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881A - 4사이클엔진의윤활장치 - Google Patents

4사이클엔진의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81A
KR20000005881A KR1019990020437A KR19990020437A KR20000005881A KR 20000005881 A KR20000005881 A KR 20000005881A KR 1019990020437 A KR1019990020437 A KR 1019990020437A KR 19990020437 A KR19990020437 A KR 19990020437A KR 20000005881 A KR20000005881 A KR 2000000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crank chamber
gear room
val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318B1 (ko
Inventor
와타나베미쓰노리
Original Assignee
모리시다 히로시
후지로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479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46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360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4477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다 히로시, 후지로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다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0000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hand-hel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4Pressure lubrication using pressure in working cylinder or crankcase to operate lubricant fee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6Means for keeping lubricant level constant or for accommodating movement or position of machines or engines
    • F01M11/062Accommodating movement or position of machines or engines, e.g. dry sumps
    • F01M11/065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7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f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휴대 가능한(portable)의 부시 커터나 배낭식 동력 분무 기구 등에 사용되는 소형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밸브 기어 룸(34)과 유류실(油留室, oil sump)(18)을 연통시키도록 복귀 유로(84, 84′)를 설치하고, 그 복귀 유로의 중도부터 분기 형성되어 상사점 위치에 있는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와 연통 가능한 흡유로(9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크랭크실(16)이 부압(負壓, negative pressure)이 되었을 때는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 흡인되는 오일이 실린더(12A) 내에서 가장 강한 부압이 발생하는 위치와 연통하고 있는 흡유로(90)에 주입되어 실린더 내에 재공급된다. 또한, 복귀 유로에서의 개구부(84D)에는 엔진이 정립(正立) 시에 개구되고 도립(倒立) 또는 경사 시에 폐쇄되는 체크 밸브(1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귀 유로 내에 유류실 내의 오일이 역류하지 않는다. 또, 유류실로의 오일의 복귀를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 엔진을 옆으로 눕힌 상태가 되었을 때 모이는 오일 속에 선단을 침지 가능한 오일 흡입 수단을 밸브 기어 룸 내에 설치한다.

Description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LUBRICATING APPARATUS FOR FOUR-CYCLE ENGINES}
본 발명은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경사 자세가 작업 자세의 하나가 되는 휴대 가능한(portable) 부시 커터나 배낭식 동력 분무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목을 대상으로 한 휴대 가능한 부시 커터(트리머(trimmer))나 배낭식 동력 분무기와 같이 작업자 자신이 휴대하거나 또는 등에 매고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의 구동원인 엔진은 작업기를 경사지게 한 경우에도 안정되게 작동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엔진 1형식인 2사이클 엔진에서는 피스톤의 상승 시에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윤활용 오일과 연료를 엔진 내부에 흡입하고 각 가동부의 윤활을 행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관계상, 자유로운 각도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2사이클 엔진은 상기 휴대 가능한 작업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엔진의 다른 형식인 4사이클 엔진은 설계, 가공 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소형 경량의 것을 제조할 수 있지만, 윤활 장치의 하나의 구성 부재인 유류실(오일 팬)이 크랭크실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위치로부터 오일을 세게 튀기거나 펌프로 퍼 올림으로써 각 가동부를 윤활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는 관계상, 정립 상태에서의 사용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와 같은 윤활 기구가 2사이클 엔진에 비하여 떨어진다.
그러나, 2사이클 엔진은 배기 가스 중 탄화 수소가 많다는 점이나 소음이 크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근래에는 배기 가스 정화나 작업 환경 악화 방지의 관점에서 배기 가스 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저소음인 4사이클 엔진을 휴대 가능한 작업기에 사용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승강 동작에 따라 크랭크실 내의 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한 4사이클 엔진용의 윤활 장치를 본 출원인은 앞서 제안하였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288019호).
이 제안에서는 유류실과 크랭크실을 완전하게 차단하고, 유류실로부터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 중의 일부에 크랭크실과 유류실을 연통시켜 크랭크실의 부압에의하여 유류실로부터 오일을 흡인하여 크랭크실에 보내주는 간헐 송유 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크랭크실과 캠 기구가 장비되어 있는 밸브 기어 룸이나 밸브 구동 기구의 배치부를 연통시키고, 피스톤 하강 시에 발생하는 크랭크실 내의 정압(正壓, positive pressure)을 이용하여 크랭크실 내에서 교반된 오일 미스트(oil mist)를 압송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밸브 기어 룸 내에 보내진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블로바이(blowby) 가스는 유류실 내의 부압화 경향, 즉 피스톤의 상승 시에 발생하는 크랭크실 내의 부압이 유류실 내에 작용하여 유류실 내에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엔진의 시동 후에는 실린더 온도가 고온으로 되는 것에 맞추어 유류실 내의 압력도 높아진다. 이로 인하여, 밸브 기어 룸으로부터 유류실 내에 오일을 회수하려고 해도 유류실 내에서의 부압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음으로써 오일을 양호하게 회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서, 밸브 기어 룸 내에서 오일이 과잉 상태로 유지되어 다른 부위에 대한 윤활용 오일이 부족하게 될 우려도 있다.
또,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4사이클 엔진은 주로 연소실 내의 피스톤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이른바 동력의 출력 축인 크랭크축이 수평 방향을 향한 상태로 사용되는 이외에, 주로 크랭크축을 수직 방향을 향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후자의 사용 상태로는 잔디 깍는 기계 등에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크랭크축이 수직 방향을 향한 경우, 즉 버티컬 타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리코일 스타터(recoil starter)가 위를 향하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어 이른 바 엔진을 옆으로 눕힌(sideways) 자세가 된다. 이로 인하여, 오일이 저류(貯溜)된 밸브 기어 룸에서는 오일 미스트 중의 오일 성분을 유류실 내에 복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복귀 통로의 개구와 오일의 오일 표면이 멀어져 오일의 복귀를 원활하게 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밸브의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가 오일 속에 침지된 채인 경우 그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를 통하여 연소실 내에 오일이 침입하고 이에 따라서 흰 연기 발생 등의 연소 불량이나 머플러(muffler)에 카본이 부착되는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자세를 포함하는 임의의 작업 자세에서도 확실하게 내부 윤활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윤활이 필요한 개소에 대한 오일 부족을 초래하지 않고 경제적인 윤활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윤활 장치가 적용되는 4사이클 엔진을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부호 A로 표시한 방향의 일부를 도시한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부호 A로 표시한 방향의 다른 일부를 도시한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윤활 장치가 적용되는 4사이클 엔진을 크랭크축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윤활 장치가 적용되는 4사이클 엔진을 크랭크축의 축 끝 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부호 B로 표시한 방향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사용되는 주요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주요부 구조의 선단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적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주요부 구조의 선단부 구조에 관한 변형예를 도시한부분적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엔진, 2:에어 클리너, 2A:브리더(breather)실, 12A:실린더, 12A1:흡기 포트, 12A2:배기 포트, 14:크랭크케이스, 14B:흡유로, 16:크랭크실, 18:흡유실, 24:피스톤, 24A:스커트부, 24B:개구, 24B′:흡유 개구, 32:연통로, 34:밸브 기어 룸, 40:흡입부, 46:제1 송유 수단의 하나의 구성 부품인 간헐 송유부, 70:제2 송유 수단을 이루는 일방향 밸브, 84, 84′:밸브 기어 룸과 유류실을 연통시키는 복귀 유로, 84D:개구부, 90:흡유로, 100:체크 밸브, 110:소공(小孔, pore), 120:파이프, 130, 130A, 130B:오일 흡입 수단, 131:웨이트(weight) 부재,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크랭크실 근방에 설치된 유류실로부터 상기 크랭크실 및 흡·배기의 각 밸브 기구를 수납한 밸브 기어 룸에 송유하여 각 부의 윤활을 행하고 오일을 순환시키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류실이 상기 크랭크실과 분할되어 임의의 경사 상태에서도 외부에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류실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선단이 상기 유류실의 오일 표면 하에 존재하도록 구성된 흡입부를 가지며, 상기 크랭크실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유류실 내의 오일을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크랭크실로 보내는 제1 송유(送油) 수단과, 상기 크랭크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송유 수단에 의하여 보내진 오일을 교반하여 오일 미스트화하는 교반부와, 상기 크랭크실과 상기 밸브 기어 룸을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상기 크랭크실에 발생하는 정압에 의하여 상기 크랭크실 내의 오일 미스트를 상기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밸브 기어 룸에 보내는 제2 송유 수단과, 상기 밸브 기어 룸과 상기 유류실을 연통시키도록 복귀 유로를 관통시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귀 유로의 중도부터 분기 형성되어 상사점(上死點) 위치에 있는 피스톤의 스커트부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에 연통 가능한 흡유로(吸油路)를 설치하고, 상기 복귀 유로의 상기 유류실에 대한 개구부에는 엔진의 정립 시에 개구되고 도립되거나 또는 경사졌을 때 폐쇄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의하면, 밸브 기어 룸과 유류실을 연통시키도록 크랭크케이스에 복귀 유로를 설치하고 그 복귀 유로의 중도부터 분기 형성되어 상사점 위치에 있는 피스톤의 스커트부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에 연통 가능한 흡유로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크랭크실이 부압이 되었을 때는 밸브 기어 룸으로부터 흡인되는 오일이 실린더 내에서 가장 큰 부압이 발생하는 위치와 연통하고 있는 흡기로에 주입되어 실린더 내에 재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상사점 위치에 도달했을 때 얻어지는 최대 부압을 이용하여 밸브 기어 룸으로부터의 오일을 실린더 내에 보내줄 수 있으므로 유류실 내의 부압의 변화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고 실린더 내에서의 윤활용 오일의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유로에서의 개구부에는 엔진이 정립 시에 개구되고 도립되거나 또는 경사졌을 때 폐쇄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엔진이 도립되거나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복귀 유로 내에 유류실 내의 오일이 역류하지 않고 엔진의 작업 자세에 따라 과잉 윤활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체크 밸브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체(球體)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체크 밸브가 엔진의 도립 또는 경사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체로 구성되면 도립 또는 경사 시에는 확실하게 복귀 유로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엔진의 작업 자세에서 밸브 기어 룸에 과잉 오일이 들어가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적정한 윤활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로에는 상기 유류실과 연통되는 소공(pore)을 형성할 수 있다. 유류실과 연통 가능한 소공이 형성되므로 크랭크실이 정압일 때 밸브 구동부나 밸브 기어 룸에 압송되는 오일 미스트에서 과잉으로 되는 것을 유류실에 방출함으로써 적량화하여 공급 과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기어 룸으로부터 에어 클리너의 브리더실(breather room)로 브리더관을 연통시키고, 상기 브리더실을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에서의 상기 피스톤의 스커트부의 바로 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흡유 개구에 연통시켜 상기 브리더실 하부에 저류된 오일을 피스톤이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그 스커트부 바로 아래 부분의 흡유 개구로부터 실린더 내로 보내주도록 구성해도 된다.
따라서, 밸브 기어 룸으로부터 회수되는 블로바이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브리더실에서 회수하고, 유류실에 회수되기 전에 재차 실린더 내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이 상사점 위치에 도달했을 때 발생하는 최대 부압을 브리더실에 작용시켜 오일을 실린더 내에 흡인할 수 있으므로 유류실 내에서의 부압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브리더실에 회수된 오일을 윤활이 필요한 개소의 하나인 실린더 내에 공급할 수 있어 윤활용 오일의 부족을 방지하면서 소비량을 저감시켜 유지 코스트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윤활 구조에서의 문제를 감안하여, 주로 엔진을 옆으로 눕힌 상태로 사용할 때 연소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밸브 기어 룸에서의 오일의 복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크랭크실 근방에 설치된 유류실로부터 상기 크랭크실 및 흡·배기의 각 밸브 기구를 수납한 밸브 기어 룸에 송유하여 각 부의 윤활을 행하고 오일을 순환시키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실이 상기 크랭크실과 분할되어 임의의 경사 상태에서도 외부에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류실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선단이 상기 유류실의 오일 표면 하에 존재하도록 구성된 흡입부를 가지고, 상기 크랭크실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유류실 내의 오일을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크랭크실로 보내는 제1 송유 수단과, 상기 크랭크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송유 수단에 의하여 보내진 오일을 교반하여 오일 미스트화하는 교반부와, 상기 크랭크실과 상기 밸브 기어 룸을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상기 크랭크실에 발생하는 정압에 의하여 상기 크랭크실 내의 오일 미스트를 상기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밸브 기어 룸에 보내는 제2 송유 수단과, 상기 밸브 기어 룸과 상기 유류실을 연통시키도록 복귀 유로를 관통시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귀 유로의 중도부터 분기 형성되어 상사점 위치에 있는 피스톤의 스커트부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에 연통 가능한 흡유로를 설치하고, 상기 복귀 유로에 상기 밸브 기어 룸에 위치하는 개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엔진이 옆으로 눕혀진 상태일 때 오일 속에 선단이 침지되는 것이 가능한 오일 흡입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의하여, 밸브 기어 룸과 유류실을 연통시키도록 복귀 유로를 설치하고, 복귀 유로에서의 밸브 기어 룸에 위치하는 개구에 대하여 엔진을 옆으로 눕힌 상태가 되었을 때 모이는 오일 속에 선단을 침지 가능한 오일 흡입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항상 복귀 유로와 오일을 연통 상태로 함으로써 유류실로의 오일의 복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밸브 기어 룸 내에서 회수될 오일이 회수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밸브의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를 통하여 연소실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여 연소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오일 흡입 수단은 상기 복귀 유로로부터 오일 속을 향하여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귀 유로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오일 속에 침지되는 선단에는 웨이트 부재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양자 택일적으로, 상기 오일 흡입 수단은 유연성을 가지는 파이프가 사용되고, 상기 오일 속에 침지되는 선단에는 웨이트 부재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33.
회동 가능하거나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오일 흡입 수단의 오일 속에 침지되는 선단에 웨이트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엔진을 옆으로 눕힌 상태를 포함하여 어떠한 자세에서도 중력 방향으로 체류하는 오일에 오일 흡입 수단의 선단을 침지시킬 수 있으므로, 복귀 유로로의 오일의 주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밸브 기어 룸으로부터 오일 성분을 회수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실 내로의 오일의 침입에 의한 연소 불량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윤활 장치를 적용한 4사이클 엔진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부호 A로 표시한 방향의 일부를 도시한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및 도 1에서 부호 A로 표시한 방향의 다른 일부를 도시한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4사이클 엔진은 본원의 선원에 해당하는 일본국 특개평 10-288019호 원서에 첨부된 명세서에 개시(開示)되어 있는 구성을 주요부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하에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한다.
4사이클 엔진(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에 에어 클리너(2) 및 기화기(氣化器, carburetor)(4)가, 그리고 우측면에는 배기 머플러(6)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실린더 헤드(10)가 일체화되어 있는 실린더 블록(12)과 크랭크케이스(14)로 구성된 크랭크실(16) 및 크랭크케이스(14)의 하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유류실(18)을 구비하고 있다. 유류실(18)은 크랭크케이스(14)에 대하여 칸막이벽(14A)에 의하여 분할되어 전체로서 밀페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칸막이벽(14A) 상부의 크랭크케이스(14)에는 후술하는 흡입부(40) 및 일방향 밸브(70)가 설치되어 있고, 일방향 밸브(70)는 크랭크실(16) 내의 압력 변화에 응동하여 개폐할 수 있어 압력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폐쇄됨으로써 유류실(18)이 임의의 경사 상태에 있어도 오일의 외부 누출을 일으키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2)과 크랭크케이스(14)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크랭크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축(20)의 크랭크 핀에 연결 로드(rod)를 통하여 연결된 피스톤(24)은 실린더 블록(1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2A)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 2에서 실린더(12A)의 상벽(上壁)에는 상기의 기화기(4) 및 배기 머플러(6)와 각각 연통하는 흡기(吸氣) 포트(12A1) 및 배기 포트(12A2)가 형성되고 이들 각 포트에는 포트를 개폐하는 흡기 밸브(27) 및 배기 밸브(28)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 구동부(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구동 기어(36), 캠 기어(37), 록커 암(rocker arm7)(38, 39) 등의 부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밸브 구동부(30)의 각 구성 부품 중 밸브 구동 기어(36), 캠 기어(37)는 실린더 블록(12)의 두부(頭部)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 기어 룸(34)과 크랭크실(16)을 연통시키도록 실린더 블록(12)과 크랭크케이스(14)의 측부(側部)에 형성된 연통로(32) 내에 배설되어 있다.
크랭크실(16)과 유류실(18) 사이에는 흡입부(40), 통로(44) 및 간헐 송유부(46)가 제1 송유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흡입부(40)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휠 수 있는 관체(管體)(42)와 그 선단에 부착된 웨이트(4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웨이트(43)는 그 자중에 의하여 항상 수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유류실(18)이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어도 그 오일의 오일 표면 하에 선단부를 담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입부(40)의 타단은 크랭크케이스(14) 내에 관통 형성된 통로(44)와 연통되어 있고, 이 통로(44)는 크랭크축(2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이 부분에 원호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1에서 크랭크축(20) 측의 간헐 송유부(46)는 크랭크실(16) 측으로부터 크랭크축(20) 중심 근방에 소정의 내경으로 외부에 관통되지 않고 형성되어 있는 통로(T1)와, 이 통로(T1)에 연속하여 크랭크축(20)의 반경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통로(T2)로 구성되어 있다. 통로(T2)는 피스톤(24)의 상승에 의하여 크랭크실(16)이 부압화됨에 따라 크랭크축(20)의 회전 각도 내에서 크랭크케이스(14)의 통로(44)와 연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른바 크랭크축(20)의 전주(全周) 회전의 도중에 크랭크케이스(14)의 통로(44)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24)의 상승 시에는 크랭크실(16)에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흡입부(40), 통로(44) 및 간헐 송유부(46)가 연통하면, 유류실(18)로부터 오일이 흡인되어 크랭크실(16) 측으로 보내진다.
도 1에서 크랭크실(16)에는 제1 송유 수단(46)에 의하여 공급되는 오일을 교반하여 오일 미스트화하는 교반부가 설치되어 있다.
즉, 교반부는 주로 크랭크축(20)에 고정되어 있는 크랭크 웨브(crank web)(6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크랭크실(16)과 연통로(32) 사이에는 일방향 밸브(70)가 제2 송유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일방향 밸브(70)는 크랭크케이스(14) 하부에 형성된 밸브 구멍(72)과, 피스톤(24)의 승강 동작에 따라 크랭크실(16)이 정압으로 되었을 때 밸브 구멍(72)을 개방하고 크랭크실(16)이 부압으로 되었을 때 밸브 구멍(72)을 폐쇄하는 밸브 플레이트(7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실린더 블록(12)의 상부에는 브리더관(8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리더관(80)은 일단이 밸브 기어 룸(34) 내에서 개구부(82)에 의하여 연락되고 타단이 에어 클리너(2)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 기어 룸(34)에는 복귀 유로(84, 8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복귀 유로(84, 84')는 각각 일단이 밸브 기어 룸(34)에, 타단이 유류실(18)에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밸브 기어 룸(34)을 상방에 위치시키고 이른바 정립 상태로 한 경우에는, 피스톤(24)이 승강 동작에 있지 않은 경우에 크랭크실(16), 유류실(18) 및 밸브 기어 룸(34)에 윤활용 오일이 적당량 모여 있다.
엔진(1)이 시동되면 피스톤(24)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크랭크실(16)에 압력 변화가 생겨 피스톤(24)의 상승 시에는 크랭크실(16)이 감압되어 부압 경향으로 되고 하강 시에는 크랭크실(16)이 승압되어 정압 경향으로 된다.
크랭크실(16)이 부압화 경항이 되면 크랭크실(16)과 유류실(18) 사이에 차압(差壓)이 생겨 피스톤(24)의 상승 시에 유류실(18)과 연통하도록 회동하는 크랭크축(20)에 설치되어 있는 간헐 송유부(46)(도 1 참조)의 통로(T1, T2) 및 흡입부(40)를 통하여 유류실(18)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이 크랭크실(16) 측에 보내진다.
크랭크실(16) 측에 보내진 오일은 크랭크 웨브(64)에 전달되고 그 단부(端部)로부터 크랭크실(16)의 내벽에 비산되어 그 일부가 오일 미스트화된다. 미스트화된 오일은 크랭크축(20)이나 피스톤(24) 및 크랭크실(16) 내의 각 부품을 윤활한다.
피스톤(24)의 하강 시에는 크랭크실(16)이 정압이 되고 유류실(18)과의 사이에 차압이 생긴다. 이 경우, 일방향 밸브(70)(도 2 참조)의 밸브 플레이트(74)가 밸브 구멍(72)을 개방하고 승압된 공기와 함께 크랭크실(16) 및 실린더(12A)에 모인 오일 미스트를 크랭크실(16)로부터 연통로(32)에 보낸다.
연통로(32)에 보내진 오일 미스트는 정압에 의하여 밸브 기어 룸(34)을 향하여 압송되는 동시에 도중의 밸브 구동부(30)의 각 부품을 윤활한다.
밸브 구동부(30)의 각 부품을 윤활한 오일 미스트는 밸브 기어 룸(34)에 도달하여 오일과 공기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복귀 통로(84, 84')를 통하여 유류실(18)에 회수되게 된다. 또 분리된 공기는 개구부(82)로부터 브리더관(80)을 통하여 에어 클리너(2) 내에 개방된다. 그리고, 이 공기에는 다소의 오일 미스트가 혼입되어 있다.
다음에, 엔진(1)을 이른바 도립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류실(18) 내의 흡입부(40)가 그 선단에 위치하는 웨이트(43)의 중력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저류되어 있는 오일 속에 빠지므로, 피스톤(24)의 승강 동작에 의한 압력 변화를 이용하여 각 윤활부로의 오일의 공급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오일의 공급은 엔진(1)이 경사 상태에 있을 때에도 동일하게 행해진다.
한편, 상기한 윤활 장치의 구성을 대상으로 하여 본 실시예의 특징이 되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밸브 기어 룸(34) 내에 일단이 배설되어 있는 대략 동일한 구성의 2개의 복귀 유로(84, 84')의 한 쪽에 대하여 그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면, 복귀 유로(84)는 그 타단이 유류실(18)의 상부에서 개구되어 있고 그 복귀 유로(84)의 도중이 바이패스(bypass)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 유로(84)의 다른 쪽(84')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복귀 유로(8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바이패스 구조를 이루는 흡유로(90)는 복귀 유로(84)로부터 분기된 분기로(84A)와,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의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와 연통 가능한 통로(84B)와, 이들 분기로(84A)와 통로(84B)를 연통시키는 통로(84C)로 구성되어 있다.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는 스커트부(24A)에 관통 형성되어 실린더(12A) 내와 연통하고 있으므로 통로(84B)와 연통되었을 때는 통로(84B)가 실린더(12A) 내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복귀 유로(84)에서의 유류실(18) 상부에 위치하는 개구부(84D)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95)에 의하여 크랭크케이스(14) 하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는 와셔(washer)(96)에 의하여 탈락이 방지되어 있는 구체로 이루어지는 체크 밸브(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크 밸브(100)를 이루는 구체가 스틸 볼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유성(耐油性)의 재질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체는 반발성이 낮고 내유·내열성을 가지는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무 볼로 구성해도 된다.
또, 도 1에서 크랭크실(16)과 밸브 기어 룸(34)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2) 근방에는 크랭크케이스(14) 하면의 칸막이벽(14A)에 유류실(18)과 연통하는 소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엔진(1)이 정립되어 있을 때의 피스톤(24) 상승 시에는 크랭크실(16)과 유류실(18)에 차압이 생켜 크랭크실(16)이 부압화 경향이 된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24)의 상승 시에 유류실(18)과 연통하도록 회동하는 크랭크축(20)에 설치되어 있는 간헐송유부(46)의 통로(T1, T2) 및 흡입부(40)를 통하여 유류실(18)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이 크랭크실(16) 측으로 보내진다.
한편, 피스톤(24)이 상사점 위치에 도달하면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의 복귀 유로(84)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유로(90)의 통로(84B)가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와 연통하여 실린더(12A) 내와 연통한다. 이로 인하여, 크랭크실(16)이 부압화 경향이 되었을 때는 밸브 기어 룸(34) 내의 오일이 피스톤(24)의 상사점 위치에서 가장 강해지는 부압에 의하여 흡유로(90) 내에 주입되어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개구(24B)를 통하여 실린더(12A) 내에 흡입된다. 따라서, 밸브 기어 룸(34) 내로 보내진 오일 미스트의 대부분은 크랭크실(16) 내의 부압에 의하여 오일이 복귀 유로(84)를 통하여 실린더(12A) 내에 흡입되고, 그외의 것이 개구부(82)를 통하여 브리더관(80)으로부터 에어 클리너(2)에 보내진다.
이어서, 피스톤(24)이 하강할 때는 크랭크실(16)이 정압으로 되므로 그 정압에 의하여 제2 송유 수단을 이루는 일방향 밸브(70)의 밸브 플레이트(74)가 개방되어 크랭크 웨브(64)에 의하여 미스트화된 오일이 연통로(32)를 통하여 밸브 구동부(30) 및 밸브 기어 룸(34)에 보내진다.
피스톤 하강 시에는 밸브 구동부(30) 및 밸브 기어 룸(34)에 대한 오일의 과잉 공급이 방지된다. 즉, 일방향 밸브(70)에서의 밸브 플레이트(74)가 개방되면 크랭크실(16) 내에서 미스트화된 오일은 연통로(32)에 보내지지만, 연통로(32)에는 크랭크케이스(14)의 칸막이벽(14A)에 형성된 소공(110)이 연통되어 있고연통로(32)에 보내진 오일의 일부가 유류실(18) 내에 복귀되게 되므로 밸브 구동부(30) 및 밸브 기어 룸(34)에 보내지는 오일 미스트가 적량화된다.
다음에, 엔진(1)이 도립 상태가 된 경우에는 유류실(18)이 상위에 위치하므로, 그 유류실(18)의 상부에서 개구되는 복귀 유로(84) 내에 유류실(18) 내의 오일이 역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체크 밸브(100)의 구체가 복귀 유로(84)의 개구부(84D)를 막게 되므로 오일의 역류가 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엔진의 경사 상태 시에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의 복귀 유로(84)에 바이패스 구조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 구조를 이루는 흡유로(90)를 통하여 상사점 위치에 있는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로부터 실린더(12A) 내에 오일을 보내줄 수 있으므로, 윤활 개소의 하나인 실린더(12A) 내에 대하여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 회수되는 오일을 대체로 강제적으로 보내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윤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에 상당하는 단면도로, 이 도면에서 본 실시예는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 회수되는 블로바이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유류실(18)에 복귀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12A) 내로 보내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도 2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품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에어 클리너(2)에서의 브리더관(80)이 연통하는 위치에는 브리더실(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리더실(2A)로부터는 이 브리더실(2A)과 상사점 위치에서의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형성된 흡유 개구(편의상, 부호 24B′로 표시함)를 연통시키는 파이프(120)가 연장되어 있다. 파이프(120)는 상기 흡유 개구(24B′)와 연통하도록 실린더(14)에 형성된 흡유로(14B)에 대하여 접속되어 상기 브리더실(2A)과 흡유 개구(24B′)를 연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파이프(120)에는 실린더(12A) 측이 부압일 때만 오일을 실린더(12A) 내에 공급할 수 있는 체크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피스톤(24) 하강 시에는 연통로(32)(도 2 참조)로부터 밸브 기어 룸(34)에 보내진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가 오일과 공기로 분리되고, 각각 복귀 유로(84, 84′) 및 개구부(82)에 보내진다.
개구부(82)에 보내진 오일을 포함한 공기는 브리더관(80)을 통하여 브리더실(2A) 내에 보내지고, 또한 공기와 오일로 분리된다. 브리더실(2A)에서 분리된 오일은 파이프(120) 및 흡유로(14B)를 통하여 피스톤(24)이 상승 시에 발생하는 크랭크실(16) 내의 부압에 의하여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흡유 개구(24B′) 내에 흡입되어 실린더(12A) 내로 보내진다. 이에 따라서,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 브리더실(2A) 내에 주입되어 분리된 오일은 실린더 내에서 가장 부압이 강해지는 개소에 강제적으로 보내져 재차 실린더(12A) 내에 공급되어 윤활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리더실(2A) 내에서 공기와 분리된 오일이 피스톤(24)의 상승 시에 발생되는 크랭크실(16)에서의 부압에 의하여 실린더(12A) 내에 흡인되므로 브리더실(2A) 내에 잔류되는 오일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에어 클리너(2)의 오일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유로(84, 84′)에서의 밸브 기어 룸(34) 측의 개구에는 착탈 가능한 오일 흡입 수단(130)이 설치되어 있다.
오일 흡입 수단(130)은 도 4 및 도 6에서 4사이클 엔진(1)을 옆으로 눕힌 상태가 되었을 때 오일의 표면(도 4, 도 6에서 편의상 부호 L로 표시함)을 경계로 하여 오일 속(도 4, 도 6에서 부호 L로 표시하는 선에서 인출된 화살표 선 방향으로 오일이 모여 있음)에 선단이 침지 가능한 상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서 부호 U로 표시하는 방향은 옆으로 눕혔을 때 엔진 상방을, 부호 D로 표시하는 방향은 옆으로 눕혔을 때의 엔진의 하방을 각각 의미하고 있다.
오일 흡입 수단(1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유로(84, 84′)의 개구로부터 안으로 삽입되어 유지되거나 또는 개구 외주에 끼워져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삽입 상태 또는 끼움 상태에 있는 오일 흡입 수단(130)은 개구로부터 빼내서 복귀 유로(84, 8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4사이클 엔진의 사용 상태에 따라 복귀 유로(84, 84′)에 대하여 오일 흡입 수단(130)을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부호 L로 표시하는 선 및 그 선으로부터 인출된 화살표 선은 전술한 경우와 동일한 의미로 표시되어 있다.
오일 흡입 수단(130)은 굴곡된 연장 길이가 오일 속에 선단이 들어갈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도 8에서 설명한다.
도 8에서 다른 실시예의 오일 흡입 수단(편의상, 부호 130A로 표시함)은 복귀 유로(84, 84′)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용이하게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그 선단 외주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 부재(1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오일 흡입 수단(130A)을 중력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1)을 옆으로 눕혔을 때는 웨이트 부재(131)의 중량을 이용하여 밸브 기어 룸(34) 내에 체류하는 오일 속의 가장 깊은 위치에 선단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오일 흡입 수단은 또 다른 실시예로 그 재료 특성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서 상기 오일 흡입 수단(편의상 부호 130B로 표시함)은 유연성을 가지는 파이프로 구성되고 그 선단 외주에는 웨이트 부재(131)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유연성과 함께 내유성도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오일 흡입 수단(130B)의 선단을 밸브 기어 룸(34) 내의 내벽에 접촉하는 길이를 가지게 해도 그 유연성에 의하여 오일 속에 침지시킬 수 있고, 또한 엔진(1)을 옆으로 눕힌 자세를 포함하는 어떠한 자세에서도 복귀 유로(84, 84′)와 밸브 기어 룸(34) 내의 오일을 연통시킬 수 있어, 복구 유로(84, 84′)를 통하여 밸브 기어 룸(34) 내로부터의 오일의 복귀 작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엔진(1)을 옆으로 눕힌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밸브 기어 룸(34) 내의 오일이 엔진(1)의 방향에 따라 밸브 기어 룸(34)의 하방에 모이면 그 오일 속에 오일 흡입 수단(130, 130A 또는 130B)의 선단이 침지되어 있으므로, 항상 밸브 기어 룸(34) 내의 오일과 복귀 유로(84, 84′)를 연통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 유류실(18)로 오일 성분이 복귀되는 것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에 도시되고 기재되는 한편, 그 개시는 간략하게 설명할 목적의 것이므로, 여러 가지 변경이 첨부한 클레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경사 자세를 포함하는 임의의 작업 자세에서도 확실하게 내부 윤활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윤활이 필요한 개소에 대한 오일 부족을 초래하지 않고 경제적인 윤활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를 제공한다.
또, 주로 엔진을 옆으로 눕힌 상태로 사용할 때 연소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밸브 기어 룸에서의 오일의 복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7)

  1. 크랭크실(16) 근방에 설치된 유류실(油留室, oil sump)(18)로부터 상기 크랭크실(16) 및 흡·배기의 각 밸브 기구를 수납한 밸브 기어 룸(34)에 송유하여 각 부의 윤활을 행하고, 오일을 순환시키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류실(18)은 상기 크랭크실(16)과 분할되어 임의의 경사 상태에서도 외부에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류실(18)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선단이 상기 유류실(18)의 오일 표면 하에 존재하도록 구성된 흡입부(40)를 가지고, 상기 크랭크실(16)에 발생하는 부압(負壓, negative pressure)에 의하여 상기 유류실(18) 내의 오일을 상기 흡입부(40)로부터 상기 크랭크실(16)로 보내는 제1 송유(送油) 수단(46)과,
    상기 크랭크실(16)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송유 수단(46)에 의하여 보내진 오일을 교반하여 오일 미스트화하는 교반부와,
    상기 크랭크실(16)과 상기 밸브 기어 룸(34)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2)와,
    상기 크랭크실(16)에 발생하는 정압(正壓, positive pressure)에 의하여 상기 크랭크실(16) 내의 오일 미스트를 상기 연통로(32)를 통하여 상기 밸브 기어 룸(34)에 보내는 제2 송유 수단(70)과,
    상기 밸브 기어 룸(34)과 상기 유류실(18)을 연통시키도록 복귀 유로(油路)(84, 84′)를 관통시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귀 유로(84, 84′)의 중도부터 분기 형성되어 상사점(上死點) 위치에 있는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에 연통 가능한 흡유로(吸油路)(90)를 설치하고,
    상기 복귀 유로(84, 84′)의 상기 유류실(18)에 대한 개구부(84D)에는 엔진의 정립(正立) 시에 개구되고, 도립(倒立)되거나 또는 경사졌을 때 폐쇄되는 체크 밸브(1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100)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84D)를 개폐하는 구체(球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32)에는 상기 유류실(18)과 연통되는 소공(pore)(1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어 룸(34)으로부터 에어 클리너(2)의 브리더실(breather room)(2A)로 브리더관(80)을 연통시키고, 상기 브리더실(2A)을 파이프(12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12A)의 상기 피스톤(24)의 상사점 위치에서의 상기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의 바로 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흡유 개구(24B′)에 연통시켜 상기 브리더실(2A) 하부에 저류된 오일을 피스톤(24)이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그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의 흡유 개구(24B′)로부터 실린더(12A) 내로 보내주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5. 크랭크실(16) 근방에 설치된 유류실(18)로부터 상기 크랭크실(16) 및 흡·배기의 각 밸브 기구를 수납한 밸브 기어 룸(34)에 송유하여 각 부의 윤활을 행하고 오일을 순환시키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류실(18)이 상기 크랭크실(16)과 분할되어 임의의 경사 상태에서도 외부에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류실(18)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선단이 상기 유류실(18)의 오일 표면 하에 존재하도록 구성된 흡입부(40)를 가지고, 상기 크랭크실(16)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유류실(18) 내의 오일을 상기 흡입부(40)로부터 상기 크랭크실(16)로 보내는 제1 송유 수단(46)과,
    상기 크랭크실(16)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송유 수단(46)에 의하여 보내진 오일을 교반하여 오일 미스트화하는 교반부와,
    상기 크랭크실(16)과 상기 밸브 기어 룸(34)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2)와,
    상기 크랭크실(16)에 발생하는 정압에 의하여 상기 크랭크실(16) 내의 오일 미스트를 상기 연통로(32)를 통하여 상기 밸브 기어 룸(34)에 보내는 제2 송유 수단(70)과,
    상기 밸브 기어 룸(34)과 상기 유류실(18)을 연통시키도록 복귀 유로(油路)(84, 84′)를 관통시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귀 유로(84, 84′)의 중도부터 분기 형성되어 상사점 위치에 있는 피스톤(24)의 스커트부(24A)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개구(24B)에 연통 가능한 흡유로(吸油路)(90)를 설치하고,
    상기 복귀 유로(84, 84′)에는 상기 밸브 기어 룸(34)에 위치하는 개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엔진이 옆으로 눕혀진 상태일 때 오일 속에 선단이 침지되는 것이 가능한 오일 흡입 수단(13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흡입 수단은 상기 복귀 유로(84, 84′)로부터 오일 속을 향하여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귀 유로(84, 84′)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파이프(130A)로 구성되며, 상기 오일 속에 침지되는 선단에는 웨이트(weight) 부재(13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흡입 수단은 유연성을 가지는 파이프(130B)가 사용되고, 상기 오일 속에 침지되는 선단에는 웨이트 부재(13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KR1019990020437A 1998-06-03 1999-06-03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KR100545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79598A JP3204643B2 (ja) 1998-06-03 1998-06-03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98-154795 1998-06-03
JP98-373601 1998-12-28
JP37360198A JP3244477B2 (ja) 1998-12-28 1998-12-28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81A true KR20000005881A (ko) 2000-01-25
KR100545318B1 KR100545318B1 (ko) 2006-01-24

Family

ID=2648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437A KR100545318B1 (ko) 1998-06-03 1999-06-03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13079B1 (ko)
EP (1) EP0962630B1 (ko)
KR (1) KR100545318B1 (ko)
DE (1) DE69909895T2 (ko)
TW (1) TW4014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15B1 (ko) * 2002-11-01 2006-06-02 (주)이.앤.이 소형 4사이클 엔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5596B2 (en) * 2000-03-14 2003-01-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andheld type four-cycle engine
DE60102734T2 (de) * 2000-03-14 2005-04-21 Honda Motor Co Ltd Tragbarer Viertaktmotor
AU754769B2 (en) * 2000-03-14 2002-11-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andheld type four-cycle engine
JP3784607B2 (ja) * 2000-03-21 2006-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ヘルド型四サイクルエンジンにおけるオイルミスト生成装置
US6422194B2 (en) 2000-03-16 2002-07-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andheld type four-cycle engine
JP3784608B2 (ja) * 2000-03-21 2006-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ヘルド型四サイクルエンジン
JP3819685B2 (ja) * 2000-08-10 2006-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用4サイクルエンジンにおけるブリーザ構造
EP1470321A1 (en) * 2002-01-30 2004-10-27 Aktiebolaget Electrolux Crankcase scaven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35297B2 (en) 2002-07-24 2005-08-3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Lubricating system for 4-cycle engine
US7077089B2 (en) * 2003-08-15 2006-07-18 Kohler Company Oil drainback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25526B2 (en) 2003-11-21 2008-02-05 Husqvarna Outdoor Products Inc. Four-stroke engine system
US8281758B2 (en) * 2005-08-03 2012-10-09 Etg Limited Engine lubrication method
US7624714B2 (en) * 2005-08-03 2009-12-01 Etg Limited Engine lubrication method
DE602006002450D1 (de) 2005-08-03 2008-10-09 Etg Ltd Schmiervorrichtung für eine Viertakt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werkzeugs
WO2008150222A1 (en) * 2007-06-08 2008-12-11 Husqvarna Ab Lubrication system for a four-stroke engine
TWM325381U (en) * 2007-06-08 2008-01-11 Jenn Feng Ind Co Ltd Lubricating device for four cycle engine
TW200905065A (en) * 2007-07-17 2009-02-01 Si-Liang Lin Engine lubrication loop device
EP2103786B1 (en) * 2008-03-21 2012-07-04 Sanyang Industry Co. Ltd. Lubrication apparatus for engines
CN101680316B (zh) * 2008-05-13 2013-01-09 胡斯华纳有限公司 用于四冲程发动机的润滑系统
WO2010011163A1 (en) * 2008-07-22 2010-01-28 Husqvarna Ab A lubrication device in a four-stroke engine
US9187083B2 (en) 2009-09-16 2015-11-17 Polaris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n on-board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P2308708B1 (de) * 2009-09-16 2016-08-17 swissauto powersport llc Elektrofahrzeug mit Reichweitenverlängerung
JP5463111B2 (ja) * 2009-09-24 2014-04-09 株式会社マキタ 携帯型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US8695563B2 (en) * 2009-09-24 2014-04-15 Makita Corporation Lubrication system for four-stroke engine
WO2011039980A1 (en) * 2009-09-30 2011-04-07 Hitachi Koki Co., Ltd. Four-cycle engine, bush cutter and engine-driven tool having same
US8714130B2 (en) * 2009-10-19 2014-05-06 Nagesh S. Mavinahally Integrally cast block and upper crankcase
US8490596B2 (en) * 2010-11-29 2013-07-23 Etg Limited Vertical and horizontal engine
US8490597B2 (en) * 2010-11-29 2013-07-23 Etg Limited Vertical and horizontal engine
US8627809B2 (en) * 2011-09-22 2014-01-14 Etg Limited Engine lubrication method
ES2617590T3 (es) * 2011-11-29 2017-06-19 Xingyue Group Co. Ltd. Sistema de lubricación de un motor de cuatro tiempos manual
CN103511122B (zh) * 2012-06-15 2017-03-29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发动机
US9181883B2 (en) 2013-01-18 2015-11-10 Nagesh S. Mavinahally Four cycle engine carburetors
CN103047043A (zh) * 2013-01-22 2013-04-17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四冲程发动机的凸轮室
JP5689930B2 (ja) * 2013-07-24 2015-03-25 株式会社工進 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20160046527A (ko) 2014-10-21 2016-04-29 김헌규 삼각형상의 실린더를 가진 내연기관에서 타원형 로터의 피스톤 실링 구조
US10300786B2 (en) 2014-12-19 2019-05-28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EP3468823B1 (en) 2016-06-14 2024-09-04 Polaris Industries Inc. Hybrid utility vehicle
US20180135741A1 (en) * 2016-11-14 2018-05-1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 supply over range of gravitational conditions
DE102017120109B4 (de) * 2017-08-31 2019-05-23 ikra GmbH Schmiervorrichtung und Verbrennungsmotor mit einer solchen Schmiervorrichtung
CN210819981U (zh) 2017-09-15 2020-06-23 百乐帕斯托拉尔有限公司 锯木机及其枢轴体
DE102019000106A1 (de) * 2018-01-17 2019-07-18 Andreas Stihl Ag & Co. Kg Gemischgeschmierter Viertaktmotor
JP7085618B2 (ja) * 2018-03-30 2022-06-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
US10780770B2 (en) 2018-10-05 2020-09-22 Polaris Industries Inc. Hybrid utility vehicle
JP2020084976A (ja) * 2018-11-30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CN110005528B (zh) * 2019-04-08 2021-07-09 贵州永红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航空发动机滑油箱供油方法及柔性供油管
US11370266B2 (en) 2019-05-16 2022-06-28 Polaris Industries Inc. Hybrid utility vehicle
DE102019113615A1 (de) * 2019-05-22 2020-11-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Umlaufschmier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8991A1 (fr) * 1977-04-29 1978-11-24 Debock Andre Crepine non desamorcable par la force centrifuge
JPS6320803Y2 (ko) * 1984-10-05 1988-06-09
US4688529A (en) * 1985-07-10 1987-08-25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Lubricating system for horizontal cylinder overhead valve engine
JPH01103713U (ko) * 1987-12-28 1989-07-13
US4993380A (en) * 1990-01-02 1991-02-19 Hsu Shin I Lubrication mechanism of engine cylinder
US5241932A (en) * 1991-12-02 1993-09-07 Ryobi Outdoor Products Operator carried power tool having a four-cycle engine
US5709185A (en) * 1994-11-29 1998-01-20 Ishikawajima-Shibaura Machinery Co., Ltd. Lubricating system for four-stroke-cycle engine
TW487770B (en) * 1995-12-15 2002-05-21 Honda Motor Co Ltd Lubricating system in a 4-stroke engine
JP3190008B2 (ja) * 1996-10-09 2001-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における潤滑用オイルミスト生成装置
JPH10246106A (ja) * 1997-03-03 1998-09-14 Kioritz Corp 4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JPH10288019A (ja) * 1997-04-18 1998-10-27 Fuji Robin Ind Ltd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EP0887520B1 (en) * 1997-06-26 2002-08-21 Ishikawajima-Shibaura Machinery Co., Ltd. Oil supply apparatus of a four-stroke-cycle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15B1 (ko) * 2002-11-01 2006-06-02 (주)이.앤.이 소형 4사이클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2630A2 (en) 1999-12-08
US6213079B1 (en) 2001-04-10
DE69909895D1 (de) 2003-09-04
EP0962630B1 (en) 2003-07-30
DE69909895T2 (de) 2004-07-29
TW401480B (en) 2000-08-11
EP0962630A3 (en) 2000-02-23
KR100545318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318B1 (ko) 4사이클 엔진의 윤활 장치
JP5463111B2 (ja) 携帯型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5455080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100376062B1 (ko) 핸드헬드형 4사이클 엔진
JP5483275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20020034901A (ko) 엔진의 헤드 커버 구조
JP3626420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H10288019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US4527520A (en) Lubrication of an ancillary pump fitted to an engine
JP3975046B2 (ja) ハンドヘルド型四サイクルエンジン
JP3713125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3204643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4139247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3402568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
JP3244477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構造
JP3718327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3908887B2 (ja) ハンドヘルド型四サイクルエンジン
JP4270591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100584215B1 (ko) 소형 4사이클 엔진
JP3819666B2 (ja) ハンドヘルド型四サイクルエンジン
KR200311731Y1 (ko) 소형 4사이클 엔진
JP4458727B2 (ja) ハンドヘルド型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H1136839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3854050B2 (ja) 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3749614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オイル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