄剤組成物
JPH07179887A (ja) 洗浄剤組成物
JPH0641579A (ja) 洗浄剤組成物
JP3555849B2 (ja) 洗浄剤組成物
JP3444572B2 (ja) 洗浄剤組成物
JP3695505B2 (ja) 洗浄剤組成物
JPH108190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517342A (ja) 皮膚洗浄料
JPH08245982A (ja) 洗浄剤組成物
JPH09157688A (ja) 洗浄剤組成物
JPH0457896A (ja) 液状石鹸組成物
JP3590529B2 (ja) 洗浄剤組成物
JPH0129479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8269489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