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981A -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의 제조 - Google Patents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981A
KR19990076981A KR1019980705110A KR19980705110A KR19990076981A KR 19990076981 A KR19990076981 A KR 19990076981A KR 1019980705110 A KR1019980705110 A KR 1019980705110A KR 19980705110 A KR19980705110 A KR 19980705110A KR 19990076981 A KR19990076981 A KR 19990076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mixture
butyl
tert
carboxamide
isoquin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알. 앨런
스코트 젠킨스
로랄느 클라인
로버트 에릭슨
다이안 프로엔
Original Assignee
호스터 제프리 엠.
몬산토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스터 제프리 엠., 몬산토 컴퍼니 filed Critical 호스터 제프리 엠.
Publication of KR1999007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98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other than aralkyl radicals
    • C07D217/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other than aralkyl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2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Abstract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tic-c")를 제조하는 방법과, tic-c를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tic-d")로 변환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tic-c를 형성하는 초기 단계는 치환된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포스겐화로 N-카르복실산 무수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tic-d는 약학적 활성을 가진 공지 화합물의 합성에서 중간물질로 사용된다.

Description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의 제조
마틴(Martin) 등은 미국 특허 제5,196,438호에서 바이러스 원인(viral origin)의 프로테아제를 억제하고, HIV와 기타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확실한 아미노산 유도체를 기술하고 있다. 마틴 등에 의해 밝혀진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마틴 등은 이들 화합물이 인 비트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상기 아미노산 유도체들에 대한 마틴 등의 합성은 하기 화학식
(상기 식중 R'는 아미노-보호기이고 X는 염화물 또는 브롬화물이다)를 가진 화합물과 tic-d:
가 반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페네틸아민(phenethylamine) 유도체로부터 tic-d를 합성하기 위한 방법은 EPO 출원 0 533 000 A1(고케일(Gokhale) 등, 1993년 3월 24일 공개)에 설명되어 있다. 고케일 등의 합성에서 사용된 페네틸아민 유도체는 N-벤질옥시카르보닐-L-페닐알라닌과 N-에틸 모르폴린(morpholine) 및 이소부틸 클로로포름산염이 반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합성된 페네틸아민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상기 식중 Z는 벤질옥시카르보닐이고 R"는 저급 알킬아미노일 수 있다)을 갖는다. 아세트산내에 황산이 존재할 때 상기 페네틸아민 유도체와 포름알데히드 또는 디메톡시메탄이 반응하면, 이소퀴놀린 화합물이 형성된다;
고케일 등은 이러한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R이 tert-부틸 아미노기일 수 있다)을 갖는 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 유도체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R이 그와 같이 한정되는 경우, 화합물은 체계적으로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 카르복사미드(tic-c)로 명명된다. 고케일 등은 또한 tic-c는 수소첨가되어 프로테아제 억제물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tic-d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tic-c의 염산염(hydrochloride salt)의 합성은 위어(E.C.Weir) 등의 문헌("Tricyclic Hydantoins and Thiohydantoins of Phenylalanine", Ch. Chron., Vol 18, No. 1, pp. 1-17 (1989, 3월))에 보고되어 있다. 그 화합물은 t-부틸 아민과 삼환(環) N-카르복실산 무수물:
이 반응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위어 등에 의해 보고된 반응은 클로로포름 용매내에서 이루어졌고; tic-c의 수율은 57%인 것으로 보고되었다(같은 문헌. 표 Ⅳ).
상기 공정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절차는 염소처리된 용매(a chlorinated solvent)를 필요로하고; 2) 원하는 tic-c 산물의 수율은 좋지 않고; 3) 공정은 PCl5를 사용하고; 그리고 4) tic-a에서 tic-c로 변형되려면 세 번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 카르복사미드("tic-c")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화합물을 약학적 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된 중간물질인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tic- d")로 변환시키는 공정을 기술한다. 상기 공정에서는 염소처리되지 않은 용매를 사용하고, 습기에 민감한 중간물질인 (3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N-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분리시키지 않는다.
그 합성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먼저 tic-a를 포스겐(phosgene)과 반응시켜 tic-a N-카르복실산 무수물(NCA)을 제조한다. 이 중간물질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 자리에서 tert-부틸아민과 반응시켜 tic-c를 형성한다. 몇가지 불순물을 분리시켜 내기 위해서, tic-c를 반응 혼합물에서 수성 산(aqueous acid)으로 추출시키고, 그 결과로 합성된 산성 염을 유기 용매(헵탄이 바람직하다)의 존재하에서 염기로 중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입증된 로듐 촉매를 이용해서 유기 추출물을 수소첨가시켜 tic-c를 tic-d로 변환시킨다.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한 다음, tic-d를 농축, 결정화, 여과 그리고 건조에 의해 분리시켜 낸다. 수율은 포스겐화에 대해서 75-80 %이고; 수소첨가 및 분리에 대해서 60-70 %; 그리고 두 단계 동안에 최종적으로 45-56 %이다. 상기 과정의 한가지 중요한 이점은 tic-a NCA 중간물질을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바람직한 출발 화합물은 이소퀴놀린 유도체인, (3S)-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L-tic-a")이다. HCl의 존재하에서 페닐알라닌을 포름알데히드와 반응(Pictet-Spengler 반응)시킨 후, 염산염을 중화시킴으로써 상기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반응은 L(좌회전성)과 D(우회전성) 광학 이성체의 라세미 혼합물[L:D의 비 = 70:30 내지 90:10]을 생성한다. 1995년 11월 9일 출원된 것으로, 발명의 명칭은 "An Improved Method for Preparation of Substituted Tetrahydroisoquinolines"이고, 본 출원과 공동으로 소유되어 있고,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는, 공동 계류중인 출원 번호 556,249에 언급되었듯이, tic-a의 좌회전성 이성체는 약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다수의 약품을 합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출발 물질이다. 공동 계류중인 출원 번호 556,249에 설명된 절차는 브롬화 수소산(HBr)이 존재할 때 페닐알라닌과 포름알데히드가 반응하여 상당히 광학적으로 순수한 L-tic-a 브롬화 수소산염을 산출(> 97 %)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원하는 L-tic-a 이성체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는 능력 때문에, 출원 번호 556,249에 기재된 절차는 tic-a 출발 물질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공정의 초기 단계는 유기 용매내의 L-tic-a 슬러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L-tic-a 출발 물질은 입자 크기가 약 50-350 메쉬 정도여야 하고; 325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THF, 다이옥산, 그리고 약 50-125℃ 사이에서 비등점을 갖는,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그리고 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동일 화학 작용을 이용하여 (R)-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 카르복사미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출발 물질로는 D-tic-a를 사용한다.
tic-a 슬러리를 약 0 내지 30℃정도(바람직하게는 15℃)의 온도에서 유지시키고, 포스겐(약 1 내지 4 당량, 바람직하게는 1.3)을 첨가하여,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형성한다. 포스겐을 첨가한 후에, 포스겐 첨가한 다음의 시간(반시간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동안 반응 혼합물을 약 20 내지 55℃ 사이(바람직하게는 35℃)의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하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기 위해 약 2 내지 6시간(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가열하여, tic-a NCA를 형성한다. 반응 혼합물 전체에 무반응성 가스(예를 들면, 질소)의 기포가 일게하여 잔류 포스겐의 양을 감소시킨다(포스겐과 HCl의 최종 레벨 < 0.2 중량%).
이어서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20 내지 5℃의 아민 첨가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1 내지 4 당량(바람직하게는 2.2 당량)의 tert-부틸아민을 첨가시켜,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tic-a NCA와 t-부틸 아민간의 반응이 저온에서 행해질지라도,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5℃보다 높은 온도까지 올리면 반응은 빨라 질 것이다.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대기 온도(대략 15-30℃)에서 유지시키는 것만으로도 tic-a MCA를 tic-c로 변환시키기에 충분하다.
tic-c 산물을 분리해 내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서, 반응 혼합물을 수성 염기로 추출하여 수용성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수성 산(예를 들면, 황산)으로 추출하여 수용성 염(예를 들면, tic-c 황산염)을 생산한다. 산성 염을 염기로 중화시키고 유기 용매(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핫 헵탄(hot heptane))로 추출하는 것은 tic-c를 유기상으로 되돌린다. 적당한 염기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칼륨 및 탄산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증발로 tic-c를 70 내지 90%의 수율로 얻는다.
압력하에서 촉매 수소첨가에 의해 tic-c를 tic-d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단계를 위해서 두가지 절차를 이용할 수 있는데, 그 두가지는 수성 배지내의 tic-c 산성 염을 수소첨가시키는 것, 또는, tic-c의 유기 용액을 수소첨가시키는 것이다. 그 중 두 번째 절차가 바람직하다.
수성 방법에서, tic-a NCA와 t-부틸아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초기 tic-c를 수성 염기로 추출하여 수용성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인산 첨가에 의해 수용성 tic-c 인산염을 형성한다. 촉매와, 상승된 온도(예를 들면, 80-100℃) 그리고 고압(100-350 psi)을 이용함으로써, 수성 용액을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수소첨가시킬 수 있다. 적당한 수소첨가 촉매로는 Rh/C와 Rh/Al2O3를 들 수 있다. 5% Rh/Al2O3촉매를 100℃, 350 psi의 압력에서 사용하면 꽤 효과적이다. 수소첨가 단계가 끝나면, 용액의 Ph를 약 10 정도로 맞추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수용액층(aqueous layer)을 버린다. tic-d는 탄화 수소 용매로부터 훨씬 쉽게 재결정화되기 때문에, 헵탄을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에 첨가시킨 다음, 저비등점(lower- boiling)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증류시키면 고체 tic-d의 회수가 용이해 진다.
또한 tic-c를 바람직하게 수성 염기로 세척하여 수용성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tic-c 합성이 진행되는 유기 용매(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내에서 수소첨가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헵탄과 같은 탄화 수소 용매내에서 수소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가스, Rh/Al2O3촉매, 고압(100-350 psi)을 사용하여, 8 내지 10 시간동안 유기 용액을 약 100℃의 온도에서 유지시킴으로써, tic-c를 tic-d로 변환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합성된 용액을 보온 여과(hot filtration)시켜 촉매를 제거한 다음, 증발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면, tic-d를 고수율로 얻는다.
본 발명은 이미 알려진 약학적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합성에서의 기본 중간물질인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 ((S)- N-tert-butyl-1,2,3,4-tetrahydro-3-isoquinoline-carboxamide) ("tic-c")와,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 ((S)-decahydroisoquinoline-3- carboxylic acid-t-butylamide) ("tic-d")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서 tic-d는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tert-부틸아미드로 불린다).
다음의 실시예는 예시를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서술된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실시예 Ⅰ
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카르복사미드
(TIC-C)
650 파운드의 tic-a를 1010 갤론의 에틸 아세테이트내에 슬러리화하고, 494 파운드의 포스겐(1.3 당량)을 10-20℃에서 3시간에 걸쳐 첨가한다. 슬러리를 30±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슬러리를 4시간 동안 72-78℃까지 가열한다. HCl과 포스겐이 .2 중량/중량% 보다 적어질 때까지 용액에서 질소를 제거한다. 용액을 -10 내지 0℃까지 냉각시키고 696 파운드의 tert-부틸아민(2.6 당량)을 첨가한다. 첨가한 다음에는, 슬러리를 20-25℃가 되도록 따뜻하게 하고 1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1시간 유지시킨 다음에는. 526 갤론의 물을 슬러리에 첨가하고 pH가 10-10.5가 되도록 수산화 칼륨으로 pH를 조절한다. 두 층으로 분리되면 하부의 수용액층을 버린다. 211 갤론의 물을 상부의 유기층에 첨가하고 pH가 10-10.5가 되도록 수산화 칼륨으로 pH를 조절한다. 두 층으로 분리되면 하부의 수용액층을 버린다. 526 갤론의 물을 상부 유기층에 첨가하고 pH가 2.0-2.5가 되도록 황산으로 조절한다. 그 하부의 수용액층을 tic-c 황산염이라고 표지를 붙인 드럼에 모아놓는다(수율 = 75-84%).
실시예 Ⅱ
N-tert-부틸-데카히드로-(4aS,8aS)-이소퀴놀린-3(s)-카르복사미드
(TIC-D)
상기 공정에서의 드럼을 탱크내로 퍼올리고 헵탄을 첨가한다. 2상계(the 2 phase system)를 65-70℃까지 가열하고 pH가 10-10.5가 될 때까지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한다. 두 층으로 분리되면 하부의 수용액층을 버린다. 상부의 유기층을 가열하여 남아 있는 물을 공비(共沸) 제거시킨다. 10-16시간 동안 100℃, 350 psi하에서 5% Rh/Al2O3의 15% 첨가(loading) 하여, 상기 용액을 수소첨가시킨다. 슬러리를 보온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시킨다. 여과액을 25-33% 중량/중량% tic-d가 되도록 농축시키고 8-10시간에 걸쳐 10℃까지 냉각시킨다. 여과에 의해 고체를 모으고 헵탄으로 세척하여 백색 고체의 tic-d를 얻는다(수율 = 62-67%)
tic-a로부터의 전체 수율은 47-56%이다.
이전 설명으로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한 일일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실시하는 최상의 형태라는 것을 교시하기 위한 것이다. 공정의 세부사항은 실질적으로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할 수 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영역내에 오는 모든 변형의 독점 사용을 유보한다.

Claims (16)

  1. (3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과, 1 내지 4 당량의 포스겐과, 약 50°와 125℃사이에서 비등점을 갖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반응 용기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50 내지 125℃ 범위내의 상승된 온도까지 가열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기 상승 온도에서 약 2 내지 6시간 정도 유지시켜 N-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20°내지 5℃ 범위의 아민 첨가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1과 4 당량 사이의 tert-부틸 아민을 상기 반응 용기에 첨가하여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N-카르복실산 무수물이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로 변환되어 버릴 때까지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5℃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그리고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은 입자 크기가 약 50 메쉬 내지 약 350 메쉬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은 초기 온도가 약 0℃와 30℃ 사이의 범위내이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약 반시간과 6시간 사이의 기간 동안 약 20℃와 약 55℃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에서 포스겐의 수준은 아민 첨가시에 약 0.2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내의 포스겐의 양이 0.2 중량%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에 무반응성 가스의 기포가 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은 약 15℃ 내지 약 30℃ 범위내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수성 염기로 세척하는 단계;
    그 결과로 합성된 수용액상(aqueous phase)을 버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수성 산으로 추출하여 상기 카르복사미드의 수용성 염을 함유한 수용액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의 정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염을 염기로 중화시키는 단계;
    상기 수용액상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를 함유한 유기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헵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3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과, 1 내지 4 당량의 포스겐과, 약 50°와 125℃사이에서 비등점을 갖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반응 용기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50 내지 125℃ 범위내의 상승된 온도까지 가열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기 상승 온도에서 약 2 내지 6시간 정도 유지시켜 N-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20°내지 5℃ 범위의 아민 첨가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1과 4 당량 사이의 tert-부틸 아민을 상기 반응 용기에 첨가하여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카르복실산 무수물이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로 변환되어 버릴 때까지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5℃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수성 염기로 세척하고 그 결과로 합성된 수용액상을 버려, 정제된 (S)-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를 함유한 유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제된 카르복사미드를 압력하에서, 촉매 존재시에, 수소첨가하여, N-tert-부틸-데카히드로-(4aS,8aS)이소퀴놀린-3(S)-카르복사미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차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tert-부틸-데카히드로-(4aS,8aS)이소퀴놀린-3(S)-카르복사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에 뒤이어,
    상기 정제된 카르복사미드를 수성 산으로 추출하여 상기 카르복사미드의 수용성 염을 함유한 수용액상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상을 버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용성 염을 염기로 중화시키고, 동시에 상기 수용액상을 탄화수소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헵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Rh/Al2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3R)-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과, 1 내지 4 당량의 포스겐과, 약 50°와 125℃사이에서 비등점을 갖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반응 용기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50 내지 125℃ 범위내의 상승된 온도까지 가열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기 상승 온도에서 약 2 내지 6시간 정도 유지시켜 N-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반응 혼합물을 약 -20°내지 5℃ 범위의 아민 첨가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1과 4 당량 사이의 tert-부틸 아민을 상기 반응 용기에 첨가하여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N-카르복실산 무수물이 (R)-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로 변환되어 버릴 때까지 상기 두 번째 반응 혼합물을 5℃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tert-부틸-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80705110A 1996-02-20 1996-10-18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의 제조 KR19990076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03,744 US5587481A (en) 1996-02-20 1996-02-20 Preparation of (S)-decahydroisoquinoline-3-carboxylic acid t-butylamide
US8/603,744 1996-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981A true KR19990076981A (ko) 1999-10-25

Family

ID=2441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10A KR19990076981A (ko) 1996-02-20 1996-10-18 (s)-데카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부틸아미드의 제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87481A (ko)
EP (1) EP0902781B1 (ko)
JP (1) JP2001506575A (ko)
KR (1) KR19990076981A (ko)
AT (1) ATE256664T1 (ko)
AU (1) AU713924B2 (ko)
CA (1) CA2238478A1 (ko)
DE (1) DE69631169T2 (ko)
NO (1) NO312293B1 (ko)
WO (1) WO1997030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35171T5 (es) * 1995-06-30 2006-03-16 Ajinomoto Co., Inc. Procedimiento para producir amidas opticamente activas.
IT1301825B1 (it) * 1998-06-26 2000-07-07 Archimica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s)-n-terbutil-1,2,3,4-tetraidroisochinolin-3-carbossiammide.
KR100277723B1 (ko) 1998-12-14 2001-01-15 남창우 광학적으로 순수한 데카하이드로이소퀴놀린카르복사미드의 연속제조공정
CZ299699B6 (cs) * 1998-12-14 2008-10-22 Sk Corporation Zpusob výroby [3S-(3alfa, 4alfabeta, 8alfabeta)]-N-terc-butyl-dekahydro-3-izochinolinkarboxamidu s vysokým optickým výtežkem
IT1313682B1 (it) * 1999-11-25 2002-09-09 Archimica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s)-n-terbutil-1,2,3,4-tetraidroisochinolin-3-carbossiammide.
IT1318986B1 (it) * 2000-10-09 2003-09-19 Archimica S P A Ora Clariant L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s)-n-terbutil-1,2,3,4-tetraidroisochinolin-3-carbossiammide.
US8627573B2 (en) * 2002-10-05 2014-01-14 Braun Gmbh Hair-removing device
CA2524927A1 (en) * 2003-05-08 2004-11-18 Pfizer Inc. Intermediates useful in the synthesis of hiv-prote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CN1300115C (zh) * 2004-03-26 2007-02-14 厦门大学 一种合成1,2,3,4-四氢异喹啉衍生物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40588C (en) * 1988-06-13 1999-06-08 Balraj Krishan Handa Amino acid derivatives
GB8927913D0 (en) * 1989-12-11 1990-02-14 Hoffmann La Roche Amino acid derivatives
AU2228992A (en) * 1991-07-08 1993-02-11 Glaxo Group Limited Thiazol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viral compounds
US5256783A (en) * 1991-09-18 1993-10-26 Hoffmann-La Roche Inc. Method for producing 2-isoquinoline compounds
US5380849A (en) * 1992-11-09 1995-01-10 Merck & Co., Inc. Process for optically pure decahydroisoqiunolines
ES2135171T5 (es) * 1995-06-30 2006-03-16 Ajinomoto Co., Inc. Procedimiento para producir amidas opticamente activ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3803L (no) 1998-10-19
US5587481A (en) 1996-12-24
AU7449496A (en) 1997-09-10
DE69631169D1 (de) 2004-01-29
DE69631169T2 (de) 2004-11-11
NO983803D0 (no) 1998-08-19
AU713924B2 (en) 1999-12-16
EP0902781A4 (en) 2000-07-19
ATE256664T1 (de) 2004-01-15
CA2238478A1 (en) 1997-08-28
WO1997030976A1 (en) 1997-08-28
EP0902781A1 (en) 1999-03-24
JP2001506575A (ja) 2001-05-22
EP0902781B1 (en) 2003-12-17
NO312293B1 (n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1470B1 (da) Fremgangsmåde til industriel syntese af det tertiære butylaminsalt af (2S,3aS,7aS)-1-(2-[1-(ethoxycarbonyl)-(S)-butylamino]-(S)-propionyl)octahydroindol-2-carboxylsyre
GB2239016A (en) N-tert-butyl-decahydro-2-[3-amino-2-hydroxy-4-phenyl-butyl]isoquinoline-3-carboxamide &amp; asparaginyl derivatives thereof
CA2136312A1 (en) Retroviral protease inhibitors
US5587481A (en) Preparation of (S)-decahydroisoquinoline-3-carboxylic acid t-butylamide
JP2007532616A (ja) ペリンドプリルの製造方法
WO2005054276A1 (fr) Procede de synthese du perindopril et de ses sels pharmaceutiquement acceptables
EP0751128B2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amides
Inubushi et al. Studies on the alkaloids of menispermaceous plants. Part CCXLIX. Total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natural isotetrandrine, phaeanthine, and tetrandrine
CN112174837B (zh) 一种合成(R)-4-甲氧基-α-甲基苯乙胺的方法
JPS6120547B2 (ko)
SK115096A3 (en) Regiospecific process to make cis-1-amino-2-alkanols
KR20010043033A (ko) 신규한옥타히드로-6,10-디옥소-6H-피리다지노[1,2-a][1,2]디아제핀-1-카르복실산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치료적 활성화합물의 제조용 용도
EP213714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erindopril erbumine salt and novel polymorph (s) thereof
WO2009122433A2 (en)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ramipril
SK13442000A3 (sk) Postup na prípravu tetrapeptidu
JP3204368B2 (ja) 光学活性アミド類の製法
EP110475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N-tertbutyl-1,2,3,4- tetrahydroisoquinoline-3-carboxamide
US575681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ure (S,S)-N-(1-ethoxycarbonyl-3-phenylpropyl) alanine
EP1987828A1 (en) salts of perindopril and their use in the therapy of hypertension
US5099022A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1,2-bis(nicotinamido)propane
KR100197442B1 (ko) 광학 활성을 갖는 2,8-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72677B2 (ja) (±)―2―ヒドロキシ―4―フェニルブタン酸の光学分割法
KR20050115323A (ko) 퀴나프릴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JPH10204027A (ja) (±)−3,4−ジヒドロキシブタン酸の光学分割法
JPS58185565A (ja) 光学活性テトラヒドロイソキノリン誘導体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