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569B1 -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569B1
KR100727569B1 KR1020060041270A KR20060041270A KR100727569B1 KR 100727569 B1 KR100727569 B1 KR 100727569B1 KR 1020060041270 A KR1020060041270 A KR 1020060041270A KR 20060041270 A KR20060041270 A KR 20060041270A KR 100727569 B1 KR100727569 B1 KR 10072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il
groove
pipe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식
Original Assignee
천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기식 filed Critical 천기식
Priority to KR102006004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다량의 기계부품이나 가공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의 복합 에어건과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공기와 오일이 혼합되지 않는 복합 에어건의 구성으로 세척 단계별로 공기나 오일을 각각 따로 분사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조건에 따라서 공기나 오일을 따로 분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한층 증가하며 작업시간이 감소하며 작업장의 오염을 줄이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익한 세척장치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에어건, 세척, 에어, 오일, 방청

Description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Washing equipment and washing system which use multiple air gun}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스프레이건과 에어건의 구성 및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정치
도 3은 본 발명 복합 에어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절부의 상세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절부의 동작상태도
도 6은 세척과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척장치 101. 세척실 102. 하부룸
103. 오일망 104. 제1집진관 105. 제2집진관
106. 오일필터 107. 오일탱크 108. 오일
109. 오일펌프 110-1. 에어공급장치 110-2. 에어필터
111. 호스 111-1. 오일호스 111-2. 에어호스
112. 복합 에어건 113. 에어호스연결부 114. 오일호스연결부
115. 에어관 116. 오일관 117. 배출관
118. 배출노즐 119. 조절레버 120. 조절부
121. 고정프레임 122. 스프링 123. 실링
124. 이동프레임 125. 에어홈 126. 오일홈
127. 세척부품
본 발명은 소형-다량의 기계부품이나 가공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의 복합 에어건과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3은 종래기술로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은 등록공고번호 20-1990-0005376호로서 약품을 분산시키는 스프레이건(9) 및 압축 공기만을 분사하는 에어건(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단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등록실용신안 20-0237876-0000호로서 에어공급호스(3)를 통하여 공급받는 에어건(1)에 흡배기조절레버(10)와 조절부재(21)와 흡배기구(13) 그리고 흡배기통(2)과 흡배기연결구(16)를 구비한 액체의 흡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등록실용신안 20-0236655-0000호로서 기계 및 부품세척을 하는 스프레이건에 흡입포트바디(8)에 결합되어 개폐밸브(11)를 장착한 것이다.
그러나 도 1은 액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건과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건이 각 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과, 도 2와 3은 에어건에 액체를 흡배기하는 장치를 부가시킨 것으로 에어건을 작동시키면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에어가 분사되면서 액체도 혼합되어 분사되므로 세척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세척할 수가 없으며 작업장에 안개처럼 스프레이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장 바닥을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건강에 해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의 에어건을 에어와 오일이 혼합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배출되게 하는 복합 에어건의 구성과, 작업환경의 오염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증진과 세척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형-다량의 기계부품이나 가공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의 복합 에어건과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정치로서 a)는 전체단면도, b)는 ㉮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복합 에어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조절부의 상세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조절부의 동작상태도 이며, 도 6은 세척과정의 순서도 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세척실(101)과 하부의 하부룸(102)이 오일망(103)과 제1집진관(104)에 의하여 분리되어 구비되고, 세척실(101)에서 복합 에어건(112)으로 세척을 하게 되면 세척시에 사용된 오일(세척유를 오일로 표현함)은 오일망(103)을 거쳐 오일망(103)의 하부에 구비된 제1집진관(104)으로 모여진 후 수직으로 구비된 제2집진관(105)을 통하여 오일필터(106)에 집진 되며, 오일필터(106)에서는 폐유나 이물질과 먼지 등을 걸러서 깨끗하게 정화한 후 오일탱크(107)로 전달하고, 오일탱크(107)에 모여진 오일(108)은 오일펌프(109)에 의하여 오일호스(111-1)를 거쳐 복합 에어건(112)으로 전달되며 또한 에어는 에어공급장치(110-1)와 에어필터(110-2)에 의하여 에어호스(111-2)를 거쳐 복합 에어건(112)로 전달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에어건(112)의 단면도로서 에어호스(111-2)는 에어호스연결부(113)에 연결되어 에어관(115)을 거쳐 조절부(1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오일호스(111-1)는 오일호스연결부(114)에 연결되어 오일관(116)을 거쳐 조절부(120)에 오일을 공급하며, 조절부(120)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관(117)과 배출노즐(118)을 통하여 에어가 분사되거나 오일이 분사되어 기계부품을 세척하게 되는 구성으로 조절부(120)의 작동상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조절부(120)의 상세도로서 에어건(112)의 손잡이를 관통하는 고정프레임(121)이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21) 내에는 스프링(122)이 구비되고, 스프링(122)의 일측에는 이동프레임(124)이 구비되어 조절레버(119)에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프레임(121)에 내재 된 이동프레임(124)은 에어홈(125)과 오일홈(126)이 구비되어 있고, 에어홈(125)과 오일홈(126)의 사이와 끝단에는 기밀을 위하여 실링(12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조절부(12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여기서 조절레버(119)는 2단계(약하게 당기는 단계와 끝까지 당기는 단계)로 조작할 수 있게 구비된다.
도 4가 원위치인 정지상태이고, 도 5의 a)와 같이 조절레버(119)를 약하게 당기면 이동프레임(124)이 뒤로 이동하고 스프링(122)도 이동프레임이 뒤로 이동한 만큼 압축되며, 에어홈(125)과 오일홈(126)도 뒤로 이동하는데 오일홈(126)은 계속 닫혀있는 상태가 되고 에어홈(125)은 에어관(115)과 배출관(117)을 연결하여 열린 상태가 되고 에어가 배출노즐(118)을 통하여 분사되어 세척부품(27)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나 큰 먼지 등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조절레버(119)를 끝까지 당기면 b)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동프레임(124)이 더 뒤로 이동하고 스프링(122)은 완전히 압축되며 에어홈(125)은 닫혀진 상태가 되어 에어의 분사가 멈추고, 오일홈(126)은 오일관(116)과 배출관(117)을 연결하여 열린 상태가 되고 오일이 배출노즐(118)을 통하여 분사되어 세척부품(27)의 표면을 오일로 세척하게 되면 작은 먼지까지도 깨끗하게 제거된다.
다음으로 조절레버(119)를 다시 a)와 같은 상태로 복귀시키면 이동프레임이 복귀하면서 오일홈(126)도 복귀하고 오일관(116)과 배출관(117)은 닫혀지며, 다시 에어관(115)과 배출관(117)이 에어홈(125)에 의하여 열린 상태가 되어 배출노즐(118)로 에어가 분사되면서 기계부품 표면의 오일를 제거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조절레버(119)를 완전히 놓으면 이동프레임(124)이 원치치로 복 귀하고 에어홈(125)과 오일홈(126)은 닫힌 상태가 되며 스프링(122)의 압축은 풀리려 원치치인 정지상태로 복귀하여 세척작업은 완료된다.
도 6에서는 세척과정의 순서도 인데, 조절레버(119)를 당겨 이동프레임(124)을 뒤로 이동시키는 시작단계(200)[도 4에 해당]와, 에어관(115)와 배출관(117)이 에어홈(125)에 의하여 연결되어 열린 상태가 된 후 배출노즐(118)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기계부품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단계(300)[도 5의 (a)에 해당]와, 조절레버(119)를 끝까지 당겨서 에어홈(125)은 닫힌 상태가 되어 에어분사를 멈추고 오일관(116)과 배출관(117)이 오일홈(126)에 의하여 연결되어 열린 상태가 된 후 배출노즐(118)로 오일(108)을 분사하여 작은 먼지 등을 세척제거하는 오일분사단계(400)[도 5의 (b)에 해당]와, 조절레버(119)를 에어분사단계(300)와 동일한 위치로 복귀시키면 오일홈(126)은 닫힌 상태가 되어 오일분사를 멈추고 에어관(115)과 배출관(117)은 에어홈(125)에 의하여 열린 상태가 되고 배출노즐(118)로 에어를 분사하여 기계부품에 남아있는 오일(108)을 제거하는 오일제거단계(500)[도 5의 (c)에 해당]와, 조절레버(119)를 완전히 놓으면 이동프레임(124)과 에어홈(125) 그리고 오일홈(126) 및 스프링(122)이 도 4와 같이 원치로 복귀하여 에어와 오일 모두 분사되지 않는 세척완료단계(600)[도 4에 해당]를 거쳐 세척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방청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데, 종래 방청작업은 작업자가 방청유를 담고 있는 수조에 가공-세척된 기계부품을 담궈서 방청유를 충분히 묻힌 후 빼내는 과정에서 다량의 방청유가 작업장의 바닥에 떨어지고 에어건으로 몇 초간 에 어를 분사시켜 적당한 방청유만을 남기는 것으로 과정에서 방청유가 대기중으로 발산되어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세척된 기계부품의 표면에 복합 에어건(112)을 이용하여 방청유를 도포[도 5의 (b)와 동일한 구성] 한 다음 부품 표면에 과도하게 남아있는 방청유에 에어를 분사[도 5의 (c)와 동일한 구성]시켜 적당량의 방청유만 만기고 제거하면 집진기로 방청유가 집진 되므로 작업장 바닥의 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익한 방청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세척장치와 일체로 구성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방청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분사 시의 압축공기의 압력은 도 5의 (c)보다는 약하게 조절하 는데 그 이유는 도 5의 (c)는 오일(세척유)를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이고 방청장치는 적당량의 방청유를 남기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기와 오일이 혼합되지 않는 에어건의 구성으로 세척 단계별로 공기나 오일을 각각 따로 분사가 가능하므로 정밀한 세척과 세척조건에 맞게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며 작업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장의 오염을 줄이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프레이건이나 에어건으로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건(112)의 손잡이에 에어호스연결부(113)와 오일호스연결부(114)가 구비되고, 에어호스연결부(113)는 에어관(115)을 거쳐 조절부(120)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오일호스연결부(114)는 오일관(116)을 거쳐 조절부(120)에 연결되어 오일(108)을 공급하고, 상기 조절부(120)에는 고정프레임(121)이 구비되며, 고정프레임(121)의 내측에는 스프링(122)과 에어홈(125) 및 오일홈(126)을 갖춘 이동프레임(124)이 구비되고, 이동프레임(124)의 끝단에는 조절레버(119)가 구비되며, 조절레버(119)를 작동시키면 에어관(115)과 배출관(117)은 에어홈(125)에 의하여 연결되어 배출노즐(118)로 에어를 분사시키고 오일관(116)과 배출관(117)은 오일홈(126)에 의하여 연결되어 배출노즐(118)로 오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2.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방법에 있어서,
    에어건(112)의 조절레버(119)를 당겨 이동프레임(124)을 뒤로 이동시키는 시작단계(200);
    에어관(115)와 배출관(117)이 에어홈(125)에 의하여 연결되고 배출노즐(118)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단계(300);
    조절레버(119)를 끝까지 당겨서 에어홈(125)은 닫혀 에어분사를 멈추고 오일관(116)과 배출관(117)이 오일홈(126)에 의하여 연결되어 배출노즐(118)로 오일(108)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오일분사단계(400);
    조절레버(119)를 에어분사단계(300)와 동일한 위치로 복귀시켜 오일홈(126)이 닫혀 오일분사는 멈추고 에어홈(125)은 열려서 배출노즐(118)로 에어를 분사하여 오일(108)을 제거하는 오일제거단계(500);
    조절레버(119)를 원치로 복귀시켜 에어와 오일 모두 분사되지 않는 세척완료단계(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방법.
KR1020060041270A 2006-05-09 2006-05-09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072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70A KR100727569B1 (ko) 2006-05-09 2006-05-09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70A KR100727569B1 (ko) 2006-05-09 2006-05-09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569B1 true KR100727569B1 (ko) 2007-06-14

Family

ID=3835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70A KR100727569B1 (ko) 2006-05-09 2006-05-09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00Y1 (ko) 2008-11-12 2011-04-15 송영우 에어분사량 조절구조를 갖는 에어 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501U (ko) * 1994-09-01 1996-04-15 에어 건을 부설한 공기압축기
KR19990034996U (ko) * 1999-05-20 1999-09-06 이황우 다기능용에어건.
KR20000056485A (ko) * 1999-02-22 2000-09-15 박래선 공작기계용 냉각유 공급 및 칩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501U (ko) * 1994-09-01 1996-04-15 에어 건을 부설한 공기압축기
KR20000056485A (ko) * 1999-02-22 2000-09-15 박래선 공작기계용 냉각유 공급 및 칩제거장치
KR19990034996U (ko) * 1999-05-20 1999-09-06 이황우 다기능용에어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00Y1 (ko) 2008-11-12 2011-04-15 송영우 에어분사량 조절구조를 갖는 에어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7501A (zh) 喷射真空型吸尘装置及其工作方法
CN210197419U (zh) 一种具有清洁装置的排烟罩
KR100727569B1 (ko)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991083B1 (ko)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CN208627942U (zh) 一种医学检测设备清洗回收装置
KR20140142647A (ko) 무인 방제기
CN207013348U (zh) 一种物体表面清洁装置
CN208131588U (zh) 一种复杂型腔高压气动自动清洗机
CN106975724B (zh) 一种铆接多余物清除与收集装置
KR20170014940A (ko) 에어 컴프레서 겸용 분무장치
DE10004343A1 (de) Verfahren zum Entfernen von Verschmutzungen oder Farbaufträgen an Gegenständen mit asbesthaltigen Oberflächen
CN215313412U (zh) 一种焦化废气处理装置
CN210675698U (zh) 一种喷枪清洗平台
CN204914909U (zh) 一种喷码机喷头清洗系统
CN108856075A (zh) 齿轮箱冲洗装置
CN211245974U (zh) 一种具有辅助自清洁结构的油烟处理设备
CN208319142U (zh) 喷射真空型吸尘装置
CN214389476U (zh) 一种环保型工业废气净化装置
CN201521353U (zh) 车辆进气、排气系统除碳除垢的装置
CN214512970U (zh) 一种工业污水收集处理设备
CN219527841U (zh) 一种模块化卫生间的真空集便系统
CN218792133U (zh) 清洁基站及清洁系统
CN220852258U (zh) 一种水洗净化排油烟罩
CN214107640U (zh) 一种大型机械臂加工用涂装智能一体化设备
CN219647048U (zh) 一种智能化有机废气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