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112A -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112A
KR20000009112A KR1019980029306A KR19980029306A KR20000009112A KR 20000009112 A KR20000009112 A KR 20000009112A KR 1019980029306 A KR1019980029306 A KR 1019980029306A KR 19980029306 A KR19980029306 A KR 19980029306A KR 20000009112 A KR20000009112 A KR 2000000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cell plate
vcp
vblp
line pre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593B1 (ko
Inventor
이재진
윤석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5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Vblp Generator) 및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Vcp Gener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는 크게 만들고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는 작게 만든 후, 이들의 출력단을 파워-업(Power_up) 동작시 일정 시간동안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파워-업 동작시에는 두 단자가 모두 빠르게 정상 전위가 되도록 하고, 정상 동작시에는 이들을 분리하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는 큰 구동 능력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는 작은 구동 능력이지만 노이즈가 적은 전위를 유지하도록,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와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 사이에 초기 파워-업 동작시 일정 시간 동안 턴-온 되는 스위치 소자를 첨가하므로서, 차지 펌프 동작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여서 전류의 소모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Vblp Generator) 및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Vcp Gener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들의 출력단을 파워-업(Power_up) 동작시 일정 시간동안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차지 펌프 동작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여서 전류의 소모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 장치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발생 장치를 도시한 예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디램 소자의 셀 플레이트(Cell Plate)와 연결되고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1)와 ; 디램의 대기 동작시 비트라인(Bit Line)과 연결되어 비트라인의 초기 전위를 공급하며, 외부에서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2) ; 및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실하게 감지하고 증폭하여 그 값을 외부에 연결시켜 주는 센스 증폭기(3)로 구성된다.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은, 디램(DRAM) 소자에서 사용되는 비트라인(Bit Line)을 초기화 하는 전위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Bit Line Precharge Voltage)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전위는 전력(Power)을 절약할 목적으로, 셀(Cell)에 저장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중간전위를 사용한다.
상기 셀 플레이트 전압(Vcp)은, 디램 셀을 구성하는 캐패시터(capacitor)의 플레이트(plate)에 연결된 전위로, 셀 트랜지스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를 작게하여 누설 전류를 억제할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하프 전원전압(1/2 Vcc)을 사용한다.
이들 두 단자의 같은 전체적인 캐패시턴스는 64메가 디램의 경우 각각이 대략 30nF 정도를 갖고 있는데, 동작시에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의 경우는 소모하는 전력이 크고, 셀 플레이트 전압(Vcp)의 경우에는 소모하는 전력이 작다.
이런 사정으로 정상 동작을 기준으로 한다면,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Vcp Generator)(1)는 구동 능력이 작게 만들고,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Vblp Generator)(2)는 구동 능력이 크게 만들어야 하지만, 초기 전원 인가시 안정적인 전위를 만드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둘 다 모두 비슷한 크기의 부하 캐패시터(Loading Capacitor)를 가지고 있으므로, 둘 다 모두 클것이 요구된다.
즉, 셀 플레이트 전압(Vcp)의 경우 정상 동작시에는 큰 구동 능력이 필요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동작을 크게 만들어야 하는 사정으로 면적에서 손실이 있게 된다.
반면에, 두 개의 장치를 서로 합하여 하나의 구동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에는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고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에는 노이즈가 적게 발생하므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에서 생긴 노이즈 신호가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에 영향을 주어, 셀의 데이터 저장 시간을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 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들의 출력단을 파워-업(Power_up) 동작시 일정 시간동안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동작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여서 전류의 소모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 장치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발생 장치의 구성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의 구성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셀 플레이트 전압(Vcp) 발생기
20 :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기
30 : 센스 증폭기 40 : 지연 회로부
50 : 스위칭부 60 : 카운터부
70 : 제어 연산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디램 소자의 셀 플레이트(Cell Plate)와 연결되고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와 ; 디램의 대기 동작시 비트라인(Bit Line)과 연결되어 비트라인의 초기 전위를 공급하며, 외부에서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 ; 및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실하게 감지하고 증폭하여 그 값을 외부에 연결시켜 주는 센스 증폭기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초기 파워-업 동작시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부와 ;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연 회로부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를 받아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중 디램(DRAM) 소자의 비트 라인(Bit Line)을 초기화 하는 전위(Bit Line Precharge)를 만드는 장치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Vblp Generator) 및 디램 셀을 구성하는 캐패시터의 플레이트 단자의 전위를 만드는 장치인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Vcp Generator)에 대한 것으로, 초기 동작시에 전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면적을 줄이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기를 크게 만들고, 셀 플레이트 전압(Vcp) 발생기를 작게 만들어서 면적을 작게 차지하도록 하고, 초기 동작시에는 큰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두 단자가 동시에 안정적인 전위를 만들어 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디램 소자의 셀 플레이트(Cell Plate)와 연결되고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10)와 ; 디램의 대기 동작시 비트라인(Bit Line)과 연결되어 비트라인의 초기 전위를 공급하며, 외부에서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20) ; 및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실하게 감지하고 증폭하여 그 값을 외부에 연결시켜 주는 센스 증폭기(30)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초기 파워-업 동작시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부(40)와 ;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연 회로부(40)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를 받아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50)를 구비한다.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20)는 출력단의 전위 변화시 구동 능력이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10)의 두 배 이상이다.
상기 지연 회로부(40)는, 디램 소자에 전원이 인가된 이후 일정 지연시간을 나타내는 파워-업 신호를 입력 신호로 일정한 지연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딜레이로 구성한다.
상기 스위칭부(50)는, 디램 소자에 전원이 인가된 이후 처음에는 턴-온되어 있다가, 일정 지연시간 이후 파워-업 신호가 생기고 나서 일정 지연시간 이후 턴-오프되는 전달 게이트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 파워-업 동작에서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10) 및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20)가 모두 턴-온되어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load)를 구동하지만, 이와 동시에 스위칭부(50)가 턴-온되어 있으므로, 구동 능력이 큰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20)가 동작하여 만들어 내는 전하(charge)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과 셀 플레이트 전압(Vcp)에 공평하게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말미암아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10)의 구동 능력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과 같은 속도로 정상 동작에 필요한 전위를 빠른 시간안에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한 후 지연 회로부(40)를 통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위칭부(50)는 턴-오프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50)가 턴-오프 되는 경우는 이들 사이에 전하의 흐름이 제한되므로, 만약에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에 동작상에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하여 큰 전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에는 이런 전위의 변화에 무관하게 전위의 변화가 없으므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도 3 은 도 2 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디램 소자에서, 셀 플레이트(Cell Plate)의 전위를 공급하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와 ; 비트라인(Bit Line)의 대기시 초기 전위를 공급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초기 파워-업 동작시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부(40)와 ;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연 회로부(40)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를 받아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50) ; 디램 소자의 센싱 동작과 관련된 액티브 신호를 입력 신호로 몇번의 액티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60) ; 및 상기 지연 회로부(40)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와 상기 카운터부(60)의 카운팅 계수를 입력으로 논리 연산하여 상기 스위칭부(50)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연산부(70)를 구비한다.
상기 카운터부(60)는,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 동작시부터 미리 정해진 몇번의 액티브 사이클이 수행되는 동안에 턴-온되어 있다가, 이 기간이 지난후에는 턴-오프된다.
상기 제어 연산부(70)는, 일정 지연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로오 사이클(Row Cycle) 이후에 턴-오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실시 예에서는 단순한 지연시간 만을 나타낸 것과는 다르게, 초기 파워-업 동작시에는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 사이에 구성된 스위칭부(50)는 턴-온되어 있다가, 카운터부(60)의 카운팅 계수에 의해 몇 번의 액티브 동작 이후에는 턴-오프되는 것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필요한 이유는, 메모리 셀의 센싱(Sensing) 및 이퀄라이즈(Equalize) 동작이 수행된 결과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가 충분한 대기 전위를 갖지 못하는 경우, 비트라인으로 부터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로 유입되는 전하를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나누어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 플레이트 전압(Vcp) 발생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어 면적을 적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동작으로 셀 플레이트 전압(Vcp)이 대기 상태의 전위(1/2 Vcc)를 갖도록 한다.
또한, 셀 플레이트 전압(Vcp)과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이 동일하게 같은 전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셀 플레이트 전압(Vcp)의 변화로 인한 셀의 센싱 마진 부족 등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반도체 디램 소자의 셀 플레이트(Cell Plate)와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와 ; 디램의 대기 동작시 비트라인(Bit Line)과 연결되어 비트라인의 초기 전위를 공급하며, 외부에서 전원전위가 인가되고 난 이후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 ; 및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실하게 감지하고 증폭하여 그 값을 외부에 연결시켜 주는 센스 증폭기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초기 파워-업 동작시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부와 ;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연 회로부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를 받아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는,
    출력단의 전위 변화시 구동 능력이 상기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의 두 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디램 소자에 전원이 인가된 이후 일정 지연시간을 나타내는 파워-업 신호를 입력 신호로 일정한 지연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딜레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디램 소자에 전원이 인가된 이후 처음에는 턴-온되어 있다가, 일정 지연시간 이후 파워-업 신호가 생기고 나서 일정 지연시간 이후 턴-오프되는 전달 게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5. 반도체 디램 소자에서, 셀 플레이트(Cell Plate)의 전위를 공급하는 셀 플레이트 전압 발생기와 ; 비트라인(Bit Line)의 대기시 초기 전위를 공급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기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초기 파워-업 동작시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부와 ;
    셀 플레이트 전압(Vcp) 단자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연 회로부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를 받아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 ;
    디램 소자의 센싱 동작과 관련된 액티브 신호를 입력 신호로 몇번의 액티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 ; 및
    상기 지연 회로부를 통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 신호와 상기 카운터부의 카운팅 계수를 입력으로 논리 연산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연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 동작시부터 미리 정해진 몇번의 액티브 사이클이 수행되는 동안에 턴-온되어 있다가, 이 기간이 지난후에는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연산부는,
    일정 지연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로오 사이클(Row Cycle) 이후에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 제어 장치.
KR1019980029306A 1998-07-21 1998-07-2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KR100527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306A KR100527593B1 (ko) 1998-07-21 1998-07-2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306A KR100527593B1 (ko) 1998-07-21 1998-07-2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12A true KR20000009112A (ko) 2000-02-15
KR100527593B1 KR100527593B1 (ko) 2006-02-13

Family

ID=1954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306A KR100527593B1 (ko) 1998-07-21 1998-07-2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5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519B1 (ko) * 2001-09-14 2003-10-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KR100403347B1 (ko) * 2001-09-14 2003-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업 발생회로
KR100636914B1 (ko) * 1999-06-30 2006-10-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트라인 프리챠지 전압 발생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8394A (ja) * 1986-09-19 1988-04-08 Fujitsu Ltd プリチヤ−ジクロツク発生回路
JPH056671A (ja) * 1991-06-27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637314B2 (ja) * 1991-08-30 1997-08-06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メモリ回路
JPH09162356A (ja) * 1995-12-06 1997-06-20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KR0155937B1 (ko) * 1995-12-27 1998-12-15 김광호 반도체장치의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914B1 (ko) * 1999-06-30 2006-10-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트라인 프리챠지 전압 발생회로
KR100401519B1 (ko) * 2001-09-14 2003-10-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KR100403347B1 (ko) * 2001-09-14 2003-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업 발생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593B1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8063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requirements during standby mode operation
KR0183413B1 (ko) 차지-펌프형 부스터 회로
US5455803A (en) Semiconductor device which operates at a frequency controlled by an external clock signal
EP0665484A2 (en) Power reducing circuit for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US6337833B1 (en) Memory device
KR100391879B1 (ko) 대기 모드를 갖는 데이타 처리 회로
US7872926B2 (en) Input buffer and method with AC positive feedback, and a memory device and computer system using same
JPH1079191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内部昇圧電圧発生器
US6639862B2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refresh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miconductor memory
KR100378690B1 (ko) 대기전류를감소시킨반도체메모리용고전원발생장치
US569436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setting the magnitude of substrate voltage in accordance with the mode
KR100527593B1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KR950009391B1 (ko) 데이터 보유 모드에서의 리프레시 단축회로를 갖춘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724588B2 (en) Overdrive write method, write amplifier power genera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45072B1 (ko) 내부전압 방전회로
KR100200764B1 (ko) 승압 전원 전압 감지 회로
US5771198A (en) Sour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US5966045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first stage input unit to which a potential is supplied from external and internal power supplies
US632081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lowing reduction in current consumption
KR10041857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제어회로
KR10039099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고전압 발생장치
KR100224792B1 (ko) 더미 워드라인과 셀을 이용한 비트라인 센싱 회로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
KR100235967B1 (ko) 노이즈 감소형 반도체 장치
KR0164392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라인 등화제어회로
JPH0554660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