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903B1 - 스토퍼 실린더 - Google Patents

스토퍼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903B1
KR101206903B1 KR1020110048653A KR20110048653A KR101206903B1 KR 101206903 B1 KR101206903 B1 KR 101206903B1 KR 1020110048653 A KR1020110048653 A KR 1020110048653A KR 20110048653 A KR20110048653 A KR 20110048653A KR 101206903 B1 KR101206903 B1 KR 10120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release
hook member
sto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일
안인식
안상원
Original Assignee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1004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23Pivoting stop, swinging in or out of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토퍼 실린더(400)는 피스톤로드(20)가 연결되어 내부에서 변위가능한 피스톤(18)이 구비된 실린더몸체(12); 상기 피스톤로드(20)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도록 연결되는 레버홀더(120); 상기 레버홀더(120)에 결합되는 레버핀(1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40); 및 상기 레버(140)의 회전변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레버홀더(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록킹부(220)와, 일측에 상기 록킹부(220)에 형합되는 잠금해제부(230)와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회전되는 타측의 릴리이즈부(250)로 이루어진 릴리이즈레버(240)와, 상기 레버홀더(1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레버(1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재(260)를 포함하는 잠금기구(200)를 포함하되,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레버(140)와 상기 릴리이즈레버(24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후크부재(260)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레버홀더(120)의 하강 또는 상기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260)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후크부재(26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김기구의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성이 뛰어나며, 작동부의 접촉부가 적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분진의 발생이 적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스토퍼 실린더{STOPPER CYLINDER}
본 발명은 스토퍼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되는 자재를 잠금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켜 위치시킨 후, 반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고, 또한 반송된 자재를 기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동으로 원 위치할 수 있는 스토퍼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토퍼 실린더는 예컨대 복수의 정렬롤러 컨베이어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자재가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압박 작용에 의해 앞뒤로 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선단을 가세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레버부재는 인접하는 롤러 컨베이어사이에 형성된 갭으로부터 컨베이어 라인의 반송면에 대해 소정의 길이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반송목적물이 레버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롤러에 의해 접하게 됨에 따라, 반송목적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써 작용한다.
통상의 스토퍼 실린더는 레버부재가 반송목적물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잠김상태에서는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목적물이 반송되지 못하도록 잠김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컨베이어 반송라인은 대부분 자동화가 되어 있고, 이러한 자동화 컨베이어 라인에서는 팔레트에 적재된 반송목적물이 미처 공정을 다 마치지 못하고, 스토퍼 실린더를 지나서 반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스토퍼 실린더 이전의 컨베이어 라인, 즉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팔레트를 원 위치시켜 공정을 마쳐야 할 필요가 종종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스토퍼 실린더는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잠김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팔레트를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원 위치시키는 경우, 원 위치하고자 하는 팔레트에 의해 스토퍼 실린더의 록킹 브라켓이 파손되어 작동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0858120호(등록일 2008.9.4)에 개시된 스토퍼 실린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몸체(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각으로 롤러(86)가 설치된 레버(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홀더(26)와; 레버(30)의 일측면부에 배치되는 잠금핀(98)과; 레버홀더(26)의 일측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1브라켓(100)과, 이 제1브라켓(1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잠금핀(98)과 결합되는 잠금폴(116)을 가지는 제2브라켓(102)과,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0)(10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30)의 회전작용을 조절하는 스프링(104)을 포함하는 잠금기구(32); 및 상기 제1브라켓(100)을 회전시켜 잠금기구(32)에 의해 이루어지는 잠금상태로부터 상기 레버(30)를 해제하는 상기 제1브라켓(100)에 배치되는 해제부(106)를 포함하고, 스프링(104)은 잠금핀(98)이 잠금기구(32)와 결합할 때, 잠금폴(116)이 잠금핀(98)을 향해 압박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제2브라켓(102)은 외력이 자재의 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레버(30)에 작용할 때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대해 상기 잠금핀(98)에 의해 회전변위된다.
이와 같이, 롤러(86)가 설치된 레버(30)가 레버홀더(2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30)에 배치되는 잠금핀(98)이 잠금기구(32)의 잠금폴(116)과 결합됨에 따라, 도 1에서 레버(30)의 화살표 C방향으로의 회전작용이 롤러컨베이어(130c, 130d)에 의해 화살표 X 방향으로 펠릿(P)에 운송되는 시점동안 자재(W)는 레버(30)의 롤러(86)에 접촉되어 정지시키도록 조절되며, 한편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W)가 롤러컨베이어(130e)로부터 소정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운송되면, 잠금폴(116)을 가지는 제2브라켓(102)이 잠금핀(98)의 압박작용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레버(30)가 상기 잠금핀(98)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조절상태로부터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레버(30)가 회전변위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상의 특허에 개시된 스토퍼 실린더는 그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이 너무 많고 결합관계가 너무 복잡하여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더구나, 금속재질의 잠금기구 구성부품들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많음에 따라 마모에 의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잠금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자재를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켜 위치시킨 후, 반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고, 또한 반송된 자재를 기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동으로 원 위치할 수 있는 조립성이 뛰어난 스토퍼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스토퍼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의 롤러에 반송되는 자재가 맞닿았을 때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어 록킹되는 레버에 의해 자재를 정지시켜 유지시키는 스토퍼 실린더로서,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스톤이 구비된 실린더몸체; 상기 피스톤로드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레버홀더; 상기 레버홀더에 결합되는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변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레버홀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록킹부와, 일측에 상기 록킹부에 형합되는 잠금해제부와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회전되는 타측의 릴리이즈부로 이루어진 릴리이즈레버와, 상기 레버홀더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레버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되,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레버와 상기 릴리이즈레버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후크부재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레버홀더의 하강 또는 상기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릴리이즈레버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잠금기구의 록킹부는 레버핀이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록킹부에 릴리이즈레버의 잠금해제부가 형합되며, 록킹부와 잠금해제부의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핀홀에 레버핀이 삽입될 수 있다.
록킹부의 핀홀의 주위에는 하부에 반원 형상의 단턱부가 돌출되고, 상부의 절반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절결부의 상측에 걸림턱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며, 릴리이즈레버의 잠금해제부의 핀홀의 주위에도 록킹부의 단턱부에 결합시 약간의 유격을 두고 결합되도록 상부에 반원 형상의 물림턱이 돌출되고, 록킹부의 절결부에 삽입되는 해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는 레버홀더의 나사결합부에 일단이 나사결합되어 레버로부터 돌출된 록킹부와 릴리이즈레버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절곡 내측에 걸림면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면은 록킹부의 걸림턱상에 위치된 웨이팅 상태에서, 반송되는 자재와의 맞부딪침에 의한 레버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레버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동시에 릴리이즈레버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단턱부와 물림턱의 유격만큼 회전될 수 있다.
레버홀더의 하강 시, 후크부재의 선단과 부딪치는 실린더몸체의 부분에는 우레탄 범퍼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홀더의 하강에 의해 후크부재의 선단이 실린더몸체에 부딪치게 되고, 나사결합부를 축으로 후크부재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릴리이즈레버의 릴리이즈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록킹부의 절결부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해제부의 해제돌기가 삽입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후크부재를 상방으로 올라가게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레버는 댐퍼기구의 복귀력에 의해 웨이팅 상태가 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김기구의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성이 뛰어나며, 작동부의 접촉부가 적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분진의 발생이 적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복수의 롤러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종래의 스토퍼 실린더가 반송라인을 따라 자재가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스토퍼 실린더가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재가 반송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의 상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실린더의 상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실린더의 전체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스토퍼 실린더의 상부 결합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복수의 롤러컨베이어 사이에 도 3의 스토퍼 실린더가 배치된 반송라인을 따라 자재가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재가 위치하는 팰릿(pallet)이 스토퍼 실린더의 레버와 접촉하여 잠금기구와 결합하도록 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레버가 회전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잠금상태에서 레버홀더가 하향 변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후크부재의 선단이 로드커버와 맞닿아서, 후크부재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레버가 잠김상태로부터 해제되고 레버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2는 레버의 롤러가 팰릿의 저면과 맞닿도록 일체로 상측으로 이동되어 자개가 반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자재가 더욱 반송되서, 상기 자재와 상기 레버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레버가 제1복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서, 상기 스토퍼 실린더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4는 복수의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되는 반송라인을 따라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릴리이즈레버를 밀어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잠금상태의 해제에 의해 레버가 소정의 각으로 회전되어 자재가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자재가 더 반송되서, 상기 자재와 상기 레버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리 하여 상기 레버가 제1복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스토퍼실린더가 최초위치로 복귀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의 상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5는 전체의 수직 단면을 도시하고, 도 6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140)의 롤러(86)에 반송되는 자재가 맞닿았을 때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어 록킹되는 레버(140)에 의해 자재를 정지시켜 유지시키는 스토퍼 실린더(400)로서, 피스톤로드(20)가 연결되어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스톤(18)(도 5)이 구비된 실린더몸체(12)와,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상부에 연결되는 레버홀더(120)와, 상기 레버홀더(120)에 결합되는 레버핀(1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40)와, 상기 레버(140)의 회전변위를 조절하는 잠금기구(200)를 포함한다.
원통형상의 실린더몸체(12)에는 상술한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0858120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채택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기구(200)는 상기 레버(14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록킹부(220)와, 일측에 상기 록킹부(220)에 형합되는 잠금해제부(230)와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회전되는 타측의 릴리이즈부(250)로 이루어진 릴리이즈레버(240)와, 상기 레버홀더(1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레버(1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재(260)을 포함한다.
레버홀더(120)는 피스톤로드(2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Figure 112011038421396-pat00001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지지부(76a,76b)가 레버홀더(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레버(14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스톱부(80)가 형성되며, 스톱부(80)의 상부일측에 릴리이즈레버(240)의 일단이 결합되고 나사결합부(122)가 형성되며, 대략 중심부에 댐퍼기구(24)가 삽입되는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부(76a,76b) 사이에는 레버(140)가 배치되고, 레버핀(1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톱부(80)의 주위에는 가이드로드(6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64)이 형성된다.
레버(140)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 대략 중심부분에 형성된 제1코너(82)와 레버홀더(120)의 지지부(76a,76b)에 레버핀(130)이 삽입되며, 이 삽입된 레버핀(130)을 통해 레버(14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반원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롤러(86)가 제1코너(8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코너(8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86)는 제2코너(84)에 삽입되는 롤러핀(88)을 통해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140)는 제1코너(82)로부터 제2코너(84)까지 연장되는 오목한 오목홈(90)을 가지며, 오목홈(90)은 레버(120)의 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오목홈(90)은 제1코너(82)로부터 제2코너(84)로 배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5 참조).
좀 더 상세하게, 오목홈(90)은 레버(140)에 삽입되는 롤러핀(88)과 레버핀(130)에 실질적으로 직각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버핀(130)과 롤러핀(88)의 부분은 각각 오목홈(90)을 통해 노출된다.
리턴스프링(92)가 레버핀(130) 주위를 감싸며 오목홈(90) 내에 배치되고, 그 일단은 레버홀더(12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오목홈(90)의 내벽면과 결합한다. 레버(140)가 레버핀(1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즉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되면, 리턴스프링(92)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 즉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레버(1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홀더(120)의 스톱부(80)에 접하면, 레버(140)의 회전변위가 조절된다. 스톱부(80)의 높이는 레버(1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레버홀더(120)의 상면과 대략 평행을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잠금기구(200)의 록킹부(220)는 레버(140)의 일측, 즉 레버핀(130)이 삽입되는 제1코너(82)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록킹부(220)에 릴리이즈레버(240)의 잠금해제부(230)가 형합되며, 록킹부(220)와 잠금해제부(230)의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핀홀(222)(232)에 레버핀(130)이 삽입된다.
록킹부(220)의 핀홀(222)의 주위에는 하부에 반원 형상의 단턱부(224)가 돌출되고, 상부의 절반이 절결부(226)가 형성되고, 절결부(226)의 상측에 걸림턱(228)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릴리이즈레버(240)의 잠금해제부(230)의 핀홀(232)의 주위에도 록킹부(220)의 단턱부(224)에 결합시 약간의 유격을 두고 결합되도록 상부에 반원 형상의 물림턱(234)이 돌출되고, 록킹부(220)의 절결부(226)에 삽입되는 해제돌기(236)가 형성된다.
레버홀더(120)의 나사결합부(122)에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후크부재(260)는 대략 ㄱ 자 형상으로 레버(140)의 제1코너(82)에서 돌출된 록킹부(220)와 릴리이즈레버(240)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절곡 내측에 걸림면(262)이 형성된다. 걸림면(262)이 록킹부(220)의 걸림턱(228)상에 위치된 웨이팅 상태에서, 반송되는 자재와의 맞부딪침에 의한 레버(14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228)에 걸리게 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레버(140)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동시에 릴리이즈레버(240)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단턱부(224)와 물림턱(234)의 유격만큼 회전된다.
이어서, 피스톤로드(20)의 상부에 연결된 레버홀더(120)가 피스톤로드(20)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후크부재(260)의 선단(264)이 실린더몸체(12) 상면의 로드커버(14)에 부딪치게 되고, 나사결합부(122)를 축으로 후크부재(260)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레버(140)는 댐퍼기구(24)(도 3)의 복귀력에 의해 웨이팅 상태가 되도록 시계방향, 즉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본 발명은, 레버홀더(120)의 하강 시, 후크부재(260)의 선단(264)과 부딪치는 로드커버(14)의 부분에는 우레탄 범퍼(280)를 삽입하여 분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재가 반송되면, 레버(140)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던 릴리이즈레버(240)의 릴리이즈부(250)가 자재에 의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록킹부(220)의 절결부(226)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해제부(220)의 해제돌기(236)가 삽입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후크부재(260)를 상방으로 올라가게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됨에 따라, 피스톤로드(20)의 하강과 마찬가지로, 레버(140)는 댐퍼기구(24)의 복귀력에 의해 웨이팅 상태가 되도록 시계방향, 즉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토퍼실린더(400)는 롤러(86)가 운송라인(128)을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컨베이어(130a~130f)의 인접하는 롤러컨베이어(130d,130e) 사이의 갭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롤러컨베이어(130a~130f)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구동원의 압박작용 하에서 회전되어, 팰릿(P)(도8 참조)에 배치되는 자재(W)가 화살표 X방향으로 운송된다. 자재(W)가 위치하는 팰릿(P)은 도 7의 도시로부터 생략된다.
압력유체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압력유체 유입/유출포트(46b)에 압력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18)은 상기 압력유체에 의한 압박작용 하에서 로드커버(14)를 향하여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140)의 제2코너(8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86)가 롤러컨베이어(130d,130e)의 상부로 소정의 거리로 돌출되는 웨이팅상태(waiting state)를 제공한다(도 8 참조).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웨이팅상태에서 롤러컨베이어(130c,130d,130e)에 의해 화살표 X방향으로 팰릿(P)에 운송되는 자재(W)가 레버(140)의 선단에 배치된 롤러(86)와 접촉(도 8 참조)함에 따라, 레버핀(130)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자재(W)가 접촉하여 가세되는 충격은 댐퍼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레버(140)는 운송방향(화살표 X방향)에 직각으로 잠김상태가 유지된다(도 9 참조).
이러한 레버(140)의 회전과 함께 잠금기구(200)에 의해 조절되는 잠김상태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압력유체가 일방의 압력유체 유입/유출포트(46b)로부터 타방의 압력유체 유입/유출포트(46a)로 공급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8)이 하향으로 이동되면, 롤러(86)는 피스톤(18)의 스트로크 단말위치에서 상기 자재(W)의 운송라인(128)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하측부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기구(200)를 형성하는 후크부재(260)의 선단(264)이 실린더몸체(12) 상면의 로드커버(14)에 부딪치게 되고, 나사결합부(122)를 축으로 후크부재(26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레버(140)는 댐퍼기구(24)의 복귀력에 의해 시계방향, 즉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되어 최초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압력유체가 일방의 압력유체 유입/유출포트(46b)를 거쳐 재도입되면, 레버(140)을 포함하는 레버홀더(120)는 자재(W)를 향해 일체로 상향 이동되어 레버(140) 위에 설치된 롤러(86)는 롤러컨베이어(130c,130d,130e)를 따라 운송되는 팰릿(P)의 바닥면부와 맞닿는다. 동시에, 레버(140)의 제2코너(84)가 자재(W)의 운송방향(화살표 X방향)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놓이도록 배치되도록 회전변위가 수행된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자재(W)는 롤러컨베이어(130c,130d,130e)와 롤러(86)를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된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W)와 함께 팰릿(P)이 롤러(86)의 상부를 통과하고, 레버(140)는 레버핀(130) 주위를 감싸는 리턴스프링(92)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40)는 해제상태로 최초위치에 복귀된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운송라인(128)을 자동화시키기 전과 복수의 컨베이어(130a~130f)를 설치하여 운송라인(128)을 구성한 후에 수행되는 조절작업 동안에, 작업자가 자재(W)의 기정(旣定)의 반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상기 자재(W)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토퍼 실린더(400)는 레버(140) 위에 설치된 롤러(86)가 롤러컨베이어(130a~130f)의 운송라인(128)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레버(140)는 후크부재(260)에 잠금기구(200)로 잠겨진 상태라고 가정하는 것을 전제한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시작하면, 자재(W)가 도 14에 도시된 소정의 운송방향에 반대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팰릿(P)과 함께 운송되면, 팰릿(P)은 상기 롤러(86)와 맞닿기 전에, 릴리이즈레버(240)를 화살표 D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 결과, 나사결합부(122)를 축으로 잠금기구(200)의 후크부재(260)가 화살표 E방향으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W)를 롤러(86) 및 롤러컨베이어(130a~130f)를 따라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게 되고, 자재(W)를 가지는 상기 팰릿(P)이 롤러(86) 위를 통과한 후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40)는 레버핀(130)을 감싸는 리턴스프링(92)의 결과로써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변위되어, 잠김상태로부터 해제되는 최초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W)에 의해 레버(140)와 릴리이즈레버(240)의 회전과 동시에 후크부재(260)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레버홀더(120)의 하강에 의해 후크부재(260)의 선단이 상방으로 가압되거나, 상기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로 반송되는 자재(W)에 의해 릴리이즈레버(240)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후크부재(260)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잠금기구(2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실린더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20 : 레버홀더 122 : 나사결합부
130 : 레버핀 140 : 레버
200 : 잠금기구 220 : 록킹부
222, 232 : 핀홀 224 : 단턱부
226 : 절결부 228 : 걸림턱
230 : 잠금해제부 234 : 물림턱
236 : 해제돌기 240 : 릴리이즈레버
250 : 릴리이즈부 260 : 후크부재
262 : 걸림면 264 : 선단

Claims (9)

  1.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의 롤러에 반송되는 자재가 맞닿았을 때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어 록킹되는 레버에 의해 자재를 정지시켜 유지시키는 스토퍼 실린더에 있어서,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스톤이 구비된 실린더몸체;
    상기 피스톤로드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레버홀더;
    상기 레버홀더에 결합되는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변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레버홀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록킹부와, 일측에 상기 록킹부에 형합되는 잠금해제부와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회전되는 타측의 릴리이즈부로 이루어진 릴리이즈레버와, 상기 레버홀더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레버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되,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레버와 상기 릴리이즈레버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후크부재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레버홀더의 하강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의 선단이 상방으로 가압되거나, 상기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릴리이즈레버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 실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의 록킹부는 상기 레버핀이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에 릴리이즈레버의 잠금해제부가 형합되며,
    상기 록킹부와 잠금해제부의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핀홀에 상기 레버핀이 삽입되는
    스토퍼 실린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핀홀의 주위에는 하부에 반원 형상의 단턱부가 돌출되고, 상부의 일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의 상측에 걸림턱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릴리이즈레버의 잠금해제부의 핀홀의 주위에도 상기 록킹부의 단턱부에 결합시 약간의 유격을 두고 결합되도록 상부에 반원 형상의 물림턱이 돌출되고, 상기 록킹부의 절결부에 삽입되는 해제돌기가 형성되는
    스토퍼 실린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레버홀더의 나사결합부에 일단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레버로부터 돌출된 록킹부와 상기 릴리이즈레버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절곡 내측에 걸림면이 형성되는
    스토퍼 실린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은 상기 록킹부의 걸림턱상에 위치된 웨이팅 상태에서, 반송되는 자재와의 맞부딪침에 의한 상기 레버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레버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동시에 상기 릴리이즈레버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단턱부와 물림턱의 유격만큼 회전되는
    스토퍼 실린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홀더의 하강 시, 상기 후크부재의 선단과 부딪치는 상기 실린더몸체의 부분에는 우레탄 범퍼가 삽입되는
    스토퍼 실린더.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홀더의 하강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의 선단이 상기 실린더몸체 상면에 부딪치게 되고, 상기 나사결합부를 축으로 상기 후크부재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스토퍼 실린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되는 자재에 의해 상기 릴리이즈레버의 릴리이즈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록킹부의 절결부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해제부의 해제돌기가 삽입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상방으로 올라가게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 실린더.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레버는 댐퍼기구의 복귀력에 의해 웨이팅 상태가 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토퍼 실린더.

KR1020110048653A 2011-05-23 2011-05-23 스토퍼 실린더 KR10120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53A KR101206903B1 (ko) 2011-05-23 2011-05-23 스토퍼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53A KR101206903B1 (ko) 2011-05-23 2011-05-23 스토퍼 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903B1 true KR101206903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653A KR101206903B1 (ko) 2011-05-23 2011-05-23 스토퍼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9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148A (zh) * 2018-12-27 2019-03-01 银河水滴科技(北京)有限公司 定位装置及运料装置
CN111776716A (zh) * 2020-06-10 2020-10-16 南京宇众自动化装备有限公司 物料输送辊道及其止挡机构
CN112978230A (zh) * 2021-02-05 2021-06-18 常州嘉业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物料长距离输送的机械式多点定位机构
CN114261682A (zh) * 2021-11-24 2022-04-01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滚筒式agv的自动接驳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937A (ja) 1998-02-10 1999-08-24 Smc Corp ストッパシリンダ
KR100858120B1 (ko) 2006-06-21 2008-09-10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스토퍼실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937A (ja) 1998-02-10 1999-08-24 Smc Corp ストッパシリンダ
KR100858120B1 (ko) 2006-06-21 2008-09-10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스토퍼실린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148A (zh) * 2018-12-27 2019-03-01 银河水滴科技(北京)有限公司 定位装置及运料装置
CN111776716A (zh) * 2020-06-10 2020-10-16 南京宇众自动化装备有限公司 物料输送辊道及其止挡机构
CN112978230A (zh) * 2021-02-05 2021-06-18 常州嘉业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物料长距离输送的机械式多点定位机构
CN114261682A (zh) * 2021-11-24 2022-04-01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滚筒式agv的自动接驳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903B1 (ko) 스토퍼 실린더
JP4161097B2 (ja) ストッパシリンダ
JP3415425B2 (ja) ストッパシリンダ
JP6025291B1 (ja) ワーク把持装置
WO2012127530A1 (ja)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TW305787B (en) Apparatus for loading long work pieces
JP5947620B2 (ja) 上型及び上型の仮止め方法
KR101282635B1 (ko)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CA3032700C (en) Lock and screen door
JP2015151201A (ja) 停止装置及び補助停止ユニット
JP2011102169A (ja) 停止装置
CN104950146B (zh) 检测用定位工装
JP6595394B2 (ja) ナットホルダ、ナット部材、締結具、取付工具及び製造方法
JP3191618U (ja) スライドレールシステム及び当該スライドレール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連結装置
KR101484317B1 (ko) 치구 상부용 로터리 커플러의 가이드 장치
KR101118476B1 (ko) 스토핑 장치
JP5473539B2 (ja) フック装置
KR100814492B1 (ko)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물품 록킹장치
JP2021189193A (ja) 固定式スクリーン装置、及び固定式スクリーン装置の固定方法
EP2442314B1 (en) Auxiliary system for assisting a movement system of fuel elements of a nuclear reactor
IT201600099863A1 (it) Dispositivo di trattenuta.
GB2336398A (en) Automatic hoist hook device arrangement for hoisting and lowering of a submersible pump in a pumping station
US3204783A (en) Lockup assembly for swinging arm unloader
RU49749U1 (ru) Рыч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зирования и зажима рельсового проката
KR101059272B1 (ko) 인덱스 테이블의 회전테이블 과부하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