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719A -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719A
KR19990077719A KR1019990007810A KR19990007810A KR19990077719A KR 19990077719 A KR19990077719 A KR 19990077719A KR 1019990007810 A KR1019990007810 A KR 1019990007810A KR 19990007810 A KR19990007810 A KR 19990007810A KR 19990077719 A KR19990077719 A KR 1999007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mining means
camera
imaging
protective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다세이지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9007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7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 스틸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가진다. 이 커버는 개폐가능하다. 이 촬상장치는 보호커버를 구동하는 커버드라이버와; 이 장치가 촬상모드에 또는 이 장치를 외부제어기 유닛에 의해 제어하는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지를 결정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이 회로는 결정결과에 따라서 커버드라이버의 동작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전자식 스틸(still)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등과 같이 보호커버를 가진 기록/재생장치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결상시에 대물렌즈를 노출하도록 개방하고, 비 결상시에 렌즈를 보호하도록 폐쇄하는 렌즈보호커버를 가진 디지털스틸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등의 타입이 제안되었다. 이후에는 그러한 렌즈보호커버를 "배리어(barrier)"라고 한다.
도 1은 이러한 배리어를 가진 디지털카메라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60)은 배리어(도시생략)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레버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작동레버(60)를 조작하여 거기에 연결된 배리어를 개방시킨다.
개인컴퓨터의 보급에 따라서, 컴퓨터와 연결하는 디지털카메라를 컴퓨터로부터 제어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배리어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조작은 카메라본체쪽에서 이루어진다. 또, 종래의 기술에서는 카메라가 외부컴퓨터에 의해 제어될때 언제, 어떻게 배리어를 개방하고 차단하는지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관련된 상기 문제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PC와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외부제어기가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고, 디지털스틸카메라 및 비디오카메라와 같이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개폐가능하고, 촬상광학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와; 보호커버를 구동하는 커버구동수단과; 촬상모드 또는 장치가 외부제어기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제어모드에 촬상장치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 결정수단을 결정결과에 따라서 커버구동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한 장치에 따르면, 촬상장치는 외부제어기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 커버의 개폐동작이 적절하게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과 효과는 첨부도면과 관련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지고,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카메라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의 배리어와 개구부사이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에 있어서, 완전 폐쇄한 상태에서의 배리어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한 배리어기구의 상면도
도 6은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의 배리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리프스위치의 오른쪽면을 표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에 있어서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의 배리어기구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 표시한 배리어기구의 상면도
도 9는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에 있어서, 완전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 사이의 배리어기구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표시한 배리어기구의 상면도
도 11은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에 있어서, 완전폐쇄상태에서의 배리어기구가 개방될 때의 정면도
도 12는 도 2에 표시한 카메라의 모드절환다이얼의 상면도
도 13은 도 2에 표시한 배리어를 개폐하는 CPU의 작동수순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2에 표시한 배리어를 개폐하는 CPU의 다른 작동수순을 표시하고, 파선으로 둘러싸인 스텝을 제외한 도 13과 마찬가지인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2에 표시한 배리어를 개폐하는 CPU의 또 다른 작동수순을 표시하고, 파선으로 둘러싸인 스텝을 제외한 도 13과 마찬가지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개구부 7: 모드 SW
8: 배리어 20: 배리어베이스
22: 슬라이더22a, 22b: 테이퍼면
22d: 슬라이드 홈 22f, 22g: 포울
23: 스프링 25: 모터
26: 스크루 28: 너트
29: 와셔 30: 리프 SW
31,32: 리프접편 33: 공통접편
50: 스토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디바이스를 최선으로 묘사하는 디지털카메라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리어와 개구부의 배열을 표시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1)은 카메라본체; (2)는 광학계와 광학파인더를 구비하는 렌즈통과 렌즈를 포함한 광학블록; (4)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선을 광학블록(2)에 입사하도록 본체(1)에 형성된 개구부; (5)는 실제의 화상과 재생화상을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6)은 촬상을 개시하는 릴리스 (release)버튼이다. (7)은 카메라의 모드(후술함)를 절환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모드다이얼이다. 사용자는 카메라의 외부로부터 스위치(7)를 조작할 수 있다.
(8)은 개구부(4)를 막는 배리어; (9)는 배리어(8)를 구동하는 모터(MO); (10)은 모터(9)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버(DR); (30)은 배리어(8)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유닛; (12)는 광학블록(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CCD; (13)은 CCD(12)의 출력신호를 처리해서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 (14)는 화상처리부(13)로부터의 화상신호를 LCD(5)에 표시하는 표시부; (15)는 PC와 같은 외부의 제어장치(도시생략)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 (16)은 외부제어장치와의 인터페이스로서 I/O포트; (17)은 이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이다.
다음에, 배리어(8), 본체(1), 광학블록(2)사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해서 촬상시에 배리어(8)가 이동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3의 일점쇄선은 축(21)(도 4를 참조해서 후술함)상에 피벗하는 렌즈배리어(8)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는 개구부(4)의 완전폐쇄상태(이후에 완전폐쇄 위치라고 함)이고, 이 상태에서 배리어(8)는 개구부(4)를 완전히 막고; Ⅲ은 개구부(4)의 완전개방상태(이후, 완전개방위치라고 함)이고, 이 상태에서 배리어(8)는 개구부(4)로부터 벗어나서 개구부(4)가 완전히 개방되고; Ⅱ는 배리어 (8)가 완전폐쇄위치Ⅰ와 완전개방위치Ⅲ 사이의 중간에 있는 상태이다.
또, 배리어(8)는 개구부(4)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므로, 배리어(8)가 완전폐쇄위치Ⅰ에 있을 때에 배리어(8)는 개구부(4)를 완전히 막아서, 카메라내부로의 이물의 진입을 방지하고, 렌즈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내부로의 광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 (8)가 완전개방위치Ⅲ에 있을 때, 배리어(8)는 개구부(4)와 완전히 분리되므로 센서면을 막지 않는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배리어(8)의 구동계 및 전달계로서 배리어기구를 설명한다.
도 4는 완전폐쇄위치의 배리어(8)를 가진 카메라를 정면에서 볼때 배리어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배리어기구의 상면도이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도 4에서는 모터와 같은 구동기구를 생략하고, 도 5에서는 렌즈통을 생략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해서 배리어기구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20)은 배리어를 회동가능하게 유지하는 배리어베이스이다. 또한, 이 배리어베이스(20)는 배리어구동(후술함)에 관한 부품을 유지한다. (20a)는 배리어베이스(20)의 직립만곡부이다. 축(21)은 직립만곡부(20a)를 삽입하여 배리어(8)의 설편부(8b)에 메꾸어지므로 배리어(8)를 회동가능하게 유지한다.
(22)는 전달부재로서 슬라이더; (22d), (22e)는 슬라이드홈이다. 축(24)은 슬라이더(22)를 삽입하여 배리어베이스(20)에 메꾸어짐으로써 지면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슬라이더(22)를 유지한다. 각 축(24)의 생크와 슬라이드홈 (22d)사이의 공간은 최소화된다. 이로 인하여 도 5의 지면의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더의 움직임이 최소화된다.
축(24)의 헤드부는 도 5의 지면수직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슬라이드홈 (24e)의 폭은 축(24)의 직경보다 상당히 커서 축(24)이 슬라이드홈(22e)과 슬라이드 가능한 접촉이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22)와 축(24)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포올(22f)(22g)은 슬라이더(22)로 부터 돌출해서 리프SW(후술함)를 ON/OFF한다. U자 형상의 직립만곡부(22h)는 이 직립만곡부(22h)가 2개의 직립판사이에 삽입된 너트(28)로부터 전달된 힘을 받는다. 슬라이더(22)의 돌기(22i)는 도 5의 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구상형상의 선단을 가진다. 이 돌기(22i)는 배리어베이스(20)와 슬라이더(22)를 서로 4점접촉시키므로 그 사이의 슬라이딩저항을 감소시킨다.
(25),(26)은 배리어(8)의 구동원으로써 각각 모터와 스크루이다. 이 모터(25)의 회전속도는 기어박스(27)내의 기어(도시생략)에 의해 감속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25)로서 스텝핑모터를 사용한다.
스크루(26)의 선단(26a)은 배리어베이스(20)의 직립만곡부(2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테이퍼면을 가진 와셔(29)는 스크루(26)와 만곡부(20b)사이에 삽입된다. 너트(28)는 스크루(26)와 맞물려 있다. 너트(28)의 회전정지부(도시생략)와 슬라이더(22)의 회전정지받침부(도시생략)가 서로 걸어맞춤하여 회전을 규제한다. 플렉시블기판(40)은 모터(25)에 전력을 공급한다. 모터(25)가 회전하면 회전속도가 감소하고, 이 회전이 스크루(26)에 전달되어, 즉, 스크루(26)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스크루(26)가 회전하면, 직립만곡부(22h)는 지면의 옆쪽으로 이동하고, 또, 직립만곡부(22h)에 연결된 슬라이더(22)도 지면의 옆쪽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의 옆쪽이동에 의해서, 배리어(8)가 피벗된다.
개폐검출수단으로서 리프SW(30)는 리프접편(31),(32)과 공통접편(33)을 포함한다. 리프접편(31)은 배리어(8)가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리프접편(32)은 배리어(8)가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슬라이더(22)가 상기와 같이 옆쪽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22)의 포울(22f)(22g)은 공통접편(33)의 단부에서 절연부(33a)를 옆쪽으로 이동시킨다. 절연부(33a)가 옆쪽으로 이동하면, 공통접편(33)은 리프접편(31) 또는 (32)와 접촉하게 된다. 리프접편(31) 또는 (32)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공통접편(33)이 리프접편(31) 또는 (32)와 접촉하는지, 슬라이더(22)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하는지, 배리어(8)가 완전폐쇄위치나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공통접편(33)의 선단부(33a)를 절연시키고 있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22)와 공통접편(33)으로서 금속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리프접편(31),(32)은 각각 지면에서 좌·우로 미리 충전되어 있으므로 그들 선단부가 보스(35a)에 가압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후에 도 6을 참조해서 리프SW(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4의 정면도를 참조해서 배리어기구를 설명한다.
슬라이더(22)는 모터(25)의 회전에 의해 지면에서 오른쪽(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개구부(22p)내부에 형성된 테이퍼면(22a) 또는 (22b)는 배리어(8)의 설편부(8b)에 형성된 핀(8a)을 도 4의 화살표B방향으로 압압해서 배리어 (8)를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로서 바이어스 스프링(23)의 한쪽단부는 슬라이더(22)와 배리어설편부(8b)사이의 극간을 통해서 핀(8a)에 의해서 걸려있다. 이 스프링(23)의 다른쪽 단부는 슬라이더(22)의 노치(22c)에 걸려있다. 바이어스 스프링(23)은 양 단부가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부세(미리 충전)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4에서는 배리어(8)가 축(21)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22p)는 핀(8a)을 이동하게 하는 구멍이다.
스토퍼(50)는 배리어(8)에 당접해서 배리어의 완전개방위치를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스토퍼(50)는 광학블록(도시생략)의 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하지만, 스토퍼(50)는 본체커버상이나 배리어베이스(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표시한 배리어기구를 도 5의 화살표C 방향에서 볼때 리프SW (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표시한다.
도 6에 있어서, (34)는 절연용 마일라지(Mylar sheet)이다. 이들 3매의 마일라지(34)는 리프접편(31),(32)을 서로 절연시키고, 이들 각각의 리프접편 (31),(32)과 배리어베이스(20)를 절연시킨다. 리프베이스(35)는 베리어베이스 (20)에 리프접편(31),(32)을 고정시킨다. 가압판(36)은 머신스크루(37)가 리프접편(31),(32), 마일라지(34), 리프베이스(35)를 고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프접편(31),(32)은 그들의 인접단부가 배리어베이스(20)에서 멀어지고, 그들의 원위단부가 배리어베이스(20)에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공통접편과 각 리프접편사이의 간섭을 배제한다.
리프접편(31),(32)의 단부는 마일라지(34)에 의해서 서로 절연되면서 외부로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개폐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도 2에 표시한 CPU는 이들 신호를 검출한다.
배리어(8)를 개폐하는 조작은 도 4, 도 5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카메라의 전원이 OFF이거나 카메라가 재생모드(후술함)에 있을 때 배리어(8)가 개방되지 않은(완전히 폐쇄된)(도 3의 I의 위치)배리어기구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7은 및 도 8 각각은 촬상모드 또는 PC모드(후술함)에서 배리어(8)가 완전히 개방된(도 3의 Ⅲ의 위치)배리어기구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각각은 완전개방위치와 완전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도 3의 Ⅱ의 위치)에서 배리어기구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우선, 각 도면에서 배리어(8)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완전폐쇄위치Ⅰ와 완전개방위치Ⅲ 사이의 중간위치Ⅱ에서 배리어(8)를 표시한다. 배리어(8)가 위치Ⅱ에 있으면,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통접편(33)은 리프접편(31) 또는 (32)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표시한 CPU(17)는 스위치(30)으로부터의 제 1 및 제 2개폐신호에 의거해서 배리어(8)가 완전폐쇄위치Ⅰ와 완전개방위치Ⅲ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한다. 핀(8a)은 스프링(23)으로부터의 부세력에 의해서 테이퍼면(22a),(22b)에 대향하여 가압한다. 슬라이더(22)가 지면에서 좌·우로 더 이동하면 그에 따라서 배리어(8)가 피벗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슬라이더(22)의 포울(22f)이 공통접편 (33)의 절연부(33a)를 압압해서 공통접편(33)과 리프접편(32)을 접촉시키면, 제 2 개폐신호는 논리값 "1"을 출력하고, 제 1개폐신호는 논리값"2"를 출력한다. 이들 신호의 논리값에 의거해서 CPU는 배리어(8)가 완전폐쇄위치Ⅰ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도 4에 표시한 상태에서는 배리어(8)가 스토퍼(50)에 의해서 규제되므로 더이상 피벗될 수 없다. 그러나, 슬라이더(22)가 지면에서 그보다 더 왼쪽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23)의 테이퍼면(22a)과 핀(8a)은 분리된다. 따라서 스프링(23)이 더 충전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슬라이더(22)의 포울(22g)이 공통접편(33)의 절연부(33a)를 압압해서 공통접편(33)과 리프접편(31)을 접촉시키면, CPU(17)(도 2참조)는 이들 2개의 접편(33),(31)이 근접하고, 배리어(8)가 완전개방위치Ⅲ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 상태에서 핀(8a)은 슬라이더(22)의 테이퍼면(22a)에 대항하여 가압을 지속한다.
이하, 배리어(8)의 일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 표시한 상태에서, 스프링(23)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충전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리어(8)가 스토퍼(50)에 대항하여 가압하므로, 카메라를 운반할 때 카메라의 자세나 진동에도 불구하고 개폐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25)를 구동해서 배리어를 개방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배리어(8)를 개방하는 방향에서의 모터(25)의 회전이 정회전이 된다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25)가 정회전할 때, 회전속도는 피니언기어와 중간기어(도시생략)에 의해서 감소되고, 구동력은 스크루(26)와 일체로 형성된 스크루기어(도시생략)에 전달된다.
스크루의 직경을 작게할 수록, 축의 토오크는 축력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루의 직경이 감소하면, 스크루선단(26a)의 직경이 제한되기 때문에 스크루직경과 스크루팁직경사이에서의 어떤 차이는 거의 유지될 수 없다.
이어서, 스크루선단(26a)의 단부면에서 테이퍼면을 절삭함으로써 나사산을 평활화할 수 없다. 그래서, 거친 나사산의 단부면이 직립만곡부(20b)상을 슬라이드해서 큰 저항을 발생시키거나 2개의 부재가 서로 깎여진다. 그러므로, 와셔(29)가 스크루(26)와 직립만곡부(20b)사이에 삽입되어 스크루(26)가 직립만곡부(20b)상에 직접 슬라이드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크루(26)와 접촉하는 와셔면은 거칠어지고, 직립만곡부(20b)상을 슬라이드하는 와셔면은 평활화되고 테이퍼진다. 이로 인하여 와셔(29)를 스크루(26)와 함께 회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평활면을 슬라이드하게 함으로써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스크루(26)가 회전하면, 너트(28)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정지부가 너트(28)상에 형성되어, 스크루(26)의 토오크를, 지면에서 너트(28)를 오른쪽으로 이송하는 축력으로 전환시킨다. 이 너트(28)는 슬라이더(22)의 직립만곡부(22h)를 압압해서, 슬라이더(22)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22)가 약간 이동하면, 공통접편(33)과 리프접편(32)은 서로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리프접편(32)은 양 접편에 접근하지 않고, CPU(17)는 배리어(8)가 완전폐쇄위치와 완전개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가 이동을 개시하면, 핀(8a)과 테이퍼면(22b)이 분리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2)가 이동할 때에도 배리어(8)는 부세력에 의해서 스토퍼(50)에 대향하여 가압한다. 슬라이더(22)가 이동하여 테이퍼면(22a)을 핀(8a)과 접촉시킨 후에 테이퍼면(22b)은 핀(8a)을 압압하여 배리어(8)가 피벗한다.
완전폐쇄위치로 부터의 핀(8a)의 회전방향은 슬라이더(22)의 이동방향에 대해 큰 각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배리어(8)가 개방을 개시하면, 슬라이더(22)로부터의 힘이 배리어(8)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아서 큰 구동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모터(25)가 스텝핑모터이기 때문에 탈조(脫調))의 발생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의 개시시에 접촉하는 접촉면(22b)은 슬라이더 (22)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큰 각도를 가짐으로써 핀(8a)에 부가하는 힘의 방향을 핀(8a)의 이동방향에 접근시킨다. 그래서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배리어(8)를 스무드하고 확실하게 개방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퍼면(22b)의 각도는 약 45°로 설정한다. 또한, 모터(25)가 DC모터이어도 부하가 감소하여 모터(25)의 전류를 감소시키므로 에너지절약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모터(25)가 스텝핑모터이면, 모터(25)가 회전을 개시한 후에 즉시 모터의 토오크와 회전속도가 낮아져서 모터(25)가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개방의 개시시에는 슬라이더(22)가 배리어축(8a)과 접촉하지 않아서 모터(25)를 저부하로 구동시킨다. 모터(25)가 안정화되면, 모터(25)는 배리어(8)를 개방한다. 이것은 스텝핑모터(25)의 탈조를 방지하고, 모터(25)를 스무드하고 확실하게 동작시킨다.
또한, 개방의 개시시에는 슬라이더(22)가 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해서 배리어(8)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힘은 개방의 개시시에 부하를 감소시키므로, 배리어(8)는 더욱 스무드하게 개방을 개시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배리어(8)가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위치Ⅲ에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8)가 개방을 개시하여 어느 정도 이동한 후에 슬라이더(22)의 접촉면(22a)은 적게 테이퍼지고, 슬라이더(22)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된다. 이것은 핀(8a)의 이동방향이 슬라이더(22)의 이동방향에 근접하기 때문에 테이퍼각도가 감소되면 힘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배리어(8)가 구동하면, 스프링(23)의 부세력은 어떤 부하도 일으키지 않는다. 즉, 스프링(23)이 슬라이더(22), 핀(8a)과 함께 이동하고, 스프링(23)의 개방각도가 이동시에 거의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세력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폐쇄하면서 배리어(8)가 스토퍼(50)에 당접한 후에 슬라이더(22)가 이동하면, 스프링(23)이 더욱 부세되기 때문에 부하가 증가한다.
도 7과 도 8은 배리어(8)의 완전히 개방된(완전개방)상태를 표시한다.
도 9와 도 10에 표시한 중간위치에서 구동을 지속하면, 슬라이더(22)의 포울(22g)은 공통접편(33)을 압압해서 리프접편(31)과 접촉시킨다. CPU(도 2에 도시함)(17)가 접편의 도통(導通)을 검출하면, CPU((17)는 모터(25)를 정지시켜서 배리어(8)의 개방동작을 종료한다. 배리어(8)는 개구부(4)로부터 양호하게 피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배리어(8)의 정지위치는 상기 언급한 리프SW(30)의 타이밍에 따른다. 이 타이밍은 리프접편(31),(32)의 치수정도 및 취부정도, 슬라이더(22)의 포울의 치수정도, 슬라이더(22)의 테이퍼면의 위치정도, 핀(8a)의 위치정도와, 각 부품사이의 위치정도 등과 같은 각종 오차요인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배리어(8)의 정지위치를 개구부(4)로부터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품의 정도를 낮출 수 있고, 부품비용을 줄일 수 있다.
리프접편(31),(32)과 공통접편(33)은 약 0.1mm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금속판이 본 실시예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으면, 각 부품의 치수정도는 낮아진다. 그래서 각 리프접편(31),(32)의 선단부를 리프베이스 (35)의 보스(35a)에 압접함으로써 위치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리프접편(31),(32)의 선단만곡부의 길이를 고정도로 가공하면, 각 접편의 선단부를 슬라이더(22)의 포울에 대해서 고정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리프베이스(35)가 성형품이므로 보스도 성형에 의해서 고위치정도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배리어(8)를 개방하면서 어떤 이유때문에 리프SW(30)가 완전개방위치를 검출할 수 없거나 리프SW(30)가 완전개방위치를 검출하더라도 모터(25)가 구동을 정지하지 않으면 슬라이더(22)는 계속 이동한다. 최악의 경우에는 슬라이드홈(22d)의 선단부가 축(24)을 씹거나, 슬라이더(22)의 직립만곡부(22b)가 와셔(29) 또는 기어박스(27)에 당접하여 스크루(26)와 너트(28)를 서로 간섭하게 한다. 이런 경우이면 정회전도 역회전도 불가능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접편(33)을 보스(35a)(도 5참조)에 당접하여 큰 부하를 발생시키고 슬라이더(22)의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한다. 동일한 구성을 개방쪽에도 사용한다.
개방하는 중에 외란이 가해지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배리어(8)를 잡으면, 슬라이더(22)가 핀(8a)을 직접 압압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루(26) 등을 개재해서 모터(25)에 부하가 걸린다. 최악의 경우 모터(25)가 탈조한다. 스텝핑모터는 원래 구동스텝의 수에 의해 배리어(8)의 이동 범위를 제어한다. 하지만, 일단 스텝핑모터가 탈조하면 배리어(8)의 위치가 불명료하게 되어서 그 후에 회복하기 위해 완전개방위치를 검출하는 리프SW(30)가 필요하다.
배리어(8)는 도 7 및 도 8에 표시한 상태로부터 페쇄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더(22)가 이동할 때, 스프링(23)이 핀(8a)을 부세하므로, 핀(8a)은 테이퍼면(22a)에 압접하면서 배리어(8)를 피벗시킨다. 구동을 계속하면, 배리어(8)는 스토퍼(50)에 당접해서 피벗이동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완전개방을 검출하는 리프접편(32)과 공통접편(33)은 아직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모터(25)에 의한 구동이 더 지속되면, 슬라이더(22)의 포울(22f)이 공통접편 (33)을 압압해서 리프접편(32)과 접촉시킨다. CPU(17)(도 2참조)는 접편의 도통을 검출하여 모터(25)에 의한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이 상태를 도 4 및 도 5에 표시한 완전폐쇄위치Ⅰ로 복귀시킨다. 스프링(23)의 개방각도가 크기 때문에 스프링(23)은 더욱 충전된다. 리프접편(31),(32)은 배리어(8)가 정지하고 소정량 구동된 후에 도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통의 타이밍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부품의 정도에 의해서 다소 변화하더라도 배리어(8)가 확실하게 폐쇄된다.
배리어(8)가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손가락 등에 의해 잡히면, 스프링(23)의 부세력에 대향하여 슬라이더(22)는 스프링(23)을 더욱 충전시키면서 지면에서 왼쪽으로 계속 이동한다. 이 구동력이 충분히 강하면, 리프SW(30)가 도통할때 까지 슬라이더(22)가 이동해서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 후에, 손가락이 배리어(8)로부터 제거되면, 스프링(23)의 부세력은 배리어(8)를 완전폐쇄상태Ⅰ로 복귀시킨다. 구동력이 불충분하면 모터(25)가 탈조되어 개방동작중에 완전폐쇄상태위치에서 구동을 정지시킬 수 없다. 따라서, 완전폐쇄위치를 검출하는 리프SW(30)가 필요하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스텝핑모터구동에서는 다음의 사항에 주의를 요한다.
스텝핑모터(25)가 급정지할 때에는 내부의 코일과 자석이 서로 가장 가까운 위상으로 정지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가끔 스텝핑모터(25)는 정지전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리프SW(30)의 접편(31)이 접편(32)과 도통한 후에 모터(25)의 구동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면, 슬라이더(22)가 역방향으로 미소거리 이동하여 리프접편(31),(32)의 통전을 끊는다. 따라서 접편(31)을 접편(32)과 도통시킨 순간후에,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을 계속해서 리프접편(31),(32)을 미소량 충전시킨 후에 모터(25)에 의한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리프접편(31),(32)의 도통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완전폐쇄위치의 배리어(8)를 개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완전폐쇄위치의 배리어(8)를 개방하는 상태를 표시한다. 배리어(8)가 개구부(4)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더라도 스프링(23)이 충전하기 때문에 외력이 구동계에 직접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22)에는 구멍(22i)이 형성되어 배리어(8)와 함께 피벗하는 핀(8a)의 이동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배리어(8) 또는 슬라이더(22)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23)은 폐쇄방향과 반대인 개방방향으로 배리어(8)를 부세할 수 있다. 하지만, 배리어(8)상의 외부부하를 고려하면, 본 실시예와 같이 폐쇄방향으로 부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해서 카메라모드를 설명한다.
도 12는 카메라의 상면에 설치된 모드다이얼(7)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전원OFF상태에서 LOCK모드, 촬영모드로서 REC(기록)모드, 재생모드로서 PLAY(재생, 표시)모드, 제어가능모드로서 PC모드를 가진다. 이들 모드를 절환하는 수단은, 다이얼스위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12의 각 모드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LOCK모드: 전원OFF상태
REC모드: 릴리스버튼(도 2 및 도 3참조)의 압하를 검출해서 CCD(도 2 참조)로부터 화상을 입력하는 촬영이 가능한 상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LCD(5)에 표시된 실제화상(CCD(12)에 의해 연차 입력된 화상)을 모니터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LCD(5)를 OFF한 상태로 광학파인더를 통해서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PLAY모드: 기억수단(도시 생략)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해서 LCD(5) 혹은 외부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
PC모드: 외부의 컴퓨터에 카메라가 접속가능한 상태, 예를 들면 카메라를 외부컴퓨터에 접속해서 컴퓨터와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컴퓨터가 카메라에 촬영을 지시한다.
상기 언급한 모드를 가진 카메라에 있어서 배리어(8)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제어순서> ... 제 1예
도 13은CPU(17)에 의해 제어되는 시퀀스와 같은, REC모드, PLAY모드, PC모드를 가진 카메라의 배리어(8)의 개폐동작 시퀀스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S21에 있어서, CPU(17)는 모드다이얼에 의한 절환을 검출한다. PLAY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S22), CPU(17)는 LCD(5) 등에 기록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23). 그 후에 모드가 LOCK모드로 절환되어 있으면(스텝S24), CPU(17)는 전원을 차단해서(스텝S35),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S21에 있어서 CPU(17)가 모드다이얼 (7)에 의한 절환을 검출하여, REC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면(스텝S25), CPU (17)는 배리어(8)를 개방하여(스텝S26), 촬영을 행한다(스텝S27). 촬영하는 동안, 배리어(8)는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에 모드가 LOCK모드로 절환되면(스텝S28), CPU(17)는 배리어(8)를 폐쇄하고(스텝S29), 전원을 차단하여(스텝S35),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화상재생중에는 배리어(8)가 폐쇄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지니면서 LCD(5)를 볼때에도, 실수로 카메라의 렌즈에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필요시 이외에는 배리어(8)가 폐쇄되어 카메라에 먼지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진입하는 위험성을 감소시키거나 태양광선 등에 의해 촬상소자 또는 CCD(12)의 인화를 방지한다.
스텝S21에서 다이얼(7)의 상태를 검출한 후에 PC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판정하면(스텝S30), CPU(17)는 배리어(8)를 개방하여(스텝S31), 외부컴퓨터로부터 지령을 받는다(스텝S32). 화상이 촬영되거나 외부컴퓨터에 전송되는 동안, 배리어(8)는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에 모드가 LOCK모드로 절환되면(S33), CPU(17)는 배리어(8)를 폐쇄하고(S34), 전원을 차단하여(S35),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드가 PC모드로 절환된 후에 배리어(8)는 즉시 개방한다. 따라서, 외부컴퓨터로부터 촬영지시신호를 받은 후에 즉시 촬영할 수 있고, 촬영시기를 늦추지 않는 고반응속도를 가진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이얼(7)의 상태를 검출한 후에 스텝S30에서 CPU(17)가 LOCK모드(지령없음)를 검출하면, CPU(17)는 전원을 차단하여(S35), 제어를 종료한다.
<제어순서> ... 제 2예
도 14는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스텝을 제외하고서 도 13과 동일한 배리어(8)의 개폐동작시퀀스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시퀀스는 CPU(17)에 의해 제어된다.
PC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도 14의 스텝S40에서 판정되면, CPU(17)는 촬영지시신호를 대기한다. 촬영지시신호가 입력되면(스텝S41), CPU(17)는 배리어(8)를 개방하여(스텝S42) 촬영을 행한다(스텝S43). 촬영을 완료한 후에 CPU(17)는 즉시 배리어(8)를 폐쇄한다(스텝S44). 모드가 LOCK모드로 절환되면(스텝S45), CPU(17)는 전원을 차단하여(스텝S35), 동작을 종료한다.
비록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PC모드에서, 화상전송동작과 같은 촬상을 제외한 동작을 행하면, 배리어(8)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촬영은 PC모드에서는 단지 카메라동작이 아니므로, 화상이 촬영될때만 배리어(8)가 개방한다. 이것은 카메라의 렌즈를 보호하고, 카메라본체내에 먼지 입자 등의 진입을 방지한다.
<제어 순서> ... 제 3예
도 15는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스텝을 제외한 도 13과 동일한, 배리어(8)의 개폐동작시퀀스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동작은 도 14의 예와 같이 CPU(17)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13에서 PC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CPU(17)는 촬영지시신호를 대기한다. 촬영지시신호가 입력되면(스텝S51), CPU(17)는 배리어(8)를 개방하여(스텝S52), 촬영을 행한다(스텝S53). 촬영을 완료한 후에 일정시간내에 촬영지시신호가 다시 입력되면(스텝S54). CPU(17)는 배리어(8)를 폐쇄하지 않고서 촬영을 행한다(스텝 S53). CPU(17)(도시생략)의 내부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의 경과를 모니터한다. 촬영을 완료한 후 일정시간내에 촬영지시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CPU(17)는 배리어(8)를 폐쇄한다(스텝S55). 모드가 LOCK모드로 절환되어 있으면(스텝S56), CPU (17)는 전원을 차단하여(스텝S35),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 내에 다음의 촬영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배리어(8)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배리어(8)를 개폐하는 전력을 절감한다. 또한, 촬영지시신호가 입력되지 마자 촬영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반응속도를 가진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촬영이 계속적으로 행해지지 않을 때는 배리어(8)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카메라의 렌즈는 필요시를 제외하고서 보호될 수 있다.
도면에 개략적으로 또는 블록형태로 표시한 각 부품들은 모두 카메라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그들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작동이나 최선의 모드에 결정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가 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이해해야 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된 각종 변형과 대등한 구성을 수용하는 것이다.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과 대등한 구성 및 작용을 포함하기 우해 최광의의 해석에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각종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는 외부제어모드로서 PC모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기를 사용하는 원격제어모드와 같은 다른 외부제어모드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있어서, PC모드에서 카메라를 외부컴퓨터시스템에 접속시켜서 PC에 의해서 외부적으로 제어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들 사이의 케이블접속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전파통신이나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접속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얼을 개재하여 PC모드로 절환시킨다. 즉, 다이얼을 조작하지 않고서는 PC모드로 절환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수동절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와 PC사이의 접속이 자동으로 인식되어서 다이얼의 수동조작을 제거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욱이,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구성을 적절한 방식으로 교환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한 장치 또는 실시한 장치의 전체나 일부의 구조를 구비한 디바이스유닛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른 유닛과 결합한 시스템에 또는 장치에 구비된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스틸카메라, 비디오카메라, 은염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형태의 카메라, 카메라 이외의 어떤 형태의 촬상장치나 광학장치 및 다른 형태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 광학장치 및 다른 형태의 장치 등에 적용하는 장치에, 또는 카메라, 광학장치 및 다른 형태의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요소에 적용할 수 있다.
촬상장치에 외부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고,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촬상장치가 외부제어기유닛에 의해서 제어되어 커버의 개폐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8)

  1. 촬상광학계를 보호하는 개폐가능한 보호커버(8)와;
    상기 보호커버를 구동하는 커버구동수단(9,10)과;
    촬상장치가 적어도 촬상모드에 또는 상기 장치를 외부제어기유닛에 의해 제어하는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17)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결정수단의 결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커버구동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외부제어기 유닛으로부터의 촬상개시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수단은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촬상동작의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장치의 촬상동작의 완료후에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일정시간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촬상개시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외부제어기 유닛으로부터 다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여도,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장치의 촬상동작의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장치의 촬상동작의 종료후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일정시간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촬상 개시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외부제어기 유닛으로부터 다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일정시간경과후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재생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촬상모드와 외부제어모드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조작수단(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촬상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촬상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광학계에 의해 형성된 광학화상을 표시용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수단(5,12,13,1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외부제어모드로서, 외부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촬상광학계를 보호하는 개폐가능한 보호커버(8)와;
    상기 보호커버를 구동하는 커버구동수단(9,10)과;
    카메라가 적어도 촬상모드에 또는 상기 카메라를 외부제어기유닛에 의해 제어하는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17)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결정수단의 결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커버구동수단의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를 가진 카메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외부제어기 유닛으로부터의 촬상개시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수단은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상동작의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장치의 촬상동작의 완료후에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일정시간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0. 제 19항에 있어서, 촬상개시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외부제어기 유닛으로부터 다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여도,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촬상동작의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외부제어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장치의 촬상동작의 종료후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일정시간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4. 제 23항에 있어서, 촬상 개시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외부제어기 유닛으로부터 다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일정시간경과후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재생모드에 설정되어 있다고 상기 결정수단이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커버구동수단이 상기 보호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6. 제 1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촬상모드와 외부제어모드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조작수단(7)을 더 구비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상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광학계에 의해 형성된 광학화상을 표시용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수단(5,12,13,1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외부제어모드로서, 외부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19990007810A 1998-03-09 1999-03-09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 KR19990077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74998 1998-03-09
JP1998-56749 1998-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719A true KR19990077719A (ko) 1999-10-25

Family

ID=1303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810A KR19990077719A (ko) 1998-03-09 1999-03-09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457881B1 (ko)
EP (1) EP0942320B1 (ko)
KR (1) KR19990077719A (ko)
CN (1) CN1196023C (ko)
DE (1) DE69935467T2 (ko)
TW (1) TW4486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8687B (en) * 1998-03-09 2001-08-01 Canon Kk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 protection cover
CN1293423C (zh) * 2002-01-29 2007-01-03 佳能株式会社 摄像装置
ITBO20020164A1 (it) * 2002-03-28 2003-09-29 Alessandro Barducci Apparecchiature per il rilevamento e l'elaborazione a scopo diagnostico di radiazioni provenienti dalla pelle umana
JP4102199B2 (ja) * 2003-01-06 2008-06-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カメラ、外部機器、撮像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撮像方法
US20050024551A1 (en) * 2003-07-31 2005-02-03 Battles Amy E. System and method for shielding a display
US20070013805A1 (en) * 2005-07-15 2007-01-18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mechanical lens of cameras using miniature hard drive as gyro sensor
CN101271247B (zh) * 2007-03-23 2011-05-04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防尘盖装置
JP2009042575A (ja) * 2007-08-09 2009-02-26 Hitachi Ltd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のレンズバリア開閉制御方法
TW201117605A (en) * 2009-11-13 2011-05-16 Primax Electronics Ltd Image capture device
CN114072346A (zh) * 2019-08-16 2022-02-18 通力股份公司 电梯绳索监控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以及电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125A (en) * 1989-03-22 1991-03-05 Konica Corporation Remote-controlled camera
JP3445286B2 (ja) 1991-10-28 2003-09-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撮像装置
JP2607141Y2 (ja) 1992-01-08 2001-04-1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
JP3413228B2 (ja) 1993-01-20 2003-06-0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H07264452A (ja) * 1994-02-03 1995-10-13 Samsung Electron Co Ltd カメラ一体型の磁気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888785A (ja) 1994-09-16 1996-04-02 Toshiba Corp 画像入力装置
US6545775B1 (en) * 1995-07-21 2003-04-08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and units removably attachable to the same
JPH0937123A (ja) 1995-07-24 1997-02-07 Canon Inc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ユニット並びに撮像信号処理装置
JPH0961921A (ja) 1995-08-29 1997-03-07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9135377A (ja) 1995-11-09 1997-05-20 Kyocera Corp バリア付の電子スチルカメラ
US5978016A (en) * 1997-02-20 1999-11-02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with internal fixed album memory
EP0864917A1 (en) * 1997-02-20 1998-09-1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data recording on film
JP3268995B2 (ja) * 1997-02-27 2002-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TW448687B (en) * 1998-03-09 2001-08-01 Canon Kk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 protection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6023C (zh) 2005-04-06
EP0942320A3 (en) 2001-08-01
EP0942320A2 (en) 1999-09-15
DE69935467T2 (de) 2007-12-13
DE69935467D1 (de) 2007-04-26
EP0942320B1 (en) 2007-03-14
US20020181957A1 (en) 2002-12-05
US6457881B1 (en) 2002-10-01
US6835008B2 (en) 2004-12-28
CN1240274A (zh) 2000-01-05
TW448687B (en)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046B2 (en) Accessory, imaging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US7046286B1 (en) Video camera
US6601766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card-type media
EP2034719B1 (en) Camera lens module
KR19990077719A (ko) 보호커버를 가진 촬상장치
US6393222B1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JP2007114532A (ja) レンズ鏡筒
KR940005799B1 (ko) 소형 수납용 포울딩 캠코더
US6825881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EP1510855B1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lens cover
JP2001141973A (ja) フィルター駆動装置及びフィルター駆動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3809291B2 (ja) 撮像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744129B2 (ja) Vtr一体形カメラ
JP2009017421A (ja) 撮像装置
JPH07159667A (ja) ズ−ムレンズのピント調整装置
JP4548924B2 (ja) 撮像装置
JPH0698216A (ja)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開閉機構
US20030202109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JP371595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672149B2 (ja) ビデオカメラ
JP2005062563A (ja) 撮影装置
US6324343B1 (en) Optical apparatus
JP2000131733A (ja) 光学装置
JP3339125B2 (ja) カメラ
JP2016186563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31

Effective date: 2005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30

Effective date: 2007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