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92B1 -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92B1
KR100921292B1 KR1020030008082A KR20030008082A KR100921292B1 KR 100921292 B1 KR100921292 B1 KR 100921292B1 KR 1020030008082 A KR1020030008082 A KR 1020030008082A KR 20030008082 A KR20030008082 A KR 20030008082A KR 100921292 B1 KR100921292 B1 KR 10092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detection
hole
rod
det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413A (ko
Inventor
요코타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ublication of KR2003006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holding action of work or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work or tool in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B25B5/062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with clamping means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ress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B25B5/064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with clamping means pivo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res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3) 내부에 클램프로드(5)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과 거의 동심상에서 상기 하우징(3)의 하단벽(3b)에 검출구멍(58)을 형성하며, 상기 검출구멍(58)의 주면(周面)에 압축공기공급용의 입구구멍(71,72)을 개구하고, 상기 검출구멍(58)에 검출구(62)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검출구(62)의 외주면에 상기 입구구멍(71,72)의 개구부(71a,72a)를 닫는 폐지면(68)과, 상기 개구부(71a,72a)를 외기로 연통시키는 오목부(69)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프로드(5)의 하향의 돌출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신뢰성이 높고 컴팩트한 동작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OPERATION DETECTING DEVICE OF CLAMP}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선회식(旋回式) 클램프를 입면(立面)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선회식 클램프에 설치된 동작검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 중 2B-2B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A) 중 IlI-IlI 화살표에 따른 확대 단면도로서, 검출구의 선회 퇴피(退避)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상기 검출구의 클램프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링크식 클램프를 입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며, 상기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링크식 클램프에 설치된 동작검출장치의 언클램프(Unclamp)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 중 VlI-VlI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도 6 중 8A-8A 화살표에 따른 도면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검출구의 언클램프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상기 검출구의 클램프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도 8(A)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8(C)는, 상기 검출구의 빈( 空) 클램프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도 8(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9(A)는, 상기 도 8(A) 중 9A-9A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상기 도 8(A) 중 9B-9B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9(C)는, 상기 도 8(A) 중 9C-9C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3... 하우징(Housing)
3b... 하우징(3)의 일단벽(하단벽)
5... 클램프로드(Clamp Rod)
5a... 조작부(돌출부)
58... 검출구멍
62... 검출구(檢出具)(검출로드)
68... 폐지면(閉止面, Closing Surface)
69... 오목부
71... 입구구멍(제1입구구멍)
71a... 개구부(제1개구부)
72... 입구구멍(제2입구구멍)
72a... 개구부(제2개구부).
본 발명은, 피가공물(Work) 등을 고정하는 클램프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동작검출장치는, 클램프로드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하우징의 일단벽(一端壁)의 바깥쪽으로 검출로드를 돌출시키고, 그 검출로드의 이동상태를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에 의해서 검출하게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87991을 참조).
그런데, 클램프는, 예컨대, 공작기계의 피가공물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기계가공시에 다량으로 비산하는 절삭유에 의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수명이 짧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그 리미트 스위치를 위해 큰 설치 스페이스(Space)가 요구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의 동작상태를 검출함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고 컴팩트(Compact)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예컨대, 도 1 내지 도 4, 또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하우징(3) 내부에 클램프로드(Clamp Rod)(5)를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과 거의 동심(同心)상에서 상기 하우징(3)의 일단벽(3b)에 검출구멍(58)을 형성하고, 그 검출구멍(58)의 주면(周面)에 압력유체공급용의 입구구멍71(72)을 개구(開口)하며,
상기 검출구멍(58)에 검출구(檢出具)(62)를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검출구(62)의 외주면에, 상기 입구구멍71(72)의 개구부(71a)(72a)를 닫는 폐지면과, 상기 개구부(71a)(72a)를 외기(外記)로 연통시키는 오목부(69)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프로드(5)의 일단부에 조작부(5a)를 설치하고, 그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였다.
상기 청구항1의 발명은,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클램프의 동작을 검출할 때는, 상기 입구구멍에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를 공급한다. 상기 입구구멍의 개구부가 상기 검출구의 상기 오목부에 대면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입구구멍에 공급된 압력유체가 상기 오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그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저하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입구구멍의 개구부가 상기 검출구의 상기 폐지면에 의해서 닫힐 때에는,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이 저지되어, 그 압력유체가 설정압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유체의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검출구의 절환(切換)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클램프로드의 동작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검출장치는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기술의 리미트 스위치 등과는 달리, 절삭유 등에 의한 열화(劣化)가 없어지고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신뢰성도 높다. 또한, 상기 동작검출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클램프로드의 일단부에 설치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검출구를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클램프로드의 축심과 상기 검출구멍의 축심과의 어긋남을 흡수하여 상기 검출구를 상기 검출구멍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구동시에 상기 클램프로드에 큰 굽힘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는, 그 클램프로드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가 약간이라도 굽어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그 굽어진 조작부가 상기 검출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함으로써, 상기 검출구가 상기 검출구멍으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검출구가 상기 검출구멍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하여, 클램프의 동작을 확실하고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축심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굽어진 조작부가 상기 검출구를 상기 검출구멍으로 누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의 동작을 더욱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축심 주위의 상대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검출구를 거의 일 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검출구의 외주면 면적 중 상기 오목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검출구멍에 대한 상기 검출구의 가이드 면적이 커져, 그 검출구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다음 구성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구멍(58)의 일단을 외기로 연통시키고, 상기 검출구(62)의 상기 오목부(69)를 축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의해 구성하며, 그 홈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69)의 일단을 상기 검출구(62)의 일단면에 개구시키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69)의 타단을 상기 검출구(62)의 타단면에 개구시킨 것이다.
상기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신뢰성 높은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선회식 클램프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우선, 도 1의 입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에 따라서, 상기 클램프의 전체구조를 설명한다.
공작기계 테이블(1)의 설치구멍(1a)에 상기 클램프(2)의 하우징(3)이 삽입되고, 이 하우징(3)이 복수의 볼트(Bolt)(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테이블(1)의 상면(上面)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3)의 통(筒)구멍(4)에 클램프로드(5)가 삽입된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상단부분으로부터 아암(Arm, 6)이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돌 출되고, 그 아암(6)의 선단부분에 누름 볼트(Push Bolt, 7)가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3)의 상단벽(3a)에 상기 클램프로드(5)의 위쪽 미끄럼부분(11)이 미끄럼이 자유롭게 밀폐적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3)의 하단벽(일단벽)(3b)에 가이드통(Guide筒, 13)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통(13)에 상기 클램프로드(5)의 아래 미끄럼부분(12)이 미끄럼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클램프로드(5)를 구동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쪽 미끄럼부분(11)과 아래 미끄럼부분(12) 사이에서 상기 클램프로드(5)에 환상(環狀) 피스톤(15)이 밀폐적으로 바깥쪽에서 끼워지고, 상기 피스톤(15)이 상기 통구멍(4)에 밀폐적으로 삽입된다. 또, 여기서는, 상기 피스톤(15)을 상기 클램프로드(5)와는 별개에 형성하고 있지만, 그 대신, 상기 피스톤(15)을 상기 클램프로드(5)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상단벽(3a)과 상기 피스톤(15) 사이에 클램프실(17)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실(17)에 대하여 클램프용의 압유 급배구(壓油給排口, 18)로부터 압유가 공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벽(3b)과 상기 피스톤(15) 사이에 언클램프실(Unclamp Chamber, 19)이 형성된다. 상기 언클램프실(19)에 대하여 언클램프용의 압유 급배구(미도시)와 유로(油路)(20)를 통해 압유가 공급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언클램프실(19) 내부에서는, 상기 클램프로드(5)의 외주면과 상기 통구멍(4) 사이의 환상공간에 선회조작용의 슬리브(Sleeve, 22)가 삽입된다. 상기 슬리브(22)가 2개의 누름 스프링(Push Spring, 23, 24)에 의해서 위쪽으로 힘을 받는 다. 상기 슬리브(22)의 소정량 이상의 상향이동이 정지(停止)용의 단(段) 형성벽(25)에 의해서 저지된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외주면과 상기 슬리브(22)의 내주면에 걸쳐서 변환기구(27)가 설치된다. 상기 변환기구(27)는,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U.S.P. 5,927,7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톱니모양으로 연통하는 제1오목통로(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오목통로(31)는, 2줄 나사모양의 2개의 제1나선홈(미도시)을 거의 1피치 만큼 형성하는 것과 함께, 한쪽 제1나선홈의 종단과 다른쪽 제1나선홈의 시작단을 연통홈에 의해 연통시키는 동시에, 다른쪽 제1나선홈의 종단과 한쪽 제1나선홈의 시작단을 별도의 연통홈에 의해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22)의 내주면에는, 그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통하는 제2오목통로(32)가 주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오목통로(32)는, 상기 제1나선홈에 대응하는 2개의 제2나선홈(미도시)을 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홈에 대응하는 2개의 릴리프 (Relief) 홈(33)이 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2개의 릴리프 홈(33) 중 한쪽 릴리프 홈(33)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오목통로(31)와 제2오목통로(32) 사이에, 다수의 전동볼(34)이 충전된다.
또한, 상기 통구멍(4)의 주벽(周壁, 4a)과 상기 슬리브(22) 사이에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37)가 설치된다. 상기 토크 리미터(37)는, 상기 클램프로드(5)로부터 상기 변환기구(27)를 지나서 상기 슬리브(22)에 작용하는 토크가 설정치를 넘을 때 상기 주벽(4a)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22)가 선회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토크 리미터(37)는, 상기 토크가 상기 설정치를 넘을 때, 상기 주벽(4a)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22)가 선회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어 있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상기 토크 리미터(37)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구멍(4)의 상기 주벽(4a)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모양의 직진 가이드홈(38,38)이 마주 대하여 설치된다. 상기 2개의 직진 가이드홈(38,38)에 걸어맞추는 2개의 걸어맞춤구(39,39)가 상기 슬리브(22)에 삽입된다. 각 걸어맞춤구(39)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데 따라서 높이가 커지는 쐐기(Wedge)모양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22)의 테이퍼면(40)에 테이퍼로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해, 상기 2개의 걸어맞춤구(39,39)는,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주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2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구(39,39)의 하면(下面)에 환상의 스프링받이(4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 스프링(23,24)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3)의 하단벽(3b)에 의해서 받아내어지는 동시에, 상기 누름 스프링(23,24)의 상단이 상기 스프링받이(42)에 의해서 받아내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누름 스프링(23,24)의 탄성력이 상기 테이퍼면(40)을 통해 상기 걸어맞춤구(39)을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눌러서, 그 걸어맞춤구(39)의 원호모양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직진 가이드홈(38)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의 선회 퇴피(退避)상태에서는, 상기 클램프실(17)의 압유가 배출되고, 상기 언클램프실(19)로 압유가 공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피스톤(15)이 그 환상 단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로드(5)가 그 씰링(Sealing) 단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상승하며, 상기 누름 스프링(23,24)에 의해서 상기 슬리브(22)가 상기 단 형성벽(25)에 맞닿아 있다.
상기 선회 퇴피상태의 클램프(2)를 클램프 상태로 절환할 때는, 상기 언클램프실(19)의 압유를 배출하고, 상기 클램프실(17)로 압유를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피스톤(15)이 상기 클램프로드(5)를 밀고 내려가, 상기 직진 가이드홈(38)에 의해 선회가 저지된 상기 슬리브(22)에 대하여 상기 클램프로드(5)가 저면에서 볼 때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해간다. 상기 클램프 선회시에는, 상기 전동볼(34)이 상기 제1오목통로(31) 및 제2오목통로(32)를 따라 전동하면서 주(周)방향으로 순환한다. 이 때문에, 상기 클램프 선회시의 마찰저항이 작게 되어 상기 클램프로드(5)가 원활하게 선회한다. 잇따라, 상기 피스톤(15)이 상기 클램프로드(5) 및 상기 슬리브(22)를 상기 직진 가이드홈(38)을 따라 똑바로 하강시켜가서, 상기 클램프로드(5)가 클램프 위치(미도시)로 절환된다.
상기 클램프상태로부터 도 1의 선회 퇴피상태로 절환할 때는, 상기 클램프실(17)의 압유를 배출하고, 상기 언클램프실(19)로 압유를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압유의 압력과 상기 누름 스프링(23,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클 램프로드(5) 및 상기 슬리브(22)가 상기 직진 가이드홈(38)을 따라 똑바로 상승해가서, 상기 슬리브(22)가 상기 단 형성벽(25)에 의해서 받아내어진다. 잇따라, 상기 단 형성벽(25)에 의해서 상승이 저지된 상기 슬리브(22)에 대하여 상기 클램프로드(5)가 상기 압유의 압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클램프로드(5)가 저면에서 볼 때 시계 회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도 1의 선회 퇴피위치로 절환된다.
상기 클램프 선회시 또는 퇴피 선회시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로드(5)로부터 상기 변환기구(27)를 지나 상기 슬리브(22)에 작용하는 토크가 설정치를 넘을 때는, 상기 걸어맞춤구(39)의 걸어맞춤돌기 외주면에 작용하는 접선방향 힘보다 상기 누름 스프링(23,24)의 탄성력에 의한 걸어맞춤 로크(Lock)력이 크다.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구(39)의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직진 가이드홈(38)에 삽입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통구멍(4)의 상기 주벽(4a)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22)가 선회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에 대하여,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상기 토크가 상기 설정치를 넘을 때는, 상기 걸어맞춤구(39)의 걸어맞춤돌기 외주면에 작용하는 접선방향 힘이 상기 누름 스프링(23,24)의 탄성력에 의한 걸어맞춤 로크력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걸어맞춤구(39)가 상기 테이퍼면(40)을 따라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어맞춤구(39)의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직진 가이드홈(38)과의 끼워넣음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주벽(4a)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22)가 선회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결과, 상기 클램프로드(5)의 과대한 토크가 상기 변환기구(27) 나 상기 슬리브(22)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대한 토크에 의해서 상기 변환기구(27)의 전동볼(34) 등의 구성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클램프(2)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그 동작검출장치(51)에 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A)는, 상기 동작검출장치(51)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 중 2B-2B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A) 중 IlI-IlI 화살표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후술하는 검출로드(검출구)(62)의 선회 퇴피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상기 검출로드(62)의 클램프 준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테이블(1)의 상기 설치구멍(1a)은, 상하로 형성된 대경(大徑) 구멍(52) 및 소경 구멍(53)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의 상기 하단벽(일단벽)(3b)은, 상기 주벽(4a)에 밀폐적으로 나사결합된 뚜껑부재(55)와, 그 뚜껑부재(55)에 복수의 볼트(54)(여기서는 1개만 나타내고 있음)에 의해서 고정한 외통(56)과, 그 외통(56)에 삽입되어 상기 뚜껑부재(55)에 누름 고정되는 내통(57)을 구비한다.
상기 외통(56)이 상기 소경 구멍(53)에 밀폐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통(57)은,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과 거의 동심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내통(57)의 내주면 아래 반쪽에 따라서 검출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검출구멍(58)의 하단은, 커버판(59)의 출구구멍(60)을 통해 외기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하향의 돌출부(조작부)(5a)가 상기 뚜껑부재(55)에 밀 폐적으로 삽입된다. 이 돌출부(5a)의 하부가, 지지볼트(63)를 통해 통모양의 검출로드(검출구)(62)에 반경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고 축심주위의 상대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연결된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상기 돌출부(5a)의 하면에 2개의 돌기(65)가 마주 대하여 설치된다. 이들 돌기(65)에, 상기 검출로드(62)의 상면에 형성된 홈(6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깥쪽에서 끼워진다. 또한, 상기 검출로드(62)의 통구멍 내부에 상기 지지볼트(63)가 소정의 반경 간격을 두고 삽입된다. 더욱이, 상기 검출로드(62)는, 상기 돌출부(5a)의 하면과 상기 지지볼트(63)의 하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로드(62)의 외주면 하반부(下半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폐지면(閉止面, 68)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오목부(69)가 주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오목부(69)는, 홈으로 구성되어, 그 오목부(69)의 하단이 상기 검출로드(62)의 하단면에 개구되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69)의 상단이 상기 검출로드(62)의 상단면에 개구된다. 상기 검출로드(62)가 상기 검출구멍(58)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또한 축심주위로 선회가 자유롭게 삽입된다.
상기 내통(57)의 상기 검출구멍(58)에는, 클램프상태 검출용의 제1입구구멍(71)과 선회 퇴피상태 검출용의 제2입구구멍(72)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동시에 주방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개구된다. 상기 제1입구구멍(71)은, 상기 외통(56)의 제1주홈(73) 및 제1관통구멍(74)과 상기 테이블(1)의 제1공급구멍(75)을 차례로 지나서 압축공기의 공급원(미도시)에 접속 된다. 또한, 상기 제2입구구멍(72)도, 상기 외통(56)의 제2주홈(77) 및 제2관통구멍(78)과 상기테이블(1)의 제2공급구멍(79)을 차례로 지나서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동작검출장치(5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검출로드(62)는, 전술한 클램프로드(5)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 2(A) 중 실선도(및 도 3)의 선회 퇴피위치(X)로부터 도 2(A) 중 굵은 일점쇄선도(및 도 4)의 클램프 준비위치(Y)로 선회되고, 그 후, 도 2(A) 중 2점쇄선도의 클램프위치(Z)로 직진된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램프로드(5)가 선회 퇴피상태시에는, 도 2(A) 중 실선도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로드(62)가 선회 퇴피위치(X)로 되고, 그 검출로드(62)의 3개의 폐지면(68) 중 하나의 폐지면(68)이 상기 제2입구구멍(72)의 제2개구부(72a)를 닫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공급구멍(79)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고, 그 제2공급구멍(79)에 연통시킨 제2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로드(62)가 선회 퇴피위치(X)인 것을 검출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2)를 클램프 구동하면, 우선, 상기 검출로드(62)가 상기 선회 퇴피위치(X)로부터, 저면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로 절환되게 된다.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로 절환하기 전의 선회도중상태에서는, 저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목부(69)가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개구부(71a)와 겹쳐(오버랩되 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공급구멍(75)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제1개구부(71a)와 상기 오목부(69)와 상기 출구구멍(60)을 지나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공급구멍(75)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게 되고, 그 제1공급구멍(75)에 연통시킨 제1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로드(62)가 선회도중상태인 것을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로드(62)가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로 선회 하강하면, 도 2(A) 중 굵은 일점쇄선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지면(68)의 하단이 상기 제1개구부(71a)보다 낮게 되어, 상기 폐지면(68)이 상기 제1개구부(71a)를 닫는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공급구멍(75)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고, 그 제1공급구멍(75)에 연통시킨 상기 제1압력 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로드(65)가 클램프 준비위치(Y)로 된 것을 검출한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의 검출로드(62)가 클램프위치(Z)로 똑바로 하강한다. 이 클램프위치(Z)에서는, 도 2(A) 중 2점쇄선도(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지면(68)의 상단이 상기 제1개구부(71a)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폐지면(68)이 상기 제1개구부(71a)를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공급구멍(75)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1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로드(62)가 클램프위치(Z)인 것을 검출한다. 또, 클램프영역은,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와 상기 클램프위치(Z) 사이에 있으면 된다.
또한, 피고정물인 피가공물 등이 상기 테이블(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에서 상기 클램프(2)를 클램프 구동한 경우에는, 상기 검출로드(62)가 상기 클램프위치(Z)보다 낮은 빈(Vain) 클램프위치(M)로 하강하여, 도 2(A) 중 가는 일점쇄선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폐지면(68)의 상단이 상기 제1개구부(71a)보다 낮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1공급구멍(75)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개구부(71a)와 상기 오목부(69)와 상기 출구구멍(60)을 지나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공급구멍(75)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게 되고, 상기 제1공급구멍(75)에 연통시킨 제1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로드(62)가 빈클램프위치(M)인 것을 검출한다.
또,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검출로드(62)가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로 선회 하강할 때, 상기 폐지면(68)이 상기 제1개구부(71a)를 닫는다고 했지만, 대신에, 상기 검출로드(62)가 상기 클램프 준비위치(Y)보다 아래쪽의 클램프 영역으로 하강할 때 상기 폐지면(68)이 상기 제1개구부(71a)를 닫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제1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선회각도는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60도나 45도 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변경한 선회각도에 대응시켜서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설치 개소(個所)를 변경하면 된다. 또한, 그 클램프로드(5)의 선회방향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는 반대방향이어도 좋다.
상기 변환기구(27)의 누름수단은, 예시된 누름 스프링(23,24) 대신에,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변환기구(27)는,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방향 운동을 상기 클램프로 드(5)의 선회운동으로 변경하는 것이면 되므로, 예시된 기구 대신에 각종 기구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램프로드(5)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캠 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22)에 설치된 볼 등의 조작구를 상기 캠 홈에 끼워넣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2)는, 선회 하강한 후에 클램프 구동되는 대신에, 수평위치에서 선회한 후에 클램프 구동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토크 리미터(37)는 생략하더라도 좋다.
도 5 내지 도 9는,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의 구성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제2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동작검출장치를 링크식 클램프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제1실시형태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우선, 도 5의 입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에 의해서 상기 링크식 클램프(2)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상부에 상기 아암(6)의 길이방향 왼쪽 부분이 제1핀(45)에 의해서 수직면 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이 아암(6)의 길이방향 도중부가 제2핀(46)에 의해서 한 쌍의 링크부재(47)의 상부에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여기서는 한쪽의 링크부재(47) 만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상기 링크부재(47)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3)의 상단벽(3a)에 나사결합된 볼트(48)의 머리부에, 제3핀(49)에 의해서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로드(5)의 도중 높이부에 상기 피스톤(15)이 고정된다. 상기 피스톤(15)의 아래쪽에 상기 클램프실(17)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15)의 위쪽에 상기 언클램프실(19)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식 클램프(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5에서 나타내는 클램프시에는, 상기 언클램프실(19)의 압유(壓油)를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실(17)로 압유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클램프로드(5)가 상승하여 상기 아암(6)을 제2핀(46) 주위로 시계 회전방향으로 구동하고, 그 아암(6)의 오른쪽부에 설치한 누름 볼트(7)가 피가공물(W)을 하향으로 누른다.
이와는 반대로, 언클램프시에는 상기 클램프실(17)의 압유를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언클램프실(19)로 압유를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클램프로드(5)가 하강하여 상기 아암(6)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퇴피시킨다.
다음, 상기 동작검출장치(51)의 구조를 도 6 내지 도 9(A), 도 9(B), 도 9(C)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동작검출장치(51)의 언클램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 중 VlI-VlI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도 6 중 8A-8A 화살표에 따른 도면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검출구(62)의 언클램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는, 상기 검출구(62)의 클램프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도 8(A)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8(C)는, 상기 검출구(62)의 빈(空) 클램프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도 8(A)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A)는, 상기 도 8(A) 중 9A-9A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상기 도 8(A) 중 9B-9B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상기 도 8(A) 중 9C-9C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3)의 상기 하단벽(일단벽)(3b)은, 상기 주벽(4a)에 밀폐적으로 삽입한 상기 뚜껑부재(55)와, 그 뚜껑부재(55)에 복수의 볼트(54)에 의해서 고정한 통부재(81)를 구비한다. 상기 뚜껑부재(55)는 핀(80)에 의해서 회전이 멈춰지게 된다. 상기 통부재(81)가 상기 소경 구멍(53)에 밀폐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통부재(81)는,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과 거의 동심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통부재(81)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검출구멍(5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출구멍(58)의 하단 공간이 상기 출구구멍(60)을 통해 외기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상기 아래 미끄럼부분(12)이 상기 뚜껑부재(55)에 밀폐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하향의 돌출부(조작부)(5a)의 하부가, 지지볼트(63)를 통해 통모양의 검출구(62)에 반경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고, 축심 주위의 상대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연결된다. 그 검출구(62)가 상기 검출구멍(58)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5a)의 하부에 정사각형 모양의 외주면(82)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검출구(62)에 정사각형모양의 통구멍(83)이 형성된다. 그 정사각형 모양의 외주면(82)에 상기 정사각형 모양의 통구멍(8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깥쪽에서 끼워진다. 또한, 상기 검출구(62)는, 상기 검출구(62)의 통구멍(83) 내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볼트(63) 하부와 상기 돌출부(5a)의 하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참 조부호 84는 스페이서이다.
주로, 도 8(A) 내지 도 8(C)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구의 외주면에 상기 폐지면(68) 및 상기 오목부(69)가 설치된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상기 검출구(62)의 상하 양단면에 연통홈(86)이 개구된다. 그 연통홈(86) 중 한쪽의 바깥쪽(도 8(A) 중 오른쪽의 바깥쪽)에 클램프 검출용의 제1폐지면(87)과 릴리프 홈(88)이 상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연통홈(86)의 다른쪽의 바깥쪽(도 8(A) 중 왼쪽의 바깥쪽)에 언클램프 검출용의 제2폐지면(89)과 제2릴리프 홈(90)이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제1폐지면(87)과 상기 제2폐지면(89)에 의해 상기 폐지면(68)이 구성되고, 상기 연통홈(86)과 상기 제1릴리프 홈(88)과 제2릴리프 홈(90)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69)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출구멍(58)에는, 클램프상태 검출용의 제1입구구멍(71)과 언클램프상태 검출용의 제2입구구멍(72)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구된다(도 6과 도 7을 참조). 상기 제1입구구멍(71)이 상기 테이블(1)의 제1공급구멍(75)을 지나서 압축공기의 공급원(미도시)에 접속되고, 상기 제2입구구멍(72)도 상기 테이블(1)의 제2공급구멍(79)을 지나서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동작검출장치(5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클램프로드(5)가 언클램프상태인 때는, 도 6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구(62)가 언클램프위치(E)로 되고, 그 검출구(62)의 제2폐지면(89)이 상기 제2입구구멍(72)의 제2개구부(72a)를 닫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입 구구멍(72)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고, 그 제2입구구멍(72)에 연통시킨 제2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구(62)가 언클램프위치(E)인 것이 검출되고 있다.
상기 클램프로드(5)를 위쪽으로 클램프 구동하면, 상기 도 8(A)의 언클램프위치(E)의 검출구(62)가 도 8(B)의 클램프위치(F)로 상승하고, 그 검출구(62)의 제1폐지면(87)이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제1개구부(71a)를 닫는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입구구멍(71)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1입구구멍(71)에 연통시킨 제1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구(62)가 클램프위치(F)인 것이 검출되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 참조부호 J는 클램프 스트로크(Stroke)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K는 여유 스트로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L은 전(全) 스트로크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클램프 구동시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W)(도 5 참조)의 장착 미스(Miss) 등에 의해서 상기 아암(6)(도 5 참조)이 빈(空) 클램프한 경우에는, 상기 검출구(62)가 도 8(C)의 빈 클램프위치(G)로 상승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제1개구부(71a)가 상기 제1릴리프 홈(88)에 대면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1입구구멍(71)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개구부(71a)와 상기 제1릴리프 홈(88)과 상기 출구구멍(60)(도 5 참조)을 지나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게 되고, 이 제1입구구멍(71)에 연통시킨 제1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 기 검출구(62)가 빈 클램프위치(G)인 것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구동시에 있어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상기 검출구(62)가 도 8(B)의 클램프위치(F)로 상승하지 않고, 상기 제1폐지면(87)의 상단이 상기 제1개구부(71a)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1입구구멍(71)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개구부(71a)와 상기 연통홈(86)과 상기 출구구멍(60)(도면 5 참조)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입구구멍(71)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게 되고, 상기 제1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구(62)가 클램프위치(F)가 아닌 것을 검출한다.
더욱이, 상기 검출구(62)를 도 8(B)의 클램프위치(F)로부터 도 8(A)의 언클램프위치(E)로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상기 검출구(62)가 도 8(A)의 언클램프위치(E)로 하강하지 않고, 상기 제2릴리프 홈(90)이 상기 제2개구부(72a)에 대면한 경우에는, 상기 제2입구구멍(72)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2개구부(72a)와 상기 제2릴리프 홈(90)과 상기 출구구멍(60)(도 5 참조)을 지나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입구구멍(72)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게 되고, 상기 제2압력스위치(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검출구(62)가 언클램프위치(E)가 아닌 것이 검출된다.
상기 제1실시형태와 제2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나타낸다.
상기 클램프로드의 상기 돌출부(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그 검출구(62)를 상기 검출구멍(58)에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런데, 클램프 구동시에 상기 클램프로드(5)에 큰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면, 그 클램프로드(5)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돌출부(조작부)(5a)가 약간이라도 굽어진다. 이 경우, 그 돌출부(5a)와 상기 검출구(62)를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상기 굽어진 돌출부(5a)가 상기 검출구(62)를 상기 검출구멍(58)에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검출구(62)가 상기 검출구멍(58)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클램프로드(5)의 동작을 확실하고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상하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상기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로드(5)의 돌출부(5a)와 상기 검출구(62) 사이에는,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를 개재시키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검출구(62)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로드(5)의 동작검출을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a)와 상기 검출구(62)를 연결하는 구조는, 예시된 지지볼트(63)를 이용하는 대신, 스냅링(Snap Ring) 등의 다른 종류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오목부(69)나 폐지면(68)은,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형상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1입구구멍(71) 및 제2입구구멍(72)을 구비한 상기 내통(57)(도 2(A) 참조)이나 상기 통부재(81)(도 6 참조)는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축심 주위로 선회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조작부)(5a)에 대하여 상기 검출구(62)를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입구구멍(71)과 상기 제2입구구멍(72)은, 2개 모두 설치하는 대신에,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클램프실(17)과 언클램프실(19)에 공급되는 유체는, 압유 대신, 다른 종류의 액체나 공기 등의 기체여도 좋다.
상기 클램프(2)는, 복동식 대신 단동식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2)는, 압력유체에 의해서 클램프 구동하는 경우와, 스프링력에 의해서 클램프 구동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작검출장치가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리미트 스위치 등과는 달리, 절삭유 등에 의한 열화(劣化)가 없어지고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신뢰성도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검출장치는 하우징의 일단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컴팩트(Compact)하게 만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클램프로드의 일단부에 설치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검출구를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클램프로드의 축심과 검출구멍의 축심과의 어긋남을 흡수하여 상기 검출구를 상기 검출구멍에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구동시에 상기 클램프로드에 큰 굽힘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는, 그 클램프로드에 설치한 상기 조작부가 약간이라도 굽어질 우려가 있는데, 이 경우, 그 굽어진 조작부가 상기 검출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함으로써, 상기 검출구가 상기 검출구멍에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검출구가 상기 검출구멍 내부를 원활히 이동하여, 클램프의 동작을 확실하고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축심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 경우에, 상기 굽어진 조작부가 상기 검출구를 상기 검출구멍에 누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의 동작을 더욱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축심 주위의 상대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연결한 경우에, 상기 검출구를 거의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검출구의 외주면 면적 중 오목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때문에, 상기 검출구멍에 대한 상기 검출구의 가이드 면적이 커져, 검출구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신뢰성 높은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Housing, 3) 내부에 클램프로드(Clamp Rod, 5)를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로드(5)의 축심과 거의 동심상에서 상기 하우징(3)의 일단벽(3b)에 검출구멍(58)을 형성하고, 그 검출구멍(58)의 주면(周面)에 압력유체공급용의 적어도 하나의 입구구멍(71,72)을 개구하고,
    상기 검출구멍(58)에 검출구(62)를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고, 그 검출구(62)의 외주면에, 상기 입구구멍(71,72)의 개구부(71a,72a)를 닫는 폐지면(閉止面, 68)과 상기 개구부(71a,72a)를 외기로 연통시키는 오목부(69)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로드(5)의 일단부에 조작부(5a)를 설치하고, 그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반경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5a)를 상기 검출구(62)에 축심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5a)의 일단부를 상기 검출구(62)의 내주면(內周面)으로 축심주위의 상대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구멍(58)의 내주면의 일단을 외기로 연통시키고, 상기 검출구(62)의 외주(外周)에 형성한 상기 오목부(69)를 축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의해 구성하고, 그 홈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69)의 일단을 상기 검출구(62)의 일단면에 개구시키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69)의 타단을 상기 검출구(62)의 타단면에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KR1020030008082A 2002-02-13 2003-02-10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KR100921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4860 2002-02-13
JPJP-P-2002-00034860 2002-02-13
JP2002153276A JP4094340B2 (ja) 2002-02-13 2002-05-28 クランプの動作検出装置
JPJP-P-2002-00153276 2002-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413A KR20030068413A (ko) 2003-08-21
KR100921292B1 true KR100921292B1 (ko) 2009-10-09

Family

ID=2762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082A KR100921292B1 (ko) 2002-02-13 2003-02-10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36384B2 (ko)
EP (1) EP1336452B1 (ko)
JP (1) JP4094340B2 (ko)
KR (1) KR100921292B1 (ko)
CN (1) CN1281373C (ko)
AT (1) ATE279298T1 (ko)
DE (1) DE60300083T2 (ko)
TW (1) TWI260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1616B2 (ja) * 2003-01-24 2009-08-12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バネロック式クランプ装置
WO2004070216A1 (ja) * 2003-02-10 2004-08-19 Imai, Tooru 液体圧装置
FR2864603B1 (fr) * 2003-12-30 2006-03-17 Fmc Technologies Sa Coupleur a transmission directe du mouvement de rotation d'une vis d'actionnement a une machoire entrainee en translation par celle-ci
US7934710B2 (en) * 2005-01-24 2011-05-03 Verigy (Singapore) Pte. Ltd. Clamp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7213803B2 (en) * 2005-01-24 2007-05-08 Verigy Pte. Ltd. Clamp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3970887B2 (ja) * 2005-04-15 2007-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US7686286B2 (en) * 2005-08-26 2010-03-3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Variable thickness pin clamp
WO2007043183A1 (ja) * 2005-10-14 2007-04-19 Pascal Engineering Corporation スイング式クランプ装置
US20090152784A1 (en) * 2006-06-13 2009-06-18 Keitaro Yonezawa Swing clamp
JP4818947B2 (ja) * 2007-02-16 2011-11-16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オーバーストローク検出システム
EP2130643A4 (en) * 2007-02-23 2013-04-10 Kosmek Ltd DEVICE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A CLAMPING DEVICE
DE102008015680B4 (de) * 2008-03-25 2019-08-14 Hofmann Maschinenfabrik Gmbh Tischbearbeitungsmaschine
JP5144566B2 (ja) * 2009-03-18 2013-02-13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EP2527082B1 (en) * 2010-01-22 2019-06-26 Kosmek Ltd. Clamp apparatus
CN101786248A (zh) * 2010-03-03 2010-07-28 天津市中马骏腾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动工装
US8656568B2 (en) * 2010-04-30 2014-02-25 Smw Automotive Corporation Apparatus for final finishing a wheel hub of a knuckle assembly and related method
JP5611854B2 (ja) 2011-02-10 2014-10-22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のロッド位置検出装置
CN102852878B (zh) * 2011-06-29 2015-09-02 基准精密工业(惠州)有限公司 旋转下压气缸
JP5337221B2 (ja) * 2011-10-07 2013-11-06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及びクランプ装置
US8678362B1 (en) * 2012-10-29 2014-03-25 Vektek, Inc. Adjustable link clamp
JP6012445B2 (ja) * 2012-11-13 2016-10-25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及び旋回式クランプ装置
JP6207111B2 (ja) * 2012-11-13 2017-10-04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及び旋回式クランプ装置
JP5579247B2 (ja) * 2012-11-22 2014-08-27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5951461B2 (ja) 2012-12-03 2016-07-13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及び旋回式クランプ装置
US20140339751A1 (en) * 2013-05-14 2014-11-20 Asti Global Optoelectronics (Suzhou) LTD Fixture for clamping workpiece
FR3007497B1 (fr) * 2013-06-21 2015-11-20 Batscap Sa Verin roto-lineaire de bridage
JP6285655B2 (ja) * 2013-07-16 2018-02-28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DE102013108003A1 (de) * 2013-07-26 2015-01-29 Brötje-Automation GmbH Zentrieranordnung für einen Bauteilträger
JP6202705B2 (ja) * 2013-09-18 2017-09-27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160922B2 (ja) * 2014-02-24 2017-07-12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EP2921260B1 (de) * 2014-03-20 2016-08-31 UNIVER S.p.A. Pneumatisch betreibbares Arbeitsgerät
JP6252950B2 (ja) * 2015-03-05 2017-12-27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2016006353A (ja) * 2015-09-24 2016-01-14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及びクランプ装置
JP6291518B2 (ja) * 2016-04-11 2018-03-14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及びクランプ装置
CN107756429A (zh) * 2016-08-18 2018-03-06 大连精维液压技术有限公司 具有到位检测功能的自调节压紧点式旋转夹紧器
JP2018109444A (ja) * 2018-02-08 2018-07-12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油圧シリンダ及びクランプ装置
WO2019176289A1 (ja)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リンク式クランプ装置
US11255357B2 (en) 2018-06-12 2022-02-22 Kosmek Ltd. Cylinder
US10967472B2 (en) * 2018-09-18 2021-04-06 Hammill Manufacturing Company, Co-op Tool Divison Position detection device
JP7201475B2 (ja) * 2019-02-26 2023-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CH718199A1 (de) * 2020-12-21 2022-06-30 Erowa Ag Überwachungsanordnung, Spannsystem mit Überwach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Spannvorrichtung mittels Überwachungs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243A (ja) * 1989-12-29 1991-09-04 Kosumetsuku:Kk クランプ具旋回・直動式油圧クランプ
JPH0615549A (ja) * 1991-02-18 1994-01-25 Hitachi Seiki Co Ltd 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確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216A (en) * 1969-04-23 1971-03-23 Applied Power Ind Inc Fluid force applying device
US4620695A (en) * 1984-08-28 1986-11-04 Davan Industries Power clamping apparatus
JP3667870B2 (ja) * 1996-04-16 2005-07-06 株式会社コスメック 流体圧シリンダ装置
JPH10141324A (ja) * 1996-11-06 1998-05-26 Kosmek Ltd 旋回式クランプ装置
JPH1194043A (ja) 1997-07-23 1999-04-09 Kosmek Ltd 伝動装置
JP2001087991A (ja) 1999-09-24 2001-04-03 Taiyo Ltd クランプの確認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562832B2 (ja) * 1999-09-28 2010-10-13 株式会社コスメック 搬入物の検出装置
DE10036885A1 (de) * 2000-07-28 2002-02-07 Roemheld A Gmbh & Co Kg Schnellspanneinhe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243A (ja) * 1989-12-29 1991-09-04 Kosumetsuku:Kk クランプ具旋回・直動式油圧クランプ
JPH0615549A (ja) * 1991-02-18 1994-01-25 Hitachi Seiki Co Ltd 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確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94340B2 (ja) 2008-06-04
CN1438092A (zh) 2003-08-27
TW200302765A (en) 2003-08-16
EP1336452A1 (en) 2003-08-20
US6736384B2 (en) 2004-05-18
ATE279298T1 (de) 2004-10-15
CN1281373C (zh) 2006-10-25
DE60300083T2 (de) 2006-03-09
EP1336452B1 (en) 2004-10-13
US20030151183A1 (en) 2003-08-14
KR20030068413A (ko) 2003-08-21
DE60300083D1 (de) 2004-11-18
JP2003305626A (ja) 2003-10-28
TWI260252B (en)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292B1 (ko) 클램프의 동작검출장치
EP0841124B1 (en) Rotary clamping apparatus
EP1961516B1 (en) Clamp device and clamping system using such device
JP2001162473A (ja) クランプ装置
JP4260488B2 (ja) 調心駆動機構およびその機構を備えた位置決め装置
US6902158B2 (en) Rotary clamp
EP1595640B1 (en) Spring lock-type clamp device
JP5184505B2 (ja) クランプの動作検出装置
JP3621082B2 (ja) 旋回式クランプ
JPH1034469A (ja) 旋回式クランプ装置
US5927700A (en) Transmission device for a clamp
KR19990037096A (ko) 전동장치
JP4877787B2 (ja) 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位置決めシステム
KR102158175B1 (ko) 선회식 클램프
JP4094339B2 (ja) 旋回式クランプ
JP4038108B2 (ja) 旋回式クランプ
WO2005113191A1 (ja) 旋回式クランプ
US5110099A (en) Hydraulic clamp with direct operated clamping-member
JP2003039262A (ja) スイングクランプ
JP2022011795A (ja) クランプ装置
JP2006150589A (ja) 旋回式クランプ
WO2019026584A1 (ja) リンク式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