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088B1 - 에어건 - Google Patents

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088B1
KR100935088B1 KR1020090099097A KR20090099097A KR100935088B1 KR 100935088 B1 KR100935088 B1 KR 100935088B1 KR 1020090099097 A KR1020090099097 A KR 1020090099097A KR 20090099097 A KR20090099097 A KR 20090099097A KR 100935088 B1 KR100935088 B1 KR 10093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opening
negative pressure
pressure generating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선
Original Assignee
서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선 filed Critical 서지선
Priority to KR102009009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건은,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를 열거나 막는 개폐유닛; 상기 제2통로의 전단에 설치되는 파이프; 상기 제2통로의 후단에 설치되며, 부압발생홈을 구비한 부압발생유닛; 상기 제2통로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키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통로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전환유닛이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불기모드, 또는,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3통로와 집진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연결관 상기 제3통로를 통해 절삭유를 흡입시켜 상기 집진기로 모으는 흡입모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에어건{AIR GUN}
본 발명은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에어건은 기계가공업체, 자동차정비업체에서 널리 사용된다.
에어건은 먼지를 불어서 제거한다.(이를 불기모드라 한다,) 또는, 에어건은 절삭유를 흡입하여 집진기로 모은다. (이를 흡입모드라 한다.)
에어건의 종류에는 불기모드 또는 흡입모드 중 어느 한 가지만 할 수 있는 에어건이 있고, 불기모드 및 흡입모드를 모두 할 수 있는 에어건이 있다. 이러한 불기모드 및 흡입모드 모두 할 수 있는 에어건으로는, 등록실용신안(20-0239294)에 개시된 에어건이 있다.
등록실용신안(20-0239294)에 개시된 에어건은, 고정스풀, 제1조절노브, 제2조절노브, 피팅, 관체, 진공발생밸브, 조립체, on/off밸브, 코크 등 많은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에어건의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기모드 및 흡입모드를 모두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에어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건은,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를 열거나 막는 개폐유닛; 상기 제2통로의 전단에 설치되는 파이프; 상기 제2통로의 후단에 설치되며, 부압발생홈을 구비한 부압발생유닛; 상기 제2통로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키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통로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전환유닛이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불기모드, 또는,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3통로와 집진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연결관 상기 제3통로를 통해 절삭유를 흡입시켜 상기 집진기로 모으는 흡입모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은, 몸체가 금형으로 제작되고, 몸체 제작시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가 몸체의 내부에 한꺼번에 형성되므로,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들(관체, 진공발생밸브, 조립체)이 필요 없다.
또한,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켜, 불기모드 또는 흡입모드로 전환하므로, 불기모드 또는 흡입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들(제1조절노브, 제2조절노브)이 필요 없다. 이로 인해, 에어건의 부품수가 감소하여, 구조가 간단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과, 에어건에 각각 연결된 공기펌프와 집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에어건의 몸체는 내부를 볼 수 있게, 종 방향으로 단면쳐 나타내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은,
몸체(10), 개폐유닛(30), 부압발생유닛(100), 전환유닛(130), 고정유닛(140)으로 구성된다.
몸체(10)는, 총(gun)의 형상을 가진다. 몸체(10)는, 금형으로 제작된다.
몸체(10)에는 방아쇠(17)가 설치된다. 몸체(10)의 양측면에 구멍(10a)이 구비된다.
방아쇠(17)의 양측면에 구멍(17a)들이 구비된다.
방아쇠(17)을 몸체(10)의 양측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핀(15)을 구멍(10a)과 구멍(17a)들에 통과시키고, 핀(15)의 끝단에 스냅링(16)을 삽입하면, 방아쇠(17)가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방아쇠(17)를 당기고 놓았을 때, 방아쇠(17)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핀(15) 주위에 토션스프링을 더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금형으로 몸체(10)를 제작시, 몸체(10)의 내부에, 제1통로(11), 제2통로(12), 제3통로(13)가 한꺼번에 형성된다.
제1통로(11)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통로(11)는 하부통로(11a)와 상부통로(11b)로 나누어진다. 하부통로(11a)와 상부통로(11b) 사이에, 장착홈(14)이 위치한다.
하부통로(11a)의 일단에는 제1커넥터(E1)가 설치된다. 하부통로(11a)의 타단은 장착홈(14)과 연결된다.
제1커넥터(E1)는 튜브(T1)로 공기펌프(A)에 연결된다. 또는, 제1커넥터(E1)에 휴대용 압축공기캔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부통로(11b)의 일단은 장착홈(14)과 연결된다.
제2통로(12)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통로(12)는 전방통로(12a)와 후방통로(12b)로 나누어진다. 전방통로(12a)에는 파이프(19)가 설치된다. 후방통로(12b)의 끝단에는 암나사산(12c)이 형성된다. 후방통로(12b)는 상부통로(11b)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3통로(13)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통로(13)는 제1통로(11)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통로(11)와 평행하다. 제3통로(13)의 일단에는 제2커넥터(E2)가 연결된다.
제2커넥터(E2)는 튜브(T2)로 집진기(D)에 연결된다. 또는, 제2커넥터(E2)에 휴대용 집진기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통로(13)의 타단은 연결관(18)으로 후방통로(12b)와 연결된다.
몸체(10)의 측면에는 소음기(20)가 설치되는 구멍(10b)이 구비된다. 구멍(10b)은 후방통로(12b)와 연결된다. 구멍(10b)은 연결관(18) 직전에 위치한다.
소음기(20)에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절삭유는 거르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개폐유닛(30)은, 제1통로(11)를 열거나 막는다. 개폐유닛(30)은, 스프링(31), 축(32), 버튼(33), 마개(34)로 구성된다. 개폐유닛(30)은, 장착홈(14)에 설치된다.
스프링(31)과 축(32)이 장착홈(14)에 순서대로 삽입된다. 축(21)의 외주면에는 제1단턱(31a)과 제2단턱(31b)이 구비된다. 제1단턱(31a)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O-ring)이 삽입되는 홈(미도시)이 구비된다. 제2단턱(31b)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O-ring)이 삽입되는 홈(미도시)이 구비된다.
버튼(33)은, 축(21)의 일단에 연결된다.
마개(34)는, 축(32)이 장착홈(14)의 바깥으로 빠지지 못하게 한다. 마개(34)의 중심부에는, 구멍(34a)이 구비된다. 구멍(34a)의 내경은, 축(32)은 통과시키나, 제2단턱(31b)은 통과시키지 못할 정도의 크기다.
방아쇠(17)를 당기면, 방아쇠(17)의 일측이 버튼(33)을 밀어 후진시킨다.
버튼(33)이 후진하면, 상부통로(11b)를 막고 있던 제1단턱(31a)이, 상부통로(11b)를 연다. 공기펌프(A)에서 공급된 공기가, 제1단턱(31a)과 제2단턱(31b) 사이를 지나, 상부통로(11b)로 유입된다.
방아쇠(17)를 당기지 않으면, 스프링(31)이 팽창하면서, 버튼(33)이 제자리 로 복귀한다. 버튼(33)이 제자리로 복귀하면, 제1단턱(31a)이 상부통로(11b)를 막는다. 공기펌프(A)에서 공급된 공기가 제1단턱(31a)과 제2단턱(31b) 사이를 지나, 상부통로(11b)로 유입되지 못한다.
물론, 방아쇠(17)를 없애고, 버튼(33)을 직접 후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부압발생유닛(100)은, 절삭유를 흡입하는 부압(負壓)을 발생시킨다. 부압발생유닛(100)은, 후방통로(12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압발생유닛(100)은,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블록의 종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110)은 원통형이다. 제1블록(110)은, 전면의 외경보다, 후면의 외경이 작게 제작된다. 이로 인해, 제1블록(110)의 외주면에 단턱(115)이 구비된다.
제1블록(110)의 전면에는, 부압발생홈(111)이 구비된다.
부압발생홈(111)은, 제1홈(111a), 제2홈(111b), 제3홈(111c)으로 나누어진다.
제1홈(111a)의 내경은 일정하다. 제2홈(111b)은 내경이 점차 줄어든다. 제3홈(111c)의 내경은 일정하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에는, 제1홈(111a)과 연결된 제1개구(111d)가 구비된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에는, 제1개구(111d)와 마주보며, 제1홈(111a)가 연결된 제2개구(111e)가 구비된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에는, 제2개구(111e)의 후측으로, 제3홈(111a)과 연결된 제3개구(111f)가 구비된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에는, 제1볼홈(118a)이 구비된다. 제1볼홈(118a)은,제3개구(111f) 후측에 위치한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에는, 제1볼홈(118a)과 마주보는 제2볼홈(118b)이 구비된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이 삽입되는 제1오링홈(116)이 구비된다. 제1오링홈(116)은, 제2개구(111e)와 제3개구(111f) 사이에 위치한다.
제1블록(110)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이 삽입되는 제2오링홈(117)이 구비된다. 제2오링홈(117)은, 제3개구(111f) 후측에, 위치한다.
제1블록(110)의 후면에는, 나사공(119)이 구비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블록의 종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블록(120)의 중심부에는, 구멍(120a)이 구비된다. 구멍(120a)의 종 단면은 깔대기 형상이다.
제2블록(120)은, 관부(121), 연결부(122), 턱부(123)로 나누어진다.
관부(121)의 외경(D1)은 제1홈(111a)의 내경(D4, 도 3참조)보다 작다.
관부(121)의 끝단에는, 돌기(121a)가 구비된다. 돌기(121a)는 관부(12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연결부(122)는, 관부(121)와 턱부(123)를 연결한다.
연결부(122)의 외경(D2)은, 제1홈(111a)의 내경(D4, 도 3참조)과 같다.
턱부(123)의 외경(D1)은, 제1홈(111a)의 내경(D4, 도 3참조)보다 크다.
따라서, 턱부(123)는 부압발생홈(111)에 삽입되지 못한다.
턱부(123)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이 삽입되는 홈(123a)이 구비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블록과 도 4에 도시된 제2블록이 결합된 도면으로, 그 결합 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121)는 제1홈(111a)과 제2홈(111b)에 걸쳐서 삽입된다. 연결부(122)는 제1홈(111a)에 삽입된다.
제1홈(111a)과 관부(121) 사이에 제1틈(S1)이 형성된다. 제2홈(111b)과 돌기(121a) 사이에 제2틈(S2)이 형성된다. 제2틈(S2)의 폭(W2)은, 제1틈(S1)의 폭(W1)보다 좁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유닛(130)은, 부압발생유닛(100)을 회전시킨다.(도 7참조)
전환유닛(130)은, 노브(131)와 마개(132)와 볼트(133)로 구성된다.
노브(131)는, 중심부에 구멍(131a)을 구비한다.
마개(132)가 후방통로(12b)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마개(132)의 외주면에는, 암나사산(12c)과 결합하는 수나사산(132b)이 형성된다.
마개(132)의 중심부에는 구멍(132a)이 구비된다. 구멍(132a)의 내경(D5)은 단턱(115)의 외경(D6)보다 작다. 따라서, 제1블록(115) 중 단턱(115)의 후측 부분은 구멍(132a)을 통과하나, 단턱(115)의 전측 부분은 구멍(132a)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제1블록(110)이 후방통로(12b)의 바깥으로 빠지지 못한다.
볼트(133)가, 구멍(131a)을 통과하여 나사공(119)에 결합하면, 노브(131)가 제1블록(110)에 고정된다.
고정유닛(140)은, 부압발생유닛(100)을 고정시킨다.
고정유닛(140)은, 멈춤나사(141), 스프링(142), 볼(143)로 구성된다.
몸체(10)는, 구멍(10c)을 상면에 구비한다. 구멍(10c)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블록(110)이 후방통로(12b)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143)과 스프링(142)을 순서대로 구멍(10c)에 삽입시키고, 멈춤나사(141)를 구멍(10c)에 결합시킨다.
볼(143)이, 제1볼홈(118a) 또는 제2볼홈(118b)에 삽입되면, 부압발생유닛(100)은 고정된다. 부압발생유닛(100)은 일정한 힘을 주지 않으면 회전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불기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발생유닛(100)의 제1개구(111d)는 상부통로(11b)와 연통된 상태이다. 부압발생유닛(100)의 제2개구(111e)와 부압발생유닛(100)의 제3개구(111f)는 후방통로(12b)의 내벽에 의해 막혀진 상태이다. 볼(143)은 제1홈(118a)에 삽입된 상태이다.
방아쇠(17)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당긴다. 방아쇠(17)가 버튼(33)을 밀어 후진시킨다. 제1단턱(31a)과 제2단턱(31b)이 후진한다. 하부통로(11a)와 상부통로(11b)가 연통된다. 공기펌프(A)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화살표 X2방향을 따라, 튜브(T1), 제1커넥터(E1), 하부통로(11a), 상부통로(11b), 제1개구(111d), 제1틈(S1, 도 5참조), 제2틈(S2, 도 5참조), 제3홈(111c), 구멍(120a), 전방통로(12a), 파이프(19)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일부 공기는 소음기(20, 도 2참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파이프(19)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먼지를 불어서 제거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흡입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점선화살표는 절삭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31)를 화살표 X3방향으로 180˚ 회전시킨다. 부압발생유닛(100)이 180˚ 회전된다. 부압발생유닛(100)의 제2개구(111e)는 상부통로(11b)와 연통된다. 부압발생유닛(100)의 제3개구(111f)는 연결관(18)으로 제3통로(13)와 연통된다. 부압발생유닛(100)의 제1개구(111d)는 후방통로(12b)의 내벽에 의해 막힌다. 볼(143)은 제2홈(118b)에 삽입된다.
방아쇠(17)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당긴다. 방아쇠(17)가 버튼(33)을 밀어 후진시킨다. 제1단턱(31a)과 제2단턱(31b)이 후진한다. 하부통로(11a)와 상부통로(11b)가 연통된다. 공기펌프(A)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화살표 X2방향을 따라, 튜브(T1), 제1커넥터(E1), 하부통로(11a), 상부통로(11b), 제2개구(111e), 제1틈(S1, 도 5참조), 제2틈(S2, 도 5참조), 제3홈(111c), 제3개구(111f), 연결관(18), 제3통로(13), 제2커넥터(E2), 튜브(T2), 집진기(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부압발생홈(111)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일부 공기는 소음기(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3개구(111f)의 직경(D7, 도 3참조)이 구멍120a)의 직경(D1, 도 4참조)보다 크므로, 공기가 파이프(19)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한편, 공기는 제1틈(S1)보다 좁은 제2틈(S2)을 통과하면서, 그 속력이 빨라 진다. 부압발생홈(111)을 공기가 빠르게 통과하면, 부압발생홈(111)에 부압이 크게 발생한다. 또한, 공기는 제3개구(111f)외에 소음기(20)를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부압발생홈(111)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면, 부압발생홈(111)에 부압이 크게 발생한다.
부압발생홈(111)에 부압이 발생하면, 절삭유는, 파이프(19), 전방통로(12a), 구멍(120a), 제3홈(111c), 제3개구(111f), 연결관(18), 제3통로(13), 제2커넥터(E2), 튜브(T2)를 통해, 집진기(D)로 모아진다. 소음기(20)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절삭유는 소음기(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과, 에어건에 각각 연결된 공기펌프와 집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블록의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블록의 종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블록과 도 4에 도시된 제2블록이 결합된 도면으로, 그 결합 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불기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흡입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6)

  1.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를 열거나 막는 개폐유닛;
    상기 제2통로의 전단에 설치되는 파이프;
    상기 제2통로의 후단에 설치되며, 부압발생홈을 구비한 부압발생유닛;
    상기 제2통로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키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통로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전환유닛이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불기모드, 또는,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3통로와 집진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부압발생홈과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3통로를 통해 절삭유를 흡입시켜 상기 집진기로 모으는 흡입모드로 전환되는 에어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유닛은,
    상기 부압발생홈이 전면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기 부압발생홈과 연결된 제1개구와 제2개구와 제3개구가 구비된 제1블록; 및
    상기 부압발생홈에 삽입되는 관부와 연결부와, 상기 부압발생홈으로 삽입되 지 못하는 턱부를 구비한 제2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는 마주보며, 상기 제3개구는 상기 제2개구의 후측에 위치하는 에어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끝단에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관부와 상기 부압발생홈 사이에는 제1틈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상기 부압발생홈 사이에는 상기 제1틈보다 좁은 제2틈이 형성되는 에어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기모드에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개구 및 제3개구는 상기 제2통로의 내벽에 의해 막혀,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1틈과 상기 제2틈과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흡입모드에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통로의 내벽에 의해 막히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제1틈과 상기 제2틈과 상기 제3개구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3통로와 상기 집진기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관 직전에 위치한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구멍에는 필터를 구비한 소음기가 설치되며,
    상기 불기모드에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개구 및 제3개구는 상기 제2통로의 내벽에 의해 막혀,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1틈과 상기 제2틈과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1틈과 상기 제2틈과 상기 소음기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흡입모드에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통로의 내벽에 의해 막히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제1틈과 상기 제2틈과 상기 제3개구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3통로와 상기 집진기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제1틈과 상기 제2틈과 상기 소음기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블록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유닛을 구성하는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볼홈과 제2볼홈이 구비된 에어건.
KR1020090099097A 2009-10-19 2009-10-19 에어건 KR10093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097A KR100935088B1 (ko) 2009-10-19 2009-10-19 에어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097A KR100935088B1 (ko) 2009-10-19 2009-10-19 에어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088B1 true KR100935088B1 (ko) 2010-01-06

Family

ID=4180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097A KR100935088B1 (ko) 2009-10-19 2009-10-19 에어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0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5355A (zh) * 2010-12-03 2012-06-06 丁硕玟 气枪
KR101358377B1 (ko) * 2012-03-30 2014-02-11 이준영 다기능 에어건
KR20200003628A (ko) 2018-07-02 2020-01-10 (주)케맥스 에어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793Y1 (ko) * 1992-02-07 1994-02-16 이희종 에어건
KR19990008099U (ko) * 1998-11-14 1999-02-25 이황우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KR200239294Y1 (ko) * 1999-05-20 2001-09-25 이황우 다기능용 에어건.
KR200253922Y1 (ko) * 2001-07-25 2001-11-22 이훈 에어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793Y1 (ko) * 1992-02-07 1994-02-16 이희종 에어건
KR19990008099U (ko) * 1998-11-14 1999-02-25 이황우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KR200239294Y1 (ko) * 1999-05-20 2001-09-25 이황우 다기능용 에어건.
KR200253922Y1 (ko) * 2001-07-25 2001-11-22 이훈 에어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5355A (zh) * 2010-12-03 2012-06-06 丁硕玟 气枪
KR101358377B1 (ko) * 2012-03-30 2014-02-11 이준영 다기능 에어건
KR20200003628A (ko) 2018-07-02 2020-01-10 (주)케맥스 에어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15355U (zh) 吹吸机
KR100935088B1 (ko) 에어건
KR200239294Y1 (ko) 다기능용 에어건.
KR20120061357A (ko) 에어건
CN108712992B (zh) 包含真空泵的真空夹具装置
WO2010128625A1 (ja) クリーナ
CN111135083B (zh) 一种配药机
CN101484058A (zh) 辅助空气阀
US7383894B2 (en) Pneumatic hammer drill (I)
US20080099277A1 (en) Muffler for pneumatic tools
TWI716626B (zh) 切換閥及間歇吹氣槍
EP1935309A3 (en) Vacuum cleaner.
US20070056758A1 (en) Rear exhaust type pneumatic tool
EP2335868A3 (en) Dust extractor for drilling machine
US6581240B2 (en) Brush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s
JP5313067B2 (ja) 電気掃除機
KR101358377B1 (ko) 다기능 에어건
TWI484935B (zh) 電動吸塵器
JP4895287B2 (ja) 電気掃除機用の風路体
KR101350656B1 (ko) 엔진용 체크밸브 일체형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330333A (ja) 圧縮空気工具におけるエアフィルタ装置
WO2008035847A3 (en) Air conditioner
KR100872478B1 (ko) 양방향 사판식 압축기의 냉매 내부 토출구조
TWM534637U (zh) 吹吸槍結構
US20070029346A1 (en) Pneumatic gre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