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607A -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607A
KR20040050607A KR1020020078466A KR20020078466A KR20040050607A KR 20040050607 A KR20040050607 A KR 20040050607A KR 1020020078466 A KR1020020078466 A KR 1020020078466A KR 20020078466 A KR20020078466 A KR 20020078466A KR 20040050607 A KR20040050607 A KR 2004005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net
storage tank
air
pip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102002007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607A/ko
Publication of KR2004005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가네트(Garnet)가 에어 이젝트(air ejector)에 의해 저장탱크로 연속하여 자동 공급되게 하고, 저장탱크의 배출구에 혼합관(벤츄리)을 설치하여 연마재인 가네트가 분사노즐로 고압분사되게 함으로써 작업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이나 산화물을 간편히 제거하고, 에어 이젝트의 후단에 소음기를 설치하여 발생 소음을 크게 줄이고, 고압공기로 필터를 깨끗이 세정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전원이 불필요하여 감전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능율이 30% ~ 40% 이상 향상되는 가네트 블라스트(Garnet Blast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Automatic Garnet supplying and blasting machine}
본 발명은 가네트 블라스트(Garnet Blasting Machine)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가네트(Garnet)가 에어 이젝트(air ejector)의 흡입력에 의해 저장탱크로 연속하여 자동 공급되게 하고, 저장탱크의 배출구에 혼합관을 설치하여 가네트가 분사노즐을 통하여 고압 분사되게 함으로써 작업물의표면에 묻은 이물이나 산화물을 간편히 제거하도록 하고, 에어 이젝트의 후단에 소음기를 설치하여 발생 소음을 크게 줄이도록 하고, 고압공기로 필터를 깨끗이 세정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네트 블라스트는 압축공기와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연마재의 일종인 가네트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작업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녹(산화물)을 제거하여 도장작업과 같은 표면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표면가공장치의 일종이다.
상기 가네트 블라스트는 가네트(Garnet), 그릿(Grit), 숏(Shot), 모래 등의 연마재(이하 "가네트" 라고 함)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선박 및 기계구조물 뿐 아니라 각종 소재의 표면처리나 여러 부품의 다듬질에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된 가네트 블라스트는 가네트 저장탱크의 투입구를 개방시킨 다음 작업자가 삽과 같은 도구의 도움을 빌어 소량씩 여러번에 걸쳐 상기 투입구로 적당량의 가네트를 투입한 다음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투입방식이며, 사용에 의해 가네트가 소모되면 가네트를 수시 보충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작업자를 필요로 한다.
상기 가네트는 무게가 무거울 뿐 아니라 위치가 높게 설치되는 저장탱크로 가네트를 소량씩 여러번에 거쳐 투입하는 작업조건이므로 작업자의 허리부상이나 근골격계 질환 등이 유발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헤칠 뿐 아니라 전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상부에 설치된 투입구의 구조 특성상 빗물이나 이슬등이 저장탱크내부로 자주 혼입되어 이러 인하여 못쓰게 되는 가네트의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가네트(Garnet)가 에어 이젝트(air ejector)에 의해 저장탱크로 연속하여 자동 공급되게 함으로서 가네트를 저장탱크에 퍼담는 작업과 인력이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등이 예방될 뿐 아니라, 작업능율은 30% ~ 40% 이상 향상되는 가네트 블라스트(Garnet Blasting Machine)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휠을 갖는 프레임상에 가네트 저장탱크와 필터와 에어 이젝트 등을 인접하거나 인근에 위치하도록 수평적으로 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압축공기로만 동작되게 함으로써 전기 에너지가 필요없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이젝트에 의해 가네트 저장탱크로 흡입 공급되는 가네트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흡입관의 출구가 막히면 에어 이젝트의 흡입기능이 중단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필터의 외부 표면에 달라붙은 가네트를 분리제거시켜 깨끗한 상태로 공기 세정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캐스터를 갖는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네트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혼합관과, 상기 저장탱크로 흡입되는 가네트의 일부가 에어 이젝트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 및 그 케이스와, 외부에 위치하는 가네트를 흡입시켜 저장탱크로 공급(충진)하는 에어 이젝트와, 에어 이젝트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경감시키는 소음기가 설치되고, 이들 저장탱크와 필터 케이스와 에어 이젝트 및 소음기는 호스 및 관체로 각각 연결하여 관로(管路)를 구성함으로써 혼합관에 의해 발생되는 제트(Z)기류에 의해 저장탱크의 가네트가 분사노즐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면서 작업물의 표면에 강하게 충돌하게되며, 따라서 그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녹(산화물) 등이 쉽게 제거된다.
그리고, 에어 이젝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소음기에 의해 에어 이젝트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10㏈ 이상 크게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품들이 휠을 갖는 프레임상에 인접하거나 인근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므로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안정적이며, 가네트가 가득 공급되더라도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기에너지 없이 압축공기로만 동작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탱크로 흡입 공급되는 가네트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흡입관의 출구가 막히면 에어 이젝트의 흡입기능이 중단된다.
도 1 : 본 발명 가네트 블라스트의 일 실시 예 정면도.
도 2 : 본 발명 가네트 블라스트의 일 실시 예 측면도.
도 3 : 본 발명에서 가네트가 저장탱크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서 저장탱크 내의 가네트가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서 압축공기로 필터를 청소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6 : 본 발명 혼합관 부분의 일 실시 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가네트 블라스트(4)--에어 이젝트
(6)--가네트 용기(8)(8a)(8b)--가네트(Garnet)
(10)--흡입관(10a)--흡입관의 선단
(12)--저장탱크(12a)--배출호퍼
(14)--혼합관(mixing pipe)(16)(74)--분사노즐
(18)--캐스터(20)--프레임
(21)--바닥판(22)--필터
(22a)--필터의 걸림부(24)--필터케이스
(24a)--걸림판(25)--공간
(26)--소음기(28)(72)--챔버
(30)(66)--흡기관
(32)(34)(36)(44)(46)(58)(60)(62)(68)--밸브
(38)(70)--배출관(40)--배출관
(42)--급기관(48)--공기압축기
(50)--압력조절부(52)(54)(56)--관체
(64)--지지부재(76)--분사구
(78)--케이스(80)--배기공
(82)(84)--흡음재(86)--원통체
(86a)--원통체의 내부공간(88)--완충부재
(90)--유로(92)--만곡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는 본 발명 일 실시 예로 도시한 가네트 블라스트(2)의 정면도 및 그 측면도이고, 도 3은 에어 이젝트(4)에 의해 외부용기(6)에 수용되어 있는 가네트(8)가 흡입관(10)을 통하여 저장탱크(12)로 공급(흡입)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혼합관(14)에 의해 발생되는 제트기류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12) 로 공급된 가네트(8a)가 분사노즐(16)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가네트 블라스트(2)의 구조를 살펴보면, 복수 개의 캐스터(18)를 갖는 대차 프레임(20)의 상부에, 가네트 저장탱크(12)와, 상기 저장탱크(12)로 흡입되는 가네트(8a)의 일부가 에어 이젝트(4)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22) 및 그 보호케이스(24)와, 외부 용기(6)에 수용된 가네트(8)를 흡입시켜 저장탱크(12)로 충진시키는 에어 이젝트(4)와, 상기 에어 이젝트(4)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경감시키는 소음기(26)가 인근에 또는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들 저장탱크(12)와 필터 케이스(24)와 에어 이젝트(4)는 호스 및 관체 등으로 각각 연결되어 관로(管路 또는 流路)가 구성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2)의 일측에는 외부용기(6)에 수용되어 있는 가네트(8)를 챔버(28)로 흡입시켜 충진하는 흡입관(10)(10a)이 연결되고, 저장탱크(12)의 타측에는 필터케이스(24)에 연결되는 흡기관(30)이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10)과 흡기관(30)에는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밸브(32)(3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10)의 후단은 저장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하향 절곡되어 고정되며, 가네트(8)를 흡입하기 위하여 가네트 용기(6)로 투입되는 흡입관(10)의 선단(10a)은 굽힘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관체 또는 호스이다.
상기 흡입관(10)의 선단(10a)은 가네트(8)를 흡입하기 위하여 강력한 흡입력이 작용되므로, 흡착될 우려가 있는 일반 플레시블 호스 보다는 보강부가 고르게형성된 구조의 플렉시블 호스가 바람직하며, 흡입관(10)의 후단은 저장탱크(12)에 고정되는 만큼 저장탱크(12)와 같은 재질의 경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향 절곡된 상기 흡입관(10)의 출구 높이에 따라 저장탱크(12)로 공급되는 가네트(8a)의 공급량이 결정된다.
즉, 에어 이젝트(4)에 의해 가네트 저장탱크(12)로 흡입 공급되는 가네트(8a)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흡입관(10)의 출구가 막히게 되면 에어 이젝트(4)의 흡입기능이 중단된다.
한편, 저장탱크(12)의 하부에는 경사구조의 배출호퍼(12a)가 형성되고 배출호퍼(12a)의 배출구에는 밸브(36)를 갖는 배출관(38)이 연결되며, 배출관(38)의 하단부에는 저장탱크(12)로부터 배출되는 가네트(8a)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게 제트(Z)기류를 발생시키는 혼합관(14)이 연결되고, 혼합관(14)의 출구에는 내압이 높은 배출관(40)과 분사노즐(16)이 연결된다.
저장탱크(12)의 측면 상부에는 급기관(42)이 연결되며, 급기관(42)의 양측에는 밸브(44)(46)가 각각 설치되고, 급기관(42)의 선단부에는 공기압축기(48)와, 상기 공기압축기(48)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압을 적정압으로 균일하게 조절하는 압력조절부(50)가 연결되며, 따라서 압력이 조절된 압축공기가 상기 급기관(42)을 통하여 저장탱크(12) 및 밸브의 개방상태에 따라 기타 관체 및 호스를 통하여 각 처로 공급된다.
그리고, 에어 이젝트(4)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입관(10)를 따라 챔버(28)로 유입되는 가네트(8)는 압축공기보다 무거운 상태이므로 자중에 의해 순식간에저장탱크(12)의 하부 및 배출호퍼(12a)로 추락하여 충진된다.
그리고, 흡입관(10)의 배출방향과 흡기관(30)의 흡기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챔버(28)로 유입되는 가네트(8)가 흡기관(30) 방향으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밸브(44)(46) 사이에는 에어 이젝트(4)에 연결되는 관체(52)와 필터케이스(24)에 연결되는 다른 관체(54)와 혼합관(14)에 연결되는 또 다른 관체(56)가 각각 연결되며, 이들 관체(52)(54)(56)는 각자의 밸브(58)(60)(62)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36)(44)(46)(62)가 개방되어 있는 기간 동안 공기압축기(48) 및 압력조절부(5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혼합관(14)과 저장탱크(12)로 공급되며, 상기 혼합관(14)의 작용에 의해 저장탱크(12) 내의 가네트(8a)가 배출관(38)(40)과 혼합관(14)과 분사노즐(16)을 통하여 고압(高壓)으로 분사된다.
상기에서 밸브(46)의 개방에 의해 저장탱크(12)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챔버(28)의 진공상태를 와해시킬 뿐 아니라 챔버(28)의 내부압력을 증대시켜 가네트(8a)의 배출을 도와주게된다.
이 때 물론 흡기관(30)의 밸브(34)는 폐쇄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관체(52)(54)에 설치된 밸브(58)(60) 역시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2)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64)를 통하여 프레임(20)에 지지되며, 프레임(20)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복수 개의 캐스터(18)가 설치되어 중량체인 본 발명 가네트 블라스트(2)를 작업장 등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필터케이스(24)의 출구인 상부와 에어 이젝트(4)의 입구에 또 다른 흡기관(66)을 연결함으로써 에어 이젝트(4)의 흡인력에 의해 저장탱크(12)가 진공상태로 되면서 가네트(8)가 흡입되며, 상기 흡기관(66)의 선단은 저장탱크(12)를 관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향 절곡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2)의 하부에 연결된 흡입관(10)과 저장탱크(12)의 상부에 연결된 흡기관(30)은 관 입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에어 이젝트(4)의 흡입력에 의해 가네트(8)가 저장탱크(12)의 챔버(28)로 유입되더라도 공기보다 무거운 상태이므로 저장탱크(12)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호퍼(12a)로 하강하여 쌓이게 되고, 가네트(8)보다 가벼운 공기는 상부의 흡기관(30)을 경유하여 필터케이스(24) 내부로 유입된 다음 필터(22)와, 흡기관(66)과, 에어 이젝트(4)와, 소음기(26)를 통하여 외기로 배출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4)의 내부에는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22)가 설치되며, 필터케이스(24)의 하부에는 밸브(68)를 갖는 배출관(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22)는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이며 상부에 외향 걸림부(22a)가 빙둘러 형성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4)의 내상부에는 중심공이 형성된 걸림판(24a)이 고정되며, 상기 걸림판(24a)의 중심공에 필터(22)의 외향 걸림부(22a)가 걸림된다. 따라서 필터(22)를 중심으로 필터케이스(24)의 내부 공간(25)이 상.하로 격리되므로 가네트(8b)가 여과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스(24)의 내부로 돌출되는 관체(54)의 단부는 필터(22)의 수직 중심선 부근에서 하향 절곡되게 구성하여 공기압이 필터(22)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필터(22)를 골고루 깨끗이 세정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스(24)에 내설되는 필터(22)는 수명이 다하면 교환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이 바람직하며, 밸브(60)의 개방에 따라 관체(54)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22)의 바깥 표면에 묻어 있는 가네트(8b)를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22)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이 때, 필터(22)를 세정한 압축공기와,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2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가네트(8b)는 개방상태의 밸브(68)와 배출관(70)을 통하여 바깥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에어 이젝트(4)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해 외부용기(6)내의 가네트(6)가 저장탱크(12)로 계속 공급되게 되나, 챔버(28)내에서 하향 절곡되어 있는 흡입관(10)의 단부(입구부)가 일정 높이(고정위치)를 갖고 있으므로, 에어 이젝트(4)의 계속 동작에 의해 가네트(8)가 계속 흡입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챔버(28)에 쌓이는 가네트(8b)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흡입관(10)의 출구를 막게되므로 더 이상의 가네트(8b) 흡입이 방지되고, 에어 이젝트(4)는 기능을 잠시 멈추게된다.
그리고, 가네트의 충진량 등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제어수단들이 본 발명에서는 불필요하며, 압축공기만으로도 운전(동작)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에어 이젝터(4)는 관체(5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챔버(72)에 내설된 분사노즐(74)에 의해 분사구(76)로 고압 분사되면서 챔버(72)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며, 상기 진공압에 의해 저장탱크(12)의 내부에도 진공압이발생되면서 가네트(8)가 흡입된다.
즉, 흡기관(30)(66)으로 연결된 상부탱크(12)의 챔버(28)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므로 용기(6) 내의 가네트(8)가 흡입관(10)(10a)을 통하여 저장탱크(12)로 흡입 공급된다.
한편, 에어 이젝트(4)의 하단에는 소음기(20)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 이젝트(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발생 소음이 외기로 직접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소음기(20)를 통과하여 배출되므로 에어 이젝트(4)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10㏈ 이상 크게 감소된다.
상기 소음기(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케이스(78)로 둘러 쌓인 소음기(20)의 통체 상부에 에어 이젝트(4)의 분사구(76)가 기밀유지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배출압력을 가진 공기가 소음기(20)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78)의 내측벽에는 소정두께의 흡음재(82)로 빙둘러 쌓여 배출소음이 흡수된다.
소음기(20)의 바닥판(21) 중앙에는 상기 분사구(76)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체(86)가 설치된다. 상기 원통체(86)는 분사구(76)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로 돌출 및 개방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외경이 작은 분사구(76)의 하단부가 원통체(86)의 내부공간(86a)으로 다소 깊이 들어와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분사구(76)의 외경은 작은 편이고 원동체(86)의 내경은 보다 큰 편이므로 원통체(86)와 분사구(76) 사이에 배출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90)가 형성되며, 원통체(86)의 외부에 위치하는 케이스(78) 바닥부분에는 복수 개의배기공(8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공(80)의 직상부인 케이스(78)와 원통체(86) 사이에는 흡음재(84)가 설치된다.
또한, 분사구(7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바닥부에는 배출공기의 충격과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88)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88)는 금속 또는 비금속재이면서 강도와 경질이 우수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완충부재(88)는 상부(88a)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상이며, 원통체(86)와 완충부재(88) 사이를 이격시킨 공간에 만곡부(92)가 형성되어 배출공기가 도 3과 같이 완충부재(88)의 상부(88a) 표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만곡부(92)로 유입된 다음, 만곡면에 의해 상부로 방향이 바뀌고 원통체(86)의 표면을 따라 유로(90) 사이를 지나 상승한 다음 원통체(86)의 바깥 공간으로 하강하여 흡음재(84)를 지나 바닥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80)으로 배출되므로 배출소음이 크게 감소된다.
미 설명 부호 (57)은 오링이고, (94)는 체결공이고, (96)은 체결수단이고, (98)은 저장탱크의 내부를 청소 및 수리할 수 있는 밀폐구이고, (100)은 손잡이 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서 저장탱크(12)로 가네트(8)를 공급할 때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급기관(42)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한 상태에서 밸브(46)(62)(36)(68)는 폐쇄시키고, 또 다른 밸브(32)(34)(44)(58)들은 개방시켜 흡입로를 형성함으로써 가네트(8)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공기압축기(48)와 압력조절부(5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에어 이젝트(4)로 공급되어 챔버(72) 내부가 진공으로 되고, 개방 밸브(34)를 통하여 흡기관(30)(66)과 필터(22)를 통하여 흡기되므로 저장탱크(12)의 챔버(28)가 진공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28)가 진공상태로 되면 개방된 밸브(32)에 의해 외부용기(6)의 가네트(8)가 흡입관(10)(10a)을 통하여 챔버(28)로 유입된다.
챔버(28)로 유입되는 가네트(8)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앞서 기술한 것처럼 흡입관(10)의 출구가 막히면 더 이상의 가네트(8b) 공급이 방지되고, 에어 이젝트(4)의 기능이 멈추고, 가네트(8)의 공급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가네트(8)를 공급할 때 흡입압력이 감소하면 가네트가(8a) 저장탱크(12)에 가득찬 상태이므로 흡입밸브(32)를 닫아 폐쇄시킬 수 있으며, 저장탱크(12)로 흡입 공급되는 가네트(8) 공급량은 밸브(58)의 개폐정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이젝트(4)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배출 소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소음기(26)에 의해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2)에 적정량의 가네트(8a) 공급이 완료되면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밸브(32)(34)(58)(68)는 폐쇄시키고, (46)(62)(36)번 밸브는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면 도 4와 같이 분사노즐(16)을 통하여 가네트(8b)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작업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쉽게 제거된다.
그리고, 글라스팅 작업을 할 때, 밸브(62)의 개폐정도를 조정하여 공기압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가네트(8b) 분사압을 조정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도 5와 같이 카트리지 필터(18)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밸브(34)(46)(58)(62)를 폐쇄시켜 놓은 다음 보호케이스(24) 하부에 위치하는 밸브(68)를 열고, 관체(54)의 밸브(60)를 개방시키면 급기관(42)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관체(54)를 통하여 보호케이스(24)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24)로 압출 분사되면서 통과하여 하부 배출관(70)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카트리지 필터(22)의 외부 표면에 달라붙은 가네트(8b)는 압출공기에 의해 필터(22)로부터 떨어지면서 하부 공간(25)을 통하여 배출관(70)으로 배출되므로 필터(22)가 깨끗한 상태로 공기 세정되므로 반복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탱크(12)는 투입구에 흡입관(10b)이 연결되는 밀폐구조이므로 빗물이나 이슬등이 저장탱크(12)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저장탱크(12) 내의 가네트(8b) 손상과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연마재인 가네트(Garnet)가 에어 이젝트(air ejector)에 의해 저장탱크로 연속하여 공급되므로 가네트를 저장탱크에 퍼담는 작업과 그 인력이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등이 예방될 뿐 아니라, 작업능율이 30% ~ 40% 이상 향상되며, 캐스터(18)에는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정지간에 제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 이젝트를 이용하여 가네트 충진작업을 자동화 함으로서 가네트를 탱크에 퍼담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되며, 작업능율은 30% ~ 40% 그 이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단지 압축공기만 있으면 동작되므로 별도의 전기적인 부가장치가 필요없어 작업장 내부에서 발생가능한 감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 요인이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 이젝트에 의해 가네트 저장탱크로 흡입 공급되는 가네트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흡입관의 출구가 막히면 에어 이젝트의 흡입기능이 자동으로 중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탱크 밀폐구조이므로 빗물이나 이슬등이 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가네트 손상이나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소형으로 제작되면서 캐스터를 갖는 프레임에 평면적으로 설치되므로 무게중심에 하부에 위치하여 안정적일 뿐 아니라 이동과 운반이쉽고 좁은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고정형인 기존의 대형 블라스팅 설비로부터 작업위치까지 먼거리의 연마재 이송을 위해 많은 길이의 고압호스 사용과 과도한 압축공기 사용이 필요없어 많은 운영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필터의 외부 표면에 달라붙은 가네트를 분리제거할 수 있어서 필터가 깨끗한 상태로 공기 세정되므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 이젝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소음기에 의해 이젝트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10㏈ 이상으로 크게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가네트 블라스트를 구성함에 있어 ; 캐스터(18)를 갖는 대차 프레임(20)의 상부에 가네트 저장탱크(12)와, 상기 저장탱크(12)로 흡입되는 가네트(8a)의 일부가 에어 이젝트(4)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22) 및 그 보호케이스(24)와, 외부 용기(6)에 수용된 가네트(8)를 흡입시켜 저장탱크(12)로 충진시키는 에어 이젝트(4)와, 에어 이젝트(4)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경감시키는 소음기(26)를 설치하여서 된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2. 가네트 블라스트를 구성함에 있어 ; 저장탱크(12)의 일측에 외부용기(6)의 가네트(8)를 챔버(28)로 흡입하는 흡입관(10)(10a)을 연결하고, 저장탱크(12)의 타측에 필터케이스(24)에 연결되는 흡기관(30)을 연결하고, 흡입관(10)과 흡기관(30)에는 밸브(32)(34)를 각각 설치하고, 저장탱크(12) 배출구에 밸브(36)를 갖는 배출관(38)을 연결하고, 배출관(38)의 하단부에 혼합관(14)을 연결하고, 혼합관(14)의 출구에 배출관(40)과 분사노즐(16)을 연결하고, 저장탱크(12)의 측면 상부에 급기관(42)을 연결하고, 급기관(42)의 양측에 밸브(44)(46)을 각각 설치하고, 밸브(44)(46) 사이에 에어 이젝트(4)에 연결되는 관체(52)와 필터케이스(24)에 연결되는 관체(54)와 혼합관(14)에 연결되는 관체(56)를 각각 연결하고, 이들 관체(52)(54)(56)는 각자의 밸브(58)(60)(62)를 설치하여서 된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 저장탱크(12)의 하부에 위치하는 흡입관(10)은 저장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하향 절곡하고, 저장탱크(12)의 상부에 위치하는 흡기관(30)은 저장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향 절곡하여서 된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소음기(20)는 케이스(78)로 둘러 쌓인 통체의 상부에 에어 이젝트(4) 분사구(76)를 삽입하고, 케이스(78)의 바닥부분에 복수 개의 배기공(80)을 형성하고, 케이스(78)의 내측벼과 바닥에 흡음재(82)(84)를 빙둘러 설치하고, 소음기(20)의 바닥판(21) 중앙에 상향 개방의 원통체(86)를 설치하고, 외경이 작은 분사구(76)의 하단부가 원통체(86)의 공간(86a)으로 다소 깊이 삽입하고, 원통체(86)와 분사구(76)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90)를 형성하고, 바닥부에 상부(88a)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상의 완충부재(88)를 설치하고, 원통체(86)와 완충부재(88) 사이에 만곡부(92)를 형성하여서 된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흡입관(10)의 선단(10a)은 플렉시블 호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KR1020020078466A 2002-12-10 2002-12-10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KR20040050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66A KR20040050607A (ko) 2002-12-10 2002-12-10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66A KR20040050607A (ko) 2002-12-10 2002-12-10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03U Division KR200308625Y1 (ko) 2002-12-10 2002-12-10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607A true KR20040050607A (ko) 2004-06-16

Family

ID=3734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466A KR20040050607A (ko) 2002-12-10 2002-12-10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6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442B1 (ko) * 2012-03-02 2013-10-29 김도훈 가네트 블라스팅 장치
KR20210050914A (ko) 2019-10-29 2021-05-10 (주)원엔지니어링 센서 기반 스마트 가넷 블라스트 머신
KR20220048078A (ko) 2020-10-12 2022-04-19 (주)원엔지니어링 듀얼 가넷 블라스트 머신
KR102511254B1 (ko) * 2022-04-20 2023-03-17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강구조물 바탕처리 전용 친환경 진공 블라스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200A (en) * 1986-03-11 1991-02-19 Kawasaki Steel Techno-Research Corp Pollution free blaster system and blaster head therefor
JPH05293761A (ja) * 1992-04-16 1993-11-09 Sony Corp 粉体供給装置
JPH08141913A (ja) * 1994-11-10 1996-06-04 Alps Eng:Kk ブラスト加工装置
KR200175213Y1 (ko) * 1999-10-05 2000-03-15 태광산기주식회사 에어 인젝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200A (en) * 1986-03-11 1991-02-19 Kawasaki Steel Techno-Research Corp Pollution free blaster system and blaster head therefor
JPH05293761A (ja) * 1992-04-16 1993-11-09 Sony Corp 粉体供給装置
JPH08141913A (ja) * 1994-11-10 1996-06-04 Alps Eng:Kk ブラスト加工装置
KR200175213Y1 (ko) * 1999-10-05 2000-03-15 태광산기주식회사 에어 인젝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442B1 (ko) * 2012-03-02 2013-10-29 김도훈 가네트 블라스팅 장치
KR20210050914A (ko) 2019-10-29 2021-05-10 (주)원엔지니어링 센서 기반 스마트 가넷 블라스트 머신
KR20220048078A (ko) 2020-10-12 2022-04-19 (주)원엔지니어링 듀얼 가넷 블라스트 머신
KR102511254B1 (ko) * 2022-04-20 2023-03-17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강구조물 바탕처리 전용 친환경 진공 블라스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981B1 (ko)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연마재 회수 기구
US10676296B2 (en) Conveyor with integrated dust collector system
US5545074A (en) Abrasive blasting system with waste water recycling
US9511479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object by projecting shots thereon
TWI680835B (zh) 噴嘴組立體及使用該噴嘴組立體的表面處理方法
CN108290274B (zh) 表面处理装置和表面处理方法
KR101934670B1 (ko) 복합 이온건
JP6627952B2 (ja) 分級機構
KR20040050607A (ko)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KR200308625Y1 (ko) 가네트 자동공급 및 블라스팅 장치
KR20120075900A (ko) 선체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099660B1 (ko) 연마재 이송관을 구비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이송방법
CN106382847B (zh) 一种车载式枪械喷砂设备
KR101278253B1 (ko) 대형 관로 임펠러 블라스팅 시스템
CN210845736U (zh) 一种具有预过滤装置的移动式除尘器
JP2007125676A (ja) 直圧式ブラスト加工における研掃材の連続供給方法及び直圧式ブラスト装置における研掃材の連続供給装置
JP3783876B2 (ja) 負圧吸引ブラスト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101206774B1 (ko) 대형 관로 임펠러 블라스팅 시스템
KR200456188Y1 (ko) 연마제 저장 및 분사장치
KR101583249B1 (ko) 이동형 쇼트 블라스트 장치
USRE23186E (en) Surfac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CN212071627U (zh) 一种具备不停机移动功能的加砂喷砂机
JP7053175B2 (ja) 集塵システム
CN220094267U (zh) 分离系统及喷砂、喷丸机
CN115383635B (zh) 喷砂喷丸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