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771A -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 오디오 시스템과 방법 및고조파발생기 - Google Patents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 오디오 시스템과 방법 및고조파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771A
KR19990028771A KR1019980700070A KR19980700070A KR19990028771A KR 19990028771 A KR19990028771 A KR 19990028771A KR 1019980700070 A KR1019980700070 A KR 1019980700070A KR 19980700070 A KR19980700070 A KR 19980700070A KR 19990028771 A KR19990028771 A KR 1999002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harmonics
harmonic genera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718B1 (ko
Inventor
로날더스 마리아 아르츠
스테파너스 파울러스 스트라에테만스
Original Assignee
엠. 제이. 엠. 반캄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제이. 엠. 반캄,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엠. 제이. 엠. 반캄
Publication of KR1999002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오디오시스템과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밴드가 선택되며, 고조파가 고조파발생기로부터 발생된다. 이 때에, 고조파들은 선택된 주파수밴드에 관련된 오디오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한 부분내에서 검출된 레벨에 의해서 스케일된다. 게다가, 입력신호의 어떤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고조파발생기가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 오디오 시스템과 방법 및 고조파 발생기
서두에 언급한 회로는 EP-A 546 619 호에 게재되어 있다. 기존의 회로에서는,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잘생시키기 위해서, 입력신호의 저주파수 밴드가 선택되며, 고조파 발생기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선택기술은 개선되었다. 기존의 회로에서는, 전파 정류기(full wave rectifier)가 고조파 발생기로 사용되었다. 전파 정류기의 단점은 단지 짝수의 고조파만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과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출력과,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선택 수단과,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선택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고조파 발생기와, 입력신호와 발생된 고조파의 합을 출력에 공급하기 위해서, 고조파 발생기와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가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회로로 구성된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방법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오디오 신호와 발생된 고조파의 합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저주파특성을 개선시키는 기존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조파 발생기의 한 실시에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6은 도5의 회로에서 사용되는 파형발생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의 회로에서 사용되는 파형발생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0" 교차 검출기에 인가된 사인파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된 여러 가지 파형 a.....h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오디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대에, 어떤 요구된 고조파를 선택하기 위해서, 어떠한 비선형 장치가 고조파 발생기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회로는, 선택된 주파수 밴드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한 부분의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고조파들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 수단(scaling means)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파 정류기가만이 기본 고조파와 고정된 진폭관계를 가지고 있는 짝수 고조파(even harmonics)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해결해주고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어떠한 비선형 장치도 고조파 발생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짝수와 홀수의 고조파를 함성한 어떠한 형태와 기본 고조파에 대한 진폭관계를 자유롭게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나, 고조파 발생기를 자유롭게 사용하게 되면, 높은 입력레벨에 대응되는 낮은 입력신호들에서 서로 다른 낮은 주파수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다이오드와 같은 비선형장치에서는, 발생된 고조파가 기본 고조파의 진폭과 비선형 관계가 있는 진폭들을 가지고 있으며, 전파 정류기에 의해서 발생된 고조파의 진폭은 기본 고조파의 진폭에 대해서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발생된 고조파들은 알맞게 스케일이 될 수 있으며, 그로인해, 낮은 주파수의 발생 없이도 고조파 발생기와 같은 어떤 비선형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스들을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이 고대역 전달기능을 가지고 있는 필터를 통해서, 가산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산수단에 공급된 신호들의 스펙트럼내에서는 오버랩(overlap)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주파수 범위들의 오버랩 대문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주파수들의 불필요하고, 비정상적인 부스팅(unnatural boosting)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선택수단의 출력에 검출수단의 입력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발생된 고조파의 진폭은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신호의 진폭에 직접 관련이 되어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선택수단은 고조파 발생기를 위한 신호를 선택하는 기능과 레벨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좀 더 경제적인 회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상기 회로는 입력과 가산수단의 다른 입력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최소한 한 개의 다른 신호단(signal stage)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단은,
선택수단의 선택된 신호에 가까이 있는 주파수 내에 있는 입력신호의 한 부분을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선택 수단과,
상기 다른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른 선택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고조파 발생기와,
상기 다른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선택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검출수단과,
상기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고조파 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고조파를 스케일링하는 다른 스케일링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조파 발생을 위해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병렬 경로들을 제공함으로써, 상호변조효과가 감소된다. 이러한 상호변조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강한 저주파수들이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에 존재한다면, 발생된다. 선택수단의 통과대역을 충분히 작게 선택하고, 인접한 통과대역들을 가지고 있는 각각의 선택수단에 의해서 공급된 다수의 고조파 발생기들을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강한 저주파수들이 고조파 발생기들 중 한 발생기의 입력에 존재할 가능성은 감소된다. 각각의 신호경로에, 각각의 검출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각 경로에서 발생된 고조파들은 고조파들이 발생된 신호성분에만 관련된 진폭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좀 더 정상적인 소리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고조파 발생기는 다수의 병렬로 연결된 증배기들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증배기는 두 개의 입력들과 출력을 가지고 있다.
증배기들 중 제1 증배기의 입력들은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증배기들의 각각의 나머지 입력은 고조파 발생기의 상기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증배기의 출력은 계수를 통해서, 다른 가산 수단의 각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은 계수를 통해서, 가산 수단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산수단은 일정한 값을 수신하며, 가산수단의 출력은 발생된 고조파를 공급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고조파 발생기가 만들어진다. 증배기들의 수와 계수 값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롭게 결정된 진폭을 가지고 있는 임의의 갯수의 고조파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고조파 발생기는 "0"점 교차(zero crossing) 검출기와, 검출된 "0"점 교차에 응답하여, 파형을 발생시키는 파형발생기로 구성되어 있다. 발생된 파형의 진폭은 검출수단에 의해 공급된 레벨에 의해서 제어된다. 고조파 발생기를 "0"점 교차 발생기와, 파형발생수단으로 분리함으로써, 검출된 "0"점 교차에 근거하여, 고정된 진폭들을 가지고 있는 고조파들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맞은 파형을 선택함으로써, 고조파의 진폭들과 갯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출된 레벨로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발생된 고조파들은 오디오신호에 적응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파형 발생기는 검출수단에 의해 제공된 레벨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소스와 용량과, 검출된 "0"점 교차에 응답하여, 용량을 충전과 방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형발생기의 간단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며, 최소한 한 개의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는, 선택수단의 선택된 주파수 밴드가 스피커의 고대역 특성과 오버래핑(overlapping)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스피커가 정확하게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들만이 회로에 의해서 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회로는 스피커의 저주파수 단점들을 보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선택된 주파수 밴드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한 부분의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고조파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입력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고조파 발생기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상기 고조파 발생기는 다수의 병렬로 연결된 증배기들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증배기는 두 개의 입력들과 출력을 가지고 있다. 증배기들 중 제1 증배기의 입력들은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증배기들의 각각의 나머지 입력은 고조파 발생기의 상기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증배기의 출력은 계수를 통해서, 다른 가산 수단의 각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은 계수를 통해서, 가산 수단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산수단은 일정한 값을 수신하며, 가산수단의 출력은 발생된 고조파를 공급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고조파 발생기가 만들어진다. 증배기들의 수와 계수 값들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진폭들을 가지고 있는 임의의 갯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입력신호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고조파 발생기를 제공하고 있다. 고조파 발생기에 인가된 입력신호내에서 "0"점 교차점들을 검출하는 '0"점 교차 검출기와, 검출된 "0"점 교차에 응답하여, 파형을 발생시키는 파형발생기로 구성되어 있다. 발생된 파형의 진폭은 입력신호의 레벨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것은 고조파 발생기를 간단히 실현시킨 예이다. 검출된 "0"점 교차에 응답하여, 파형을 발생시킴으로써, 고정된 진폭들을 가지고 있는 고조파들이 발생된다. 알발생된 고조파의 스케일링은 입력신호의 레벨로 고조파의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이, 고조파의 진폭들은 입력신호의 레벨에 비례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알맞은 파형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고조파들이 발생될 수 있다.
고조파 발생기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 발생기는 검출수단에 의해 제공된 레벨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소스와 용량과, 검출된 "0"점 교차에 응답하여, 용량을 충전과 방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0'점 교차에 응답하여, 원하는 파형을 발생시키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고조파 발생기들은 기존의 회로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이미 상술한 이러한 회로 또는 회로들로부터 독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저주파 특성을 개선시키는 기존의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회로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10)과,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출력(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는 밴드 패스 필터(24)의 오디오 신호와 출력신호의 합을 출력(120에 공급하기 위해서, 입력(10)에 연결된 선택수단(20)과, 선택수단(20)에 연결된 고조파 발생기(22)와, 고조파 발생기(22)에 연겯된 밴드 패스 필터(24)와, 입력(10)에 연결된 가산수단(26)과,밴드 패스필터(24)로 구성되어 있다. EP-A 546,619호에서는 선택수단(20)은 저대역 필터이며, 그것은 또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한 부분을 선택하는 밴드 패스 필터가 될 수 있다. 밴드 패스 필터(24)는 남아 있는 저주파와 고주파 성분들을 제거한다. 그러나, 회로에서는 필수 요소는 아니다. 전파 정류기는 입력에 인가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고조파 발생기(22)로서 사용된다. 오디오 신호에 이러한 고조파를 포함시킴으로써, 오디오신호내에 존재하는 더 많은 낮은 주파수의 성분을 임프레스(impress)시킴으로써, 저주파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EP-A 546,619호에 게재된 고조파 발생기(22)는 짝수의 고조파만을 발생한다. 전파 정류기를 짝수가 아닌 고조파를 발생하는 다른 비선형 장치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이오드는 이러한 비선형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증가된 저주파 성분의 임프레션(impression)은 오디오 신호의 레벨에 달려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회로의 블록도이다. 도1과 비교해 볼 때에, 다음의 변경사항들이 존재한다.
밴드패스필터(24)가 삭제 되었다.
선택수단(20)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을 가지고 있는 검출수단(28)이 추가 되었다.
선택수단(20)과 고조파 발생기(22)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선택수단(20)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과, 검출수단(32)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 그리고, 고조파 발생기(22)에 연결된 출력을 가지고 있는 분배기(30)가 제공되어 있다.
고조파 발생기(22)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과, 검출수단(28)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입력과, 가산수단(26)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을 가지고 있는 증배기(32)가 고조파 발생기(22)와 가산수단(26)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검출수단(28)은 선택수단(20)에 의해서 선택된 주파수 밴드와 관련이 있거나 또는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한 부분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기이다. 검출된 레벨은 진폭레벨, 전력레벨, 피크레벨, 평균레벨이 될 수 있다. 분배기(30)는 증배기(32)와 함께, 검출수단(28)에 의해서 공급된 검출된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고조파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 수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검출수단과 스케일링 수단을 포함시킴으로써, 상술한 저주파수 임프레션의 레벨 의존도는 사실상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레벨 의존도는 고조파 발생기(22)의 비선형특성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조파 발생기가 입력신호의 제2 와 제3의 고조파를 발생한다면, 이것은 제2 고조파의 진폭은 제2 전력에 대한 입력신호의 진폭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고조파에 대해서는, 이러한 의존도는 제3 전력과 관련된다. 이것은 제2 와 제3 고조파의 진폭들의 비율은 일정하지 않으며, 입력신호의 진폭의 함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낮은 신호레벨에서는, 발생된 고조파의 진폭들은 높은 신호레벨에서의 진폭과는 달리, 기본 고조파와는 다른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것은 저주파수 임프레션이 입력신호의 진폭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2의 회로에서는, 고조파 발생기(22)에 대한 입력신호가 정규화된다(normailized). 즉, 사실상 진폭과는 무관하게 된다. 이것은 검출수단(28)에 의해서 공급된 검출된 레벨로 선택수단(20)의 출력신호를 분배함으로써, 분배기(30)내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고조파 발생기(22)의 입력신호는 정규화되어 레벨과는 무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발생된 고조파의 진폭들은 사실상 동일한 일정비를 항상 가지게 될 것이다. 증배기(32)에서는, 고조파 발생기(22)에 의해서 공급된 고조파들이 검출수단(28)에 의해서 공급된 검출된 레벨에 의해 증배된다. 발생된 고조파들이 입력신호의 진폭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면, 발생된 고조파들은 오디오 신호와 알맞은 진폭관계를 가지게 된다. 고조파 발생기(22)에 인가된 입력신호의 레벨은 이러한 스케일링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오디오신호의 최소한 한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직접 관련이 있는 레벨에 응답하여, 고조파들이 스케일 되기 때문에, 이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이것은 검출수단(28)의 입력이 선택수단(20)의 출력 대신에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는 어떤 비선형장치를 고조파 발생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고조파의 진폭들의 비는 입력신호 레벨과는 항상 무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은 고조파 발생기(22)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 고조파 발생기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적절한 진폭과 원하는 고조파(홀수/짝수)를 발생시키며, 더 이상 레벨에 의존하는 저주파 특성이나 또는 (전파 정류기에 의해서 발생된) 고조파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조파 발생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고조파 발생기(22)는 입력(210), 출력(211), 계수들(221....225), 각각 두 개의 입력들과 한 개의 출력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병렬로 연결된 증배기들(201..203)로 구성되어 있다. 각 증배기의 입력은 고조파 발생기(220의 입력(210)에 연결되어 있다. 증배기(210)의 다른 입력은 입력(210)에 연결되어 있다. 증배기들(202,203)의 나머지 입력들은 각각 증배기들(201,202)의 출력들에 연결되어 있다. 증배기(203..201)의 각 출력은 각각의 계수(221...223)들을 통해 가산기(203)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210)은 또한 계수(224)를 통해 가산기(204)에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일정한 값 "1"은 계수(225)를 통해 가산기(204)에 연결되어 있다. C5의 값은 DC가 가산기(204)의 출력에 나타나도록 선택되어진다. 계수들(221...225)은 각각의 입력 신호들을 각각의 값들(C1..C5)로 증배시킨다. 계수들(C1...C5)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1과 제3고조파의 어떠한 혼합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더 많거나 적은 고조파들이 요구된다면, 증배기들과 계수들의 수는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계수들(C1...C5)을 조정가능하게 하면, 발생된 고조파들은 요구된 저주파효과를 얻기 위해서, 크기와 수가 조절되거나 또는 회로에 연결된 스피커의 저주파수 결점들에 따라 조절된다. 도시된 고조파 발생기는 발생된 고조파의 수와 진폭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와 비교해보면, 효과와 목적면에서 볼 때에, 분배기(30)는 고조파 발생기(22)의 입력신호를 정규화 시키기 위해서, 자동이득 제어회로(34)로 대체될 수 있다. 검출수단(28)의 출력은 증배기(32)의 입력에만 연결되어 있다. 자동이득 제어회로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의 회로는 입력(10)에 연결된 선택수단(20), 상기 선택수단(20)에 연결된 고조파 발생기(22), 선택수단(20)에 연결된 검출수단(28), 입력(10)에 연결된 가산수단(26)과 입력(12)에 합게신호를 공급하는 고조파 발생기(22)로 구성되어 있다. 고조파발생기(22)는 선택수단(20)에 의해서 공급된 신호내에 존재하는 "0"점 교차점을 검출하는 "0"점 교차검출기(240)와, 검출된 "0"점 교차점을 근거로하여, 파형을 발생시키는 파형 발생기(241)를 가지고 있다. 파형은 검출수단(28)에 의해서 공급된 검출레벨과 관련된 진폭을 가지고 있다. 파형의 진폭은 검출된 레벨과 비례하도록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파형 발생기(241)는 검출수단(28)과, "0"점 교차 검출기(240)에 연결되어 있다. 검출된 "0"점 교차점에 응답하여, 파형을 발생시킴으로써, 미리 정해진 일정한 진폭을 가지고 있는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적당한 파형을 선택함으로써, 어느 고조파가 발생되고, 안되는지, 그리고, 어떤 진폭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의 파형은 단지 소정의 크기를 가진 홀수의 고조파로만 되어 있다. 반면에, 삼각파형은 단지 홀수 고조파로만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톱니파형은 홀수와 짝수의 고조파 들을 가지고 있다. 검출된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파형을 스케일링 함으로써, 발생된 고조파들은 오디오신호에 적합하다. 종래의 "0"점 교차 검출기는 "0"점 교차 검출기(240), 즉 리미터(limiter)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리미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리미터의 출력신호는 두 개의 "0"점 교차점을 가진 한 주기 형태의 정사각형 파가 된다. 이러한 출력신호 자체는 파형발생기(241)를 통해 출력신호를 통과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고조파 발생기(22)의 출력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블록(241)이 "0"점 교차 검출기(240)의 출력신호의 진폭을 검출된 레벨에 맞추기 위해서, 간단한 증배기로 대체될 수 있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회로에서 사용되는 파형발생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형발생기는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저항기(401), PNP트랜지스터(402)의 주요 전류경로, 스위치 트랜지스터(403)와 커패시터(404)로 구성되어 있다. 커패시터(404)에 병렬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은 제2 스위치 트랜지스터(405)이다. 트랜지스터(402)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전압 소스(406)에 의해 바이어스 된다. 트랜지스터들(403, 405)은 스위치들로서 동작하며, 각각 신호CH, RST에 의해서 동작된다. 전압소스는 Vb+Vx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Vb는 바이어스 전압이며, Vx는 검출수단(28)에 의해서 공급된 검출된 레벨에 관련된 전압이다.
저항기(401), 트랜지스터(402)와 전압소스(406)는 전류소스를 구성하며, 트랜지스터(402)의 주요전류경로를 통해서 검출된 레벨에 비례하는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403)가 충전신호(CH)에 의해서, 동작될 때에, 커패시터(401)는 트랜지스터(402)에 의해서 공급된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트랜지스터(403)가 동작중이 아닐 때에는, 커패시터(404)의 충전은 멈추게 된다. 트랜지스터(405)를 리셋신호(RST)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커패시터(404)는 곧 방전된다. 신호들(CH,RST)은 "0"점 교차 검출기(240)로부터 도출된다.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0"점 교차 검출기(240)의 입력신호의 고조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출된 레벨과 관련된 진폭을 가지고 있는 파형을 가지고 있다. 도8을 설명하면, 신호(CH,RST)와 전압(Vx)은 발생된 파형의 모양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7은 도5의 회로에 사용되는 파형발생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형은 양의 입력이 접지되어 있는 연산증폭기(414)로 구성되어 있다. 저항기(412), 커패시터(413)와 스위치 트랜지스터(415)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연산증폭기(414)의 음의 입력을 출력에 결합시키고 있다. 전압소스(409)는 스위칭 트랜지스터(410)와 저항기(411)를 통해 연산증폭기(414)의 음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410)는 충전신호(CH)를 수신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415)는 리셋신호(RST)를 수신한다. 전압소스(409)는 Vx의 값을 가지고 있다. 트랜지스터(410)를 충전신호(CH)로 구동시키게 되면, 커패시터(413)는 검출된 레벨과 비례하는 전류로 충전되며, 트랜지스터(413)가 구동되자마자, 커패시터(413)는 곧 방전된다. 도7의 회로는 도6의 회로와 비슷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연산증폭기의 출력은 검출된 레벨에 대응하는 진폭을 가지고 있는 발생된 고조파를 공급한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0"점 교차 검출기에 인가된 사이파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된 여러 가지의 파형들(a....h)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굵은 선은 사인입력을 나타내고, 밑줄친 부분은 파형발생기(241)에 의해서 발생된 특색있는 파형들을 도시하고 있다. t0...t4는입력신호가 "0"을 통과하는 순간들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파형들이 다음의 조건에 의해 발생된다.
- 리셋신호(RST)를 이용하여, 커패시터 전압을 리세팅하기 위한 다른 시간들
- 충전신호(CH)를 이용하여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다른 시간들.
- 전압(Vx)에 관련된 전류의 진폭
Vx는 예를 들어, "0"점 교차 검출기에 공급된 입력신호에 비례하거나, (이 경우에서는, 검출수단(28)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진폭만이 다르다) 또는 상기 입력신호의 절대값에 비례하도록 선택된다.(검출수단(28)은 정류기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변화된 종류들도 가능하다. 도8의 파형들(a...h)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신호(CH)는 항상 구동되어 있다.이것은 이 경우에는, 트랜지스터들(403,410)이 단락회로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8의 파형들(a,b)을 위해서, 리셋펄스(RST)가 제2(t2,t4)와 제4(t4) "0"점 교차점에서 발생한다. 도8e를 위해서는, 리셋펄스가 "0"점 교차점마다, 발생된다. 이러한 리셋펄스(RST)는 입력신호가 영점을 통과하는 순간에 발생된 단지 짧은 펄스이다. 도8의 파형들(c,d,f)에 대해서는, 어떤 리셋신호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들에서는, 트랜지스터들(405,415)이 삭제될 수도 있다. 파형(h)에 대해서는, 리셋펄스가 하나 걸러씩 있는 영점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리셋펄스(RST)는 다음의 영점 또는 충전신호(CH)가 제2의 영점에서 동작이 안될 때 까지, 지속되며, 다음의 영점 또는 그 두 개가 동작이 안될 때까지 지속된다. 후자의 경우에서, 충전신호(CH)는 반전된(inverted) 리셋신호(RST)이다. 파형들(a,b,g,h)에 대해서는, 전압(Vx)이 "0"점 교차 검출기(240)에 공급된 입력신호의 절대값 함수이다. 파형들(c,d,e)에 대해서는, 전압(Vx)이 부호를 포함하고 있는 입력신호의 값에 비례한다. 파형들(e,c)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파형(c)에 대해서는, 리셋신호가 동작되지 않으며, 파형(e)에 대해서는, 리셋신호가 각 "0"점 교차점(t0...t4)에서 동작된다. 파형(h)에 대해서는, 커패시터의 충전이 단지 입력신호의 동일한 위상동안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Vx가 입력신호의 값또는 절대값의 함수인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8의 파형(d)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 도8의 파형(c) 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도8의 파형(c)은 커패시터에서 관찰된다. 이러한 관찰된 값은 입력신호의 부호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측정된 값을 입력신호의 부호를 나타내는 신호만큼 증배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신호는 비역전 리미터의 출력에서 직접 얻어진다. 상기 리미터는 "0"점 교차 검출기(240)로서 동작한다. 도8의 파형(f)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커패시터의 충전전류는 각각의 제2 "0"점 교차점에서 부호가 반대로 된다. 리셋신호(RST)는 요구되지 않는다. 충전전류의 방향을 표시하는 신호는 입력신호의 부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인자(2)로 나누어줌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리셋신호(RST)를 위한 이미 기술한 펄스들의 발생은 기술자들이 충분히 알 수 있으며, 더 이상 설명될 필요가 없다. 도8의 파형들(a....h)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회로는 입력(10)에 연결된 고대역 필터(21), 입력(10)에 연결된 다수의 밴드패스필터들(20A...20N), 밴드패스필터들(20A...20N)에 연결된 다수의 블록들(23A...23N), 밴드패스필터들(20A...20N)에 연결된 다른 밴드패스필터들(24A...24N)로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다른 밴드패스필터들(24A... 24N)과 고대역필터들(21)의 출력들은 가산수단(26)에 연결되어 있다. 블록들(23A....23N)은 스케일링 수단과 고조파 발생기로 구성되어 있다. 에를 들면, 한 개의 블록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들(22,28)을 구성하며,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들(30,22,32,28)을 구성한다.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들(34,22,32,28)도 구성하게 된다. 밴드패스필터들(20A...20N)은 서로 근접해 있는 밴드패스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밴드패스필터(20A)는 20-30Hz로부터 주파수를 선택하며, 밴드패스필터(20B)는 30-40Hz로부터 주파수들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밴드패스필터들(20A...20N)에 의해서 선택된 각각의 작은 주파수에 대해서는, 고조파들이 발생된다. 작은 밴드들로 나눌 때의 장점은 상호변조 왜곡이 고조파의 발생동안에 덜 일어난다는 것이다. 분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한 개 이상의 세기가 큰 저주파수 성분이 고조파 발생기의 입력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고조파 발생기(22)는 이러한 저주파수 성분들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게 되며, 또한 혼합성분들을 만들어낸다. 이 때에, 저 주파수성분들은 서로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성분들로부터 발생된 고조파는 최초의 오디오신호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왜곡으로 인지된다. 스펙트럼을 작은 밴드로 분리하는 과정과 독립된 고조파 발생기들을 각각의 밴드에 할당하는 과정은 사실상 상호변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결합된 밴드패스필터들(20A...20N)은 오디오신호의 저대역 스펙트럼의 한 부분을 선택한다. 고대역필터(21)는 상기 밴드패스필터(20A...20N)에 의해서 선택되지 않은 오디오신호의 스펙트럼의 고대역부분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고대역 필터(21)와 다수의 밴드패스필터들(20A...20N)의 주파수 밴드들 사이에서는 오버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12)에 있는 출력신호내의 저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행해지는 오버-엠파시스(over-emphasis)를 방지한다. 다른 밴드패스필터들(24A...24N)은 도1에 도시된 밴드패스필터(24)와 그 기능면에서 살펴볼 때에, 비슷하다. 필터들(24A...24N)중 한 필터의 밴드패스 특성은 필터들(20A...20N)중에서 선택된 관련필터의 밴드패스 특성에 대응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면, 필터(20A)가 20-30Hz에 이르는 밴드패스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에, 필터(24A)의 특성은 20-120Hz범위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필터(24A)의 상부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는 필터(20A)의 상부 차단 주차수의 몇 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들의 하부 차단주파수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필터들(20A...20N)의 하부 차단 주파수들이 필터들(20A...20N)의 하부 차단주파수들과 동일하게 되지 않아도 된다. 동일한 검출 레벨에 대응하여, 각각의 블록(23A...23N)내의 고조파들을 스케일하기 위해서, 단지 한 개의 검출수단(28)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각각의 블록에 대해, 독립적인검출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소개된 실시예들은 오디오 신호내에 존재하는 저주파수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오디오신호의 한 주파수 밴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방법은 이러한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들을 발생시키며, 그리고, 오디오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한 부분의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고조파들을 스케일링하며, 오디오신호와 고조파들의 합을 출력신호로서 공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장점들을 가지고 있는 방법들이 실현되어져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시스템에 대해서는 특히 유익하다. 상기 재생시스템은 작은 스피커들, 휴대용 라디오들, CD플레이어들, 카세트 레코더들 또는 TV세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를 추가시킴으로써, 저주파 특성들은 개선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오디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 시스템은 저주파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회로(61)에 연결된 신호소스(60)와, 증폭기(62)에 연결된 회로(61), 스피커(63)에 연결된 증폭기(62)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소스(60)는 CD, 카세트 또는 수신된 신호 또는 어떤 다른 오디오 소스로부터 신호를 도출한다. 회로(61)는 도2,4,5 또는 9에 있는 회로들 중의 어떤 회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고대역 특성은 나타내는 스피커(63)와 함께 사용될 때에 특히 유용하다. 이것은 저주파수들이 스피커(63)에 의해서 알맞게 재생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로(62)의 선택수단(20)의 주파수 밴드는 스피커(63)의 고대역 특성과 오버랩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피커(63)에 의해서 감쇄된 주파수 또는 스피커(63)에 의해서 만들어진 음향신호내에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들의 고조파들이 발생된다. 오디오 수단은 휴대용 라디오 또는 CD 플레이어, 또는 저주파수 재생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 스피커들로 구성된 어떤 오디오 장치 및 내장된 스피커들을 가지고 있는 TV세트 또는 멀티미디어 PC또는 전화기들이 될 수 있다. 회로(61)와 증폭기(62)의 순서는 원한다면 바뀌어질 수 있다. 게다가, 오디오 시스템은 본 발명과는 무관하며, 중요하지 않은 다른 음성효과들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밴드패스필터(24)는 도1과 같이 도2,4,6내에 있는 회로들내에서 가산수단(26)전에 포함될 수도 있다. 게다가, 도1,2,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산수단(26)에 입력(10)을 직접 연결하는 대신에, 도9와 같이 고대역필터가 삽입될 수도 있다. 게다가, 고조파 발생기들은 주어진 보기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다이오드들과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다른 비선형 장치들은 고조파들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파형 발생기는 도8에 도시된 파형들(a...h)을 발생시키는데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기술자들은 검출된 "0"점 교차점에 근거하여, 다른 간단한 파형 발생기들을 가지고, 정사각형 또는 다른 복잡한 파형들과 같은 다른 파형들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도3과 도5에 도시된 고조파 발생기는 EP-A 546,619호에 기재된 회로 내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이러한 회로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출력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과,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밴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에 연결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선택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고조파 발생기와,
    입력신호와 발생된 고조파들의 합을 출력에 공급하기 위해서, 고조파 발생기 뿐만아니라,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가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있어서,
    선택된 주파수밴드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한 부분의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고조파들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저대역 전달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력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들보다 더 높은 주파수들을 선택하기 위해서, 고대역 전달기능을 가지고 있는 필터를 통해서 가산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3.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검출수단의 입력은 선택수단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입력과 가산수단의 다른 입력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최소한 한 개의 다른 단(stage)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다른 단은, 선택수단의 선택된 신호에 가까이 있는 주파수 내의 입력신호의 한 부분을 선택하는 선택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선택 수단과,
    상기 다른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다른 선택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고조파 발생기와,
    상기 다른 선택수단의 선택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서, 다른 선택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검출수단과,
    상기 레벨에 응답하여, 다른 고조파발생기의 발생된 고조파를 스케일링하는 다른 스케일링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5. 제1, 2, 3, 또는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조파 발생기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증배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증배기는 두 개의 입력들과 한 개의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증배기들 중에서 제1 증배기의 입력은 고조파발생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증배기들의 나머지 입력들은 고조파발생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고, 증배기들의 각각의 출력은 계수를 통해 다른 가산수단의 각각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고조파발생기의 입력은 계수를 통해가산수단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산수단은 일정한 값을 수신하며, 가산수간의 출력은 발생된 고조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6. 제1, 2, 3, 또는 제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조파발생기는 "0"점 교차 검출기와 상기 "0"점 교차점에 응답하여 파형을 발생시키는 파형발생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생된 파형의 진폭은 검출수단에 의해서 공급된 레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7. 제6 항에 있어서,
    파형발생기는 검출수단에 의해 공급된 레벨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소스와 용량, 그리고, 상기 검출된 "0"점 교차점에 응답하여, 용량을 충전 및 방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8.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제1, 2, 3, 4, 5, 6, 또는 제7항에 기재된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고대역 특성을 가지고 있는 스피커를 가지고 있으며, 선택수단의 선택된 주파수 밴드는 스피커의 고대역특성과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오디오시스템.
  10. 오디오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신호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단계와,
    오디오신호와 발생된 고조파의 합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주파수밴드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신호의 스펙트럼의 최소한 부분의 레벨에 응답하여, 발생된 고조파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1. 입력신호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고조파발생기에 있어서,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증배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증배기는 두 개의 입력들과 한 개의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증배기들 중에서 제1 증배기의 입력은 고조파발생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증배기들의 나머지 입력들은 고조파발생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고, 증배기들의 각각의 출력은 계수를 통해 다른 가산수단의 각각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고조파발생기의 입력은 계수를 통해가산수단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산수단은 일정한 값을 수신하며, 가산수간의 출력은 발생된 고조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조파발생기.
  12. 입력신호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고조파발생기에 있어서,
    고조파발생기에 인가된 입력신호내에 있는 "0"점 교차점을 검출하는 "0"점 교차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0"점 교차점에 응답하여 파형을 발생시키는 파형발생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생된 파형의 진폭은 검출수단에 의해서 공급된 레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조파발생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발생기는 검출수단에 의해 공급된 레벨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소스와 용량, 그리고, 상기 검출된 "0"점 교차점에 응답하여, 용량을 충전 및 방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조파발생기.
KR10-1998-0700070A 1996-05-08 1997-05-05 오디오신호처리회로및그방법과오디오시스템 KR100495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1263 1996-05-08
EP96201263.9 1996-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771A true KR19990028771A (ko) 1999-04-15
KR100495718B1 KR100495718B1 (ko) 2005-10-24

Family

ID=822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070A KR100495718B1 (ko) 1996-05-08 1997-05-05 오디오신호처리회로및그방법과오디오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111960A (ko)
EP (1) EP0843951B1 (ko)
JP (1) JP3658412B2 (ko)
KR (1) KR100495718B1 (ko)
CN (1) CN1149897C (ko)
DE (1) DE69716216T2 (ko)
MY (1) MY118284A (ko)
TW (1) TW343417B (ko)
WO (1) WO1997042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0359B1 (en) * 1992-04-27 2002-12-03 David A. Gibs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sual images to mix sound
US20050259833A1 (en) * 1993-02-23 2005-11-24 Scarpino Frank A Frequency responses,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audio signals
US6335973B1 (en) * 1996-01-11 2002-01-0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larity of audio systems
TW343417B (en) * 1996-05-08 1998-10-21 Philips Eloctronics N V Circuit, audio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and a harmonics generator
US6792119B1 (en) * 1997-05-05 2004-09-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system
WO1999026454A1 (en) * 1997-11-17 1999-05-27 Srs Labs, Inc. Low-frequency audio simulation system
NZ329119A (en) * 1997-11-20 1998-12-23 Ind Res Ltd Guitar preamplifier with controllable distortion, input signals split into components distorted by non-linear circuits
KR100524056B1 (ko) * 1998-03-09 200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2웨이 스피커 시스템
US6424796B2 (en) * 1998-07-21 2002-07-23 Gateway, Inc. Optical storage media drive adapter for stand-alone use
US6285767B1 (en) * 1998-09-04 2001-09-04 Srs Labs, Inc. Low-frequency audio enhancement system
DE69919506T3 (de) * 1998-09-08 2008-06-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ittel zur hervorhebung der bassfrequenz in einem audiosystem
WO2000039786A1 (fr) * 1998-12-24 2000-07-06 Korg Incorporated Procede et appareil de production d'effet sonore et support de stockage d'un programme
KR20010043780A (ko) * 1999-03-24 2001-05-25 요트.게.아. 롤페즈 오디오 시스템 및 대역 저지 필터
DE19928420A1 (de) 1999-06-23 2000-12-28 Micronas Gmbh Verfahren zur Verarbeitung eines Audiosignals
DE19955696A1 (de) * 1999-11-18 2001-06-13 Micronas G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Oberwellen in einem Audiosignal
EP1168296B1 (en) 2000-05-30 2004-10-27 Yamaha Corporation Waveform signal generation method with pseudo low tone synthesis
US6728721B1 (en) * 2000-06-23 2004-04-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user's state within a database table
US7136493B2 (en) * 2000-06-28 2006-11-14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Sub-harmonic generator and stereo expansion processor
DE50112650D1 (de) * 2001-09-21 2007-08-02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basswiedergabe von audiosignalen in elektroakustischen wandlern
US20030216907A1 (en) * 2002-05-14 2003-11-20 Acoustic Technologies, Inc. Enhancing the aural perception of speech
US7242779B2 (en) * 2002-05-30 2007-07-10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harmonic generation, stereo expansion and distortion
US7295809B2 (en) * 2002-07-19 2007-11-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with bass enhancement
JP4286510B2 (ja) * 2002-09-09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AU2003269366A1 (en) * 2002-11-12 2004-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udio components
EP1473965A2 (en) * 2003-04-17 2004-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oustic signal-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1618559A1 (en) * 2003-04-24 2006-01-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spectral enhancement employing compression and expansion
ATE357121T1 (de) * 2003-05-28 2007-04-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ls lautsprecher dienender anzeigeschirm
CN1853442A (zh) * 2003-09-16 2006-10-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音频频率范围的自适应
WO2005055645A1 (en) * 2003-12-01 2005-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lective audio signal enhancement
ATE392116T1 (de) * 2004-01-13 2008-04-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diosignal-verbesserung
NZ532572A (en) * 2004-04-26 2006-10-27 Phitek Systems Ltd Audio signal processing for generating apparent bass through harmonics
KR100619066B1 (ko) * 2005-01-14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저음역 강화 방법 및 장치
US7119588B2 (en) * 2005-01-28 2006-10-10 James Wayne Kelley Circuit for multiplying continuously varying signals
US7676043B1 (en) * 2005-02-28 2010-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dio bandwidth expansion
EP1943874A1 (en) * 2005-10-24 2008-07-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audio data processing
CN1801611B (zh) * 2005-12-20 2010-05-05 深圳兰光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低音增效处理的方法和装置
US7847176B2 (en) 2006-03-30 2010-12-07 Pioneer Corpor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harmonic sound
JP4661667B2 (ja) * 2006-04-11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085412A (ja) 2006-09-26 2008-04-10 Sony Corp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4666229B2 (ja) * 2006-10-18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4923939B2 (ja) 2006-10-18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101329308B1 (ko) * 2006-11-22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성분 보강 방법 및 그 장치, 오디오신호의 기본 주파수 계산 방법 및 그 장치
WO2008078227A1 (en) * 2006-12-21 2008-07-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US8050434B1 (en) 2006-12-21 2011-11-01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KR101310231B1 (ko) * 2007-01-18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음 증강 장치 및 방법
JP2008263583A (ja) * 2007-03-16 2008-10-30 Sony Corp 低域増強方法、低域増強回路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US7991171B1 (en) 2007-04-13 2011-08-02 Wheatst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in multiple frequency bands
JP5046786B2 (ja) * 2007-08-10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擬似重低音生成装置
JP5286714B2 (ja) 2007-08-23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財布装置、電子バリュー利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18339B2 (ja) * 2007-08-23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03433B2 (ja) 2007-08-23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財布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232700B1 (en) 2007-12-21 2014-08-13 Dts Llc System for adjusting perceived loudness of audio signals
CN102007777B (zh) * 2008-04-09 2014-08-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声音换能器的驱动信号的生成
FR2930672B1 (fr) * 2008-04-29 2011-06-24 Parrot Procede et systeme de reconstitution de basses frequences dans un signal audio
CN101714861B (zh) * 2008-10-03 2012-05-23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谐波产生装置及其产生方法
US8625813B2 (en) * 2008-12-23 2014-01-07 Stmicroelectronics, Inc. Asymmetric polynomial psychoacoustic bass enhancement
JP5168208B2 (ja) 2009-03-30 2013-03-21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
US9299362B2 (en) * 2009-06-29 2016-03-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WO2011019339A1 (en) * 2009-08-11 2011-02-17 Srs Labs, Inc. System for increasing perceived loudness of speakers
US8538042B2 (en) 2009-08-11 2013-09-17 Dts Llc System for increasing perceived loudness of speakers
JP5391992B2 (ja) * 2009-10-16 2014-01-15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5341128B2 (ja) * 2010-04-08 2013-11-13 ジーエヌ リザウンド エー/エス 補聴器における安定性の改善
EP2461553B1 (en) * 2010-12-01 2015-05-27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accessory
JP5707963B2 (ja) * 2011-01-20 2015-04-30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アンプ
FR2982404B1 (fr) * 2011-11-07 2014-01-03 Arkamys Procede de reduction de vibrations parasites d'un environnement d'un haut-parleur permettant de conserver la perception des basses frequences du signal a diffuser et dispositif de traitement associe
US9008333B2 (en) * 2011-11-29 2015-04-14 Quilter Labs, LLC Guitar amplifier
PL2798737T3 (pl) 2011-12-27 2019-05-31 Dts Inc System wzbogacania niskich tonów
US9312829B2 (en) 2012-04-12 2016-04-12 Dts Llc System for adjusting loudness of audio signals in real time
US9247342B2 (en) 2013-05-14 2016-01-26 James J. Croft, III Loudspeaker enclosure system with signal processor for enhanced perception of low frequency output
TW201445878A (zh) * 2013-05-20 2014-12-01 Chi Mei Comm Systems Inc 音頻處理系統及方法
WO2014190140A1 (en) 2013-05-23 2014-11-27 Alan Kraemer Headphone audio enhancement system
GB201404226D0 (en) * 2014-03-11 2014-04-23 Rolls Royce Plc Fault detection in induction machines
JP6669176B2 (ja) * 2015-12-02 2020-03-18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10382857B1 (en) * 2018-03-28 2019-08-13 Apple Inc. Automatic level control for psychoacoustic bass enhancement
DE102018121309A1 (de) * 2018-08-31 2020-03-05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diosignalverarbeitung
JP7262580B2 (ja) * 2018-11-16 2023-04-21 ディラック、リサーチ、アクチボラグ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における倍音の生成
CN113597774B (zh) * 2019-10-21 2023-06-16 Ask工业有限公司 用于处理音频信号的设备
CH719075A9 (fr) * 2021-10-19 2023-06-30 Vitality Universe Sarl Système et méthode sonores de traitement des acouphènes.
WO2023084470A1 (en) * 2021-11-14 2023-05-19 Heavy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loudness of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114333281B (zh) * 2022-01-05 2023-04-25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模拟控制信号的信号传递链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650A (en) * 1981-11-19 1984-08-07 Rupert Robert E System for converting oral music to instrumental music
US4532848A (en) * 1984-01-09 1985-08-06 Kawai Musical Instrument Mfg. Co., Ltd. Generation of mutation pitches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E4111884A1 (de) * 1991-04-09 1992-10-15 Klippel Wolfgang Schaltungsanordnung zur korrektur des linearen und nichtlinearen uebertragungsverhaltens elektroakustischer wandler
DE69227091T2 (de) * 1991-12-09 1999-05-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chaltung zur Mischung und Verdoppelung von niedrigen Tonfrequenzen
US5388159A (en) * 1991-12-20 1995-02-07 Clarion Co., Ltd. Equalizing circuit for reproduced signals
JPH07231497A (ja) * 1993-12-21 1995-08-29 Victor Co Of Japan Ltd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JPH08237800A (ja) * 1995-02-27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音増強回路
TW343417B (en) * 1996-05-08 1998-10-21 Philips Eloctronics N V Circuit, audio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and a harmonics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38822E1 (en) 2005-10-11
DE69716216T2 (de) 2003-07-10
EP0843951B1 (en) 2002-10-09
MY118284A (en) 2004-09-30
TW343417B (en) 1998-10-21
WO1997042789A1 (en) 1997-11-13
KR100495718B1 (ko) 2005-10-24
JP3658412B2 (ja) 2005-06-08
US6111960A (en) 2000-08-29
JPH11509712A (ja) 1999-08-24
CN1193450A (zh) 1998-09-16
CN1149897C (zh) 2004-05-12
EP0843951A1 (en) 1998-05-27
DE69716216D1 (de)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718B1 (ko) 오디오신호처리회로및그방법과오디오시스템
EP1947903B1 (en) Bass enhancing apparatus and method
US7054455B2 (en) Audio system
US4039753A (en) Singing suppressor device
GB2415116A (en) Delivering more apparent bass through the psychoacoustic perception of bass frequencies
JPS59500039A (ja) 帯域制限通信チヤンネル内の2情報信号の同時送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772279B1 (ko) 음성 신호에서의 고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US4038898A (en) System for producing chorus effect
US20020061109A1 (en) Audio system
US6456718B1 (en) Audio system
EP1675258A1 (en) Three-channel state-variable compressor circuit
WO1999025151A1 (en) Audio system comprising audio signal processing circuit
CA1091163A (en) Sou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10075504A (ko) 과도 회복 보조물을 갖는 증폭기 장치
JPH03504072A (ja) 音調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786840A (ja) 信号処理装置
JPH05127688A (ja) カラオケプレーヤのミキサ回路
JPH0590857A (ja) 音響効果装置
WO2003021764A2 (en) Method and circuit for creating a sub-harmonic of a periodic signal
JPS6350200A (ja) 音声信号減衰装置
JPH0637549A (ja) パワーアンプユニット及びノイズ除去回路
JPH06319060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602807B2 (ja) 音響再生装置
JPS6350199A (ja) 音声信号減衰装置
JPH02125504A (ja) 変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