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080A -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080A
KR19990053080A KR1019970072652A KR19970072652A KR19990053080A KR 19990053080 A KR19990053080 A KR 19990053080A KR 1019970072652 A KR1019970072652 A KR 1019970072652A KR 19970072652 A KR19970072652 A KR 19970072652A KR 19990053080 A KR19990053080 A KR 1999005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oybean cul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훈
장이섭
홍승기
권순상
문창배
김진한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7007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080A/ko
Publication of KR1999005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080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력과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두 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한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보습력과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보습력과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두 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한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보습력과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두는 고래로부터 된장, 청국장 등의 전통식품으로서 애용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된장의 항암효과가 알려지면서 된장의 주요 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청국장 중에 함유된 다당류는 보습성이 뛰어나고, 미백, 면역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고초균(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을 가열 멸균된 대두에 특수발효시킴으로써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인 필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보습력이 우수한 폴리글루타민산(PGA)이 추출물의 주성분을 구성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대두배양 추출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 보습력과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습력과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시험예 1에서 대두배양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보습력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고초균(바실러스 나토)을 대두 배양액에 접종한 후 발효시킨 대두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한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대두배양 추출물은 하기의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
(1) 가열멸균공정 :
대두를 10~15시간정도 물에 불리고, 이온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고압멸균기(autoclave)에서 100~121℃의 범위에서 약 2시간 가열멸균한다.
(2) 배양공정 :
멸균된 대두를 40℃로 냉각시키고, 활성화된 고초균 접종액을 총 대두 질량에 대해 5~10% 접종한 후, 35~40℃에서 약 36시간 동안 배양한다.
이때, 이용할 수 있는 고초균은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IFO 3013, IFO 3335, IFO 3336, KCCM 12511, KCCM 12512, KCCM 12513 등의 기탁균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본 ICHIMARU社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FSP-Liquid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종액은 고초균을 영양배지(Neutrient Brooth 8g/ℓ에 107~8/㎖ 농도로 접종한 것이다.
(3) 추출 및 정제공정 :
배양이 완료된 대두 배양액에 이온수를 적당량 첨가하여 대두 표면의 점인상 물질이 이온수에 용해되도록 충분히 교반한 후, 여과하여 투명한 추출액을 얻는다.
(4) 결정화공정 :
투명한 추출액에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의 용매를 적당량 첨가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감소시켜 백색 침전물을 얻는다. 얻은 침전물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켜 백색분말을 얻는다.
상기한 (4)공정에서 얻은 백색분말을 그대로 화장료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수용액으로 만들어 화장료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은 대두배양 추출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의 분석표(%)를 얻었다.
Asp 1.75 Thr 0.54 Cys 0.24
Glu 66.2 Ala 1.60 Ile 0.69
Ser 1.44 Pro 1.53 Leu 0.69
Gly 2.12 Tyr 0.69 Phe 0.34
His 1.97 Val 0.82 Lys 10.08
Arg 8.05 Met 1.37
이하, 시험예를 통하여 상기한 공정에 의해 얻은 대두배양 추출물의 보습력과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1> 보습력 측정시험
<1-1> 시험처방예
원료명 %
대두배양 추출물 0.05 0.1 0.5 1 2 5
에탄올 3.0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1-2> 시험방법
측정 장치로는 측정 전극 면적이 2.22㎠인 Coneometer(독일)를 사용하였고, 측정 장소인 항온항습실의 조건은 온도 24℃, 습도 40%이었다. 측정 시료를 피검자의 하박 내측면에, 각각의 시료를 30~60㎕의 양으로, 직경 2㎝ 정도로 도포하고, 1시간 후에 측정한다. 측정인 4일간 반복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3> 결과
시험 결과는 도 1에 그래프로서 도시하였다. 추출물의 함량이 1%까지는 보습력이 점점 향상되었으나, 1% 이후에는 거의 일정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2-1> 시험방법
효소 티로시나제는 시그마(SIGMA)社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L-Tyrosin) 용액을 0.5㎖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인산염 완충용액(0.1M, pH6.8) 0.5㎖, 추출물 50㎕, 티로시나제 용액 50㎕와 이온수 0.4㎖를 첨가하여 37℃ 항온조에서 10분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추출물 대신 용매만을 50㎕ 넣었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서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분광분리계로 파장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2> 결과
시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시험 농도 티로시나제 저해율(%)
대두배양 추출물 0.01 67.3
0.5 98.5
아스코르빈산 0.01 53.7
0.5 72.4
상기한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대두배양 추출물은, 종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공지된 아스코로빈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고초균을 대두 배양액에 접종한 후 발효시킨 대두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한 대두배양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보습력과 미백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화장료의 제형을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조성물을 구성하는 그외 성분들은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따라 당업자라면 적의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시험예를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제형의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실시예 1> 유연화장수
원 료 명 %
1. 1,3-부틸렌글리콜2. 글리세린3. 에탄올4. 사과추출물5. 카르복시비닐폴리머6. 판테놀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9.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10. 대두배양 추출물11. 색소12. 향료13. 정제수 2.02.015.00.10.10.10.010.150.150.01적량적량to 100
[제조방법]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실시예 2> 영양화장수
원 료 명 %
1. 글리세린2. 알란토인3. 유동파라핀4. 스쿠알렌5. 스테아린산6.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8.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9. 알라나이드 베이스10. 트리에탄올아민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12. 사과추출물13. 폴리솔베이트 6014. 대두배양 추출물15. 향료16. 색소17. 정제수 2.00.17.05.00.10.20.20.010.20.10.20.010.20.03적량적량to 100
[제조방법]
유상과 수상을 각각 70℃로 가열, 혼합한 후 유화하여 실온으로 냉각한다.
<실시예 3> 에센스
원 료 명 %
1. 폴리솔베이트 602. 스쿠알렌3. 글리세린4. 1,3-부틸렌글리콜5. 알란토인6. 에탄올7. 사과추출물8. 하이드로마린9. 판테놀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1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12.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13.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14. 대두배양 추출물15. 트리에탄올아민16. 향료17. 색소18. 정제수 1.05.05.02.00.110.00.12.00.10.10.20.20.011.00.15적량적량to 100
[제조방법]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실시예 4> 영양크림
원 료 명 %
1. 글리세린2. 1,3-부틸렌글리콜3. 유동파라핀4. 프로필렌글리콜5. 폴리솔베이트 606. 밀납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9. 스쿠알렌10. 액상 라놀린11. 트리에탄올아민12.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13. 알란토인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15. 대두배양 추출물16. 향료17. 색소18. 정제수 7.02.05.03.01.53.00.12.05.05.00.10.50.10.10.05적량적량to 100
[제조방법]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실시예 5> 맛사지 크림
원 료 명 %
1. 세토스테아릴 알콜2.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3. 글리세린4. 폴리솔베이트 605. 유동파라핀6. 스쿠알렌7. 1,3-부틸렌글리콜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9.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1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11. 트리에탄올아민12. 옥틸도데칸올13.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15. 실리콘오일16. 액상 라놀린17. 대두배양 추출물18. 향료19. 색소20. 정제수 3.03.55.00.140.05.02.00.20.10.010.15.01.50.10.55.00.05적량적량to 100
[제조방법]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습력과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고초균(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을 대두 배양액에 접종한 후 발효시킨 대두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한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두배양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두배양 추출물은 하기의 공정에 의해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1) 가열멸균 공정 :
    대두를 10~15시간정도 물에 불리고, 이온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고압멸균기(autoclave)에서 100~121℃의 범위에서 약 2시간 가열멸균한다.
    (2) 배양 공정 :
    멸균된 대두를 40℃로 냉각시키고, 활성화된 고초균 접종액을 총 대두 질량에 대해 5~10% 접종한 후, 35~40℃에서 약 36시간 동안 배양한다.
    (3) 추출 및 정제 공정 :
    배양이 완료된 대두 배양액에 이온수를 적당량 첨가하여 대두 표면의 점인상 물질이 이온수에 용해되도록 충분히 교반한 후, 여과하여 투명한 추출액을 얻는다.
    (4) 결정화 공정 :
    투명한 추출액에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의 용매를 적당량 첨가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감소시켜 백색 침전물을 얻은 후, 얻은 침전물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켜 백색분말을 얻는다.
KR1019970072652A 1997-12-23 1997-12-23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53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652A KR19990053080A (ko) 1997-12-23 1997-12-23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652A KR19990053080A (ko) 1997-12-23 1997-12-23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080A true KR19990053080A (ko) 1999-07-15

Family

ID=6609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652A KR19990053080A (ko) 1997-12-23 1997-12-23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0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55B1 (ko) * 2000-04-20 2003-02-17 주식회사 도도화장품 산소를 용해시킨 과플루오로데칼린과 대두에서 추출한유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686884B1 (ko) * 2006-01-16 2007-02-26 박명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무방부제 수용성 화장품 제조법
KR100723844B1 (ko) * 2005-07-11 2007-05-31 조정일 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증진 목욕제 및 피부미용제
KR100776441B1 (ko) * 2006-02-15 2007-11-28 이진희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KR100810006B1 (ko) * 2004-02-06 2008-03-07 오중산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5277B1 (ko) * 2010-11-25 2013-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료용 복합식물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55B1 (ko) * 2000-04-20 2003-02-17 주식회사 도도화장품 산소를 용해시킨 과플루오로데칼린과 대두에서 추출한유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810006B1 (ko) * 2004-02-06 2008-03-07 오중산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3844B1 (ko) * 2005-07-11 2007-05-31 조정일 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증진 목욕제 및 피부미용제
KR100686884B1 (ko) * 2006-01-16 2007-02-26 박명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무방부제 수용성 화장품 제조법
KR100776441B1 (ko) * 2006-02-15 2007-11-28 이진희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KR101315277B1 (ko) * 2010-11-25 2013-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료용 복합식물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7912B (zh) 一种中药提取物及其酶解和发酵产物
KR101242442B1 (ko) 발효 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725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 j2k- 27 균주를 이용한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혼합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2878B1 (ko)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 및 피부 장벽 개선용 조성물
KR101397976B1 (ko)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539B1 (ko)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KR100438009B1 (ko) 잎새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342B1 (ko) 피부 탄력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53080A (ko)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323A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73993B1 (ko) 군소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6211639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JPH1029924A (ja) 抗老化剤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21097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9980038284A (ko) 상황 균사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9000B1 (ko) 발효 식이유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미백 및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0083A (ko) 유산균 발효액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23168A (ko) 치자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조성물
KR20180034086A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102488533B1 (ko) 검은콩 발효 여과물 유래 고 기능성 항염 성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4533769B (zh) 大豆间座壳菌提取物用于抗紫外线伤害及减少色素沉着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