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519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519B1
KR100401519B1 KR10-2001-0056852A KR20010056852A KR100401519B1 KR 100401519 B1 KR100401519 B1 KR 100401519B1 KR 20010056852 A KR20010056852 A KR 20010056852A KR 100401519 B1 KR100401519 B1 KR 10040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ignal
cell plat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197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5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5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8Details of power up or power down circuits, standby circuits or recover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파워-업 신호의 제어를 받는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는, 안정적인 레퍼런스(reference) 전압을 생성하는 디바이더부, 상기 레퍼런스 전압이 전달되는 제 1노드와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메모리 장치에 공급해주는 출력노드인 제 2노드의 전위를 비교하는 전류미러회로부, 상기 비교된 전위차에 의해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보상 및 조정하는 드라이버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에 있어서, 파워-업 신호 전에는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생성하고, 파워-업 신호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를 이용해서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레벨을 레퍼런스 전압레벨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VOLTAGE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워-업 신호의 제어를 받는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이하, Vblp) 및 셀 플레이트(이하, Vcp)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는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 및 셀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레퍼런스(reference) 전압(1/2Vcore)을 생성하는 디바이더부(10)와, 디바이더부(10)로부터의 레퍼런스 전압(1/2Vcore)이 전달되는 제1 노드(Nd1)와 Vblp 및 Vcp 전압의 출력노드인 제2 노드(Nd2)의 전위를 비교하는 전류미러회로부(20)와, 상기 비교된 전위차에 의해 Vblp 전압 및 Vcp 전압을 보상하는 드라이버부(30)를 구비한다.
이때, 드라이버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류미러회로부(20)로부터의 신호(a)(b)를 수신하여 Vcp, Vblp 전압 레벨로의 조율을 수행하는 PMOS 트랜지스터(PM) 및 NMOS 트랜지스터(NM)로 구성된다.
이에대한 동작 원리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류미러회로부(20)에 의해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Vblp 및 Vcp 전압 레벨을 보상한다. 즉, 저항을 이용한 디바이더부(10)에서 생성된 레퍼런스 전압과 Vcp, Vblp 전압을 비교하여 Vblp, Vcp 전압이 래퍼런스 전압보다 높으면 NMOS 트랜지스터(NM)를 턴 온시켜 Vblp, Vcp 전압레벨을 낮추고, 반대로 레퍼런스 전압이 Vcp, Vblp 전압보다 낮으면 PMOS 트랜지스터(PM)를 턴 온시켜 Vcore 전압을 이용하여 Vblp, Vcp 전압을 1/2 Vcore 전압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는 파워-업(Power up) 신호 전(Region1)에는 Vcore 전압이 외부전압(Vext)과 연결되어 Vblp, Vcp 전압이 생성되므로 드라이브 능력이 충분해서 Vblp, Vcp 전압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반면, 파워-업 신호 후(Region2)에는 Vcore 전압이 외부전압(Vext)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드라이버부(30)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Vblp, Vcp 전압 생성시 Vcore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즉, Vcore 전압이 Vblp 전압이나 Vcp 전압레벨을 보상해주기 위해 소모되므로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업 신호를 이용하여 Vblp, Vcp 전압의 구동과 상관없는 안정적인 Vcore 전압 레벨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드라이버부의 회로도.
도 3은 도 1의 동작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드라이버부 및 제어부의 회로도.
도 6은 도 5의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디바이더부
200 : 전류미러회로부
300 : 드라이버부
500 : 제어부
550 : 전달게이트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는, 안정적인 레퍼런스(reference) 전압을 생성하는 디바이더부, 상기 레퍼런스 전압이 전달되는 제 1노드와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메모리 장치에 공급해주는 출력노드인 제 2노드의 전위를 비교하는 전류미러회로부, 상기 비교된 전위차에 의해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보상 및 조정하는 드라이버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에 있어서, 파워-업 신호 전에는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생성하고, 파워-업 신호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를 이용해서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레벨을 레퍼런스 전압레벨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의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압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는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 및 셀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레퍼런스(reference) 전압(1/2Vcore)을 생성하는 디바이더부(100)와, 디바이더부(100)로부터의 레퍼런스 전압(1/2Vcore)이 전달되는 제1 노드(Nd1)와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이하, 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이하, Vcp)의 출력노드인 제2 노드(Nd2)의 전위를 비교하는 전류미러회로부(200)와, 상기 비교된 전위차에 의해 Vblp 전압 및 Vcp 전압을 보상하는 드라이버부(300) 및, 파워-업 신호(pwr_up) 전에는 외부전원전압(Vext)을 이용하여 상기 Vblp 및 Vcp 전압을 생성하고, 파워-업 신호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300)를 통해서 상기 레퍼런스 전압레벨을 생성하는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드라이버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동일한 구조의 드라이버부로서 전류미러회로부(200)로부터의 신호(a)(b)를 수신하여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의 전위를 비교함으로써 제2 노드(Nd2)의 전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풀업용 PMOS 트랜지스터(PM1) 및 풀다운용 NMOS 트랜지스터(NM)로 구성된다.
제어부(500)는 파워-업 신호(pwr_up) 전에 상기 파워-업 신호에 의해 턴 온되어 Vblp 전압 및 Vcp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전압(Vext)으로 생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PM2)와, 파워-업 신호 전(pwr_up)에는 전달 게이트(550)를 턴 오프시켜서 드라이버부(300)와의 연결을 끊고, 파워-업 신호(pwr_up) 후에는 전달 게이트(550)를 턴 온시켜서 드라이버부(300)와 연결하여 상기 파워-업 신호 전에는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2)의 제어를 받고, 파워-업 신호(pwr_up) 후에는 드라이버부(300)의 제어를 받게하는 전달게이트(550) 및, 전달게이트(550)의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버터(IV)를 구비한다. 이에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업 신호(pwr_up)는 파워(Power)가 턴 온되면 파워가 어느 정도의 레벨까지 상승되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고 파워가 턴 오프되면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파워-업 신호(pwr_up) 전에는 전달게이트(550)가 턴 오프되므로 외부전원전압(Vext)에 의해 상승하는 Vblp, Vcp 전압레벨이 드라이버부(300)의 풀업용 NMOS 트랜지스터(NM)의 영향을 받지 않게되고, 파워-업 신호(pwr_up) 전까지 PMOS 트랜지스터(PM2)에 의해 Vblp, Vcp 전압레벨을 외부전원전압(Vext) 레벨로 생성한다. (Region 1) 이에의해, 파워-업 신호(pwr_up) 후에 Vcore 전압으로 구동하지 않고 Vblp, Vcp 전압레벨을 드라이버부(300)의 NMOS 트랜지스터(NM)를 이용해서 1/2Vcore 전압레벨로 생성할 수 있다.
파워-업 신호(pwr_up) 후에는 전달게이트(550)가 턴 온되므로 레퍼런스 전압(1/2Vcore)과 외부전원전압(Vext)을 따라서 상승한 Vblp, Vcp 전압을 이용하여 전류미러회로부(200)를 통하여 비교하고 드라이버부(300)에서 조절함으로써 Vblp, Vcp 전압레벨을 1/2Vcore 전압레벨로 생성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워-업 신호 전(Region1)에서는 Vblp, Vcp 전압레벨이 외부전원전압(Vext), Vcore 전압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으며, 파워-업 신호 후(Region2)에서는 외부전원전압(Vext)을 따라가던 Vblp, Vcp 전압이 Vcore 전압을 이용한 드라이빙 없이 1/2Vcore 전압 레벨을 찾아간다. 따라서, Vcore 전압의 손실없이 Vblp, Vcp 전압을 구현하였으며, Vcore 전압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에 의하면, 파워-업 신호(pwr_up) 전에는 외부전원전압(Vext)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 전압(Vcp)을 생성하고, 파워-업 신호(pwr_up)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300)를 통해서 레퍼런스 전압레벨(1/2Vcore)을 생성함으로써 안정적인 Vcore 전압을 만들 수 있으며, Vblp, Vcp 전압을 보다 빠른 시간에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Vcore 전압을 사용하는 회로들의 신뢰성을 높이고 동작속도에 기여한다.

Claims (3)

  1. 안정적인 레퍼런스(reference) 전압을 생성하는 디바이더부와, 상기 레퍼런스 전압이 전달되는 제 1노드와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메모리 장치에 공급해주는 출력노드인 제 2노드의 전위를 비교하는 전류미러회로부와, 상기 비교된 전위차에 의해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보상 및 조정하는 드라이버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에 있어서,
    파워-업 신호 전에는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을 생성하고, 파워-업 신호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를 이용해서 프리차아지 전압 및 셀 플레이트 전압레벨을 레퍼런스 전압레벨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전위를 비교하여 제2 노드의 전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풀업용 PMOS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용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업 신호 전에 상기 파워-업 신호에 의해 턴 온 되어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전압 및 상기 셀 플레이트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전압으로 생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파워-업 신호 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파워-업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와 연결하여 상기 파워-업 신호 전에는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제어를 받고, 상기 파워-업 신호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부의 제어를 받게하는 전달게이트 및,
    상기 전달게이트의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KR10-2001-0056852A 2001-09-14 2001-09-1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KR10040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852A KR100401519B1 (ko) 2001-09-14 2001-09-1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852A KR100401519B1 (ko) 2001-09-14 2001-09-1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197A KR20030027197A (ko) 2003-04-07
KR100401519B1 true KR100401519B1 (ko) 2003-10-17

Family

ID=2956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852A KR100401519B1 (ko) 2001-09-14 2001-09-1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09B1 (ko) * 2003-10-28 2010-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뱅크 제어 회로
KR100776759B1 (ko) * 2006-06-15 2007-1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30394B1 (ko) 2008-10-02 2009-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생성회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793A (ko) * 1997-04-02 1998-11-16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 효율 전하 펌프회로
KR20000009112A (ko) * 1998-07-21 2000-02-15 김영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KR20010061605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내부전압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793A (ko) * 1997-04-02 1998-11-16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 효율 전하 펌프회로
KR20000009112A (ko) * 1998-07-21 2000-02-15 김영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및 셀 플레이트전압(vcp) 제어 장치
KR20010061605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내부전압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197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9821B2 (en) Voltage generator
KR20050091234A (ko) 내부전압 발생장치
KR100266117B1 (ko) 반도체 기억장치
JP2000101024A (ja) 内部電源電圧発生回路
US7362167B2 (en) Voltage generator
KR10090442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40151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KR100780623B1 (ko) 반도체 소자의 내부전압 생성장치
US770620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030097024A (ko) 외부 전압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된 출력 전압을발생하는 어레이용 내부전압 발생회로
KR20010004222A (ko) 동작모드에 따라 파워라인 연결 방식을 달리한 반도체메모리소자의 파워공급 제어장치
KR100650371B1 (ko) 전압 발생 장치
KR0172371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전원전압 발생회로
KR20010061375A (ko) 파워-업 회로
KR100930394B1 (ko) 내부전압 생성회로
KR100226026B1 (ko) Dram 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KR20030025323A (ko) 저전력 동작모드용 내부 강압 전원 드라이버 회로
KR100224666B1 (ko) 반도체장치의 전원제어회로
KR20010106892A (ko)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KR100996192B1 (ko) 파워 업 신호 생성회로
KR20080001054A (ko) 내부 전압 발생 장치
KR100631936B1 (ko) 내부전압 발생회로
JP2000340756A (ja) 半導体装置の電圧検出回路及び電圧ブースティング回路
KR100506046B1 (ko) 내부전압 발생장치
KR2004001179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 전원전압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