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811A - 유기기(遊技機) - Google Patents

유기기(遊技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811A
KR20000001811A KR1019980022246A KR19980022246A KR20000001811A KR 20000001811 A KR20000001811 A KR 20000001811A KR 1019980022246 A KR1019980022246 A KR 1019980022246A KR 19980022246 A KR19980022246 A KR 19980022246A KR 20000001811 A KR20000001811 A KR 2000000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lot machine
organic
main bod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나자와 요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자와 요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나자와 요쿠
Priority to KR101998002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811A/ko
Publication of KR2000000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2Setup operations, e.g. calibration, key configuration or button ass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장시간의 유기에 따르는 유기자의 육체적 피로의 감소를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흥취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기를 제공한다.
슬롯머신(11)의 본체(12)의 중앙 상부에는, 3개의 릴(reel)(13, 14, 1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12)의 정면 중앙 부분은 단차부(段差部)(19)로 되어 있고, 단차부(19)의 하부 좌측에는 스타트 레버(24)가 설치되고, 단차부(19)의 하부 중앙에는 정지버튼(25, 26, 27)이 마련되어 있다. 정지버튼(25 ∼ 27)의 상부 근방에 있어서 단차부(19)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며, 리브(rib) 형상을 이루는 손가락 걸림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유기자는 손가락 걸림부(32)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 등으로 정지버튼(25 ∼ 27)을 누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유기자에 의해 장시간의 유기가 실행된 경우일지라도, 유기자의 손가락 또는 팔에 가해지는 육체적인 피로감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Description

유기기(遊技機)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을 내장하여 구성된 유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늬를 가변표시하는 가변표시부를 구비한 슬롯머신 등의 유기기(遊技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상기와 같이 제어수단을 내장하여 구성된 다양한 유기기가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유기기의 하나인 슬롯머신은, 유기자의 스타트 레버의 스타트 조작에 의해 다수의 릴(reel)을 회전시키고, 정지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그들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릴의 회전이 정지했을 때에 각 릴에 대응하는 표시창에 표시되는 심벌(symbol)(무늬)이 특정 조합으로 되었을 경우, 소정 개수(個數)의 코인이 지불된다.
이러한 슬롯머신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고 평5-74391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고 평4-371179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기술을 비롯하여, 일반적으로 슬롯머신은, 그 본체 중앙 상부에 있어서, 3개의 릴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 릴의 심벌은, 투명한 표시창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인(視認)된다. 또한, 본체의 정면 중앙 부분은 단차부(段差部)로 되어 있고, 해당 단차부의 하부 좌측에는, 릴의 회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레버가 설치되며, 단차부의 하부 중앙에는, 각 릴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버튼이 각 릴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슬롯머신은, 코인의 투입 및 지불이 반복됨으로써 유기되는 것이기 때문에, 때로는 유기 시간이 장시간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유기자에 의해 장시간의 유기가 실행된 경우, 유기자는 육체적 피로를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서는 아무리 지쳐 있다 하더라도, 유기를 계속하는 이상, 유기자는 코인의 투입, 스타트 레버의 조작, 정지버튼의 누름 조작이라는 일련의 동작을 계속적으로 실행해야만 했다. 따라서, 장시간의 유기를 실행한 상태에서 유기를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기자는 특히 손가락 또는 팔에 육체적인 피로를 느끼면서 유기를 계속해야만 했다. 그 결과, 유기기 특유의 흥취가 감소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시간의 유기에 따르는 유기자의 육체적 피로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흥취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본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시인(視認)될 수 있는 무늬를 가변표시하는 가변표시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가변표시부에 표시되는 무늬를 정지 또는 확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유기기로서, 상기 조작부의 근방에 손가락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유기기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상기 조작부와는 상이한 다른 조작부의 근방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다.
게다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된 다수의 정지버튼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상기 정지버튼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리브(rib) 형상을 이루는 것인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본체에 있어서 가변표시부는, 무늬를 가변표시하고, 해당 무늬가 외부로부터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유기자가 본체에 설치된 조작부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가변표시부에 표시되는 무늬를 정지 또는 확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기자는 상기의 표시된 무늬에 따라서 유기를 즐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부의 근방에 손가락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기자는 그 손가락 걸림부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손가락 걸림부에 건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작용에 덧붙여, 손가락 걸림부가 상기 조작부와는 상이한 다른 조작부의 근방까지 연장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지를 위한 조작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을 위한 조작에 대해서도 손가락 걸림부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실행된다.
게다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발명의 작용에 덧붙여, 유기자는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된 다수의 정지버튼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가변표시부에 표시되는 무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유기자는 정지버튼의 상부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리브 형상을 이루는 손가락 걸림부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슬롯머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슬롯머신의 측면도.
도 3은 다른 실시형태의 슬롯머신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슬롯머신의 손가락 걸림부 근방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슬롯머신의 손가락 걸림부 근방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슬롯머신 12: 본체
13, 14, 15: 릴(reel) 19: 단차부(段差部)
25, 26, 27: 정지버튼
32, 33, 34, 36: 손가락 걸림부
이하, 본 발명의 유기기를 슬롯머신에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롯머신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머신(11)의 본체(12)의 중앙 상부에는, 각각의 외주면에 다수의 무늬(심벌)로 이루어진 심벌 열(列)이 그려진 3개의 릴(13, 14, 1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릴(13 ∼ 15)의 심벌은, 본체(12)에 설치된 투명한 표시창(16, 17, 18)을 통하여, 각각 3개씩 외부로부터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릴(13 ∼ 15) 등에 의해 가변표시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2)의 정면 중앙 부분(표시창(16 ∼ 18)의 하측)은 단차부(19)로 되어 있고, 해당 단차부(19)의 우측에는, 유기자가 유기 매체인 코인, 메달, 대용지폐(이하, 이들을 대표하여 「코인」이라 칭한다)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투입구(21)의 근방에는, 미리 「크레디트」되어 있는 코인에 의거하고, 누름버튼 조작에 의해 1회의 게임당 1개 내지 3개의 코인을 걸 수 있는 배트(bet) 스위치(22)가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단차부(19)의 좌측에는, 유기자가 획득한 코인의 「크레디트」 또는 「지불」을 누름버튼 조작에 의해 변환하기 위한 변환 스위치(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19)의 하부 좌측에는, 유기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릴(13 ∼ 15)의 회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레버(24)가, 유기자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단차부(19)의 하부 중앙에는, 유기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서 각 릴(13 ∼ 1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버튼(25, 26, 27)이 각 릴(13 ∼ 15)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2)의 정면 하부에는, 코인 지불구(支拂口)(28)로부터 지불되는 코인을 저장하기 위한 코인 받침접시(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인 지불구(28)로부터는, 상기 변환 스위치(23)의 「지불」에 대한 변환이 있었을 경우, 또는 소정 개수(예를 들어, 50개)의 코인이 「크레디트」된 경우로서 그것을 상회하는 지불이 있었을 경우에, 실제로 코인이 지불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슬롯머신(11)의 유기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표시창(16 ∼ 18)에는, 가로로 3개(중앙 및 상하) 및 비스듬하게 2개의 입상 라인이 마련되어 있다. 먼저, 게임의 개시에 앞서, 유기자가 코인 투입구(21)로부터 1개의 코인을 투입했을 때는 중앙의 입상 라인만이 유효화되고, 2개의 코인을 투입했을 때는 이것에 상하의 입상 라인이 첨가되고, 3개를 투입했을 때는 모든 입상 라인이 유효화된다. 이와 같은 입상 라인의 유효화는, 각 입상 라인의 양단(兩端)에 설치된 유효화 라인 표시 램프(31)가 점등함으로써 유기자에게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 코인을 투입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소정 개수의 코인이 「크레디트」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배트 스위치(22)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도 입상 라인의 유효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기자가 투입구(21)로부터 코인을 투입하거나, 또는 배트 스위치(22)를 누름 조작한 후, 상기 스타트 레버(24)를 경동(傾動)조작함으로써, 3개의 릴(13 ∼ 15)이 일제히 회전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각 릴(13 ∼ 15)에 대응하여 설치된 정지버튼(25, 26, 27)의 조작이 유효화된다. 따라서, 유기자는 이들 버튼(25 ∼ 27)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대응하는 릴(13 ∼ 15)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화되어 있는 입상 라인 상에서 정지한 심벌의 조합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입상 조합에 해당할 경우, 그 입상의 종류에 따른 다수의 코인이 코인 지불구(28)로부터 코인 받침접시(29)로 지불되거나 「크레디트」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특징적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지버튼(25 ∼ 27)의 상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19)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며, 리브 형상을 이루는 손가락 걸림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가락 걸림부(32)는, 단차부(19)의 앞면을 따르도록 하여 평면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그 돌출된 상면(上面)은 만곡면(灣曲面)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 걸림부(32)는, 오른쪽의 정지버튼(27)보다도 우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왼쪽의 정지버튼(25)보다도 좌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가락 걸림부(32)의 좌측은, 스타트 레버(24)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지버튼(25 ∼ 27)의 상부 근방에 있어서 단차부(19)에는 손가락 걸림부(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기자는 그 손가락 걸림부(32)에 손가락(구체적으로는 인지, 중지, 약지)을 건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구체적으로는 엄지) 등으로 정지버튼(25 ∼ 27)을 누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유기자에 의해 장시간의 유기가 실행된 경우일지라도, 손가락 걸림부(32)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조작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자의 손가락 또는 팔에 가해지는 육체적인 피로감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가령 유기가 장시간에 이르렀다 할지라도 슬롯머신(11) 특유의 흥취가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걸림부(32)는, 왼쪽의 정지버튼(25)보다도 좌측으로 연장설치되고, 스타트 레버(24)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르고 있다. 그러므로, 릴(13 ∼ 1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버튼(25 ∼ 27)의 누름 조작뿐만 아니라, 릴(13 ∼ 15)의 회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레버(24)의 경동(傾動)조작에 대해서도, 손가락 걸림부(32)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덧붙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걸림부(32)는, 단차부(19)의 앞면을 따르도록 하여 평면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된 다수의 정지버튼(25 ∼ 27)을 누름 조작함에 있어서는, 손가락 걸림부(32)에 건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서 정지버튼(25 ∼ 27)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손가락 걸림부(32)가 정지버튼(25 ∼ 27)을 누름 조작함에 있어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조작성 및 흥취의 향상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손가락 걸림부(32)의 상면(上面)이 만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걸었을 때는, 해당 상면이 손가락에 대하여 부드럽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자는 손가락 걸림부(32)에 손가락을 거는 것에 의해 생기는 통증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즉, 조작 필링(feeling)의 악화를 초래하지 않고, 유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걸림부(32)를, 단차부(19)의 앞면을 따라서 평면 직선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했으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손가락 걸림부(33)를 분단시켜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걸림부(34)의 기부(基部)에 슬릿(35)을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들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손가락 걸림부(33) 사이의 틈 또는 손가락 걸림부(34)에 설치된 슬릿(35)으로부터 티끌 또는 먼지 등의 이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손가락 걸림부(33, 34)와 단차부(19) 사이의 코너부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b)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부(19) 및 손가락 걸림부(36) 사이에 오목부(37)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손가락의 끝부분을 오목부(37) 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필링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걸림부(32)를 왼쪽의 정지버튼(25)보다도 좌측으로 연장설치하고, 스타트 레버(24)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르게 하였으나, 최소한 정지버튼(25 ∼ 27)의 근방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연장설치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손가락 걸림부(32)를 오른쪽의 정지버튼(27)보다도 더 우측으로 연장설치시키고, 투입구(21) 또는 배트 스위치(22)까지 이르게 할 수도 있다.
(d) 손가락 걸림부를 유기자의 조작에 의해 출몰(出沒)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기기로서 슬롯머신에 본 발명을 구체화했으나, 다른 유기기(예를 들어, 파친코, 어레인지 볼(arrange ball), 스마트 볼(smart ball))에도 구체화할 수 있다.
(f) 릴(13 ∼ 15) 또는 정지버튼(25 ∼ 27) 등의 수 또는 배열 등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트 스위치(22) 또는 변환 스위치(23) 등을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지장이 없다.
(g)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가락 걸림부(32)는, 그의 상면이 만곡면으로 되어 있었으나, 반드시 만곡면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h)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무늬를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부로서 누름 조작되는 정지버튼(25 ∼ 27)을 사용하는 것으로 했으나, 다른 조작 방법(예를 들어, 단순한 접촉, 레버 조작, 회동 조작 등)에 의해 무늬를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i)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걸림부(32)를 단차부(19)에 설치하도록 했으나, 정지버튼(25 ∼ 27) 등의 조작부의 근방일 경우, 본체(12)의 정면 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j)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차부(19)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하여 돌출되는 손가락 걸림부(32)를 설치하는 것으로 했으나, 단차부(19)와 손가락 걸림부의 사이를 만곡면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티끌 또는 먼지 등의 이물을 배츨시킬 수 있고, 코너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k)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변표시부(릴(13 ∼ 15)) 또는 조작부(정지버튼(25 ∼ 27))를 함께 1개의 본체(12)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본체를 여러 개로 구성하여, 각각에 가변표시부 또는 조작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본체는, 반드시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가변표시부와 조작부가 서로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것도 포함한다는 취지이다.
(l)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림 또는 문자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하학적인 선 또는 도형도 포함한다는 취지이다. 또한, 빛 이나 색 등에 의해서도 무늬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무늬는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입체적 형상 등의 각종 식별정보도 포함하는 것이다.
(m)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지버튼(25 ∼ 27)이 누름 조작됨으로써, 대응하는 릴(13 ∼ 15)의 회전이 정지되어, 무늬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정지버튼 등의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무늬를 확정시키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기자의 정지버튼 등의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정지되는 무늬가 제어수단에서 확정되고, 그 확정 무늬가 상기의 조작과는 무관하게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정지표시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에 기재되지 않은 것으로서,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그 효과와 함께 기재한다.
(1)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유기기에 있어서, 손가락 걸림부 또는 그 근방에는 이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排出口)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손가락 걸림부 또는 그 근방에 이물이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유기기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청구항 1 내지 3 및 상기 (1)에 기재된 유기기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상기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가이드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성 및 흥취의 향상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기는, 장시간의 유기에 따르는 유기자의 육체적 피로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흥취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본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시인(視認)될 수 있는 무늬를 가변표시하는 가변표시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가변표시부에 표시되는 무늬를 정지 또는 확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유기기로서,
    상기 조작부의 근방에 손가락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상기 조작부와는 상이한 다른 조작부의 근방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된 다수의 정지버튼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상기 정지버튼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리브 형상을 이루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KR1019980022246A 1998-06-15 1998-06-15 유기기(遊技機) KR20000001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246A KR20000001811A (ko) 1998-06-15 1998-06-15 유기기(遊技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246A KR20000001811A (ko) 1998-06-15 1998-06-15 유기기(遊技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1A true KR20000001811A (ko) 2000-01-15

Family

ID=1953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246A KR20000001811A (ko) 1998-06-15 1998-06-15 유기기(遊技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8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870B1 (ko) * 2000-07-25 2006-09-1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칼럼의 완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284A (ja) * 1987-10-16 1989-04-21 Sophia Co Ltd 遊戯装置
JPH04108469A (ja) * 1990-08-28 1992-04-09 K R Tokkyo Kanri Kk スロットマシンの操作部
JPH1052528A (ja) * 1996-08-13 1998-02-24 Taiyo Elec Kk 弾球遊技機
JPH1080543A (ja) * 1996-09-06 1998-03-31 Taiyo Elec Kk コイン式弾球遊技機
JPH11169506A (ja) * 1997-12-15 1999-06-29 Ace Denken:Kk スロットマシン
JPH11239629A (ja) * 1998-02-24 1999-09-07 Sanyo Bussan Kk 遊技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284A (ja) * 1987-10-16 1989-04-21 Sophia Co Ltd 遊戯装置
JPH04108469A (ja) * 1990-08-28 1992-04-09 K R Tokkyo Kanri Kk スロットマシンの操作部
JPH1052528A (ja) * 1996-08-13 1998-02-24 Taiyo Elec Kk 弾球遊技機
JPH1080543A (ja) * 1996-09-06 1998-03-31 Taiyo Elec Kk コイン式弾球遊技機
JPH11169506A (ja) * 1997-12-15 1999-06-29 Ace Denken:Kk スロットマシン
JPH11239629A (ja) * 1998-02-24 1999-09-07 Sanyo Bussan Kk 遊技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870B1 (ko) * 2000-07-25 2006-09-1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칼럼의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8657B2 (ja) スロットマシン
US20040224747A1 (en) Gaming machine
DK2232453T3 (en) Gaming and / or entertainment device
JP2007054242A (ja) 遊技台
US5813511A (en) Slot machine
JP2011103965A (ja) 遊技台
JP2011098127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11030902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7029631A (ja) スロットマシン
JP3843306B2 (ja) 遊技機、遊技機のプログラム
JP2002292035A (ja) 弾球遊技機
JP2006271425A (ja) 遊技機
JP2014176560A (ja) 遊技機
KR20000001811A (ko) 유기기(遊技機)
CN102810233A (zh) 游戏机及用于在显示窗上滚动显示卷筒的显示控制方法
JP5604732B2 (ja) 遊技台
JP6216737B2 (ja) 遊技機
JP3830449B2 (ja) スロットマシン
JP3511884B2 (ja) 遊技機
JP4905699B2 (ja) スロットマシン
KR20060014367A (ko) 슬롯머신
JP5453171B2 (ja) 遊技機
JP2007000234A (ja) 遊技機
JP2005118303A (ja) 遊技機
JP2007054473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