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346A - 새로운 국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로운 국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346A
KR19990087346A KR1019980706755A KR19980706755A KR19990087346A KR 19990087346 A KR19990087346 A KR 19990087346A KR 1019980706755 A KR1019980706755 A KR 1019980706755A KR 19980706755 A KR19980706755 A KR 19980706755A KR 19990087346 A KR19990087346 A KR 1999008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alcohol
skin
irri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스 씨. 티. 왕
모하메드 유서프
Original Assignee
미쉘 지. 멘지니
죤슨 앤드 죤슨 컨써머 캄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609,588 external-priority patent/US5976555A/en
Application filed by 미쉘 지. 멘지니, 죤슨 앤드 죤슨 컨써머 캄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쉘 지. 멘지니
Publication of KR1999008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피부 보호 조성물은 레티노이드(retinoid)를 함유한 오일-인-워터 유제 베이스(oil-in-water emulsion base)를 포함하고, 물리적으로 화학적으로 우수한 안정성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국소 조성물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피부 보호 조성물은 최근에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비타민 A 산 또는 트레티노인(tretinoin)으로 또한 알려진 레티노이드산은 여드름과 같은 피부 상태의 치료에 우수하며, 레티노이드산을 함유한 제품은 상업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Dermatolological Division of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이러한 제품은 예를 들면,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인 부틸레이티디 히드록시툴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으로서 포함하는 레티노이드산으로 된 오일과 물이 혼합된 에멀션인 레틴 A*크림을 포함하는데,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타놀 용제에 있는 레티노이드산의 용액은 BHT를 산화방지제로 사용하는 레틴 A*액체와, 레틴 A*겔은 용제로서 에틸 알코올, 농축기 또는 겔화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산화방지제로서 BHT를 포함하는 겔 매개물에 레티노이드산을 포함한다. 제품에 함유한 이들 레티노이드산은 안정적임이 증명되었고, 연장된 저장 기간 후에도 활성적인 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최근에는 더 많은 레티노이드 사용은 여드름 이외, 예를 들면 감광 노화 및 햇빛 손상에 대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것과 같은 치료법이 제시되어져 왔다. 어린 시절에 햇빛에 많이 노출되었던 많은 사람들은 나중에 성인 생활에서 다음의 심한 피부 변화, 즉 주름, 가죽 피부, 황달, 늘어짐, 거침, 건성, 얼룩(고착색) 및 다양한 악성 성장(종종 잠재적인)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쉽게 그을리고, 부족하게 햇빛에 타는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 가장 흔하다. 햇빛의 이들 누적 효과를 흔히 "감광 노화(photoaging)"라 한다. 비록 피부의 해부상의 열화가 초기에 가장 진전되지만, 과다하게 햇빛에 노출로 인한 파괴적 효과는 이미 20년 동안에 증명되었다. 외피 및 진피의 심각한 미세한 변화는 이들이 임상적으로 확인되기 전에 10년간 발생한다. 주름, 황달, 가죽 피부 및 탄성 상실은 매우 느리게 변한다.
피부 노화 문제에 대해 미국 특허 번호 제 4, 603, 146에 기술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피부 연화 매개물에 있는 비타민 A 산이 치료제로 제시되어져 있다. 게다가, 미국 특허 번호 제 4,877,805호에는, 많은 레티노이드는 피부의 햇빛 손상을 회복하여 원상태로 하는데 유용하다라고 제시되어 있다.
피부 보호 생성물질에 있는 레티노이드의 용도를 고려해 볼 때, 어떤 레티노이드, 예를 들면 레티놀(비타민 A 알코올), 레티날(비타민 A 알데히드)과 같은 어떤 레티노이드와 레티닐 아세테이트와 레티닐 팔미트산염와 같은 레티닐 에스테르가 레티노이드산 전반에 선호된다라고 여긴다. 이것은 자연적으로 인간에게 발생하는 내인성 화합물이고, 좋은 성장, 상피 조직의 분화 및 재생산에 있어서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체 상당 부분에 레티놀을 과다하게 비활성 에스테르 형형, 예를 들면 레티닐 팔미트산염, 어느 정도는 레티닐 아세테이트에 저장한다. 알데히드, 레티날, 또한 바람직한 형태는 레티놀의 활성 대사 산물이다. 따라서, 이들 선호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을 조제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제품을 조제하면서, 레티노이드산 제조법에 대해 추구된 동일한 성질은 다른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조성물에 대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많은 주의가 미학적으로 기쁘고, 실질적인 저장 수명 이후 활성 성분을 전달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놀랍지 않게, 이러한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제품을 제조하면서, 본 기술은 레티노이드산을 함유한 이미 존재하는 제조법에서 얻어진 경험을 이끌어낸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제조법은 오일-인-워터 유제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레티노이드산이 유상(oil phase)내에 운반되고,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산화를 방지한다. 유제의 형태에 대해, 오일-인-워터 유제는 예를 들면, 워터-인-오일 유제와 비교해 볼 때, 유제가 피부로부터 쉽게 제거하기 위해, 다른 이러한 유제 제품과 일치하는 비차단, 비윤활성이고, 미학적으로 더 기쁘고 또한 제조에 있어 보다 경제적이라고 여긴다는 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활성 성분의 화학적 안정성에 대해, 유상에 있는 레티노이드산은 주로 상기 유상에서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잘 보호된다는 것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로서 레티노이드산 및 BHT를 함유한 다양한 오일-인-워터 유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제 3,906,108호, 제 4,066,805호, 및 제 4,247,547호)에 기술되고 선전되어져 왔다. 이들 특허에 기술된 레티노이드산을 함유한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으로 증명되거나 알려져 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날 및 레티닐 아세테이트와 레티닐 팔미트산염과 같은 레티닐 에르테르를 함유하는 다른 레티노이드를 혼합하는 많은 피부 보호 제품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이들은 놀랍지 않게도, 상업적인 레티노이드산 조성물의 제조법을 모방, 다시 말하면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에 의해 보호되는 오일-인-워터 유제이다. 불행하게는, 이러한 조성물에 이들 다른 레티노이드가 활성화를 빠르게 누그러뜨리고, 효력이 없는 화학 형태에 대해 산화시키거나 이성질체가 되게 하여, 제품의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기에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레티노이드의 양은 효과 없는 양으로 부적합하게 짧은 시간 기간에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양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미국 특허 번호 제 4,826,828호에서와 같이, 오일-인-워터 유제에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아세테이트 및 레티닐 팔미트산염을 포함하는 안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시도가 행해져 왔다. 미국 특허 번호 제 4,826,828호의 양수인인 에이번 프러덕츠 인코퍼레이티사에서는 바이오어드밴스(Bioadvance) 및 바이오어드밴스 2000이라 불리는 2가지 피부 보호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들 제품 각각은 사용하기 직전에 함께 혼합된 2가지 병에 담긴 부분에 공급된다. 미국 특허 번호 제 4,720,353호(Bell)에는 피부에 국소(topical) 적용을 위해 의도된 다양한 약제 및 약품에 사용하는 오일-인-워터 유제 캐리어를 기술한다. 다른 워터-인-오일 타입 유제가 유럽 특허 0 343 444 A2(Siemer 등에 의해) 및 유럽 특허 0 330 496 A2(Batt)에 기술되어져 있다.
현재 폐기된, 크럼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07/719,264호에는 (a)키일레이트제 및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 (b) 키일레이트제 및 하나 이상의 워터 용해 산화방지제, 및 (c) 유제의 유상 및 수상 중 어느 하나에 존재하는 산화방지제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레티노이드와 안정화 시스템을 함유한 안정 워터-인-오일 조성물을 기술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40℃에서 13주 동안 저장을 한 후 레티노이드의 약 60% 이상을 간직하고 있다. 비록 이러한 시스템이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제품에 아주 안정적이고, 유용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터-인-오일 유제이며, 이러한 제형의 속성, 이점 및 단점 모두를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사용하기 위해 안정적이며 적합한 오일-인-워터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피부, 특히 사람의 얼굴 피부의 질을 향상시키는 레티노이드(retinoid) 및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일-인-워터 유지(oil-in-water emulsion) 및 어떤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피부 보호 조성물과,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의 화학 안정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상기의 조성물을 패키지하는 방법 및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참조 문헌
본 출원은 미국 특허 출원(1995년 9월 6일에 출원된 제 08/523,836호 및 1996년 3월 1일자에 출원된 제 08/509,588호)과 일본 특허 출원(1994년 9월 7일에 출원된 Hei 6-238639)을 참조하여 병합하고, 이것으로부터 본 명세서는 우선권 혜택을 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머니가 배치되는 외측 용기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머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주머니에 사용되는 다층 필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다른 산화방지제에서의 레티놀 안정성을 시간(주)에 대한 레티노이드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에 따라, 어떤 레티노이드는 레티노이드를 상세하게 한정된 안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일-인-워터 유제에 혼합함으로써 성공적으로 화학적 열화에 대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 현재 예상하지 않은 채 발견되어져 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용으로 고상한 오일-인-워터 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화학적 열화에 대해 안정적일 수 있는 레티노이드는 레티놀(비타민 A 알코올), 레티날(비타민 A 알데히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트산염 및 그 혼합물이다. 합성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와 유사한 화화약품을 함유하는 다른 레티노이드는 본 발명의 제형에 포함으로부터 이롭다는 것이 또한 이론적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것과 같이, 레티노이드의 "화학적 안정성" 또는 "안정성"은 조성물이 특정한 온도에서 특정한 시간 동안 저장되어진 후 원래의 화학적 형태대로 유지된 특정한 레티노이드의 퍼센트의 항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순수한 에타놀 용액에 올-트랜스(all-trans) 레티놀의 원래의 농도가 중량으로 0.20% 이었다면, 실온(21℃±1℃)에서 2주간의 저장 후에, 올-트랜스 레티놀의 농도는 중량으로 0.18% 이었다면, 그러면, 원래의 용액은 실온에서 2주간의 저장 후에는 화학적 안정성이 9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방법에서, 만약 올-트랜스 레티놀을 포함하는 유제가 초기 농도가 중량으로 0.30%라면, 40℃에서 13주 동안 저장을 한 후에는 올-트랜스 레티놀의 농도가 중량으로 0.24%라면, 그러면 유제 레티놀은 40℃에서 13주 저장 후에는 80%의 농도이다.
상세하게,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조성물은 40℃에서 13주 저장을 한 후 활성 레티노이드(들)의 약 60% 이상이 안정성을 나타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40℃에서 13주 저장을 한 후 약 70% 이상이 안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지에 따라,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트산염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레티노이드 및 오일-인-워터 유제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조성물은 약 4 내지 약 10의 pH을 갖으며; 상기 조성물은 유상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유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불포화 레벨을 갖으며; 상기 조성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즉
a)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와,
b) 키일레이트제 및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와,
c) 키일레이트제와,
d) 상기 유제의 유상 및 수상의 각각에 존재하는 키일레이트제 및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40℃에서 13주 저장을 한 후 상기 레티노이드의 약 70% 이상을 간직하고 있다.
게다가, 새로운 유상화 시스템을 갖는 오일-인-워터 유제를 본 명세서에서는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오일-인-워터 유제 조성물은
a) i)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 스테아레이트로 된 혼합물과,
ii)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테아릴 글루코시드와,
iii) CH3(CH2)16CH2(OCH2CH2)nOH(여기서, n은 21) 화학식의 스테아릴 알코올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로 된 혼합물과, CH3(CH2)16CH2(OCH2CH2)nOH(여기서, n은 2) 화학식의 스테아릴 알코올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와,
iv)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의 혼합물(에틸렌 산화물의 20몰로 응축된 소르비톨 및 소르비톨 무수물의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로 된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상화제 시스템과,
b)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동 유상유제(co-emulsifier)와,
c) i) 순하고, 건성의 흡수되기 쉬운 오일과,
ii) 실재적으로 피부를 연화시키는 오일 또는 왁스(여기서, 상기 건성의 흡수되기 쉬운 오일과 실재적으로 피부를 연화시키는 오일은 약 1:3 내지 약 10:1의 비율로 존재한다.)를 포함하는 전체 유제 조성물의 중량으로 약 2% 내지 약 20%의 양에 존재하는 유상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한 종류의 유제, 즉 오일-인-워터(oil-in-water) 형태이다. 여기에 사용된 것처럼, 유제의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개념은 다시 말해서 실내 온도에서 또는 대략 실내 온도에서 용인할만한 저장 기간동안 분리된 채로 남아 있는 두 개의 혼합할 수 없는 액체의 본질적인(intimate) 혼합물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혼합할 수 없는 액체가 기계적으로 교반(agitation)될 때, 두 개의 상 모두는 처음에 방울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그 후에, 교반이 멈추면, 방울들은 신속하게 합체하고, 두 액체는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유제는 형성되어 물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으며, 만약 유상화제(emulsifier)로 언급되는 화합물이 상기 혼합할 수 없는 액체로 첨가된다면, 본질적인 혼합물 내의 물방울의 지속 시간은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흔히 한 개의 상만이 오랜 기간동안 방울 형태로 존속되며, 이것은 외부 상에 둘러싸인 내부 상으로 언급된다. 오일-인-워터 유제는 외부 상(또한 연속 상으로 불림)이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포함하고, 내부 상(또한 불연속 또는 확산 상으로 불림)이 오일 또는 서로 용해 가능한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피부 보호 활성 조성물을 나르기 위한 적절한 매개물은 다양한 특성을 겸비해야 한다. 상기 매개물은 그 의도된 용도를 위해 미적으로 훌륭해야 하는데, 즉, 색소 화장품을 포함한 다른 제품과 호환성이 있어야만 하며, 냄새가 낮거나 적어야 하며, 바르고 펴기 쉽고, 쉽게 흡수되고, 기름기 없는 그러나 느낄 수 있을 정도의 기능성 잔류물을 방치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매개물은 쉽고 빠르게 제조되어야 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고온 및 저온과 같은 다양한 악조건 하에서도 적절한 물리적 안정성을 가져야만 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조성물들은 외용 후에 피부에 남아 있는 비휘발성 화합물로 구성된 미적으로 용인할만한 유상 물질을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들은 또한 화학식으로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용인할만한 유상화 시스템을 포함해야만 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유상화 시스템들은 조성물들의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미적 외관과 조성물의 느낌을 "균형을 맞추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용한 유상화물은 (i) 글리세릴 스테아릴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 스테아릴의 혼합물, (ii) SEPPIC로부터 Montanov 68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세테아릴(cetearyl) 알코올 및 세테아릴 글루코시드(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릴 알코올과 혼합하여), (iii) 다음 화학식 CH3(CH2)16CH2(OCH2CH2)NOH(여기서, n은 21)의 스테아릴산염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와 다음 화학식 CH3(CH2)16CH2(OCH2CH2)NOH(여기서, n은 2)(ICI Americas로부터 Brij 721 및 Brij 72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의 혼합물, 그리고 (iv) ICI Americas로부터 각각 Span 60 및 Tween 60으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소르비탄 스테아릴(sorbitan stearate)과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소르비톨의 스테아릴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 20 몰로 농축된 소르비톨 무수물(sorbitol anhydrides)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두 개의 특히 선호되는 유상화 시스템은 (a) 글리세릴 스테아릴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 스테아릴의 혼합물과 (b) 스테아릴 알코올 및 스테아레이트 글루코시드를 포함한다. 상기 유상화 시스템은 수상과 유상이 화합되어서 유상이 수상에 방울을 형성하게 한다. 시스템 (a)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합시킬 때,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 스테아릴에 대한 글리세릴 스테아릴의 비율은 대략 1:1로부터 되어야 한다. 시스템 (b)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합시킬 때, 세테아릴 글루코시드에 대한 스테아릴 알코올의 비율은 대략 6:1 내지 대략 3:1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는 유상화제의 양은 대략 1 내지 대략 10 질량 백분율이 되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대략 6 질량 백분율이 사용되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대략 5 질량 백분율이 사용되어야 한다. 방울들을 독립된 실체로 유지하기 위해서, 또한 상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보조 유상화제 또는 "공동-유상화제(co-emulsifiers)"가 종종 사용된다. 상기 공동-유상화제는 유상이 합체하거나 크림이 되는 것을 막으며, 또한 피부에 바르기 전에 유제로 물리적으로 안정된 상을 유지한다. 상기 공동-유상화제는 상기 조성물에 점성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제형에 로션 또는 크림과 같은 특성을 부여한다. 특히 유용한 공동-유상화제는 세틸(cetyl) 및 스테아릴 알코올 등과 같은 지방질 알코올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틸과 스테아릴 알코올은 대부분의 경우에 공동-유상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아릴 알코올에 대한 세틸 알코올의 비율은 대략 2:1 내지 대략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유상화제는 상기 조성물의 대략 1 내지 대략 5 질량 백분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유상화제에 대한 유상화제의 바람직한 비율은 대략 3:1 내지 대략 1:10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율은 대략 3:1 내지 1:3 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레티노이드(retinoid) 화합물을 함유하는 오일-인-워터 유제 성분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유제의 물리적 안정성과 상기 활성 성분의 화학적 안정성은 훌륭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제 성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저장하는 동안에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전에 그들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유제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유상화물, 공동-유상화물, 및 유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염기 유제는 레티노이드와 결합해서 뿐 아니라 레티노이드 물질을 함유하고 있거나 함유하지 않은 다양한 활성 국소(topical)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오일-인-워터 유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부 보호 조성물은 유제의 유상과 수상의 상대적인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대로 크림 또는 로션 제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pH는 대략 4 내지 대략 10의 범위에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6 내지 대략 8 이어야 한다. 대략 6 또는 그 이상의 pH를 가지는 조성물에서, 레티노이드는 6보다 낮은 pH 에서보다 더 안정하다. 더욱이, 레티노이드의 안정성은 6 또는 그 이상의 pH 에서의 제형에서 사용되는 활성 물질에 보다 덜 의존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오일은 상대적으로 높게 포화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요오드 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 내의 각각의 오일의 불포화 기여도, 즉 농도 C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는데:
C = A × B,
여기서, A는 오일과 물이 혼합된 유제에 사용되는 불포화 오일 또는 지방의 백분율이고, B는 불포화 오일의 요오드가(價)이다. 만약 오일의 혼합물이 유상에 사용된다면, 총 불포화 농도는 모든 각각의 C 가의 합계일 것이다. 따라서, 120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또는 그 이하의 불포화 농도 또는 합계 C를 가지는 유상이 본 발명의 제형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레티노이드 및 다른 물질과의 반응을 초기화할 수 있는 불포화 오일 및 지방에 활성 이중 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포화 오일 및/또는 지방은 포화된 오일 및 지방보다 덜 활성적이라는 것이 이론화되어 있다. 유용한 합성 오일은 예를 들면 옥틸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octylhydroxystearate), 세틸 팔미트산염(palmitate), 세틸 알코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 펠라고네이트 등의 지방 산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이다. 바람직한 오일의 예는 다음과 같은데, 매우 낮은 요오드 가를 가지는, Finslov TN(뉴저지의 Finetex로부터 사용 가능), Miglyol 812(뉴욕의 Huls Corporation로부터 사용 가능), 실리콘 오일(미시간의 Dow Corning), 미네랄 오일 등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또한 매우 유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는 오일의 백분율도 또한 관련되는데, 상기 고 요오드 가 오일의 백분율이 낮아질수록 상기 조성물의 레티노이드는 더 안정된다.
본 발명의 유제 조성물을 피부에 바를 때, 상기 조성물의 수분은 휘발되고, 반면에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비휘발성 부분은 피부에 남는다. 유상 조성물은 공동-유상화물 및 유상화물과 함께 상기 조성물의 비휘발성 부분을 구성한다. 따라서, 비휘발성 부분의 미적 특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하나 이상의 "건식" 흡수성 완화제와 하나 이상의 독립성 오일 또는 왁스 모두를 함유하는 유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흡수성 완화제 오일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신속하게 흡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요구된다. 상기 건식 흡수성 완화제 오일은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 바람직한 속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속성은 만약 건식 흡수성 오일이 단지 유상에 있는 오일이라면 불쾌함을 줄 수 있다. 그러한 오일은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피부에 어떤 긍정적인 "느낌"도 남겨두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오일은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코팅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독립성 피부 조절 오일 또는 왁스와 균형을 이루어서,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이후의 느낌(afterfeel)"을 남겨 놓아야 한다. 상기 독립성 오일 및 왁스는 그러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는데, 그러나 과도하게 사용될 때에는, 피부에 끈적끈적한 느낌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제 염기의 이익은 유상에 대해서 상기 조성물의 미감을 균형 있게 하고, 활성적인 피부 조절 및/또는 건강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성분에 대해서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다. 독립성 피부 조절 오일에 대한 건식 흡수성 완화제의 비율은 대략 1:3 내지 대략 1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은 대략 1:3 내지 대략 5: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은 대략 1:1이어야 가장 바람직하다. 건식 흡수성 완화제는 C12-15 알킬 안식향산염(alkyl benzoate)(Finetex로부터 Finsolv TN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 카프릭 - 키프릴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ic - caprylic triglycerides) (Miglyol 812로 Huls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 또는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적절한 합성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독립성 오일 또는 왁스는 백색 바셀린, 옥틸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세틸 팔미트산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상의 총합은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의 대략 2%의 매우 낮은 수준으로부터 조성물의 대략 20% 만큼까지 변할 수 있다. 유상은 단지 피부에 코팅을 하기만 하거나 끈적거리는 느낌을 주는 과도한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바람직한 확장성과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조성물의 대략 5% 내지 대략 12%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의 변화량은, 활성 성분을 피부에 적절히 바르게 하기 위한 매개물로써의 역할도 하고 때로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미적 기여물을 변경하기도 하는, 비타민과 선스크린을 포함한 추가적인 조성물의 특성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오일 외에도, 다른 완화제와 표면 활성제는, 글리세롤 트리올리에이트(glycerol trioleate), 아세틸레이트 자당 디스테아레이트(acetylated sucrose distearate), 소르비탄 트라이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폴리옥시에틸렌 (1) 모노 스테아레이트(polyoxyethelene (1) monostearate),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옥틸페녹실폴리 (에틸레네옥시) 에탄올(octylphenoxypoly (ethylenoxy) ethanol), 데카글리세린 펜타-이소스테아레이트(decaglycerin penta-isoste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히드록실레이티드 라놀린(hydroxylated lanolin), 라놀린, 트라이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polywxyethylene (2) oleyl ether), 칼슘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calcium stearoyl-2-lactylate), 메틸 글루코시드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염,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22/도덱실 글리콜 공중합체(Elfacos E200), 폴리에틸렌 글리콜-45/도덱실 글리콜 공중합체 (Elfacos ST9),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스테아레이트, 및 라놀린에서 추출된 스테롤 추출물,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세틸 알코올 및 라놀린 알코올과 같은 미리스테이트(myristates); 세틸 팔미트산염; 콜레스테롤, 스테아릭 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을 포함하는 유제에 혼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하나 이상의 오일에 녹는 산화방지제를 가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오일에 녹는 산화방지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빌 팔미트산염(ascorbyl palmitate),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페닐-a-나프틸라민(phenyl-a-naphthylami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노르디하이드로과이어레틱 산(nordihydroguaiaretic acid), 로즈메리(rosemary) 추출물 및 그들의 혼합물 뿐 만 아니라, 본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호환성이 있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오일에 녹는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수용성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수상에서 존재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수용성 산화방지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나트륨 메타비술파이트(sodium metabisulfite), 나트륨 비술파이트, 나트륨 티오비술파이트, 나트륨 포르말디하이드 술폭실레이트(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이소아스코르브산, 티오글리세롤, 티오소르비톨, 황화요소(thioureaO,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ydrochlorideO, 1,4 - 디아조비사이클로 - (2,2,2) - 옥탄(1,4 - diazobicyclo - (2,2,2) - octane), 사과산(ma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리코펜(licopene) 및 그들의 혼합물 뿐 만 아니라 본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호환성이 있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수용성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습윤제(humectant),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료, 방향제, 표면 활성제, 결합제 등 뿐 만 아니라 피부 보호제, 치료제 및 "코즈메슈티컬(cosmeceuticals)"과 같은 원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분리성 물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합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제가 피부에 발라질 때, 상기 분리성 물질은 부서진다. 유제가 완전히 부서져서 피부로 흡수되기 전에, 분리성 물질은 건조되면서 종종 끈적거리는 느낌을 남겨 둔다. 이것은 세틸 및 스테아릴을 함유하는 유제에서 이 물질들의 액정 특성 때문에 특히 그러한데, 이는 상기 물질들이 피부에 적용될 때 수분을 상당히 천천히 잃기 때문이다. 예상외로, 어떤 분리성 물질이 이러한 끈적거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활석 같은(talc-like)" 특성을 가지는, 다시 말해서 판금 같은 형태로 결정화하는 물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매끄러움을 더해주는 용도로 바람직하다. 다른 비-판금성 고체는, 비록 덜 선호될지라도, 분리제의 용도로 또한 용인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분리성 물질은 라우로일 리진(lauroyl lysine), 산화 티타늄, 산화 아연, 분쇄된 나일론, 오트밀 및 표면 처리된 오트밀, 무수규산, 운모, 황산 바륨, 알루미늄 녹말, 옥테닐 석시테이트(octenyl succinate), 미분화 폴리에틸렌, 질화 붕소, 옥수수 녹말(corn starch), 활석 또는 규소 왁스 또는 오일, 및 피부에 가시적인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 다른 용해성 입자이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성 물질은 라우로일 리진, 질화 붕소, 활석 또는 규소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리제는 라우로일 리진(Ajinomoto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Amihope LL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분리제는 매우 낮은 농도, 즉 대략 0.01% 내지 대략 7&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제는 대략 0.5% 내지 대략 1% 중량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성 유제와 호환되는 다른 분리성 물질도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데 적합할 것이다.
놀랍게도, 적은 농도의 낮은 알킬기 알코올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심미적인 이득을 제공한다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낮은 알킬기의 용매 알코올을 첨가하는 것이 세틸 및 스테아릴 알코올의 존재 때문에 피부 상에서 유제의 왁스 느낌을 누그러뜨린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낮은 알킬기 알코올은 상기 지방성 알코올에 의해서 형성된 액정 구조를 용해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 한 개 내지 네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낮은 알킬기 알코올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야 한다. 그들은 상기 조성물에 대략 2% 내지 대략 10%의 중량비에 따른 양만큼 존재해야 한다.
희석제의 예로는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크실리톨(xylitol), 말티톨(maltitol), 랙티놀 등등이 있다. 그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합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살리실산, 클로르헥시딘 염산염(chlorhexidine hydrochloride),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안식향산 나트륨(sodium benzoate), 메틸 파라-수산화안식향산염(methyl para-hydroxybenzoate), 에틸 파라-수산화안식향산염, 프로필 파라-수산화안식향산염, 부틸 파라-수산화안식향산염 등이 있다.
향료 및 방향제의 예로는 멘톨(menthol), 아네톨(anethole), 카르본(carvone), 유게놀(eugenol), 리모넨(limonene), 오시멘(ocimene), 엔-데실알코올(n-decylacoh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에이-테르피네올(a-terpineol), 메틸 살리실산, 메틸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시네올레(cineole), 리날롤(linalool), 에틸 리날롤, 바닐린(vanillin), 티몰(thymol), 스피어민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세이지 오일, 로즈메리 오일, 계피 오일, 피멘토(pimento) 오일, 계피 잎 오일, 페릴라(perilla) 오일, 노루발풀 오일, 정향 오일, 유칼리나무 오일 등이 있다.
표면 활성제의 예에는 나트륨 알킬 황산염, 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릴 황산염 및 나트륨 미리스틸 황산염인과, 나트륨 엔-아킬 사르코시네이트, 예를 들면, 나트륨 엔-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sodium N-lauroyl sarcosinate) 및 나트륨 엔-미리스토일 사르코시네이트인과,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과, 나트륨 수소화 코코넛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술폰산과, 나트륨 라우릴 술포아세테이트 및 엔-아킬 글루타메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and N-acyl glutamates), 예를 들면, 엔-팔미토일 글루타메이트와, 엔-메틸아킬타우린 나트륨 염류(N-methylacyltaurin sodium salt)와, 엔-메틸아킬알라민 나트륨 염류와, 나트륨 에이-올레핀 술폰산(sodium a-olefin sulfonate)과 그리고 나트륨 디옥틸술포석시테네트(sodium dioctylsulfosuccinate); 엔-알킬라미노글리세롤, 예를 들면, 엔-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세롤 및 엔-미리스틸디아미노에틸글리세롤과, 엔-알킬-엔-카르복시메틸라모니움 베타인과 그리고 나트륨 2-알킬-1-하이드록시에틸리미다졸린 베타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glyceryl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리파틱 산 에스테르, 고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플루로닉(Pluronic)형 표면 활성제,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모라우레이트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결합제 또는 농축제의 예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나트륨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나트륨 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와 같은 알킬 메탈 알기네이트와, 카라게닌(carrageenan), 크산 검(xanthan gum), 트래거캔스 검(tragacanth gum), 카라야 검(caraya gum), 및 검 아라빅(gum arabic)과 같은 검과,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나트륨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과 같은 합성 결합제를 포함한다. 천연 검과 합성 중합체와 같은 농축제뿐만 아니라 메틸파라벤, 부틸 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방부제와, 착색제와 그리고 방향제는 또한 상기 조성물에 공동으로 포함된다.
산화방지제는 안정된 유효한 양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전체 조성물의 질량에 기초하여 총 대략 0.001% 내지 5%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대략 0.01% 내지 대략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산화방지제의 양은 선택된 특정한 산화방지제에 어느 정도 의존하며, 특정한 레티노이드의 양은 가공 조건에 대해서 보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어떤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은 키일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포함해야 한다. 본 발명의 레티노이드 화합물은 금속 이온에 민감하며, 특히 2가 및 3가 양이온에 만감하고, 어떤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이 있을 때 급속하게 감성(degrade)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키일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 초산(EDTA) 및 그 유도체 및 염류와, 디하이아록시에틸 글리신, 초산, 주석산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키일레이트제는 안정된 유효한 양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근거하여 대략 0.01% 내지 대략 2%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05% 내지 대략 1%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일레이트제는 EDTA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레티노이드 화합물은, 바로 다른 레티노이드가 본 발명의 유제 조합물에 혼합될 수 있을지라도, 비타민 A 알코올(레티놀), 비타민 A 알데히드(레티날), 및 비타민 A 에스테르(레티닐 아세테이트 및 레티닐 팔미트산염)로 구성된다. 상기 레티노이드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서 대략 0.001% 내지 대략 5%, 바람직하게는 대략 0.001% 내지 대략 1%의 치료학상 효과적인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다.
선스크린 물질 및 항균성 물질과 같은 다른 활성 성분이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물리적 화학적으로 호환성 있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오필렌 글리콜(p-opylene glycol), 알란토인(allantoin), 아세타민 MEA, 귀리 단백질 및 히알로론산 및 다른 희석제와 같은 가습제가 제품의 레티노이드 관련 활동도에 연계하여 가습 활동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레티노이드 함유 제형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단백질 및 아미노산이 또한 혼합될 수 있다. 선스크린은 옥틸메톡신시나메이트 및 다른 시나메이트 화합물, 산화 티타늄 및 산화 아연 등과 같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 선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자극 완화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레티노이드 함유 조성물은 피부를 자극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자극 완화제는 레티노이드의 사용량이 증가하도록 허용하면서, 사용자의 과도한 불쾌감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며, 그로 인해 제품을 보다 효과적이게 한다. 에이-비사볼롤(a-bisabolol), 판테놀, 녹차 추출물, 알란토인, 은행나무 바이볼바(ginkgo biloba), 스테아로일 글린시레티닉 산(감초 추출물), 차나무 오일, 나도죽백(butcher's broom), 금송화, 인삼 등과 같은 자극 완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놀랍게도, 어떤 물질은 그 활동도를 지금까지 증명하지 않았거나 증명할 것으로 기대했던 레티노이드 때문에 자극 완화 특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옥틸메톡신시나메이트도 함유하는 레티노이드 함유 조성물은, 옥틸메톡신시나메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할 때, 피부에 매우 낮은 자극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어떤 화합물은 동일한 수준의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제형에서 상기 자극 완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형보다 더 낮은 자극도를 제공한다.
레티노이드 화합물에 대해 동일한 용해도 특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상기 화합물(이제부터 "자극 완화제")에 의해 유발된 자극을 완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서로에 대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의 용해도 특성은 일반적으로 (cal/cm3)1/2의 단위로 표현되는 "용해도 매개 변수(δ)"로 반영된다. 레티노이드 화합물의 용해도와 유사한 용해도 특성을 가지는 자극 완화제가 존재하는 것은 레티노이드를 유상으로 용해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경향이 있다. 레티노이드가 유상 용해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본 발명의 자극 완화제는 또한 유상 용해되어서 자극 완화제와 레티노이드가 동시에 유상으로 존재하게 한다. 유상 완화제는 그러므로 레티노이드를 유상으로 유지하도록 유상에서 작용하고, 그들이 국부적인 적용시 피부에서 방출하는 것을 지연시키고 및/또는 조절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레티노이드는 "둥근 덩어리"로 높게 적용되기보다는 보다 평탄하게 적용되도록 피부에 전달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피부에 전달될 때 조절하는 것은 감소된 자극의 가장 큰 요인일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레티노이드 화합물과 가까운 용해도 매개 변수(δ)를 가지는 자극 완화제는 피부로의 전달을 조절하고 레티노이드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극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용해도 매개 변수의 값은 페도르(Fedors)에 의해 기술된 것과 같은 표로 만들어진 분자 치환분 상수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상기 치환분 상수는 케니스 시. 제임스(Kenneth C. James)에 의한 "용해도 및 관련 특성(Solubility and Related Properties, pp. 185-187, Marcel Dekker, Inc. 1986)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Billmeyerdp 의한 "중합체 과학 교본(Textbook of Polymer Science, 2nd Ed.)"에 따르면, 용해도는 두 물질의 용해도 매개 변수의 차이가 대략 2 단위만큼 보다 적을 때 기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해도 매개 변수의 차이가 1.5 단위만큼 작아야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단위만큼 작아야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극 완화제가 본 발명에 따라 주어진 조성물의 효과적인 자극 완화를 위해서 유용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유상은 상 및/또는 성분의 용해도 특성에 따른 자극 완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욱이, 독립적으로는 효과가 없을지 모르는 물질들의 혼합물은 혼합의 용해도 매개 변수에 따라서 자극을 완화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혼합 물질의 용해도는 다음의 화학식에 따라서 알 수 있는데,
δblend= Σ1-n((δ1× Ⅴ1) + (δ2× Ⅴ2) +‥‥+ (δn× Ⅴn))
여기서, V는 조성물의 특정 물질의 체적 분율을 나타낸다(커크 오트머 화학 기술 백과사전(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 참조).
본 발명의 자극 완화제는 오일 용해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레티노이드 화합물의 용해도 매개 변수와 2 단위 이내의 용해도 매개 변수를 가지는 오일 용해성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이 레티노이드 자극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자극 완화제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및/또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오일 용해성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다음 물질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그 물질 그룹은, C12-15알킬 안식향산염, 옥틸메톡신시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멘틸 안트라닐산염, 호모멘틸 살리실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 100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릴 유산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다. 효과적인 화합물은 또한 옥틸 디메틸 PABA,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유기 화합물은 대략 12 내지 대략 18 탄소 원자와 적절한 용해도 매개 변수를 가지는 연쇄 탄소를 가진다.
옥틸메톡신시나메이트와 같은 자극 완화제는 제형의 대략 3 내지 대략 12 중량 백분율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극 완화제는 조성물의 대략 3 내지 대략 6 중량 백분율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는 레티노이드와 용해하고 결합하도록 레티노이드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는 약한 염증 방지제로써 작용할 수 있는 방향 카르목실산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성분들은 선스크린과 같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제와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B, 비오틴, 판토텐산, 비타민 D, 비타민 E, 및 비타민 C와 같은 산화방지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효모 추출물, 은행나무 빌로바, 비사볼롤, 판테놀, 알파 수산기 산 및 멜리비오제(melibiose)와 같은 올리고당은, 자극을 완화시키고, 산화를 완화시키고, 치료하고, 레티노이드 신진대사에 영향을 주고, 또한 엘러스테이스(elastase)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른 성분들 사이에 있다.
피부색 균등화 성분과 착색제(depigmentation agent)는 또한 본 발명의 제품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성분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 감초 추출물, 코직 산(kojic acid), 가툴린 에이(gatuline A)(미나리아재비 추출물), 마이크로메롤(micromerol)(부틸렌 글리콜 및 사과 추출물), 글루타티온, 아르부틴, 태좌 추출물(placenta extract), 아스코브르산, 마그네슘-L-아스코르빌-2-인산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줄과 주름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조합물이 또한 본 발명의 조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파 수산기 산, 히알루론 산, 가툴린 R(파구스 실비티카(fagus silvitica) 추출물), 운모와 같은 안료 및 스캐터링 산(scattering acid), 산화 아연 및 이산화 티타늄이 이러한 용량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탄닌, 플라베노이드(flavenoids), 사포닌, 및 기타 등등과 같은 다양한 자연 추출물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항염증성 제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들은 자극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 만 아니라, 상기 제제들은 피부에 선과 주름을 치료하는데 있어 레티노이드(retinoids)를 보조해준다.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제제들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예를 들면 히드로코르티손, 히드록실트리암시놀론, 알파-메틸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포스페이트,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클로베타솔 발레레이트, 데소니드, 데속시메타손, 데속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디클로리손,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디플루코르톨론 발레레이트, 플루아드로놀론, 플루클라롤론 아세토니드,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메타손 피발레이트,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플루오시노니드, 플루코르틴 부틸에스테르, 플루오코르톨론, 플루프레드니덴 (플루프레드닐리덴) 아세테이트, 플루란드로놀론, 할시노니드,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히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코르티손, 코르토독손, 플루세토니드, 플루드로코르티손, 디플루오로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르아드레날론 아세토니드, 메드리손, 암시아펠, 암시나피드, 베타메타손 및 그것의 에스테르의 균등물, 클로르프레드니손, 클로르프레드니손 아세테이트, 클로코르텔론, 클레시놀론, 디클로리손, 디플루프레드네이트, 플루클로로니드, 플루니솔리드, 플루오로메탈론, 플루페롤론, 플루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발레레이트, 히드로코르티손 시클로펜틸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코르타메이트, 메프레드니손, 파라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암시놀론, 및 이것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한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히드로코르티손이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살리실레이트(살리실산의 알킬과 아릴 에스테르를 포함), 아세트산 유도체(아릴아세트산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 페나메이트, 프로피온산 유도체 및 피라졸 또는 그의 혼합물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합성 항염증제 및 자연 항염증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국부적인 활동을 하는 추가의 작용 성분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아조올-타입의 항균성 및 항박테리아성 제제가 상기 것들의 기본 형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메트로니다졸, 엘루비올, 및 이와 마찬가지로 관련되는 이미다졸 항균제 및 항박테리아제가 본 발명의 국부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잘 알려진 혼합물 또는 혼합 절차에 의해 준비되어질 수 있다. 각각의 유제의 상은, 초기에 레티노이드 화합물을 생략하는 것이 보통 바람직하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절한 상(phase)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으로 바람직하게 분리되게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제는 교반되어 수상(water phase)에 유상(oil phase)을 첨가함으로서 정규적으로 형성된다. 수상은, 증가된 안정도에 기인하기 때문에, 유상으로 첨가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는 질소 또는 아르곤 블랭킷과 같이 산소가 고갈된 대기 하에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는 유상으로 상 형성에 앞서 수상을 통해 거품이 일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산소가 고갈된 대기는, 진공 상태 하에서 작동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생성물이, 블라인드-엔드(blind-end) 용기에,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튜브에 사용에 앞서, 저장되는 것이 계획되어진다.
본 발명은, 피부 보호에 사용되는 안정된 미용의 레티노이드-함유 조성물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사용에 앞서 상기 조성물을 저장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레티놀 또는 레티놀의 에스테르 또는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많은 제품이 패키지 수지 내에 포함된 착색 물질을 보통 포함하는 낮거나 높은 밀도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주로 구성되는 개인용 보호 제품의 관례를 따르는 패키지로 시장이 형성되었다. 비록 상기 패키지 기술이 화장품류에 일상적으로 적합하다 할 지라도, 상기 패키지 재료는 레티노이드 물질, 특히 레티놀 및 레티날에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것은 상기 레티놀 및 레티날이 산화 제품 및 가수 분해 제품뿐만 아니라, 레티노이드 사이드 체인의 폴리엔 일부의 다양한 시스-아이소머(cis-isomers)와 같은, 포유 동물의 대사 작용에서 보통 발견되지 않는 이물질 내로 비타민 물질의 분해를 이끌기 위해 충분한 산소와 결합되는 충분한 빛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기술된 것처럼 적절한 제조 절차의 조합은 소비자에게 적절한 형태로 신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시간에 대해서, 빛과 산소의 불안정한 영향을 배제함이 없이, 이질의 분해 물질은 제품의 바람직한 속성 범위를 줄이면서 축적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몇 가지 경우에, 프랑스의 피에르 파브르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레티날디하이드를 함유하는 제품, "이스씨알(Ystheal)과 같이, 제품을 조제한 후 공기를 흡입하는 패키지의 경향을 줄이는 패키지 구조가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산소에 대해 제품의 노출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패키지가 착색된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패키지는 제품 내로 투과되는 빛의 침입을 충분히 방어하지 못한다. 플라스틱 튜브, 병, 또는 항아리(jars)와 같은, 많은 패키지 형태는 공기 또는 빛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피부 보호 조성물은,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산소 함유 가스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야 하며, 용기의 벽을 통해 통과하는 산소와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용기의 벽, 개구부 등과 같은 용기를 구성하는 외측부와 접촉되는 부분은 좋은 산소 차단 특성을 갖도록 요구되어 진다. 용기는, 용기로부터 조성물을 제거할 때, 또는 용기에 피부 보호 조성물을 넣을 때, 산소를 통과시키지 않도록 또한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파괴적인 영향의 충분한 배제는 패키지 벽에 대해 산소 침투를 전적으로 배제하며 빛에 대해 전적으로 불투명한, 알루미늄의 일부로 구성되는 패키지의 사용에 의해서만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알루미늄이, 플라스틱 튜브와는 달리, 탄성이 없다면, 상기 알루미늄은 제품을 조제한 후 후부 공기를 빨아들이는데 있어 최소한의 경향을 갖는다.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제품을 보호하는데 충분한 다른 패키지 구조는 알루미늄 호일(foil) 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의 필름 라미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알루미늄 튜브를 보호하는 반면에, 플라스틱 필름 층은 종래의 패키지를 더 미적이게 한다. 레티노이드 제품의 보호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다른 구조는, 제품이 제조된 후 공기 흡입을 방지하면서, 제품이 제거될 때 패키지가 접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와, 넓고 얇은 치수의 알루미늄 호일 또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호일 구조는,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뿐만 아니라, 처리 작업중 안전한 선적과 취급을 가능하게 하면서, 물리적으로 보호되는 미적인 종래의 플라스틱 오버슬리브(oversleev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이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게 되는 주머니-타입의 용기를 사용함에 의해서, 조성물은 워터-인-오일 타입의 유제뿐만 아니라 오일-인-워터 타입의 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사용이 시작된 후에도, 산소와의 접촉은, 피부 보호 조성물에 레티노이드의 분해 또는 해체를 실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차단되어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부 보호 조성물이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두 개의 칸막이 용기에 저장되는 피부 보호 조성물에 더하여 주머니-타입의 용기로서 두 개의 칸막이 용기에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측 용기의 필름 재료는 단층 또는 다층 필름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재료는 다음의 재료; 알루미늄, AAS,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copolymer)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더 상세하게는, 주머니-타입의 용기는, 필름의 최내측 부분으로부터 시작하는, 다음의 순서로 라미네이트화된 필름 재료를 포함한다; 순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알루미늄 및 AAS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액화된 가스 또는 압축된 가스를 사용하는 에어러졸-시스템을 구비하는 용기에 저장되는 피부 보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일 상기 요구가 만족된다면, 조성물이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게 되는 용기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튜브, 펌프 분무기, 압축 분무기, 병, 스프레이, 작은 봉지(sachet) 또는 기타 등등이 될 수 있다. 제품의 양상, 처리, 및 산소-차단 타입으로부터 볼 때, 두 개의 칸막이 용기가 바람직하며, 주머니-타입의 용기는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두 개의 칸막이 용기는, 외측 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에 수용되는 내측 용기로 구성되는 용기를 의미하며, 거기에 내용물을 저장하지만, 만일 용기가 내용물을 저장하고 바깥측으로부터 내용물을 고립시킨다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주머니-타입의 용기"는, 외측 용기와 상기 외측 용기에 수용되는 주머니를 구비하는 용기를 의미하며, 거기에 내용물을 저장하는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주머니는,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제공되며, 벽이 필름으로 형성되는, 백(bag)-같은 용기이다. 상기 두 개의 용기는 에어러졸-시스템에 사실상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어러졸 시스템은 용기의 내측부가 추진제로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시스템으로 여기에 언급되며, 내용물은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추진제로 분사되거나 상기 시스템에서, 내용물이 추진제의 압력으로 용기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액화 가스 또는 압축 가스는 추진제로서 사용된다. 액화 가스의 예는 클로로플루오러카본, 디메틸 에테르, 액화 석유 가스(LPG), 염소 처리된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압축 가스의 예는 질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산화질소(N2O) 및 아르곤을 포함한다. 액화 가스는 내용물 배출량의 균일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며, 압축 가스는 내용물간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체 및 기타 등등에 영향을 준다.
보통의 에어러졸은 용기에 저장 용액과 추진제를 충진하고 용기를 밸브로 밀봉함에 의해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인 충진 방법으로서, 내용물은 개구부로부터 용기 내로 충진되며, 상기 개구부가 밸브로 밀봉된 후, 추진제는 더 충진된다. 그렇지만, 상기 보통의 충진 방법에 따라서, 세정수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내용물 및 산소의 사이에 접촉을 방지하는 것은 아주 어렵다. 내용물이 부분적으로 혼합됨에 의해 주머니 내에 추진제와 직접 접촉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레티노이드 화합물의 안정성 문제를 고려하면, 내용물이 추진제와 혼합되는 보통의 에어러졸-시스템의 용기는 본 발명의 피부 보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보통의 용기와 달리, 본 발명의 두 개 부분의 용기는 외측 용기와 밸브를 구비하는 주머니로 구성된다. 상기 내용물(피부 보호 조성물)만이 내측 용기에 포함되며, 추진제는 그렇지 않다. 내측 용기를 따라서, 추진제는 외측 용기 안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주머니-타입의 용기는 외측 용기와 밸브를 구비하는 주머니로 구성된다. 상기 피부 보호 조성물만이 주머니 내에 포함되며, 추진제는 그렇지 않다. 상기 주머니를 따라서, 추진제는 외측 용기에 저장된다. 상기 방법의 사용은 피부 보호 조성물과 추진제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서, 피부 보호 조성물의 레티노이드 분해 또는 해체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측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진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산소가 내측 용기로 침투하지 않고 내용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것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산소와 본 발명의 피부 보호 조성물 사이의 접촉은 충진이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의 대기 중에서 발생하도록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은 다음과 같이 주머니에 충진된다. 첫째, 주머니와 추진제는 외측 용기 내에 배치되고 그 다음에, 상기 외측 용기는 밸브로 밀봉된다. 상기 경우에, 주머니 내의 가스는 주머니의 내측부가 거의 완전히 가스 제거되도록 추진제의 압력으로 배출된다. 그런 후, 내용물은 소정의 압력 하에 주머니에 충진된다. 내용물은, 상기 방법에 의해 충진될 때, 충진시 산소와 거의 접촉되지 않는다. 만일 내용물이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 속에서 바람직하게 충진된다면, 산소와의 접촉은 더 완전히 차단된다.
더욱이, 내용물이 충진된 후에도, 상기 내용물은 주머니와 외측 용기에 사용되는 산소 불침투성의 필름에 의해 개방되어진 산소로부터 이중 칸막이되어 있으며, 대기중의 산소와 주머니 내의 피부 보호 조성물 사이의 접촉은 완전히 차단된다.
종래의 튜브 타입 용기는 먼저 개방 전에 완전히 밀봉된다. 그렇지만, 일단 상기 튜브 타입 용기는 사용되기 위해 개방되기 시작하면, 공기와의 접촉은 저장 중에 캡으로 차단되지만, 산소 유입은 사용을 위해 개방될 때마다 허용된다. 한편, 두 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기가 사용될 때, 산소는 상기 용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후에도 안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조성물이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게 되는 본 발명의 용기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 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다층 필름은 밀봉 유지의 양상, 산소-차단 특성 및 피부 보호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으로부터 바람직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AAS 수지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두 가지 종류 이상으로 구성된다. 특별히 바람직한 것은, 최내층으로부터 주머니의 최외층까지 필름 재료로서 다음 순서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알루미늄 및 AAS 수지를 라미네이트화함으로서 얻어지는 다층 필름이며, 최내층으로부터 최외층 까지 재료로서 다음 순서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알루미늄 및 폴리프로필렌을 라미네이트화함으로서 얻어지는 다층 필름이다.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 그리콜에 텔레프탈 산을 다중합함으로서 얻어지는 화학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나일론은 다양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AAS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성분과 함께 주성분으로서 합체 중합되는 아크릴로니트릴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 중합체이며, 예를 들면, Mitsui Toatsu Chemicals, Inc 로부터 "BAREX" 이라는 상표명으로 구입될 수 있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임의의 공중합체를 감화(saponifying)함에 의해 생성되는 수지 중합체이며, 예를 들면, Kuraray Co.,Ltd 로부터 "EVAL" 이라는 상표명으로 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기는,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한 것처럼,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액체 물질, 예를 들면, 유제, 현탁액(suspension), 수성 용액 및 오일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는 공기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질의 저장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머니가 배치되는 외측 용기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캡이 눌려질 때, 피부 보호 조성물은 밸브의 개구부로부터 분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머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주머니에 사용되는 다층 필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되는 피부 보호 조성물의 특정한 실시예는 다음의 예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개의 예에 설명된 특정의 제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오히려 국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
예 1:
상기 예 1의 제형은 먼저 수상(water phase)을 형성하고 나서 유상(oil phase)을 형성함에 의해 준비된다. 양측 상이 형성된 후, 상기 상들은 서로 혼합되며 레티놀이 첨가된다. 상기 수상은, 비이커 내로 들어가는 탈이온수를 먼저 중량 측정함에 의해 제조되고, 고속으로 혼합해서, 천천히 카르복시 중합체(카보머(carbomer))를 첨가한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은 몇 분 동안 활발하게 작용한다. EDTA와 아스코르브산은 혼합물에 첨가되고 혼합물은 45분 동안 또는 완전-용해될 때까지 지속된다. 따라서, 수상은 프로필렌 글리콜이 첨가되는 때에, 90。C로 가열된다. 유상을 만들기 위해, 상기 유상의 모든 성분은 중량 측정되고 별도의 비이커에 함께 첨가된다. 따라서, 유상은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되어 80。C로 가열된다. 따라서, 유상은 수상 내에 혼합되어 천천히 상을 형성한다. 상을 형성한 후, 유제는 네 개의 부분으로 배분되며, 수산화나트륨이 유제의 pH를 조정하기 위해 별도로 각각의 부분에 80。C 로 첨가된다. 상기 부분은 4.5, 6.0, 7.0 및 9.0의 pH를 갖도록 제각기 조정된다. 10분 동안 혼합된 후, 유제는 45。C에서 냉각된다. 따라서, 레티놀 40%는 유제에 첨가되고, 상기 유제는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된다. 상기 처리는 산소에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체의 아르곤 하에 및 황색 빛 하에 수행된다. 레티놀 농도는 예 2의 아래에 설명된 일반적인 HPLC 처리에 따라서 측정되지만, 다른 칼럼은 65%의 이동상, 아세토니트릴, 35%의 포스페이트 버퍼와 C18 칼럼과 325nm의 UV 디텍터를 포함하여 사용된다.
상기 예의 제형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성분 내용물(w/w)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0.300
플로필렌 글리콜 5.00
메틸파라벤 0.15
아스코르브산 0.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PEG 100 스테아레이트 5.00
세타놀(세틸 알코올) 1.00
스테아릴 알코올 0.50
화이트 페트로라튬 1.50
BHT 0.05
프로필파라벤 0.10
부틸파라벤 0.05
세틸 팔미트산염 1.00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4.00
벤질 알코올 0.30
에틸 알코올 4.00
디소디움 EDTA 0.05
레티놀 40% 0.366
수산화나트륨(10%) pH 조정
물 q.s.
네 개의 유제는 다시 두 개의 부분으로 각각 분배되고, 각각의 부분 중의 하나는 50。C로 유지되고, 다른 부분은 40。C로 유지된다. 모든 네 개의 유제의 안정성은 8주의 기간에 걸쳐서 측정된다. 상기 안정성 데이터는 아래의 표 1에 설명되었다.
온도 pH 초기의 레티놀
2 50。C 4.56.07.09.0 80.1993.6797.0796.01
4 40。C50。C 4.56.07.09.04.56.07.09.0 82.6595.7297.6495.7764.3594.4395.9294.74
8 40。C50。C 4.56.07.09.04.56.07.09.0 74.9894.4896.2494.7645.1390.9994.3389.68
이와 같이, 수용 가능한 안정성이 pH의 약 4.5로 달성되며, 더 높은 pH는 본 발명의 제형에서 증가된 안정성을 초래한다.
예 1A:
오일-인-워터 유제는 아래에 설명된 성분들을 이용하여, 예 1에 설명된 처리에 따라서 준비된다. 다시, 상기 유제는 네 개의 부분으로 나눠지며, 상기 pH는 이번에는 4.5, 6.0, 8.0 및 10.0으로 조정된다. 각각의 부분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눠지며, 7주 동안, 하나는 40。C로 유지되고 다른 하나는 50。C로 유지된다.
상기 안정성 측정의 결과는 아래의 표 1A에 설명되었다. 다시, 상기 pH가 증가될 때, 상기 안정성은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분 내용물(w/w )
디소디움 EDTA 0.10
아스코르브산 0.10
메틸파라벤 0.15
미네랄 오일 8.00
스테아릴 알코올 1.00
BRIJ 721(스테아레쓰 21) 2.00
BRIJ 72(스테아레쓰 -2) 2.00
BHT 0.05
프로필파라벤 0.10
레티놀 40% 0.366
탈이온수 Q.S.
수산화나트륨 10% pH 조정
온도 pH 초기의 레티놀
2 50。C 4.56.07.010.0 87.8795.6398.3796.95
7 40。C50。C 4.56.08.010.04.56.08.010.0 89.494.095.496.375.089.291.594.5
예 2:
표 2에 도시된 제형을 갖는 레티노이드, 오일-인 워터 타입의 세정수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이 예 1에 설명된 처리에 따라 준비될 때, 레티노이드처럼, 레티놀이 사용된다. 레티날(비타민 에이 알데히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및 레티닐 팔미트산염과 같은 다른 레티노이드와 레티놀의 농도는 어떤 적당한 분석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성분 내용물(중량비)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0.1
프로필렌 글리콜 5.0
메틸파라벤 0.15
수산화나트륨 0.041
아스코르브산 0.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PEG 100 스테아레이트 5.0
세타놀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화이트 페트로라튬 1.5
BHT 0.05
프로필파라벤 0.1
부틸파라벤 0.05
세틸 팔미트산염 1.0
고분자 알코올 벤조산 에스테르 4.0
벤질 알코올 0.3
에틸 알코올 5.0
디소듐 에데테이트 0.05
레티놀 0.075
세정수 q.s.
전체 100
저장 시험은 표 3에 도시된 3개의 테스트 온도에 따라서 추진제로서 LPG를 함유하며 주머니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3개의 주머니-타입 에어러졸 용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에어러졸 용기의 주머니는 최내층으로부터 최외층까지 필름 재료로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알루미늄, 및 AAS 수지의 순서로 라미네이팅화됨으로서 얻어지는 네 개 층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부 보호 조성물은 세 개의 샘플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세 개의 용기에 분배된다. 상기 피부 보호 조성물의 분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머니는 외측 용기 내에 배치되고 LPG는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충진되고 주머니의 외측은 밀봉되며, 그에 따라서, 주머니의 가스는 상기 LPG의 압력으로 배출된다. 상기 상태에서, 피부 보호 조성물은 소정의 압력 하에 주머니 안에 충진된다. 세 개의 샘플은 40。C±1。C로 조정되는 일정한 온도의 챔버 내에서, 4。C±1。C로 조정되는 일정한 온도의 챔버 내에서 및 실온에서 유지되도록 허용된다. 분석 샘플은, 테스트의 시작전, 4주 후, 8주 후, 및 13주 후, 분사 노즐을 통한 추진제의 압력으로 분석한 샘플들로부터 모아진다. 분석을 위한 각각의 샘플의 1그램은 정확히 중량 측정되며 모아진다. 레티노이드는 에틸/메타놀 혼합 용액과 함께 추출되며, 레티노이드의 양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325nm의 파장 길이에 빛 흡수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 보고된 것처럼, 우리는, 크로마토그래피가 반전상(reversed phase) 5미크론 C-8 칼럼(25cm의 길이×4.6mm의 직경) 및 340nm의 UV 디텍터로 갖춰지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e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처리에 의해 레티노이드 농도를 결정한다. 분석되는 샘플은 18마이크로그램/ml의 농도에 대해 50% 중량비의 에틸 아세테이트와 50% 중량비의 메타놀 용액으로 희석되며, 상기 레티노이드는 340nm에서 탐지된다. 구배의 이동상(gradient mobile phase)은 아세토니트릴에 5%의 테트라헤드로풀란으로 구성되는 유기 부분과 0.05N 의 암모늄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물 부분으로 구성된다. 솔벤트 프로그램은, 3분 경과 후, 80%의 유기/20% 물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70%의 유기/30% 물의 초기 조성물을 가지며, 다시 그에 따라서, 15분 후, 100% 유기로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조성물은 19분까지 체류한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샘플 용액의 15마이크로리터를 주입한 후, 분석 조건은, 2ml/min의 유동 속도로 흐르며, 40。C에서 자동 온도 조절된다. 레티놀(비타민 에이 알코올)의 유지 시간은 약 6.4이다. 레티놀(비타민 에이 알데히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트산염의 유지 시간은 제각기 약 7.5min, 10.1min, 및 18.7min 이다. 상기 HPLC의 결과는 표준 편차의 3% 범위 보다 낫게 재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결과는 아래의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예 3
저장 테스트는, 물질이 가장 안쪽의 층부터 가장 바깥쪽의 층으로 형성될 때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나일론과, 알루미늄과, 및 폴리프로필렌의 순서로 그것을 이용하는 러미네이트화함으로써 달성되는 네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 생성되는 포우치(pouch)가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또한 질소 가스가 활성제(propellant)로서 사용되고 피부 보호 제형의 상태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포우치가 바깥쪽의 컨테이너에 배치되고 그 다음에 피부 보호 제형이 포우치에서 채워짐; 포우치가 밸브를 이용하여 봉해짐; 질소 가스가 바깥쪽의 컨테이너와 바깥쪽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충전되고 봉해짐,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예 2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레티노이드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행한다. 그 결과는 표 3에 도시된다.
비교에 의한 예 1 및 예2 :
저장 테스트는 비교에 의한 예 1에서의 봉해진 알루미늄 튜브와, 비교에 의한 예 2에서의 포우치를 사용하지 않는 에러로졸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 말고, 아래에 있는 표 3에서 열거하는 온도에서 예1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레티노이드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그 결과는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알루미늄 튜브가 사용될 때에, 9개의 봉해진 샘플들이 준비되었었다. 해당 온도 조건에서, 개봉되지 않고 봉해진 샘플들은 4주 후에, 8주 후에, 및 13주 후에 개봉되었는데, 분석을 하기 위한 샘플들은 그 다음에 수집되었다.
예 번호 온도 4주 후 8주 후 13주 후
예 1 40℃실내 온도4℃ 90.793.495.1 88.990.393.0 93.292.094.9
예 2 40℃실내 온도4℃ 89.092.093.2 87.087.991.2 86.288.691.6
비교에 의한 예 1 40℃실내 온도4℃ 83.586.689.5 80.988.086.8 80.782.188.7
비교에 의한 예 2 40℃실내 온도 85.089.3 85.386.5 81.486.9
예 4
표 4에 도시된 조성식을 갖는 오일-인-워터 타입의 로션이 준비되었다. 로션은 포우치 형태의 에러로졸 컨테이너에 채워졌고, 4주 및 8주의 저장 테스트가 활성제로서 질소 가스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예 2에서와 동일하게 실행되었다.
성분 내용물(무게)
카보씨비닐 폴리머 0.25
프로필렌 글리콜 5.0
메씨파라벤 0.15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0.041
아스코빅 액시드 0.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라테 &PEG100 스테아라테 5.0
세타놀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화이트 페트로라튬 1.5
BHT 0.05
프로필파라벤 0.1
부틸파라벤 0.05
세틸 팔미트산염 1.0
고 알킬 벤진 액시드 이스터 4.0
벤질 알코올 0.3
에틸 알코올 5.0
디소듐 에더테이트 0.05
레티놀 0.075
정수 q.s.
합계 100
비교에 의한 예 3
예 3에서 준비된 로션은 자 형태의 컨테이너에 채워지고, 4주 및 8주에 대한 저장 테스트가 예 3에서처럼 실행되었다. 예3의 결과 및 비교에 의한 예 3의 결과는 표 5에 도시되어 있다.
예 번호 온도 4주 후 8주 후
예 3 40℃실내 온도4℃ 95.796.497.0 94.996.099.9
비교에 의한 예 3 40℃실내 온도4℃ 70.094.696.1 62.890.398.9
예 4
표 6에서 도시된 조성식을 갖는 오일-인-워터 타입의 로션이 준비되었다.
저장 테스트는, 활성제가 LPG인 두 개의 구역을 갖는 컨테이너가 사용되고, 피부 보호 제형의 상태가 불활성 가스의 환경에서 실행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예 4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되었다. 그 결과는 표 7에 도시되어 있다.
성분 내용물(무게)
카보씨비닐 폴리머 0.3
프로필렌 글리콜 5.0
메씨파라벤 0.15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0.041
아스코빅 액시드 0.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라테 &PEG100 스테아라테 5.0
세타놀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화이트 페트로라튬 1.5
BHT 0.05
프로필파라벤 0.1
부틸파라벤 0.05
세틸 팔미트산염 1.0
고 알킬 벤진 액시드 이스터 4.0
벤질 알코올 0.3
에틸 알코올 5.0
디소듐 에더테이트 0.05
레티놀 0.075
정수 q.s.
합계 100
비교에 의한 예 4
예 4에서 준비된 로션은 자 형태의 컨테이너에 채워지고 저장 테스트가 예 4에서와 같이 실행되었다. 비교에 의한 예 4의 결과는 표 7에 도시되어 있다.
예 번호 온도 4주 후 8주 후 13주 후
예 4 40℃실내 온도4℃ 92.693.498.1 89.290.795.2 87.491.093.5
비교에 의한 예 4 40℃실내 온도4℃ 81.191.092.4 77.682.691.7 52.584.892.7
예 5
다음에 나오는 성분들이 사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예 1에서 설정되었던 진행방법에 따라 준비되었다.
성분 내용물(무게)
공식 A 공식 B
탈이온화된 물 Q.S Q.S
소비톨 5.0 5.00
메틸파라벤 0.15 0.15
디소듐 EDTA 0.02 0.02
스팬 60 3.00 3.00
트윈 60 4.00 4.00
비왁스 0.95 0.95
홍화유 3.33 0.00
리퀴드 파라핀 4.94 8.27
BHT 0.03 0.03
프로필파라벤 0.10 0.10
향기 0.15 0.15
레티놀 40% 0.37 0.37
공식이 두 개로(A와 B) 나뉘어 졌다. 공식(A, B)의 각각에 대한 한 부분은 40℃에서 1주일 동안 유지되었고; 공식(A, B)의 각각에 대한 한 부분은 50℃에서 1주일 동안 유지되었다. 일주일 후에, 레티놀의 안정도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아래에 있는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1주일 후에, 홍화유와 불포화 오일을 포함하는 제형 A는, 불포화 오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제형 B보다 훨씬 적은 레티놀을 포함한다.
주(weeks) 온도 초기상태에서의 레티놀
포뮬라 A 포뮬라 B
1 40℃50℃ 89.084.0 92.091.5
예 6
상기 예 6의 제형은 예 1에서 설정된 진행 방법에 따라 준비되었다.
성분 6-I 6-II 6-III 6-IV 6-V
비타민 A 알코올 0.166 0.166 0.166 0.166 0.166
카보머 0.30 0.30 0.30 0.30 0.30
프로필렌 글리콜 5.00 5.00 5.00 5.00 5.00
메틸 파라벤 0.15 0.15 0.15 0.15 0.15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1.00 0.11 1.00 1.00 1.00
10% 솔류션
아스코빅 액시드 - - - - 0.10
글리세릴 액시드
& PEG-100 스테아라테 5.00 5.00 5.00 5.00 5.00
세틸 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0.50 0.50 0.50 0.50 0.50
화이트 페트로라툼 1.50 1.50 1.50 1.50 1.50
버틸레이티드 -
하이드로옥시톨륜 - - 0.05 0.05 0.05
프로필 파라벤 0.10 0.10 0.10 0.10 0.10
부틸 파라벤 0.05 0.05 0.05 0.05 0.05
C12-15 알킬 4.00 4.00 4.00 4.00 4.00
벤조에이트
세틸 팔미트산염 1.00 1.00 1.00 1.00 1.00
벤질 알코올 0.30 0.30 0.30 0.30 0.30
SD 알코올 40-B 5.00 5.00 5.00 5.00 5.00
디소듐 EDTA - 0.05 - 0.05 0.05
탈이온수 q.s. q.s. q.s. q.s. q.s.
제형의 안정도는 40℃에서 다양한 시간 주기동안 저장한 후에 올-트랜스 (all-trans) 레티놀의 양을 결정함으로써 측정된다.
상기 예 6의 결과는 여기에 있는 도면 4에 있는 그래프에서 도시되어 있다. 13주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 모든 제형 IV는 제형에서 초기의 모든-트랜스 레티놀의 최소한 70%를 함유한다. 제형6-II에서 첼라톨와 EDTA를 첨가하면 작은 어느 정도의 양까지 안정도가 향상했다. 제형6-III에서 BHT와, 지용성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면 안정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큰 향상을 초래한다. 제형 6-IV에서의 EDTA와 BHT 둘 다의 사용은 다른 향상을 초래한다. 제형 6-V에서 첼라토와, 지용성 산화방지제와 지용성 아소코르빅 액시드와, 수용성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면 13주뿐만 아니라 25주 후에도 초기의 모든-트랜스 레티놀의 약 90%를 함유하면서 아주 훌륭한 안정도를 갖게끔 된다.
예7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형은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함유한다.
성분 %(W/W)
탈이온수 83.38
카보머 0.35
메틸파라벤 0.20
디소듐 EDTA 0.10
D-판테놀 0.50
글리세린 3.00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옥틸 하이드로옥시스테아라테 1.00
디메치콘 100cs 1.00
세틸 알코올 2.50
세테아릴 알코올
& 세틸아릴 글로코사이드 1.40
BHT 0.1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50
프로필렌파라벤 0.10
트리에탄놀라민 99% 0.40
토코페롤 0.05
레티놀 40% 0.118
일본 차(Tea) 추출물 1.00
디아조올리디닐 우레아 0.30
예 7에서의 제형은 아주 안정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또한 얼굴과 다른 피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제이다.
예 8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형은 다음에 나오는 성분들을 함유한다.
예 8-I
성분 %(W/W)
탈이온수 q.s.
카보머 0.35
메틸파라벤 0.20
디소듐 EDTA 0.10
D-판테놀 0.50
글리세린 3.00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옥틸 하이드로옥시스테아라테 1.00
디메치콘 100cs 1.00
세틸 알코올 2.50
세테아릴 알코올
& 세틸아릴 글로코사이드 1.40
BHT 0.1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50
프로필렌파라벤 0.10
트리에탄놀라민 99% 1.50
토코페롤 0.40
레티놀 40% 0.3825
일본 차(Tea) 추출물 1.00
탈이온수 2.00
디아조올리디닐 우레아 0.30
상기 예 8-I에서의 제형은 매우 안정하고, 얼굴과 다른 피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제이다. 40℃에서 13주동안 저장한 후에, 상기 예의 제형에는 올-트랜스 레티놀의 초기 레벨의 97%가 있었다.
다른 제형은 다음에 나오는 제형을 구비하면서, 상기 예의 진행 방법에 따라 준비되었다.
예 8-II
성분 %(W/W)
탈이온수 q.s.
카보머 0.35
옥틸 하이드로옥시스테아라테 2.00
메틸파라벤 0.20
디소듐 EDTA 0.10
D-판테놀 0.50
글리세린 3.00
옥틸 하이드로옥시스테아라테 2.00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세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아릴 글로코사이드 2.50
BHT 0.1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50
프로필렌파라벤 0.10
탈이온수 1.50
트리에탄놀라민 99% 0.40
토코페롤 0.05
레티놀 40% 0.3825
일본 차(Tea) 추출물 1.00
탈이온수 2.00
디아조올리디닐 우레아 0.30
상기 예 8-II에서의 제형은 매우 안정하며, 얼굴과 다른 피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제이다. 40℃에서의 13주 동안의 저장 후에, 모든-트랜스 레티놀의 초기 레벨의 88%가 상기 예의 제형에 있었다.
예 9A
선스크린을 함유하는 제형은 레티놀과 활성 비유기물의 선스크린 성분과, 및 티타늄 이산화물을 함유하면서, 예 1에서 설정된 처리방법에 따라 만들어진다. 상기 예의 제형은 다음과 같다:
성분 %(W/W)
탈이온수 q.s.
카보머 0.350
글리세린 3.00
판테놀 0.50
디소듐 EDTA 0.10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옥틸 하이드로옥시스테아라테 12.00
티타늄 이산화물 4.00
디메치콘 1.00
세틸 알코올 & 1.40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레티놀 10% 0.46
세틸 알코올 2.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0
부티레이티드 하이드로옥시토류엔 0.10
트리에타놀라민 0.40
폴리소베이트 20 0.102
프로필 파라벤 0.10
토코페롤 0.05
파라벤 혼합물 0.40
예 9B
다른 제형은 유지적인 선스크린과 레티놀을 함유하면서 생성되었다. 사용된 유기적 레티놀은 옥틸 메소옥시신시메이트이다. 이 제형은 자외선 방지 동작을 할뿐더러, 레티놀을 함유하는 제형의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이 제형은 다음과 같다:
성분 %(W/W)
탈이온수 66.84
글리세린 5.00
판테놀 0.50
디소듐 EDTA 0.20
알란토인 0.15
카보머 0.30
소듐 메타비수파이트 0.10
옥틸 메소옥시나메이트 6.00
글리세릴 스테아라테 5.00
& PEG-100 스테아라테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화이트 페트로라툼 1.50
라우로일 리신 1.00
세틸 알코올 1.00
세틸 팔미트산염 1.00
스테아릴 알코올 0.50
레티놀 10% 0.46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로옥시톨루엔 0.05
SD 알코올 40-B 5.00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1.00
이소프로필파라벤, 0.40
이소부틸파라벤, N-부틸파라벤
예 10
여전히 다른 제형에서, 레티놀-함유 제형은 문제가 되어 있는 사용을 위하여 만들어졌다. 제형은 위에 있는 예 1에 따라 만들어졌다. 성분은 다음과 같다:
성분 %(W/W)
탈이온수 72.84
글리세린 5.00
판테놀 0.50
디소듐 EDTA 0.10
알란투안 0.15
카보머 0.30
소듐 메타비술파이트 0.10
글리세릴 스테아라테 5.00
& PEG-100 스테아라테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화이트 페트롤라툼 1.50
라우로일 리신 1.00
세틸 알코올 1.00
세틸 팔미트산염 1.00
스테아릴 알코올 0.50
레티놀 10% 0.46
부티레이티드 하이드로옥시토류엔 0.05
SD 알코올 40-B 5.00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1.00
이소프로플리파라벤, 0.40
이소부틸파라벤, N-부틸파라벤
예 11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또한 이트라코나졸, 미코나졸, 및 케토코나졸과 같은 아조올-타입의 합성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질산염이나 다른 이미다졸의 소금 형태를 이루는 것은 사용되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것들은 그 제형에 포함되어 있는 레티놀을 불안정하게 하려 하기 때문이다. 본 예에서, 다음에 나오는 성분들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이미다졸-함유 제형을 만들기 위하여 결합된다.
성분 %(W/W)
수용액 페이스 11-I 11-II 11-III
탈이온수 q.s.100% q.s.100% q.s.100%
카보머 940 0.350
디소듐 EDTA 디하이드레이트 0.10 0.10 0.10
프로필렌 글리콜 5.00 5.00 5.00
오일 페이스알레슬 165 5.00 5.00 5.00
세틸 알코올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0.5
화이트 페트롤라툼 1.5 1.5 1.5
BHT 0.05 0.05 0.05
메틸파라벤 0.15 0.15 0.15
프로필파라벤 0.1 0.1 0.1
부틸파라벤 0.05 0.05 0.05
C12-15 알킬 벤조레이트 4.00 4.00 4.00
세틸 팔미트산염 1.00 1.00 1.00
케토코나졸 2.0 - -
미코나졸 베이스 - 2.00 -
미코나졸 니트레이트 - - 2.0
에틸 알코올 5.0 5.0 5.0
벤질 알코올 0.3 0.3 0.3
레티놀 40% 0.332 0.332 0.332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조정 pH)
제형은, 이미다졸이 오일 페이스를 수용액 페이스로 상태를 전이하기 바로 전에 오일 페이스였을 때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예 1에서 설정된 상기 진행 절차에 따라 만들어진다. 40℃에서 13주 동안의 저장을 했을 때의 제형11-I의 안정도는 초기 레티놀의 82%가 있는 때와 같게 된다. 4주 후의 제형 11-II에서는, 4주 후의 제형 11-III에서 초기 레티놀이 71% 있는 것에 비교해서, 초기 레티놀의 90%가 남아 있다. 따라서, 양호한 안정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미다졸-함유 제형에서 달성된다.
예 12
다른 제형에서, 다음과 같은 성분이 오일-인-워터 유제에서처럼 준비된다.
성분 %(w/w)
수용액 페이스
탈이온수 65.74
카보폴 934 (카보옥시비닐 폴리머) 0.30
소듐 EDTA 0.05
소듐 비술파이트 0.10
부틸 파라벤 0.05
메틸 파라벤 0.15
프로필 파라벤 0.01
알란투안 0.15
판테놀 0.50
프로필렌 글리콜 5.00
오일 페이스
알레슬 165 5.00
세틸 알코올 1.00
스테아릴 알코올 1.50
화이트 페트롤라툼 1.50
옥틸 메토옥신나메이트 6.00
BHT 0.05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4.00
세틸 팔미트산염 1.00
레티놀 페이스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 10% (용액 W/W)
에틸 알코올 5.00
벤질 알코올 0.30
라우로일 리신 1.00
레티놀 10% 1.59
탈이온수는 적합한 비이커로 무게가 측정된다. 질소 가스는 물을 통하여 거품을 내고, 열은 가해지고, 또한 물이 혼합된다. 고속으로 혼합할 때에, 카보머는 탈이온수에 천천히 첨가되고, 5분 동안 혼합된다. 디소듐 EDTA와 소듐 미술파이트는 본 혼합물에 첨가된다. 60℃에서,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과, 및 부틸 파라벤은 알란투안과 판테놀에 부가하여 첨가되고, 혼합은 계속된다. 80℃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첨가되고, 합성물은 혼합된다. 별개의 비이커에서, 오일 페이스에서의 성분들은 열이 가해지는 동안에 한 개씩 그 무게가 측정된다. 혼합물은 80℃까지 가열되고, 균등질이 될 때까지 혼합된다. 오일 혼합물은 혼합을 해나가면서 천천히 수용액 페이스로 상태가 변이 되고, 냉각이 시작된다. 60℃에서,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와, 라우로일 리신과, 및 레티놀은 각각 첨가된다. 약 35℃에서, 에틸 알코올과 벤질 알코올은 첨가되고, 약 10분 동안 계속해서 혼합된다. 물이 q.s.만큼 첨가되고, 제형은 배치가 균등질이 될 때까지 약 5분 동안 혼합된다.
본 예에서의 제형의 pH는 약 6.6이다. 배치는 크림모양이고, 광택이 나고, 부드럽고, 균등질이며, 또한 하얀색이 더 이상 아니다.
예 13
레티날데하이드-함유 제형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만들어진다. 노란 전구와 아르곤 가스 블랭킷 하에서 실험을 하게 되면, 탈이온수는 비이커를 제외하고 무게가 측정된다. 카보머는 천천히 첨가되고, 분해가 될 때까지 제형은 잘 혼합된다. 디소듐 EDTA와 메틸 파라벤은 혼합물에 첨가되고, 혼합물은 80℃까지 가열된다. 80℃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첨가된다. 오일 페이스에서의 성분들은 무게가 측정되고, 별개의 비이커 안으로 놓여진다. 혼합물은 저어가면서 또한 이메티콘을 첨가하여 80℃까지 가열된다. 80℃에서의 두 개의 페이스에 대하여, 오일 페이스는 수용액 페이스에 첨가되고 혼합된다. 제형 13-I에서, 50%의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용액은 pH조정을 위하여 첨가된다. 레티날데하이드를 첨가하기 전에, 혼합물은 10분 동안 80℃에서 있고, 그 다음에 30℃로 냉각된다. 레티날데하이드는 벤질 알코올과 함께 혼합되고, 혼합물에 첨가된다. 제형 13-II에서, 시트랄은 벤질 알코올과 레티날데하이드를 함유하는 예비혼합물에 첨가된다.
성분 %(W/W)
수용액 페이스 13-I 13-II
탈이온수 82.29 82.29
카보폴 941 (카보옥시비닐 폴리머) 0.30 0.30
프로필렌 글리콜 4.00 4.00
메틸파라벤 0.30 0.30
디소듐 EDTA 0.10 0.10
오일 페이스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1.50 1.50
글리세릴 스테아라테 1.25 1.25
스테아릭 액시드 1.25 1.25
올레익 액시드 1.25 1.25
폴리소베이트 61 1.20 1.20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1.00 1.00
스테아옥시트리메틸실렌 1.00 1.00
디메티콘 1.00 1.00
소비탄 스테아라테 0.80 0.80
합성 비왁스 0.50 0.50
세틸 알코올 0.50 0.50
스테아릴 알코올 0.50 0.50
BHT 0.02 0.02
프로필파라벤 0.10 0.10
부틸파라벤 0.05 0.05
벤질 알코올 0.30 0.30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0.2 0.2
시트랄 - 1.6
레티날데하이드 0.05 0.05
레티날데하이드를 함유하는 다른 두 개의 제형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탈이온수는 비이커에 있는 채로 무게가 측정되고, 고속으로 혼합할 때에 카보머는 천천히 첨가된다. 몇 분 후에, 아스코빅 액시드 뿐 만 아니라 EDTA는 첨가된다. 혼합물이 균질이 될 때까지 약 45분 동안 계속해서 혼합이 된다. 혼합물은 80℃까지 가열되고, 프로필렌은 첨가된다. 별개의 비이커에서, 모든 오일 페이스의 성분들이 있다. 비이커는 균등질이 될 때까지 80℃까지 가열되면서 혼합된다. 그 다음에 오일은 천천히 혼합방식으로 수용액 페이스로 천천히 상태가 변화한다.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는 80℃에서 첨가되고, 유제는 약 10분 동안 혼합된다. 냉각은 시작된다. 35℃에서 벤질 알코올은 첨가된다. 배치는 수용액상태로 q.s.내지 997그램의 무게이다. 그 다음에 배치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한 개의 배치에는 선 혼합되었고 용해되었던 에탄올과 레티날데하이드가 첨가된다. 두 번째의 배치에는, 에탄올과 시트랄과, 및 레티날데하이드가 혼합되어 있는 선 혼합물이 첨가된다. 그 다음에 배치들은 블라인드 알루미늄 튜브 속으로 채워지고, 약 13주 동안 40℃에서 저장된다. 제형들은 다음과 같다:
성분 %(W/W)
수용액 페이스 13-III 13-IV
탈이온수 75.85 74.25
카보폴 934P 0.30 0.30
디소듐 EDTA 0.05 0.05
아스코르빅 액시드 0.10 0.10
프로필렌 글리콜 5.00 5.00
오일 페이스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라테 &
PEG 100 스테아라테 5.00 5.00
세틸 알코올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화이트 페트롤라툼 1.5 1.5
BHT 0.05 0.05
메틸파라벤 0.15 0.15
프로필파라벤 0.1 0.1
부틸파라벤 0.05 0.05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4.0 4.0
세틸 팔미트산염 1.0 1.0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10%(w/w 용액) 1.0 1.0
에틸 알코올 4.0 4.0
벤질 알코올 0.3 0.3
레티날데하이드 0.05 0.05
시트랄 - 1.6
본 예에서의 네 개의 모든 제형들은 40℃에서 13주 동안 저장되고, 다음과 같은 안정도를 갖는다:
안정도 13-I 13-II 13-III 13-IV
상태
13주 / 40℃ 65% 53% 65% 69%
비록 레티놀의 비안정도가 레티놀의 비안정도보다 훨씬 더 크더라도, 본 발명의 제형과 그 방법들을 사용할 때에,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이들 제형들에서의 pH 증가는 향상된 안정도를 초래한다. 표본 13-I와 13-II에서, C-값도 또한 감소되어야 한다.
예 14
옥틸메트옥신나메이트가 포화되었건 아니었던 간에 레티놀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제형들은, 이하에 설정되어 있는 제형들을 갖는 오일-인-워터 유제에서 준비된다. 준비하는 방법은 선행 예들의 방법과 유사하다.
14A 14B
탈이온수 64.45 70.45
카보머 0.3 0.3
글리세린 5.0 5.0
판테놀, DL 0.5 0.5
알란투안 0.15 0.15
소듐 메타비술파이트 0.1 0.1
디소듐 EDTA 0.2 0.2
옥틸메트옥신나메이트 6.0 0.0
글리세릴 스테아라테 &
PEG-100 스테아라테 5.0 5.0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4.0 4.0
화이트 페트롤라툼 1.5 1.5
라우로일 리신 1.0 1.0
세틸 알코올 1.0 1.0
세틸 팔미트산염 1.0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부티레이티드 하이드로옥시톨류엔 0.05 0.05
SD 알코올 40B 5.0 5.0
레티놀 0.165 0.165
대두유 1.465 1.485
소듐 하이드로옥사이드 용액 1.0 1.0
파라벤 혼합물 및
피노예타놀 1.5 1.5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0.1 0.1
예 14A 및 14B는 인간 임상 연구용으로 자극 잠재 제형을 평가하기 위해 쓰인다. 제품은 연속 3주의 기간 동안 폐색(occulsion) 아래서 반복적으로 투입되었다. 신제품의 피부에의 응용에서, 제품으로 인한 자극의 강도는 0 -4 등급으로 구별 산출되었다( 0은 자극이 없음을 의미하고 4는 수종 및 소낭을 수반한 강한 홍진을 의미한다). 레티놀을 함유한 제품에 대한 자극에 대한 값은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 산염없이 267이다.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 산염(14A)을 포함한 제품에 대해서는 자극 값이 95로 대략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 산염이 없는 제품의 3분의 1배가 된다. 제형의 두 번째 쌍은,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 산염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제품에서, 이런 테스트를 반복할 수 있는 조성물이 된다.
14C 14D
증류수 68.075 74.075
카보머 0.3 0.3
글리세린 5.0 5.0
판테놀 0.5 0.5
알란토인 0.15 0.15
디스토디엄 0.2 0.2
시넨시스(녹차) 추출 1.0 1.0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 6.0 0.0
를리세릴스테아린 산염 5.0 5.0
및 PEG 100스테아릴 산염
C12-C15 알킬 벤조아트 4.0 4.0
백색 바셀린 1.5 1.5
라우로일 리신 0.5 0.5
세틸 알코올 1.0 1.0
세틸 팔미트산염 1.0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버틸아트 하이드로 크토루네 0.05 0.05
SD 알코올 40B 2.5 2.5
레티놀 0.165 0.165
대두유 1.485 1.485
가성 소다 용액(20%) 0.675 0.675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0.4 0.4
및 버틸파라벤
유사한 테스트가 n=52 주제로 행해졌다.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 산염(14D)이 없는 제품에서의 자극 값은 105.5 이며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이 사용된 제품에서의 자극 값은(14C) 40.5였다. 다시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이 없는 제형에서의 값은 대략 3분의 1이 되었다.
이것은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이 잠재적 자극 물질로 고려되어지는 예상치 못한 뜻밖의 결과다. 이전의 자극 실험은 레티노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제형에 6%의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의 추가는 자극의 정도를 증가시킴을 증명한다. 두 제품이 다음 것으로 제작된다.
14E 14F
증류수 65.66 71.88
카보머 0.3 0.3
글리세린 5.0 5.0
판테놀 0.5 0.5
알란토인 0.15 0.15
가성 소다 0.1 0.1
디스토디엄EDTA 0.2 0.2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산염 6.0 0.0
글리세릴 스테아릴 산염 5.0 5.0
및 PEG 100스테아릴 산염
C12-C15 알킬 벤조아트 4.0 4.0
백색 바셀린 1.5 1.5
라우로일 리신 1.0 1.0
세틸 알코올 1.0 1.0
세틸 팔미트산염 1.0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버틸아트 하이드로 크토루네 0.05 0.05
SD 알코올 40B 5.0 5.0
대두유 0.44 0.22
가성 소다 용액 1.0 1.0
파라벤 혼합 및 페노타놀 1.5 1.5
메틸아이하이드로자스모나트 0.1 0.1
이러한 제형은 인간의 등을 주제로 위 패치 실험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실험되었다(n=200).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14E)이 없는 제품에서의 자극 값은 21.55 이며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이 사용된 제품에서의 자극 값은(14F) 52였다. 자극이 두배 이상이다. 예상치 못한 것이지만, 레티놀을 포함하는 제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의 추가는 제품의 자극을 완화시킨다.
예 16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아래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이것의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초 매개물을 구성하는 성분
발명
구성성분 CTFA 이름 %(w/w)
이온제거된 물 78.285
글리세린 5.000
카보머 0.300
디스토디엄EDTA 0.200
가성 소다 0.135
알코올 2.780
메틸파라벤 0.230
프로필파라벤 0.070
글리세릴 스테아리트 5.000
및 PEG 100 스테아리트
C12-C15 알킬 벤조아트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 알코올 1.000
세틸 팔미트산염 1.000
스테아릴 알코올 0.500
합계 100.00
수상(water phase)은 적절한 용기의 물의 제형화한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제조된다. 카보머는 수화를 고려하여 천천히 이끌어 들인다. 이때 용기는 70˚정도로 데워진다. 70˚에서 글리세린 및 EDTA가 추가된다. 조성은 이 온도에서 일어나고 조성물이 분해될 까지 혼합된다. 수상은 TEA로 중화된다. 유상은 이때, 적절한 용기에 들어가는 모든 오일 용해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각각 제조되는데, 오일 용해 성분은 C12- 15알킬 벤조아트, 글리세릴 스테아릴 산 및 PEG 100 스테아릴 산, 백색 바셀린, 세틸 팔미탄 산, 세틸 알코올 등이다.
이때, 유상은 70˚까지 가열되며 프로필파라벤 및 메틸 파라벤이 추가된다. 양 상의 온도가 70˚가 되면, 유상은 천천히 수상으로 허가되 들어가며 유제를 형성한다. 유제는 감열이 허가된다. 유제의 온도가 35°에 이르면, 알코올은 추가되며 균일해질 때까지 유제에 혼합된다. 배치는 무게 달아지고 물이 가열로 증기화 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추가되며 pH가 측정되고 조정된다.
대체적으로, 앞에서의 제형을 만들기 위한 처리는 수상에 유상을 추가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더 향상된 물리적 안정성은 유상에 수상이 추가 될 때 얻어진다.
예 17
본 발명에 따라서 제형은 다음의 성분을 사용하여 구해진다.
구성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수 85.95
글리세린 3.000
카보머 0.350
디소듐EDTA 0.100
메틸파라벤 0.200
프로필파라벤 0.100
세테아릴 알코올 및 1.400
및 세테아릴 를루코사이드
C12-C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트리에탄올라민 0.400
세틸 알코올 2.500
옥틸 수산기 스테아린산염 1.000
합계 100.00
수상(water phase)은 적절한 용기의 물의 공식화한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제조된다. 카보머는 수화를 고려하여 천천히 이끌어 들인다. 이때 용기는 75˚정도로 데워진다. 75˚에서 글리세린 및 EDTA가 추가된다. 조성은 이 온도에서 일어나고 구성물이 분해될 까지 혼합된다. 수상은 TEA와 함께 중화된다. 유상은 이때, 적절한 용기에 들어가는 모든 오일 용해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각각 제조되는데, 오일 용해 성분은 C12- 15알킬 벤조아트, 옥틸 수산기 스테아릴 산염, 디메티콘, 세티올 알코올 및 세티얼 글루코시드이다.
이때, 유상은 75˚까지 가열되며 프로필파라벤 및 메틸 파라벤이 추가된다. 양 상의 온도가 75˚가 되면, 유상은 천천히 수상으로 허가되 들어간다. 상기 시스템은 TEA로 중화된다. 배치(batch)는 1분이 경과된 후에 균질화된다. 균질화와 결합된 상을 소개하는 단계는 유제 형성에 기인한다. 배치는 무게 달아지고 물이 가열로 증기화 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추가되며 pH가 측정되고 조정된다.
대체적으로, 앞에서의 제형을 만들기 위한 처리는 수상에 유상을 추가함으로써 제작된다.
예 18
유상액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가 되는데, 상기 유제는 낮은 알킬 알코올 또는 디타키파잉(detackifying)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유제는 예 15의 처리 순서에 따라 하기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구성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수 73.055
글리세린 5.000
카보머 0.300
디소듐 EDTA 0.200
메틸파라벤 0.230
프로필파라벤 0.070
판테놀 0.500
알란토인 0.150
세테아릴 알코올 0.500
C12-C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6.000
세틸 알코올 1.000
백색 바셀린 1.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상기 제형은 유상으로서 기능을 하는데, 피부에 응용할 경우 피부가 당기거나 끈적이며 다소 잎상결(grainy in texture) 같은 느낌이 난다.
예19
상기 발명의 구성에 따른 유상은 끈적임이 없는 물질, 로우로(lauroyl) 리진을 포함하여 제조되나, 낮은 알킬 알코올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성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수 72.555
글리세린 5.000
판테놀 0.500
알란토인 0.150
카보머 0.300
디소듐 EDTA 0.200
가성 소다 0.135
페노시에탄올 0.700
메틸파라벤 0.230
프로필파라벤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6.000
C12-C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 팔미트산염 1.000
세틸 알코올 1.000
세테아릴 알코올 0.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라우로일(Lauroyl) 리진 0.500
상기 제형은 잘 결합되며 시각적인 미의 면에서도 피부가 나뭇결 같이 되는 것 없이 만족된다. 피부에서의 응용에서, 다소 느리게 퍼지나, 건조 동안에는 끈적이지 않는다.
예 20
상기 발명의 구성에 따른 유상은 낮은 알코올을 포함하지만 접착성이 없는 물질, 라우로일 리신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성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수 70.275
글리세린 5.000
판테놀 0.500
알란토인 0.150
카보머 0.300
디소듐 EDTA 0.200
가성 소다 0.135
알코올 2.780
페노시에탄올 0.700
메틸파라벤 0.230
프로필파라벤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6.000
C12-C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 팔미트산염 1.000
세테아릴 알코올 0.500
세틸 알코올 1.000
스테아릴 알코올 0.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응용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부드럽지만 피부 건조 시 끈적이며 피부가 당기나 미용 면에서는 만족을 준다.
예 21
상기 발명의 구성에 따른 유상은 낮은 알킬 알코올 및 끈적임 없는 물질, 라우로일 리신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구성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수 69.775
글리세린 5.000
판테놀 0.500
알란토인 0.150
카보머 0.300
디소듐 EDTA 0.200
가성 소다 0.135
알코올 2.780
페노시에탄올 0.700
메틸파라벤 0.230
프로필파라벤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6.000
C12-C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 팔미트산염 1.000
세틸 알코올 1.000
세테아릴 알코올 0.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라우로일 리신 0.500
상기 제형은 최상의 외형을 갖는다, 다시 말해 부드럽고, 희고, 및 피부 건조 중에 쉽게 퍼지며 끈적이지 않는다.
예 22
제형은 아래와 같이, 약 15 중량 백분율의 에틸 알코올을 갖는 것으로 마련되었다.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 57.555
글리세린 5.000
판테놀(Panthenol) 0.500
알란토인 0.150
카보머(Carbomer) 0.300
디소듐(disodium) EDTA 0.200
소듐 수산화물 0.135
알코올 15.0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700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0.23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메톡시신네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6.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Cetyl) 팔미트산염 1.000
세틸 알코올 1.0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0.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초산염 0.100
라우로일 리신 0.500
상기 제형은 알코올 향을 갖고, 피부에 넓게 도포시 다소 보습상태이다. 알코올의 레벨은 심미적인 제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 15 중량 백분율이거나 또는 이 하이어야만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 23
제형은 다음과 같이, 약 7 무게 백분율의 라우로일 리신을 갖는 것으로 마련되었다.
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수 63.275
글리세린 5.000
판테놀(Panthenol) 0.500
알란토인 0.150
카보머(Carbomer) 0.300
디소듐 EDTA 0.200
나트륨 수산화물 0.135
알코올 2.78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700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0.23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Benzoate) 6.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Cetyl) 팔미트산염 1.000
세틸 알코올 1.0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0.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초산염 0.100
라우로일(Lauroyl) 리신 7.000
상기 제품은 심미적으로는 만족스러우나, 첨가되는 라우로일 리신은 아마도 가장 추가적인 심리적인 이점을 제공하지는 않게 될 것이며 상기 유제에서 끈적거림을 일으킬 수도 있다.
예 24
몇몇 제형은 심미적인 제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일 상태 중 건조하고 부드럽게 하는 오일 상태와 실질적인 오일 또는 오일 상태의 왁스 부분을 비교 평가할 필요성을 보여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조성물(24A)은 건조하고 부드럽게 하는 오일이나 실질적인 오일 또는 왁스를 전혀 포함하지 않았다. 조성물(24B)은 실질적인 오일 또는 왁스, 옥틸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만을 포함하였다. 조성물(24C)은 건조하고 부드럽게 하는 오일, C12-15알킬 안식향산염을 포함하였다. 조성물(24D)은 수산기 스테아르산염과 C12-15 알킬 안식향산염 모두를 포함하였다.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24A 24B 24C 24D
탈이온수 89.498 88.498 85.498 84.498
카보머(Carbomer) 0.350 0.350 0.350 0.350
디소듐 EDTA 0.100 0.100 0.100 0.100
판테놀(Panthenol) 0.500 0.500 0.500 0.500
글리세린 3.000 3.000 3.000 3.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 ------ 4.000 4.000
옥틸(Octyl)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 1.000 ----- 1.0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0 1.000 1.000 1.000
세틸(Cethyl) 알코올 2.500 2.500 2.500 2.5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및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사이델
(Cetearyl glucosidel) 1.400 1.400 1.400 1.400
BHT 0.100 0.100 0.100 0.100
비타민 E 초산염 0.500 0.100 0.100 0.10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00 0.100 0.100 0.100
트리에탄올라민(Triethanolamine) 0.400 0.400 0.400 0.400
토코페롤 0.050 0.050 0.050 0.050
폴리소베이트(Polysorbate) 0.102 0.102 0.102 0.102
파라벤 혼합물(Paraben Blend) 0.400 0.400 0.400 0.400
조성물(24A)은 보기에는 꽤 낟알 같았고 피부에 도포시 건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포시 곧바로 건조되기 때문에 피부 위에서 퍼질 만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는 못했고, 허용될만한 피부 보호 제품이 될 수 없었다. 건조하고 부드럽게 하는 오일을 갖지 않는 조성물(24B)은 피부에 두꺼운 코팅 감각을 남기며, 쉽게 퍼지지를 않았다. 건조한 완화제 오일을 포함하나 실질적인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24C)은, 피부에 쉽게 퍼졌을 지라도, 너무 빨리 건조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점의 감각이 부족한, 열악한 차후 감각을 갖는다. 조성물(24D)은 모든 종류의 오일을 포함했는데 아주 양호한 퍼짐성, 피흡수성 및 차후 감각의 양호한 조화를 나타내었다.
예 25
높은 백분율의 건조하고 부드러운 오일 및 높은 백분율의 실질적인 오일을 각각 혼합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25A 25B
탈이온수 76.498 73.498
카보머(Carbomer) 0.350 0.350
디소듐 EDTA 0.100 0.100
판테놀(Panthenol) 0.500 0.500
글리세린 3.000 3.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12.000 4.000
옥틸(Octyl)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1.000 12.0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0 1.000
세틸(Cethyl) 알코올 2.500 2.5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및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사이델
(Cetearyl glucosidel) 1.400 1.400
BHT 0.100 0.100
비타민 E 초산염 0.100 0.10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00 0.100
트리에탄올라민(Triethanolamine) 0.400 0.400
토코페롤 0.050 0.050
폴리소베이트(Polysorbate) 0.102 0.102
파라벤 혼합물(Paraben Blend) 0.400 0.102
12% C12-15 알킬 안식향산염을 포함하는 조성물(25A)은 기름기 있는 촉감을 갖는 반면에, 12% 옥틸 수산기 스테아르산염을 포함하는 조성물(25B)은 "느릿느릿(draggy)"한 촉감을 갖고 끈적거리는 잔재를 남긴다.
예 2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비타민, 산화방지제 재료, 햇볕 타기 방지제 및 진정시키는/예방 보호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CTFA 이름 %(w/w)
탈이온화수 69.775
글리세린 5.000
판테놀(Panthenol) 0.500
알란토인 0.150
카보머(Carbomer) 0.300
디소듐 EDTA 0.200
나트륨 수산화물 0.135
알코올 2.780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0.700
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0.230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및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Octylmethoxycinnamate) 6.000
C12-15알킬 안식향산염 4.000
백색 바셀린 1.500
세틸(Cetyl) 알코올 1.0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0.500
대두유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라우로일(Lauroyl) 리신 0.500
예 27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스테로이드 합성 화합물 및/또는 자연적으로 유도된 항 염증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 염증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27A: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 72.498
카보머(Carbomer) 0.350
디소듐 나트륨 EDTA 0.100
판테놀(Panthenol) 0.500
글리세린 3.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옥틸(Octyl)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12.000
하이드로코르티손 및
그에 따른 각 염제 1.0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0
세틸(Cethyl) 알코올 2.5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및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사이델
(Cetearyl glucosidel) 1.400
BHT 0.100
비타민 E 초산염 0.50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00
트리에탄올라민(Triethanolamine) 0.400
토코페롤 0.050
폴리소베이트(Polysorbate) 20 0.102
파라벤 혼합물(Paraben Blend) 0.102
조성물 27B: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 71.498
카보머(Carbomer) 0.350
디소듐 EDTA 0.100
판테놀(Panthenol) 0.500
글리세린 3.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옥틸(Octyl)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12.000
이부프로펜 2.0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0
세틸(Cethyl) 알코올 2.5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및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사이델
(Cetearyl glucosidel) 1.400
BHT 0.100
비타민 E 초산염 0.50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00
트리에탄올라민(Triethanolamine) 0.400
토코페롤 0.050
폴리소베이트(Polysorbate) 20 0.102
파라벤 혼합물(Paraben Blend) 0.400
조성물 27C: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 70.298
일본 녹차 추출물 1.000
카보머(Carbomer) 0.350
디소듐 EDTA 0.100
판테놀(Panthenol) 0.500
글리세린 3.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옥틸(Octyl) 수산기 스테아르산염 12.000
글리싸이리직 산(Glycyrrhizic acid) 1.000
스테아르산염 글리싸이레티네이트
(Glycyrrhetinate) 1.000
비사보롤(Bisabolol) 0.2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0
세틸(Cethyl) 알코올 2.5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및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사이델
(Cetearyl glucosidel) 1.400
BHT 0.100
비타민 E 초산염 0.50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00
트리에탄올라민(Triethanolamine) 0.400
토코페롤 0.050
폴리소베이트(Polysorbate) 20 0.102
파라벤 혼합물(Paraben Blend) 0.400
예 27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비타민 A 팔미트산염과 조합한 오일-용해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 83.498
카보머(Carbomer) 0.350
디소듐(disodium) EDTA 0.100
판테놀(Panthenol) 0.500
글리세린 3.0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 4.000
옥틸(Octyl) 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염 1.0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0
세틸(Cethyl) 알코올 2.5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및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사이델
(Cetearyl glucosidel) 1.400
BHT 0.100
비타민 E 초산염 0.50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00
트리에탄올라민(Triethanolamine) 0.400
토코페롤 0.050
비타민 A 알코올 0.102
비타민 A 팔미트산염 1.000
파라벤 혼합물(Paraben Blend) 0.400
예 28
다음과 같은 프로테인산 및/또는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Deionized water) 69.075
글리세린 5.000
판테놀(panthenol) 0.500
알란토인(Allantoin) 0.150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200
카보머(carbomer) 0.300
디소듐 EDTA 0.200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35
알코올 2.78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700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0.23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메톡시신네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6.000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5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Alkyl Benzoate) 4.000
백색 바셀린(White Petrolatum) 1.500
세틸 팔미트산염(Cetyl Palmitate) 1.000
세틸 알코올 1.0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0.500
대두유(Soybean Oil)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라우로일 리신(Lauroyl Lysine) 0.500
예 29
다음과 같은 사포닌(saponin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탄닌(tannins) 등과 같은 자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성분 CTFA 이름 % (w/w)
탈이온수(Deionized water) 67.775
글리세린 5.000
하마멜리스(Witch Hazel) 추출물 1.000
판테놀(panthenol) 0.500
알란토인(Allantoin) 0.150
파구스 실바티카(Fagus Silvatica) 추출물 0.500
카보머(carbomer) 0.300
디소듐 EDTA 0.200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35
알코올 2.78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700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0.230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70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옥틸메톡시신네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6.000
파일워트(Pilewort) 추출물 0.500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Alkyl Benzoate) 4.000
백색 바셀린(White Petrolatum) 1.500
세틸 팔미트산염(Cetyl Palmitate) 1.000
세틸 알코올 1.000
스테아르산염(Stearyl) 알코올 0.500
대두유(Soybean Oil) 0.460
BHT 0.1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라우로일 리신(Lauroyl Lysine) 0.500
예 30
아래와 같이, 심지어 살색을 생성하는데 효과적인 레티놀(retinol) 화합물 및 탈색 재질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성분 %(w/w)
탈이온수(Deionized water) 74.6102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Hydrozyethylcellulose) 1.00
크산 수지(Xanthan Gum) 0.20
디소듐 EDTA 0.10
D 판테놀(D Panthenol) 0.50
글사이에린(Glcyerin) 3.00
글루타티온 0.20
마그네슘-L-아스코빌(ascorbyl)-인산염 3.00
구연산 0.05
C 12-15 알킬 안식향산염(Alkyl Benzoate) 4.00
옥틸 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염 1.00
디메티콘(Dimethicone) 1.00
세틸 알코올 2.50
스테아르산염 글루코시드(Stearyl glucoside) 1.40
디-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0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4.000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2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 0.0987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7333
10%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1.80
디-알파 토코페롤 0.05
비타민 에이/티윈(Vitamin A/Tween) 45% 0.0686
레시틴(Lecithin) 70%
아스코빌 팔미트산염(Ascorbyl palmitate) 25%
알파 토코페롤 5% 0.001
차 잎 정류 액 1.00
예 31
다양한 자극 완화제가 이하에서 예 31의 대조 표준으로 지정된 대조 표준 제형과 비교되어 평가되었다. 자극 완화제를 함유하는 제형은, 대조 표준 제형에 대해 자극이 완화되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 14에서 설명된 절차를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대조 표준 제형은 다음과 같다.
성분 무게 백분율
레티놀(대두유에서 10%) 1.725
글리세릴 스테아르산염 & PEG 100 스테아르산염 5.000
C 12 - C15 알킬 안식향산염(Alkyl Benzoate) 4.00
바셀린(Petrolatum) 1.500
라우로일 리신(Lauroyl Lysine) 0.500
세틸 알코올 1.000
세틸 팔미트산염(Cetyl Palmitate) 1.000
스테아르산염(Stearyl) 알코올 0.500
BHT 0.100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 1.00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00
글사이에린(Glcyerin) 5.000
D 판테놀(D Panthenol) 0.500
알란토인(Allantoin) 0.150
카보머(carbomer) 0.300
디소듐 EDTA 0.200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35
변성 알코올 0.780
물 q.s. 내지 100
예 31(31A)의 대조 표준 제형에 대한 자극 값은 RIPT 평가로 146이었다. 예 31B는 5 % 무게 백분율의 메틸 안트라닐산염을 함유하고, 예 31A에 대한 병렬 시험에서 65의 자극 값을 나타내었다. 예 31C는 5% 무게 백분율의 호모멘틸(homomenthyl) 살리실산염을 함유하였다. 예 31C는 61.5 자극 값을 초래하였다. 예 31D는 5% 무게 백분율의 옥토크릴렌(octocrylene)을 함유하였다. 예 31D는 73.5의 자극 값을 초래하였다. 예 31E는 5% 무게 백분율의 옥틸 디메틸(octyl dimethyl) PABA를 함유하였다. 이 제형은 68.5의 자극 값을 초래하였다.
지용성 자극 완화제를 수용성 화합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예 31F 및 예 31G가 제형되었다. 예 31F는 5% 무게 백분율의 TEA-살리실산염(TEA-salicylate), 수용성 유기 에스테르를 함유하였다. 이 제형은 177의 자극 값을 초래하였다. 예 31G는 5% 무게 백분율의 DEA-메톡시신네메이트(DEA-methoxycinnamate), 다른 수용성 유기 에스테르를 함유하였다. 이 제형은 191의 자극 값을 초래하였다.
C 12 - C15 알킬 안식향산염(Alkyl Benzoate)이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레티노이드(retinoids)에 의해 야기된 자극에 효과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 31H가 제형되었는데, 예 31H는, 예 31A의 대조 표준 제형에서 4% 무게 백분율로 존재하는 것에 덧붙여, C 12 - C15 알킬 안식향산염을 8% 무게 백분율을 초과하여 함유한다. 이러한 제형을 사용하여 얻어진 자극 값은 91이다.
상술한 예(31A 내지 31H)는 오일-인-워터 유제(oil-in-water emulsion) 조성물이다. 예 31I는 자극 완화제,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가 오일-인-워터 유제 내에서 자극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형되었다.
성분 대조 표준 제형 31 I
디소듐 EDTA 0.100 0.100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0.100 0.100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150 0.150
경 미네날 오일(Light Mineral oil) 15.000 9.0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5.000 5.000
스테아레쓰-21(Steareth-21) 3.250 3.250
스테아레쓰-2 1.750 1.750
BHT 0.050 0.050
프로필 파라벤 0.100 0.100
산화 아연 5.000 5.000
레티놀(TweenTM20 내에서 45%) 0.330 0.330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 ---- 6.000
물 69.170 69.170
상기 대조 표준에 대한 자극 값은 516인 반면,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를 함유한 제형은 240의 자극을 나타내어, 50%를 초과한 자극 감소를 보인다. 따라서 자극 완화제가, 상기 제재가 사용된 전달 시스템의 형태에도 불구하고, 자극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함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예 31J에 있어서, 대조 표준 제형 및 자극 완화제를 함유한 조성물은, 이러한 계수가 자극 양을 감소시키는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 31I의 레티놀의 절반을 함유한다.
예 31J
성분 대조 표준 제형 31 I
디소듐 EDTA 0.100 0.100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0.100 0.100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150 0.150
경 미네랄 오일(Light Mineral oil) 15.000 9.000
스테아르산염 알코올 5.000 5.000
스테아레쓰-21(Steareth-21) 3.250 3.250
스테아레쓰-2 1.750 1.750
BHT 0.050 0.050
프로필 파라벤 0.100 0.100
산화 아연 5.000 5.000
레티놀(TweenTM20 내에서 45%) 0.170 0.170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 ---- 6.000
물 69.330 69.330
상기 대조 표준에 대한 자극 값은 269인 반면,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 제형은 55의 자극 값을 나타내어, 50%를 초과한 자극 감소를 보인다.
이와 같이, 상술한 예들은 유용성 자극 완화제는 본 발명의 레티노이드 함유 제형에 의해 생성된 자극을 완화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예(31A-31J)에서 사용된 화합물의 용해도 매개 변수 δ과, δN과 δRETIN L사이의 차이는 아래의 표에서 설명된다.
화합물 δNδRETIN L
C 12 알킬 안식향산염 9.25 - 0.31
C 15 알킬 안식향산염 9.15 - 0.40
옥틸 메톡시신네메이트 9.27 - 0.29
멘틸 안트라닌산 염 9.69 0.13
호모멘틸 살리실산염 10.7 1.14
옥토크라일렌(Octocrylene) 10.3 0.74
옥틸 디메틸 PABA 9.23 - 0.33
TEA 살리실산염 15.4 5.84
DEA 메톡시 살리실산염 12.5 2.94
레티놀 9.56
따라서 청구범위의 특성을 갖는 자극 완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7)

  1. 오일-인-워터 유제(oil-in-water emulsion) 및 비타민 A 알코올, 비타민 A 알데히드(aldehyde),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트산염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레티노이드(retinoid)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로서, 약 4 내지 약 10 사이의 pH을 갖고, 유상(oil phase)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유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불포화(unsaturation) 레벨을 갖는, 피부 보호 조성물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oil-soluble antioxidant)와,
    b) 키일레이트제(chelating agent) 및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와,
    c) 키일레이트제와, 그리고
    d) 상기 유제의 유상 및 수상의 각각에 존재하는 키일레이트제 및 하나 이상의 오일 용해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40℃에서 13주 저장을 한 후 상기 레티노이드의 약 7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2. 오일-인-워터(oil-in-water) 유제 조성물에 있어서,
    a) i)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 스테아레이트로 된 혼합물과,
    ii)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테아릴 글루코시드(cetearyl glucoside)와,
    iii) CH3(CH2)16CH2(OCH2CH2)nOH(여기서, n은 21) 화학식의 스테아릴 알코올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및 CH3(CH2)16CH2(OCH2CH2)nOH(여기서, n은 2) 화학식의 스테아릴 알코올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로 된 혼합물과, 그리고
    iv)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의 혼합물(에틸렌 산화물의 20몰로 응축된 소르비톨 및 소르비톨 무수물(sorbitol anhydride)의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로 된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상화제 시스템(emulsifier system)과,
    b)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동 유상화제(co-emulsifier)와,
    c) 전체 유제 조성물의 중량으로 약 5% 내지 약 20%의 양에 존재하는 유상으로서,
    i) 순하고, 건성의 흡수되기 쉬운 오일과,
    ii) 실재적으로 피부를 연화시키는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데, 상기 건성의 흡수되기 쉬운 오일과 실재적으로 피부를 연화시키는 오일은 약 1:3 내지 약 10:1의 비율로 존재하는, 상기 유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인-워터 유제 조성물.
  3. 피부 보호 조성물에 있어서,
    (a) 비타민 A 알코올, 비타민 A 알데히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트산염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레티노이드와,
    (b) 자극 완화 유효량의 자극 완화 유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 유상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성분의 합성 용해도 매개 변수(δ)는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레티노이드의 용해도 매개 변수의 2 단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 유상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성분의 합성 용해도 매개 변수는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레티노이드의 용해도 매개 변수의 1.5 단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 유상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성분의 합성 용해도 매개 변수는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레티노이드의 용해도 매개 변수의 1 단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7. 피부 보호 조성물에 있어서,
    (a) 비타민 A 알코올, 비타민 A 알데히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트산염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레티노이드와,
    (b) 자극 완화 유효량의 자극 완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탄소 원자 번호가 약 12 이상의 탄소 체인(carbon chain)을 갖는 오일 용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지방 알코올로 된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지방산으로 된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C12-15알킬 안식향산염(benzoate),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옥틸 디메틸 PABA, 옥토크릴렌(octocrylene), 멘틸 안티라니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homomenthyl salicyl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 100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릴 락테이트(stearyl lactate)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자극 완화 유효량의 자극 완화 유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5. 제 2항에 있어서, 자극 완화 유효량의 자극 완화 유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자극 완화 유효량의 자극 완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17. 제 2항에 있어서, 자극 완화 유효량의 자극 완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KR1019980706755A 1996-03-01 1997-02-28 새로운 국소 조성물 KR19990087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09,588 1996-03-01
US08/609,588 US5976555A (en) 1994-09-07 1996-03-01 Topical oil-in-water emulsions containing retinoids
US08/807,351 US6461622B2 (en) 1994-09-07 1997-02-27 Topical compositions
US8/807,351 1997-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346A true KR19990087346A (ko) 1999-12-27

Family

ID=2708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755A KR19990087346A (ko) 1996-03-01 1997-02-28 새로운 국소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6461622B2 (ko)
EP (1) EP0885000B1 (ko)
JP (1) JP4181633B2 (ko)
KR (1) KR19990087346A (ko)
CN (1) CN1096847C (ko)
AT (1) ATE237304T1 (ko)
AU (1) AU1981797A (ko)
BR (1) BR9710405A (ko)
CA (1) CA2247645C (ko)
CZ (1) CZ271598A3 (ko)
DE (1) DE69720978T2 (ko)
ES (1) ES2197335T3 (ko)
IL (1) IL125921A0 (ko)
MX (1) MXPA98007006A (ko)
PL (1) PL328820A1 (ko)
TW (1) TW467747B (ko)
WO (1) WO19970316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789B1 (ko) * 2002-10-25 2008-08-13 힐 더마슈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국소용 피부 관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847A (en) * 1996-10-03 2000-05-30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s
IN187969B (ko) * 1996-12-10 2002-08-03 Johnson & Johnson Consumer
JP3495217B2 (ja) * 1997-01-17 2004-02-09 株式会社資生堂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6531165B2 (en) 1997-01-17 2003-03-11 Shiseido Company, Ltd.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composition
US6017549A (en) * 1997-09-30 2000-01-25 E-L Management Corp. Non-irritating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5972355A (en) * 1997-09-30 1999-10-26 E-L Management Corp. Stable compositions containing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EP1987809A1 (en) * 1998-02-10 2008-11-05 Shiseido Co., Ltd.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enthaltend Retinoide
JP3634139B2 (ja) * 1998-02-10 2005-03-30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DE19839402A1 (de) * 1998-08-29 2000-03-02 Beiersdorf Ag Retinoide enthaltende Hautpflegemittel
US6455055B1 (en) 1999-02-12 2002-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US6224888B1 (en) 1999-02-12 2001-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US6309657B2 (en) 1999-02-12 2001-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CA2299117A1 (en) * 1999-02-24 2000-08-24 Stiefel Research Institute, Inc. Antimycotic compositions
US6440437B1 (en) 2000-01-24 2002-08-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s having skin health benefits
AR023578A1 (es) * 1999-04-23 2002-09-04 Kimberly Clark Co Un material enfrentado al cuerpo que tiene una superficie externa, un metodo para hacer dicho material, una composicion mejorada de la barrera de la piel yun metodo para mejorar/restaurar/mantener la funcion de dicha barrera
US6287581B1 (en) 1999-04-23 2001-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kin health benefits
US6475197B1 (en) 1999-08-24 2002-1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skin health benefits
IN2000KO00299A (ko) * 1999-05-28 2005-11-18 Johnson & Johnson Consumer
US6762158B2 (en) * 1999-07-01 2004-07-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iquid ester mixtures
DE19935763B4 (de) * 1999-07-27 2006-03-02 Jenning, Volkhard, Dr. Zusammensetzung eines Redoxsystems zur Stabilisierung von Retinoiden in Präparaten zur äußerlichen Anwendung
US6534074B2 (en) 1999-08-24 2003-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kin health benefits
WO2001022967A1 (en) * 1999-09-29 2001-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US7060732B2 (en) * 2000-12-12 2006-06-13 Imaginative Research Associates, Inc. Antibiotic/benzoyl peroxide dispenser
US20060189552A1 (en) * 2000-12-12 2006-08-24 Mohan Vishnupad Dispenser for dispensing three or more actives
WO2002053125A2 (en) * 2000-12-28 2002-07-11 Unilever Plc Skin care product containing a retinoid and a retinoid booster system in a dual compartment package
US6949247B2 (en) * 2000-12-28 2005-09-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e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 retinoid and a retinoid booster system
JP2004521932A (ja) * 2001-01-19 2004-07-22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コンシューマー・カンパニ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チノイド化合物の安定化
FR2823669B1 (fr) * 2001-04-23 2004-03-26 Oreal Procede pour augmenter le seuil de tolerance d'une peau sensible ou intolerante
US20030170187A1 (en) * 2002-03-01 2003-09-11 Alfred Marchal Skin treatments containing nano-sized vitamin K
US20050214240A1 (en) * 2002-03-29 2005-09-29 Toshiyuki Ito Cosmetic preparation
DE10233740A1 (de) * 2002-07-24 2004-02-05 Basf Ag Retinoid-haltige Zubereitungen
CN100464741C (zh) * 2002-12-12 2009-03-04 盖尔德马研究及发展公司 含有酚衍生物和类维生素a的含水醇脱色素凝胶
KR20050084267A (ko) * 2002-12-12 2005-08-26 갈데르마 리써어치 앤드 디벨로프먼트,에스.엔.씨. 페놀성 유도체 및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수성-알코올성탈색 겔
US7169424B2 (en) * 2003-02-28 2007-01-30 Kemin Industries, Inc. Mold inhibitor having reduced corrosiveness
US7014842B2 (en) * 2003-05-29 2006-03-21 Playtex Products, Inc. Sunscreen composition
DE102004003478A1 (de) * 2004-01-22 2005-08-18 Basf Ag Retinoid-haltige Zubereitungen
BRPI0402011A (pt) * 2004-05-04 2005-12-20 Vedic Hindus Ind Com Imp E Exp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 composto para confecção de uma tatuagem não-permanente, processo para a utilização de um composto para tatuagem
US20060014834A1 (en) * 2004-05-11 2006-01-19 Mohan Vishnupad Retinoid solutions and formulations made therefrom
US7662855B2 (en) * 2004-05-11 2010-02-16 Imaginative Research Associates, Inc. Retinoid solutions and formulations made therefrom
US20060160823A1 (en) * 2004-05-28 2006-07-20 Leonore Witchey-Lakshmanan Particulate-stabilized injec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Posaconazole
US20060009469A1 (en) * 2004-05-28 2006-01-12 Leonore Witchey-Lakshmanan Particulate-stabilized injectable pharmacutical compositions of posaconazole
AU2005333141A1 (en) * 2004-07-16 2007-02-0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reatment of skin with light and benefit agent
US8449867B2 (en) 2004-08-31 2013-05-28 Stiefel Research Australia Pty Ltd Microemulsion and sub-micron emulsion process and compositions
DE102005012554A1 (de) * 2005-03-16 2006-09-28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 mit Hyaluronsäure
EP1919442B1 (en) * 2005-08-29 2011-10-19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Non-tumorigenic ointment/cream base for topical application
US20070048246A1 (en) * 2005-09-01 2007-03-01 Biophysica Research, Inc. Novel skin care compositions
US20070207117A1 (en) * 2006-03-06 2007-09-06 David Mark Burnett Composition for hands
CA2645073A1 (en) * 2006-03-08 2007-09-13 Nuviance, Inc. Transdermal drug delivery compositions and topical compositions for application on the skin
KR100684642B1 (ko) * 2006-09-14 2007-02-22 주식회사 일신웰스 어유 유래 글리세라이드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104673A1 (en) 2006-10-24 2010-04-29 Jormay,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DE102007005093A1 (de) * 2007-01-25 2008-07-31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 gegen Hautpigmentierungen
DE102007012644A1 (de) 2007-03-16 2008-09-18 Bayer Healthcare Ag Stabilisierung von Vitamin B12
US20090053337A1 (en) * 2007-08-21 2009-02-26 L'oreal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of compromised skin
CN101249095B (zh) * 2007-10-08 2011-08-31 重庆医药工业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含脱色剂、维a酸和皮质类固醇的乳膏的制备方法
KR101199672B1 (ko) * 2008-02-01 2012-11-09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방향성 피부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
EP2100585A1 (fr) * 2008-03-11 2009-09-16 L'Oré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composé d'acide ascorbique ou d'acide salicylique
JP4406035B1 (ja) * 2008-07-09 2010-01-27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AU2009331482B2 (en) * 2008-12-22 2014-12-11 Johnson & Johnson Consumer Holdings France A composition comprising a retinoid and method of treating skin conditions
MX340791B (es) * 2009-02-25 2016-07-25 Stiefel Res Australia Pty Ltd Composicion de espuma topica.
JP5700051B2 (ja) * 2010-01-15 2015-04-15 味の素株式会社 N−アシル塩基性アミノ酸分散物
ITPD20100090A1 (it) * 2010-03-22 2011-09-23 Sanitas Farmaceutici S R L Formulazione topica per il trattamento di eruzioni cutanee, in particolare conseguenti a trattamenti con farmaci anti egfr
US20120035557A1 (en) * 2010-07-16 2012-02-09 Timothy Woodrow Coffindaffer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Multi-Active System For Down Regulating Cytokines Irritation
US9475709B2 (en) 2010-08-25 2016-10-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ed graphene deionization or desalination
CN102863031A (zh) * 2011-07-06 2013-01-09 福建方明环保科技有限公司 利用钢铁酸洗液生产催化剂的方法及处理污水的方法
US10653824B2 (en) 2012-05-25 2020-05-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uses thereof
US9834809B2 (en) 2014-02-28 2017-12-0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ringe for obtaining nano-sized materials for selective assay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610546B2 (en) 2014-03-12 2017-04-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graphen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9744617B2 (en) 2014-01-31 2017-08-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perforating multi-layer graphene through ion bombardment
MX2015000559A (es) * 2012-07-13 2015-09-23 Univ Tufts Encapsulacion de fragancia y/o sabores en biomateriales de fibroina de seda.
CA3153463A1 (en) 2012-10-29 2014-05-08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mucosal tissue disorders
US9592475B2 (en) 2013-03-12 2017-03-1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perforated graphene with uniform aperture size
US9572918B2 (en) 2013-06-21 2017-02-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raphene-based filter for isolating a substance from blood
JP2017507044A (ja) 2014-01-31 2017-03-16 ロッキード マーティン コーポレイションLockheed Martin Corporation 多孔性非犠牲支持層を用いた二次元材料とのコンポジット構造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CA2938273A1 (en) 2014-01-31 2015-08-06 Peter V. Bedworth Perforating two-dimensional materials using broad ion field
JP2017512129A (ja) 2014-03-12 2017-05-18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有孔グラフェンから形成された分離膜
KR20170095804A (ko) 2014-09-02 2017-08-23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이차원 막 소재에 기반을 둔 혈액 투석 및 혈액 여과 막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10543167B2 (en) * 2014-09-17 2020-01-28 Alps South Europe S.R.O.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tioxidants
JP6570264B2 (ja) 2015-02-27 2019-09-04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2液混合型エアゾール製品
JP6570263B2 (ja) 2015-02-27 2019-09-04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2液混合型エアゾール製品
AU2016303048A1 (en) 2015-08-05 2018-03-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able sheets of graphene-based material
MX2018001559A (es) 2015-08-06 2018-09-27 Lockheed Corp Modificacion de nanoparticula y perforacion de grafeno.
US10532017B2 (en) 2015-12-29 2020-01-14 L'oreal Stable antioxidant compositions
CN105708716A (zh) * 2016-01-28 2016-06-29 胡发刚 一种新型水包油白癜风遮盖制剂
JP2019511451A (ja) 2016-04-14 2019-04-25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浮遊法を用いてグラフェンシートを大判転写用に処理する方法
JP2019517909A (ja) 2016-04-14 2019-06-27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流路を有する二次元膜構造体
WO2017180134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vivo and in vitro use of graphene and other two-dimensional materials
KR20180133430A (ko) 2016-04-14 2018-12-14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결함 형성 또는 힐링의 인 시츄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방법
KR20190018411A (ko) 2016-04-14 2019-02-2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그래핀 결함의 선택적 계면 완화
WO2017180135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mbranes with tunable selectivity
EP3490525A4 (en) * 2016-07-28 2020-04-08 Jonas Wang SKIN CARE PRODUCTS AND USES THEREOF
CN110785161B (zh) 2017-06-23 2023-06-20 宝洁公司 用于改善皮肤外观的组合物和方法
CN108066182A (zh) * 2017-12-18 2018-05-25 东莞俏美肌生物科技有限公司 美白嫩肤护肤品
CN108078810A (zh) * 2017-12-18 2018-05-29 东莞俏美肌生物科技有限公司 美白淡斑的皮肤护理化妆品组合物
US11622963B2 (en) 2018-07-03 2023-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JP2023528616A (ja) 2020-06-01 2023-07-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ビタミンb3化合物の皮膚への浸透を改善する方法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3952239B (zh) * 2021-09-27 2023-05-23 水羊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复合液晶乳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97166A1 (en) 2022-11-02 2024-05-10 Nutrition & Biosciences USA 4, Inc. Compositions comprising xanthan gum and crystalline alpha-1,3-glucan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7119A (en) 1957-11-12 1959-07-28 Camp Sea Food Company Inc Van Stable powdered oil soluble vitamins and method of preparing stable powdered oil soluble vitamins
US3906108A (en) 1973-10-12 1975-09-16 Johnson & Johnson Stabilized tretinoin cream emulsion
JPS5314607A (en) 1976-07-27 1978-02-09 Kawasaki Steel Co Good hydrogen brittleness resistance line pipe steel
DE2722725A1 (de) 1977-05-20 1978-11-30 Merck Patent Gmbh Kosmetische mittel
US4224367A (en) 1978-05-22 1980-09-23 Scholle Corporation Multiple ply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outer plies sealed around an inner ply
US4333924A (en) 1978-08-09 1982-06-08 Beecham Group Limited Retinol acetate skin-care compositions
US4214000A (en) 1978-10-30 1980-07-22 Johnson & Johnson Zinc salt of all-trans-retinoic acid for the treatment of acne
US4247547A (en) 1979-03-19 1981-01-27 Johnson & Johnson Tretinoin in a gel vehicle for acne treatment
US4603146A (en) 1984-05-16 1986-07-29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retarding the effects of aging of the skin
US4877805A (en) 1985-07-26 1989-10-31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treatment of sundamaged human skin with retinoids
JPH0244806B2 (ja) 1981-09-07 1990-10-05 Sunstar Kk Bitaminaoanteinihaigoshitanyukakeihifugaiyozaisoseibutsu
EP0094771B1 (en) 1982-05-15 1987-08-05 Beecham Group Plc Skin treatment compositions
US4551480A (en) 1983-06-21 1985-11-05 Stiefel Laboratories, In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US4826828A (en) 1985-04-22 1989-05-02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wrinkles
DE3514724A1 (de) 1985-04-24 1986-10-30 Albin F. Dr. 4200 Oberhausen Jereb Salbe zur verbeugung und behandlung von augen- und hauterkrankungen
US4595586A (en) 1985-08-30 1986-06-17 Eli Lilly And Company Moisturizing lotion
FR2591105B1 (fr) 1985-12-11 1989-03-24 Moet Hennessy Rech Composition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ou cosmetique, a base de phases lamellaires lipidiques hydratees ou de liposomes contenant un retinoide ou un analogue structural dudit retinoide tel qu'un carotenoide.
FR2610626B1 (fr) 1987-02-09 1989-05-19 Oreal Nouveau systeme anti-oxydant a base d'un ester d'ascorbyle stabilise, contenant en association au moins un agent complexant et au moins un thiol, et compositions contenant un tel systeme anti-oxydant
US4720353A (en) 1987-04-14 1988-01-19 Richardson-Vicks Inc. Stable pharmaceutical w/o emulsion composition
NZ228123A (en) 1988-02-25 1991-12-23 Beecham Group Plc Topical skin 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ster of retinol
DE3817623A1 (de) 1988-05-25 1989-11-30 Bayer Ag Kosmetisches praeparat auf basis von retinolpalmitat
FR2633515B1 (fr) 1988-06-30 1992-04-10 Clarins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hydratation de la peau
US5453267A (en) * 1989-02-28 1995-09-26 Boots Company Plc Sunscreen compositions
US5093360A (en) 1989-04-07 1992-03-03 Yu Ruey J Retinal, derivatives and their therapeutic use
US5075340A (en) * 1989-05-22 1991-12-24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Retinoic acid glucuronide preparations for application to the skin
FI903483A0 (fi) 1989-07-13 1990-07-10 Bristol Myers Squibb Co Tretinoin innehaollande stabila emulsionskraemformulationer.
FI904753A0 (fi) 1989-10-02 1990-09-27 Bristol Myers Squibb Co Emulgerade tretinoinkraemkompositioner med foerbaettrad stabilitet.
US5559149A (en) 1990-01-29 1996-09-24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retinoids
AU639063B2 (en) 1990-01-29 1993-07-15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Skin care compositions
FR2662079B1 (fr) * 1990-05-18 1993-11-05 Oreal Emulsion cosmetique filtrante comprenant un filtre uv-a et un filtre uv-b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contre les radiations ultraviolettes.
FR2668080B1 (fr) * 1990-10-17 1993-08-13 Seppic Sa Compositions auto-emulsionnables a base d'alcools gra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our la realisation d'emulsions.
FR2674127B1 (fr) 1991-03-20 1993-06-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contenant en association au moins un retinouide et au moins une dialkyl- ou trialkylxanthine.
ES2120417T5 (es) 1991-06-27 2009-04-0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ciones estabilizantes de tratamiento para la piel, conteniendo retinoides.
TW272187B (ko) * 1992-05-20 1996-03-11 Hoffmann La Roche
DK0580968T3 (da) 1992-05-20 1996-10-14 Hoffmann La Roche Fluorerede analoger af vitamin D3
US5391373A (en) 1992-07-01 1995-02-21 Chanel, Inc. Skin cream composition
EP1433477B1 (en) 1992-07-13 2007-06-27 Shiseido Company, Ltd. Stabilised external skin 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retinol
GR1002207B (en) 1992-08-06 1996-03-27 Johnson & Johnson Consumer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imidazoles.
WO1994007478A1 (en) 1992-10-06 1994-04-14 The Upjohn Company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9223235D0 (en) 1992-11-05 1992-12-16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AU3931093A (en) 1993-03-19 1994-10-11 Handelman, Joseph H. Top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growth
AU688757B2 (en) 1993-05-27 1998-03-19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Retinoid composition
US5646186A (en) * 1994-05-17 1997-07-08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Retinoid composition
WO1995003028A1 (en) * 1993-07-23 1995-02-02 Morris Herstein Cosmetic, skin-renewal stimulating composition with long-term irritation control
FR2714595B1 (fr) 1993-12-30 1996-02-02 Oreal Emulsion eau dans huile contenant du rétinol, son utilisation et son conditionnement.
FR2717686B1 (fr) 1994-03-22 1996-06-28 Fabre Pierre Cosmetique Composition dermo-cosmétologique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FR2718021B1 (fr) 1994-04-05 1996-06-28 Fabre Pierre Cosmetique Composition topique à base de rétinal.
US6080393A (en) 1994-07-09 2000-06-27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retinoid
US5976555A (en) 1994-09-07 1999-11-02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Topical oil-in-water emulsions containing retinoids
FR2732595A1 (fr) 1995-04-07 1996-10-11 Oreal Utilisation de polymeres pour reduire l'effet irritant des actifs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GB2304573B (en) 1995-08-31 1999-07-28 Fernsoft Cosmetic product
AR006049A1 (es) 1996-03-01 1999-07-21 Johnson & Johnson Consumer Una emulsion de aceite en agu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789B1 (ko) * 2002-10-25 2008-08-13 힐 더마슈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국소용 피부 관리 조성물
KR100852367B1 (ko) * 2002-10-25 2008-08-14 힐 더마슈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국소용 피부 관리 조성물
US7544674B2 (en) 2002-10-25 2009-06-09 Galderma S.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7915243B2 (en) 2002-10-25 2011-03-29 Galderma S.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7939516B2 (en) 2002-10-25 2011-05-10 Galderma S.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8247395B2 (en) 2002-10-25 2012-08-21 Galderma S.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8653053B2 (en) 2002-10-25 2014-02-18 Galderma S.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9333172B2 (en) 2002-10-25 2016-05-10 Galderma S.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1633B2 (ja) 2008-11-19
MXPA98007006A (es) 2004-08-24
CA2247645C (en) 2007-09-11
US20010055597A1 (en) 2001-12-27
ATE237304T1 (de) 2003-05-15
US6461622B2 (en) 2002-10-08
DE69720978T2 (de) 2004-02-05
ES2197335T3 (es) 2004-01-01
CN1096847C (zh) 2002-12-25
IL125921A0 (en) 1999-04-11
US20030206932A1 (en) 2003-11-06
BR9710405A (pt) 1999-08-17
PL328820A1 (en) 1999-02-15
JP2002515866A (ja) 2002-05-28
CN1226819A (zh) 1999-08-25
EP0885000B1 (en) 2003-04-16
WO1997031620A2 (en) 1997-09-04
EP0885000A2 (en) 1998-12-23
CA2247645A1 (en) 1997-09-04
TW467747B (en) 2001-12-11
CZ271598A3 (cs) 1999-04-14
AU1981797A (en) 1997-09-16
WO1997031620A3 (en) 1998-01-08
DE69720978D1 (de)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346A (ko) 새로운 국소 조성물
US6193956B1 (en) Topical compositions
US5976555A (en) Topical oil-in-water emulsions containing retinoids
US6080393A (en)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retinoid
EP0440398B1 (en) Skin care compositions
WO1996007396A9 (en) Retinoid compositions
KR100250700B1 (ko) 안정화된 레티노이드 함유 피부 보호용 조성물
US5559149A (en)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retinoids
US6068847A (en) Cosmetic compositions
JP3681200B2 (ja) スキンケア組成物用容器
JPH08503709A (ja) 自己日焼け化粧料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MXPA00003830A (es) Composiciones de bronceado sin exposicion solar que contienen agentes colorantes.
US6171605B1 (en) Self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DHA and propolis extract
US20050281853A1 (en) Skin compatible cosmetic compositions and delivery methods therefor
JP4191106B2 (ja) レチノイド組成物
KR20010014120A (ko) 피부 노화 치료 조성물 및 방법
US20140037561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enhanced skin cell turn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