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77A - 주사 바늘 - Google Patents

주사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77A
KR19990076577A KR1019980704646A KR19980704646A KR19990076577A KR 19990076577 A KR19990076577 A KR 19990076577A KR 1019980704646 A KR1019980704646 A KR 1019980704646A KR 19980704646 A KR19980704646 A KR 19980704646A KR 19990076577 A KR19990076577 A KR 1999007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jection
skin
hub
derm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934B1 (ko
Inventor
위르겐 카. 스메데가르트
킴 스텐가르트
헨닝 뭉크 에일레르센
Original Assignee
라스 켈베르그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641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657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스 켈베르그,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라스 켈베르그
Publication of KR1999007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를 관통하는 지점의 바늘 끝이 바늘 허브에서, 바늘이 부유된 상태에서 연장된 바늘 주사부의 길이가 4 mm 내지 6 mm가 되도록 설계된 주사 바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 바늘
이와 같은 바늘은 대개 주사될 액체를 포함하는 앰플(ampoule)을 봉(封)한 고무막을 관통하는 바늘의 다른 단부에서 여분으로 피부를 관통하는 끝을 가지는 이중 바늘로 형성된다.
상기 종류의 바늘은, 근육을 덮어싸고 있는 근육막과 진피 사이에 위치한 피하 조직에, 예를 들어 인슐린을 피하 주사하기 위한 액체를 주사하는데 사용된다. 근육에 인슐린을 주사하게 되면 신체에 너무 빨리 흡수되고, 불필요한 혈당치의 강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한편 진피에 주사된 인슐린은 전혀 흡수되지 않거나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흡수될 수 있다.
근육 내 주사를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서, 피부를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로 한 손으로 붙잡아 피부를 접고 이후에 다른 손에 잡은 주사 장치를 사용하여 주사를 놓는 주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두 손으로 주사를 놓아야 하며, 심지어 대개 주사 영역을 덮는 옷을 끌어 당기거나 멀리 치우기 위해서 제 3 의 손을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경사지게 잘린 피부 관통 단부를 가진 주사부를 구비하고, 주사기 장착용 바늘 허브에 고정된 주사 바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하부 근육과 함께 피부 영역에 삽입된 바늘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피부를 접지 않고도 바늘을 삽입하여 피하 주사를 놓을 수 있고 따라서 단지 한 손만을 사용하여 주사를 놓을 수 있는 바늘을 제공하는데 있다. 인슐린 주사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바늘은 예를 들어 성장 호르몬의 주사와 같은 모든 종류의 피하 주사에도 유용하다.
미국 특허 5 462 535 호는 전체 길이가 8 mm 내지 12 mm인 주사부를 가진 바늘을 개시하였다. 상기 길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된 16 mm 바늘에 대해서 근육내 주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이지만, 호리호리한 남자에게서는 진피와 피하 조직의 두께의 합이 심지어 8 mm 보다 작을 수 있고 따라서 근육내 주사를 회피할 수 없다.
미국 특허 제 5 015 235 호는 바늘에서 임의의 거리를 두고 동축으로 바늘 허브에 바늘을 둘러싸는 스커트(skirt)를 장착함으로써 12.5 mm 길이 바늘의 유효 길이를 감소시켰다. 스커트는 단지 주사를 놓기에 용이한 작은 길이만을 남겼다. 서로 다른 길이의 스커트를 사용하여 피부의 관통에 용이한 4 mm 또는 8 mm 바늘을 남기는데 사용할 수 있다. 유효한 바늘의 효과적인 길이는 피부에 직각으로 삽입할 때로 한정되지만, 이에 반해서 바늘을 경사진 각도로 삽입하는 경우 제대로 한정되지 않고도 한층 더 감소한다.
길이가 3 mm 및 4 mm 사이의 바늘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짧은 바늘은 특히 바늘이 경사진 각도로 삽입되는 경우에 진피를 거의 관통할 수 없다.
바늘 허브의 고정부에서 피부 관통 단부까지 연장되는 바늘의 주사부의 전체 길이가 4 mm 내지 6 mm의 간격으로 놓여진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근육내 주사 또는 진피 내 주사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허브 내의 지지부에서 피부 관통 지점까지로 측정되는 바늘의 주입부의 전체 길이가 더 짧아질수록 가늘고 또한 가는 내벽을 가진 바늘이 부러질 위험성이 낮아진다. 이와 같은 위험성의 감소는 유효 길이가 바늘을 지지하지 않는 슬리브를 사용하여 바늘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다.
G30과 같이 가느다란 바늘을 통해서 인슐린을 주사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로, G30 바늘의 가장 작은 보어에 대응하는 0.133 mm 보다 큰 보어를 가진 가는 내벽의 바늘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외측 직경이 G30 바늘에 허용되는 가장 큰 직경으로 설정된다면, 통상적인 G0 바늘에서 알려진 것보다 더 큰 보어를 가는 내벽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의 외측 직경 및 바늘의 보어의 외측 직경은
(가) 외측 직경이 0.320 mm 보다 작으며 보어 직경은 0.165 mm 보다 크거나,
(나) 외측 직경이 0.298 mm 보다 작으며 보어 직경은 0.133 mm 보다 큰 것 중의 하나의 상태를 만족한다.
도 1에서, 바늘 허브(1)은 주사 바늘(2)은 주사기(3)에 부착되어 있다. 주사 바늘(2)은 진피층(4)을 통해서 근육막(10)에 의해 근육 조직(6)과 혈관(11)에서 분리되는 피하 조직층(5)까지 삽입된다. 피하 조직 내에 주사되었지만 아직 흡수되지 않은 액체는 도면 부호 7로 표시하였다.
허브(1)에 바늘(2)이 고정되는 곳에서, 허브는 돔(9: dome)에 종결되는 돌출부(8)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바늘의 주사부는 전체 길이로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는 한편, 바늘의 주입부가 허브의 단부면에서 직접 연장되는 경우에 피부에 수직으로 바늘을 삽입할 때만 완전한 삽입이 가능하다.
여러 번의 측정을 거친 결과, 진피와 피하 조직의 두께는 다음의 표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간격 내에 들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평균값은, 적합한 주사 영역에 대한 유효값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여자 남자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진피 1.1 3.6 1.7 1.2 4.1 2.3
피하 조직 4.5 30.8 12.1 2.3 26.9 7.2
합계 5.6 34.4 13.8 3.5 31.0 9.5
바늘의 끝이 경사지게 잘려있기 때문에 바늘에서의 액체의 방출을 알아채는 것은 바늘의 끝에서 어떤 거리의 범위, 예를 들어 G30 바늘에서는 바늘의 끝에서 0.4 mm 내지 1.2 mm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게 되며, 피부의 두께가 최소인 영역의 피부에 6 mm 바늘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주사를 놓는다고 하더라도, 근육까지 도달하지 않지만 가장 두꺼운 진피를 피하면 4 mm 바늘을 사용하여 주사를 놓는 것이 가능하다.
6 mm 바늘을 사용하는 경우, 남자는 피부의 두께가 최소인 영역에 주사를 놓지 말아야 하며, 이와 같은 영역은 실제로는 주사를 놓기에 좋은 영역이 아니다. 진피가 최대 두께인 영역에 4 mm 바늘은 사용해서는 안되지만, 또한 상기 영역은 주사를 놓는데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복부나 넙적다리와 같은 영역의 바깥에 위치한다.
바늘이 경사진 각도로 삽입되면, 피부는 상기 표의 두께가 바늘과 피부 표면 사이의 각도의 사인값에 의해 나누어진 두께를 가진 것 처럼 보이게 된다. 45°의 각도에서는 이 값은 1.4를 곱하는 것에 상응한다.
바늘을 사용하여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또는 피부와 각도를 이루어 주사를 놓거나 간에 여자는 대체로 6 mm 바늘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진피가 최대 두께를 이루는 영역에서 주사를 놓는 경우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바늘을 유지하지 않고는 4 mm 바늘을 사용할 수 없다.
피부가 최소 두께를 가지는 영역 아니면 피부가 최대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거나 간에 남자는 경사진 각도로 삽입하는 경우에라도 6 mm 바늘을 사용해야 하는데, 최소 두께의 영역에서 6 mm 바늘은 근육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최대 두께의 영역에서 바늘은 진피를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다. 피부가 최소 두께인 영역에서 4 mm 바늘은 피부에 경사진 각도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부가 최소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주로 주사를 놓는 영역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영역의 상태는 여윈, 특히 여윈 어린 아이에게 적절한 주사 영역에 부합되는 상태에 상응한다.
그러나 진피와 피하 조직의 두께에 대한 평균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선호되는 주사 영역에서 4 mm 바늘과 6 mm 바늘을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또는 피부 표면과 경사진 각도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는 있지만, 피부층 두께의 평균값 부근의 변이를 허용할 여지를 남기게 된다.

Claims (2)

  1. 경사지게 잘린 피부 관통 단부를 가진 주사부를 구비하고, 주사기 장착용 바늘 허브에 고정된 주사 바늘에 있어서,
    바늘 허브의 고정부에서 피부 관통 단부까지 연장되는 바늘의 주사부의 전체 길이는 4 mm 내지 6 mm 이내의 간격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늘의 외측 직경 및 바늘의 보어 직경은
    (가) 외측 직경이 0.320 mm 보다 작고 보어 직경은 0.165 mm 보다 크거나,
    (나) 외측 직경이 0.298 mm 보다 작고 보어 직경은 0.133 mm 보다 큰 것 중의 한 상태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KR10-1998-0704646A 1995-12-22 1996-12-17 주사 바늘및바늘허브 KR100413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46095 1995-12-22
DK1460/95 1995-12-22
DK0492/96 1996-04-24
DK49296 1996-04-24
DK492/96 1996-04-24
PCT/DK1996/000537 WO1997023253A1 (en) 1995-12-22 1996-12-17 Injection nee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77A true KR19990076577A (ko) 1999-10-15
KR100413934B1 KR100413934B1 (ko) 2005-05-24

Family

ID=2606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46A KR100413934B1 (ko) 1995-12-22 1996-12-17 주사 바늘및바늘허브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6544238B1 (ko)
EP (1) EP0861102B1 (ko)
JP (1) JP3100401B2 (ko)
KR (1) KR100413934B1 (ko)
CN (1) CN1134273C (ko)
AT (1) ATE179622T1 (ko)
AU (1) AU708225B2 (ko)
BR (1) BR9612260A (ko)
CA (1) CA2241026C (ko)
CZ (1) CZ289840B6 (ko)
DE (2) DE69602379T2 (ko)
DK (1) DK0861102T3 (ko)
ES (1) ES2134021T3 (ko)
GR (1) GR3030763T3 (ko)
HU (1) HU220229B (ko)
IL (1) IL124880A (ko)
NO (1) NO315456B1 (ko)
PL (1) PL185914B1 (ko)
RU (1) RU2189836C2 (ko)
UA (1) UA49865C2 (ko)
WO (1) WO1997023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0530A1 (de) 1999-10-20 2001-06-13 Frank Neveling Spritze zur intrakutanen Injektion
US6547764B2 (en) 2000-05-31 2003-04-15 Novo Nordisk A/S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EP1289587B1 (en) 2000-05-31 2005-08-03 Novo Nordisk A/S A disposable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EP1313520B1 (en) 2000-08-02 2016-08-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nd safety shield system
ES2567443T3 (es) * 2005-10-13 2016-04-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junto de conector y aguja desechable
US7842008B2 (en) * 2005-11-21 2010-11-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dermal delivery device
KR20070075924A (ko) * 2006-01-17 2007-07-24 송태성 조직수복시술용 니들
USD787054S1 (en) 2016-04-14 2017-05-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hub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234A (en) * 1978-11-30 1980-11-25 Martin John K Iii Subcutaneous injection system
JPS6122984A (ja) 1984-07-12 1986-01-31 Pilot Ink Co Ltd 記録材料
GB8704027D0 (en) * 1987-02-20 1987-03-25 Owen Mumford Ltd Syringe needle combination
DK134691D0 (da) * 1991-07-12 1991-07-12 Novo Nordisk As Apparat
US5599309A (en) * 1993-03-24 1997-02-04 Owen Mumford Limited Injection devices
US5437291A (en) * 1993-08-26 1995-08-01 Univ Johns Hopkins Method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muscle disorders and other smooth muscle dysfunction
US5944700A (en) * 1997-09-26 1999-08-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djustable injection length pen nee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44238B1 (en) 2003-04-08
NO315456B1 (no) 2003-09-08
GR3030763T3 (en) 1999-11-30
IL124880A (en) 2003-01-12
UA49865C2 (uk) 2002-10-15
BR9612260A (pt) 1999-07-13
HUP9901087A2 (hu) 1999-08-30
EP0861102A1 (en) 1998-09-02
HU220229B (hu) 2001-11-28
ATE179622T1 (de) 1999-05-15
AU1093497A (en) 1997-07-17
CA2241026A1 (en) 1997-07-03
AU708225B2 (en) 1999-07-29
DE69602379D1 (de) 1999-06-10
NO982883D0 (no) 1998-06-19
MX9804869A (es) 1998-10-31
DE69602379T2 (de) 1999-12-30
JPH11503653A (ja) 1999-03-30
IL124880A0 (en) 1999-01-26
KR100413934B1 (ko) 2005-05-24
CN1134273C (zh) 2004-01-14
US20020138050A1 (en) 2002-09-26
CZ289840B6 (cs) 2002-04-17
CN1205645A (zh) 1999-01-20
CA2241026C (en) 2005-07-26
CZ187598A3 (cs) 1998-11-11
RU2189836C2 (ru) 2002-09-27
PL327337A1 (en) 1998-12-07
NO982883L (no) 1998-06-19
ES2134021T3 (es) 1999-09-16
DK0861102T3 (da) 1999-11-01
PL185914B1 (pl) 2003-08-29
DE29624204U1 (de) 2001-02-08
JP3100401B2 (ja) 2000-10-16
WO1997023253A1 (en) 1997-07-03
HUP9901087A3 (en) 2000-01-28
EP0861102B1 (en)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05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 skin wheal and anesthetizing skin
US9682198B2 (en) Intradermal injection device
US5098389A (en) Hypodermic needle assembly
US6074371A (en) Blunt injection needle for a pen-type injector
US4413993A (en) Infiltration-proof intravenous needle
EP0893136B1 (en) Intravenous cannula
US55056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 skin wheal
EP0749758A1 (en) Improvements related to injections
ATE129163T1 (de) Selbsttätiger nadelschutz für eine wegwerfbare, hypodermische spritze.
DK0783342T3 (da) Sikkerhedsindsprøjtningsindretning
WO2000032259A3 (en) Apparatus for painless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injections
US20110160612A1 (en) Pain free hypodermic needle
BR0116974B1 (pt) dispositivo de injeção intradérmica com enchimento prévio.
KR100413934B1 (ko) 주사 바늘및바늘허브
JPH05509254A (ja) 内在静脈カニューレ
KR20230096934A (ko) 통증경감용 주사패치
US5667496A (en) Dual use needle cap for a syringe
CN209004901U (zh) 可调节注射深度注射器
KR940003570Y1 (ko) 주사용 바늘
KR0127720Y1 (ko) 한방시술용 약액침
CN2376305Y (zh) 一次性自动注射器
KR200357603Y1 (ko) 메조테라피용 니들
JPS63315064A (ja) 注射針
MXPA98004869A (en) Injection needle and connection hood for 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