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472A -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472A
KR19990085472A KR1019980017906A KR19980017906A KR19990085472A KR 19990085472 A KR19990085472 A KR 19990085472A KR 1019980017906 A KR1019980017906 A KR 1019980017906A KR 19980017906 A KR19980017906 A KR 19980017906A KR 19990085472 A KR19990085472 A KR 1999008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paper
roller
current valu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513B1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513B1/ko
Priority to US09/314,896 priority patent/US6253037B1/en
Publication of KR1999008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9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with means for preconditioning the paper base before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54Charg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76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humidity or moisture influencing copy sheet hand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로울러를 도전성 재질로 제작하고 아이들 로울러를 절연성 재질로 제작하여 인쇄 용지가 공급 로울러를 지나게 될 때, 공급 로울러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여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를 측정함을 통해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를 감지하여 인쇄 용지가 경유하는 인쇄 경로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의 접지 상태를 적응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서 인쇄 용지의 습도를 검출하여 습도 정도에 따라 인쇄 경로 상의 접지를 단속함으로써 인쇄 용지를 통해 전사 전류가 누설되어 전사 누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사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transfer environment by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printing paper in the electrophotography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서 인쇄 용지의 습도를 검출하여 습도 정도에 따라 인쇄 경로 상의 접지를 단속함으로써 인쇄 용지를 통해 전사 전류가 누설되어 전사 누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복사기, 레이져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 이용되고 있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원고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감광체에 노광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며 이 가시상을 인쇄 용지에 전사한 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다수의 현상제를 구비함으로써 다색의 색화상을 인쇄 용지 상에 인쇄할 수 있는 데, 통상적으로,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잘 알려진 바 있는 YMCK(Yellow Magenta Cyan blacK)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다색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서도 노란색(yellow), 자홍색(magenta), 청록색(cyan)의 3가지 색깔에 흑색(black)을 추가시킨 4가지 색깔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다색을 구현하고 있다.
오늘날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대안이 되고 있으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속이고 인쇄 상태가 미려하며 보존성이 뛰어난 등의 월등한 인쇄 성능에 힘입어 날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 사진 현상 기기와 관련해서는 다수의 선출원예들이 공지되어 있는 데, 대표적인 최근의 선출원예들로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689768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740504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92262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734390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79242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665510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625437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95846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007690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2765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1298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8846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4387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26496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10419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26496 호 등과 같은 예들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화상 형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OPC; Organic Photoconductive Drum, 9)과 노광 장치(LSU; Laser Scanning Unit, 11)와 더불어 픽업 로울러(pickup roller, 1), 공급 로울러(feed roller, 4), 아이들 로울러(idle roller, 5), 현상 로울러(developing roller, 6), 전사 로울러(transfer roller, 8), 대전 로울러(10), 히팅 로울러(heating roller, 12), 정착 로울러(13)와 같은 각종 로울러들이 상호 작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대전(S10), 노광(S20), 현상(S30), 전사(S50), 정착(S60), 제전(S70)과 같은 화상 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쇄 용지(2) 위에 목적하는 화상을 형성시킨다.
우선, 인쇄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픽업 로울러(1)는 급지 카세트(3)의 최상층 인쇄 용지(2)에 접촉하여 한 장을 픽업한 후에 이를 공급 로울러(4)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더불어 감광 드럼(9)에는 대전 로울러(10)와 노광 장치(11)에 의해 인쇄할 화상에 대응하는 전하층(즉,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이 전하층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즉, 토너)가 입혀지면서 가시상을 형성한다.
이후, 픽업된 인쇄 용지(2)가 공급 로울러(4)를 경유하여 전사 로울러(8)과 감광 드럼(9)사이를 지나갈 때, 전사 로울러(8)에 고압의 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9)에 형성된 가시상을 인쇄 용지(2)에 전사한 후, 히팅 로울러(12)와 정착 로울러(13)를 통해 물리적인 압력과 열로 인쇄 용지(2)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한다.
이때, 인쇄 용지(2)가 적정한 저항을 가지고 있어야 만이 인쇄 용지(2)를 통한 불필요한 전류 누설을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감광 드럼(9)의 외주면에 가시상을 형성하고 있는 현상제에 충분한 전기적 인력을 전달함으로써 인쇄 용지(2)상에 이 가시상을 효과적으로 전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인쇄 용지(2)가 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인쇄 용지(2)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제에 인력을 제공해야 할 전사 전압이 함습 인쇄 용지를 거쳐 접지체들(31,32,33)을 통해 흐르게 된다. 예컨대, 도 3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각각의 접지체가 제공하는 전기적인 경로들(A, B)을 따라 전사 전압이 누설되어 가시상을 형성하고 있는 현상제가 인쇄 용지(2)에 적절하게 전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과를 야기시킨다.
반면에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접지체들(31,32,33)을 통해 인쇄 용지(2)를 접지시키지 않을 경우, 인쇄 용지(2)가 인쇄 경로를 경유하면서 인쇄 용지(2)에는 인쇄 용지들 간의 마찰 또는 인쇄 용지와 각종 로울러들 간의 마찰 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고 이 정전기가 방전될 수 있는 전기적인 경로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잔류 정전기로 인해 현상제가 인쇄 용지(2) 상에서 비산되어 얼룩을 남기게 되어 인쇄 품질을 심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서 인쇄 용지의 습도를 검출하여 습도 정도에 따라 인쇄 경로 상의 접지를 단속함으로써 인쇄 용지를 통해 전사 전류가 누설되어 전사 누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사 조건을 최적화하도록 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화상 형성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각각의 접지체가 제공하는 전기적인 경로들을 따라 전사 전압이 누설되어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잔류 정전기로 인해 현상제가 인쇄 용지 상에서 비산되어 얼룩을 남기게 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인쇄 용지 8 : 전사 로울러
9 : 감광 드럼 31,32,33 : 접지체군
40 : 공급 로울러 50 : 아이들 로울러
100; 함습 적응 접지부 110 : 용지 위치 감지부
120 : 함습 측정 전압 인가부 130 : 누설 전류 측정부
140 : 함습 적응 접지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 로울러를 도전성 재질로 제작하고 아이들 로울러를 절연성 재질로 제작하여 인쇄 용지가 공급 로울러를 지나게 될 때, 공급 로울러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여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를 측정함을 통해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를 감지하여 인쇄 용지가 경유하는 인쇄 경로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의 접지 상태를 적응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설명의 편의상, 종래 기술과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광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현상하여 외주면에 가시상을 형성하는 감광 드럼(9)과, 전사 전압에 의한 대전에 의해 가시상을 인쇄 용지(2)에 전사시키는 전사 로울러(8)를 포함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에 있어서,
인쇄 용지(2)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인쇄 경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을 포함하는 접지체군(31,32,33)과;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어 픽업된 인쇄 용지(2)를 전사 로울러(8)와 감광 드럼(9)의 접합면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40)와;
공급 로울러(40)와의 접촉 시에 절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제조되어 공급 로울러(40)에 대향하는 아이들 로울러(50)와;
공급 로울러(40)와 아이들 로울러(50)의 접점에 인쇄 용지가 급지될 시에 공급 로울러(40)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한 후, 인쇄 용지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의 접지점을 단속함으로써 전사 조건을 최적화하는 함습 적응 접지부(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함습 적응 접지부(100)는 인쇄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용지(2)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용지 위치 감지부(110)와;
용지 위치 감지부(110)로부터 공급 로울러(40)와 아이들 로울러(50)의 접점에 인쇄 용지(2)가 급지되고 있음을 통지받음에 따라 공급 로울러(40)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는 함습 측정 전압 인가부(120)와;
함습 측정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인쇄 용지(2)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하는 누설 전류 측정부(130); 및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용지 누설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를 접지단에 단락시켜 인쇄 용지(2)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접지체군(31,32,33)의 모든 접지체를 접지단으로부터 개방시켜 전사 전압이 인쇄 용지를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습 적응 접지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인쇄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픽업 로울러(1)는 급지 카세트(3)의 최상층 인쇄 용지(2)에 접촉하여 한 장을 픽업한 후에 이를 공급 로울러(4)쪽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인쇄 용지(2)가 인쇄 경로를 따라 공급 로울러(40)를 향해 이송되어 공급 로울러(40)와 아이들 로울러(50)의 접점에 인쇄 용지가 급지되면, 본 발명의 함습 적응 접지부(100)는 공급 로울러(40)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한 후, 인쇄 용지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의 접지점을 단속함으로써 전사 조건을 최적화시킨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함습 적응 접지부(100)를 좀 더 세분하여 설명하면, 우선, 용지 위치 감지부(110)는 인쇄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용지(2)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인쇄 용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는 픽업 로울러(1)가 인쇄 용지(2)를 픽업한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함으로써 인쇄 용지(2)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센서나 공급 로울러(40) 또는 아이들 로울러(50)의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 등을 통해 인쇄 용지(2)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쇄 용지(2)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특허 공보나 전문 서적을 통해 다수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약하기로 한다.
한편, 함습 측정 전압 인가부(120)는 용지 위치 감지부(110)로부터 공급 로울러(40)와 아이들 로울러(50)의 접점에 인쇄 용지(2)가 급지되고 있음을 통지받음에 따라 공급 로울러(40)에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를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한다.
함습 측정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누설 전류 측정부(130)는 인쇄 용지(2)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한다.
이때, 함습 측정 전압이 고정되어 있을 때, 누설 전류 측정부(130)를 통해 측정되는 용지 누설 전류값은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에 비례한다.
다시 말해서, 인쇄 용지(2)가 함유하고 있는 습기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인쇄 용지(2) 자체가 갖게 되는 저항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측정되는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값으로 측정되는 반면에 인쇄 용지(2)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인쇄 용지(2) 자체가 갖게 되는 저항치가 매우 낮기 때문에 측정되는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값으로 측정된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함유된 습도에 따라 인쇄 용지(2) 자체의 저항치가 변함에 따라 용지 누설 전류를 측정함을 통해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를 파악할 수 원리에 착안한 것이다.
결국, 함습 적응 접지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용지 누설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를 접지단에 단락시켜 인쇄 용지(2)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접지체군(31,32,33)의 모든 접지체를 접지단으로부터 개방시켜 전사 전압이 인쇄 용지를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사 조건을 최적화시킨다.
이때, 접지체군의 제 1 접지체(31)는 픽업 로울러(1)와 공급 로울러(4)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접지단에 단락시킴으로써 인쇄 용지(2)를 접지시키고, 제 2 접지체(32)는 공급 로울러(4)와 전사 로울러(8)사이에 위치하여 제 2 스위치(SW2)를 접지단에 단락시킴으로써 인쇄 용지(2)를 접지시키며, 제 3 접지체(33)는 전사 로울러(8)와 정착 로울러(13)사이에 위치하여 제 3 스위치(SW3)를 접지단에 단락시킴으로써 인쇄 용지(2)를 접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함습 적응 접지 제어부(140)는 용지 위치 감지부(110)가 제공하는 인쇄 용지(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제 1 접지체(31), 제 2 접지체(32) 및 제 3 접지체(33)의 스위치들(SW1,SW2,SW3)에 대한 온/오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인쇄 용지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인쇄 경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을 포함하는 접지체군(31,32,33)과; 상기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어 픽업된 인쇄 용지를 전사 로울러(8)와 감광 드럼(9)의 접합면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40); 및 상기 공급 로울러(40)와의 접촉 시에 절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제조되어 상기 공급 로울러(40)에 대향하는 아이들 로울러(50)를 포함한다.
인쇄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픽업 로울러(1)는 급지 카세트(3)의 최상층 인쇄 용지(2)에 접촉하여 한 장을 픽업한 후에 이를 공급 로울러(4)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단계 S10에서는 상기 인쇄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인쇄 용지(2)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한다.
이후, 단계 S20에서 상기 공급 로울러(40)와 상기 아이들 로울러(50)의 접점에 상기 인쇄 용지가 급지되고 있음을 통지받음에 따라 상기 공급 로울러(40)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면, 단계 S30에서는 상기 함습 측정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 용지(2)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단계 S40에서는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0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단계 S5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31,32,33)를 접지단에 단락(close)시켜 인쇄 용지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킨다.
반면에,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보다 크면, 단계 S60에서는 상기 접지체군(31,32,33)의 모든 접지체를 접지단으로부터 개방(open)시켜 상기 전사 전압이 상기 인쇄 용지를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당분야에 대한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서 기언급한 바와 같이, 인쇄 용지(2)가 적정한 저항을 가지고 있어야 만이 인쇄 용지(2)를 통한 불필요한 전류 누설을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감광 드럼(9)의 외주면에 가시상을 형성하고 있는 현상제에 충분한 전기적 인력을 전달함으로써 인쇄 용지(2)상에 이 가시상을 효과적으로 전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인쇄 용지(2)가 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인쇄 용지(2)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제에 인력을 제공해야 할 전사 전압이 함습 인쇄 용지를 거쳐 접지체들(31,32,33)을 통해 흐르게 된다.
반면에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접지체들(31,32,33)을 통해 인쇄 용지(2)를 접지시키지 않을 경우, 인쇄 용지(2)가 인쇄 경로를 경유하면서 인쇄 용지(2)에는 인쇄 용지들 간의 마찰 또는 인쇄 용지와 각종 로울러들 간의 마찰 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고 이 정전기가 방전될 수 있는 전기적인 경로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이 잔류 정전기로 인해 현상제가 인쇄 용지(2) 상에서 비산되어 얼룩을 남기게 되어 인쇄 품질을 심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와 같이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에 따라 접지체들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전사 전류가 누설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는 접지를 개방시키고 인쇄 용지(2)의 함습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접지를 단락시킴으로서 인쇄 용지(2) 상의 잔류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는 적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 로울러를 도전성 재질로 제작하고 아이들 로울러를 절연성 재질로 제작하여 인쇄 용지가 공급 로울러를 지나게 될 때, 공급 로울러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여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를 측정함을 통해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를 감지하여 인쇄 용지가 경유하는 인쇄 경로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의 접지 상태를 적응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서 인쇄 용지의 습도를 검출하여 습도 정도에 따라 인쇄 경로 상의 접지를 단속함으로써 인쇄 용지를 통해 전사 전류가 누설되어 전사 누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사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노광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현상하여 외주면에 가시상을 형성하는 감광 드럼과, 전사 전압에 의한 대전에 의해 상기 가시상을 인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 로울러를 포함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용지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인쇄 경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을 포함하는 접지체군과;
    상기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어 픽업된 인쇄 용지를 상기 전사 로울러와 상기 감광 드럼의 접합면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feed roller)와;
    상기 공급 로울러에 대향하는 아이들 로울러(idle roller); 및
    상기 공급 로울러와 상기 아이들 로울러의 접점에 상기 인쇄 용지가 급지될 시에 상기 공급 로울러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한 후, 상기 인쇄 용지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의 접지점을 단속함으로써 전사 조건을 최적화하는 함습 적응 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습 적응 접지부는,
    상기 인쇄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인쇄 용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용지 위치 감지부와;
    상기 용지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공급 로울러와 상기 아이들 로울러의 접점에 상기 인쇄 용지가 급지되고 있음을 통지받음에 따라 상기 공급 로울러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는 함습 측정 전압 인가부와;
    상기 함습 측정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 용지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하는 누설 전류 측정부; 및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를 접지단에 단락(close)시켜 상기 인쇄 용지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접지체군의 모든 접지체를 접지단으로부터 개방(open)시켜 상기 전사 전압이 인쇄 용지를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습 적응 접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군은,
    픽업 로울러와 상기 공급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스위치를 접지단에 단락시킴으로써 상기 인쇄 용지를 접지시키는 제 1 접지체와;
    상기 공급 로울러와 상기 전사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여 제 2 스위치를 접지단에 단락시킴으로써 상기 인쇄 용지를 접지시키는 제 2 접지체; 및
    상기 전사 로울러와 정착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여 제 3 스위치를 접지단에 단락시킴으로써 상기 인쇄 용지를 접지시키는 제 3 접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로울러는,
    상기 공급 로울러와의 접촉 시에 절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5. 인쇄 용지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인쇄 경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들을 포함하는 접지체군과;
    상기 인쇄 용지의 함습 정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어 픽업된 인쇄 용지를 전사 로울러와 감광 드럼의 접합면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feed roller); 및
    상기 공급 로울러와의 접촉 시에 절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제조되어 상기 공급 로울러에 대향하는 아이들 로울러(idle roller)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전사 조건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인쇄 용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 로울러와 상기 아이들 로울러의 접점에 상기 인쇄 용지가 급지되고 있음을 통지받음에 따라 상기 공급 로울러에 함습 측정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함습 측정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 용지를 통해 흐르는 용지 누설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체를 접지단에 단락(close)시켜 인쇄 용지 상의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단계; 및
    기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지 누설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접지체군의 모든 접지체를 접지단으로부터 개방(open)시켜 상기 전사 전압이 상기 인쇄 용지를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방법.
KR1019980017906A 1998-05-19 1998-05-19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10026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06A KR100262513B1 (ko) 1998-05-19 1998-05-19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US09/314,896 US6253037B1 (en) 1998-05-19 1999-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image transfer environment in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06A KR100262513B1 (ko) 1998-05-19 1998-05-19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72A true KR19990085472A (ko) 1999-12-06
KR100262513B1 KR100262513B1 (ko) 2000-08-01

Family

ID=1953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906A KR100262513B1 (ko) 1998-05-19 1998-05-19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53037B1 (ko)
KR (1) KR100262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03B1 (ko) * 2007-06-21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241B1 (en) * 2001-01-16 2002-05-1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ard copy control using automatic sensing devices
JP3929709B2 (ja) * 2001-02-20 2007-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現像装置の温度制御方法及び熱現像装置
US7029810B2 (en) * 2002-09-20 2006-04-18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160542B2 (ja) * 2004-07-30 2008-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26553B2 (ja) * 2010-08-31 2013-01-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730643B2 (en) * 2010-10-22 2014-05-20 Sca Hygiene Products Ab Apparatus with arc generator for dispensing absorbent sheet products
JP5862119B2 (ja) * 2011-08-31 2016-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11894B2 (ja) * 2013-06-26 2017-04-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67060B2 (ja) * 2013-12-05 2016-08-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4317B2 (ja) * 2014-09-16 2017-09-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579A (en) * 1981-05-29 1982-12-03 Sharp Corp Toner image transferring device
JPS5814172A (ja) * 1981-07-17 1983-01-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007690A (en) 1989-03-21 1991-04-16 Hughes Aircraft Company Holographic dat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0421868A (ja) * 1990-05-16 1992-01-24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321467A (en) 1991-05-07 1994-06-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k jet and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units
EP0542522B1 (en) 1991-11-12 1996-03-1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Silicone rubber roller for electrophotography
US5300984A (en) * 1992-01-06 1994-04-0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d transfer unit
US5410419A (en) 1992-06-11 1995-04-2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Facsimile machine capable of distinguishing copied image and received image
DE4330812C2 (de) 1992-09-16 1995-11-30 Fujitsu Ltd Elektrostatischer Drucker
JP3347384B2 (ja) 1993-02-08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133565B2 (ja) 1993-07-08 2001-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10745U (ja) 1993-07-23 1995-02-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内部送風構造
DE69410942T2 (de) 1993-10-04 1998-12-17 Canon Kk Elektrophotographisches lichtempfindliches Element, Arbeitseinheit und ein elektrophotographisches Gerät, worin eine solche Einheit eingesetzt wird
JPH07175350A (ja) * 1993-12-20 1995-07-14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86469A (ja) 1994-06-21 1996-01-12 Tec Corp 画像形成装置
US5595846A (en) 1994-06-22 1997-01-2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hthalocyanine mixed crystal, production method thereof,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H0869217A (ja) 1994-08-31 1996-03-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8152739A (ja) 1994-09-29 1996-06-11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49075B2 (ja) 1994-12-07 2001-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H08320605A (ja) 1995-05-26 1996-12-03 Hitachi Koki Co Ltd 電子写真方法
JP3073931B2 (ja) * 1996-07-10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03B1 (ko) * 2007-06-21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53037B1 (en) 2001-06-26
KR100262513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5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ming an image by transferring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formed by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devices onto a transfer medium by means of transfer members
EP1102129B1 (en) Control of the transfer voltage in a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EP0298506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88970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62513B1 (ko) 용지 함습 검출에 의한 전사 조건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100904782B1 (ko) 부착 부재에 대한 전압 인가를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
US53009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d transfer unit
JP4720225B2 (ja) 画像形成装置
US6226469B1 (en) System for reducing toner scattering
US73562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waste toner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62830B1 (ko) 토너 상 전사 장치
US81802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2036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fer volta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2004176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166727A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06004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62086A (ja) 画像形成装置
JP432377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04109A (ja) 画像形成装置
US6347209B1 (en) Electric charge device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204184Y1 (ko) 현상기 세트 감지 기능을 겸한 감광 드럼 접지 장치
US2024006136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6593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83751B1 (ko)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제 재보충 방지 장치 및 방법
JPH0913858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