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670B1 - 복합 이온건 - Google Patents

복합 이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670B1
KR101934670B1 KR1020180049920A KR20180049920A KR101934670B1 KR 101934670 B1 KR101934670 B1 KR 101934670B1 KR 1020180049920 A KR1020180049920 A KR 1020180049920A KR 20180049920 A KR20180049920 A KR 20180049920A KR 101934670 B1 KR101934670 B1 KR 10193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jection
compressed air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to KR102018004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 및 흡입하고, 제조과정에서 제품의 정전기를 제거함으로 공간성을 높여 작업공간의 청결성을 증가시키고, 제품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별도의 정전기 제거과정 없이 제거함으로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정전기로 인해 발생하는 제품의 품질저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복합 이온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압축공기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후방의 공기유입로 및 전방의 유입챔버가 전후로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의 하부에 공기이동홀이 관통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공기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하방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흡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분사로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로의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부와, 상기 몸체부 및 이온발생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합 이온건{Combination Ion Gun}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품으로부터 제거하는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에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품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킨 후 제품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공기 중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장소의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복합 이온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건은 산업현장이나 틈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에어건은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인 칩을 가공이 완료된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에어건은 사람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호스가 연결된 몸체부와, 상기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분사로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조장치로부터 제품을 취출할 때 제품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건의 분사부를 제품의 표면에 근접시킨 후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은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한 후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다시 쌓이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작업공간에 쌓이게 되면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또는 작업장치에 쌓이게 되는 경우 장치가 오작동하거나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에어건을 통해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물질이 작업공간이나 작업장치에 쌓이지 않도록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를 통해 제품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작업공간의 청결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작업장치가 설치된 작업공간에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압축기기와, 압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건과 흡입시 필요한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흡입압축기와, 흡입압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이물지을 흡입하는 흡입기 각각을 구비하게 되면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이 협소해짐으로 작업자의 안정성, 활동성이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 작업공간에 에어건만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후 이물질이 작업공간의 바닥면이나 또는 작업장치에 쌓이게 되면 작업공간의 외부에 구비된 흡입기를 작업공간으로 이동시켜 작업공간의 바닥면 및 작업장치에 쌓인 이물질을 흡입여 청결함을 유지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이물질이 쌓인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 건강이 악화되는 문제점과, 장치에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어 장치의 오작동 및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조과정은 마찰, 박리, 분사, 유동, 교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대상물이 대전되어 정전기에 의해 이물질이 제품의 표면에 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에어건의 경우 단순히 압축공기만을 분사하여 공기의 압력으로 이물질을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제거시키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정전기에 의해 제품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의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공기의 압력을 높여 제품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제품을 다음 공정작업 라인이나, 또는 제품을 보관하게 되는 경우 정전기가 발생된 제품이 서로 근접 또는 접촉하게 되어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방전시 발생하는 스파크로 인해 화재, 폭발 및 작업자에게 쇼크를 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전된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제품의 표면에 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제품을 조립하여 완성된 제품을 제작하는 경우 조립 오차를 형성하게 되어 완성된 제품이 오작동을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낮아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작업현장에는 에어건 및 흡입기 뿐만 아니라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전기를 제거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하지만, 에어건, 흡입기 및 정전기 제거장치 각각을 작업공간에 구비하게 되면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공간이 협소해 짐으로 작업자의 활동성이 저하되고 이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활동공간이 협소하게 되면 작업자가 이동 중 작업장치나 작업공간에 구비된 작업구조물에 접촉하게 되고, 이는 안전사고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에어건, 흡입기 및 정전기 제거장치 각각을 구비해야 됨으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이 높아지게 됨으로 최종적으로 생산된 제품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 및 흡입하고, 제조과정에서 대전된 제품의 정전기를 제거함으로 장치의 공간성을 높여 작업공간의 청결성을 증가시키고, 제품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별도의 정전기 제거과정 없이 제거함으로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정전기로 인해 발생하는 제품의 품질저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복합 이온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이온건은, 후단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후단 하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호스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공기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후방의 공기유입로 및 전방의 유입챔버가 전후로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의 하부에 공기이동홀이 관통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기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공기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하방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흡입로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유입챔버 및 상기 공기이동홀을 경유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공기흡입로의 전방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분사로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공기유입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유입챔버를 통과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로의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부와, 상기 몸체부 및 이온발생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후방 상부에 상기 공기유입로와 연통되도록 밸브결합홈이 상하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밸브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결합홈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폐하는 공기개폐밸브와, 상기 공기개폐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공기개폐밸브의 상단을 푸시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를 상기 밸브결합홈의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방시키는 푸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하방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공기흡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공기흡입홈과 연통되도록 공기흡입홀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 흡입유도부재와,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공기흡입홀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전단이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공기흡입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압축공기를 내부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와, 장형의 관체 형상으로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후방으로 상기 배출파이프를 통해 상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전방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일단이 상기 흡입파이프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구조를 가진 흡입노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후단이 상기 이온발생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분사어댑터와, 후단이 상기 분사어댑터의 전단에 삽입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흡입파이프의 전방 상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흡입파이프의 상부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튜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후단이 상기 분사튜브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흡입파이프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분사보조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부는, 상기 분사조절부 및 분사어댑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과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오나이저를 온/오프시키는 이오나이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조절부는, 전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후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와 연통되도록 공기분사홀이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분사개폐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기분사홀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개폐홀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분사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및 이온발생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해 상기 분사부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 및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배출량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조절부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된 구조로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내부에 결합되고, 개방된 후단이 상기 공기유입로와 연통되며, 전방 외주면에 상기 공기유입로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제1 분사홀이 관통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제2 분사홀이 관통 형성되는 분사스풀과, 상기 제1 분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스풀의 전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분사개폐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분사홀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개폐홀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노브와, 상기 제2 분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스풀의 후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분사홀을 통해 상기 공기이동홀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이온건은, 하나의 이온건으로 정전기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온 분사작업,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작업, 이온분사와 흡입을 동시에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으로 작업공간의 공간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활동성을 높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사조절부를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량을 조절함으로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음으로 이물질 제거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흡입노즐을 통해 분사 및 흡입을 하는 경우 압축공기의 분사로 인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음으로 이물질을 완벽하게 흡입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의 청결성을 높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보조튜브를 통해 작업공간의 모서리에 쌓인 이물질이나 제품의 홈 또는 홀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온발생부를 분사부에 결합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면서 정전기를 제거함으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스풀, 제1 조절노브 및 제2 조절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량 뿐만 아니라 흡입량 또한 조절함으로 작업의 종류,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분사 및 흡입작업이 가능해 이물질 제거 및 흡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이온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단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 중 작동부의 작동에 따른 압축공기의 이동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몸체부의 밸브삽입홈에 작동부의 공기개폐밸브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공기개폐밸브가 공기유입로를 개방한 경우 압축공기가 유입챔버를 거쳐 공기이동통로, 공기흡입홈 및 공기흡입홀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예 중 푸시레버를 푸시하는 경우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흡입노즐이 흡입파이프의 전방에 결합되어 이물지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흡입노즐을 통해 비산된 이물질이 흡입파이프로 흡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9는 도 2의 실시예 중 분사조절노브를 회전 작동시켜 공기개폐홀을 개방한 경우 압축공기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 중 압축공기가 유입챔버를 거쳐 분사노즐의 공기분사홀을 통과한 후 공기분사개폐홀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6의 실시예 중 푸시레버를 푸시하면서 분사조절노브를 회전 작동하는 경우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면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 중 분사튜브를 통해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입파이프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실시예 중 분사튜브에 분사보조튜브를 결합하여 제품의 홈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이온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를 단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 중 공기개폐밸브가 공기유입로를 개방한 경우 압축공기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 중 제1 조절노브를 회전 작동시켜 공기개폐홀을 개방한 경우 공기유입로를 따라 분사스풀의 내부로 이동한 압축공기가 제1 분사홀을 거쳐 공기개폐홀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 중 제1 조절노브의 작동에 따른 공기개폐홀의 개방 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19는 푸시레버를 푸시하고, 제1 조절노브를 회전 작동하는 경우 분사튜브를 통해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실시예 중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1은 도 16의 실시예 중 제2 조절노브의 작동에 따라 압축공기가 제2 분사홀을 따라 공기이동홀로 이동하고, 공기흡입홈 및 공기흡입홀을 거쳐 흡입파이프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 중 분사스풀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제2 분사홀을 통과하여 공기이동홀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23은 푸시레버를 푸시하고, 제2 조절노브를 회전 작동하는 경우 흡입파이프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 중 흡입파이프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5는 도 16의 실시예 중 제1 조절노브 및 제2 조절노브의 작동에 따라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6은 푸시레버를 푸시하고, 제1 조절노브 및 제2 조절노브를 회전 작동하는 경우 발생된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입파이프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실시예 중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가 분사튜브의 전방으로 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입파이프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8은 제1 조절노브 및 제2 조절노브를 회전 작동하여 압축공기가 분사부 및 흡입부로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복합 이온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이온건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작동부(200), 흡입부(300), 분사부(400), 이온발생부(500) 및 분사조절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상부에 손잡이(110)가 형성되고, 후단 하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호스(120)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공기호스(12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후방의 공기유입로(130) 및 전방의 유입챔버(140)가 전후로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140)의 하부에 공기이동홀(150)이 관통 형성된다.
즉, 몸체부(100)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10)와, 외부에 구비된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압축기로부터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압축공기호스(120)가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기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유입챔버(140)로 이루어지며, 유입챔버(140)는 후술하는 흡입부(300) 및 분사부(400)에 압축공기를 각각 이동시키 전 압축공기를 모아두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후방 상부에 상기 공기유입로(13)와 연통되도록 밸브결합홈(160)이 상하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하는 작동부(2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몸체부(100)의 손잡이(110)를 파지하고, 손잡이(110)를 파지한 손으로 작동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 조작성이 용이해지고, 이물질 제거 및 흡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작동부(2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기호스(12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공기유입로(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200)는 공기유입로(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공기개폐밸브(210), 밸브스프링(220) 및 푸시레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개폐밸브(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밸브결합홈(160)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결합홈(16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유입로(130)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밸브결합홈(160)의 내주면에 개폐걸림턱(도면부호 미도시)이 돌출 형성되고, 공기개폐밸브(210)의 하부에 상기 개폐걸림턱과 밀착되도록 공기개폐밸브(210)의 둘레을 따라 시트링(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개폐밸브(210)가 밸브결합홈(160)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개폐걸림턱과 시트링이 밀착 접촉됨으로 몸체부(100)의 공기유입로(130)가 폐쇄되어 압축공기호스(120)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유입챔버(140)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밸브스프링(2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개폐밸브(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대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21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즉, 밸브스프링(220)은 공기개폐밸브(210)의 상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밸브결합홈(160)의 하방으로 이동한 후 외력의 작용이 사라지게 되면 밸브결합홈(160)의 상방으로 탄성 복귀하면서 공기개폐밸브(210)를 밸브결합홈(160)의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 자동으로 공기유입로(130)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푸시레버(2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공기개폐밸브(210)의 상단을 푸시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210)를 상기 밸브결합홈(160)의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로(13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푸시레버(230)는 측단면상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로변이 몸체부(100)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로변의 하면이 공기개폐밸브(210)의 상단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밸브스프링(220)이 공기개폐밸브(210)를 탄성 지지하고 있음으로 공기개폐밸브(210)의 상단과 푸시레버(230)가 항상 접촉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공기개폐밸브(210)는 몸체부(100)의 손잡이(110)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푸시레버(230)는 공기개폐밸브(210)의 상단과 접촉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작업자가 몸체부(100)의 손잡이(110)를 파지하고, 손잡이(110)를 파지한 손으로 푸시레버(230)를 푸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는 이물질(FS) 제거 및 흡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흡입부(3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챔버(140) 하방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이동홀(150)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흡입로(310)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200)가 상기 공기유입로(130)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유입챔버(140) 및 상기 공기이동홀(150)을 경유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로(310)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공기흡입로(310)의 전방으로부터 이물질(FS)을 흡입하게 된다.
즉, 흡입부(300)는 압축공기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 전방의 압력과 후방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여 전방으로부터 이물질(FS)이 흡입되는 것인다. 여기서, 흡입부(300)는 전후방의 압력차이를 형성하기 위해 흡입유도부재(320), 배출파이프(330) 및 흡입파이프(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흡입유도부재(3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챔버(140) 하방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공기이동홀(150)과 연통되도록 공기흡입홈(321)이 함몰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공기흡입홈(321)과 연통되도록 공기흡입홀(332)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다. 즉, 압축공기가 공기이동홀(150)를 통과하여 공기흡입홈(321)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흡입홈(321)을 거쳐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 공기흡입홀(322)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압축공기가 흡입유도부재(320)의 내부나 또는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후술하는 배출파이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유도부재(320)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 후술하는 배출파이프(330)로 압축공기가 이동하게 되어 흡입유도부재(320)의 내부 압력과 배출파이프(330)의 내부 압력 차이가 형성되고, 압력 차이에 의해 공기흡입로(310)의 공기가 흡입부(300)의 후방 즉,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게 되어 흡입부(300)의 전방에 이물질(FS)이 흡입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배출파이프(3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유도부재(320)의 공기흡입홀(322)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전단이 상기 흡입유도부재(320)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도부재(320)의 공기흡입홀(322)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압축공기를 내부 후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즉, 배출파이프(330)의 전단 내주면은 흡입유도부재(320)의 공기흡입홀(322)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공기이동홀(150), 공기흡입홈(321) 및 공기흡입홀(322) 각각을 거친 압축공기가 배출파이프(330)의 전단 내주면을 따라 배출파이프(33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 흡입유도부재(32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유도부재(320)의 내부압력이 배출파이프(330)의 내부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공기흡입로(310)의 공기가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파이프(330)의 후방에는 이물질(FS)을 보관하는 이물질수거함(미도시)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흡입파이프(340)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보관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흡입파이프(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의 관체 형상으로 상기 흡입유도부재(320)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도부재(320)의 후방으로 상기 배출파이프(330)를 통해 상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전방으로부터 이물질(FS)을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입파이프(340)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이물질(FS) 흡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흡입파이프(340)의 후단에 회전브라켓(미도시)이 결합되어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흡입파이프(340)의 전단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푸시레버(230)를 푸시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공기유입로(130) 및 유입챔버(140)를 거쳐 공기이동홀(150), 공기흡입홈(321) 및 공기흡입홀(322) 각각을 통과하여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게 됨으로 흡입파이프(340)의 내부와 배출파이프(330)의 내부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흡입파이프(340)를 이물질(FS)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면서 이물질(FS)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물질(FS)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이물질(FS)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이물질(FS)이 작업공간의 바닥면이나 작업장치에 쌓이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흡입파이프(340)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구조를 가진 흡입노즐(3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흡입파이프(340)에 흡입노즐(350)을 결합하여 이물질(FS)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이물질(FS)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흡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흡입노즐(350)은 작업공간의 크기 및 흡입작업에 따라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공간에 설치된 창문틀과 같이 좁은 공간에 쌓인 이물질(FS)을 흡입하기 위해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흡입노즐(35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챔버(140)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140)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분사로(410)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200)가 상기 공기유입로(130)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공기유입로(130)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유입챔버(140)를 통과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로(410)의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분사하게 된다. 즉, 분사부(400)는 작동부(200)가 공기유입로(130)를 개방하게 되면 압축공기를 전방으로 분사되도록 공기분사로(410)를 통해 압축공기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부(300) 및 분사부(400)를 통해 작업자가 푸시레버(230)를 푸시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함으로 작업공간에 제거된 이물질(FS)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공간의 청결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온발생부(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분사로(410)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공기개폐밸브(210)가 공기유입로(130)를 개방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유입챔버(140)를 거쳐 공기분사로(410)로 유입되게 되고, 압축공기가 공기분사로(410)를 따라 분사부(40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온발생부(500)를 통해 이온이 발생되어 최종적으로 분사부(400)의 전방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되면 압축공기에 발생된 이온에 의해 제품에 형성된 정전기가 제거되는 것이다. 즉, 가공작업 과정에서 제품에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이물질(FS)이 제품의 외주면에 붙은 경우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 제품의 정전기를 제거하면서 이물질(FS)을 제품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분사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상기 이온발생부(5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분사어댑터(420)와 후단이 상기 분사어댑터(420)의 전단에 삽입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흡입파이프(340)의 전방 상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흡입파이프(340)의 상부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튜브(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온발생부(500)는 분사부(400)의 분사튜브(4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분사튜브(43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분사조절부(6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및 이온발생부(50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410)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푸시레버(230)를 푸시하게 되면 흡입부(300)로 압축공기가 이동하여 흡입이 되는 것이고, 분사부(400)로 압축공기가 이동하여 분사튜브(430)의 전방으로 분사되는데, 분사조절부(600)를 통해 유입챔버(140)에서 분사로(410)로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또는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FS)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작업자가 분사조절부(600)를 작동하여 유입챔버(140)에서 분사로(410)로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차단 즉, 압축공기를 분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온발생부(500)가 이온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게 됨으로 이온발생부(500)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온발생부(500)는 상기 분사조절부(600) 및 분사어댑터(42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410)를 통과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510)와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오나이저(510)를 온/오프시키는 이오나이저스위치(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사조절부(600)를 작동하여 유입챔버(140)에서 분사부(400)로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경우 이오나이저스위치(520)를 통해 이오나이저(510)를 오프함으로 이온발생부(500)를 정지시켜 이오나이저(510)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하고,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사조절부(600)는 공기유입로(130) 및 유입챔버(140)를 거쳐 공기분사로(410)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610) 및 분사조절노브(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사노즐(6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이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후단이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140)와 연통되도록 공기분사홀(6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공기분사홀(611)은 단면상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변이 유입챔버(140)와 연통되게 결합되고, 세로변을 통하여 유입챔버(14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분사조절노브(6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61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분사개폐홀(62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기분사홀(611)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개폐홀(621)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유입챔버(140)를 거쳐 공기분사홀(611)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공기분사홀(611)을 따라 유입된 압축공기가 공기분사개폐홀(621)로 이동한 후 공기분사로(410)를 따라 분사튜브(430)의 전방으로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사조절노브(620)는 좌우 회전을 통해 분사노즐(610)의 전방과 분사조절노브(620)의 내주면이 밀착 접촉하여 공기분사개폐홀(621)을 폐쇄하거나 분사노즐(610)의 전방과 분사조절노브(620)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공기분사개폐홀(621)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분사조절노브(620)의 회전량에 따라 공기분사개폐홀(621)의 개방된 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공기분사홀(611)로부터 분사되어 공기분사로(410)로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분사튜브(430)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제품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FS)을 제거 및 흡수하기 위해 푸시레버(230)를 푸시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공기유입로(130)를 따라 유입챔버(140)로 이동하게 되고, 유입챔버(140)에 도착한 압축공기가 공기이동홀(150)을 거쳐 공기흡입홈(321) 및 공기흡입홀(322)을 통과하여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게 됨으로 흡입파이프(340)를 통해 이물질(FS)을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챔버(140)의 전방에 위치하는 분사노즐(610)의 공기분사홀(611)로 압축공기의 일부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FS)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조절노브(620)를 회전 작동시켜 공기분사개폐홀(621)을 개방하게 되면 분사노즐(610)의 공기분사홀(611)에 유입된 압축공기와, 유입챔버(140)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분사조절노브(620)의 공기분사개폐홀(621)을 따라 분사부(400)의 공기분사로(41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공기분사로(410)를 따라 이동하는 압축공기는 이오나이저(510)를 통해 이온이 발생하게 되고, 분사튜브(430)을 따라 분사부(400)의 전방으로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과정에서 제품에 발생된 정전기를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 제거하고, 제품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FS)을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이물질 제거작업, 정전기 제거작업 및 이물질 흡입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가공작업이 완료된 후 이물질 제거 및 정전기를 제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없앰으로 제품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이물질(FS)이 작업공간에 설치된 창문틀 및 작업공간에 형성된 틈새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품의 홈 또는 홀과 같은 좁은 형상의 공간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분사부(400)만으로 이물질(FS)을 제거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400)는 상기 분사튜브(4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후단이 상기 분사튜브(430)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흡입파이프(34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분사보조튜브(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사보조튜브(440)의 전방을 제품에 함몰 형성된 홈이나 또는 관통 형성된 홀의 내부에 삽입한 후 압축공기를 분사보조튜브(440)의 전방으로 분사함으로써 이물질(FS)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품의 홈이나 홀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에 설치된 창문틀이나 작업공간에 형성된 틈새에 쌓인 이물질(FS) 또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분사부(400)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FS)을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 배출함으로 작업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분사부(300)는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및 이온발생부(50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410)를 통해 상기 분사부(400)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 및 상기 공기흡입로(310)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배출량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분사부(3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스풀(630), 제1 조절노브(640) 및 제2 조절노브(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사스풀(63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된 구조로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챔버 내부에 결합되고, 개방된 후단이 상기 공기유입로(130)와 연통되며, 전방 외주면에 상기 공기유입로(13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제1 분사홀(631)이 관통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공기이동홀(150)과 연통되도록 제2 분사홀(63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부(200)가 공기유입로(130)를 개방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공기유입로(130)를 따라 분사스풀(63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후술하는 제1 조절노브(640) 및 제2 조절노브(650)의 작동에 따라 제1 분사홀(631) 및 제2 분사홀(632)을 통과하여 각각 분사부(400) 및 흡입부(30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 조절노브(64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사홀(631)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스풀(630)의 전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분사개폐홀(64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분사홀(631)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개폐홀(641)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공기유입로(130)를 거쳐 분사스풀(63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제1 분사홀(631)을 따라 유입된 압축공기가 공기분사개폐홀(641)로 이동한 후 공기분사로(410)를 따라 분사튜브(430)의 전방으로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노브(640)는 좌우 회전을 통해 분사스풀(630)의 전방과 제1 조절노브(640)의 내주면이 밀착 접촉하여 공기분사개폐홀(641)을 폐쇄하거나 분사스풀(630)의 전방과 제1 조절노브(640)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공기분사개폐홀(641)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조절노브(640)의 회전량에 따라 공기분사개폐홀(641)의 개방된 공간을 조절함으로 제1 분사홀(631)을 통과하여 분사로(410)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분사부(400)의 분사튜브(430)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노브(640)를 조작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공기유입로(130) 및 분사스풀(630)을 거쳐 공기분사로(410)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분사로(410)를 따라 압축공기가 이동하면서 이오나이저(510)를 통해 이온이 발생되며, 최종적으로 분사튜브(430)의 전방으로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물질(FS)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만 하는 경우 제1 조절노브(640)를 좌우 회전 구동하여 압축공기의 분사유무 및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제2 조절노브(65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사홀(632)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스풀(630)의 후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분사홀(632)을 통해 상기 공기이동홀(150)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공기유입로(130)를 거쳐 분사스풀(63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제2 분사홀(632)을 따라 유입된 압축공기가 공기분사개폐홀(641)로 이동한 후 공기이동홀(150), 공기흡입홈(321) 및 공기흡입홀(322) 각각을 통과하여 배출파이프(330)의 후방으로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노브(650)는 좌우 회전을 통해 분사스풀(630)의 후방과 제2 조절노브(650)의 내주면이 밀착 접촉하여 공기분사개폐홀(641)을 폐쇄하여 압축공기가 공기이동홀(15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분사스풀(630)의 후방과 제2 조절노브(650)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공기분사개폐홀(641)이 개방되어 압축공기가 공기이동홀(15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조절노브(650)의 회전량에 따라 제2 분사홀(632)과 공기이동홀(150)이 연동되는 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하게 됨으로 공기이동홀(150)을 통과하여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노브(650)를 조작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공기유입로(130) 및 분사스풀(630)의 제2 분사홀(632)를 거쳐 공기이동홀(150)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공기흡입홈(321) 및 공기흡입홀(322) 각각을 통과하여 배출파이프(340)를 따라 흡입부(30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물질(FS)을 흡수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흡입부(300)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경우 제2 조절노브(650)를 좌우 회전 구동하여 압축공기의 배출유무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노브(640)를 회전 구동시켜 공기유입로(130)를 통해 분사스풀(630)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제1 분사홀(631)을 따라 공기개폐홀(641)을 통과하여 공기분사로(410) 이동하게 하고, 제2 조절노브(650)를 회전 구동시켜 공기유입로(130)를 통해 분사스풀(630)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제2 분사홀(632)을 통과하여 공기이동홀(150), 공기흡입홈(321) 및 공기흡입홀(322) 각각을 거쳐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게 하는 경우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면서 이물질(FS)을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FS)을 흡입파이프(340)를 통해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노브(640)를 회전 구동시켜 공기개폐홀(641)을 폐쇄하고, 제2 조절노브(650)를 회전 구동시켜 제2 분사홀(632)를 통과하여 공기이동홀(150)로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게 되는 경우 공기개폐밸브(210)가 공기유입로(130)를 개방하여도 압축공기의 분사 및 배출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사조절부(600)를 통해 이온이 발생된 압축공기의 분사 유무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면서 분사 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압축공기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면서 배출 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흡입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작업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분사 및 흡수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 대상물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량 및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이물질(FS) 제거작업을 용이할게 할 뿐만 아니라 분사, 흡수 및 정전기 제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켜 최종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FS : 이물질
100 : 몸체부
110 : 손잡이 120 : 압축공기호스
130 : 공기유입로 140 : 유입챔버
150 : 공기이동홀 160 : 밸브결합홈
200 : 작동부 210 : 공기개폐밸브
220 : 밸브스프링 230 : 푸시레버
300 : 흡입부
310 : 공기흡입로 320 : 흡입유도부재
321 : 공기흡입홈 322 : 공기흡입홀
330 : 배출파이프 340 : 흡입파이프
350 : 흡입노즐
400 : 분사부
410 : 공기분사로 420 : 분사어댑터
430 : 분사튜브 440 : 분사보조튜브
500 : 이온발생부
510 : 이오나이저 520 : 이오나이저스위치
600 : 분사조절부
610 : 분사노즐 611 : 공기분사홀
620 : 분사조절노브 621 : 공기분사개폐홀
630 : 분사스풀 631 : 제1 분사홀
632 : 제2 분사홀
640 : 제1 조절노브 641 : 공기분사개폐홀
650 : 제2 조절노브

Claims (10)

  1. 후단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후단 하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호스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공기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후방의 공기유입로 및 전방의 유입챔버가 전후로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의 하부에 공기이동홀이 관통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기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공기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하방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흡입로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유입챔버 및 상기 공기이동홀을 경유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공기흡입로의 전방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공기분사로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공기유입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유입챔버를 통과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로의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부와, 상기 몸체부 및 이온발생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하방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공기흡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공기흡입홈과 연통되도록 공기흡입홀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 흡입유도부재와,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공기흡입홀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전단이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공기흡입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압축공기를 내부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와,
    장형의 관체 형상으로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도부재의 후방으로 상기 배출파이프를 통해 상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전방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후단이 상기 이온발생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분사어댑터와,
    후단이 상기 분사어댑터의 전단에 삽입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흡입파이프의 전방 상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흡입파이프의 상부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부는,
    상기 분사조절부 및 분사어댑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과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오나이저를 온/오프시키는 이오나이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후방 상부에 상기 공기유입로와 연통되도록 밸브결합홈이 상하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밸브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결합홈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폐하는 공기개폐밸브와,
    상기 공기개폐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공기개폐밸브의 상단을 푸시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를 상기 밸브결합홈의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로를 개방시키는 푸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일단이 상기 흡입파이프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구조를 가진 흡입노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튜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후단이 상기 분사튜브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흡입파이프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분사보조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조절부는,
    전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후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챔버와 연통되도록 공기분사홀이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분사개폐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기분사홀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개폐홀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분사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및 이온발생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분사로를 통해 상기 분사부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량 및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배출량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조절부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된 구조로 상기 몸체부의 유입챔버 내부에 결합되고, 개방된 후단이 상기 공기유입로와 연통되며, 전방 외주면에 상기 공기유입로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제1 분사홀이 관통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공기이동홀과 연통되도록 제2 분사홀이 관통 형성되는 분사스풀과,
    상기 제1 분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스풀의 전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분사개폐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분사홀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개폐홀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노브와,
    상기 제2 분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스풀의 후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분사홀을 통해 상기 공기이동홀로 이동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이온건.
KR1020180049920A 2018-04-30 2018-04-30 복합 이온건 KR10193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20A KR101934670B1 (ko) 2018-04-30 2018-04-30 복합 이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20A KR101934670B1 (ko) 2018-04-30 2018-04-30 복합 이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670B1 true KR101934670B1 (ko) 2019-01-03

Family

ID=6502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20A KR101934670B1 (ko) 2018-04-30 2018-04-30 복합 이온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6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793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에어건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관조립체
KR20210012794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줄꼬임이 방지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관조립체
US20220334496A1 (en) * 2020-09-28 2022-10-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rticle removal device and method
KR20230053413A (ko) * 2021-10-14 2023-04-21 안동주 자동차 물기 및 이물질 제거용 드라이건 브러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543B2 (ja) * 1994-11-09 1999-03-24 シムコジャパン株式会社 吸塵機構を備えたイオン化除電装置
KR200239294Y1 (ko) * 1999-05-20 2001-09-25 이황우 다기능용 에어건.
JP2010000486A (ja) * 2008-06-23 2010-01-07 Sunx Ltd 除電除塵装置
JP2011255293A (ja) * 2010-06-08 2011-12-22 Masahiro Fukase 吸引回収、飛ばし機能付エアーガン、及びそれを利用した清掃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543B2 (ja) * 1994-11-09 1999-03-24 シムコジャパン株式会社 吸塵機構を備えたイオン化除電装置
KR200239294Y1 (ko) * 1999-05-20 2001-09-25 이황우 다기능용 에어건.
JP2010000486A (ja) * 2008-06-23 2010-01-07 Sunx Ltd 除電除塵装置
JP2011255293A (ja) * 2010-06-08 2011-12-22 Masahiro Fukase 吸引回収、飛ばし機能付エアーガン、及びそれを利用した清掃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793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에어건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관조립체
KR20210012794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줄꼬임이 방지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관조립체
KR102220986B1 (ko) * 2019-07-26 2021-02-26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줄꼬임이 방지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관조립체
KR102220984B1 (ko) * 2019-07-26 2021-02-26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에어건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관조립체
US20220334496A1 (en) * 2020-09-28 2022-10-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rticle removal device and method
KR20230053413A (ko) * 2021-10-14 2023-04-21 안동주 자동차 물기 및 이물질 제거용 드라이건 브러시
KR102630523B1 (ko) 2021-10-14 2024-01-29 안동주 자동차 물기 및 이물질 제거용 드라이건 브러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670B1 (ko) 복합 이온건
EP3373790B1 (en) Extractor cleaning machine
TW201635968A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JPS62183870A (ja) スプレ−銃の塗料供給溝の洗浄装置
US4429432A (en) Sanitizer attachment for a mobile floor cleaner
KR102227245B1 (ko) 분진 제거 장치 및 분진 제거 시스템
JP5934514B2 (ja) 真空吸着ヘッドを有する物品供給装置
JP2011255293A (ja) 吸引回収、飛ばし機能付エアーガン、及びそれを利用した清掃方法
TW202037818A (zh) 空氣抽吸裝置及空氣吹送裝置
JP3654099B2 (ja) 打込機
JP2015147283A (ja) ブラスト処理装置および石材彫刻作製方法
KR101344133B1 (ko) 탄산칼슘 자동공급장치
JP5728198B2 (ja) 吸引機器の先端構造、および当該先端構造を具備する吸引用アダプター並びに吸引式洗浄ガン
JP2516736B2 (ja) 洗浄ガン
WO2012096161A1 (ja) 空気吸引噴射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KR20080066290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190065562A (ko) 이동형 집진기
JP2006224245A (ja) 切削屑除去装置および切削屑除去方法
KR200390587Y1 (ko) 청소용 에어 분사기
JP2004321988A (ja) 清掃工具
KR101583249B1 (ko) 이동형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214555962U (zh) 一种腔体型轨道清洗机
KR20040050607A (ko)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JP2004276081A (ja) はんだ鏝用鏝先浄化装置
JP3739729B2 (ja) 粉塵類の回収機能を備えた手持ち式清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