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65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658A
KR20000011658A KR1019990028130A KR19990028130A KR20000011658A KR 20000011658 A KR20000011658 A KR 20000011658A KR 1019990028130 A KR1019990028130 A KR 1019990028130A KR 19990028130 A KR19990028130 A KR 19990028130A KR 20000011658 A KR20000011658 A KR 2000001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damper device
fan motor
temperature senso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061B1 (ko
Inventor
노리타케세이이치로
니시카와카즈노리
미야자와유키모리
나카지마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구치 유죠
Publication of KR2000001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내의 각 실을 댐퍼장치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또한 고속으로 냉각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냉장고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실과,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 안으로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65)와, 실로 유입하는 냉기량 중 최소한 하나의 실의 냉기량을 조정하는 댐퍼장치(50)와, 댐퍼장치(50)의 배플이 열리기 직전에 팬모터(65)를 반드시 구동시키는 제어수단(2)(93)을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폐(閉)단자(93b)측에서 개(開)단자(93a)로 움직이는 온도보다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가 한쪽 단자(2a)에서 다른쪽 단자(2b)측으로 움직이는 온도를 낮게하고, 배플이 폐에서 개로 되기 이전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가 다른쪽 단자(2b)측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기가 들어오는 것을 제어하는 댐퍼장치와, 냉기의 송풍을 행하는 팬모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냉장고에 모터식 댐퍼장치가 채용된다(일본국 특개평 6-109354호, 일본국 특개평 9-138052호 등). 일본국 특개평 6-109354호에 도시되는 모터식 댐퍼장치(50)는 도 5와 같이 냉동실(61)과, 냉장실(62)과, 야채실(63)로 구분된 냉장고(60)에 사용된다. 냉동실(61)의 저부에는 증발기(64)가 배치되고, 증발기(64)의 후부에는 팬모터(65)와, 팬모터(65)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66)가 배치된다. 또한 얻어진 냉기는 송풍기(66)에 의해 냉동실(61) 또는 냉장실(62)로 송풍된다. 증발기(64)는 콤프렛서(67)에 의해 압축된 냉각매체가 기화할 때 주위열을 흡수하고 냉기를 만드는 것이다.
증발기(64)와 냉장실(62) 사이에는 격벽이 되는 분리판(68a)이 배치되어 증발기(64)의 냉기가 직접 냉장실(62)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한편 이 분리판(68a)의 후부와 냉장고(60)의 후부내벽 사이에는 냉기유통로(69)가 형성되고, 이 냉기유통로(69)내에 댐퍼장치(50)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열렸을 때 냉기의 통기로인 냉기유통로(69)가 크랭크형상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댐퍼장치(50)는 냉기유통로(69)의 일부를 형성하는 격벽이 되는 분리벽(68b)에 고정되는 모양으로 설치된다. 또한 댐퍼모터(53)는 AC동기모터로 구성되어 배플(52)의 개폐동작을 실행한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38052호에서 도시되는 모터식 댐퍼장치(70)는 예를들어 도 6과 같은 형태로 냉장고(80)에 짜 넣여진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냉장고(80)에는 도 6과 같이 야채실(63)까지 냉기를 송풍하는 양단이 개방된 덕트(81)가 형성되고, 이 덕트(81)의 야채실(63)을 지나는 부분에 모터식 댐퍼장치(70)가 끼워지게 된다. 즉 이 댐퍼장치(70)의 틀체(71)가 덕트(8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끼워져서 댐퍼장치(70) 자체가 덕트(81)를 겸하게 된다. 또한 이 모터식 댐퍼장치(70)는 구동원이 스텝핑모터로서 배플(72)을 개폐하도록 되어있다.
이 모터식 댐퍼장치(50)(70)를 사용하는 냉장고(60)(80)는 냉장실(62)이나 야채실(63)내의 온도센서에 의해 이 댐퍼장치(50)(70)를 동작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과 같은 제어회로(91)에 의해 제어된다. 즉 증발기(64)를 동작시키는 콤프렛서(CP)(67)와 병렬로 팬모터(FM)(65)가 접속되고, 냉동실(61)용 써모스위치(92)에 의해 양 부재(65)(67)가 제어된다. 한편 냉장실(62)에는 그 댐퍼용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배치되고 모터식 댐퍼장치(50)가 접속된다. 또 댐퍼용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는 실내가 설정온도보다 따뜻해 지면 냉기를 넣도록 댐퍼장치(50)의 배플(52)을 열기위한 개(開)단자(93a)와, 실내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설정온도보다도 낮아졌을 때에 냉기를 차단하기 위해 배플(52)을 닫기 위한 폐(閉)단자(93b)를 갖고 있다.
모터식 댐퍼장치(50)는 AC동기모터 또는 스텝핑모터로 이루어지는 댐퍼모터(94)와,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폐단자(93b)측에 접촉했을 때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폐방향으로 동작하고, 완전히 닫힐 때 까지 댐퍼모터(94)에 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배플(52)이 닫혔을 때에 오프로 되어 전류공급을 끊는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와, 이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가 오픈됨과 동시에 연동하여 온, 즉 닫는 동작을 하는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를 갖고 있다.
또한 모터식 댐퍼장치(70)의 구성 및 동작도 모터식 댐퍼장치(5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 모터식 댐퍼장치를 갖는 냉장고(60)(80)는 냉장실(62)이나 야채실(63)내의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등에 의해 모터식 댐퍼장치(50)(70)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에 의해 모터식 댐퍼장치(50)(70)를 온오프시는 것 만으로는 냉동실(61)이나 야채실(63)의 냉각을 고속으로 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들어 증발기(64) 후부의 팬모터(65)가 동작하고 있을 때에 냉장실(62)용 모터식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열리게 되면 그 냉장실(62)은 급격히 온도저하가 일어나고, 소정의 온도로 재빨리 도달한다. 그렇지만 팬모터(65)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모터식 댐퍼장치(50)가 열렸다고 해도 냉장실(62)로 냉기는 좀처럼 들어오지 않는다. 따라서 이 때에는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데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냉장고내의 실을 댐퍼장치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또한 고속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실과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내로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와, 여러개의 실 중 최소한 하나의 실로 유입하는 냉기량을 조정하는 댐퍼장치와,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기 직전에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냉장고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벽과, 냉장고내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를 동작시키는 콤프렛서와,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 1실의 온도를 검지하여 콤프렛서를 온오프제어하는 제 1온도센서와, 제 1실 이외의 제 2실로 유입하는 냉기량을 조정하는 댐퍼장치와, 이 댐퍼장치의 배플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 2실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온도센서와,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내로 보내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를 갖추고,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기 직전 혹은 동시 또는 직후에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제 3온도 센서를 팬모터에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냉장고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실과, 냉장고 내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를 동작시키는 콤프렛서와,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 내로 보내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와, 실로 유입하는 냉기량 중 최소한 하나의 실의 냉기량을 조정하는 댐퍼장치와, 이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렸을 때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댐퍼장치에 의해 하나의 실의 냉기유입량이 조정될 뿐만 아니라 댐퍼장치의 배플이 폐에서 개로 되기 직전에 냉기를 냉장고내로 송풍하는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플이 열리고, 냉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때에는 냉기가 팬모터에 의해 도입되며, 댐퍼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실의 온도를 확실하고 재빠르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게 되는 타이밍에서 즉 직전 혹은 동시 또는 직후에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제 3온도센서에 의해 제 2실의 냉기유입량이 조정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배플이 열리면 반드시 팬모터가 구동되게 되며, 많은 냉기를 제 2실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릴 때 반드시 팬모터가 구동되도록 해 두면 아주 적절하게 차진 냉기가 댐퍼장치를 통과하고, 냉각대상의 실로 스피드하게 들어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냉장고 회로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냉장고 회로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냉장고 회로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냉장고 회로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회로도.
도 5는 종래 및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터식 댐퍼장치가 조립되는 냉장고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및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모터식 댐퍼장치가 조립되는 냉장고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냉장고에 있어 회로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실시예의 냉장고의 회로(제 1회로)
2: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제 3온도센서, 제어수단의 일부)
11: 제 2실시예의 냉장고의 회로(제 2회로)
12: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제 3온도센서, 제어수단의 일부)
21: 제 3실시예의 냉장고의 회로(제 3회로)
22: 모터식 댐퍼장치.
23: 변환스위치
31: 제 4실시예의 냉장고의 회로(제 4회로)
32: 모터식 댐퍼장치 50: 모터식 댐퍼장치.
64: 증발기 65: 팬모터
66: 송풍기 67: 콤프렛서
70: 모터식 댐퍼장치 92: 써모스위치(제 1온도센서)
93: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제 2온도센서, 제어수단의 일부)
94: 댐퍼모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에서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우선 제 1실시예를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냉장고는 도 5나 도 6에 도시하는 냉장고(60)(80)와 같은 구조를 갖는 냉장고이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실 예를들어 냉동실, 냉장실, 야채실을 갖고 있다. 또 댐퍼장치로서 모터식 댐퍼장치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와, 도 5 및 도 6의 냉장고(60)(80)는 회로구성만 다르고, 다른 구성은 같기 때문에 다음의 설명에서는 회로구성만을 설명함과 동시에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이용한다.
제 1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회로(제 1회로라고 함)(1)에서는 도 1과 같이 교류전원에 대해 직렬로 제 1온도센서가 되는 써모스위치(92)와, 증발기를 동작시키는 콤프렛서(CP)(67)가 접속된다. 또 이들 부재와 병렬로, 제 2온도센서가 되는 댐퍼장치용의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와, 모터식 댐퍼장치(50)가 직렬로 접속된다. 여기서 써모스위치(92)는 제 1실이 되는 냉동실(61)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실(61)내에 설치되고, 냉동실(61)의 온도가 소정이상이 되는 온상태가 되어 콤프렛서(67)를 구동하고 냉동실(61)을 냉각한다.
팬모터(65)는 제 3의 온도센서가 되는 팬모터용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와 직렬로 접속된다. 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의 전원측에 있어 2개의 단자 중 한쪽 단자(2a)는 써모스위치(92)와 콤프렛서(67) 사이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자(2b)는 전원에 직접 접속된다.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와 같이 제 2실이 되는 냉장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실(62)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고온측의 동작변환용의 설정온도가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보다 낮게 설정된다. 즉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폐단자(93b)측에서 개단자(93a)로 변환되는 온도보다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가 한쪽 단자(2a)에서 다른 쪽 단자(2b)측으로 변환되는 설정온도를 낮게 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실(62)내의 온도가 올라가고, 배플(52)이 폐에서 개로 구동되기 이전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가 다른쪽 단자(2b)측으로 변환하도록 되어있으며, 배플(52)이 폐에서 개로 구동되기 이전에 팬모터(65)가 우선 구동되게 된다.
한편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의 저온측의 동작설정온도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와 동일 또는 약간 높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개단자(93a)측에서 폐단자(93b)측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또는 그 직전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가 한쪽 단자(2a)측으로 확실하게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즉 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와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는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열리기 직전에 팬모터(65)를 반드시 구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은 이 제 1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냉동실(61)의 온도가 높아지면 써모스위치(92)는 온상태가 되고, 콤프렛서(67)가 동작을 개시한다. 써모스위치(92)가 온이 되는 온도를 예를들어
-10℃로 하면 -10℃보다 냉동실(61)이 높아지면 콤프렛서(67)가 동작하고, 냉동실(61)을 냉각하기 시작한다.
냉동실(61)과는 별도로 냉장실(62)은 실온이 상하이동한다. 그리고 그 냉장실(62)의 실온에 의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93)는 동작한다. 예를들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의 고온측의 온도설정을 5℃로 하고, 저온측을 1℃ 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의 고온측의 온도설정을 4℃로 하며, 저온측을 2℃로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현재 냉장실(62)의 온도가 2℃전후인 것으로 한다. 이 때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는 한쪽 단자(2a)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 써모스위치(92)가 온이 되면, 콤프렛서(67)와 동시에 팬모터(65)도 동작한다. 한편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는 냉장실(62)이 2℃ 전후일 때에는 배플(52)은 닫힌 상태가 되어 폐단자(93b)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 때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는 오프가 되고,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는 온상태로 된다.
냉장실(62)의 온도가 서서히 높아져 4℃를 넘으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의 고온측의 온도설정은 4℃로 설정되기 때문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는 다른쪽 단자(2b)측으로 접속되고, 써모스위치(92)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팬모터(65)를 구동한다. 그 후 다시 냉장실(62)의 온도가 높아지고 5℃를 넘으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의 고온측의 온도설정이 5℃로 설정되기 때문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의 접촉단자는 폐단자(93b)측에서 개단자(93a)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는 온상태로 되기 때문에 댐퍼모터(94)가 구동을 개시하고, 모터식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폐방향에서 개방향으로 동작하며, 냉기가 냉장실(62)내로 들어오게 된다. 배플(52)이 열리게 되면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가 오프가 되고, 동시에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가 온이 된다. 도 1은 이 때의 회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배플(52)이 열리기 시작하면 이미 팬모터(65)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냉기가 송풍기(66)에 의해 냉장실(62)로 급속히 들어온다. 이에 따라 냉장실(62)내의 온도가 급격히 내려간다. 냉장실(62)의 온도가 2℃이하로 내려가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의 저온측의 온도설정이 2℃로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2)의 접촉단자가 한쪽 단자(2a)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써모스위치(92)가 온으로 되면 팬모터(65)가 계속구동을 계속하지만 써모스위치(92)가 오프로 되면 팬모터(65)의 구동은 정지한다. 그러나 배플(52)은 열리기 때문에 증발기(64)에서 차진 냉기가 냉장실(62)안으로 계속 진입하게 된다.
냉장실(62)의 온도가 내려가 1℃이하가 되면,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의 저온측의 온도설정이 1℃가 되기 때문에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폐단자(93b)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댐퍼모터(94)가 동작을 개시하고, 배플(52)을 폐방향으로 구동한다. 배플(52)이 완전이 닫히게 되면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가 오프로 됨과 동시에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가 온이 된다. 또 배플(52)을 닫는 것으로 냉장실(62)의 온도는 이 이상은 내려가지 않고 시간과 함께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며 먼저 도시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제 1회로(1)에서는 배플(52)이 폐상태에서 개상태로 되기 직전 즉 냉장실(62)을 냉각하기 전의 상태인 냉장실(62)의 온도가 4℃가 되면 팬모터(65)가 구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배플(52)이 개동작으로 들어오면 바로 냉기가 들어오게 된다. 이로써 냉장실(62)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제 2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회로(이하 제 2회로라고 함)(11)를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제 2회로(11)는 먼저 도시한 제 1회로(1)와 대략 같은 구성이지만 제 1회로(1)와 다른 점은 제 3온도센서가 되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12)의 접속구성이다. 이 제 2회로(11)에서는 제 1회로(1)에 있어 다른 쪽 단자(2b)에 상당하는 다른쪽의 단자(12b)를 댐퍼용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의 개단자(93a)와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와의 중간부분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한쪽 단자(12a)는 제 1회로(1)에 있어 한쪽 단자(2a)와 같은 부분에 접속된다.
이 제 2회로(11)에 있어 각 온도센서(12)(92)(93)의 온도설정은 제 1회로(1)와 같다. 이 때문에 배플(52)이 폐에서 개로 되기 직전에 즉 냉장실(62)의 온도가 4℃를 넘는 단계에서 바이메탈 써모스위치(12)는 다른쪽 단자(12b)측으로 접속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제 2온도센서가 되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개단자(93a)측으로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바로 팬모터(65)가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냉장실(62)의 온도가 5℃가 되고, 제 2온도센서가 되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개단자(93a)측으로 접속되면 댐퍼모터(94) 구동의 개시와 함께 팬모터(65)가 구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댐퍼모터(94)가 구동을 개시하고, 모터식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폐방향에서 개방향으로 동작하여 배플(52)이 열림에 따라 냉기가 냉장실(62)내로 들어오게 되며, 배플(52)이 완전히 열리기 전부터 냉기를 냉장실(62)내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식 댐퍼장치(50)의 배플(52)이 폐에서 완전히 개상태로 될 때까지는 설정모드 등의 차이에 의해 다르지만 통상 수초에서 수 10초 걸리기 때문에 배플(52)이 완전이 열리고 나서 냉기를 흘려보내기 시작하는 것은 냉각속도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지만 상기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에 있어서는 배플(52)이 열림에 따라 냉기를 냉장실(62)내로 들어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플(5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팬모터(65)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에 비해 바로 냉기를 냉장실(62)내로 도입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회로(1)와 제 2회로(11)는 모두 종래의 모터식 댐퍼장치(50)의 구성을 그대로 살린 회로이기 때문에 모터식 댐퍼장치(50)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모터식 댐퍼장치(50)를 저가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구조가 복잡하기 않아 품질적으로 안정된 것이 된다.
다음은 제 3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회로(이하 제 3회로라고 함)(21)를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 3회로(21)는 먼저 도시한 제 1회로(1)와 제 2회로(11)에서의 모터식 댐퍼장치(50)의 내부회로구성과는 다르며, 댐퍼장치(22) 내부에 팬모터용 변환스위치를 조립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모터식 댐퍼장치(22)내에는 제 1회로(1)와 같은 댐퍼모터(94)와,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와,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가 배치되고, 덧붙여 팬모터용 변환스위치(23)가 설치된다.
이 변환스위치(23)는 배플(52)이 완전히 열리게 되고,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가 오프(=오픈)하는 타이밍에 대해 이 동작에 앞서 한쪽 단자(23a)에서 다른쪽 단자(23b)측으로 접속이 변환되도록 설정해 두고 배플(52)이 완전히 열리기 이전에 팬모터(65)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배플(52)의 개동작안에 냉기가 팬모터(65)에 의해 냉장실(62)내로 도입되기 시작하고, 냉장실(62)을 고속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 배플(52)이 완전히 열리는 상태에 대해 선행하는 변환스위치(23)의 동작은 모터식 댐퍼장치(22)내에 마련된다. 완전히 열리거나 또는 완전히 닫혔을 때 온오프상태가 변환되는 단자(95)(96)를 변환하는 캠에 약간의 변환위치를 선행하여 설치한 팬모터용 캠을 일체화시키고, 양 캠을 댐퍼모터(94)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배플(52)이 개방향으로 이동해 가는 도중에 변환스위치(23)를 다른쪽 단자(23b)측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반드시 배플(52)이 폐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에 변환스위치(23)를 한쪽 단자(23a)측으로 접속할 필요는 없고, 배플(52)이 완전히 닫힘과 동시에 즉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가 오프로 됨과 동시에 한쪽의 단자(23a)측으로 변환되도록 해도 좋다.
이 제 3회로(21)에서는 배플(52)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고 또한 배플(52)이 완전히 열리기 전에 팬모터(65)를 구동개시시키고 있기 때문에 냉각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팬모터(65)에 접속되는 변환스위치(23)는 모터식 댐퍼장치(22)의 회로 및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로 이루어지는 회로와 병렬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회로의 각종 정수를 그 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설계변경 부분은 적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제 4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회로(이하 제 4회로라고 함)(31)를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 4회로(31)는 제 3회로(21)와는 또 다른 모터식 댐퍼장치(32)를 갖고 있다. 이 모터식 댐퍼장치(32)내에는 제 3회로(21)와 같은 댐퍼모터(94)와,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가 배치된다. 한편 제 3회로(21)의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6)와는 다른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7)가 배치된다.
이 개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7)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가 개단자(93a)측으로 변환했을 때 댐퍼모터(94)의 단자(97a)와 접속한 상태로 되어있고, 댐퍼모터(9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배플(52)이 완전히 열렸을 때 팬모터(65)측의 단자(97b)로 변환한다. 이 변환과 동시에 폐방향 동작용 변환단자(95)는 제 3회로(21)와 마찬가지로 오프에서 온이 된다. 또한 단자(97b)는 팬모터(65)와 써모스위치(92) 사이에 접속된다.
이 제 4회로(31)에서는 배플(52)이 열리고 완전히 열린상태가 됨과 동시에 콤프렛서(67)와 팬모터(65)가 반드시 동작을 개시하기 때문에 콤프렛서(67)를 작용시켜 냉기를 얻음과 동시에 그 냉기를 송풍기(66)에 의해 냉장실(62)내로 내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냉장실(62)의 냉각을 확실하게 또한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 있어 여러가지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모터식 댐퍼장치를 대신하여 오일식이나 솔레노이드식 등 다른 형식의 댐퍼장치로 해도 좋다. 또 온도센서 및 스위치로서는 써모스위치(92)나 바이메탈 써모스위치(93)(2)(12) 외에 서미스터나 열전대(對) 등에 의해 온도를 측정하고 그 검지결과에 따라 트라이액 등의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 3의 회로(21)에 있어서 배플(32)이 완전히 열리기 전에 팬모터(65)를 구동개시시키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열림과 동시에 팬모터(65)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배플(52)의 개동작 중간에서의 팬모터(65)의 구동개시를 반드시 할 수는 없게 되지만 배플(52)이 완전히 열리면 반드시 팬모터(65)를 구동시킬 수 있어 종래기술과 같이 배플(52)이 완전히 열리게 된 상태와 관계없이 팬모터(65)를 구동시키는 것에 비교하여 냉각속도를 늘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댐퍼모터(94)를 교류전원으로 구동되는 AC동기모터로 했지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교환하는 것으로 스텝핑모터 등의 직류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댐퍼장치를 이용하는 실은 냉장실, 야채실, 그 외 필요한 실을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댐퍼장치는 하나가 아니라 냉장고 내의 여러개의 실내에 각각 하나 배치하거나, 여러개 배치하거나 또 실의 수보다 적은 개수로 해도 좋다. 또한 댐퍼장치 하나 안에 배플이 2개인 더블댐퍼장치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기 직전에 냉기송풍용 팬모터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댐퍼장치에 의해 제어하고 있는 실을 확실하고 고속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 1온도센서로 콤프렛서를 제어하고, 제 2온도센서로 댐퍼장치를 제어하며 또한 제 3의 온도센서로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기 직전 혹은 동시에 또는 직후에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가 배플의 움직임과 동기하게 되어 고속냉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는 댐퍼장치의 배플이 완전히 열렸을 때 팬모터가 또는 콤프렛서와 팬모터가 구동된다. 이 때문에 적절히 차진 냉기를 댐퍼장치가 제어하고 있는 실로 다량으로 내보낼 수 있어 고속냉각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실과,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내로 보내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와, 상기 여러개의 실 중 최소한 하나의 실로 유입하는 냉기를 조정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배플을 갖춘 댐퍼장치와, 이 댐퍼장치의 상기 배플이 열리기 직전에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배플이 열리기 직전에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배플이 열렸을 때 상기 송풍기에 의해 냉기가 상기 실로 유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장치의 배플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댐퍼장치에 의한 냉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상기 실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를 갖추고, 이 온도센서를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에 의해 구성하여 상기 댐퍼장치와 직렬로 접속하며, 상기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에 의해 상기 배플이 개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팬모터가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는 냉동실의 온도를 검지하여 콤프렛서를 온오프제어하는 제 1온도센서와, 상기 댐퍼장치에 의해 냉기의 유입이 제어되는 상기 실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온도센서와,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제 3의 온도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제 1온도센서는 상기 콤프렛서와 직렬로 접속된 써모스위치이며, 상기 제 2온도센서는 상기 댐퍼장치와 직렬로 접속된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이며, 상기 제 3온도센서는 그 한쪽 단자가 상기 콤프렛서와 접속되는 단자임과 동시에 다른쪽 단자가 전원에 직접 접속되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이며,
    상기 2개의 바이메탈 써모스위치 변환의 온도설정을 상기 배플이 개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팬모터가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벽과, 냉장고내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를 동작시키는 콤프렛서와,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 1실의 온도를 검지하여 상기 콤프렛서를 온오프제어하는 제 1온도센서와, 상기 제 1실과는 다른 제 2실로 유입하는 냉기량을 조정하는 댐퍼장치와, 이 댐퍼장치의 배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 2실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온도센서와,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내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를 갖추고,
    상기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게 되는 타이밍에 대응시켜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제 3온도센서를 상기 팬모터에 직렬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열리게 되는 상기 타이밍은 상기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기 직전 혹은 동시 또는 직후 중 어느 한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온도센서는 상기 콤프렛서와 직렬로 접속된 써모스위치이며, 상기 제 2온도센서는 상기 댐퍼장치와 직렬로 접속된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이며,
    상기 제 3온도센서는 그 한쪽 단자가 상기 콤프렛서와 접속되는 단자임과 동시에 다른쪽 단자가 전원에 직접 또는 상기 바이메탈 써모스위치를 통해 접속되는 바이메탈 써모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격벽에 의해 구획된 여러개의 실과, 냉장고내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를 동작시키는 콤프렛서와,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고내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와, 상기 여러개의 실로 유입하는 냉기량 중 최소한 하나의 실의 냉기량을 조정하는 댐퍼장치와, 이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게 되었을 때에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콤프렛서와 상기 팬모터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댐퍼장치내에 짜 넣여진 상기 배플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캠과, 팬모터용의 변환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캠을 갖고, 상기 2개의 캠은 상기 배플을 개폐시키기 위한 댐퍼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팬모터용 변환스위치가 상기 댐퍼장치의 배플이 열리게 되었을 때에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용 변환스위치는 상기 댐퍼장치의 배플이 개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완전히 열리게 될 때까지의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90028130A 1998-07-29 1999-07-13 냉장고 KR100356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28595 1998-07-29
JP10228595A JP2000046456A (ja) 1998-07-29 1998-07-29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658A true KR20000011658A (ko) 2000-02-25
KR100356061B1 KR100356061B1 (ko) 2002-10-19

Family

ID=1687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130A KR100356061B1 (ko) 1998-07-29 1999-07-13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01910B1 (ko)
JP (1) JP2000046456A (ko)
KR (1) KR100356061B1 (ko)
CN (1) CN132970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5475B1 (en) 1999-08-20 2003-01-14 Huds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improving efficiency in refrigeration systems
US6715299B2 (en) * 2001-10-19 2004-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or cosmetic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910340B2 (en) * 2002-04-16 2005-06-28 Illinois Tool Works Inc. Airflow control device
US8463441B2 (en) * 2002-12-09 2013-06-11 Huds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refrigeration systems
EA027469B1 (ru) 2002-12-09 2017-07-31 Хадсон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тимизации холодильных систем
US8021218B2 (en) * 2004-02-26 2011-09-20 Illinois Tool Works, Inc. Linear travel air damper
EP1650510A1 (en) * 2004-10-22 2006-04-2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DE102006001679B4 (de) * 2006-01-12 2008-01-31 Emz-Hanauer Gmbh & Co. Kgaa Luftklappenvorrichtung für ein Kühl- oder/und Gefriergerät der Küchenausstattung
US20080271475A1 (en) * 2007-01-29 2008-11-06 Wuesthoff Edward P Refrigerator having compartment capable of converting between refrigeration and freezing temperatures
TR200707494A2 (tr) * 2007-11-01 2009-06-22 Bsh Ev Aletleri̇ San.Ve Ti̇c. A.Ş. Buzdolabı
ITTO20080024A1 (it) * 2008-01-11 2009-07-12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US8512430B2 (en) * 2009-05-05 2013-08-2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xplosion-proof enclosures with active thermal management using sintered elements
US20100288467A1 (en) * 2009-05-14 2010-11-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xplosion-proof enclosures with active thermal management by heat exchange
DE102009029124B4 (de) * 2009-09-02 2019-11-28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Luftstromteiler
KR101809971B1 (ko) * 2011-08-16 2017-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847626B2 (ja) * 2012-03-26 2016-01-27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その運転方法
US10356956B1 (en) 2015-06-22 2019-07-16 Amazon Technologies, Inc. Datacenter cooling unit with subfloor components
US10010014B1 (en) * 2015-06-22 2018-06-26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ing cooling units
KR20180073301A (ko) * 2016-12-22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덕트 어셈블리 및 멀티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그리고 냉장고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1281A (en) * 1972-02-17 1974-02-12 Emerson Electric Co Exhaust fan assembly
CN1007656B (zh) * 1985-09-17 1990-04-18 三电有限公司 冷藏柜
CN1019688B (zh) * 1989-08-10 1992-12-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冰箱普通冷藏室和特定冷藏室用的温度调节装置
US5811568A (en) * 1992-10-08 1998-09-22 Shaman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ono- and bis(phosphocholine) derivatives which have antifungal activity
KR950006403A (ko) * 1993-08-06 1995-03-21 이헌조 냉장고의 냉장실온도 제어방법
KR0133019B1 (ko) * 1994-01-26 1998-04-21 김광호 냉기유도로를 구비한 냉장고
KR0140460B1 (ko) * 1994-04-04 1998-07-01 김광호 냉장고의 냉기공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69519847T2 (de) * 1994-09-07 2001-08-09 Gen Electric Mehrwegklappe für kühlanlage
KR0170695B1 (ko) * 1994-11-15 1999-03-20 윤종용 냉장고 및 유전자 알고리즘-퍼지 추론을 적용한 그 온도 제어장치와 방법
US5477699A (en) * 1994-11-21 1995-12-26 Whirlpool Corporation Evaporator fan control for a refrigerator
JP2918532B2 (ja) * 1997-07-23 1999-07-12 三星電子株式会社 蒸発器と外気との熱交換を防止し得る冷蔵庫
KR19990013073A (ko) * 1997-07-31 1999-02-25 윤종용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061B1 (ko) 2002-10-19
CN1329703C (zh) 2007-08-01
JP2000046456A (ja) 2000-02-18
CN1243238A (zh) 2000-02-02
US6301910B1 (en)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61B1 (ko) 냉장고
EP0541172B1 (en) No-frost plural-compartment refrigerator
JP2005172298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101220488B1 (ko) 온도 전환실의 에어 커튼을 갖는 냉장고
JPH11148761A (ja) 冷蔵庫
KR100261718B1 (ko) 냉장고
KR900004538Y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H04103984A (ja) 冷蔵庫
JP3598213B2 (ja) 冷蔵庫
KR0169616B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 방법 및 장치
JPH11230662A (ja) 冷蔵庫
JP2002206840A (ja) 冷蔵庫
JP2003287331A (ja) 冷蔵庫
JPH063026A (ja) 冷凍冷蔵庫
JPH1026457A (ja) 冷蔵庫
KR100507319B1 (ko) 댐퍼의 결빙방지를 위한 냉장고의 운전방법
JP2002013862A (ja) 冷蔵庫
JPH10332243A (ja) 冷蔵庫
JP2023077441A (ja) 冷蔵庫
KR100615785B1 (ko) 냉장고
KR100196938B1 (ko) 2개의 증발기 및 2개의 팬 시스템을 갖는 냉장고의 온도제어 방법
KR950011512B1 (ko) 오픈 쇼케이스의 자동 온도제어방법
JPH08100976A (ja) 冷蔵庫
KR200296385Y1 (ko) 냉장고
JPH094959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