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647A - 무인 방제기 - Google Patents
무인 방제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2647A KR20140142647A KR20140014849A KR20140014849A KR20140142647A KR 20140142647 A KR20140142647 A KR 20140142647A KR 20140014849 A KR20140014849 A KR 20140014849A KR 20140014849 A KR20140014849 A KR 20140014849A KR 20140142647 A KR20140142647 A KR 201401426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emical liquid
- compressed air
- supply source
- injection nozzle
- ai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Nozzl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분사노즐 내에 잔류되는 이물질을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약액탱크;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분기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2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 및 분기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약액탱크;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분기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2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 및 분기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분사노즐 내에 잔류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방제기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 상에 콤프레샤 및 제어기를 설치하여, 약액 탱크 및 송풍기의 노즐을 통해 농약 등을 분사하는 것으로, 송풍기 자체는 좌우 회전이 용이하여 자동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무인 방제기는 수화제나 영양제와 같은 점도가 높은 약액 등을 분사할 경우 노즐 토출구가 쉽게 막히게 되므로 노즐을 자주 분리하여 세척해야 되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4-0013204호에 "무인 방제기의 노즐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0013204호의 무인 방제기의 노즐 세척장치는, 기존의 무인 방제기에 세척용 물탱크를 설치하고, 일정시간 약액이 분사된 후에는 자동으로 일정시간은 약액 대신 세척용 물탱크 내부의 세척용 물이 분사되어 노즐을 세척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약액과 세척수가 일정간격으로 교대로 분사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노즐 토출구가 막히는 사례는 방지할 수는 있게 된다. 반면에 간혹 살포되는 약액중에 입자가 큰 분술물이 들어가 노즐의 토출구를 막아버리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 농약 살포작업을 중단하고, 노즐을 분해하여 노즐의 토출구에 끼인 입자를 가는 철사 등으로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노즐이 막혀 농약 등의 약액을 제때에 살포하지 못할 경우, 병충해를 적시에 방제하지 못하게 되므로 농작물 등의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고, 또한 출하시기를 놓쳐 제값을 받지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분사노즐 또는 튜브 내에 잔류되는 이물질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분사노즐 토출구의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방제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사노즐 토출구의 막힘 세척작업을 해당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방제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사노즐 토출구의 세척작업에 소용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사후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방제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약액탱크;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분기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2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 및 분기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보조탱크 및 약액탱크;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분기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2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
상기 분기관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 세척용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분기관로를 통해 상기 물탱크에 공급하여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며, 상기 물탱크 내의 세척수가 소진된 경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물탱크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을 에어세척하는 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물탱크, 약액탱크 및 보조 물탱크용 호스;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보조 물탱크용 호스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 또는 물탱크로부터의 세척수가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물탱크 및 보조 물탱크용 호스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T형 제1연결구; 및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와 제2관로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T형 제2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약액 살포하고,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에 공급하여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여 물세척하며,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 내의 세척수가 소진된 경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보조 물탱크용 호스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을 에어세척하는 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2밸브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상기 제1관로와 상기 분기관로를 개폐시키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동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분사노즐 또는 튜브 내에 잔류되는 이물질 세척작업을 설정된 시간별로 교호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분사노즐 토출구의 막힘을 최소화하여 약액 살포작업하는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 토출구의 막힘 세척작업을 비닐하우스 외부에서 해당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수행함에 따라, 농약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차단하여 농약 등에 작업자 중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의 토출구의 세척작업에 소용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인건비용을 줄이고, 약액 살포 후 별도로 분사노즐을 세척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사후관리유지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에서, 분사노즐의 세척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에서,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에서, 분사노즐의 세척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에서, 분사노즐의 세척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에서,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에서, 분사노즐의 세척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바퀴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약액탱크(12);
압축공기공급원(13)(일 예로서 에어콤퓨레셔를 말함)에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12)에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14),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12)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함;
상기 분사노즐(14)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30);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15) 소정지점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12)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16) 소정지점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17)를 구비하여,
상기 분사노즐(14)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분기관로(17)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4)에 고압의 공기압을 공급하여 상기 분사노즐(14)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바퀴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상에 장착되는 보조탱크(11) 및 약액탱크(12);
압축공기공급원(13)(일 예로서 에어콤퓨레셔를 말함)에 제1입구(A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12)에 제2입구(B포트)가 연결되는 분사노즐(14),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12)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함;
상기 분사노즐(14)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30);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15) 소정지점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12)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16) 소정지점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17);
상기 분기관로(17) 상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14)용 세척수를 저장하는물탱크(18)를 구비하여,
상기 분사노즐(14)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분사노즐(14)에 고압의 세척수 또는 고압의 공기압을 공급하여 상기 분사노즐(14)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관로(15)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밸브(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로(17)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밸브(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밸브(19,20)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따라 상기 제1관로(15)와 상기 분기관로(17)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동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2밸브(19,20)로서 볼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관로(16)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밸브(21)(일 예로서 체크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상기 분사노즐(14)의 내부를 세척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수 있도록 분사노즐(14)의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캡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약액탱크(12) 내의 약액을 분사노즐(14)에 의해 비닐하우스 내의 원예작물, 오이 등의 농작물 등에 분무상태로 살포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이 제1관로(15)의 제1밸브(19)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14)의 A포트에 유입됨에 따라,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약액탱크(12) 내의 약액이 제2관로(16)의 제3밸브(21)를 경유하여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흡입된다(이때 상기 분기관로(17)의 제2밸브(20)는 닫힌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분사노즐(14)의 개구부 조절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14)에 유입되는 고압상태의 공기압과 약액은 소정비율로 혼합되어 분사노즐(14)의 토출구를 통하여 분무상태로 살포된다.
다음, 상기 분사노즐(14)과 제2관로(16) 내부에 잔류되는 농약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작업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분기관로(17)에 설치된 제2밸브(20)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 일부가 제1관로(15)의 제1밸브(19)를 경유하여 분사노즐(14)의 A포트에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 일부가 분기관로(17)의 제2밸브(20)와 제2관로(16)를 통하여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약액탱크(12) 내의 약액은 상기 제3밸브(21)의 체크기능에 의해 분사노즐(14)쪽으로 흡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 내에 잔류되는 농약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이 제1관로(15)를 따라 분사노즐(14)의 A포트에 공급됨에 따라, 약액탱크(12) 내의 약액이 제2관로(16)를 따라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공급되므로,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작업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분사노즐(14)에 공급되는 고압상태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 내에 잔류되는 농약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분사노즐(14)에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약액탱크(12)의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시키는 약액 살포작업과(일 예로서 5-10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과, 제1관로(15) 또는 제2관로(16) 내부에 잔류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반복하게 된다(일 예로서 5-10초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14)에 의한 약액 살포 - 분사노즐(14)의 에어세척 - 분사노즐(14)에 의한 약액 살포 - 분사노즐(14)을 에어세척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살포하는 약액 살포작업 도중에 분사노즐(14)이 막혀 약액 살포작업을 중단한 후, 분사노즐(14)을 분리하여 노즐을 세척하여 분사노즐(14)의 토출구를 뚫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이 제1관로(15)의 제1밸브(19)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14)의 A포트에 유입됨에 따라,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약액탱크(12) 내의 약액이 제2관로(16)의 제3밸브(21)를 경유하여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흡입된다(이때 상기 분기관로(17)의 제2밸브(20)는 닫힌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분사노즐(14)에 유입되는 고압상태의 공기압과 약액은, 분사노즐(14)의 개구부 조절에 의해 소정비율로 혼합된 후 분사노즐(14)의 토출구를 통하여 분무상태로 살포된다.
다음, 상기 분사노즐(14)에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14)과 제2관로(16) 내부에 잔류되는 농약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작업 후 소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분기관로(17)에 설치된 제2밸브(20)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공기압 일부는 제1관로(15)의 제1밸브(19)를 경유하여 분사노즐(14)의 A포트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 나머지는 분기관로(17)의 제2밸브(20)를 경유하여 물탱크(18)에 공급됨에 따라, 물탱크(18) 내의 세척용 물을 제2관로(16)를 경유하여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에 설정시간동안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분사노즐(14) 내에 잔류되는 농약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물탱크(18) 내의 모든 세척용 물이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에 공급된 경우,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 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에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이 분기관로(17)의 제2밸브(20)와, 제2관로(16)를 경유하여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공급되므로, 분사노즐(14) 내에 잔류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의 고압의 공기압이 제1관로(15)를 따라 분사노즐(14)의 A포트에 공급됨에 따라, 약액탱크(12) 내의 약액이 제2관로(16)를 따라 분사노즐(14)의 B포트에 공급되므로,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할 수 있다(이때 제2밸브(20)의 닫힘에 의해 분기관로(17)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분사노즐(14)에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약액탱크(12)의 약액을 분무상태로 살포시키는 약액 살포작업과,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물탱크(18)의 물을 분사노즐(14)에 공급하여 고압의 세척수로 분사노즐(14)의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과, 에어콤퓨레셔(1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의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14)에 의한 약액 살포 -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분사노즐(14)의 세척 -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 세척 - 분사노즐(14)에 의한 약액 살포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4)에 의해 약액을 살포하는 약액 살포작업 도중에 분사노즐(14)이 막혀 약액 살포작업을 중단한 후, 분사노즐(14)을 분리하여 노즐을 세척하여 분사노즐(14)의 토출구를 뚫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인 방제기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상에 장착되는 물탱크(18), 약액탱크(12) 및 보조 물탱크용 호스(50)(분사노즐 세척수가 채워지는 호스의 길이가 보조 물탱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압축공기공급원(13)에 제1관로(15)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12)에 제2관로(16)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14),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12)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15)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13)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14)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19);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과 보조 물탱크용 호스(50)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50)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20);
상기 제2관로(16)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14)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의 공기압 또는 물탱크(18)로부터의 세척수가 상기 약액탱크(12)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21);
상기 분사노즐(14)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30);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과, 물탱크(18) 및 보조 물탱크용 호스(50)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T형 제1연결구(31); 및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40)와 제2관로(16)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T형 제2연결구(32);를 구비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밸브(19)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14)에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12)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14)을 통해 약액을 분사시켜 살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20)는 닫힌상태를 유지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2밸브(19,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일부를 상기 제1관로(15)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4)의 노즐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일부를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50)에 공급함에 따라,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5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14)의 노즐에 공급하여 분사노즐(14)을 물세척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50) 내의 세척수가 소진된 경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보조 물탱크용 호스(50)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14)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을 에어세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공급원(13)(에어컴퓨레셔를 말함)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약액탱크(12)의 약액을 흡입하여 분사노즐(14)을 통해 분사시키는 약액 살포작업과,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보조 물탱크용 호스(50)에 채워진 물을 분사노즐(14)쪽으로 이동시켜 세척하는 물세척 작업과, 보조 물탱크용 호스(50) 내의 세척수가 소진된 경우 압축공기공급원(1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4)을 세척하는 에어세척 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10; 베이스
11; 보조탱크
12; 약액탱크
13; 에어콤퓨레셔
14; 분사노즐
15; 제1관로
16; 제2관로
17; 분기관로
18; 물탱크
19; 제1밸브
20; 제2밸브
21; 제3밸브
11; 보조탱크
12; 약액탱크
13; 에어콤퓨레셔
14; 분사노즐
15; 제1관로
16; 제2관로
17; 분기관로
18; 물탱크
19; 제1밸브
20; 제2밸브
21; 제3밸브
Claims (5)
-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약액탱크;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분기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2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 및 분기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 -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보조탱크 및 약액탱크;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분기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2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제1입구 사이의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분기접속되고, 상기 약액탱크와 제2입구 사이의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분기접속되는 분기관로;
상기 분기관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 세척용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약액 살포와,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분기관로를 통해 상기 물탱크에 공급하여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며, 상기 물탱크 내의 세척수가 소진된 경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물탱크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을 에어세척하는 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 -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물탱크, 약액탱크 및 보조 물탱크용 호스;
압축공기공급원에 제1관로를 통해 제1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약액탱크에 제2관로를 통해 제2입구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제1입구에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제2입구에 흡입되는 약액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무상태로 살포시킴;
상기 제1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원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의 제1입구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보조 물탱크용 호스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관로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세척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압 또는 물탱크로부터의 세척수가 상기 약액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밸브;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살포되는 약액을 원거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과, 물탱크 및 보조 물탱크용 호스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T형 제1연결구; 및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와 제2관로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T형 제2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약액탱크의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약액 살포하고, 상기 제1,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에 공급하여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에 공급하여 물세척하며, 상기 보조 물탱크용 호스 내의 세척수가 소진된 경우,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으로부터 보조 물탱크용 호스를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을 에어세척하는 작업을 교호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상기 제1관로를 개폐시키도록 절환되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동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상기 분기관로를 개폐시키도록 절환되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동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3474 | 2013-06-03 | ||
KR1020130063474 | 2013-06-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647A true KR20140142647A (ko) | 2014-12-12 |
Family
ID=5246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14849A KR20140142647A (ko) | 2013-06-03 | 2014-02-10 | 무인 방제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2647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2921A (ko) * | 2015-11-30 | 2017-06-08 | 이광복 | 초미립자 약액 무인 다방향 분무방제기 |
KR20180064000A (ko) * | 2016-12-05 | 2018-06-14 | 이광복 | 약액분무 시스템 |
KR101987596B1 (ko) * | 2018-10-01 | 2019-09-27 | 남윤구 | 이동식 약액방제기 |
KR20190114841A (ko) * | 2018-03-29 | 2019-10-10 | (주)이노팜 |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
KR20240106538A (ko) | 2022-12-29 | 2024-07-08 | 이승범 | 노인들을 위한 종합 놀이시스템 |
-
2014
- 2014-02-10 KR KR20140014849A patent/KR201401426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2921A (ko) * | 2015-11-30 | 2017-06-08 | 이광복 | 초미립자 약액 무인 다방향 분무방제기 |
KR20180064000A (ko) * | 2016-12-05 | 2018-06-14 | 이광복 | 약액분무 시스템 |
KR20190114841A (ko) * | 2018-03-29 | 2019-10-10 | (주)이노팜 |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
KR101987596B1 (ko) * | 2018-10-01 | 2019-09-27 | 남윤구 | 이동식 약액방제기 |
KR20240106538A (ko) | 2022-12-29 | 2024-07-08 | 이승범 | 노인들을 위한 종합 놀이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42647A (ko) | 무인 방제기 | |
KR101370690B1 (ko) | 약제를 나노포그 미립화 상태로 분무하여 최상 방제 효과를 얻고 농약중독 예방이 가능한 무인방제시스템 | |
KR101547833B1 (ko) | 약액분무기 | |
KR101893809B1 (ko) | 분사노즐 및 필터의 자동 막힘 제거가 가능한 자동 분무시스템 | |
US20140251390A1 (en) | Pressure Washer With Parallel Flow Soap Dispensing | |
KR101496319B1 (ko) | 분무기 | |
JP5438187B2 (ja) | 給水ポンプ装置 | |
CN205851200U (zh) | 一种涂料喷枪的自动清洗装置 | |
JP2008120328A (ja) | 洗浄用噴出装置 | |
KR20150004555A (ko) | 세제 분사 방식의 고압세척 장치 | |
JPH1161902A (ja) | 水槽内洗浄装置 | |
US2014022428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 vehicle | |
KR20120008337U (ko) |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 |
KR101874252B1 (ko) | 에어리스 도장기 | |
CN207247378U (zh) | 一种喷雾式空气净化装置 | |
KR101894505B1 (ko) | 초미립자 약액 무인 다방향 분무방제기 | |
JP2536011Y2 (ja) | 薬液散布装置の洗浄装置 | |
KR960007354Y1 (ko) | 무인방제기의 노즐 세척장치 | |
KR101889461B1 (ko) |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직분사 세척장치 | |
KR100727569B1 (ko) | 복합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
KR20100124630A (ko) | 광역살포기의 약액 혼합 분사장치 | |
KR200482407Y1 (ko) | 액체 토출장치 | |
JP2006193888A (ja) | アスファルト溶液散布装置における散布ノズル洗浄装置 | |
JPH061271Y2 (ja) | 洗浄装置 | |
KR101578063B1 (ko) | 무인 방제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