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477A - 스케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케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477A
KR19990063477A KR1019980058686A KR19980058686A KR19990063477A KR 19990063477 A KR19990063477 A KR 19990063477A KR 1019980058686 A KR1019980058686 A KR 1019980058686A KR 19980058686 A KR19980058686 A KR 19980058686A KR 19990063477 A KR19990063477 A KR 1999006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data
schedule data
data table
defi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264B1 (ko
Inventor
데쯔야 요네미쯔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1999006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케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줄 소유자의 식별자와, 스케줄의 시간대, 용건 및 상태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타를 기억하는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과, 스케줄의 등록 및 표시와 상기 스케줄 데이타 내의 스케줄 상태의 관계를 정하는 정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정의 데이타 테이블과, 스케줄의 예약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그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허가할 지를 판단하여 허가 장소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에 그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행하는 스케줄 데이타 등록 유닛과, 스케줄의 소유자로부터 스케줄의 승인/비승인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그 기존 스케줄의 표시를 할 지를 판단하고, 표시하기로 판단한 스케줄 데이타만 표시를 행하는 스케줄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줄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스케줄 관리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행할 때의 스케줄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나 회의실 등 시설의 스케줄을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상에서 관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스케줄 관리 시스템에서는 예약하는 사람 A가 어떤 사람 B에게 스케줄을 예약 등록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예약되는 사람 B의 스케줄을 표시하고, 빈 시간을 보고 가장 적합한 시간을 선택한다. 특개평 7-121610호에는 예약을 할 때에 행사의 계획서가 행사의 관계자와 이용 시설의 스케줄을 일괄하여 표시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상기 종래의 스케줄 관리 시스템에서는 스케줄의 소유자가 스케줄을 승인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전체 예약 스케줄이 표시된다. 또 확정한 스케줄이 존재해도 새롭게 중복하여 스케줄이 예약 등록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예약 등록이 완료된 스케줄의 상태에 따라 등록 완료된 스케줄을 표시할 지 새로운 중복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허가할 지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줄 소유자의 식별자와, 스케줄의 시간대, 용건 및 상태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타를 기억하는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과, 스케줄의 등록 및 표시와 상기 스케줄 데이타 내의 스케줄 상태의 관계를 정하는 정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정의 데이타 테이블과, 스케줄의 예약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그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허가할 지를 판단하고 허가인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에 그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행하는 스케줄 데이타 등록 유닛과, 스케줄의 소유자로부터 스케줄의 승인/비승인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해당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를 바꿔쓰는 스케줄 데이타 승인 유닛과, 스케줄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그 기존 스케줄의 표시를 할 지를 판단하고, 표시하기로 판단한 스케줄 데이타만 표시를 행하는 스케줄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스케줄 관리 시스템은 스케줄의 빈 시간 검색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그 스케줄의 시간대를 점유 시간으로 할 지를 판단하며, 점유 시간으로 한 경우에 그 스케줄의 시간대를 빈 시간으로부터 제외하고, 빈 시간의 표시를 행하는 빈 시간 검색 유닛을 포함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줄 관리 장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의 레코드 형식과 레코드의 예.
도 3은 정의 데이타 격납부의 정의예.
도 4는 스케줄 표시 요구 수신시의 플로우 차트.
도 5는 자신의 스케줄 데이타를 표시한 경우의 예.
도 6은 타인의 스케줄 데이타를 표시한 경우의 예.
도 7은 빈 시간 검색 요구 수신시의 플로우 차트.
도 8은 빈 시간 편람을 표시한 경우의 예.
도 9는 스케줄 예약 등록 요구 수신시의 플로우 차트.
도 10은 시스템의 일반적인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스케줄 관리 시스템
102 : 스케줄 관리 클라이언트
103 : 스케줄 관리 서버
106 :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
107 : 정의 데이타 격납부
108 :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
109 : 정의 데이타 조작부
110 : 통신 네트워크
(1)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스케줄 관리 시스템(101)은 스케줄 관리 클라이언트(102), 스케줄 관리 서버(103), 및 서버와 클라이언트을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클라이언트(102-1, 102-2) 각각에는 User 001, User 002 등의 사용자 ID가 할당되고, 스케줄 관리 서버(103)과 통신 네트워크(110)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클라이언트 2대를 도시했지만,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수는 이외에도 상관없다. 클라이언트는 입력된 데이타나 요구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송신하고, 또한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를 표시한다.
스케줄 관리 서버(103)은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 및 정의 데이타 조작부(109)로 이루어진다.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은 사람이나 시설의 스케줄 데이타를 격납하고,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 내의 데이타 조작(등록, 참조, 변경, 삭제)를 행한다.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은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이나 표시 시의 처리를 정의하는 정의 데이타를 격납하고, 정의 데이타 조작부(109)는 정의 데이타의 설정을 행한다.
서버(103), 클라이언트(102)는 각각 입출력 장치, CPU, 메모리,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 등의 계산기이다. 클라이언트측의 요구나 데이타의 송신,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의 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서버상의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 정의 데이타 조작부(109)는 서버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데이타 격납부(106, 107)은 서버의 메모리(주 메모리 및/또는 외부 기억 장치)에 의해서 실현된다.
통신 네트워크(110)은 LAN(Local Area Network)등의 범용 네트워크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은 통신 네트워크(110)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에 의존해서 행해진다. 네트워크가 LAN인 경우 그 프로토콜은 TCP/IP이다.
도 2는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의 레코드 형식과 레코드의 예를 도시하고있다. 그 레코드는 사용자 ID, 예약 상태, 개시 일시, 용건, 스케줄 번호, 및 등록자 ID로 이루어진다. 스케줄 번호는 스케줄 데이타의 식별자가 된다. 사용자 ID는 스케줄의 소유자를 표시해 두고,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사용자 ID는 시설명 예를 들면 제1 회의실, A 응접실이라도 좋고, 이 경우 스케줄의 조정은 시설의 관리자가 행한다. 사용자 ID 및 시설명은 시스템 내에서 유일하다.
예약 상태는 예약 등록된 스케줄의 상태로서 승인, 비승인, 보류, 및 미판독이 있다. 후술하는 도 2의 -는 자기 자신이 등록한 스케줄 데이타를 표시하고 있다. 개시 일시는 스케줄의 개시 일시, 종료 일시는 스케줄의 종료 일시, 용건은 스케줄의 용건을 표시하고 있다. 등록자 ID는 스케줄을 예약 등록한 사람을 표시한다. 또, 스케줄 데이타는 스케줄의 목적, 장소, 참가자 등의 추가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도 2의 예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ID를 위한 스케줄 데이타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순번대로 1개의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용자 ID마다에 포인터를 가지고 있고, 그 포인터는 그 사용자 ID가 소유하는 스케줄 데이타 중 가장 빨리 등록된 레코드를 가르킨다. 또, 각 레코드도 다음 등록된 레코드를 가르키는 포인터를 가지고 있고, 스케줄 데이타는 등록된 순서대로 체인화되어 간다. 이 방법 이외에도 다른 형식으로 도 2의 테이블을 실현해도 좋다.
도 3은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의 정의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스케줄의 예약 상태에 따라 스케줄 데이타 표시 요구 또는 예약 등록 요구를 받은 경우에 어떻게 처리를 할 것인가를 정의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시스템은 스케줄 데이타의 표시 요구를 받은 경우에 승인 또는 미판독 상태의 스케줄 데이타의 표시를 행하고, 비승인 또는 보류 상태의 스케줄 데이타의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의 스케줄 관리 시스템은 빈 시간 검색 기능을 가지고 있고, 빈 시간 검색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도 3의 표시 정의에 따라서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즉, 승인 또는 미판독 상태의 스케줄 데이타에 대해서는 스케줄이 존재하고 있다고 하고, 비승인 또는 보류 상태의 스케줄 데이타에 대해서 그 시간대는 빈 시간으로 한다.
또, 타인으로부터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등록 요구를 받은 경우에, 이미 그 시간대에 스케줄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신규 예약 등록을 접수할 지 여부도 정의 데이타 등록부(107)에 정의된다. 실시예의 경우, 그 기존 스케줄 데이타가 승인 상태이라면, 등록을 거부하고, 한편 그 기존 스케줄이 비승인, 보류, 미판독 상태라면 신규 스케줄 데이타를 등록한다.
도 3의 정의 데이타(107)은 시스템에 1개 존재하고, 전체 사용자나 시설에 적용되어도 좋다. 다른 방법으로서 정의 데이타는 각 사용자나 시설 마다에 정의되고, 사용자나 시설이 소유하는 스케줄의 등록, 표시의 경우에 대응하는 정의 데이타가 참조되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 정의 데이타는 스케줄 관리 서버(103)상에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작성된다. 한편, 후자의 경우 정의 데이타는 클라이언트(102)상에서 사용자나 시설 관리자에 의해 작성되고, 서버(103)에 보내진다. 어느 경우라도 정의 데이타는 서버(103)의 정의 데이타 조작부(109)를 경유하여 작성/갱신된다.
(2) 시스템의 동작
도 10에 스케줄 관리 시스템(101)의 일반적인 사용법 및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ID; User 001의 사용자(이하 User 001로 약함)가 ID; User 002의 사용자(이하 User 002로 약함)에게 스케줄 예약을 행한다.
User 001의 클라이언트(102-1)에 메뉴가 표시되고, User 001이 스케줄 예약 등록을 선택하면 또한 도 2의 레코드의 항목 입력을 위한 화면으로 바뀐다. User 001이 레코드의 항목 입력을 종료하고 송신 버튼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102-1)은 입력된 항목을 예약 등록 요구(1001)로서 서버(103)에 송신한다.
서버(103)의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예약 등록 요구를 체크하여(후술) User 002의 스케줄 데이타로서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에 등록하고, 클라이언트(102-1)에 등록 OK(1002)를 스케줄 번호와 함께 송신한다. 이 때, 이 데이타의 예약 상태는 미판독이 된다.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버(103)은 User 002에게 새로운 스케줄의 예약 등록이 된 것을 통지해도 좋다.
User 002의 클라이언트(102-2)에 메뉴가 표시되고, User 002가 스케줄 표시를 선택하면 클라이언트(102-2)는 스케줄 표시 요구(1003)을 송신한다. 서버(103)은 User 002에 속하는 스케줄 데이타의 일부를 선택하고(후술), 그 때 선택된 미판독 레코드는 보류로 예약 상태를 변경한다. 다음에, 서버(103)은 클라이언트(102-2)에 표시 데이타로서 선택한 스케줄 데이타를 송신한다(1004).
클라이언트(102-2)는 송신되어 온 표시 데이타를 도 5에 도시한 모양으로 표시한다. User 002는 보류 스케줄(예를 들면 502)을 선택하고 풀다운 메뉴 등을 이용하여 그 스케줄의 승인/비승인을 행한다. 승인/비승인은 클라이언트(102-2)로부터 서버(103)에 승인 요구(1005) 또는 비승인 요구로서 송신된다. 서버(103)은 그 레코드의 예약 상태를 승인 또는 비승인으로 변경하고, 변경이 행해진 것을 클라이언트(102-2)에 통지한다(1006).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버(103)은 User 001에 예약 등록한 스케줄이 승인되었는지 여부를 통지해도 좋다.
다시 한번, User 001이 클라이언트(102-1)상의 메뉴로부터 예약 확인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102-1)은 User 001이 예약 등록을 행한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번호와 함께 예약 확인 요구(1007)을 송신한다. 서버(103)은 송신되어 온 스케줄 번호를 가지는 스케줄 데이타를 조사하고 그 예약 상태(도 10의 경우는 승인; 1008)를 클라이언트(102-1)에 송신한다.
(3) 서버의 동작
스케줄 관리 서버(103)의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버(103)이 클라이언트(102)로부터 사용자 ID가 User 001이 되는 사용자의 1997년 6월 30일 부터 7일간의 스케줄 데이타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스케줄 표시 요구를 수신했다고 하자.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의 스케줄 표시 처리가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단계(401)에서는 표시 처리는 참조쪽 사용자 ID, 개시 일시, 및 일수에 각각 검색 키로서 수신한 스케줄 표시 요구내의 User 001, 1997년 6월 30일, 7일을 설정한다.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의 사용자 ID User 001의 스케줄 데이타로부터 검색 키의 조건에 맞는 데이타(레코드)를 취득한다. 도 2의 레코드 예에서는 번호 1로부터 번호 8까지가 취득된다(단계 402). 요구원의 사용자 ID와 참조쪽 사용자 ID를 비교한다(단계 403).
만약 일치한다면 스케줄의 소유자로부터의 표시 요구이므로 단계(402)에서 취득한 데이타 중 미판독인 예약 상태를 가지는 레코드에 해당하는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의 레코드의 예약 상태를 보류로 변경한다(단계 410). 그 후 단계(402)에서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를 전부 표시 데이타로서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단계 409). 단계(410)에서는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내의 데이타의 예약 상태만 갱신하므로 클라이언트에 송신되는 표시 데이타 내의 미판독은 변경되지 않는다.
이 표시 데이타의 클라이언트상에서의 표시예를 도 5에 표시한다. 도 5의 501은 도 2의 번호 1에, 502는 번호 2에, 503은 번호 3에, 504는 번호 8에, 505는 번호 4의 레코드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단계(403)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402)에서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 건수를 변수 카운트로 대입하고(단계 404),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 편람의 선두 데이타로부터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인지 아닌지 비교한다(단계 405). -이면, 예약 스케줄 데이타는 아니고 참조쪽의 사용자가 스스로 설정한 스케줄이므로, 무조건적으로 스케줄 데이타를 표시용의 데이타에 첨가한다(단계 407). 단계(405)에서 예약 스케줄 데이타라면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와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의 데이타로부터 표시의 가부를 판단한다(단계 406). 이 때, 정의 데이타가 시스템에 1개 정의되어 있는 경우는 그 정의 데이타를 참조한다. 정의 데이타가 사용자 ID 마다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는 스케줄의 소유자(User 001)을 위한 정의 데이타를 참조한다. 정의 데이타내의 표시 데이타와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를 비교하여 ○의 스케줄 데이타만을 선택한다(단계 407). 도 3의 예에서는 예약 상태가 승인 및 미판독의 레코드만이 표시 대상이 되고, 도 5의 User 001의 스케줄 데이타 중 번호 1, 2, 및 5가 선택된다. 변수 카운트의 값을 1 감산하여(단계 408), 변수 카운트가 0보다도 큰 동안에는 단계(405)로부터 단계(408)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표시하는 스케줄 데이타를 확정하면 표시 요구원 클라이언트에 스케줄 데이타를 송신한다(단계 409).
이 표시예의 클라이언트상에서의 표시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의 참조 번호 601은 도 2의 번호 1에, 참조 번호 602는 번호 2에, 참조 번호 603은 번호 8의 레코드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한편, 도 5는 비교를 위해 참조쪽의 사용자 User 001이 클라이언트(102)에서 스스로 보는 스케줄 데이타의 편람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5의 참조 번호 503은 스케줄의 예약 상태가 보류이고, 도 3의 정의 데이타를 취득하면 표시 불가이므로 도 6의 타인이 참조하는 스케줄 편람에서는 503에 해당하는 스케줄 데이타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 클라이언트상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표시된 스케줄 데이타의 1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풀다운 메뉴등으로 상세 정보 표시를 지시하면 클라이언트는 도 2에 있는 전체의 항목을 표시한다.
서버(103)이 클라이언트(102)의 사용자(User 002)로부터 다른 사용자(User 001)의 빈 시간 검색 요구를 수신했다고 하자.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의 스케줄 검색 처리가 도 7에 도시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User 002는 검색 조건으로서 1997년 6월 30일의 1시간을 설정했다고 하자.
단계(701)에서 검색 처리는 검색 키로서 참조쪽의 사용자 ID와 일시와 검색 시간을 수신한 빈 시간 검색 요구내의 각각 User 001, 1997년 6월 30일, 1시간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102)는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으로부터 사용자 ID가 User 001이고, 일시가 1997년 6월 30일인 스케줄 데이타를 취득한다. 도 2의 레코드의 예에서는 번호 1로부터 번호 8까지가 취득된다(단계 702).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의 건수를 변수 카운트로 대입하고(단계 703),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 편람의 선두 데이타로부터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인 지를 비교한다(단계 704). -이다면, 참조쪽의 사용자가 스스로 설정한 스케줄이므로 무조건적으로 단계(706)으로 진행하고, 그 스케줄 데이타의 시간대를 사용 시간대(빈 시간이 아닌 시간대)로서 기억하고, 단계(707)로 진행한다. -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705)에서,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를 이용하여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의 정의로부터 표시 가부 정보를 취득한다. 어느 정의 데이타를 참조할 것인가는 스케줄 표시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표시 가능이라고 정의되어지는 것이 되면, 그 예약 스케줄은 확정하고 있는 스케줄로서 다룬다. 즉, 단계(706)에서 그 스케줄 데이타의 시간대를 사용 시간대로서 기억하고, 단계(707)로 진행한다.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표시 불가로 정의되어지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단계(707)로 진행한다. 즉, 그 스케줄 데이타의 시간대를 빈 시간대로 다룬다. 단계(707)에서 변수 카운트의 값을 1 감산하고, 이하는 변수 카운트가 0보다도 큰 동안은 단계(704)로부터 단계(707)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단계(708)에서는 기억된 사용 시간대의 데이타를 반영하여 빈 시간 검색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정된 기간내, 본 예의 경우, 1997년 6월 30일의 영시로부터 24시 까지의 사이에서, 기억된 사용 시간대 이외에서 또 1시간 이상 연속하는 시간대를 빈 시간으로 한다. 빈 시간이 확정되면 클라이언트에 빈 시간의 편람을 송신한다(단계 709).
이 빈 시간 편람의 클라이언트 상에서의 표시예를 도 8에 표시한다. 클라이언트 상에서는 사용자가 도 8과 같이 표시된 빈 시간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고 예약 등록을 풀다운 메뉴 등에서 지정하는 것에 의해 서버(103)에게 예약 등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3)이 클라이언트(102)로부터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등록 요구를 수신했다고 하자.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의 스케줄 예약 등록 처리가 도 9에 도시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User 002의 사용자가 User 001의 사용자에 대해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등록을 행하는 예를 든다.
단계(900)에서 예약 등록 처리는 검색키로서 수신한 예약 등록 요구내의 등록쪽 사용자 ID(User 001)과 검색 일시(1997년 6월 30일)을 설정한다. 서버(103)의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으로부터 사용자 ID User 001의 검색 일시의 스케줄 데이타의 편람을 취득한다. 도 2의 레코드 예에서는 번호 1로부터 번호 8까지의 스케줄 데이타가 취득된다(단계 901). 다음으로 단계(902)에서,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 건수를 변수 카운트로 대입한다. 다음으로 단계(903)에서, 수신한 예약 등록 요구로부터 등록을 하고자 하는 새로운 스케줄 데이타 개시 시간/종료 시간을 취출한다. 단계(901)에서 취득한 스케줄 데이타의 선두 데이타로부터 순차 체크하고, 새로운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에 지장이 없는 지를 확인한다.
우선, 단계(904)에서는 등록하고자 하고 있는 새로운 스케줄의 시간대가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시간대와 중복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중복하고 있지 않으면 곧바로 단계(907)로 진행한다. 일부라도 중복하고 있으면 단계(905)에 진행하고, 기존 스케줄 데이타가 예약 스케줄인 지를 조사한다. 예약 스케줄이 아니라면, 즉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이다면 단계(907)로 진행한다. 예약 스케줄이라면, 단계(906)으로 진행하고, 그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와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로부터 등록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때, 정의 데이타가 시스템에 1개 정의되어 있는 경우는 그 정의 데이타를 참조한다. 정의 데이타가 사용자 ID마다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는 스케줄 등록쪽의 사용자 ID(이 경우 User 001)를 위한 정의 데이타를 참조한다.
정의 데이타내의 등록 데이타와 기존 스케줄의 예약 상태를 비교하여, ○인 경우는 새로운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을 허가한다. 도 3의 정의라면, 판정 대상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승인인 경우만 새로운 스케줄의 등록 불가이고, 승인 이외의 경우는 등록 가능이다. 등록 가능의 경우는 907로 진행한다. 단계(907)에서는 변수 카운트의 값으로부터 1이 감산되고, 이하는 다음 기존 스케줄 데이타에 관한 단계(904) 내지 (906)의 체크가 반복된다.
반복에 의해 변수 카운트 값이 0에 도달했을 때는 검색 일시의 전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가 새로운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에 지장이 없다고 확인되었으므로, 단계(908)에서 새로운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을 행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예약 등록 완료를 통지하여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반복 중간에, 단계(906)에서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등록 불가로 대응하고 있으면, 바로 단계(909)로 진행하여 새로운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이 불가능함을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909)에서 신규 스케줄 데이타의 시간대의 수정 입력을 요구하는 통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고, 수정 입력이 있은 경우는 단계(900)으로부터의 처리를 재차 행하도록 변형해도 좋다.
이외에도 서버(103)의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이하의 것을 행한다.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로부터 보류 상태의 스케줄 데이타의 승인/비승인 요구(1005)를 수신하면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요구 송신원 사용자 ID와 대상 스케줄 데이타의 소유자 사용자 ID를 체크한다. 양자가 일치하고 있고 그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가 보류의 경우에만 수신 요구에 따라서 그 예약 상태를 갱신하고, 요구 송신원에 갱신 완료를 통지한다(1006).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예약 등록한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의 확인 요구(1007)을 수신하면,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해당 스케줄 데이타의 예약 상태를 독출하여 요구 송신원에 송신한다(1008).
또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줴적으로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내의 스케줄 데이타를 조사하고, 시스템에서 정해진 보존 기간을 경과한 스케줄 데이타를 삭제한다. 예를 들면, 보존 기간 3개월로 되어 있는 경우, 스케줄 데이타의 일시로부터 3개월 경과한 데이타가 삭제된다. 이 오래된 스케줄 데이타의 삭제에 관해서는 사용자 ID 마다에 보존 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스케줄 데이타 삭제 요구에 따라서 삭제해도 좋다.
스케줄 데이타 조작부(108)은 줴적으로 스케줄 데이타 격납부(106)내의 스케줄 데이타를 조사할 때, 과거의 스케줄 데이타를 격납부(106)과는 다른 별도의 장소에 이동시켜서 보존해도 좋다.
(5) 변형
실시예에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서버간에서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을 행하는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지만 서버·클라이언트의 기능을 통합하고, 1대의 컴퓨터와 복수의 단말 또는 원격 단말로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또, 도 9에서는 예약 상태가 -인 기존 스케줄, 즉 본인이 설정한 기존 스케줄과 등록 스케줄의 중복은 항상 허가하고 있다. 이것을 변형하여 본인이 설정한 스케줄도 그 확정 상태를 분류하여 부속 데이타로서 정의 데이타에 등록해 둔다. 스케줄 예약 등록 처리에 있어서, 확정 정도가 높은 분류의 경우는 타인으로부터의 신규 스케줄의 중복 예약 등록은 허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약 상태는 상기에서는 승인, 비승인, 보류, 미판독의 4개로서 설명했지만, 이것 이외에 가승인, 위임 등의 상태를 정의해도 좋다. 그 경우, 도 3의 항목에 가승인, 위임을 부가하여 정의하면, 마찬가지의 판단이 가능하다. 정의 데이타 격납부(107)의 정의에 따라서 표시, 등록 가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예약 상태에 대응하는 처리를 정의에 부가하여 쓰면 단계(406), (705), 및 (906)의 판정 처리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스케줄 표시 처리(도 4)에 있어서, 스케줄 소유자가 표시 요구를 행하면, 스케줄 데이타를 미판독으로부터 보류로 바꿔 쓰고 있다(단계 410). 이 대신에 표시 요구 수신시에는 스케줄 데이타를 바꿔 쓰지 않고 미판독 스케줄의 상세 정보 표시 요구를 스케줄 소유자로부터 수신한 때에 미판독으로부터 보류로의 데이타 바꿔쓰기가 행해져도 좋다.
본 발명은 타인으로부터 스케줄 참조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자신의 스케줄의 표시를 스스로 정의함으로써 등록되어져 있는 비승인 등의 예약 스케줄 데이타를 존재하고 있지 않는 것처럼 스케줄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 타인으로부터 빈 시간 검색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도 비승인 등의 예약 스케줄 데이타를 빈 시간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미 확정하고 있는 예약 스케줄 데이타에 타인으로부터 스케줄 데이타의 등록 요구(예약)을 수신한 경우에 등록 거부를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스케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줄 소유자의 식별자와, 스케줄의 시간대, 용건 및 상태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타를 기억하는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스케줄의 등록 및 표시와 상기 스케줄 데이타내의 스케줄 상태의 관계를 정하는 정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정의 데이타 테이블;
    스케줄의 예약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허가할 지를 판단하고, 허가인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에 상기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행하는 스케줄 데이타 등록 수단;
    스케줄의 소유자로부터 스케줄의 승인/비승인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 내의 해당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를 바꿔 쓰는 스케줄 데이타 승인 수단; 및
    스케줄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기존 스케줄의 표시를 할 지를 판단하고, 표시를 하는 것으로 판단한 스케줄 데이타만의 표시를 행하는 스케줄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스케줄이 빈 시간 검색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스케줄의 시간대를 점유 시간으로 할 지를 판단하고, 점유 시간으로 한 경우에 상기 스케줄의 시간대를 빈 시간으로부터 제외하고, 빈 시간의 표시를 행하는 빈 시간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 데이타 테이블은 시스템에 1개 존재하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 데이타 테이블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마다에 존재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등록 수단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수단은 스케줄을 등록·표시하는 사용자(스케줄의 소유자)의 정의 데이타 테이블을 참조하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는 스케줄 데이타 등록 수단에 의해 상기 스케줄이 신규로 등록된 경우에 미판독이 되고, 스케줄 데이타 승인 수단에 의해 상기 스케줄의 소유자에게 승인된 경우에 승인, 승인되지 않았던 경우에 비승인으로 바꿔 쓰여지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는 스케줄 데이타 표시 수단에 의해 상기 스케줄의 소유자로 판독된 경우에 보류로 바꿔 쓰여지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관리 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와 양자를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과 상기 정의 데이타 테이블은 상기 서버에 포함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등록 수단, 상기 스케줄 데이타 승인 수단,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수단은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의해 분산하여 실현되는 스케줄 관리 시스템.
  8. 스케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 소유자의 식별자와, 스케줄의 시간대, 용건 및 상태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타를 기억하는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을 준비하고,
    스케줄의 등록 및 표시와 상기 스케줄 데이타내의 스케줄 상태의 관계를 정하는 정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정의 데이타 테이블을 준비하고,
    스케줄의 예약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허가할 지를 판단하고, 허가인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에 상기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행하고,
    스케줄의 소유자로부터 스케줄의 승인/비승인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해당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를 바꿔 쓰고,
    스케줄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기존 스케줄의 표시를 할 지를 판단하고, 표시를 하는 것으로 판단한 스케줄 데이타만 표시를 행하는 스케줄 관리 방법.
  9. 기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계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스케줄 관리를 행하기 위하여,
    스케줄의 예약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스케줄 소유자의 식별자와, 스케줄의 시간대, 용건 및 상태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타를 기억하는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스케줄의 등록 및 표시와 상기 스케줄 데이타 내의 스케줄 상태의 관계를 정하는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허가할 지를 판단하고, 허가인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에 상기 예약 스케줄의 등록을 행하는 단계;
    스케줄의 소유자로부터 스케줄의 승인/비승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해당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를 바꿔쓰는 단계;
    스케줄의 표시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기존 스케줄의 표시를 할 지를 판단하고, 표시를 한다고 판단한 스케줄 데이타만 표시를 행하는 단계; 및
    스케줄의 빈 시간 검색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스케줄 데이타 테이블내의 기존 스케줄 데이타의 스케줄 상태와 상기 정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스케줄의 시간대를 점유 시간으로 할 지를 판단하고, 점유 시간으로 한 경우에 상기 스케줄의 시간대를 빈 시간으로부터 제외하고 빈시간 표시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기억 장치.
KR1019980058686A 1997-12-26 1998-12-24 스케줄관리시스템 KR100310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9280 1997-12-26
JP35928097A JPH11191120A (ja) 1997-12-26 1997-12-26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のスケジュール表示方法および予約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477A true KR19990063477A (ko) 1999-07-26
KR100310264B1 KR100310264B1 (ko) 2002-01-15

Family

ID=1846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686A KR100310264B1 (ko) 1997-12-26 1998-12-24 스케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56962B2 (ko)
JP (1) JPH11191120A (ko)
KR (1) KR100310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89B1 (ko) * 2000-08-11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설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7580A1 (en) * 1999-12-01 2005-02-03 Richard Crici Internet-based appointment scheduling system
WO2001088797A1 (en) * 2000-05-16 2001-11-22 Leading Edge Co., Ltd. Schedule managing character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JP4509326B2 (ja) * 2000-07-31 2010-07-21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監視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2065240A2 (en) * 2001-02-09 2002-08-22 Personal Genie, Inc. Calendaring systems and methods
US8781873B2 (en) * 2001-04-02 2014-07-15 Siebel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activities
JPWO2002099656A1 (ja) * 2001-05-31 2004-09-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40215592A1 (en) * 2001-06-20 2004-10-28 Satoshi Matsuura Network system and agent server
JP2003076767A (ja) * 2001-08-31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ース業務支援方法、リース業務支援システム、リース業務支援サーバ、リース業務支援プログラム
JP3538176B2 (ja) * 2001-11-28 2004-06-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222241B2 (en) * 2002-02-25 2007-05-22 Info Data, Inc. Building security and access protection system
US7379889B2 (en) * 2002-03-05 2008-05-27 Getthere Inc. Interactive calendar interface for defining and displaying date ranges
JP3986346B2 (ja) * 2002-03-28 2007-10-03 富士通株式会社 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4170742B2 (ja) * 2002-11-29 2008-10-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通信端末、サーバ、ダウンロード方法
JP4086714B2 (ja) * 2003-05-27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データ表示方法、並びに記憶媒体
DE10349735A1 (de) * 2003-10-23 2005-05-25 Schöler, Tanja Datenverwaltungssystem
US7821875B2 (en) * 2004-07-01 2010-10-26 Nokia Corporation Daylight saving time support for mobile devices
JP5184745B2 (ja) * 2005-11-14 2013-04-17 ピーアンドダブリュ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不足要員を補充する方法及び当該方法を実現するコンピュータ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43394A1 (en) * 2005-12-21 2007-06-21 Microsoft Corporation Server based date/time coordinate system
US20080155618A1 (en) * 2006-12-20 2008-06-26 Steven Grad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content sources
US8249906B2 (en) * 2007-02-12 2012-08-21 Pma Technologies, Llc Interactive graphics-based planning systems
US8086478B2 (en) * 2007-03-29 2011-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flicting calendar entries
US8082274B2 (en) * 2007-06-28 2011-12-20 Microsoft Corporation Scheduling application allowing freeform data entry
JP4479761B2 (ja) * 2007-08-07 2010-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会議システム、接続方法
US20090063239A1 (en) * 2007-08-30 2009-03-05 Ib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lectronic Calendar with an Indication of Timeslot Availability Dependent on the Importance of a Requester
US20090083112A1 (en) * 2007-09-24 2009-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Event Modification in Electronic Calendar Systems
US20100076804A1 (en) * 2008-09-23 2010-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venting scheduling conflicts when proposing new times for calendar events
US8688489B2 (en) * 2008-09-23 2014-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ously rescheduling appointments
US8160911B2 (en) * 2009-05-19 2012-04-17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 management applications utilizing summary tasks for top-down project planning
US8620709B2 (en) * 2011-02-11 2013-12-31 Avaya, Inc Mobile activity manager
US9235826B1 (en) * 2011-06-16 2016-01-12 Google Inc. Managing delayed participation in a communication session
KR101893931B1 (ko) * 2011-08-31 2018-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30085796A1 (en) * 2011-10-03 2013-04-04 Frank Ruffolo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Management
US20130275173A1 (en) * 2012-04-11 2013-10-17 Bioproduction Group Real-Time Publishing of Finite Schedules and Real-Time Response to Schedule Changes
US20130290055A1 (en) * 2012-04-29 2013-10-31 Alon Konchitsky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cheduling of events
CN105138630A (zh) * 2015-08-19 2015-12-0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日程提示方法及终端
JP6321756B2 (ja) * 2016-10-28 2018-05-09 株式会社リクルートホールディングス 予約管理装置、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CN106557911B (zh) * 2016-11-29 2021-03-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日程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JP6970846B1 (ja) * 2021-04-08 2021-11-24 株式会社電通 予定設定システム、予定設定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191A (en) * 1987-01-29 1989-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alendaring method to establish calendar floating triggers for calendared events and processes
US4817018A (en) * 1987-01-29 1989-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alendaring method which provides for automatic assignment of alternates in requested events
US4831552A (en) * 1987-01-29 1989-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ncurrently displaying entries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electronic calendars based on interactively entered non-temporal criteria
US4807155A (en) * 1987-01-29 1989-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alendaring method for confirmation of resource availability during event calendaring
US4807154A (en) * 1987-01-29 1989-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eveloping automatic replies in an interactive electronic calendaring system
US4866611A (en) * 1987-01-29 1989-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nciling entries on two copies of independently maintained electronic calendars
US5070470A (en) * 1987-12-18 1991-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handling calendar informa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261045A (en) * 1987-12-18 1993-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exchanging entries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electronic calendars based on interactively entered criteria
US5093901A (en) * 1988-09-30 1992-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xchanging electronic calendars based on entries and classification among users of the system
US5303145A (en) * 1990-12-26 1994-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eting confirma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519606A (en) * 1992-01-21 1996-05-21 Starfish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s for appointment reconciliation
US5774867A (en) * 1993-03-25 1998-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eting conflict resolution for electronic calendars
JPH07121610A (ja) 1993-10-27 1995-05-12 Hitachi Ltd スケジュール表示方式
US5781731A (en) * 1995-09-21 1998-07-14 Hitachi, Ltd. Schedule management support system
JPH09330356A (ja) 1996-06-11 1997-12-22 Hitachi Ltd 施設の予約管理方法
JPH1091685A (ja) * 1996-09-17 1998-04-10 Hitachi Ltd 多段階空き時間検索システム
US6101480A (en) * 1998-06-19 2000-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Electronic calendar with group scheduling and automated scheduling techniques for coordinating conflicting schedu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89B1 (ko) * 2000-08-11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설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264B1 (ko) 2002-01-15
JPH11191120A (ja) 1999-07-13
US20010029460A1 (en) 2001-10-11
US6856962B2 (en) 200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264B1 (ko) 스케줄관리시스템
US8219431B2 (en) Workflow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workflow including plural hierarchically-classified tasks
US6859823B1 (en) Workflow server and workflow system control method
US9916552B2 (en) Workflow system and method with skip function
JP2004535628A (ja) イベント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040112A (ja) 会議室予約システム、会議室予約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243413A (ja) 名刺管理システム、方法、その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携帯端末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18190414A (ja) 会議室端末、会議室予約システム、質問調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62597A1 (en) Service notification system
JP2000315234A (ja) ワークフロー・サーバおよび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制御方法
EP2538349A2 (en) Server, inter-business enterprise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016007A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電子機器システム
WO2003032113A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nd tracking retail store resets and remodels
JP2538756B2 (ja) 確認通知方法及び確認通知伝送装置
JP7241327B2 (ja) 入店情報処理装置、入店管理システム、入店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128583B1 (ja) 予約受付システム
JP4431300B2 (ja) 電子文書回覧システム
JP2006107282A (ja) コミュニティ管理システム、コミュニティサーバ、コミュニティ管理方法、及びコミュニティ管理プログラム
JP2004172769A (ja) 連絡先管理方法、連絡先管理システム、及び勤怠管理システム
JP3623736B2 (ja) 投票による会場予約システム、方法、会場投票・予約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会場予約サーバ
JP4446639B2 (ja)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729907B1 (ja) グループ管理システム、グループ管理方法、プログラム
US20020059182A1 (en)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operation assistance method
JP2003108794A (ja) ジョブ管理方法およびアサインシステム
JP2001306766A (ja) 名刺管理・名刺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