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006B1 -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006B1
KR100810006B1 KR1020040007951A KR20040007951A KR100810006B1 KR 100810006 B1 KR100810006 B1 KR 100810006B1 KR 1020040007951 A KR1020040007951 A KR 1020040007951A KR 20040007951 A KR20040007951 A KR 20040007951A KR 100810006 B1 KR100810006 B1 KR 10081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powder
soybean fermented
soybea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478A (ko
Inventor
오중산
Original Assignee
오중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중산 filed Critical 오중산
Priority to KR102004000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0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moting growth of cells, e.g. bon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를 바실러스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건조분말 또는 분체 형태로 제조하여 피부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항산화효과, 피부 탄력개선 및 피부색 개선 효과를 가지는 피부 노화 억제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실러스균,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맥반석 분체, 머드 분체, 토르마린 분체, 탈크 분체, 카올린 분체,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Soybean ferment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두를 바실러스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건조분말 또는 분체 형태로 제조하여 피부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항산화효과, 피부 탄력개선 및 피부색 개선 효과를 가지는 피부 노화 억제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으로서의 청국장은 원료인 콩이 가지는 영양성분 외에도 대두를 미생물의 효소활성에 의해 대두보다 더 영양 가치가 있는 식품으로 전환시켜서 인체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리활성물질이라고 알려진 식이섬유, 인지질, 이소플라본(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등), 페놀산 사포닌(phenolic acids saponins), 트립신 억제제(trypsin inhibitor), 피틴산(phytic acid)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노인성 치매, 골다공증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음이 이미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청국장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 중에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성도 있어 혈 압상승 억제효과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 혈전용해능력, 항돌연변이성, 항암성, 그리고 항균작용 등이 기대되고 있다.
청국장 제조시 사용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는 인체에 유익한 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순수배양한 후 건조시켜 생균으로 복용할 수 있는 정장작용의 의약품으로도 개발되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세균을 복용하여 인체에 보유하고 있으면 병원성 세균이 부착하여 자라날 수 있는 장소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가 미리 점유함으로서 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화농성세균 및 설사를 일으키는 세균의 부착 및 증식을 억제하고, 또한 항생물질을 분비하여 여러 가지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살아있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를 얼굴 등의 인체에 도포하면 이 세균이 입을 통해 장내로 들어가서 상기한 유용한 효과는 물론, 우유분해효소가 없어서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 유당분해효소를 인체에 제공하여 설사도 멈추게 할 수 있는 기대효과도 있다.
청국장 추출물을 이용한 관련 특허로는 고분자량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내염성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한국특허출원 제2002-7010976호),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의 이용방법(한국특허출원 제2002-0040083호),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한국특허출원 제2001- 0011804호) 등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청국장과 관련된 화장료 조성물 특허로는 피부표면의 케라틴층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와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그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한국특허출원 제1999-0042453호)이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청국장 특유의 냄새로 인해 청국장 추출물의 일부 유효성분만을 분리하여 사용하여 왔으며,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데에도 많은 제한을 받아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청국장이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최대한 이용하고 잘 보존시키기 위해 바실러스 생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청국장을 정제수로 추출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을 얻고, 이를 건조 분말로 제조하거나 맥반석, 머드, 토르마린, 탈크, 카올린 등의 분체와 함께 혼합하여 건조, 분쇄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건조 분체로 제조할 경우 대두 발효 추출물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대두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잘 보존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 또는 대두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조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 또는 건조 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보습, 항산화효과, 피부탄력 증가, 피부색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피부노화 억제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장류에 사용되는 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으로 발효한 대두 발효 추출물을 건조분말 또는 건조 분체로 제조한다.
청국장에 포함된 생리활성물질로는 청국장 발효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및 혈전용해효소 등의 효소와 이들 효소가 분해해서 생성된 펩타이드, 아미노산, 올리고당, 지방산, 활성이소플라본 등이 있고 그 외에 레시틴, 사포닌, 피토스테롤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생리활성성분들은 인체에 항산화, 항암효과, 혈전용해, 면역증강 등의 폭 넓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을 건조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두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으로 발효한 청국장을 동량의 정제수로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얻은 대두 발효 추출물을 저온건조 또는 냉동건조하여 건조분말로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의 건조 분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배합되는 분체성분들, 예를 들면, 맥반석, 머드, 토르마린, 탈크, 카올린 등에 대두 발효 추출물을 1:0.25∼4 비율로 배합하여 저온건조 또는 냉동건조한 후, 분쇄 및 여과과정을 거쳐 생리활성물질의 보존성과 안정성을 증가시킨 대두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조 분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는 우리나라의 장류 및 일본의 낫토(Natto)의 발효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생물로서, 간상의 Gram 양성 호기성 미생물이며, 크기는 2∼3×1㎛이고, 타원형의 포자를 가지며, 포자의 크기는 1.2∼1.5×1㎛이다. 발육 최적온도는 40∼50℃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 분체는 청국장의 생리활성물질과 바실러스 생균이 본래 존재하는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또는 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보습용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또는 분체가 각각 0.1∼70 중량% 로 함유하며,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 세정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효과, 세포보호효과 및 미백효과가 기존의 청국장의 특정성분만을 함유하는 화장품보다 더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건조분말은 물에 쉽게 혼화되고 유지와 유기성 용매에는 혼화되기 어렵지만 현탁 상태에서도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이 가능하면서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분말을 화장료에 배합시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들 예컨대,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두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본 발명의 통상적으로 장류에 사용되는 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으로 발효한 청국장에서 추출한 대두 발효 추출물 및 건조 분말은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a) 발효를 하기 위한 대두는 작은 크기의 햇콩으로 선정하며 세척하여 냉장 온도인 4℃에서 24시간 불렸다.
(b) 불린 대두를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증기로 2∼5시간 찌는 증자단계를 진행하였다.
(c) 상기 증자된 대두를 50℃로 냉각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종균을 접종하였다.
(d) 상기 접종된 대두를 약 40∼42℃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청국장을 얻었다. 습도는 70%이상, 발효실 내의 송풍관리가 잘 되게 하고, 50℃ 이상 상 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e) 상기 청국장 100g을 100g의 정제수에 침지시킨 후, 200메쉬 여과과정을 통해 대두 발효 추출물 3.0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단, 발효 효율에 따라 추출하는 정제수의 양을 200g까지 조절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2-1]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제조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100g을 -50 내지 -10℃에서 7∼12시간 동안 냉동 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2.5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실시예 2-2]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 제조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 100g을 40∼50℃에서 7∼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2.5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실시예 3]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맥반석 건조 분체 제조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맥반석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고르게 혼합한 후, 40∼50℃에서 7∼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맥반석 건조 분체 53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실시예 4]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머드 건조분체 제조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머드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고르게 혼합한 후, 40∼50℃에서 7∼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머드 건조분말 53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실시예 5]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토르마린 건조분체 제조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토르마린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고르게 혼합한 후, 40∼50℃에서 7∼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토르마린 건조 분체 53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실시예 6]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탈크 건조분체 제조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탈크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고르게 혼합한 후, 40∼50℃에서 7∼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탈크 건조 분체 53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실시예 7]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카올린 건조분체 제조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카올린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고르게 혼합한 후, 40∼50℃에서 7∼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카올린 건조 분체 53g(건조중량)을 수획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유효성분 및 물성의 안정성, 피부에 미치는 각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다양한 건조분체의 아미노산 함량 및 단백질분해 효소활성 변화 비교
상기 대두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조분체들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질소정량장치인 킬달질소정량시스템(Buchi사)으로 측정한 후, 총아미노산 함량으로 환산하여 건조전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잔존하는 함량을 표시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의약품 등 기준 및 시험방법 중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건조전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잔존하는 단백질분해효소활성(%)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총아미노산 함량(%) 잔존 단백질분해 효소활성변화(%)
0일 15일 30일
실시예 1 100 100 40 10
실시예 2-1 100 98 92 85
실시예 2-2 100 94 90 84
실시예 3 99 97 90 85
실시예 4 99 97 89 84
실시예 5 99 97 85 82
실시예 6 98 91 90 70
실시예 7 98 91 78 62
실시예 1의 건조전 대두 발효 추출물의 단백질분해활성이 상온에서 30일 경과시 10%로 감소하였으나 맥반석, 머드 및 토르말린을 혼합하여 건조한 분체는 30일 경과시 80% 이상 잘 보존되었으며 효소활성도 우수하였다. 냉동건조방법이 열풍건조방법보다 더 잘 보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열풍건조방법도 30일 경과시 잔존하는 단백질분해 효소활성을 84%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경제적인 방법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전체적으로 90% 이상 유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두 발효 추출물을 맥반석, 머드, 토르마린, 탈크, 카올린에 혼합, 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대두 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을 잘 보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피부각질 개선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냉장온도인 4℃ 이하에서 보관할 경우 총아미노산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을 때 실시예 1의 대두 발효 추출물과 동등한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시험예 2]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의 항산화 효과 측정
본 실험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1 및 실시예 2-2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의 효능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하여 생성하는 활성 산소가 본 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에 의하여 제거되는 활성 산소를 측정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 산소를 생성시키고 이 활성 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함으로써 활성 산소량을 측정하였다.
< 시험시약 >
1) 0.05M Na2CO3 완충액 2.4ml: 50mM 탄산나트륨 용액과 50mM NaHCO3용액을 혼합하여 pH 10.2로 한다.
2) 3mM 크산틴용액 0.1ml
3) 3mM EDTA 용액 0.1ml
4) 0.15% BSA용액 0.1ml
5) 0.75mM NBT용액 0.1ml
6) 크산틴옥시다아제 용액 0.1ml: 크산틴 옥시다제를 증류수로 약 200배로 희석하고 측정조작에서 공시험의 흡광도가 0.2-0.23의 범위에 들도록 하였다. 흡광도의 변화가 A56O=0.3/20분이 되도록 하였다.
7) 6mM 염화 구리용액 0.1ml
< 측정 방법 >
가. 실험병에 상기 시약 1), 2), 3), 4), 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나. 6)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하였다.
다. 그후 7)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하 였다.
라. 상기 반응에서 6)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상기와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So를 측정하였다.
마. 공 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t를 측정하였다.
바. 마. 과정에서 6)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하였다.
억제율(%)=(1-(St-So)/Bt-Bo)×100
St: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공 시험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시료용액의 효소 미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공 시험용액의 효소 미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료는 모두 같은 조건으로 시험하였으며, 항산화 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녹차추출물을 시료 원액과 각 시료의 2% 수용액을 가지고 실험한 것을 평균한 결과 값이다. 표 2는 항산화 효과에 대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이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원료명 억제율(%)
실시예 2-1 95.2
실시예 2-2 94.4
녹차추출물 91.7
[시험예 3]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품용 분체의 보습효과
디쉬에 실시예 1∼7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품용 분체 용액 5g씩을 넣고, 이를 CaCl2가 들어있는 데시케이트 중의 상대습도 41%, 온도 25℃의 조건하에 방치한 다음, 일정시간 경과 후의 중량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여 보습효과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동등한 수분함유량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 1∼2의 경우는 정제수에 각각 0.25% 씩 용해하여 비교군인 물과 비교 실험하였고, 실시예 3∼7의 경우는 정제수에 각각 5% 씩 용해하여 동등한 상태로 맞춰준 다음 비교군인 대두 발효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분체들 5% 용액과 비교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보습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1,3-부틸렌글리콜을 정제수에 용해한 30% 1,3-부틸렌글리콜 용액 5g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분함유량을 측정한 다음, 본원발명에 의한 건조분말 및 건조분체들과 수분함유량을 비교하였다.
원료명 측정시간(hr) 수분함유량(%)
실시예 1 120 62.7
실시예 2-1 120 61.3
실시예 2-2 120 61.1
정제수 120 40.1
실시예 3 120 58.1
맥반석 분체 120 44.1
실시예 4 120 57.4
머드 분체 120 44.7
실시예 5 120 55.7
토르마린 분체 120 42.9
실시예 6 120 56.2
탈크 분체 120 41.5
실시예 7 120 57.8
카올린 분체 120 42.3
30% 1,3-부틸렌글리콜 용액 120 45.3
수분함유량(%)=잔류시료량(g)/초기 시료의 양(g)×100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분체는 대두 발효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군인 정제수, 맥반석, 머드, 토르마린, 탈크, 카올린과 비교하여 수분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습능이 뛰어난 1,3-부틸렌글리콜 용액 보다도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의 물성 안정도 비교시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 분체들을 화장료에 도입시, 그 물성이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갖고 사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60일 동안 변색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10일 20일 30일 40일 50일 60일
상온 40℃ 일광 상온 40℃ 일광 상온 40℃ 일광 상온 40℃ 일광 상온 40℃ 일광 상온 40℃ 일광
실시예 1 - - - + + + + + + + ++ + ++ ++ ++ ++ ++ ++
실시예 2-1 - - - - - - - - - - - - - - - - + +
실시예 2-2 - - - - - - - - - - - - - - - - + +
실시예 3 - - - - - - - - - - - - - - - - + +
실시예 4 - - - - - - - - - - - - - - - - + +
실시예 5 - - - - - - - - - - - - - - - - + +
실시예 6 - - - - - - - - - - - - - - - - + +
실시예 7 - - - - - - - - - - - - - - - - + +
-; 색상변화없음, +; 약간 변색, ++; 많이 변색, +++; 완전변색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건조 전 대두 발효 추출물은 20일 경과시부터 변색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품용 분체들은 상온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40℃와 일광에서는 거의 무시될 정도의 변색이 관찰되었고, 더 이상의 변색 진행은 없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 분말 및 건조 분체의 물성이 상기와 같이 안정하므로 화장품 제형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 함유 화장품에 대한 피부 탄력증가 시험
하기 표 5의 정제수에 글리세린 10g, 산화티탄 4g,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5의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 분체 30g를 가하여 충분히 습윤 분산시킨 다음, 에탄올 6g에 미량의 향료, 색소, 보존제를 첨가 용해하였고, 양자를 혼합하여 충분히 분산시켜 탈기포, 여과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팩을 제조하였다.
원 료 성 분 함 량(중량%)
처방예 1 비교예 1 처방예 2 비교예 2
실시예 3 30 - - -
맥반석 - 30 - -
실시예 5 - - 30 -
토르마린 - - - 30
글리세린 10 10 10 10
산화티탄 4 4 4 4
알코올 6 6 6 6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보존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상기 처방예 1과 비교예 1의 팩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세∼3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10명에게 안면 왼쪽부분에는 처방예 1의 팩을, 안면 오른쪽부분에는 비교예 1의 팩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탄력 측정기기(Ballis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처방예 1 비교예 1 비고
T0 T1 T2 T3 T4 T0 T1 T2 T3 T4
탄 력 성 튀어오름 수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진 폭 첫번째 1.4 3.0 5.7 6.7 6.9 1.7 3.3 4.2 4.3 4.5
두번째 1.2 3.0 4.0 5.3 6.7 0.9 2.1 2.4 3.0 3.5
세번째 0.0 2.5 2.8 4.5 5.0 0.0 0.0 1.8 2.5 2.7
네번째 0.0 0.0 1.3 3.6 4.7 0.0 0.0 0.0 0.0 0.3
평 균 0.65 2.13 3.45 5.03 5.83 0.65 1.35 2.1 2.45 2.75
(주) T0 ;사용전, T1 ; 1주 사용후, T2 ; 2주 사용후, T3 ; 3주 사용후, T4 ; 4주 사용후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두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처방예 1의 팩이, 대두 발효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의 팩에 비해 피부상태개선에 의한 피부탄력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세부적인 결과를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처방예 2와 비교예 2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품에 대한 피부색의 개선효과
본 발명의 대두 발효 추출물의 피부색의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5에서 제조한 처방예 1∼2 및 비교예 1∼2의 팩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색의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20세∼35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안면 왼쪽부분에는 처방예 1 또는 처방예 2의 팩을, 안면 오른쪽부분에는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의 팩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30일, 45일에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 부위 피부를 멜라닌 인덱스미터(Mexameter MX16)로 멜라닌 값을 측정하여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값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이다.
표 7은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피부에 도포한 후 30일, 45일에 나타난 안면 피부의 멜라닌 값 감소효과로서, 본 발명의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 분체로 처방된 팩을 도포한 결과, 피부색 개선효과가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뚜렷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 료 멜라닌 값 감소 효과 (%)
30일 45일
처방예 1 4.1 10.8
비교예 1 1.3 2.0
처방예 2 4.0 10.2
비교예 2 1.2 1.9
이하, 본 발명의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형예로써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제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및 파우더타입 팩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형예 1] 화장수(스킨로션)
원 료 제형예 1 (중량%)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실시예2) 2.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로션
원 료 제형예 2 (중량%)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실시예2) 2.0
시토 스테롤 1.7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세라마이드 0.7
세테아레스-4 1.2
콜레스테롤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선플라우어오일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산탄검 0.3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원 료 제형예 3 (중량%)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분말(실시예2) 2.0
시토 스테롤 4.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세라마이드 0.7
세테아레스-4 2.0
콜레스테롤 3.0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선플라우어오일 2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파우더타입 팩
실시예 3∼7의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분말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파우더타입의 팩 30g을 제조하고 별도로 하기 표와 같은 화장수 또는 정제수 60g을 사용시 즉석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파우더 타입의 팩을 제조하였다.
분 류 원 료 함량(중량%)
파우더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분말 혼합물 (실시예 3∼7) 30
화장수 글리세린 2
부틸렌글라이콜 1
프로필렌글라이콜 2
피이지-26-부테스-26/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오일 1
에탄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또한 실시예 1의 대두 발효 추출물을 상기와 같은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여 냉장온도인 4℃ 이하에서 보관할 경우, 대두 발효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며, 피부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피부 보습, 항산화효과, 피부 탄력개선 및 피부색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 및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건조 분체는 항산화 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상온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이 가능하였으며, 피부에 도포시 탁월한 피부 탄력 및 피부색 개선효과 등의 노화 방지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대두 발효 추출물, 건조 분말 및 건조 분체는 각종 미백용, 보습용 및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7)

  1. 삭제
  2. 대두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으로 발효한 청국장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동량의 정제수로 추출, 여과하여 제조한 대두 발효 추출물에 대두 발효 추출물 대비 맥반석, 머드, 토르말린, 탈크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장료 분체 성분을 1:0.25∼4의 중량비로 배합한 후 40∼50℃에서 열풍건조 또는 -50 내지 -10℃에서 냉동건조시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함유된 대두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료용 건조 분체의 제조방법.
  3. 삭제
  4.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제 2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한 건조 분체를 0.1∼70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07951A 2004-02-06 2004-02-06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951A KR100810006B1 (ko) 2004-02-06 2004-02-06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951A KR100810006B1 (ko) 2004-02-06 2004-02-06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478A KR20050079478A (ko) 2005-08-10
KR100810006B1 true KR100810006B1 (ko) 2008-03-07

Family

ID=3726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951A KR100810006B1 (ko) 2004-02-06 2004-02-06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41B1 (ko) * 2006-02-15 2007-11-28 이진희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KR100844145B1 (ko) 2006-11-09 2008-07-04 (주)지원메디코스 청국장을 함유하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31985B1 (ko) * 2007-09-21 2009-12-15 현영진 표고버섯 및 표고버섯 청국장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5277B1 (ko) * 2010-11-25 2013-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료용 복합식물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158B1 (ko) * 2011-10-24 2018-06-14 (주)아모레퍼시픽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080A (ko) * 1997-12-23 1999-07-15 서경배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034219A (ja) 1998-07-17 2000-02-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0072652A (ja) 1998-08-21 2000-03-07 Tetsuya Koga 納豆菌化粧料
KR20010030982A (ko) * 1997-10-10 2001-04-16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화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72555B1 (ko) 2000-04-20 2003-02-17 주식회사 도도화장품 산소를 용해시킨 과플루오로데칼린과 대두에서 추출한유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982A (ko) * 1997-10-10 2001-04-16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화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90053080A (ko) * 1997-12-23 1999-07-15 서경배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034219A (ja) 1998-07-17 2000-02-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0072652A (ja) 1998-08-21 2000-03-07 Tetsuya Koga 納豆菌化粧料
KR100372555B1 (ko) 2000-04-20 2003-02-17 주식회사 도도화장품 산소를 용해시킨 과플루오로데칼린과 대두에서 추출한유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478A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CN104277998A (zh) 用于预防和/或治疗口腔恶臭的用途和方法
JP5468757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能を有する組成物
KR102195365B1 (ko)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US20230338270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s, polysaccharides, yeast extract, and strain fermentation product with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KR20160110829A (ko)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301 우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2022188206A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2082675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9A (ko)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9453A (ko)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0723844B1 (ko) 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증진 목욕제 및 피부미용제
KR100810006B1 (ko)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7386B1 (ko)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또는 항노화를 위한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9136B1 (ko)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2117761B1 (ko) 홍해삼 유래 저염 펩타이드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4240B1 (ko) 회향 추출물 및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KR102704040B1 (ko) 발효 5종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결 개선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