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73A - 플렉서블 배선판 및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배선판 및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73A
KR20000017073A KR1019990031966A KR19990031966A KR20000017073A KR 20000017073 A KR20000017073 A KR 20000017073A KR 1019990031966 A KR1019990031966 A KR 1019990031966A KR 19990031966 A KR19990031966 A KR 19990031966A KR 20000017073 A KR20000017073 A KR 20000017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flexible wiring
insulation resistance
bonding pad
res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621B1 (ko
Inventor
혼조미츠루
미야케야스후미
스기모토도시히코
가와모토이쿠오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2000001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5Bare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배선판을 수증기압 30mmHg 이상의 분위기하에 놓아둠으로서, 수분이 흡수되도록 한후, 2개의 배선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압 인가중에 배선간의 절연 저항치를 측정한다. 임의 시간 간격마다의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를 구한다.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배선판 및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METHOD FOR INSPEC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선판, 및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전기 기기 또는 전자 기기에 플렉서블 배선판(FPO)이 이용되고 있다. 이 플렉서블 배선판은, 폴리 이미드(polyimide)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전기적 절연막과, 전기적 절연막상에 형성되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 호일의 배선 패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배선판은, 가요적(flexible)이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최근,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에 대한 소형화 및 고집적화의 요구에 따라, 플렉서블 배선판에 있어서의 배선간의 피치가 좁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배선판의 배선 재료로부터 금속 이온의 용출(이온 이동)이 발생하면, 배선간의 단락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예컨대 온도 85℃ 및 습도 85%의 분위기하에서 시험할 경우, 이러한 이온 이동에 의해 수명이 100 시간으로 줄어드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온 이동에 의해 수명이 줄어드는 플렉서블 배선판은, 출하전의 검사 단계에서 불량품으로서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명의 플렉서블 배선판에서는, 배선간에 이온 불순물이나 섬유 등의 이물이 존재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플렉서블 배선판의 배선간 이물을 현미경으로 검출함으로써, 불량품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개개의 플렉서블 배선판 각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배선간 이물을 검출하는 것은 대단히 비효율적이고, 출하전의 검사 방법으로서는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단명의 플렉서블 배선판을 사전에 검출하는 검사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 방법 및 플렉서블 배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 소정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 소정 시간마다 배선간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양품으로 판정하였다.
이 경우,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용이하고 또한 균일하게 판정할 수 있다.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을 2개의 시점에 있어서의 절연 저항치의 상용 대수의 차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소정의 기준값은 0.05일 수 있다.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을 2개의 시점에 있어서의 절연 저항치의 상용 대수의 차로 나타냄으로써, 배선간 거리 및 배선간 인가 전압 편차의 좋지않는 영향이 적어져, 정확한 판정 결과가 얻어진다.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고온 및 고습하에 일정 시간 놓아둔다. 일정 온도 및 습도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플렉서블 배선판이 수분을 흡수 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배선판의 흡수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분 흡수후에 소정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의 소정 시간마다의 배선간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플렉서블 배선판이 제공된다.
수분 흡수후 소정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의 소정 시간마다의 배선간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이온 이동에 의한 배선간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플렉서블 배선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배선판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전압 인가중의 절연 저항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절연 저항치 변화량의 최대값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 절연 필름 2 : 배선
2a : 본딩 패드 3 : 접착제층
도 1은 플렉서블 배선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배선판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절연막(1)상에 접착제층(3)이 형성된다. 접착제층(3) 내에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배선(2)이 마련된다. 접착제층(3)의 상부 표면은 전기적 절연막(4)으로 덮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필름(4) 및 접착제층(3)의 일부가 제거되어, 배선(2)의 단부에 형성된 본딩 패드(bonding pad : 2a)가 전기적 절연막(1)상에 노출된다.
전기적 절연막(1, 4)으로서, 폴리 이미드막, 폴리 파라바닉(polyparabanic)막, 폴리 에스테르(polyester)막,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막, 폴리에텔-술폰(polyether-sulfone)막,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막 등이 이용된다. 특히, 우수한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 이미드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2)으로서, 동박, 알루미늄박, 니크롬박 등의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금속박이 이용된다. 필요에 따라서 금속박에 주석, 땜납, 금, 니켈 등의 도금이 실시된다.
접착제층(3)으로서, 열경화성 접착제(예컨대, 에폭시(epoxy) 고무계 접착제, 또는 폴리 에스테르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경화제를 첨가한 폴리 에스테르계 접착제), 열가소성 접착제(예컨대, 합성 고무계 접착제, 또는 폴리 이미드계 접착제), 점착제(감압성 접착제, 예컨대 아크릴(acrylic)계 점착제) 등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각종 접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다음에,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수증기압 30mmHg에서 760mmHg, 바람직하게는 45mmHg에서 400mmHg의 분위기하에서 1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6 시간 이상 방치한다. 혹은,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기판을 온도 20℃에서 100℃, 바람직하게는 30℃에서 50℃의 순수한 물에 침적하여 흡수시켜도 된다. 그 후, 플렉서블 배선판의 2개의 본딩 패드(2a)에 직류 전원의 접촉 탐침을 연결하여 2개의 배선(2) 사이에 50V에서 1000V, 바람직하게는 300V에서 60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의 인가 시간은 1초간에서 20초간, 바람직하게는 5초간에서 15초간이다.
배선(2)간에 처음부터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서 큰 충전 전류가 흘러, 직류 전원의 보호 회로가 작동될 우려가 있는 경우, 배선(2)간의 인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부터 서서히 높은 전압으로 상승시키더라도 무방하다.
전압 인가중에 배선(2)간의 절연 저항치 R을 소정 시간마다 측정한다. 그리고, 임의 시간마다의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를 구한다. 여기서, △log (R)=log(R2)-log(R1)이다. 또, R1, R2는 임의 시간 간격의 두 시점에 있어서의 배선(2)간의 절연 저항치이다. 또한, 임의 시간 간격으로서는, 0.025초에서 0.5초, 바람직하게는 0.05초에서 0.3초이다.
그런후, 절연 저항치 변화량 △log(R)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에 의해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기준값은, 동일 종류의 복수의 플렉서블 배선판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를 측정한 후, 각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별도의 시험 방법으로 판정함으로써 사전에 구할 수 있다. 별도의 시험 방법이란, 고온 및 고습하에서의 절연 불량 발생 시험, 현미경에 의한 배선간의 이물 관찰 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에 따르면, 수분을 흡수한후의 플렉서블 배선판에 대하여 전압 인가중의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 (R)에 근거하여 각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배선판의 판정을 전기적인 측정에 의해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플렉서블 배선판을 효율적이고 또한 균일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 검사 방법에서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배선간의 절연 저항치 R 자체가 아니라,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 (R)의 최대값이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플렉서블 배선판의 양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배선간 거리 및 배선간 인가 전압의 편차의 영향이 적어져, 정확한 판정 결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검사 방법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렉서블 배선판에 대하여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과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샘플수는 31개이다.
샘플로서 이용된 플렉서블 배선판의 전기적 절연막(1, 4)의 재질은 폴리 이미드이고, 배선(2)의 재질은 구리이다. 또한, 전기적 절연막(1)의 두께는 25㎛이고, 전기적 절연막(4)의 두께는 25㎛이다. 또한, 배선(2)의 두께는 35㎛이고, 이웃하는 배선(2)간의 피치는 0.2mm이고, 배선(2)의 폭은 0.1mm이며, 배선(2)의 길이는 45mm이다.
플렉서블 배선판 샘플을 온도 85℃ 및 습도 85%(수증기압 368.6mmHg)의 분위기하에서 6 시간 방치한 후, 상기한 방법으로 2개의 배선(2)간에 전압 500V를 인가하고, 전압 인가중의 배선(2)간의 절연 저항치 R를 0.2초마다 측정하였다. 전압의 인가 시간은 합계 10초간으로 하였다. 절연 저항치는 전류치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0.2초마다의 절연 저항치의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플롯(plot)하였다.
도 3에 전압 인가중의 절연 저항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배선간의 절연 저항치를 나타낸다.
도 3에는, 전체 샘플중 8개의 샘플 측정 결과만을 나타낸다. 파선(broken line)은, 후술하는 절연 불량 발생 시험에 의해 불량품으로 여겨지는 샘플이고, 다른 실선은 양품으로 여겨지는 샘플이다.
또한, 각 샘플의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의 최대값을 구하여, 절연 저항치 변화량의 최대값의 히스토그램을 작성하였다. 도 4는 절연 저항치 변화량의 최대값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횡축은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절대치의 최대값이고, 종축은 도수(frequency)이다. 도 4에서는,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절대값의 최대값을 max│△log(R)│으로 나타내고 있다.
모든 샘플에 대하여 고온 및 고습하에서의 절연 불량 시험 및 현미경에 의한 관찰을 하였다. 이 경우, 온도 85℃ 및 습도 85%의 분위기하에 100 시간 유지했을 때에 절연 저항치가 1×106Ω 이하가 된 샘플을 불량품으로 하였다.
상기한 방법에서 절연 저항치가 1×106Ω을 초과한 양품의 샘플은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 max│△log(R)│가 0.05 이하였다. 다른 한편, 상기한 방법에서 절연 저항치가 1×106Ω이하인 불량품의 샘플은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 max│△log(R)│가 0.05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이 0.05 이하의 샘플은 양품이고,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 △log(R)이 0.05보다 큰 샘플은 불량품으로 판정하였다.
또, 샘플을 온도 85℃ 및 습도 85%의 분위기하에 12 시간 및 24 시간 방치한 후,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 결과가 얻어졌다.
이들 결과, 상기 검사 방법에 의해 절연 저항치 변화량의 최대값이 0.05인지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1)

  1.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에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배선판의 배선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의 배선간의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배선간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배선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고온 및 고습 환경하에 소정 시간동안 놓아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3.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에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배선판의 배선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 소정 시간 간격마다 배선간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양품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은 2개의 시점에서의 절연 저항치의 상용대수의 차로 나타내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고온 및 고습 환경하에 소정 시간동안 놓아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검사 대상이 되는 플렉서블 배선판을 고온 및 고습 환경하에 소정 시간동안 놓아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전압은 50V 내지 1000V 범위내인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전압은 300V 내지 600V 범위내인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간격은 0.025초 내지 0.5초 범위내인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간격은 0.05초 내지 0.3초 범위내인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11.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상에 형성된 배선을 포함하고,
    수분 흡수후 소정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의 소정 시간마다의 상기 배선간 절연 저항치의 변화량의 최대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플렉서블 배선판.
KR1019990031966A 1998-08-05 1999-08-04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KR100562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21970 1998-08-05
JP22197098A JP3242883B2 (ja) 1998-08-05 1998-08-05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73A true KR20000017073A (ko) 2000-03-25
KR100562621B1 KR100562621B1 (ko) 2006-03-17

Family

ID=1677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966A KR100562621B1 (ko) 1998-08-05 1999-08-04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33633B1 (ko)
JP (1) JP3242883B2 (ko)
KR (1) KR100562621B1 (ko)
CN (1) CN11995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5125B2 (ja) * 2001-04-12 2007-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板付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
CN102401875A (zh) * 2010-09-07 2012-04-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软性电路板测试电路
US9086368B2 (en) 2011-02-24 2015-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in an electronic circuit board using comparison of capacitance measurements acquired from test coupons, and design structure/process therefor
CN109493799B (zh) 2018-11-29 2020-09-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一次性可编程otp调节的辅助方法及装置
KR102215844B1 (ko) * 2019-06-27 2021-02-16 김지언 적층기술을 이용한 금속 부품의 절연여부 및 센서 저항의 참값을 판단방법
US20210095788A1 (en) * 2019-09-26 2021-04-01 Eas Ip, Llc Spartan Marker Tape
CN113419190B (zh) * 2021-06-15 2023-03-17 广州安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后微短路的检测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773A (en) * 1976-08-25 1977-11-01 Sullivan Donald F Printed circuit board open circuit tester
US4183609A (en) * 1978-03-16 1980-01-15 Luna L Jack Insulator board for spring probe fixtures
EP0250620B1 (de) * 1986-06-25 1990-09-05 MANIA Elektronik Automatisation Entwicklung und Geräte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Prüfen von Leiterplatten
JP3008664B2 (ja) 1992-04-23 200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マイグレ−ション検出方法
JP3558434B2 (ja) * 1995-11-30 2004-08-25 富士通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電気的配線検査方法及び装置
JPH0964513A (ja) * 1995-08-23 1997-03-0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製法及びこの製法により形成され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42883B2 (ja) 2001-12-25
JP2000055969A (ja) 2000-02-25
US6333633B1 (en) 2001-12-25
KR100562621B1 (ko) 2006-03-17
CN1251016A (zh) 2000-04-19
CN1199529C (zh)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550B1 (ko) 피검사체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 방법 및 검사장치
KR20090027610A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JPH09152457A (ja) 電気的配線検査方法及び装置
KR100562621B1 (ko) 플렉서블 배선판의 검사 방법
US65350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circuit board assembly process
JPH0611530A (ja) 電子部品の絶縁信頼性寿命の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5097046B2 (ja) 半導体デバイスの信頼性評価方法、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の信頼性評価装置
JPH11101841A (ja) 導電性ペーストスルーホール型両面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電気特性試験装置
Ingman et al. Detection of Corrosion in Thick Film Resistors by X-Ray Imaging
JP2000232141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基板の導通検査方法
JPH03255966A (ja) 混成集積回路用回路基板の製品検査用耐電圧試験方法
JP2004361249A (ja) 基板検査装置
JP5024170B2 (ja) コネクタの評価方法
JPH09113567A (ja) プリント基板のパターンショート・オープン検査装置
CA1199969A (en) Electrical testing
CN116381342A (zh) 一种挠性线路板内层铜迁移的检测方法
JP2010091314A (ja) 基板検査治具及び検査用プローブ
JPH1123652A (ja) 半導体装置の試験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4369002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JP2002043721A (ja) プリント基板の検査方法と検査装置
Lauser et al. Implementation of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for assessment of humidity induced failure mechanisms on PCBAs
Mc Brien et al. Insulation resistance of dielectric materials under environmental testing
KR20230089427A (ko) 절연 검사 장치 및 절연 검사 방법
KR980012185A (ko) 웨이퍼의 전기적 테스트 장치
GB2215064A (en)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