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635B1 -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635B1
KR101282635B1 KR1020110051698A KR20110051698A KR101282635B1 KR 101282635 B1 KR101282635 B1 KR 101282635B1 KR 1020110051698 A KR1020110051698 A KR 1020110051698A KR 20110051698 A KR20110051698 A KR 20110051698A KR 101282635 B1 KR101282635 B1 KR 10128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ld
support
upper mold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67A (ko
Inventor
하락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1005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63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로 이동하는 이송부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와, 롤러부재를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부금형에 접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이드지지부와, 가이드지지부가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가이드지지부를 지지하는 장착부 및 내측공간에 설치되며 가이드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PRESS MOLD}
본 발명은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금형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부재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금형은, 고정 설치되는 하부금형과, 상하 이동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로 가공소재인 이송부재가 공급되며, 하부금형의 상측에 이송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이송부재의 절단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하부금형에 접하는 경우, 이송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와 상부금형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이를 회피하기 위해 롤러를 이송부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이송부재의 가공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부금형과의 간섭 발생을 회피하면서, 이송부재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가공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로 이동하는 이송부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와, 롤러부재를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부금형에 접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이드지지부와, 가이드지지부가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가이드지지부를 지지하는 장착부 및 내측공간에 설치되며 가이드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롤러부재는, 하부금형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지지부는, 롤러부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부재와, 브라켓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몸체부 및 가이드몸체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내측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몸체부는, 브라켓부재에 고정되며 장공 형상의 조절공이 구비되는 조절몸체 및 조절몸체가 일측에 연결되며 삽입돌기가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돌기는, 탄성지지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장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는, 내측공간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탄성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하부금형에 고정되는 장착몸체 및 장착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지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지지부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금형은, 상부금형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는, 롤러부재가 장착된 가이드지지부가 상부금형에 접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부금형과의 간섭이 방지되며, 상부금형의 하강시에도 이송부재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가공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가 프레스금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강되어 하부금형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와 상부금형이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가압돌기가 가이드몸체부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부가 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와 상부금형이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가압돌기가 가이드몸체부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하강으로 가압돌기에 접하는 가이드몸체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용 부품공장에 설치된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가 프레스금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강되어 하부금형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와 상부금형이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가압돌기가 가이드몸체부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부가 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와 상부금형이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가압돌기가 가이드몸체부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하강으로 가압돌기에 접하는 가이드몸체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1)는, 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16)의 사이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8)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20)와, 롤러부재(20)를 회전축(22)을 지지하며 상부금형(12)에 접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이드지지부(30)와, 가이드지지부(30)가 이동되는 내측공간(54)을 구비하며 가이드지지부(30)를 지지하는 장착부(50) 및 내측공간(54)에 설치되며 가이드지지부(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60)를 포함한다.
프레스금형(10)은 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16)으로 구성되며, 하부금형(16)을 따라 이송부재(18)가 공급되면, 상부금형(12)이 하강하여 이송부재(18)의 절단 등 가공작업이 이루어진다.
상부금형(12)은, 상부금형(1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지지부(3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4)를 구비하므로, 가이드지지부(30)와 상부금형(12)의 간섭이 방지된다.
가압돌기(14)는, 가이드지지부(30)와 마주하는 상부금형(12)에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지지부(30)가 하부금형(16)의 양측에 설치된 경우, 가압돌기(14)도 상부금형(12)의 양측에 설치된다.
가이드지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20)는, 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16)의 사이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8)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20)는, 하부금형(16)의 양측에 종방향(이하 도 1기준)으로 설치되므로, 롤러부재(20)는 이송부재(18)의 측면에 맞물려 돌아가면서 이송부재(18)의 이동을 안내한다.
롤러부재(20)의 상측과 하측으로 회전축(22)이 연장되며, 이러한 회전축(22)은 가이드지지부(30)에 설치된다.
가이드지지부(30)는, 롤러부재(20)의 회전축(22)을 지지하며, 상부금형(12)에 접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지지부(30)는, 롤러부재(20)의 회전축(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부재(32)와, 브라켓부재(32)에 연결되는 가이드몸체부(34) 및 가이드몸체부(34)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내측공간(5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를 포함한다.
브라켓부재(32)는, 롤러부재(20)의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된 회전축(22)을 회전 가능하게 파지한다.
가이드몸체부(34)는, 브라켓부재(32)에 고정되며 장공 형상의 조절공(38)이 구비되는 조절몸체(36) 및 조절몸체(36)가 일측에 연결되며 삽입돌기(42)가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몸체(4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몸체(36)는, 브라켓부재(32)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조절몸체(36)에 조절공(38)이 구비되므로, 브라켓부재(32)의 위치를 조절한 후, 조절공(38)을 통해 연결몸체(40)에 볼트를 체결하므로, 브라켓부재(32)와 조절몸체(36)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브라켓부재(32)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몸체(4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몸체(40)의 하측으로 삽입돌기(42)가 연장된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42)는, 하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지지부(6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장착공간(48)이 내측에 형성된다.
하부금형(16)에 고정되는 장착부(50)는, 가이드지지부(30)가 이동되는 내측공간(54)을 구비하며 가이드지지부(3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50)는, 내측공간(54)을 구비하며 하부금형(16)에 고정되는 장착몸체(52) 및 장착몸체(5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지지부(3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59)를 포함한다.
장착몸체(52)의 내측공간(54)은 상측을 향하여 개구되며, 이러한 내측공간(54)의 하부에는 탄성지지부(6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58)가 돌출된다.
내측공간(54)의 둘레를 따라 파이프 형상의 부시부재(56)가 설치되므로, 삽입돌기(42)가 내측공간(54)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킨다.
장착몸체(52)의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59)는, 내측공간(54)의 상부를 일부 차폐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내측공간(5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의 측면에는, 스토퍼(59)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평면부(44) 및 평면부(44)의 하측에 절곡되어 스토퍼(59)에 걸려서 삽입돌기(42)의 상부 이동을 구속하는 단차부(46)를 포함한다.
내측공간(54)에는 가이드지지부(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60)가 설치되며, 가이드지지부(30)를 상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공압이나 댐퍼를 이용한 다양한 탄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60)는, 안내돌기(58)의 외측에 설치되어 삽입돌기(42)의 장착공간(48)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16)이 이격된 경우, 탄성지지부(60)의 지지로 인해, 가이드지지부(30)와 롤러부재(20)는 이송부재(18)의 측면을 가이드하며 상측에 위치한다.
도 2,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2)이 하강하여 가압돌기(14)가 가이드몸체부(34)에 접하는 경우, 가이드지지부(30)와 롤러부재(20)의 하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2)이 추가로 하강하는 경우, 가압돌기(14)가 연결몸체(4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연결몸체(40)의 하측에 연결된 삽입돌기(42)도 내측공간(54)의 하부로 이동된다.
가이드지지부(30)의 하측 이동으로, 롤러부재(20)도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부금형(12)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1)는, 롤러부재(20)가 장착된 가이드지지부(30)가 상부금형(12)에 접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부금형(12)과의 간섭이 방지되며, 상부금형(12)의 하강시에도 이송부재(18)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가공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부품공장에 설치된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프레스금형이 설치된 다른 공장에도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10: 프레스금형 12: 상부금형
14: 가압돌기 16: 하부금형
18: 이송부재 20: 롤러부재
22: 회전축 30: 가이드지지부
32: 브라켓부재 34: 가이드몸체부
36: 조절몸체 38: 조절공
40: 연결몸체 42: 삽입돌기
44: 평면부 46: 단차부
48: 장착공간 50: 장착부
52: 장착몸체 54: 내측공간
56: 부시부재 58: 안내돌기
59: 스토퍼 60: 탄성지지부

Claims (9)

  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로 이동하는 이송부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부재를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금형에 접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이드지지부;
    상기 가이드지지부가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지지부를 지지하는 장착부; 및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상부금형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하부금형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지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부재;
    상기 브라켓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부는, 상기 브라켓부재에 고정되며, 장공 형상의 조절공이 구비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몸체가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장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내측공간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금형에 고정되는 장착몸체; 및
    상기 장착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지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9. 삭제
KR1020110051698A 2011-05-30 2011-05-30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KR10128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98A KR101282635B1 (ko) 2011-05-30 2011-05-30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98A KR101282635B1 (ko) 2011-05-30 2011-05-30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7A KR20120133167A (ko) 2012-12-10
KR101282635B1 true KR101282635B1 (ko) 2013-07-12

Family

ID=4751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98A KR101282635B1 (ko) 2011-05-30 2011-05-30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6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4833A (zh) * 2015-12-10 2016-02-24 重庆大帝重工机械有限公司 带连接块的上模结构
CN105363935A (zh) * 2015-12-10 2016-03-02 重庆大帝重工机械有限公司 方便模具存放的下模结构
CN105436322A (zh) * 2015-12-10 2016-03-30 重庆大帝重工机械有限公司 汽车顶盖后横梁外板加工模具
KR20210071297A (ko) 2019-12-06 2021-06-16 (주)선진하이텍 스틸볼 성형 방법
KR20210071293A (ko) 2019-12-06 2021-06-16 (주)선진하이텍 스틸볼 성형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61B1 (ko) * 2017-07-11 2019-06-04 두올산업(주) 자동차 카페트 성형장치
CN108927459A (zh) * 2018-06-28 2018-12-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导向装置的冷冲压压合模
KR102264551B1 (ko) * 2020-12-02 2021-06-15 이종칠 필름접합 가이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98B1 (ko) * 2007-06-13 2008-12-05 (주)한국대화금속 프레스 가공 장치
KR20100100006A (ko) * 2009-03-04 2010-09-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블랭킹프레스의 코일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98B1 (ko) * 2007-06-13 2008-12-05 (주)한국대화금속 프레스 가공 장치
KR20100100006A (ko) * 2009-03-04 2010-09-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블랭킹프레스의 코일 지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4833A (zh) * 2015-12-10 2016-02-24 重庆大帝重工机械有限公司 带连接块的上模结构
CN105363935A (zh) * 2015-12-10 2016-03-02 重庆大帝重工机械有限公司 方便模具存放的下模结构
CN105436322A (zh) * 2015-12-10 2016-03-30 重庆大帝重工机械有限公司 汽车顶盖后横梁外板加工模具
KR20210071297A (ko) 2019-12-06 2021-06-16 (주)선진하이텍 스틸볼 성형 방법
KR20210071293A (ko) 2019-12-06 2021-06-16 (주)선진하이텍 스틸볼 성형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7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635B1 (ko) 프레스금형용 가이드장치
JP2013091105A (ja) ワークピースを加工するためのレーザ加工機ならびにワークピースをレーザビームによって加工するための機械的な方法
JP2014534593A5 (ko)
CA3020020C (en) Pallet changing apparatus
KR101787086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1446934B1 (ko) 절연호스 삽입장치
EP2977181A1 (en) Bottom die lifting mechanism
CN209291466U (zh) 送料机的输送通道宽度调节机构
KR20140006130U (ko) 자동방제용 레일대차
CN205393816U (zh) 一种自动串焊机的焊接装置
KR101165436B1 (ko) 이중 버링 장치
CN212330922U (zh) 一种自动化拉簧夹紧上料机构
KR101146516B1 (ko) 튜브용 쇼트피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8466936U (zh) 一种钣金件冲压加工用上料机构
CN207771984U (zh) 木材带锯机
KR20200139952A (ko) 곡면판 성형장치
KR101211425B1 (ko)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166891A (zh) 印版固定方法和用于执行的印刷机
CN206047575U (zh) 一种弹子锁装配机上的夹具升降装置
KR101276739B1 (ko)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CN105329701B (zh) 自动送线器的送线控制装置
CN207791856U (zh) 一种板材输送机
CN215699520U (zh) 一种半自动打塞机
CN208965219U (zh) 一种金片绣的金片导向装置
KR101003971B1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절단 시 비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