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996U - 다기능용에어건. - Google Patents

다기능용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996U
KR19990034996U KR2019990009022U KR19990009022U KR19990034996U KR 19990034996 U KR19990034996 U KR 19990034996U KR 2019990009022 U KR2019990009022 U KR 2019990009022U KR 19990009022 U KR19990009022 U KR 19990009022U KR 19990034996 U KR19990034996 U KR 199900349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ssembled
air gun
fixed spo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9294Y1 (ko
Inventor
이황우
Original Assignee
이황우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황우, 주식회사 남부 filed Critical 이황우
Priority to KR2019990009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2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996U/ko
Priority to US09/476,902 priority patent/US6170758B1/en
Priority to DE10014834A priority patent/DE10014834C2/de
Priority to CN00107618A priority patent/CN112490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2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6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suction devices other than rotary fans
    • A47L5/18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suction devices other than rotary fans with ejectors, e.g. connected to motor vehicle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and blowing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8Control
    • F04F5/50Control of compressing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9/00Fluid sprinkling, spraying, and diffusing
    • Y10S239/21Air bl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건의 기능조정 및 세기 조절이 용이한 흡입 및 불기기능과 흡입과 불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기능용 에어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건에 있어서, 상부 후방에 on/off밸브를 가진 손잡이가 있고 중앙으로 구멍에 의해 서로 통하게 되는 상/하의 공간부를 가진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측에 조립되며 후방의 공급호스와 전방의 분사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고정스풀과, 상기 관체의 공간부 하측으로 조립되며 전방에 흡입튜브가 조립되고 후방의 배출노즐이 조립된 진공발생밸브와, 상기 고정스풀과 조립되고 하측 진공발생밸브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개폐 및 흡입력을 조절하게 되는 제1조절노브와, 상기 고정스풀과 조립되며 분사파이프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개폐 및 불기력을 조절하게 되는 제2조절노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용 에어건.{AIR GUN FOR MANY TALENT}
본 고안은 압축 공기를 이용한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이물질 등의 흡입과 불기(분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흡입과 불기작업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다목적용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압축 공기를 이용한 장치는 진공 청소기, 불기장치(바람직하게는, 에어건) 및 펌프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개별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각종산업현장이나 자동차 정비업소 등에서는 먼지, 액체와 같은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 청소기 혹은 에어건이 사용되며, 공작 기계류의 절삭유 혹은 자동차 엔진등의 오일 교환을 위해서는 펌프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와 에어건은 공작 기계의 가공시 발생되는 칩 흡입, 각종 분말 종류의 청소 작업에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장치는 흡입 기능 혹은 불기기능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2개의 장비, 즉진공 청소기와 에어건을 동시에 구입해야만 하며, 이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별도의 비용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 기술로서, 일본의 "OSAWA" 제품(이하"제1선행기술"이라 함)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장치, 바람직하게는 흡입 및 불기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에어건이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압축 공기의 유속(흡입량)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상기 일본의 "OSAWA" 제품은 먼지, 칩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통로인 에어건의 관체에 노즐을 삽입한 다음에 캡을 잠궈 고정시켜 구성된 것이며, 이때 상기 노즐과 캡 사이에는 지름1.4mm의 홀(hole)이 6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을 통해 압축 공기의 유속(흡입력)이 결정된다.
이러한 제1선행기술은 에어건에 별도의 불기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관체의 상단에 불기 파이프를 가지는 불기 에어량 조절노브를 설치하여 흡입 기능 및 불기기능을 동시에 구비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하였다는 것은 나름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1선행기술은 압축 공기의 유속을 결정하는 홀의 직경이 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없으며, 이는 입자가 큰 칩 등의 이물질을 제대로 흡입할 수 없는 애로점이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흡입기능 및 불기 기능을 각각 따로따로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정해진 작업만 할 수 있으며, 특히 공기의 불기로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예상된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 고안으로, 본 고안인과 동일출원인으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22633호의 흡입 및 불기기능을 구비한 에어건(이하 "제2선행기술"이라함)이 있다.
상기 제2선행기술은 하나의 에어건으로서 흡입기능과 불기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흡입과 불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전기한 제1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선행기술은 각 밸브가 분리되면서 사용이 불편하게 되고, 구조의 복잡함과 아울러 내구성이 취약하며,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단가를 높이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건의 기능조정 및 세기 조절이 용이한 흡입 및 불기기능과 흡입과 불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용 에어건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기능용 에어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건에 있어서, 상부 후방에 on/off밸브를 가진 손잡이가 있고 중앙으로 구멍에 의해 서로 통하게 되는 상/하의 공간부를 가진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측에 조립되며 후방의 공급호스와 전방의 분사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고정스풀과, 상기 관체의 공간부 하측으로 조립되며 전방에 흡입튜브가 조립되고 후방의 배출노즐이 조립된 진공발생밸브와, 상기 고정스풀과 조립되고 하측 진공발생밸브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개폐 및 흡입력을 조절하게 되는 제1조절노브와, 상기 고정스풀과 조립되며 분사파이프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개폐 및 불기력을 조절하게 되는 제2조절노브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용 에어건의 외부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용 에어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중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에어건의 내부로 조립되는 고정스톨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목적용 에어건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서 작동밸브의 작동으로 압축공기가 고정스풀로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에어건에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때 공기의 흐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에어건에서 압축공기를 불기할 때 공기의 흐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에어건에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불기와 흡입이 동시에 수행될 때 공기의 흐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스풀 14:제1관로
14a:제2관로 15:제1통로
15a:제2통로 15b:제3통로
20:제1조절노브 30:제2조절노브
40:관체 50:진공발생밸브
60:배출노즐 70:공급호스
80:on/off밸브 90:코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 기능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다목적용 에어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먼지와 각종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후방 배출덕트로 이송시키는 진공발생밸브(50)와, 상기 진공발생밸브의 위에서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된 에어를 전방 분사파이프와 진공발생밸브로 이송시키는 고정스풀(10)과, 상기 고정스풀에 조립되어 상기 분사파이프 및 진공발생밸브로 이송되는 에어를 조정하게 되는 제1,2조절노브(20,30)들과, 상기 진공발생밸브와 각 조절밸브 및 고정스풀이 고정되며 상단 후방에 손잡이가 조립된 관체(40)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조립되며 후방의 공급호스에서 고정스풀로 이동되는 압축공기를 개폐하게 되는 on/off밸브(8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에어건은 상측 후방에 손잡이(44)가 조립되고 상/하로 공간부(도면에 부호생략)를 가진 관체(40)에 의해 각 요소가 조립된 것으로, 먼저 상기 하측의공간부에는 전방에 진공발생밸브(50)와 후방의 배출노즐(60)이 조립된다. 상기 진공발생밸브(50)의 전방에는 아래로 원만하게 굴곡된 흡입튜브(65)가 조립되고, 배출노즐(60)의 후방에는 배출덕트(62)가 부착되며 이는 집진기(도면에 생략)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발생밸브(50)의 후미부 외측에는 둘레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면서 공간부(52)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간부(52)의 후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노즐구멍(54)들이 배출노즐(60)의 내부 가장자리와 통하게 된다.
다음, 상기 관체(40)의 상측 공간부 중앙에는 양측에 체결나사(11,11a)를 가진 고정스풀(10)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스풀(10)과 관체(40) 사이로는 전방에서 제1조절노브(20)가 끼워지고 다시, 상기 제1조절노브(20)와 고정스풀(10) 사이에는 역시 전방에서 제2조절노브(30)이 끼워진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스풀(10)은, 중앙 중심선상으로 전방에는 제2관로(14a)가 있으며 후방에는 제1관로(14)가 있는데 상기 제2관로(14a)의 끝에는 외부로 향하는 소정의 제3통로(15b)들이 방사상으로 뚤려져 있고 또한, 상기 제1관로의 전/후방으로 제2통로(15a)들과 제1통로(15)들이 역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제1통로(15)들의 외측후방에는 단턱이 형성되면서 전면에 제1경사면(16)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풀(10)의 외측 중앙으로 제1나사부(12)가 있으며 제1조절노브(20)의 중앙이 체결되면서 상기 제1조절노브(20)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전/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노브(20)가 후진됨에 따라 후방 단부(24)가 상기고정스풀(10)의 제1경사면(16)에 밀착하게 되고 동시에 제1통로(15)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스풀(10)의 제2통로(15a)와 제3통로(15b)사이에는 외측으로 직경을 달리하면서 제2경사면(16a)이 형성되고 그 전방으로 제2나사부(13)에 의해 조립된 제2조절노브(30)가 회전되면서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조절노브(30)의 내부 중앙에는 단턱(32)이 있으며 후진시에 상기 제2경사면(16a)에 밀착되면서 제3통로(15b)를 차단시킨다.
다음, 상기 고정스플(10) 전방에 조립체(79)와 피팅(77)에 의해 조립된 분사파이프(75)는 전방 단부가 하측의 흡입튜브(65) 전방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며, 고정스풀(10)의 후방 체결나사(11)에는 전방에 on/off밸브(80)가 있는 손잡이(44)가 조립된다. 상기 on/off밸브(80)는, 하단에서부터 중앙으로 공간부(86)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로 코크(90)가 끼워지며 중간 외부로 통하는 구멍(84)이 있다. 또한 상기 구멍(84)의 외측에는 고정스풀(10)의 제1관로(14)와 통할 수 있는 구멍(46)이 손잡이(44)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크(90)의 하부에는 아래로 직경이 확산되면서 경사면(92)이 상기 on/off밸브(80)의 하단 내경을 막게 되고 하부에 스프링(94)이 상기 코크(90)를 탄발적으로 밀고 있으며, 상단은 on/off밸브(80) 중앙 상부로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코크(90)의 상단에 접하며 눌러줄 수 있는 작동구(48)가 손잡이(44)의 상단에 핀으로 조립되어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구(48)를 누르지 않는 상태는 코크(90)가 스프링(94)에 의해 위로 밀리면서 경사면이 상기 on/off밸브(80)의 하부 내경을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크(90)의 하부 공간부(86)에는 후방에서 끼워진 공급호스(80)와 통하게 피팅(72)으로 조립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on/off밸브(80)에서, 작동구(48)를 누르면 제5도에서와 같이 코크(90)가 아래로 밀리면서 경사면(92)과 on/off밸브(80)에 간격이 생기고 공급호스(70)을 통한 압축공기는 위로 이동되고 on/off밸브의 구멍(84)과 손잡이의 구멍(46)을 통해 제1관로를 이동하게 되는데, 제4도는 분사파이프(75)와 진공발생밸브(50)로 이송되는 압축공기가 차단된 것으로 모든 작업이 중단된 상태다. 이때 제1조절노브(20)와 제2조절노브(30)는 후진되어 제1통로(15)와 제2통로(15a)를 밀폐시키고 있다.
위에서, 제1조절노브(20)를 돌려서 전진시키면 제6도에서와 같이 고정스풀(10)의 제1경사면(16)으로부터 제1조절노브(20)의 단부(24)가 분리됨과 동시에 제1통로(15)를 열게 된다. 이때 상기 on/off밸브(80)을 작동시키면 제1관로(14)와 제1통로(15) 그리고 관체(40)의 구멍(42)을 통해 진공발생밸브(50)의 각 노즐구멍(54)으로 강하게 분사된다. 동시에 상기 노즐구멍(54) 이전의 진공발생밸브(50)와 흡입튜브내는 기압차에 의해서 진공이 발생하게 되고 외부의 먼지, 이물질등이 흡입되며 배출덕트(62)를 타고 이물질 수집탱크 등의 집진기로 이송된다.
또한, 본 고안 다목적용 에어건을 에어 불기(Air blowing)로 사용하고자 할때는 우선, 제5도의 상태에서 제2조절노브(30)를 돌려서 전진시키면 고정스풀(10)의 제2경사면(16a)에 밀폐된 단턱(32)이 분리되면서 제2통로(15a)를 열게 되고 제1관로(14)내의 압축공기는 제2통로(15a)를 빠져 나와 제3통로(15b)를 타고 제2관로(14a)를 통해 분사파이프(75)로 이송되며 분사된다. 이때 제1조절노브(20)는 제1통로(15)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조절노브(20)를 열게되면 불기 와 동시에 흡입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모든 작동은 일차적으로 제1,2조절노브(20,30)를 필요에 따라 조정한 다음 on/off밸브(80)의 작동에 따라서 작업개시가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용 에어건은 본 고안의 에어건 1개로 청소하기 또는 이물질과 액체, 분체 등의 펌핑 작업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흡입과 불기작업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흡입과 불기작업이 동시에 작동되게 됨으로서 청소 및 작업의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게 되며 특히 본 고안의 에어건은 흡입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에어건 관체의 직경 범위내에서 이물질의 크기 및 종류에 관계없이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에어건에 있어서,
    상부 후방에 on/off밸브를 가진 손잡이가 있고 중앙으로 구멍에 의해 서로 통하게 되는 상/하의 공간부를 가진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측에 조립되며 후방의 공급호스와 전방의 분사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고정스풀과;
    상기 관체의 공간부 하측으로 조립되며 전방에 흡입튜브가 조립되고 후방의 배출노즐이 조립된 진공발생밸브와;
    상기 고정스풀과 조립되고 하측 진공발생밸브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개폐 및 흡입력을 조절하게 되는 제1조절노브와;
    상기 고정스풀과 조립되며 분사파이프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개폐 및 불기력을 조절하게 되는 제2조절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다기능용 에어건.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스풀은;
    중앙의 전방과 후방으로 제2관로와 제1관로가 있으며, 상기 제2관로의 끝에는 제3통로가 있고 상기 제1관로의 전/후방으로 제2통로와 제1통로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에어건.
  3. 제1항에 있어서, 진공발생밸브는;
    후미부 외측에 둘레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면서 공간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간부의 후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중앙과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노즐구멍들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에어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조절노브는;
    상기 고정스풀의 외부로 나사체결 되면서 회전시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스풀의 제1통로를 개폐하여 상측 진공발생밸브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다기능용 에어건.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조절노브는;
    상기 고정스풀의 전방에 나사 체결되면서 회전시 전/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스풀의 제2통로와 제3통로 사이를 개폐하게 됨에 따라 분사파이프로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에어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n/off밸브는;
    전방 제1관로와 후방 공급호스를 통하는 압축공기를 개폐하는 것으로, 내부에 아래로 직경이 확산된 경사면이 하단 내경을 밀폐하게 되는 코크가 끼워지며 상코크는 하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며 중간에 상기 제1관로와 통할 수 있는 구멍이 있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작동구에 의해서 개폐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에어건.
KR2019990009022U 1999-05-20 1999-05-20 다기능용 에어건. KR200239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022U KR200239294Y1 (ko) 1999-05-20 1999-05-20 다기능용 에어건.
US09/476,902 US6170758B1 (en) 1999-05-20 2000-01-03 Multifunctional air gun
DE10014834A DE10014834C2 (de) 1999-05-20 2000-03-24 Blas- und Absaugpistole
CN00107618A CN1124903C (zh) 1999-05-20 2000-05-15 多功能空气喷吸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022U KR200239294Y1 (ko) 1999-05-20 1999-05-20 다기능용 에어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96U true KR19990034996U (ko) 1999-09-06
KR200239294Y1 KR200239294Y1 (ko) 2001-09-25

Family

ID=1957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022U KR200239294Y1 (ko) 1999-05-20 1999-05-20 다기능용 에어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0758B1 (ko)
KR (1) KR200239294Y1 (ko)
CN (1) CN1124903C (ko)
DE (1) DE10014834C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65A (ko) * 2001-07-25 2003-02-05 이훈 에어건
KR100727569B1 (ko) * 2006-05-09 2007-06-14 천기식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109940447A (zh) * 2019-02-28 2019-06-28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气动便携式数控机床清理装置
KR20230000377U (ko) * 2021-08-12 2023-02-21 이복상 휴대용 차량 세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4721B1 (fr) * 2001-05-17 2003-09-05 David Sadaune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de nettoyage par aspiration
US7399004B2 (en) * 2002-09-26 2008-07-15 Wiborg Lance W Universal attachment for capturing and utilizing exhaust gas from pneumatic power tools
US7152813B2 (en) * 2004-09-13 2006-12-26 Ding Hwa Co., Ltd. Cap with a suction type spray head
US20080014541A1 (en) * 2006-05-08 2008-01-17 Bob Sonntag Fluidizing nozzle for high capacity particulate loaders
WO2010051205A2 (en) * 2008-10-31 2010-05-06 Mallinckrodt Inc. Multi-dose injection system
CN101703974B (zh) * 2009-10-19 2011-09-14 李志军 一种内置吹尘系统的静电喷粉枪
KR100935088B1 (ko) * 2009-10-19 2010-01-06 서지선 에어건
JP5728198B2 (ja) * 2010-11-05 2015-06-03 株式会社深瀬 吸引機器の先端構造、および当該先端構造を具備する吸引用アダプター並びに吸引式洗浄ガン
KR20120061357A (ko) * 2010-12-03 2012-06-13 정석민 에어건
BR202012007629U2 (pt) * 2012-04-03 2015-08-18 Rafael Francisco Furlan Dantas Dispositivo auxiliar para furadeiras com jato de ar direcionado
US9591956B2 (en) * 2013-01-09 2017-03-14 Paul Mark Guglielmi Air gun system and method
TWI712389B (zh) * 2014-08-12 2020-12-11 吉生機械股份有限公司 氣動工具
CN105080754A (zh) * 2015-07-03 2015-11-25 安庆市峰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机油喷射装置
USD785136S1 (en) * 2016-01-20 2017-04-25 Cc International, Llc Airbrush
JP6562312B2 (ja) * 2016-11-04 2019-08-21 Smc株式会社 粉塵除去装置及び粉塵除去システム
CN107831176B (zh) * 2017-12-04 2023-10-27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细长软质零件检测装置
KR101934670B1 (ko) * 2018-04-30 2019-01-03 주식회사 남부 복합 이온건
CN114392982A (zh) * 2021-12-02 2022-04-2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吹吸一体式电动无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7197A (en) * 1983-09-29 1985-05-09 Clarke Douglas C Suction devices
DE8805752U1 (ko) * 1987-08-03 1988-09-15 Marresearch
US5248097A (en) * 1992-05-11 1993-09-28 Kardell Michael R Handy air
DE4330848A1 (de) * 1993-09-11 1995-03-16 Fritz Wilhelm Wurster Blas- und Absaugvorrichtung
DE19709376A1 (de) * 1997-03-07 1998-09-10 Focke & Co Vorrichtung zum Absaugen oder Wegblasen von festen oder flüssigen Substanzen
FR2767896B1 (fr) * 1997-09-01 1999-10-22 Staubli Sa Ets Soufflette a air comprime commandee par un levi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65A (ko) * 2001-07-25 2003-02-05 이훈 에어건
KR100727569B1 (ko) * 2006-05-09 2007-06-14 천기식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109940447A (zh) * 2019-02-28 2019-06-28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气动便携式数控机床清理装置
CN109940447B (zh) * 2019-02-28 2023-10-24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气动便携式数控机床清理装置
KR20230000377U (ko) * 2021-08-12 2023-02-21 이복상 휴대용 차량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14834A1 (de) 2000-11-23
DE10014834C2 (de) 2002-03-21
US6170758B1 (en) 2001-01-09
KR200239294Y1 (ko) 2001-09-25
CN1274621A (zh) 2000-11-29
CN1124903C (zh)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9294Y1 (ko) 다기능용 에어건.
EP2359729A3 (en) Wet/dry bare floor cleaner
CA2445242A1 (en)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dirt cup and separate filter drawer
US3964123A (en) Device for a combined suction and blow-off nozzle connectable to a source of compressed air
CA2464222A1 (en) A portable cleaning machine
KR102463092B1 (ko) 도장용 집진 장치
CA2448457A1 (en) Removable dirt cup assembly with external filter
TWI617360B (zh) 真空噴灑裝置及其用途
CA2448414A1 (en) Dirt cup assembly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external filter holder
CN211432707U (zh) 一种用于表面清洁设备的操作手柄
US5697120A (en) Wet/dry cleaner
JP3074107U (ja) 多機能用エアガン
KR19990008099U (ko)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US6725499B2 (en) Hose cleanout for vacuum cleaner
CN110876582B (zh) 一种折叠式吸尘器
GB2406625A (en) Multifunction tube joint
CN218775296U (zh) 一种带侧吸高压吹尘枪
JP2518658Y2 (ja) 回転穿孔工具
JP3594861B2 (ja) 空気式集塵機
JPH0742659Y2 (ja) 回転穿孔工具
CN211722986U (zh) 用于清洁地面表面的抽吸设备的接地吸嘴
CN217797660U (zh) 气旋喷射装置及其气旋喷射器
CN219878043U (zh) 喷枪吸尘套件
KR100759361B1 (ko) 면취기의 에어 공급 밸브 결합구조
JPH0298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