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490A - 스토퍼실린더 - Google Patents

스토퍼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490A
KR19990072490A KR1019990004293A KR19990004293A KR19990072490A KR 19990072490 A KR19990072490 A KR 19990072490A KR 1019990004293 A KR1019990004293 A KR 1019990004293A KR 19990004293 A KR19990004293 A KR 19990004293A KR 19990072490 A KR19990072490 A KR 1999007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ylinder
bracket
stopper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7830B1 (ko
Inventor
니시무라아키라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4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 F16F9/0263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e.g. manually-operated lev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Actuator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스토퍼 실린더(10)는 레버(34)를 소정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레버홀더(30)와, 레버(34)의 측면에 제공된 계지용 핀부재(90)와, 레버홀더(3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계지용 핀부재(9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88)가 제공된 브라켓(86)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토퍼 실린더 {Stopper Cylinder}
본 발명은 반송된 공작물을 록크기구에 의해 정지시키고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스토퍼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예를 들어 다수의 롤러컨베이어 등이 정렬상태로 설치된 컨베이어라인 상에서 반송되는 공작물을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스토퍼 실린더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이 스토퍼 실린더는 그 부세작용에 따라서 전후진가능한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레버로 구성된다. 이 레버는 인접한 롤러컨베이어사이의 갭을 통하여 컨베이어라인의 반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피반송물이 레버에 제공된 가이드롤러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토퍼실린더는 피반송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관한 스토퍼 실린더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64-39318호 공보, 실개소 64-39319호 공보 및 실공평 4-3018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런 종래기술에 관한 스토퍼 실린더는 레버가 공작물과 접촉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 쇼크업소버를 구비한다. 또한 이 스토퍼 실린더는 공작물이 소정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쇼크업소버의 완충력에 의해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작물이 가압되고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작물의 정지상태를 원활하게 보장하기 위해 레버의 복원을 회피하기 위한 록크기구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스토퍼 실린더는 레버가 공작물의 반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소정의 특정방향으로 반송된 공작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록크상태와 관련된 다음의 불편을 수반한다. 즉, 공작물이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된다면 공작물이 레버와 접촉할 때라도 레버는 록크상태에서 해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작물을 반대방향으로 반송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다음과 같은 불편이 생긴다. 다수의 롤러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컨베이어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라인이 자동화되기 전에 조정작업이 수행될 때, 작업자는 때때로 이전에 만들어진 공작물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작물을 수동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작물이 스토퍼실린더의 레버와 접촉할 때라도 레버는 록크상태에서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작물을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작업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토퍼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공작물이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될 때라도 원활하게 록크상태를 취소시켜 공작물을 반대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는 스토퍼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로서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이후의 설명으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토퍼 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서 취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토퍼 실린더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본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본 개략도.
도 6은 레버가 록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도 7은 스토퍼 실린더가 반송라인에 이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팔레트가 스토퍼 실린더의 롤러와 접촉하는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롤러가 가압되고 레버가 직립상태로 록크되는,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레버가 하강되어 록크해제되는, 도 9에 도시한 상태에서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레버가 하강되어 공작물이 그 위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레버가 상승하고 공작물이 롤러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공작물의 통과 후에 레버가 그 본래 위치로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레버가 록크해제된 상태에 있으면서 레버가 공작물의 가압력 F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레버가 회전하여 브라켓에 도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공작물의 가압력 F에 의해 레버가 록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록크해제부가 로드커버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브라켓이 링부재로부터 분리되고 레버가 록크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공작물이 롤러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은 공작물의 통과 후에 도 19에 도시한 레버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레버가 록크해제되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레버가 록크된 상태에서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롤러에 가압력 G가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가압력 G에 의해 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가압력에 의해 레버가 록크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5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홀딩플레이트가 레버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스토퍼 실린더의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토퍼 실린더 12 실린더튜브
14 실린더챔버 16 로드커버
18 헤드커버 20 피스톤
22 구멍 24 피스톤로드
26 공간 28 쇼크업소버
30 레버홀더 32 핀부재
34 레버 36 록크기구
38a, 38b 센서부착홈 40 확장부
42a, 42b 통로 44a, 44b 압축유체입구/출구
45a, 45b 연통로 46 플러그부재
48 스프링부재 50a, 50b 피스톤팩킹
52 자석 54 플레이트
60 원통형 외측튜브 62 로드부재
64 링부재 66 스프링부재
70 완충기구 72 조정링
74 오목부 76 스프링부재
78 핀부재 80a, 80b 롤러
82 선단부 84 평면부
86 브라켓 88 가이드부
90 계지용 핀부재 92 핀부재
94 스프링부재 96 계지부
98 돌출부 100 록킹해제부
102a - 102f 롤러컨베이어 106 팔레트
108 공작물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를 나타낸다. 스트퍼 실린더(10)는 중공의 평행6면체형상의 구성을 갖는 실린더튜브(12)와, 대체로 실린더챔버(14)(이하, 필요에 따라서 "상부실린더챔버(14a)" 및 "하부실린더챔버(14b)"라고 부른다)를 형성하도록 실린더튜브(12)의 양단부에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로드커버(16) 및 헤드커버(18)와, 실린더챔버(14)를 따라서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위하는 피스톤(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토퍼 실린더(10)는 피스톤(20)과 일체로 변위하도록 피스톤(20)에 결합되며 로드커버(16)를 통하여 형성된 구멍(2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피스톤로드(24)와, 피스톤로드(2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6)내에 결합된 쇼크업소버(28)와, 피스톤로드(24)의 상부에 고정된 레버홀더(30)와, 레버홀더(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34)를 계지용 핀부재(32)에 의해 소정위치에서 계지하기 위한 록크기구(36)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12)의 3측면의 각각에는 그 종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된 한 쌍의 센서부착홈(38a, 3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서부착홈(38a, 38b)내의 소정위치에는 피스톤(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3측면을 제외한 실린더튜브(12)의 일 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서 확장부(40)가 형성된다. 확장부(40)에는, 종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면서 소정의 간격만큼 분리된 한 쌍의 통로(42a, 42b)가 형성된다. 통로(42a, 42b)의 제 1단부는 각기 로드커버(16)내에 형성된 한 쌍의 압축유체입구/출구(44a, 44b)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통로(42a, 42b)의 제 2단부는 연통통로(45a, 45b)(이 중의 하나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기 하부실린더챔버 (14b)와 상부실린더챔버(14a)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실린더튜브(12)의 바닥면에는 통로(42a, 42b)와 연통하는 포트가 형성된다. 그러나, 스토퍼 실린더(10)가 사용될 때, 예를 들어 이 포트는 강재 볼 같은 플러그부재(46)에 의해 폐쇄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과 헤드커버(18)의 사이에는 스프링부재(48)가 개재되어, 스프링부재(48)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20)이 항상 상방으로(화살표 X1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부여한다. 이 피스톤(20)은 그 외주면에 링형상의 피스톤팩킹(50a, 50b) 및 자석(52)이 설치되는 환형홈을 갖는다. 헤드커버(18)는 플레이트(54)에 의해 실린더튜브(12)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헤드커버(18)의 상측면부에는 완충기능을 하도록 피스톤(20)과 접촉하는 링형상의 댐퍼부재(56)가 제공된다.
로드커버(16)의 상측면부에는 피스톤(20)과 일체로 변위하는 쇼크업소버(28) 및 레버홀더(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로드(58)가 나사결합된다.
이 쇼크업소버(28)는 피스톤로드(24)의 공간(26)내에 결합되는 원통형 외측튜브(60)와, 외측튜브(60)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로드부재(62)와, 외측튜브(60)의 일 단부측에 제공되며 로드부재(62)에 고정되는 링부재(64)로 구성된다. 쇼크업소버(28)로서는 공압형 및 유압형 같은 공지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완충기능은 레버(34)의 가압작용에 의해 화살표 X2로 나타낸 방향으로 로드부재(62) 및 링부재(64)를 함께 변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외측튜브(60)의 내부에는 완충기구(70)가 제공된다. 이 완충기구(70)는 로드부재 (62)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부재(66)와 폐쇄챔버(68)내에 충전된 압축오일(도시하지 않음)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로브부재(62)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외측튜브(60)의 상단부에는 조정링(72)이 결합된다. 이 조정링(72)은 외측튜브(6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쇼크업소버(28)의 완충력을 임의로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레버홀더(30)는 피스톤로드(24)의 나사부에 대하여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핀부재(3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레버(34)는 레버홀더 (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오목부(74)(도 1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34)를 탄성력에 따라서 그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부재(76)는 핀부재의 주위에 권취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H형의 구조를 갖는 레버(34)의 상측부에는 한 쌍의 롤러(80a, 80b)가 핀부재(7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34)의 하측에는 쇼크업소버(28)의 로드부재(62)의 선단부 (82)와 접촉하는 평면부(84)가 형성된다. 평면부(84)에 인접한 레버(34)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브라켓(86)의 가이드부(88)와 결합하는 계지용 핀부재(90)가 결합된다.
록크기구(36)는 각이 진 U형 단면을 갖도록 휘어져 형성되며, 그리고 이 록크기구는 레버홀더(30)의 양측면을 통하는 핀부재(9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86)을 구비한다(도 1, 도 4 및 도 5참조). 이 브라켓(86)은 스프링부재 (94)의 탄성력에 따라서 핀부재(9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항상 부세되는 상태에 있다.
브라켓(86)의 중심부에는 평면계지부(96)가 형성된다(도 5 및 도 6참조). 본 구체예에 있어서, 브라켓(86)은 핀부재(9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며, 브라켓(86)의 계지부(96)는 쇼크업소버(28)의 링부재(64)를 계지한다. 따라서, 레버(34)는 록크상태에 있다. 다시 말해, 핀부재(92)에 의해 레버홀더(30)에 설치된 브라켓(86)의 계지부(96)는 쇼크업소버(28)가 하방으로 가압될 때 스프링부재(66)의 탄성력의 작용에 따라서 상방으로 변위하게 하는 레버홀더(30)를 고정한다. 따라서, 록크상태가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86)의 절곡부에는 레버(34)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8)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98)의 엣지에는 계지용 핀부재(90)를 안내하도록 레버(34)에 결합된 계지용 핀부재(90)와 접촉하는 가이드부 (88)가 형성된다.
브라켓(86)의 일단부에는 피스톤로드(24)가 쇼크업소버(28)와 일체로 하강할 때 로드커버(16)의 상측면과 접촉하는 록크해제부(100)가 제공된다(도 1, 도 4 및 도 5참조). 록크해제부(100)가 로드커버(16)의 상측면(16a)과 접촉할 때, 브라켓 (86)은 핀부재(9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계지부(96)가 링부재(64)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록크상태가 취소된다(도 17 및 도 18참조).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스토퍼실린더(1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그 동작,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실린더(10)는 받침판(104)에 고정되어 반송라인을 구성하는 다수의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의 인접 롤러컨베이어(102d, 102e)사이의 갭에 롤러(80a, 80b)가 위치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구동원의 부세작용에 따라서 회전되며, 팔레트(106)(도 8 내지 도 13참조)에 놓인 공작물(108)은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된다. 공작물(108)이 놓여진 팔레트(106)는 도 7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스토퍼 실린더(10)에 형성된 압축유체입구/출구쌍(44a, 44b)에는 미리 튜브 등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압축유체공급원이 연결된다. 이 압축유체는 압축유체공급원의 부세작용에 따라서 제 1압축유체입구/출구(44a) 및 통로(42a)를 통하여 하부실린더챔버(14b)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피스톤(20)은 압축유체의 작용에 따라서 화살표 X1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과정 중에, 피스톤로드(24)의 공간(26)에 들어있는 쇼크업소버(28)가 피스톤(20)과 일체로 상승된다. 레버(34)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80a, 80b)는 롤러컨베이어(102d, 102e)를 지나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가 주어진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본래의 위치로서 도 13에 도시한 대기상태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록크기구(36)는 록크해제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팔레트(106)에 놓여진 공작물(108)이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를 사용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되는 과정 중에, 팔레트(106)는 레버(34)의 선단부에 제공된 롤러(80a, 80b)와 충돌한다(도 8참조). 이 때, 레버(34)는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되어(도 14참조) 쇼크업소버(28)의 로드부재(62)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공작물과 충돌시에 발생한 쇼크는 쇼크업소버(28)에 의해 흡수된다. 동시에 레버(34)는 반송방향에 수직한 상태로 록크된다(도 9참조).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108)의 가압력 F에 의해 레버(34)가 반송방향으로 가압되어 핀부재(3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화살표 E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변위를 한다. 따라서, 레버(34)는 쇼크업소버(28)의 로드부재(62)의 선단부(82)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과정 중에, 브라켓(86)과 레버(34)는 브라켓(86)의 가이드부(88)를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계지용 핀부재(90)의 안재작용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도록 회전변위를 일으킨다(도 15참조). 이 브라켓(86)은 스프링부재(9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변위하며, 레버(34)는 공작물(108)의 가압력 F에 의해 회전변위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86)은 핀부재(9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변위하여 직립상태를 제공한다. 따라서, 쇼크업소버(28)의 링부재(64)는 하방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계지부(96)에 의해 계지된다. 또한 레버(34)는 계지용 핀부재(90)와 브라켓(86)의 가이드부(88)의 결합에 의해 직립상태로 록크된다.
레버(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공작물(108)은 쇼크업소버(28)의 완충력에 의해 생길수 있는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가압 및 복귀가 방지된다. 또한, 공작물(108)을 소정위치에 원활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전환밸브의 전환작용에 따라서 압축유체가 상부실린더챔버(14a)에 공급되어 피스톤(20)이 상기와 반대방향(화살표 X2의 방향)으로 변위되며, 쇼크업소버(28)가 피스톤(20)과 일체로 하강한다(도 10참조). 피스톤(20)의 스트로크의 종단위치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80a, 80b)가 공작물(108)의 반송라인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하방으로 위치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86)의 하단부에 제공된 록킹해제부(100)는 로드커버(16)의 상측면(16a)과 접촉하여 브라켓(86)이 상방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브라켓(86)은 핀부재(9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변위한다. 따라서, 브라켓(86)의 계지부(96)는 쇼크업소버(28)의 링부재(64)로부터 해제되고 레버(34)의 계지용 핀부재(90)가 가이드부(88)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레버(34)가 록크상태로부터 해제된다(도 18참조). 록크상태에서 해제되면 쇼크업소버(28)의 로드부재(62) 및 링부재(64)가 일체로 상승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레버(3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록크해제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환밸브의 전환작용에 따라서 압축유체가 다시 압축유체입구/출구(44a) 및 통로(42a)를 통하여 하부실린더챔버 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피스톤(20)은 화살표 X1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레버(34)의 상부에 제공된 롤러(80a, 80b)는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에 의해 반송될 공작물이 놓여지는 팔레트(106)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또한, 공작물(108)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롤러(80a, 80b)가 변위된다.
그러므로, 공작물(108)은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 및 롤러(80a, 80b)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108)이 롤러(80a, 80b)를 지나간 후, 핀부재(32)의 주위에 권취된 스프링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변위한다. 따라서, 레버(34)는 록크상태에서 해제되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13참조).
다음으로, 작업자가 예를 들어 다수의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를 설치하여 반송라인을 구성한 후 반송라인이 자동화되기 전에 조정작업할 때 미리 설정한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공작물(108)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스토퍼 실린더(10)는 레버(34)의 상부에 제공된 롤러(80a, 80b)가 롤러컨베이어(102a 내지 102f)의 반송라인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며, 레버(34)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상태에 있도록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도 2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공작물(108)이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송될 때, 공작물(108)은 롤러(80a, 80b)와 접촉하여 롤러(80a, 80b)를 가압한다. 레버(34)는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해진 롤러(80a, 80b)상의 가압력 G에 따라서 핀부재(3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변위한다(도 23참조). 이 과정 중에 레버(34)의 하측에 제공된 계지용 핀부재(90)는 브라켓(86)의 가이드부(88)와 접촉한다. 브라켓(86)은 가이드부(88)의 안내작용에 따라서 핀부재(9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변위한다.
그러므로, 레버(34)의 계지용 핀부재(90)는 브라켓(86)의 가이드부(88)를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한편 레버(34) 및 브라켓(86)은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변위한다. 따라서, 브라켓(86)의 계지부(96)가 쇼크업소버(28)의 링부재(64)로부터 분리되고, 계지용 핀부재(90)가 가이드부(88)에 의해 이루어지는 계지작용으로부터 해제된다(도 24참조). 그 결과, 레버(34)는 록크상태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작물(108)을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상태로부터 통상적으로 해제되는 것 외에 레버(34)는 미리 설정된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작물(108)의 가압력 G을 사용하여 록크상태로부터 편리하게 해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토퍼 실린더(10)의 록크기구(36)가 록크상태에 있는지 록크해제상태에 있는지를 작업자가 매번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공작물을 미리 설정한 반송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토퍼 실린더(10)의 취급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송라인을 자동화하기 전에 조정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레버(34)가 미리 설정한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작물(108)의 가압력 G을 사용하여 록크상태로부터 해제된 후, 레버(34)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그 다음의 다른 공작물(108)이 반송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작물(108)은 레버(34)의 상부에 제공된 롤러(80a, 80b)와 접촉하며, 공작물(108)은 쇼크업소버(28)의 완충작용에 따라서 록크상태를 부여하여 원활하게 정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소정의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공작물을 이동시켜 록크상태를 취소할 때라도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음의 공작물(108)에 어떤 문제도 없이 스토퍼 실린더(10)의 본래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라인을 사용하여 두 가지 공작물(A, B)(도시하지 않음)을 연속적으로 반송할 때, 작업자는 때때로 스토퍼 실린더(10)를 사용하여 공작물(A)만을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고 공작물(B)은 스토퍼 실린더(10)에 의해 정지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려고 한다.
공작물(B)만이 통과되게 할 때, 종래의 기술은 다음의 사항을 요구한다. 작업자는 스토퍼 실린더(112)의 레버(114)에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홀딩플레이트(110)를 새로이 부가한다. 홀딩플레이트(110)의 절곡부(116)는 레버(114)를 소정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계지하는데 사용된다. 즉, 홀딩플레이트 (110)의 절곡부(116)는 레버(114)의 플랜지(118)와 접촉하여 롤러(120)가 레버(114)의 경사상태로 유지하도록 상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B)이 통과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10)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레버(34)를 수동으로 기울일 때 레버(34)의 핀부재(90)가 브라켓(86)의 돌출부(98)와 결합된다. 따라서, 레버(34)를 경사상태로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도 20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어떤 홀딩플레이트도 불필요하게 되어 취급작업의 자유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는 취급작업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작물이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될 때라도 원활하게 록크상태를 취소시켜 공작물을 반대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소정방향으로 반송되는 공작물이 롤러(80a, 80b)에 접촉할 때 롤러(80a, 80b)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34)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공작물을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록크기구(36)를 구비하는 스토퍼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실린더는,
    실린더본체(12)와,
    상기 레버(34)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본체(12)의 상측에 제공된 레버홀더(30)와,
    상기 레버(34)와 일체로 회전변위하도록 상기 레버(34)의 측면에 제공된 계지용 핀부재(90)와,
    상기 레버홀더(3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계지용 핀부재(90)와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부(88)가 제공된 브라켓(86)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공작물의 상기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88)에 의한 상기 계지용 핀부재(90)의 안내작용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86)이 회전변위하여 상기 레버(34)가 록크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본체(12)의 내부에는 쇼크업소버(28)가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86)에는 상기 쇼크업소버(28)의 일단부를 가압함에 의해 상기 레버(34)를 록크하고 상기 쇼크업소버(28)의 일단부로부터 분리됨에 의해 상기 레버(34)를 록크해제하기 위한 평면계지부(9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본체는 실린더튜브(12)와, 상기 실린더튜브 (12)의 양단부를 각각 폐쇄하여 실린더챔버를 형성하는 로드커버(16) 및 헤더커버(18)와, 상기 실린더챔버(14)에 가해진 압축유체의 작용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챔버(14)를 따라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에 결합된 피스톤로드(24)속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과 일체로 변위하는 상기 쇼크업소버(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86)의 하단부에는 록킹해제부(100)가 제공되며, 상기 레버(34)는 상기 록킹해제부(100)가 상기 로드커버(16)의 상측면(16a)과 접촉하여 사기 브라켓(86)을 상방으로 가압할 때 록크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86)에는 상기 계지용 핀부재(90)와 접촉하여 상기 레버(34)를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9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업소버(28)는 상기 레버(34)와 접촉하도록 외부에 노출된 로드부재(62)와 상기 로드부재(62)와 함께 일체로 변위가능한 링부재 (64)로 구성되며, 상기 록크상태는 상기 레버(34)의 가압작용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86)의 상기 계지부(96)에 의해 상기 링부재(64)를 계지함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4) 및 상기 브라켓(86)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핀부재(32, 92)에 스프링부재(76, 94)가 고정되며, 상기 레버(34) 및 상기 브라켓(86)은 상기 스프링부재(76, 94)에 의해 가해진 탄성력의 작용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기 레버홀더(30)는 상기 실린더본체(12)내에 수용된 피스톤(20)의 변위작용에 따라서 수직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실린더.
KR1019990004293A 1998-02-10 1999-02-08 스토퍼 실린더 KR100307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864898A JP3415425B2 (ja) 1998-02-10 1998-02-10 ストッパシリンダ
JP??10-028648 1998-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90A true KR19990072490A (ko) 1999-09-27
KR100307830B1 KR100307830B1 (ko) 2001-09-13

Family

ID=1225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293A KR100307830B1 (ko) 1998-02-10 1999-02-08 스토퍼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64430A (ko)
JP (1) JP3415425B2 (ko)
KR (1) KR100307830B1 (ko)
CN (1) CN1172828C (ko)
DE (1) DE19904169C2 (ko)
TW (1) TW3878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78B1 (ko) * 2006-09-20 2013-07-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소재 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671B2 (en) * 2000-12-05 2003-02-25 Valiant Corporation Conveyor escapement
JP2003035336A (ja) * 2001-07-23 2003-02-07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ITMI20030622A1 (it) * 2003-03-28 2004-09-29 Univer Spa Dispositivo di centraggio con mezzi di pulizia
DE102004013740B4 (de) * 2004-03-18 2006-11-09 Leonair Gmbh Anschlagvorrichtung
JP4518269B2 (ja) * 2006-03-13 2010-08-04 株式会社ダイフク 荷位置決め装置
JP4926531B2 (ja) * 2006-04-27 2012-05-09 山九株式会社 衝撃吸収装置
JP4161097B2 (ja) 2006-06-21 2008-10-08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JP5240488B2 (ja) * 2006-07-05 2013-07-1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受止め装置及び物品処理設備
WO2009158504A1 (en) * 2008-06-26 2009-12-30 Laitram, L.L.C. Conveyor with a gentle retractable stop
DE102009036894A1 (de) * 2009-08-11 2011-02-24 Funke Automationstechnik Kg Werkstückfördereinrichtung mit einer Vorrichtung zum Vereinzeln mehrerer in einer Förderrichtung beförderter Werkstückträger sowie Verfahren zum Vereinzeln dieser Werkstückträger
KR101118476B1 (ko) 2009-10-21 2012-03-12 한국에스엠씨공압(주) 스토핑 장치
JP5415909B2 (ja) * 2009-11-10 2014-02-12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
JP5238739B2 (ja) * 2010-02-26 2013-07-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操作装置
WO2012127530A1 (ja) * 2011-03-23 2012-09-2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JP5698345B2 (ja) * 2011-03-23 2015-04-08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JP5869638B2 (ja) * 2011-03-23 2016-02-24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KR101206903B1 (ko) 2011-05-23 2012-11-30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스토퍼 실린더
JP5913568B2 (ja) * 2012-03-27 2016-04-2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一時停止方法
JP5862430B2 (ja) * 2012-04-05 2016-02-16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CN103754635B (zh) * 2014-01-02 2016-04-27 河南科技大学 配合升降机使用的输送线限位装置及使用该装置的输送线
JP6276052B2 (ja) 2014-02-10 2018-02-0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補助停止ユニット
CN104828548A (zh) * 2015-03-30 2015-08-12 中国一拖集团有限公司 一种摆杆输送限位装置
CN104773501B (zh) * 2015-04-01 2017-04-19 乌海市天宇高岭土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滚动摩擦体的挡钵器
KR101694061B1 (ko) * 2015-09-25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차 홀드백 장치
CN105293057B (zh) * 2015-11-23 2024-04-09 天津新玛特科技发展有限公司 积放式输送机阻挡定位装置
CN106553898A (zh) * 2016-10-25 2017-04-05 芜湖顺景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阻挡器
DE102017104151B3 (de) * 2017-02-28 2018-03-15 Wörner Automatisierungstechnik GmbH Anschlagmodul zum positionsgenauen Anhalten eines Gegenstands
CA3077528A1 (en) * 2017-10-06 2019-04-11 Flexlink Ab Stop device for a conveyor system
US10894313B2 (en) * 2018-05-24 2021-01-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ncing apparatuses, process dollies, and conveyor assemblies
CN109356965A (zh) * 2018-10-24 2019-02-19 重庆长安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双向极限缓冲装置
CN109850510A (zh) * 2018-12-27 2019-06-07 银河水滴科技(北京)有限公司 输送系统
CN109399148A (zh) * 2018-12-27 2019-03-01 银河水滴科技(北京)有限公司 定位装置及运料装置
CN111392676B (zh) * 2020-04-09 2021-07-0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罐料机及灌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8679A (en) * 1970-12-11 1972-10-17 Boeing Co Semi-automatic restraint mechanism
US3819023A (en) * 1972-08-10 1974-06-25 J Mcclelland Construction for discharging articles from inclined storage lanes
JP2666288B2 (ja) * 1987-08-03 1997-10-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ドレーザビームによる熱処理方法
JPS6439319A (en) * 1987-08-04 1989-02-09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heating steel material in continuous heating furnace
JPH0430183A (ja) * 1990-05-25 1992-02-03 Ricoh Co Ltd カラー複写機の位置合わ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78B1 (ko) * 2006-09-20 2013-07-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소재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887A (zh) 1999-08-18
DE19904169C2 (de) 2001-10-11
US6164430A (en) 2000-12-26
CN1172828C (zh) 2004-10-27
DE19904169A1 (de) 1999-10-07
JP3415425B2 (ja) 2003-06-09
KR100307830B1 (ko) 2001-09-13
JPH11227937A (ja) 1999-08-24
TW387852B (en) 200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830B1 (ko) 스토퍼 실린더
KR100858120B1 (ko) 스토퍼실린더
KR100380188B1 (ko) 직선작동장치
KR100921292B1 (ko)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JP3714687B2 (ja) 工作物を明確な位置に締付け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9156115B2 (en) Workpiece retention and handling systems
US6931980B1 (en) Pneumatic device with cushioning mechanism
JP2002160134A (ja) クランプ装置
EP0540015B1 (en) Rodless cylinder
US6029878A (en) Setting tool
JP4702663B2 (ja) アクチュエータの軸受支持構造
JPH09177717A (ja) 直線作動機
JP3786451B2 (ja) ストッパシリンダのロック機構
KR950701261A (ko) 공작 기계
KR20210000480U (ko) 워크 서포트
US5467629A (en) Straightening apparatus for tubular material, wire and cable
JPH02275102A (ja) 圧力媒体で操作可能な動作シリンダ
US7204035B2 (en) Displacement measuring system for a piston-cylinder assembly
KR100382345B1 (ko) 로드리스실린더
KR200383077Y1 (ko) 고정도 리니어 가이드 실린더의 비틀림 방지장치
JP2005083512A (ja) 流体圧シリンダ
US6273410B1 (en) Support element for holding a work piece
JP3775866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EP0937538B1 (en) Low profile pneumatic retractor clamp
JPH10292803A (ja) スライド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