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538Y1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538Y1
KR900004538Y1 KR2019860002960U KR860002960U KR900004538Y1 KR 900004538 Y1 KR900004538 Y1 KR 900004538Y1 KR 2019860002960 U KR2019860002960 U KR 2019860002960U KR 860002960 U KR860002960 U KR 860002960U KR 900004538 Y1 KR900004538 Y1 KR 900004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ir
air conditioner
rela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730U (ko
Inventor
신이찌 오오이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1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회로도.
제2도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문 2 : 모우터 작동기
3 : 송풍기 22 : 내기순환지시스위치
23,24,28 : 릴레이 25 : A/C 스위치
27 : 온도스위치
본 고안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空氣調和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제어(이하, 공조제어라 함)을 지시하였을 때에 외기도입량을 감소시킨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외기도입 상태에 있어서 공기제어를 지시한 경우에는 도입외기는 증발기에 의하여 냉각되고, 차실에의 불어내는 출구로부터 하얀 연기상태의 수증기를 불어내는 일이 있으며, 이것 때문에 차창이 흐려져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외기에 습도가 많은 경우에 특히 현저하였다. 종래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대응이 되어 있지 아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에 비추어 안출한 것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하얀 연기상태의 수증기를 불어내는 것을 억제하고, 차창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조 제어를 지시하는 스위치(이하, A/C 스위치라고 기술한다)에 의하여 공조제어지시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전환수단을 설치하고, 외기도입시 전환수단에 의하여 흡입문 개방도를 소정의 중간 개방도로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외기도입시 A/A 스위치를 조작하여 공조제어가 선택되었을 때, A/A 스위치의 조작과 동기하여 외기도입량의 감소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종래 발생한 하얀 연기상태의 수증기의 불어내기가 억제되는 것으로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회로도를, 제2도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표시하고 있다.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는 차실내기(車室內氣)도입위치와 외기도입 위치와에 모우터 작동기(2)에 의하여 전환되는 흡입문(1), 송풍기(3), 흡입문(1)을 통하여 송풍기(3)에 의하여 흡입한 공기를 냉가, 제습하는 증발기(4), 엔진(7)의 냉각수가 순환되어서 통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이터코어(5), 증발기(4)를 통과한 공기중 히이터코어(5)를 통과시키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혼합문(6)을 구비하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8),(9) 및(10)은 차실에의 공기를 불어내는 출구이다. 혼합문(6)은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 작동기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히이터 코어(5)를 통과하는 공기비율이 제어되고, 공기를 불어내는 출구(8),(9),(10)는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 작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방식전환문(11),(12)에 의하여 개폐되어서 선택된 방식으로 공기가 차실에 불어내어진다.
한편, (13)은 압축기, (14)는 응축기, (15)는 수액기, (16)은 팽창밸브로서, 증발기(4)와 같이 냉각기를 구성하고 있다.
압축기(13)는 전자기클러치(17)에 의하여 엔진(7)의 출력축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전달되어서 구동된다.
한편, 제1도에 있어서, (20)은 차에 적재한 축전기를 표시하고, 축전지(20)의 전압은 기동스위치(21), 차실의 내기순환을 지시하는 내기순환시스위치(22)를 거쳐서 릴레이(23)의 릴레이코일(23)의 릴레이코일(23A)에 인가된다. 또, 기동스위치(21)를 거친 축전기(20)의 전압은 A/C 릴레이(24)의 A/C 릴레이코일(24A)에 A/C 스위치(25) 및 송풍기스위치(26)를 거쳐서 인가되는 동시에 송풍기모우터(31)에 인가된다. 또, 송풍기스위치(26)는 가동접편(261)과 고정접편(262),(263),(264), (265)을 가진다. 가동접편(261)은 송풍기 모우터(31)에 적용되는 전압을 변환하기 위하여 고정접점(262),(263),(264),(265)과의 선택적인 접촉으로 움직인다. 또 기동스위치(21)를 거친 축전(20)의 전압은 A/C 릴레이(24)의 접점(241) 및 증발기(4)의 출구 공기온도를 검출한 온도조절기의 출력과 설정치와를 비교하여 온, 오프 출력을 발생하는 온도스위치(27)를 거쳐서 전자기클러치(17)의 여자코일(171)에 공급하고 있다. 또, 기동스위치(21)를 거친 축전기(20)의 전압은 릴레이(28)의 릴레이코일(28A)을 거쳐서 A/C 스위치(25)에 인가되어 있다.
릴레이(23)의 가동접편(23c)에는 기동스위치(21)를 거친 축전기(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릴레이(23)의 상시 폐쇄 접점(23b)은 릴레이(28)의 가동접편(28c)에 접속되어 있다.
모우터 작동기(2)는 예를 들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입문(1)에 링크등을 거쳐서 로우터가 접속된 모우터(21)와 모우터(21)의 위치제어를 하기 위한 도체군(導體群)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도체군은 중심을 동일하게 배설한 환상도체(22-25)와 모우터(21)의 로우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서 환상도체(22-25)의 표면을 슬립(slip)하는 접동자(26)로 되어 있다.
환상도체(22)는 제2도에 있어서 접선(A)으로 표시되는 흡입문(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단되어, 릴레이(23)의 상기 개방접점(23a)을 거쳐서 축전기(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환상도체(24)는 제2도에 있어서 실선(B)으로 표시된 흡입문(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단되어 있고, 릴레이(28)의 상시 폐쇄접점(28b)을 거쳐서 축전기(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환상도체(25)는 모우터(21)에 접속되어서, 모우터(21)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문(1)이 점선(A)의 위치에 외에 있어서, 도체(22)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도체(22), 접동자(26), 도체(25)의 경로로 모우터(21)에 구동전압이 인가되고, 흡입문(1)은 점선(A)의 위치에 까지 구동된다. 또, 동일하게 도체(23)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흡입문(1)은 1점쇄선(C)의 위치에 까지 구동되고, 도체(24)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실선(B)의 위치에 까지 구동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동스위치(21)가 온 상태로 되면, 축전기(20)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때, 내기순환스위치(22)를 온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릴레이코일(23A)에 힘의 가세되어서 가동접편(23c)과 상기 개방접점(23a)을 거쳐서 모우터 작동기(2)에 축전기(20)의 전압이 인가되고, 흡입문(1)의 제2도에 있어서 점선(A)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모우터 작동기(2)에 의하여 구동되어, 외기의 도입은 차단되어서 내기순환 상태로 된다. 또 내기 순환지시 스위치(22)를 오프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릴레이코일(23A)의 힘이 가세가 해제되어서 가동접편(23c)과 상시 폐쇄접점(23b)과는 접촉상태로 제어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A/C 스위치(25)가 오프 상태일 때는 릴레이 코일(28A)은 힘을 가세하지 않고, 가동접편(28c)과 상시 폐쇄접점(28b)은 접촉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폐쇄접점(28b)을 거쳐서 모우터 작동기(2)에 축전지(20)의 전압이 인가되어 흡입문(1)은 제2도에 있어서 실선(B)에 표시하는 위치에까지 모우터 작동기(2)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내기는 차단되어 외기가 100%도입되는 상태로 된다.
A/C 스위치(25)를 온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릴레이(24A)이 부세되고, 송풍기스위치(26)를 거쳐서 송풍기 모우터(31)에 전압이 인가되고, 송풍기 모우터(31)는 회전구동되는 동시에 릴레이 접점(241)은 온 상태로 제어되어서 전자기 클러치(17)의 여자코일(171)은 온도스위치(27)의 온,오프에 수반하여 힘의 가세 및 그 해제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되고, 압축기(13)는 온도스위치(27)의 온 시에 구동되고, 증발기(4)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 제습되는 것으로 된다. 또 A/C 스위치(25)를 온 상태로 한 것에 의하여 릴레이코일(28A)에 힘이 가세되고, 가동접편(28c)과 상시 개방접점(28a)과는 접속상태로 제어된다.
이때에 있어서, 내기순환지시스위치(22)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릴레이(23)의 가동접편(28c)과 상시 폐쇄접점(23b)과는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축전지(20)의전압은 릴레이(28)의 상시 개방접점(28a)을 거쳐서 모우터 작동기(2)에 인가되고, 흡입문(1)은 모우터 작동기(2)에 의하여 제2도에 있어서 1점쇄선(C)으로 표시하는 중간위치, 예를 들면, 외기 100% 도입에 대하여 1/3도입의 위치에 까지 구동된다. 따라서, 외기도입이 지시되어 있고, 또 A/C 스위치(25)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는 도입외기는 소정비율로 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된다.
또, 여기에서 송풍기 모우터(31)에 인가되는 전압은, 송풍기스위치(26)의 슬라이더(261)의 위치에 의하여 정해지고, 슬라이더(261)의 위치에 의하여 송풍량은 제어된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외기도입이 지시되어 있고, 또 A/C 스위치(25)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는 흡입문(1)은 소정의 중간위치를 취하고, 내의기의 비율이 소정비율에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기도입이 지시되어 있고, 또 A/C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 외기도입율은 저감되기 때문에 종래 발생한 연기상태의 수증기의 발생은 저감도여서 차실내에의 불어내야 할 것이 거의 없어지고, 차차에 흐르기가 없어진다. 또, 외기도입량이 적기 때문에 냉방성이 향상한다.

Claims (3)

  1. 차실내의 공기를 불어내는 출구(8),(9),(10)와 히이터코어(5)를 통과시키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혼합물(6) 및 흡입문(1)을 구비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조제어를 지시하는 스위치(25)에 의한 공조제어지시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전환수단과, 외기도입이 지시되었을 때 상기 전환수단에 의하여 흡입문(1) 개방도를 내기도입 개방도와 외기도입 개방도 사이의 소정 중간개방도에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환수단은 릴레이(23),(24) 및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중간개방도에 설정하는 수단은 모우터 작동기(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KR2019860002960U 1985-03-15 1986-03-13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90000453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36201U JPH0113614Y2 (ko) 1985-03-15 1985-03-15
JP85-36201 1985-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730U KR860011730U (ko) 1986-10-06
KR900004538Y1 true KR900004538Y1 (ko) 1990-05-25

Family

ID=1246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960U KR900004538Y1 (ko) 1985-03-15 1986-03-13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71073A (ko)
JP (1) JPH0113614Y2 (ko)
KR (1) KR900004538Y1 (ko)
AU (1) AU56700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07Y2 (ko) * 1987-07-18 1993-02-03
AU589325B2 (en) * 1987-10-30 1989-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obile air conditioner
JPH1016530A (ja) * 1996-07-03 1998-01-20 Sanden Corp 空調装置
USRE43429E1 (en) 1998-11-25 2012-05-29 Thermo King Corporation Automatic ambient 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ed container
AU1920500A (en) 1998-11-25 2000-06-13 Thermo King Corporation Automatic ambient 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ed container
US7171821B2 (en) * 2004-04-30 2007-02-06 Thermo King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having a vent arrangement
US20100216387A1 (en) * 2009-02-20 2010-08-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ct architecture for regulating climate zone in a vehicle
CZ2021136A3 (cs) * 2021-03-18 2022-10-19 Ĺ KODA AUTO a.s. Automobil, doplňková jednotka pro automobil a způsob přepínání ovládání větráku automobilu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8921A (en) * 1973-03-26 1974-03-26 Gen Motors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freeze throttling valve
US4427056A (en) * 1980-11-20 1984-01-24 Kysor Industrial Corporation Air actuated vehicle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S57138411A (en) * 1981-02-16 1982-08-26 Nippon Denso Co Ltd Air intake controller for car air conditioner
AU3987885A (en) * 1984-03-19 1985-09-26 Thanh Son, H. Air conditioner and window defog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67003B2 (en) 1987-11-05
JPH0113614Y2 (ko) 1989-04-21
US4671073A (en) 1987-06-09
JPS61152512U (ko) 1986-09-20
AU5446886A (en) 1986-09-18
KR860011730U (ko) 198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538Y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00011658A (ko) 냉장고
GB1433892A (en) Automotive vehicle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S587488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内外気制御装置
US4566373A (en)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or the like
JPS6120693B2 (ko)
JP200014207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512442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50288Y1 (ko) 댐퍼가 없는 전자렌지
JPS5823244B2 (ja) 車両用自動空気調和装置
JPS5918672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17148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ダンパ駆動機構
JPS602005Y2 (ja) 車輛用空気調和装置
JPH0346963Y2 (ko)
KR200150157Y1 (ko) 절첩식리모콘
JPS5873417A (ja) 車両用冷房装置
JPS60131310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送風制御装置
JPS5835532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S638013A (ja) 自動車用空気調和機の内外気切換装置
JPS611611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内外気制御装置
JPS6221011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換装置
JPS61275015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H03281422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S60101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0120123A (ja) 空気調和機の除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