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357A - 에어건 - Google Patents

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357A
KR20120061357A KR1020100122647A KR20100122647A KR20120061357A KR 20120061357 A KR20120061357 A KR 20120061357A KR 1020100122647 A KR1020100122647 A KR 1020100122647A KR 20100122647 A KR20100122647 A KR 20100122647A KR 20120061357 A KR20120061357 A KR 20120061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negative pressure
valve
shaft
ai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민
Original Assignee
정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민 filed Critical 정석민
Priority to KR102010012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1357A/ko
Priority to CN201010586677XA priority patent/CN102485355A/zh
Publication of KR2012006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Landscapes

  • Nozz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건은,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제1밸브; 상기 제2통로에 삽입된 부압발생관; 및 상기 제2통로와 제3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전환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금형작업으로 몸체를 만들 때,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가 몸체의 내부에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또한, 제2통로의 내부에 부압발생부가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에어건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에어건{AIR GUN}
본 발명은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에어건은 기계가공업체, 자동차정비업체에서 널리 사용된다.
에어건은 먼지를 불어서 제거한다. (이하 “불기모드”라 한다,) 또는, 에어건은 절삭유를 흡입하여 집진기로 모은다. (이하 “흡입모드”라 한다.)
에어건의 종류에는 불기모드 또는 흡입모드 중 어느 한 가지만 할 수 있는 에어건이 있고, 불기모드 및 흡입모드를 모두 할 수 있는 에어건이 있다.
불기모드 및 흡입모드를 모두 할 수 있는 에어건으로는, 등록실용신안(20-0239294)에 개시된 에어건이 있다.
등록실용신안(20-0239294)에 개시된 에어건은, 고정스풀, 제1조절노브, 제2조절노브, 피팅, 관체, 진공발생밸브, 조립체, on/off밸브 등 많은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에어건의 구조가 복잡해 진다.
또한, 불기모드에서, 다른 에어건들과 마찬가지로, 먼지가 비산(飛散)되어 작업장을 오염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기모드 및 흡입모드를 모두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에어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기모드에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에어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건은,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제1밸브; 상기 제2통로에 삽입된 부압발생관; 및 상기 제2통로와 제3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전환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제1밸브; 상기 제2통로에 삽입된 부압발생관; 및 상기 제2통로와 제3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통로는, 제1하부통로와 제1상부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부통로와 제1상부통로 사이에, 제1밸브장착공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밸브장착공에 상기 제1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제1밸브장착공의 내주면에는 제2밸브장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밸브장착공에는 제2밸브가 결합된 에어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인 에어건의 몸체는 금형작업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금형작업으로 몸체를 만들 때,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가 몸체의 내부에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또한, 제2통로의 내주면에 부압발생부가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 부압발생부를 만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어, 에어건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전환유닛의 버튼을 누르고 당김으로써, 에어건을 불기모드 또는 흡입모드로 간단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면, 물분사모드에서, 물이 혼합된 공기를 분사시켜, 먼지를 적실 수 있다. 따라서, 먼지가 비산되지 못해 작업장이 오염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과, 에어건에 공기펌프, 집진기, 물펌프가 튜브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밸브장착공에 제1밸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아쇠에 의해 밸브축이 눌려져 후진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2통로에 부압발생관과 필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압발생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불기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흡입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물분사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과, 에어건에 공기펌프, 집진기, 물펌프가 튜브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은,
몸체(10), 제1밸브(30), 제2밸브(40), 부압발생관(50), 전환유닛(60)으로 구성된다.
에어건을 벽에 걸 수 있도록, 몸체(10)의 상면에는 고리(16)가 구비된다.
몸체(10)에는 방아쇠(17)가 설치된다. 몸체(10)에 방아쇠(17)를 설치하기 위하여, 몸체(10)의 양측면에 구멍(10a)이 구비되고, 방아쇠(17)의 양측면에 구멍(17a)이 구비된다.
몸체(10)의 양측면에 방아쇠(17)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핀(15)을 구멍(10a)과 구멍(17a)으로 통과시키고, 핀(15)의 끝부분에 스냅링(R)을 결합시키면, 방아쇠(17)가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10)는, 금형작업으로 만들어진다. 몸체(10)를 금형작업으로 만들 때, 몸체(10)의 내부에, 제1통로(11), 제2통로(12), 제3통로(13)가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또한, 제2통로(12)의 내주면에 부압발생부(100, 도 5참조)가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제1통로(11)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제1통로(11)는 제1하부통로(11a)와 제1상부통로(11b)로 구성된다. 제1하부통로(11a)와 제1상부통로(11b) 사이에, 제1밸브장착공(14)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밸브장착공(14)의 내주면에는 제2밸브장착공(14a)이 구비된다. 제2밸브장착공(14a)은 제1상부통로(11b)와 마주본다. 제1하부통로(11a)의 상단은 제1밸브장착공(14)의 후단에 연결된다. 제1커넥터(E1)가 제1하부통로(11a)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하부통로(11a)의 하단 내주면과 제1커넥터(E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커넥터(E1)는 공기펌프(A)에 튜브(T1)로 연결된다. 필요 시, 제1커넥터(E1)에 휴대용 압축공기캔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상부통로(11b)의 하단은 제1밸브장착공(14)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제1상부통로(11b)의 상단은 제2통로(12)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제2통로(12)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파이프커넥터(18)가 제2통로(12)의 전단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통로(12)의 전단 내주면과 파이프커넥터(18)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파이프커넥터(18)의 전단에 파이프(19)가 삽입된다.
제3통로(13)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제3통로(13)는 제3하부통로(13a)와 제3상부통로(13b)로 구성된다. 제3하부통로(13a)는 제3상부통로(13b)에 대해서 후방으로 꺾여져 있다. 제2커넥터(E2)가 제3하부통로(13a)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3하부통로(13a)의 하단 내주면과 제2커넥터(E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커넥터(E2)는 집진기(D)에 튜브(T2)로 연결된다. 필요 시, 제2커넥터(E2)에 휴대용 집진기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상부통로(13b)의 내주면에 제2통로(12)의 후단이 연결된다.
제3상부통로(13b)에, 전환유닛(60)의 축(61)이 삽입된다.
제1밸브(30)는 제1통로(11)와 제2통로(12)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다. 제1밸브(30)는, 밸브몸체(31), 밸브축(32),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밸브몸체(31)는 제1밸브장착공(14)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밸브몸체(31)의 외주면과 제1밸브장착공(14)의 입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밸브몸체(31)가 제1밸브장착공(14)에 나사결합되면, 제1밸브(30)는 제1밸브장착공(14)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밸브장착공에 제1밸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31)의 외주면에는 제1-1오링홈(31a)과 제1-2오링홈(31b)이 구비된다. 제1-1오링홈(31a)과 제1-2오링홈(31b)에 오링(O)이 삽입된다. 오링(O)은 밸브몸체(31)와 제1밸브장착공(14)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막는다. 제1-1오링홈(31a)과 제1-2오링홈(31b) 사이에 제1관통공(31c)이 구비된다.
밸브몸체(31)의 양 끝단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31d)이 구비된다. 축공(31d)과 제1관통공(31c)은 연통한다.
밸브축(32)은 축공(31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밸브축(32)의 외주면에는 제2-1오링홈(32a)과 제2-2오링홈(32b)이 구비된다. 제2-1오링홈(32a)과 제2-2오링홈(32b)에 오링(O)이 삽입된다. 제2-1오링홈(32a)과 제2-2오링홈(32b) 사이에는 제2관통공(32c)이 구비된다. 오링(O)은 밸브축(32)과 축공(31d)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막는다.
스프링(33)은, 제1밸브장착공(14)의 바닥면과 밸브축(32)의 끝단 사이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아쇠에 의해 밸브축이 눌려져 후진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17)을 당기면, 방아쇠(17)에 의해 밸브축(32)이 눌려진다. 그러면, 밸브축(32)은 후진하면서 스프링(33)을 압축시킨다.
방아쇠(17)을 놓으면, 스프링(33)이 팽창하면서 밸브축(32)을 전진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축(32)이 방아쇠(17)을 밀어, 방아쇠(17)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축(32)이 방아쇠(17)에 눌려져 후진되면, 제2-1오링홈(32a)에 삽입된 오링(O)과 축공(31d) 사이에 제1틈(S1)이 생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40)는 물펌프(W)에 튜브(T3)로 연결된다. 물펌프(W)는 튜브(T3)에 물을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40)는, 제2밸브장착공(14a)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밸브장착공(14a)의 내주면과 제2밸브(4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밸브(40)는, 제1관통공(31c, 도 3참조)과 튜브(T3, 도 1참조)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다.
제2밸브(40)의 노브(4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관통공(31c)과 튜브(T3)가 연통된다. 제2밸브(40)의 노브(41)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관통공(31c)과 튜브(T3)가 연통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2의 제2통로에 부압발생관과 필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발생관(50)은 제2통로(12)에 삽입된다.
부압발생관(50)과 필터(20)를 제2통로(12)에 차례대로 삽입시킨후, 제2통로(12)의 입구에 파이프커넥터(18, 도 2참조)를 나사결합시키면, 부압발생관(50)과 파이프커넥터(18, 도 2참조) 사이에 필터(20)가 고정되고, 부압발생관(50)이 제2통로(12)로부터 이탈되지 못한다.
부압발생관(50)이 삽입된 제2통로(12)의 내주면에는, 부압발생부(100)가 형성된다. 부압발생부(100)는, 제1부압부(110), 제2부압부(120), 제3부압부(130)로 구성된다.
제1부압부(110)의 내경은 일정하다. 제2부압부(120)의 내경은 후측으로 급격하게 줄어든다. 제3부압부(130)의 내경은 후측으로 점차 줄어든다. 제1부압부(110)의 내주면에 제1상부통로(11b)의 상단이 연결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압발생관의 종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발생관(50)의 양 끝단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제3관통공(50a)이 구비된다. 제3관통공(50a)의 출구는 깔대기 형상이다.
부압발생관(50)은, 관부(51), 연결부(52), 턱부(53)로 구성된다.
관부(51)의 외경(D1)은 제1부압부(110)의 내경(D4)보다 작다. 관부(51)의 끝단에는, 돌기(51a)가 구비된다.
연결부(52)는, 관부(51)와 턱부(53)를 연결한다. 연결부(52)의 외경(D2)은, 제1부압부(110)의 내경(D4)과 같다. 턱부(53)의 외경(D3)은, 제1부압부(110)의 내경(D4)보다 크다. 따라서, 턱부(53)는 제1부압부(110)에 삽입되지 못한다.
턱부(53)로 인해, 부압발생관(50)이 제2통로(12)의 내부로 계속 들어가지 못한다. 턱부(53)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홈(53a)이 구비된다. 오링홈(53a)에 오링(O, 도 2참조)이 삽입된다. 오링(O)은 턱부(53)와 제2통로(12)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막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51)는 제1부압부(110)와 제2부압부(120)와 제3부압부(130)의 안쪽에 위치한다. 연결부(52)는 제1부압부(110)의 안쪽에 위치한다.
제1부압부(110)와 관부(51) 사이에 제2틈(S2)이 형성된다. 제3부압부(130)와 돌기(51a) 사이에 제3틈(S3)이 형성된다. 제3틈(S3)의 폭(W3)은, 제2틈(S2)의 폭(W2)보다 좁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불기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흡입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유닛(60)은, 제2통로(12)와 제3통로(13)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다.
전환유닛(60)은, 축(61)과 버튼(62)으로 구성된다. 축(61)은 제1축(61a)과 제2축(61b)으로 구성된다. 제1축(61a)의 외경은 제2축(61b)의 외경보다 작다.
제1축(61a)의 상면 중심부에 나사공(61aa)이 구비된다. 버튼(62)의 상면 중심부에 구멍(62a)이 구비된다. 구멍(62a)으로 볼트(B)를 통과시켜 나사공(61aa)에 체결하면, 축(61)과 버튼(62)이 나사결합된다.
제2축(61b)은, 제3통로(13)의 제3상부통로(13b)에 삽입된다. 제2축(61b)의 외주면에 제1오링홈(61ba)과 제2오링홈(61bb)이 형성된다. 오링(O)이 제1오링홈(61ba)과 제2오링홈(61bb)에 삽입된다. 오링(O)은 제2축(61b)과 제3상부통로(13b)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막는다. 제2축(61b)의 하단은 단턱(13c)에 걸린다. 단턱(13c)과 버튼(62)에 의해, 축(61)이 제3통로(13)의 내부로 계속 들어가지 못한다.
제2축(61b)의 상단은 스냅링(R)에 걸린다. 스냅링(R)은, 홈(13d, 도 2참조)에 삽입된다. 스냅링(R)에 의해, 축(61)이 제3통로(13)로부터 이탈하지 못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건의 불기모드, 흡입모드, 물분사모드를 설명한다.
[불기모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62)을 화살표 X0방향으로 눌러서, 제2축(61b)의 외주면으로 제2통로(12)의 후단을 막는다. 그러면, 제2통로(12)와 제3통로(13)가 연통되지 않는다.
방아쇠(17)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당긴다. 방아쇠(17)가 밸브축(32)을 밀어 후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오링홈(32a)에 삽입된 오링(O)과 축공(31d) 사이가 벌어져 제1틈(S1)이 생긴다. 그러면, 제1하부통로(11a)와 제1상부통로(11b)가 연통된다.
공기펌프(A)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화살표 X2방향을 따라, 튜브(T1), 제1커넥터(E1), 제1하부통로(11a), 제1틈(S1, 도 4참조), 제1관통공(31c, 도 4참조), 제1상부통로(11b), 제2틈(S2, 도 5참조), 제3틈(S3, 도 5참조),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관통공(50a, 도 5참조), 파이프커넥터(18), 파이프(19)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파이프(19)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먼지를 불어서 제거한다.
[흡입모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62)을 화살표 X3방향으로 당긴다. 제2축(61b)의 외주면이 제2통로(12)의 후단을 막지 않는다. 그러면, 제2통로(12)와 제3통로(13)가 연통된다.
방아쇠(17)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당긴다. 방아쇠(17)가 밸브축(32)을 밀어 후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오링홈(32a)에 삽입된 오링(O)과 축공(31d) 사이가 벌어져 제1틈(S1)이 생긴다. 그러면, 제1하부통로(11a)와 제1상부통로(11b)가 연통된다.
공기펌프(A)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화살표 X4방향을 따라, 튜브(T1), 제1커넥터(E1), 제1하부통로(11a), 제1틈(S1, 도 4참조), 제1관통공(31c, 도 4참조), 제1상부통로(11b), 제2틈(S2, 도 5참조), 제3틈(S3, 도 5참조),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상부통로(13b), 제3하부통로(13a), 제2커넥터(E2), 튜브(T2), 집진기(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는 제2틈(S2, 도 5참조)보다 좁은 제3틈(S3, 도 5참조)을 통과하면서 속력이 빨라진다. 공기가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상부통로(13b), 제3하부통로(13a), 제2커넥터(E2), 튜브(T2), 집진기(D)를 통해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면,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상부통로(13b), 제3하부통로(13a)에 부압(負壓)이 걸린다. 부압에 의해, 절삭유(L)는, 화살표 X5방향을 따라, 파이프(19), 파이프커넥터(18),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상부통로(13b), 제3하부통로(13a), 제2커넥터(E2), 튜브(T2)를 통해, 집진기(D)로 모아진다.
한편, 절삭유(L)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20)에 의해 걸러진다. 따라서, 제2통로(12)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물분사모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에어건으로 물분사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62)을 화살표 X0방향으로 눌러서, 제2축(61b)의 외주면으로 제2통로(12)의 후단을 막는다. 그러면, 제2통로(12)와 제3통로(13)가 연통되지 않는다.
방아쇠(17)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당긴다. 방아쇠(17)가 밸브축(32)을 밀어 후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오링홈(32a)에 삽입된 오링(O)과 축공(31d) 사이가 벌어져 제1틈(S1)이 생긴다. 그러면, 제1하부통로(11a)와 제1상부통로(11b)가 연통된다.
공기펌프(A)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화살표 X2방향을 따라, 튜브(T1), 제1커넥터(E1), 제1하부통로(11a), 제1틈(S1, 도 4참조), 제1관통공(31c, 도 4참조), 제1상부통로(11b), 제2틈(S2, 도 5참조), 제3틈(S3, 도 5참조),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관통공(50a, 도 5참조), 파이프커넥터(18), 파이프(19)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제2밸브(40)의 노브(41)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물펌프(W)가 화살표 X6방향으로 튜브(T3)에 물을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튜브(T3), 제1관통공(31c, 도 4참조), 제2관통공(32c, 도 4참조), 제1관통공(31c, 도 4참조), 제1상부통로(11b), 제2틈(S2, 도 5참조), 제3틈(S3, 도 5참조), 제3부압부(130, 도 5참조), 제3관통공(50a, 도 5참조), 파이프커넥터(18), 파이프(19)를 거쳐 공기와 섞여 외부로 배출된다.

Claims (10)

  1.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제1밸브;
    상기 제2통로에 삽입된 부압발생관; 및
    상기 제2통로와 제3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에어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는, 제1하부통로와 제1상부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부통로와 제1상부통로 사이에 제1밸브장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밸브장착공에 상기 제1밸브가 결합된 에어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축공에 삽입된 밸브축; 및
    상기 제2통로의 바닥면과 상기 밸브축의 끝단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축의 외주면에는 제2-1오링홈 및 제2-2오링홈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축이 이동하면, 상기 제2-1오링홈에 삽입된 오링과 상기 축공 사이가 벌어져 제1틈이 생기는 에어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외주면에는 제1-1오링홈 및 제1-2오링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1오링홈과 제1-2오링홈 사이에는 제1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1오링홈과 제2-2오링홈 사이에는 제2관통공이 구비된 에어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장착공의 내주면에는 제2밸브장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밸브장착공에는 제2밸브가 결합된 에어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관이 삽입된 상기 제2통로의 내주면에는, 부압발생부가 형성된 에어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부는, 제1부압부, 제2부압부, 제3부압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압발생관은, 상기 제1부압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관부, 상기 제1부압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진 연결부, 상기 제1부압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턱부로 구성된 에어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끝단에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통로에 상기 부압발생관이 삽입되면, 상기 제1부압부와 상기 관부 사이에 제2틈이 형성되고, 상기 제3부압부와 상기 돌기 사이에 제3틈이 형성되는 에어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축과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축은, 상기 제2통로의 후단을 막거나 여는 제2축과 상기 버튼과 연결된제1축으로 구성된 에어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통로의 전단에 결합된 파이프커넥터와, 상기 부압발생관과 상기 파이프커넥터 사이에 위치한 필터를 포함하는 에어건.
KR1020100122647A 2010-12-03 2010-12-03 에어건 KR20120061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47A KR20120061357A (ko) 2010-12-03 2010-12-03 에어건
CN201010586677XA CN102485355A (zh) 2010-12-03 2010-12-14 气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47A KR20120061357A (ko) 2010-12-03 2010-12-03 에어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357A true KR20120061357A (ko) 2012-06-13

Family

ID=4615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647A KR20120061357A (ko) 2010-12-03 2010-12-03 에어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61357A (ko)
CN (1) CN1024853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651B1 (ko) * 2013-03-20 2014-02-03 조규림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KR101504124B1 (ko) * 2014-01-09 2015-03-24 조규림 휴대용 계단 청소장치
KR20150107473A (ko) 2014-03-14 2015-09-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에어건 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건 장치
KR20170000719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안전 에어건
KR2017000072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에어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1275A (zh) * 2014-02-28 2014-06-04 成都大漠石油机械有限公司 用于除尘的气枪
TWI640366B (zh) * 2016-09-10 2018-11-11 鈞翔工業股份有限公司 噴吸兩用槍
CN109926405A (zh) * 2017-12-18 2019-06-25 沈阳航发精密铸造有限公司 航空叶片及复杂构件型壳用吹吸一体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110814844A (zh) * 2018-08-07 2020-02-21 武汉鑫成旌实业有限公司 一种机床废屑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0075U (zh) * 1988-03-22 1989-01-04 陈绍荣 牙科治疗用三用喷枪
CN2113837U (zh) * 1991-10-18 1992-08-26 航空航天工业部成都飞机工业公司 吹吸除尘枪
KR200239294Y1 (ko) * 1999-05-20 2001-09-25 이황우 다기능용 에어건.
CN2642604Y (zh) * 2003-09-12 2004-09-22 徐道敏 清洗枪
KR100935088B1 (ko) * 2009-10-19 2010-01-06 서지선 에어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651B1 (ko) * 2013-03-20 2014-02-03 조규림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KR101504124B1 (ko) * 2014-01-09 2015-03-24 조규림 휴대용 계단 청소장치
KR20150107473A (ko) 2014-03-14 2015-09-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에어건 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건 장치
KR20170000719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안전 에어건
KR2017000072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에어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5355A (zh)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1357A (ko) 에어건
KR200239294Y1 (ko) 다기능용 에어건.
HK1075692A1 (en) High pressure pump valve with replaceable valve seats
WO2012153441A1 (ja) 調質機器の容器着脱装置
US6878046B2 (en) Cleaning apparatus
CA2491953A1 (en) A lance with swinging head for high pressure cleaning equipments
KR20110122041A (ko) 자동 및 수동 겸용 분무기
TWD215679S (zh) 過濾器
US20060162302A1 (en) Filter for pneumatic tool
KR101127206B1 (ko) 에어커플러
CN207546810U (zh) 一种可调压力的水枪
JP2008149446A6 (ja) 液体および圧縮空気の流れを統合管理するためのピストル型ノズル
KR100935088B1 (ko) 에어건
KR200406436Y1 (ko) 에어건용 개량 노즐어셈블리
US10557582B1 (en) Coupler blow gun
KR101476329B1 (ko) 노출형 병원 선반설치용 베드콘솔
KR101631373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 클리닝 소형 밸브체
US9827576B2 (en) Nozzle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suction and high pressure blowing
JP3181949U (ja) スプレーガン
KR200344245Y1 (ko) 슬라이드 밸브 커플러
KR19990008099U (ko)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CA2885153A1 (en) System and method to store an electric hose in a central vacuum system
JP3658360B2 (ja) 作動工具のバキューム機構
KR101887370B1 (ko) 물뿌리개
EP2280169A3 (en) Airless spray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