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71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718B1
KR100261718B1 KR1019970081861A KR19970081861A KR100261718B1 KR 100261718 B1 KR100261718 B1 KR 100261718B1 KR 1019970081861 A KR1019970081861 A KR 1019970081861A KR 19970081861 A KR19970081861 A KR 19970081861A KR 100261718 B1 KR100261718 B1 KR 10026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mber
state switching
state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840A (ko
Inventor
스스무 사루타
다케시 에사키
마사히코 마에다
야스유키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6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과, 저장온도를 냉동온도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온도대로 설정 가능한 상태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때, 상기 상태전환실과 냉동실을 함께 양호하게 온도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해, 냉동실(5)용의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4)용의 온도센서 중, 어느쪽이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하고, 그 양쪽 온도센서가 함께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동실과, 저장온도를 냉동온도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온도대로 설정 가능한 상태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장온도를 냉동온도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온도대로 설정 가능한 상태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가 고려되고 있다. 이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의 운전은 냉동실용 온도센서가 온(ON)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개시되고, 오프(OFF)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태전환실을 설정된 상태의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장치는 상태전환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댐퍼장치를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따라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 온도제어 구성에서는 압축기의 운전은 냉동실의 온도에만 의존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동절기 등의 저기온 시에는 압축기가 운전되면, 단시간에 냉동실이 오프 설정온도까지 저하하게 되어 압축기의 운전시간이 짧아진다. 그러면, 상태전환실이 특히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냉동온도로 냉각되기 전에 압축기가 정지해버리는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또, 냉동실용 또는 상태전환실용의 온도센서가 고장난 경우, 압축기가 운전되지 않아 식품 보존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동실 및 상태전환실 온도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 냉동실용 온도센서,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이상을 일으켜도 식품 보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극히 작게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3은 상태전환실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4는 전기회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양쪽 온도센서의 검출온도 변화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상태전환실, 5: 냉동실
14: 냉각실, 18: 댐퍼장치
20: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25: 냉동실용 온도센서
22: 마이크로 컴퓨터 23: 압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냉동실과, 저장온도를 냉동온도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온도대로 설정 가능한 상태전환실과, 상기 냉동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기 상태전환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와, 냉각기에서 상기 상태전환실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댐퍼장치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 및 상기 댐퍼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중의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시하고, 그 양쪽 온도센서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에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개시하고, 오프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종료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함께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시하고, 그 양쪽 온도센서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에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개시하고 오프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종료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인 때, 압축기의 운전은 냉동실용 온도센서만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것 만으로는 정지되지 않고,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양쪽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하면 처음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상태전환실의 냉각 부족의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은 냉동실용 온도센서, 상태전환용 온도센서의 이상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 및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이상이 있을 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운전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운전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폐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냉동실용 온도센서,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에 이상이 생긴 경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인 때, 압축기가 운전되고 댐퍼장치가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냉동실 및 상태전환실 내의 냉동식품이 해동되는 일이 없다. 또,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인 때, 압축기가 운전되고, 댐퍼장치가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냉동실내의 냉동식품이 해동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상태전환실내의 식품이 동결될 우려도 없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냉장고 전체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에는 저장실로서 상단으로부터 차례로 냉장실(2), 좌우에 늘어선 제빙실(3) 및 상태전환실(4), 냉동실(5), 야채실(6)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각실(2∼6)은 문(7∼11)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실(2∼6) 중, 제빙실(3)과 냉동실(5)은 동일한 온도대이기 때문에 양실(3, 5)은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각실(2∼6)의 냉각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서로 연통하는 제빙실(3) 및 냉동실(5)의 후부에는 커버(12)에 의해 냉동실(5)안과 격리된 냉각기실(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기실(13) 내의 냉각기(14)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팬장치(15)에 의해 우선, 커버(12)의 내부에 형성된 송풍로(16)로 보내진다. 그리고, 송풍로(16)내로 송풍된 냉기의 일부는 커버(12)의 전면부에 형성된 분출로(17a, 17b)로부터 제빙실(3) 및 냉동실(5)에 공급되고 남은 냉기는 송풍로(16)에서 상태전환실(4)의 뒷부분에 설치된 도 3에 나타난 댐퍼장치(18)를 통해서 냉장실(2) 및 상태전환실(4)로 공급되고 냉장실(3)에 공급된 냉기가 그 후 야채실(6)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빙실(3), 냉동실(5) 및 상태전환실(4)에 공급된 냉기, 냉장실(2)에서 야채실(6)에 공급된 냉기는 그 후, 냉각기실(12)내로 되돌아가고 여기에서 다시 냉각기(14)에 의해 냉각되는 것과 같이 냉장고 내를 순환한다. 또, 댐퍼장치(18)내에는 냉장실(2)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배플(baffle)(도시하지 않음)과, 상태전환실(4)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배플(18a)이 설치되고, 그것들은 모터(18b)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상기 저장실 중, 상태전환실(4)은 저장온도(냉각온도)가 광범위하게 변경 가능한 냉각실을 구성하는 것이고, 이 저장온도는 냉동실, 부분냉동실, 칠드실, 냉장실 및 야채실의 각 상태의 온도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전환실(4)을 원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냉장실(2) 내에 설치된 조작 패널(19)에 상태전환실(4)의 온도(상태)설정을 위한 전환수단으로서의 가변저항기(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저항기(20)의 저항(20a)은 별도의 저항(21)과 직렬로 접속되고 플러스전원(+Vcc)과 그라운드라인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가변저항기(20)의 섭동자(20b)의 위치에 따른 전압이 제어수단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가변저항기(20)로부터의 입력전압에 의해 상태전환실(4)에 설정된 상태를 검지한다. 또한, 각 상태의 저장온도대를 예시하면, 냉동실상태에서 「-23℃∼-12℃」, 부분냉동실 상태에서「-4.5℃∼-1℃」, 칠드실 상태에서 「-1℃초과∼+3℃미만」, 냉장실 상태 및 야채실 상태에서 「+3℃∼5℃」이다.
여기에서 각실(2∼6)의 온도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냉동실(5)은 냉동 사이클인 압축기(23)의 운전제어에 의해 온도제어되고 또, 냉장실(2) 및 상태전환실(4)의 온도는 댐퍼장치(18)의 배플을 각각 개폐제어함으로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직접 관계하는 상태전환실(4)과 냉동실(5)의 온도 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즉, 냉장고 본체(1)에는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 및 냉동실용 온도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온도센서(24, 25)는 예를 들면, 음특성 서미스터(thermistor)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스전원(+Vcc)과 그라운드라인과의 사이에 저항(26, 27)과 직렬로 접속되고 그 분압전압이 검출온도치로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압축기(23)의 모터(23a) 및 댐퍼장치(18)의 상태전환실(4)측의 배플(18a)을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모터(18b)는 교류전원(28)에 구동수단으로서의 릴레이스위치(29, 30)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상기 온도센서(24, 25)의 검출온도 및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그 릴레이스위치(29, 30)의 릴레이코일(29a, 30a)을 통단전 제어한다. 또한, 팬장치(15)는 도 4에서 도시를 생략했지만,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23)의 운전, 정지에 동기하여 운전,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릴레이코일(29a)이 통전되면, 그 릴레이스위치(29)가 온 동작하여 압축기(23)의 운전이 실시된다. 또, 릴레이코일(30a)이 통전하면, 그 릴레이스위치(30)가 온 동작하고 이에 의해 댐퍼장치(18)의 모터(18b)가 통전되어 상태전환실(4)의 배플(18a)을 개폐동작시킨다.
이 경우,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은 모터(18b)에 의해 회전되는 도시하지 않은 캠에 의해 개폐동작되도록 되어 있고, 그 개폐상태는 검출 스위치(31)에 의해 검출된다. 이 검출스위치(31)는 배플(18a)이 완전히 열리면 오프에서 온으로 동작하고, 완전히 닫히는 위치에 이르면 온에서 오프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검출 스위치(31)의 온 오프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의 검출온도와 상기 상태설정용 가변저항기(20)에 의해 설정된 냉각온도를 비교하여 상태전환실(4)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개폐제어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온도센서(24, 25)의 이상 검출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온도센서(24, 25)의 이상은 주로 온도센서(24, 25)와 저항(26, 27)으로 구성되는 분압회로가 어딘가에서 단선되거나 또는 플러스전원(+Vcc)과 그라운드라인에 단락된 상태가 되거나 함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한 이상이 생긴 때, 분압회로는 하이 임피던스상태가 되거나, 플러스전원(+Vcc)의 전위 또는 그라운드라인의 전위를 출력하거나 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온도센서(24, 25)와 저항(26, 27)의 분압회로에서의 입력에 의해 단선과 단락에 의해 생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를 검출한 때, 센서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센서이상판단수단).
그리고, 이 센서이상은 예를 들면, 냉장고(2)의 문(7) 전면에 설치된 이상알림수단으로서의 발광다이오드(32)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 발광다이오드(32)는 플러스전원(+Vcc)과 그라운드라인과의 사이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센서이상을 검출한 때 트랜지스터를 온하여 발광다이오드(32)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냉장실(2)에도 그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그 냉장실용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따라서 댐퍼장치(18)가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냉장실용의 배플을 개폐제어하여, 냉장실(2)을 냉장온도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의 온도제어를 위해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일정 주기로 센서이상의 유무를 검출하고, 양쪽 온도센서(24, 25)가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 제어를 실시하고, 센서이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상시의 긴급 제어를 실시한다. 이하, 경우에 따라 나누어 설명한다.
(1)통상제어
a)상태전환실(4)이 냉동상태인 때
이 때,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 및 냉동실용 온도센서(25)의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시키고, 양쪽 온도센서(24, 25)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압축기(23)를 정지시킨다. 또한, 양쪽 온도센서(24, 25)의 온 설정온도와 오프 설정온도는 각각 다르고 예를 들면,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의 온 설정온도는 -19℃, 오프 설정온도는 -21℃로 설정되고 냉동실용 온도센서(25)의 온 설정온도는 -20℃, 오프 설정온도는 -24.5℃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 중의 어딘가에 예를 들면, 냉동실(5)내의 온도가 온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이것을 냉동실용 온도센서(25)가 검출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는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냉각기(14)에서 냉각된 공기가 팬장치(15)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빙실(3) 및 냉동실(5)에 공급되어 양실(3, 5)이 냉각된다. 이 압축기(23)의 운전중에 상태전환실(4)내의 온도가 온 설정온도 이상이 되어 이것을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가 검출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개방동작시킨다. 그러면, 팬장치(15)에 의해 송풍로(16)내에 공급된 냉기가 댐퍼장치(18)를 통해서 상태전환실(4)내로 공급되어 그 실(4)을 냉각한다.
또,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 중, 상태전환실(4) 쪽이 먼저 온 설정온도 이상에 까지 온도상승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의 검출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개방 동작시킨다. 그러면, 냉각기(14)에서 냉각된 공기가 팬장치(15)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빙실(3) 및 냉동실(5)에 공급됨과 동시에 상태전환실(4)에도 댐퍼장치(18)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이 경우 냉동실(5)에 대해서는 온 설정온도 이하에 있는 상황하에서 냉기가 공급되게 되지만, 냉동 보존되어 있는 식품을 더욱 냉각할 뿐으로 그 냉동식품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는 없다.
이상과 같은 냉기 공급에 의해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 양쪽이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 운전정지에 의해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의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다시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개시하고, 상태전환실(4) 및 냉동실(5) 양쪽이 함께 오프 설정온도 이하가 된 때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 때, 상태전환실(4)이 냉동실(5)보다도 빠른 시점에서 오프 설정온도 이하까지 냉각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폐쇄동작시켜, 상태전환실(4)로의 냉기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 및 냉동실용 온도센서(25)의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태전환실(4)내의 온도, 냉동실(5)내의 온도 모두를 온 설정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온도센서(24, 25)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압축기(23)를 정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상태전환실(4)이 필요한 냉동온도까지 냉각되어 있지 않는 데도 불구하고 압축기(23)가 정지되어 버리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b)상태전환실(4)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인 때
이 때에는 압축기(23)의 운전은 냉동실용 온도센서(25)의 검출온도에 따라서 제어된다. 또,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의 온 설정온도 및 오프 설정온도는 가변저항기(20)에 의해 설정된 상태에 따른 온도로 설정되고 댐퍼장치(18)의 배플(18a) 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의 온 설정온도 및 오프 설정온도에 따라서 개폐제어된다.
즉, 냉동실(5)내의 온도가 온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이것을 냉동실용 온도센서(25)가 검출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냉기가 제빙실(3) 및 냉동실(5)로 공급된다. 이 때,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댐퍼장치(18)를 개방동작시키고, 냉기를 댐퍼장치(18)를 통해서 상태전환실(4)내로 공급시킨다.
이 냉기공급에 의해 상태전환실(4)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냉각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폐쇄동작시켜, 상태전환실(4)로의 냉기공급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냉동실(5)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냉각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압축기(23) 및 팬장치(15)의 운전 및 정지에 의해 제빙실(3) 및 냉동실(5)의 온도가 냉동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됨과 동시에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의 개폐에 의해 상태전환실(4)이 설정된 상태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2)센서 이상인 때의 긴급제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센서 이상으로 판단하면, 발광다이오드(32)를 점등시키고,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 및 냉동실용 온도센서(25)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이상이 생겨, 통상 제어를 실시할 수 없게 된 것을 사용자에세 알린다. 사용자는 발광 다이오드(32)의 점등에 의해 이상을 알고, 판매점 등에 수리를 의뢰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상기 이상알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이상시의 긴급제어를 실시한다.
즉, 센서이상으로 판단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상태전환실(4)이 냉동실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냉동실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도센서(24, 25)의 검출온도와는 관계없이 압축기(22) 및 팬장치(15)를 운전함과 동시에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개방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냉기가 제빙실(3), 상태전환실(4), 냉동실(5)로 공급되어 그 실(3∼5)이 냉동온도로 유지된다.
한편, 상태전환실(4)이 냉동실 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온도센서(24, 25)의 검출온도와는 관계없이 마이크로 컴퓨터(23) 및 팬장치(15)의 운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댐퍼장치(18)의 배플(18a)을 닫힌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제빙실(3), 냉동실(5)이 냉동온도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태전환실(4)이 냉동온도가 되어 식품 동결이라는 문제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 긴급 운전은 서비스맨이 온도센서의 교환 등의 수리를 끝낼 때까지의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서의 운전이고, 이 운전에 의해 냉동식품이 해동되는 중대한 문제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태전환실(4)이 냉동상태 이외인 때에는 서비스맨에 의한 수리 종료까지의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상온까지 상승하여 식품이 상하게 되는 사태는 거의 없으며 그 보다도 상태전환실(4)내에 냉기 공급을 실시하여 식품을 동결시키는 문제를 방지하는 쪽이 사용자에게는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태전환실(4)이 냉동실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양쪽 온도센서(24, 25) 중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것이 예측된다.
우선, 상태전환실(4)과 냉동실(5)과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즉, 냉동실(5)의 뒷부분에는 냉각기실(13)이 형성되어 있어 냉각기(14)의 냉각작용은 받기 쉬움과 동시에 냉각기(14)에서 냉각된 직후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냉각되기 쉽다. 반면, 냉동실(5)은 내용적이 크고, 외부 공기에 접하는 좌우 양측벽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열누설이 많고, 온도가 상승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상태전환실(4)은 냉각기실(13)내의 냉기를 커버(12)내에 형성된 송풍로(16)와 댐퍼장치(18)를 통해서 받기 때문에, 그 사이의 통로저항으로 큰 풍량을 얻기 어렵고 또, 냉기가 분출하여 온도도 냉동실(5)에 비하여 높다. 따라서, 상태전환실(4)은 냉각되기 어렵다. 반면, 상태전환실(4)은 상하 양측 및 좌측에서 냉장실(2) 및 냉동실(5) 및 제빙실(3)과 접하고 있어 외기에 접하는 벽은 우측벽뿐이기 때문에 내용적에 대하여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벽면적이 작고 이 결과, 열누설이 비교적 적고, 온도가 상승하기 어렵다.
상태전환실(4)과 냉동실(5)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성질은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상태전환실(4)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양쪽 온도센서(24, 25)의 어느 쪽이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면, 상태전환실(4)과 냉동실(5)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는 열누설량이 많은 냉동실(5) 쪽이 먼저 온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압축기(23)는 보통은 냉동실(5)내의 온도에 기초하여 운전되게 되고 이에 더하여 압축기(23)의 정지에 의해 냉동실(5)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의 상태에서 온도 상승해 가는 과정에서 상태전환실(4)이 온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상승함으로서 압축기(23)가 운전되는 것과 같은 압축기(23)의 운전이 빈번하게 실시되는 사태의 발생이 예측된다.
이러한 사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지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 및 냉동실용 온도센서(25)가 양쪽 모두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압축기(23)의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누설량이 많은 냉동실(5)이 초기에 온 설정온도(-20℃) 이상으로 온도상승하여도 (도 5의 t1시점), 아직 상태전환실(4)이 온 설정온도(-19℃) 이상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압축기(23)는 운전되지 않는다. 이 후, 상태전환실(4)이 온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도 5의 t2시점), 거기에서 처음으로 압축기(23)의 운전이 실시된다. 이 때, 냉동실(5)내의 온도는 온 설정온도 이상이 되어 있지만, 냉동에 최저한 필요한 온도 이하로는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냉동실(5)내의 식품이 해동되거나 하는 문제를 야기시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24) 및 냉동실용 온도센서(25)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되면(도 5의 t3시점), 압축기(23)가 정지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기(23)의 운전을 양쪽 온도센서(24, 25)가 함께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에 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압축기(23)의 운전이 과도하게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온도센서(24, 25)가 모두 온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압축기(23)를 정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상태전환실(4) 또는 냉동실(5)이 오프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되는 일 없이 압축기(23)의 운전이 정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으로는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압축기의 운전을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시하고, 그 양쪽 온도센서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에 종료하기 때문에 냉동실과 상태전환실을 온 설정온도 이상이 되지 않게 그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으로는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압축기의 운전을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모두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압축기의 운전률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으로는 온도센서의 이상시에 냉동식품이 해동하거나 냉동해서는 안될 식품이 동결해버리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냉동실과, 저장온도를 냉동온도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온도대로 설정 가능한 상태전환실과, 상기 냉동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기 상태전환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와, 냉각기에서 상기 상태전환실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댐퍼장치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 및 상기 댐퍼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중의 어느 하나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시하고, 그 양쪽 온도센서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에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개시하고, 오프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종료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냉동실과, 저장온도를 냉동온도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온도대로 설정 가능한 상태전환실과, 상기 냉동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기 상태전환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와, 냉각기에서 상기 상태전환실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댐퍼장치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 및 상기 댐퍼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와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모두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시하고, 그 양쪽 온도센서가 모두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에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개시하고, 오프 설정온도를 검출한 때 종료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상기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가 온 설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 개방하고, 오프 설정온도 이하를 검출한 때 폐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용 온도센서 및 상태전환실용 온도센서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이상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운전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태전환실이 냉동상태 이외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운전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장치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70081861A 1996-12-27 1997-12-27 냉장고 KR10026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50366 1996-12-27
JP8350366A JPH10197129A (ja) 1996-12-27 1996-12-27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840A KR19980064840A (ko) 1998-10-07
KR100261718B1 true KR100261718B1 (ko) 2000-07-15

Family

ID=1841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861A KR100261718B1 (ko) 1996-12-27 1997-12-2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197129A (ko)
KR (1) KR100261718B1 (ko)
CN (1) CN1126927C (ko)
TW (1) TW3565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429B1 (ko) * 1999-08-05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89807B1 (ko) * 2001-09-28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0206B2 (ja) * 1999-08-06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冷蔵庫の冷気循環方法
TWI295724B (en) * 2004-06-25 2008-04-11 Toshiba Kk Refrigerator
JP4781395B2 (ja) * 2008-05-28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06016964B (zh) * 2016-07-15 2019-02-15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多风门风冷冰箱的控制系统、控制方法及冰箱
CN107067070A (zh) * 2017-04-28 2017-08-18 南京搜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安防传感器及检测方法
CN110296560B (zh) * 2019-06-12 2021-09-0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压缩机开停机温度点控制方法、装置及冰箱
CN111765715A (zh) * 2020-07-06 2020-10-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间室温度控制方法、电路及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429B1 (ko) * 1999-08-05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89807B1 (ko) * 2001-09-28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6214A (zh) 1998-07-01
KR19980064840A (ko) 1998-10-07
JPH10197129A (ja) 1998-07-31
CN1126927C (zh) 2003-11-05
TW356511B (en) 199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33B1 (ko) 냉장고
KR100377495B1 (ko) 냉장고
KR100261718B1 (ko) 냉장고
JP2005172298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100323340B1 (ko) 냉장고
KR100213149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960018467A (ko) 고효율 독립냉각 싸이클을 가지는 냉장고
JPH11211311A (ja) 冷蔵庫
KR19990021449A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20000038948A (ko) 인버터 냉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KR19990084755A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930006414B1 (ko) 냉장고
KR100817941B1 (ko)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KR920007359Y1 (ko) 냉장고
KR960015829B1 (ko) 냉장고의 쾌속 냉장제어방법
KR100190124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및 냉장고
KR100219429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900008681Y1 (ko)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실 냉장 절환 장치
KR100208084B1 (ko) 냉장고의 운전방법
KR100291300B1 (ko) 3면입체냉장고에서의센서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29640B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방법
KR100235442B1 (ko)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100229641B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방법
KR200154124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장치
KR200303752Y1 (ko) 냉장실의 온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