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651B1 -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651B1
KR101357651B1 KR1020130029748A KR20130029748A KR101357651B1 KR 101357651 B1 KR101357651 B1 KR 101357651B1 KR 1020130029748 A KR1020130029748 A KR 1020130029748A KR 20130029748 A KR20130029748 A KR 20130029748A KR 101357651 B1 KR101357651 B1 KR 101357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compressed air
flow path
supply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림
Original Assignee
조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림 filed Critical 조규림
Priority to KR102013002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29Suction chambers for aspirating the sprayed liquid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와, 상기 에어 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흡입압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진공 흡입에 의해 오수를 수거하는 진공 흡입기를 수납하여 작업자의 양 어깨에 걸쳐 매개 구비된 가방; 및 상기 에어 콤프레셔로부터 에어 공급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고압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흡입압을 이용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 공급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거나, 상기 진공 흡입기의 작동에 따라 흡입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청소 대상면의 오수를 흡입하는 분사 및 흡입건을 포함하여, 분사 및 흡입건을 통해 계단 바닥면에 압축공기와 소량의 물을 분사하면서 청소함과 아울러 흡입기를 통해 오수를 수거함으로써, 단 한사람이 청소를 마무리 할 수 있으며, 바닥에 물이 거의 고이지 않게 되어 민원이 발생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미끄럼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PORTABLE APPARATUS FOR CLEANING STEPS IN A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은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물이 담긴 물통을 휴대하고 에어 콤프레셔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에어건을 통해 분사하면서 단일 인원 및 단일 공정으로 아파트나 건물의 계단을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 밀집되어 있는 건물이나 5층 이하의 빌라 및 아파트의 계단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함에 따라 바닥에 먼지가 많이 쌓이게 되어 정기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한다. 아울러, 5층 이상의 (일례로 15층 정도의) 고층 건물 역시 장기간 방치할 경우, 역시 바닥에 먼지가 많이 쌓이게 되어 정기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층 건물이란 일반적인 펌프가 물을 펌핑할 수 있는 높이 (대략 7m) 이상의 높이의 건물을 말한다)
즉, 통상적인 건물이나 아파트 계단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양동이와 같은 용기를 통해 계단의 바닥면에 물을 뿌리고 빗자루로 쓸어 가면서 청소를 진행하고 있으나, 이 청소 방법은 계단의 바닥면을 깨끗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고 청소시 발생되는 먼지의 부담감으로 인해 청소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바, 대부분 청소 대행업체를 통해 청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서, 종래의 청소 대행업체에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23749호에 개시된 다기능 청소차량을 이용하여 계단의 바닥면을 청소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청소장치는 청소차량(10)의 적재함(11)에 엔진의 동력을 피티오(14)로 인출한 후 유니버설 조인트(15)와 V벨트를 통하여 전달받아 작동하는 고압펌프(20)와,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31)와 함께 고정된 고압 호스릴(50)을 탑재하고, 상기 고압 호스릴(50)의 일단에 개폐밸브를 갖추고 길게 연장된 물호스에 고압 살수건을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청소차량을 이용하여 대략 5층 정도의 아파트를 청소하는 종래의 방법은, 물탱크(31)에 연결되어 고압 호스릴(50)에 감겨진 물호스를 대략 3~4명이 짝을 이루어 최상층까지 이동시킨 후, 한명이 고압 살수건을 통해 계단의 바닥면에 물을 뿌리고, 다른 한두명이 물호스를 잡아 당겨주며, 또 다른 한명이 예를 들어 일단에 평면 주걱이 형성된 밀판을 통해 물과 먼지가 혼합된 오수를 밀어내면서 밀걸레를 통해 계단의 바닥면에 고인 오수를 제거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차량을 이용한 청소방법은, 대량의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호스가 무거워져 대략 2~3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물호스를 틈틈이 이동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청소에 필요한 인원이 많이 소요되고, 청소를 완료하는데 대략 3공정 이상이 소요되어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청소시간이 오래 걸리며, 고압펌프의 펌핑이 약할 때에는 고압펌프가 장착된 차량을 건물의 입구쪽으로 바짝 대거나 또는 펌프를 대략 2~3층까지 이동시킨 후에 청소를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펌프 내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흡상시키는 일반적인 펌프의 경우에는, 표준기압 상태에서 이론적으로 10.33m까지 흡입시킬 수 있으나, 흡입관 내의 마찰 손실이나 물속에 함유된 공기 등에 의해 7m 이상은 흡상하지 않으며, 그 이상을 흡상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펌프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여러 대의 펌프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5층 아파트를 기준으로 청소하는데 대략 200~300리터 정도의 많은 물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밀걸레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잘 닦는다 하여도 물이 오랫동안 바닥면에 많이 고여 있어 민원 제기가 자주 발생될 뿐만 아니라, 슬리퍼 이용시에는 바닥면에 고인 물로 인해 미끄러워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23749호(명칭 : 다기능 청소차량, 출원인 : (주)우림엔지니어링, 출원일 : 2011년 11월 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 콤프레셔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와 대략 2~5리터 정도의 휴대용 물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소량의 물을 에어건을 통해 분사하여, 바닥면의 먼지를 아래층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분사된 물을 바닥면에 촉촉히 적심으로써, 단일 인원 및 단일 공정을 통해 단시간 내에 아파트나 건물의 계단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계단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가방에 에어 콤프레셔, 물통, 흡입기 및 오수 수거통을 일체로 구성하고, 에어건을 통해 계단 바닥면에 압축공기와 소량의 물을 분사하면서 청소함과 아울러 흡입기를 통해 오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계단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는, 저부에서 에어 공급호스를 통해 압축공기를 고층 건물의 계단인 상부로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110); 상기 에어 공급호스를 풀림 및 감김 가능하게 권취하고 있는 자동 권취릴(120);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몸체가 상기 자동 권취릴(120)에 풀림가능하게 감겨져 있으며, 타단이 에어건(160)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유동시키는 에어 공급호스(130); 물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141)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양 어깨에 걸쳐 매게 구비된 수납가방(140); 상기 수납가방(140)의 물통 수납주머니(141)에 수납되어 있으며 물 공급호스(155)를 통해 에어건(160)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을 저장하는 물통(150); 및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13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분사시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별도의 펌핑장치의 펌핑압력이 없어도 상기 물통(150)으로부터의 물 공급호스(155)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에어건(160)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건(160)은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공급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청소 대상면의 먼지를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흡입압을 이용하여 별도의 펌핑장치 없이도 상기 물통(15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포하되, 상기 물통(150)은 마개에 삽입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의 관부(151)와, 상기 관부(151)의 상단에 형성되어 물 공급호스(155)의 일단이 억지로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매듭부(153)를 구비하며, 상기 관부(151)의 하단은 물통 바닥면의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물통 바닥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건(160)은, 하단에는 커넥터(161a)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 공급호스(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는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130)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 유로(161b)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61)와, 상기 손잡이(16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통해 잡아당겨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 유로(161b)를 개방 및 폐쇄하는 작동레버(162)와, 상기 작동레버(162)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63a)이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의 제 2 유로(16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상기 물 공급호스(155)가 연결된 니플(155a)을 일체로 연결하여 체결하는 결합부(155b)를 구비하는 분사로드(163)와, 상기 손잡이(161) 및 작동레버(162)의 상단과 상기 분사로드(163)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1 유로(161b)를 개방 및 폐쇄하여, 상기 제 1 유로(161b)의 개방에 따라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로드(163)의 제 2 유로(163b)에 전달하는 몸체부(1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건(160)의 몸체부(164)는, 내부에 중공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하되 일단면에 유로 홀(164)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 레일관(164a)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 링(164b)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미조작시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1 유로(161b)를 폐쇄하는 밀봉패킹(164d)과, 상기 밀봉패킹(164d)의 후단에 수축 및 확장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 및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작동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유로 홀(164)과 손잡이(161)의 제 1 유로(161b)를 일치시켜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게 하는 탄성 스프링(164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에어 콤프레셔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와 대략 2~5리터 정도의 수납가방에 들어 있는 휴대용 물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소량의 물을 에어건을 통해 분사하여, 바닥면의 먼지를 아래층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분사된 물을 바닥면에 촉촉히 적심으로써, 단일 인원 및 단일 공정을 통해 단시간 내에 아파트나 건물의 계단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가방에 에어 콤프레셔, 물통, 흡입기 및 오수 수거통을 일체로 구성하고, 에어건을 통해 계단 바닥면에 압축공기와 소량의 물을 분사하면서 청소함과 아울러 흡입기를 통해 오수를 수거함으로써, 단 한사람이 청소를 마무리 할 수 있으며, 바닥에 물이 거의 고이지 않게 되어 민원이 발생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미끄럼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 청소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는, 에어 콤프레셔(110), 자동 권취릴(120), 에어 공급호스(130), 수납가방(140), 물통(150) 및 에어건(16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는 에어 공급호스를 통해 에어건(16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적재함이 있는 차량에 탑재될 수도 있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자동 권취릴(120)은 에어 공급호스를 풀림 및 감김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같은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 풀림 및 감김되는 자동식일 수도 있고, 핸들의 돌림에 따라 풀림 및 감김되는 수동식일 수도 있으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공급호스(130)는 일단이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에 연결되고, 중공이 있으면서 대략 15층 건물의 최상층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몸체가 상기 자동 권취릴(120)에 풀림가능하게 감겨져 있으며, 타단이 상기 에어건(160)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수납가방(140)은 작업자가 X자 형상의 멜빵을 통해 양 어깨에 걸쳐 매고 벨트를 통해 허리를 감싸 안아 전방에서 벨트식으로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가방으로서, 배면에 물통을 수납할 수 있는 물통 수납주머니(141)가 구비되어 있고, 측면에 붓솔 및 껌 제거 헤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주머니(1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통(150)은 상기 수납가방(140)의 물통 수납주머니(141)에 수납되며 대략 2리터 내지 5리터의 물을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개에 삽입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단은 물 공급호스(155)의 일단이 억지로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매듭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물통 바닥면의 물 까지도 분사될 수 있도록 절곡부(157)가 90°각도로 꺾어져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의 매듭부(153)로부터 상기 하단의 절곡부(157) 까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의 (일례로 쇠기둥인) 관부(15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물 공급호스(155)의 일단은 상기 관부(151)의 상단에 형성된 매듭부(153)에 내면이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니플(155a)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에어건(160)은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13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흡입압을 이용하여 상기 물통(150)으로부터 물 공급호스(155)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수단이다.
상기 에어건(1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1), 작동레버(162), 분사로드(163), 몸체부(164) 및 걸이부(16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61)는 청소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하단에는 커넥터(161a)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 공급호스(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130)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 유로(16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162)는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6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통해 상기 작동레버를 잡아당겨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후술하는 몸체부(164)에 일단이 힌지(162a)를 통해 결합되어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유로(161b)를 개방 및 폐쇄한다.
상기 분사로드(163)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선단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63a)이 나사결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의 제 2 유로(16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상기 물 공급호스(155)가 연결된 니플(155a)을 일체로 연결하여 체결하는 결합부(155b)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64)는 상기 손잡이(161) 및 작동레버(162)의 상단과 상기 분사로드(163)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1 유로(161b)를 개방 및 폐쇄하여, 상기 제 1 유로(161b)의 개방에 따라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로드(163)의 제 2 유로(163b)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중공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하되 일단면에 유로 홀(164c)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 레일관(164a)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 링(164b)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미조작시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1 유로(161b)를 폐쇄하는 밀봉패킹(164d)과, 상기 밀봉패킹(164d)의 후단에 수축 및 확장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 및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작동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유로 홀(164c)과 손잡이(161)의 제 1 유로(161b)를 일치시켜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게 하는 탄성 스프링(164e)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부(165)는 에어건(160)을 사용하지 않고 창고 등에 보관할 때, 예를 들어 못과 같은 바에 걸어 두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계단 청소장치는, 단 한명의 작업자가 에어 콤프레셔(110)의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에어 공급호스(130)에 연결된 에어건(160)을 청소 대상건물의 최상층까지 이동시킨 후 (혹은 먼저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에어 공급호스(130)를 청소 대상건물의 최상층까지 이동시킨 후에 에어건(160)을 에어 공급호스(130)에 연결하여도 되며, 혹은 먼저 에어 공급호스(130)를 청소 대상건물의 최상층까지 이동시킨 후에 내려와서 에어 콤프레셔(110)의 스위치를 온(on)시키고 난 후에 작업자가 물통 수납 가방을 매고 상층으로 이동한 후 에어건을 연결하여도 됨), 에어건(160)의 작동레버(162)를 조작하여 손잡이의 제 1 유로(161b)와 몸체(164)의 유로 홀(164c) 및 분사로드(163)의 제 2 유로(163b)를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면서, 계단 바닥면의 먼지를 밀어냄과 동시에,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흡입압을 통해 물통(150)과 연결된 물 공급호스(155)로부터 분사로드(163)의 제 2 유로(163b)로 유입되는 물을 살포하여 바닥면을 촉촉히 적셔가면서 고층 건물의 계단을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청소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후술하는 제 2 실시예는, 가방(200) 내부를 세부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세부분에 대응되게 외부에 지퍼를 구비하여 장치를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방 안에 휴대용 에어 콤프레셔(210), 물통(220), 수거통(230) 및 진공 흡입기(240)를 휴대하고, 분사 및 흡입건(250)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셀렉터 레버(253)의 조작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는 에어 공급유로(161b) 및 진공 흡입유로(251)를 형성하며, 분사 및 흡입로드(163)에 구비된 결합부(155b)에 개폐 레버(255)를 구비하여 물 공급호스(222)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것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는, 작업자가 X자 형상의 멜빵을 통해 양 어깨에 걸쳐 매고 벨트를 통해 허리를 감싸 않아 전방에서 벨트식으로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가방(200)과,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오수를 흡입할 수 있는 분사 및 흡입건(250)을 구비하되, 상기 가방(200)은 내부에 세부분으로 구획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배면의 일측면이 딱딱한 판으로 이루어지며 타측면이 지퍼를 통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서, 에어 콤프레셔(210)를 수납하는 제 1 수납실(201), 물통(220)을 수납하는 제 2 수납실(202) 및 수거통(230)과 관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진공 흡입기(240)를 수납하는 제 3 수납실(20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콤프레셔(210)는 에어 공급호스(212)를 통해 분사 및 흡입건(25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작업자가 휴대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콤프레셔이다.
이때, 상기 에어 공급호스(212)는 일단이 상기 에어 콤프레셔(210)에 연결되고, 중공이 있으면서 작업자의 등에 매는 가방(200)으로부터 작업자의 팔을 뻗었을 때 유동이 용이하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물통(220)은 대략 2리터 내지 5리터의 물을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물통(220)은 마개에 삽입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단은 물 공급호스(222)의 일단이 억지로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매듭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물통 바닥면의 물 까지도 분사될 수 있도록 절곡부(157)가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의 매듭부(153)로부터 상기 하단의 절곡부(157) 까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쇠기둥인 관부(15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물 공급호스(222)의 일단은 상기 관부(151)의 상단에 형성된 매듭부(153)에 내면이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의 분사 및 흡입로드(16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니플(155a)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진공 흡입기(240)는 관을 매개로 하여 나사식으로 착탈가능한 오수 수거통(23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진공 흡입에 의해 분사 및 흡입건(250)으로부터 흡입되는 오수를 수거통(230)으로 배출하는 공지의 진공 청소기와 같은 수단으로서, 흡입 호스(232)를 통해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은 상기 에어 콤프레셔(2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212)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흡입압을 이용하여 상기 물통(220)으로부터 물 공급호스(22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거나, 상기 진공 흡입기(240)의 작동에 따라 흡입 호스(232)를 통해 계단 바닥면의 오수를 흡입하는 수단이다.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1), 작동레버(162), 분사 및 흡입로드(163), 몸체부(164) 및 걸이부(16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61)는 청소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하단에는 두개의 커넥터(161a)가 구비되어 하나의 커넥터에는 상기 에어 공급호스(212)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는 상기 흡입 호스(2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의 입구측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 콤프레셔(2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212)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 유로(161b)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입구측의 타측에는 상기 진공 흡입기(240)와 연결된 흡입 호스(232)를 통해 오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제 2 유로(2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측의 상부에 형성된 출구측에는 하나의 통로로 구비된 제 3 유로(161c)가 형성되어 있되, 외부의 입구측의 일측면에는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유로(161b) 또는 제 2 유로(251)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셀렉터 레버(253)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셀렉터 레버(253)는 레버의 좌우 이동 버튼과 일체로 연결되어 레버버튼의 이동에 따라 내부에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유로 또는 제 2 유로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레버(162)는 상기 셀렉터 레버(253)를 통해 흡입 유로인 제 2 유로(251)를 폐쇄하고 분사 유로인 제 1 유로(161b)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61)를 파지하고 손가락을 통해 상기 작동레버를 잡아당겨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후술하는 몸체부(164)에 일단이 힌지(162a)를 통해 결합되어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 3 유로(161c)를 개방 및 폐쇄한다.
상기 분사 및 흡입로드(163)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선단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63a) 또는 오수를 흡입하는 흡입노즐(170)이 나사결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하거나 오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의 제 4 유로(16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상기 물 공급호스(222)가 연결된 니플(155a)을 일체로 연결하여 체결하는 결합부(155b)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155b)에는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물 공급 호스(222)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레버(255)가 상기 셀렉터 레버와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레버(255)는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이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할 때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분사 및 흡입건(250)이 오수를 흡입할 때에는 폐쇄된다.
상기 몸체부(164)는 상기 손잡이(161) 및 작동레버(162)의 상단과 상기 분사 및 흡입로드(163)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3 유로(161c)를 개방 및 폐쇄하여, 상기 제 3 유로(161c) 및 제 1 유로(161a)의 개방에 따라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 및 흡입로드(163)의 제 4 유로(163b)에 전달하고, 상기 흡입 노즐(170)을 통해 흡입되는 오수를 제 4 유로(163b), 제 3 유로(161c) 및 제 2 유로(251)를 통해 진공흡입기(24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중공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하되 일단면에 유로 홀(164c)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 레일관(164a)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 링(164b)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미조작시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3 유로(161c)를 폐쇄하는 밀봉패킹(164d)과, 상기 밀봉패킹(164d)의 후단에 수축 및 확장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 및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작동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유로 홀(164c)과 손잡이(161)의 제 3 유로(161c)를 일치시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오수를 흡입가능하게 하는 탄성 스프링(164e)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부(165)는 에어건(160)을 사용하지 않고 창고 등에 보관할 때, 예를 들어 못과 같은 바에 걸어 두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는, 단 한명의 작업자가, 에어 콤프레셔(210), 물통(220) 및 오수 수거통과 일체로 결합된 진공흡입기(240)를 수납할 수 있는 가방(200)을 등에 매고 분사 및 흡입건(250)을 잡은 상태에서 청소 대상건물의 최상층까지 이동한 후, 분사 및 흡입건(250)을 통해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할 때에는, 상기 셀렉터 레버(253)를 조작하여 흡입 유로인 제 2 유로(251)를 막고 분사 유로인 제 1 유로(161b)만을 개방하고, 상기 개폐레버(255)를 조작하여 물 공급호스(222)를 개방한 상태에서, 에어 콤프레셔(210)의 스위치를 온(on)시키고, 분사 및 흡입건(250)의 작동레버(162)를 조작하여 손잡이의 제 3 유로(161c)와 몸체(164)의 에어 홀(164c) 및 분사 및 흡입로드(163)의 제 4 유로(163b)를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면서, 계단 바닥면의 먼지를 밀어냄과 동시에,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흡입압을 통해 물통(220)과 연결된 물 공급호스(222)로부터 분사 및 흡입로드(163)의 제 4 유로(163b)로 유입되는 물을 살포하여 바닥면을 촉촉히 적셔가면서 청소를 진행한다.
이어서, 해당 층의 계단 바닥면을 밀어내면서 모아진 먼지나 오수를 흡입할 때에는, 상기 셀렉터 레버(253)를 조작하여 분사 유로인 제 1 유로(161b)를 막고 흡입 유로인 제 2 유로(251)만을 개방하고, 상기 개폐레버(255)를 조작하여 물 공급호스(222)를 폐쇄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240)의 스위치를 온(on)시키고, 분사 및 흡입건(250)의 작동레버(162)를 조작하여 손잡이의 제 3 유로(161c)와 몸체(164)의 에어 홀(164c) 및 분사 및 흡입로드(163)의 제 4 유로(163b)를 통해 흡입 노즐(170)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나 오수를 진동흡입기(240)를 통해 흡입하면서 오수 수거통(230)으로 수거하여 청소를 완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로서,
    저부에서 에어 공급호스를 통해 압축공기를 고층 건물의 계단인 상부로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110);
    상기 에어 공급호스를 풀림 및 감김 가능하게 권취하고 있는 자동 권취릴(120);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몸체가 상기 자동 권취릴(120)에 풀림가능하게 감겨져 있으며, 타단이 에어건(160)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유동시키는 에어 공급호스(130);
    물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141)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양 어깨에 걸쳐 매게 구비된 수납가방(140);
    상기 수납가방(140)의 물통 수납주머니(141)에 수납되어 있으며 물 공급호스(155)를 통해 에어건(160)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을 저장하는 물통(150); 및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13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분사시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별도의 펌핑장치의 펌핑압력이 없어도 상기 물통(150)으로부터의 물 공급호스(155)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에어건(160)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건(160)은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공급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청소 대상면의 먼지를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흡입압을 이용하여 별도의 펌핑장치 없이도 상기 물통(15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포하되,
    상기 물통(150)은 마개에 삽입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의 관부(151)와, 상기 관부(151)의 상단에 형성되어 물 공급호스(155)의 일단이 억지로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매듭부(153)를 구비하며, 상기 관부(151)의 하단은 물통 바닥면의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물통 바닥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건(160)은,
    하단에는 커넥터(161a)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 공급호스(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는 상기 에어 콤프레셔(11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130)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 유로(161b)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61)와,
    상기 손잡이(16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통해 잡아당겨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 유로(161b)를 개방 및 폐쇄하는 작동레버(162)와,
    상기 작동레버(162)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63a)이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의 제 2 유로(16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상기 물 공급호스(155)가 연결된 니플(155a)을 일체로 연결하여 체결하는 결합부(155b)를 구비하는 분사로드(163)와,
    상기 손잡이(161) 및 작동레버(162)의 상단과 상기 분사로드(163)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1 유로(161b)를 개방 및 폐쇄하여, 상기 제 1 유로(161b)의 개방에 따라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로드(163)의 제 2 유로(163b)에 전달하는 몸체부(1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건(160)의 몸체부(164)는,
    내부에 중공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하되 일단면에 유로 홀(164)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 레일관(164a)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 링(164b)과,
    상기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레버(162)의 미조작시 상기 손잡이(161)에 형성된 제 1 유로(161b)를 폐쇄하는 밀봉패킹(164d)과,
    상기 밀봉패킹(164d)의 후단에 수축 및 확장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레버(162)의 조작 및 좌우이동 레일관(164a)의 작동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유로 홀(164)과 손잡이(161)의 제 1 유로(161b)를 일치시켜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게 하는 탄성 스프링(164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29748A 2013-03-20 2013-03-20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KR10135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48A KR101357651B1 (ko) 2013-03-20 2013-03-20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48A KR101357651B1 (ko) 2013-03-20 2013-03-20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077A Division KR101504124B1 (ko) 2014-01-09 2014-01-09 휴대용 계단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651B1 true KR101357651B1 (ko) 2014-02-03

Family

ID=5026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748A KR101357651B1 (ko) 2013-03-20 2013-03-20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65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3250A1 (zh) * 2014-08-09 2016-02-18 郑俊明 便携式可视清洗装置
CN106694437A (zh) * 2017-01-10 2017-05-24 新疆通奥油田技术服务有限公司 循环清洗装置
KR101833688B1 (ko) * 2017-10-18 2018-02-28 김홍철 계단 청소장치
KR101869206B1 (ko) *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926446B1 (ko) * 2017-10-31 2019-03-07 이영희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926445B1 (ko) * 2017-10-31 2019-03-07 세종아스콘(주)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2092962B1 (ko) 2019-01-31 2020-04-2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손잡이 자동 청소장치
CN114215162A (zh) * 2021-12-03 2022-03-22 湖南林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卫保洁用带有管道疏通功能的垃圾处理设备
KR102567993B1 (ko) 2023-02-22 2023-08-16 강석문 히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834B1 (ko) * 1993-07-14 1996-09-03 김갑수 이동식 세척기
KR20100021073A (ko) * 2008-08-14 2010-02-24 이성식 피스톤 방식 에어건
KR20100012361U (ko) * 2009-06-04 2010-1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세척제 분사량 조절기능을 갖는 복합 에어건
KR20120061357A (ko) * 2010-12-03 2012-06-13 정석민 에어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834B1 (ko) * 1993-07-14 1996-09-03 김갑수 이동식 세척기
KR20100021073A (ko) * 2008-08-14 2010-02-24 이성식 피스톤 방식 에어건
KR20100012361U (ko) * 2009-06-04 2010-1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세척제 분사량 조절기능을 갖는 복합 에어건
KR20120061357A (ko) * 2010-12-03 2012-06-13 정석민 에어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3250A1 (zh) * 2014-08-09 2016-02-18 郑俊明 便携式可视清洗装置
CN106694437A (zh) * 2017-01-10 2017-05-24 新疆通奥油田技术服务有限公司 循环清洗装置
KR101833688B1 (ko) * 2017-10-18 2018-02-28 김홍철 계단 청소장치
KR101869206B1 (ko) *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926446B1 (ko) * 2017-10-31 2019-03-07 이영희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926445B1 (ko) * 2017-10-31 2019-03-07 세종아스콘(주)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2092962B1 (ko) 2019-01-31 2020-04-2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손잡이 자동 청소장치
CN114215162A (zh) * 2021-12-03 2022-03-22 湖南林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卫保洁用带有管道疏通功能的垃圾处理设备
CN114215162B (zh) * 2021-12-03 2023-10-10 湖南林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卫保洁用带有管道疏通功能的垃圾处理设备
KR102567993B1 (ko) 2023-02-22 2023-08-16 강석문 히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651B1 (ko) 휴대용 고층 건물의 계단 청소장치
US11992165B2 (en) Self-cleaning features for extraction cleaners
US8079770B2 (en) Cleaning tool with fluid delivery device
EP1789207B1 (en) Steam cleaner containing a self-contained liquid dispensing unit
US5769324A (en) Portable washing device
CA2373376A1 (en) Carpet cleaning apparatus
JP3223737U (ja) 吸引洗浄機
CN106132264A (zh) 吸液式清洁装置以及方法
CA2512760A1 (en) Hose assembly for suction cleaner
US20100276515A1 (en) Hand spray gun for detergent liquids
KR101504124B1 (ko) 휴대용 계단 청소장치
KR101833688B1 (ko) 계단 청소장치
ITBS20020037U1 (it) Scopa a vapore con aspirazione
US11426047B2 (en) Floor cleaner
US10039432B2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extendible wand attachments
US20210259501A1 (en) Floor cleaner
CN105877653A (zh) 一种喷雾清洁用具
RU38141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йки наруж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WO2016025239A1 (en) Extractor cleaning machine
KR100749391B1 (ko) 이동형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