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554A - 논에 사용되는 고형제제와 그 시용(施用)방법 - Google Patents

논에 사용되는 고형제제와 그 시용(施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554A
KR19990028554A KR1019970709874A KR19970709874A KR19990028554A KR 19990028554 A KR19990028554 A KR 19990028554A KR 1019970709874 A KR1019970709874 A KR 1019970709874A KR 19970709874 A KR19970709874 A KR 19970709874A KR 19990028554 A KR19990028554 A KR 1999002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solid preparation
water
paddy fields
pa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마쓰모토
히로가즈 가마타니
도시유키 고카부
마사토시 바바
쓰토무 나와마키
겐지 와카야마
마사유키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도쿠시마 히데이치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쿠시마 히데이치,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쿠시마 히데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2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10아르당 10∼500g의 처리량으로 담수(湛水)하의 논에 살포하는, 1종 이상의 농약활성 성분을 1∼80% 함유하고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 및
1종 이상의 농약활성 성분을 1∼80% 함유하고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10아르당 10∼500g의 처리량으로 담수하의 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사용방법.
수중 붕괴성이 20회 이하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특정의 조성으로 제조하며, 이것은 종래의 제제에 비하여 훨씬 용이한 살포방법임에도 구애받지 않고 우수한 농약활성, 특히 제초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논에 사용되는 고형제제와 그 시용(施用)방법
종래부터 논에 농약살포할 경우에는 많은 제형중에서도 농약 고형제제인 입제(粒劑)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입제는 일반적으로 손쉽게 살포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0아르당 1∼4kg의 살포량을 필요로 하며 살포자에게는 노력(勞力)적으로 큰 부담이 되어 있어 제제의 시용량(施用量)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량 살포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입제의 시용량을 감소시키자면 필연적으로 입제중의 농약활성 농도가 높아지게 되어 단위 면적당의 입수(粒數)가 감소한다. 그 결과, 살포가 불균일하게 된다거나 입제중에서 농약활성 성분을 논물속에 충분하고도 균일하게 용출 또는 확산시키기가 어렵게 되어 효과의 저하와 벼에 대한 약해를 유발하게 된다.
논두렁에서 직접 살포할 수 있는 입제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평7-165504호에 수면 확전성(擴展性) 및/또는 수중 확산성 농약 고형제제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어느 것이라도 그 시용량이 1kg/10아르로서 많아 살포자의 부담이 충분히 경감되어 있다고는 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와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논(1)속의 10개의 살포위치(5)와 15개의 조사지점(6) 및 조사범위(7)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논(1)은 직선상의 논두렁(4)으로 둘러싸여 있고 논두렁(4)의 일부가 윗물고(2) 및 아래물고(3)에 의해 중단되어 있음.
도 2는 논(1)속의 12개의 조사지점(6)과 조사범위(7)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논(1)은 직선상의 논두렁(4)으로 둘러싸여 있고, 논두렁(4)의 일부가 윗물고(2)와 아래물고(3)에 의해 중단되어 있음.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논 2 : 윗물고 3 : 아래물고
4 : 논두렁 5 : 살포위치 6 : 조사지점
7 : 조사범위
본 발명자들은 살포자에 대한 부담을 적극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살포량을 현행보다 대폭으로 감소시킴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아래와 같이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와 그 사용방법을 발견하였다.
1.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 10아르당 10∼500g의 처리량으로 담수(湛水)밑의 논에 살포하는, 1종 이상의 농약활성 성분을 1∼80% 함유하며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2) 상기 (1)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g∼300g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3) 상기 (1)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g∼100g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4) 상기 (1)내지 (3)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5) 상기 (1)내지 (3)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6) 상기 (1)내지 (5)항에 있어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가 입제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7) 상기 (1)내지 (6)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5∼70%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8) 상기 (1)내지 (6)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10∼60%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9) 상기 (1)내지 (8)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제초제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0) 상기 (1)내지 (8)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1) 상기 (1)내지 (10)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를 5∼30%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2) 상기 (11)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가 나프탈렌술폰산,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및 부틸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3) 상기 (12)항에 있어서, 리그닌술폰산 나트륨을 함유하고 계면 활성제와 그 중량 비율이 1:0.1∼1:1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4) 상기 (1)내지 (13)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붕괴제를 5∼94%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5) 상기 (14)항에 있어서, 붕괴제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 담체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6) 상기 (1)내지 (15)항에 있어서, 수용성 포장체에 포장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7) 상기 (1)내지 (16)항에 있어서, 논두렁에서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살포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8) 상기 (1)내지 (17)항에 있어서, 논에 물을 공급하는 윗물고에 시용(施用)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9) 상기 (18)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고체의 농약 조성물 또는 비료와 동시에 시용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2. 본 발명의 사용방법
(1) 1종 이상의 농약활성 성분을 1∼80% 함유하고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10아르당 10∼500g의 처리량으로 담수밑의 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사용방법.
(2) 상기 (1)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g∼300g인 사용방법.
(3) 상기 (1)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g∼100g인 사용방법.
(4) 상기 (1)내지 (3)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사용방법.
(5) 상기 (1)내지 (3)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사용방법.
(6) 상기 (1)내지 (5)항에 있어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가 입제인 사용방법.
(7) 상기 (1)내지 (6)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5∼70% 함유하는 사용방법.
(8) 상기 (1)내지 (6)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10∼60% 함유하는 사용방법.
(9) 상기 (1)내지 (8)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제초제인 사용방법.
(10) 상기 (1)내지 (8)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사용방법.
(11) 상기 (1)내지 (10)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를 5∼30% 함유하는 사용방법.
(12) 상기 (11)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가 나프탈렌술폰산,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및 부틸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사용방법.
(13) 상기 (12)에 있어서, 리그닌술폰산 나트륨을 함유하고 계면 활성제와 그 중량 비율이 1:0.1∼1:1인 사용방법.
(14) 상기 (1)내지 (13)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붕괴제를 5∼94% 함유하는 사용방법.
(15) 상기 (14)항에 있어서, 붕괴제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 담체인 사용방법.
(16) 상기 (1)내지 (15)항에 있어서, 수용성 포장체에 포장한 사용방법.
(17) 상기 (1)내지 (16)항에 있어서, 논두렁에서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살포하는 사용방법.
(18) 상기 (1)내지 (17)항에 있어서, 논에 물을 공급하는 윗물고에 시용하는 사용방법.
(19) 상기 (18)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고체의 농약 조성물 또는 비료와 동시에 시용하는 사용방법.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와 그 사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농약활성 성분에는 특히 제한은 없다.
제초제로서는 논의 잡초에 대해 활성을 가진 농약활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는 특히 적합한 농약활성 성분의 하나이다. 예를 들자면, 벤술푸론메틸(일반명), 이마조술푸론(일반명), Hoe-404(시험번호), DPX-47(시험번호) 등을 들 수 있다. 술포닐우레아계 이외의 제초제로서는 에스푸로카르프(일반명), 메훼나세트(일반명), 카휀스트롤(일반명), 에트벤자니드(일반명), 사하로호프부틸(일반명), 다임론(일반명), 피리부티카르브(일반명), 벤후레세이트(일반명), 벤타존(일반명) 및 그 염, 2,4-D 및 그 염 또는 에스테르, MCP 및 그 염 또는 에스테르, 모리네이트(일반명), 벤티오카르브(일반명). 아미노포오스(일반명), KPP-314(시험번호), MK-243(시험번호), 피리부티카르브(일반명), 테닐클로르(일반명), 피라졸레이트(일반명), 피라조크시휀(일반명), 벤조훼납(일반명), 디메타메트린(일반명), 브로모부티드(일반명), 부타미호즈(일반명), 디티오필(일반명), KIH-6127(시험번호), MY-100(시험번호), IDH-120(시험번호), 신메티린(일반명), NBA-061(시험번호) 등을 들 수 있다.
살충제로서는 휘프로닐(일반명), 이미다크로프리트(일반명), 카르보술판(일반명), 벤후라카르프(일반명), 카르탑(일반명), 부프로훼진(일반명)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트리시클라졸(일반명), ICIA5504(시험번호), 프로베나졸(일반명), 후라사이드(일반명), 후루트라닐(일반명), 펜시크론(일반명), SSF-126(시험번호), 피로키론(일반명), 카르프로파미드(일반명 신청중, 시험번호는 KTU3616)등을 들 수 있다.
식물성장 조절제로서는 우니코나졸(일반명), 이나벤휘이드(일반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상기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적어도 1종이 제초제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적어도 1종이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것이다.
이들 농약활성 성분은 그 활성의 강도에 따라 입제중의 농도가 결정되는데,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중에서 80%을 초과하면 우수한 수중 붕괴성을 유지하기가 곤난해지고, 1%보다 적은 경우는 살포량이 많아져서 경량화가 어려워지므로 통상적으로 1∼80%, 바람직하게는 5∼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및 그 제조법에 대해 설명한다.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로서는 입제, 과립제, 정제 또는 이들을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한 포대상태 제제를 들 수 있다. 입제로서는 혼합입제, 함침입제, 코우팅 입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수중 붕괴성을 향상시키므로 1∼80%의 농약활성 성분외에 5∼30%의 계면활성제, 5∼94%의 붕괴제가 함유된다. 계면활성제는 고형제제로부터 농약활성 성분의 용출, 확산성을 향상시켜 생물효과를 높이므로 중요한 성분이다. 그리고, 붕괴제는 고형제제를 신속하게 수중붕괴시켜 이 제제중의 농약활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와 물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농약활성 성분과 계면활성제가 수중에서 용출, 확산하는 것을 돕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5% 이하에서는 충분히 농약활성 성분이 확산되지 않아 안정한 생물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에 함유되는 계면활성제는 통상, 5∼30%,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술포숙신산염, 예컨대 디옥틸술포숙신산염, 축합인산염, 예컨대 트리폴리인산염,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 알킬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 예컨대 메틸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 부틸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 알킬벤젠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 리그닌술폰산염, 페놀 유도체의 축합물, 폴리카르복실산염,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혹은 말레산과 이소부틸렌의 공중합물, 알킬벤젠술폰산염, 예컨대 도데실벤젠술폰산염, 알킬 나프탈렌술폰산염, 예컨대 디부틸 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에테르 황산염, 예컨대 라우릴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페닐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페닐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인산 에스테르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화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화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상기와 같은 것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수중 붕괴성을 20회 미만, 바람직하게는 10회 미만으로 하여 농약활성 성분을 충분히 용출, 확산시키는 계면활성제로서 메틸나프탈렌술폰산과 부틸나프탈렌술폰산중의 어느 하나의 포르말린 축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농약활성 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맞추어 이들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계면활성제의 용출과 농약활성 성분 표면에의 흡착을 조정하여 농약활성 성분이 충분히 용출, 확산하도록 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부틸 나프탈렌술폰산 이외에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또는 그 염과 혼합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부틸 나프탈렌술폰산중의 어느 하나의 포르말린 축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또는 이들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또는 그 염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 1에 대하여 리그린술폰산 나트륨을 0.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 고형제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수중 붕괴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어 농약활성 성분을 충분히 용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붕괴제는 이 고형제제의 수중 붕괴성을 20회 미만으로 하기 위해 함유되는 것인데,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염이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염 등의 붕괴 확전제, 기타로는 수용성 담체를 들 수 있고, 예컨대 염산칼륨, 유안, 탄산수소 나트륨, 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염류, 벤조산, 시트르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 또는 그 염, 요소, 글루코오스 또는 설탕 등의 당류이다. 또한, 전분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가교체, 미세 결정 셀룰로오스, 화이트 카아본, 벤토나이트, 고흡수성 수지 등의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는 성질을 가진것 등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 바람직하게는 10회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회 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붕괴제로서 수용성 담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1종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용성 담체와 기타의 붕괴제를 1종 이상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붕괴제는 통상, 5∼94%, 바람직하게는 5∼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결합제, 광물질 미분말, 용제, 흡수성(吸收性) 미분말, 분해 방지제, 활제, 착색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결합제로서는 전분, 전분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광물질 미분말로서는 클레이, 탈크, 벤토나이트, 규조토,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예컨대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특히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제나 과립제의 제조는 유동층 조립기(造粒機), 분무건조 조립기, 교반 조립기, 전동(轉動) 조립기, 압출 조립기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과립제는 압축 조립기를 사용하여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압출 조립기를 사용할 경우의 제조법은 미리 젯트밀 등의 건식 분쇄기로 미분쇄한 농약활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 붕괴제, 필요에 따라 광물질 미분말 등의 보조제를 필요량 첨가하여 균일히 혼합한 후, 물을 적당량 가하고 혼련하여 페이스트상으로 한 후 압출 조립기에서 조립한다.
그리고 건식 가압로울러, 예컨대 컴팩팅 머신이나 브리케이팅 머신 등의 압축 조립기를 사용할 경우는 미리 젯트밀 등의 건식 분쇄기에서 미분쇄한 농약활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 붕괴제, 필요에 따라 광물질 미분말 등의 보조제를 필요량 첨가하여 균일히 혼합한 후, 압축 조립기에서 가압성형하고 조분쇄하여 얻게 된다.
정제의 제조방법은 미리 젯트밀 등의 건식 분쇄기에서 미분쇄한 농약활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 붕괴제 필요에 따라 광물질 미분말 등의 보조제를 필요량 첨가하고 균일히 혼합한 후, 유압 프레스기 등에 의하여 압축성형하여 얻을 수 있으며, 입제나 과립제를 이용하여 브리케이팅 머신 혹은 타블레팅 머신 등으로 타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제, 과립제, 정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수중 붕괴성이 우수한 것이나 살포 용이성을 고려하여 압출 조립법으로 제조된 입제, 과립제가 바람직하다.
포대상 제제는 상기의 입제, 고립제, 정제를 수용성 포장체로 나누어 포장하여 얻게 된다. 나누어 포장하는 1포당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양은 1∼50g, 바람직하게는 1∼3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g이고, 10아르당 살포하는 갯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와 기타의 투척 살포제로서 사용가능한 농약 고형제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포장체에 나누어 포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1포당의 무게를 투척하기 쉬운 무게로 하기 위하여 규사 등의 입상 광물질 담체, 입상 유안이나 입상 비료 등의 입상 수용성 담체, 유리 중공체(中空體) 등의 수면 부유성 담체 등을 추(錘)로서 사용하고,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외 조합하여 10아르당의 중량이 1kg미만, 바람직하게는 500g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 수용성 포장체에 나누어 포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용성 포장체로서는 수용성 필름을 들 수 있고,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성 비닐론, 폴리에틸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즈록시에틸셀룰로우스, 전분 등을 소재로 한 고분자 필름이나 종이, 섬유 등에 수용성 필름을 라미네이트 또는 도포, 함침처리한 것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논의 물위에 살포하여 수초 내지 24시간정도에서 용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수용성 필름의 막두께는 10∼50㎛, 바람직하게는 20∼40㎛가 적당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사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부터 농약입제는 손으로 뿌리거나 수동 산립기(散粒機) 및 자동 살포기 등으로 시용(施用)되고 있으나, 어느 방법이라도 입제의 시용량이 많아서 살포자에게 큰 육체적 부담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사용법은 첫 번째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논에 균일히 살포하는 방법인데, 종래의 손으로 뿌리기, 수동 산립기 및 자동 살포기 등에 대해 사용할 수가 있다. 종래의 입제가 10아르당 1∼4kg으로서 다량의 입제를 살포하는데 대해 수중 붕괴성이 현저히 개량된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10아르당 10∼500g, 바람직하게는 10∼3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g을 살포한다. 이 살포량이면 실용적으로 충분히 효과를 나타내고 작물에 대한 약해도 문제없으며 살포자의 노력(勞力)을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제2의 사용법은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살포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입제 살포는 약제를 균일히 분포시키기 위하여 대량의 입제를 논에 넣어 살포하는 방법이 중심이 되어 있다. 예외적으로 논두렁에서 등에지는 식 등의 살포기를 사용하여 살포될 경우도 있으나 동력에 의해 입제를 논에 균일히 살포하도록 하므로 살포기의 중량이 무거워 살포자에 대한 부담은 큰 것이었다. 수중 붕괴성이 현저히 개량된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10아르당 10∼500g, 바람직하게는 10∼3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뿌리거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용기에 넣어 용기를 흔들어 용기로부터 뿌려 살포한다. 이 살포법에서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논두렁에서 3m 정도의 거리까지 살포된다. 혹은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수용성 필름 등의 포장체에 나누어 포장한 것을 논두렁에서 투척하여 살포한다. 나누어 포장된 1포대의 양은 1∼50g, 바람직하게는 1∼3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g이고, 10아르당 투척 살포하는 갯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이들 살포방법은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가 반드시 균일히 살포된다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가 수중 붕괴성이 우수하므로 농약 유효성분은 논 전체에 퍼져 실용적으로 충분한 효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사용법은 종래의 입제의 살포법에 비하여 중량이 있는 대량의 입제를 살포함으로 인한 중노동과 논에 들어가서 살포함으로 인한 중노동으로부터 살포자를 해방할 뿐만 아니라, 용기를 사용하거나 수용성 필름에 나누어 포장하여 사용하면 살포자가 농약 제제에 직접 손을 데는 일이 없이 살포할 수 있다는 안전성이 우수한 사용방법이다.
제3의 방법은 논에 들어갈 때에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윗물고에 시용(施用)하는 방법이다. 논에서는 재배기간중에 물을 윗물고로부터 물을 끌어들이는 작업을 몇번이나 하게 된다. 이 시용법(施用法)은 수중 붕괴성이 현저히 개량된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논에 물을 끌어들이는 작업시에 윗물고에 10아르당 10∼500g, 바람직하게는 10∼3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g의 전체량을 시용한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입제가 물이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퍼짐과 아울러 우수한 수중 붕괴성에 의해 농약 유효성분은 논 전체에 퍼져 실용적으로 충분한 효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에 나누어 포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방법도 논두렁에서 살포하는 앞서 나온 사용방법과 동일하며 "경량이라는 것", "논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는 것" 및 "농약제제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등의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시용에 요하는 시간이 수분동안이라는 극히 생력적(省力的)인 살포법이다.
제4의 사용방법은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액체 또는 고체의 농약 조성물 혹은 비료와 혼합하여 동시에 시용하는 방법이다. 논에서는 방제하는 대상에 따라 각각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를 살포해야 한다. 그리고 비료는 작물의 생육에는 불가결하다. 이들을 각각 살포하는 것은 살포자에게는 큰 부담이므로 이것을 동시에 살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고형제제, 예컨대 입제 등을 두 종류 혼합할 경우에서도 10아르당 2∼8kg로서 시용량이 극히 많아져서 살포자의 부담은 경감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10아르당의 시용량이 10∼500g으로서 적으므로 종래의 입제나 비료와 혼합하여도 종래의 입제나 비료의 시용량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종류의 농약제제를 혼합하여도 살포자의 부담은 커지는 일이 없이 동시에,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살포할 수 있는 점에서 극히 생력적인 살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는 우수한 수중 붕괴성을 가지므로 액체의 농약 제제인 수성 현탁액제나 액체비료 등과도 혼합할 수 있고 동시에 살포할 수가 있다.
살포방법은 혼합하는 대상물의 살포방법으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논에 사용하는 농약 고형제제를 종래의 입제와 혼합할 경우는 수동 산립기 및 자동 살포기를 사용하여 살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끼리 혹은 기타의 논두렁 살포제나 윗물고 살포제와의 혼합이면 제1∼제3의 사용방법으로 살포할 수 있어 보다 노력이 덜드는 살포방법이다.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수중 붕괴성에 대해서는 25℃의 3도 경수(硬水) 100ml을 넣은 메스 실린더에 10g의 농약 고형제제를 가한 후, 실린더의 도립(倒立)을 반복하여 분말도가 90%이상이 되는 최소 도립회수로 정의된다.
[수중 붕괴성 측정방법]
3도 경수 100ml을 넣은 마개달린 100ml 메스 실린더를 항온 수조(水槽)에 설치하고 수온을 25℃로 조정하였다. 농약 고형제제 10g을 메스 실린더에 넣고 마개로 막아 2초에 1회의 비율로 실린더의 도립을 반복하였다. 도립후 분말도를 측정하여 최초의 분말도가 90%가 되는 도립회수를 수중 붕괴성으로 하였다. 실린더의 도립회수는 최대 20회로 하였다.
그리고, 분말도는 아래와 같이 측정·정의된다.
도립을 반복한 메스 실린더중의 현탁액을 106㎛의 체를 통과시켜 체에 잔존하는 잔류물과 실린더중의 잔류물을 건조하여 회수하고, 잔류물의 중량으로부터 체를 통과한 비율을 계산하여 분말도로 하였다.
분말도={1-(체위의 잔류물 중량+실린더중의 잔류물 중량)/입제중량}×100
[시판의 논에 사용되는 입제의 수중 붕괴성 측정]
현재 논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약 입제의 수중 붕괴성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입제는 아크토 입제[상품명, 일본국의 日産화학공업(주)제], 아크토 1kg 입제[상품명, 일본국의 日産화학공업 (주)제], 우루 훼에스 1kg 입제 75[상품명, 일본국의 쿠미아 화학공업(주)제], 자아크 1kg 입제 75[상품명, 일본국의 三共(주)제] (이상은 제초제), 아도마이야상(箱) 입제[상품명, 일본국의 日本바이엘 아그로케무(주)제], 가세트 입제[상품명, 일본국의 日産화학공업(주)제](이상은 살충제), 오리제메이트 입제[상품명, 일본국의 明治제과(주)제](살균제)의 7가지 입제인데 어느 입제라도 수중 붕괴성이 20회를 상회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제를 제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부(部)는 어느 것이라도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제예 1]
피라조술후론에틸 2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5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5부, 카올린 클레이 3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造粒水)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造粒)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5회이고, 5회 도립(倒立)후의 분말도는 92%이었다.
[제제예 2]
피라조술후론에틸 2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3부,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2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5부, 카올린 클레이 3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6회이고, 6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1%이었다.
[제제예 3]
피라조술후론에틸 3.5부, 카휀스트롤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5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0부, 카올린 클레이 9.5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3회이고, 3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5%이었다.
[제제예 4]
피라조술후론에틸 3.5부, 카휀스트롤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7부, 부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염화 칼슘 20부, 카올린 클레이 7.5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8회이고, 8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3%이었다.
[제제예 5]
피라조술후론에틸 3.5부, 카휀스트롤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7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4부, 부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6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7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3회이고, 3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6%이었다.
[제제예 6]
피라조술후론에틸 3.5부, 카휀스트롤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2부,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5부, 부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5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32.5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3회이고, 3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7%이었다.
[제제예 7]
피라조술후론에틸 3.5부, 카휀스트롤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2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디부틸 나프탈렌술폰산 소오다 5부, 황산 암모늄 29.5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5회이고, 5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4%이었다.
[제제예 8]
피라조술후론에틸 3.2부, KPP-314(시험번호)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5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0부, 카올린 클레이 9.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3회이고, 3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2%이었다.
[제제예 9]
피라조술후론에틸 3.2부, KPP-314(시험번호)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3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2부,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4부, 부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4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2부, 카올린 클레이 9.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3회이고, 3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7%이었다.
[제제예 10]
피라조술후론에틸 3.2부, KPP-314(시험번호) 50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7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2부, 부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5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2부, 카올린 클레이 8.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3회이고, 3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7%이었다.
[제제예 11]
피라조술후론에틸 5.25부, MK-243(시험번호) 37.5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5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0부, 카올린 클레이 20.25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4회이고, 4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3%이었다.
[제제예 12]
피라조술후론에틸 0.42부, 에도벤자니드 30부, KPP-314(시험번호) 4.4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5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10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0부, 카올린 클레이 28.1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4회이고, 4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0%이었다.
[제제예 13]
피라조술후론에틸 0.42부, 에도벤자니드 30부, KPP-314(시험번호) 4.4부, 리그닌술폰산 소오다 5부,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5부,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5부,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2부, 황산 암모늄 20부, 카올린 클레이 28.18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 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 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4회이고, 4회 도립후의 분말도는 93%이었다.
[제제예 14]
제제예 5에서 얻은 입제 6g을 수용성 비닐론 필름 HH30㎛[일본국의 (주)쿠라레제]으로 제조한 7cm×7cm의 각대(角袋)에 넣어 입제 포장체를 얻었다.
[제제예 15]
제제예 11에서 얻은 입제 4g을 수용성 비닐론 필름 HH30㎛[일본국의 (주)쿠라레제]으로 제조한 6cm×6cm의 각대에 넣어 입제 포장체를 얻었다.
[제제예 16]
제제예 5에서 얻은 입제 6g과 시크로사아루 입제[상품명, 시쿠로푸로토린 2%: 일본국의 日本化藥(주)제] 200g을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다루톤]에서 혼합하여 수용성 비닐론 필름 HH30㎛[일본국의 (주)쿠라레제]으로 제조한 10cm×10cm의 각대(角袋)에 넣어 입제 포장체를 얻었다.
[제제예 17]
제제예 5에서 얻은 입제 6g과 클린챠 1kg 입제[상품명, 시하로호프부틸 1.8%: 일본국의 日本化藥(주)제] 100g을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다루톤]에서 혼합하여 수용성 비닐론 필름 HH30㎛[일본국의 (주)쿠라레제]으로 제조한 10cm×10cm의 각대(角袋)에 넣어 입제 포장체를 얻었다.
[제제예 18]
제제예 5에서 얻은 입제 6g과 라쿠라쿠 PK[상품명, 일본국의 日産化學工業(주)제] 24g을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다루톤]에서 혼합하여 수용성 비닐론 필름 HH30㎛[일본국의 (주)쿠라레제]으로 제조한 10cm×10cm의 각대(角袋)에 넣어 입제 포장체를 얻었다.
[제제예 19]
제제예 12에서 얻은 입제 500g과 라쿠라쿠 PK[상품명, 일본국의 日産化學工業(주)제] 20kg을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다루톤]에서 혼합하여 농약함유 비료를 얻었다.
[비교 제제예 1]
피라조술후론에틸 0.7부, 알킬술포숙신산 소오다 1부, 폴리아크릴산 소오다 1부, 카올린 클레이 67.3부, 벤토나이트 30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造粒水)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造粒)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비교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20회 이상이었다.
[비교 제제예 2]
피라조술후론에틸 0.42부, 알킬술포숙신산 소오다 1부, 폴리아크릴산 소오다 1부, 카올린 클레이 67.58부, 벤토나이트 30부를 혼합하여 싱글 트랙 밀[일본국의 (주)세이신 기업]에서 분쇄한 다음, 소정량의 조립수를 가하여 만능 혼합기[일본국의 (주)다루톤]에서 혼련하고, 0.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바스켓 류우자(BR-200, 不二파우다루사제)에서 조립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하여 비교의 입제를 얻었다.
그리고 이 입제의 수중 붕괴성은 20회 이상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제예 1∼13의 입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입제나 여기에 준하여 제조한 비교 제제예 1 및 2의 입제에 비해 훨씬 우수한 수중 붕괴성을 나타내었다.
아래의 시험법 1 내지 10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법 1]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移秧機)로 수도(水稻)(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될 수 있는 한 균일하게 논에 처리하였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2]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논두렁을 걸어가면서 살포하였다. 입제는 논두렁으로부터 약 3m 이내에서 처리되었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3]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논의 윗물고로부터 물을 넣으면서 소요량 전량을 한꺼번에 처리하였다. 처리에 소요된 시간은 약 1분이었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4]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도 1에 나온 바와 같이 10개소의 지점에 처리하였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5]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와 혼합하고 산립기(散粒機)를 사용하여 될 수 있는 한 균일하게 논에 처리하였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6]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와 혼합하여 논두렁을 걸어가면서 손으로 살포하였다. 입제는 논두렁으로부터 약 3m 이내에서 처리되었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7]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와 혼합하고, 논의 윗물고로부터 물을 넣으면서 소요량 전량을 한꺼번에 처리하였다. 처리에 소요된 시간은 약 1분이었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8]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20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물에 희석한 클린챠아 EW와 혼합하고, 산립기(散粒機)를 사용하여 될 수 있는 한 균일하게 논에 처리하였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9]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물에 희석한 클린챠아 EW와 혼합하고, 논두렁을 걸어가면서 용기로부터 적하살포하였다. 현탁액은 논두렁으로부터 약 3m 이내에서 처리되었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시험법 10]
25m×40m의 10아르의 논에 써레질을 하여 이앙기로 수도(품종: 니혼바레)의 볏모를 이식하였다. 이식후 7일째에 제제예와 비교 제제예에서 얻은 농약 고형제제를, 물에 희석한 클린챠아 EW와 혼합하고, 논의 윗물고로부터 물을 넣으면서 소요량 전량을 한꺼번에 처리하였다. 처리에 소요된 시간은 약 1분이었다. 처리시의 논의 물깊이는 약 4cm이었다.
[실시예 1]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1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10.5g 처리하였다.
[실시예 2]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10.5g 처리하였다.
[실시예 3]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3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10.5g 처리하였다.
[실시예 4]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5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10.5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5]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6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10.5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6]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7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10.5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7]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8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10.5g과 클린챠아 EW 100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8]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9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10.5g과 클린챠아 EW 100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9]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10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10.5g과 클린챠아 EW 100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10]
제제예 2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10.5g 처리하였다.
[실시예 11]
제제예 3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12]
제제예 4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13]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1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14]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15]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3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16]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5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60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17]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6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60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18]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7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60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19]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8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60g과 클린챠아 EW 100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20]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9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60g과 클린챠아 EW 100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21]
제제예 5의 입제를 시험법 10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60g과 클린챠아 EW 100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22]
제제예 6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23]
제제예 7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0g 처리하였다.
[실시예 24]
제제예 8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6g 처리하였다.
[실시예 25]
제제예 9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6g 처리하였다.
[실시예 26]
제제예 10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66g 처리하였다.
[실시예 27]
제제예 11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40g 처리하였다.
[실시예 28]
제제예 12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500g 처리하였다.
[실시예 29]
제제예 13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500g 처리하였다.
[실시예 30]
제제예 14의 입제 포장체를 시험법 4에 나온 방법으로 1지점에 1개, 10아르당 10개 처리하였다.
[실시예 31]
제제예 15의 입제 포장체를 시험법 4에 나온 방법으로 1지점에 1개, 10아르당 10개 처리하였다.
[실시예 32]
제제예 16의 입제 포장체를 시험법 4에 나온 방법으로 1지점에 1개, 10아르당 10개 처리하였다.
[실시예 33]
제제예 17의 입제 포장체를 시험법 4에 나온 방법으로 1지점에 1개, 10아르당 10개 처리하였다.
[실시예 34]
제제예 18의 입제 포장체를 시험법 4에 나온 방법으로 1지점에 1개, 10아르당 10개 처리하였다.
[실시예 35]
제제예 19의 농약함유 비료를 시험법 3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20.5kg 처리하였다.
[비교예 1]
비교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1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300g 처리하였다.
[비교예 2]
비교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2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300g 처리하였다.
[비교예 3]
비교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3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300g 처리하였다.
[비교예 4]
비교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5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300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비교예 5]
비교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6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300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비교예 6]
비교 제제예 1의 입제를 시험법 7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이 제제 300g과 시크로사아루 U입제 2를 2000g 동시에 처리하였다.
[비교예 7]
비교 제제예 2의 입제를 시험법 1에 나온 방법으로 10아르당 500g 처리하였다.
[비교예 8]
비교 제제예 2의 입제를 시험법 4에 나온 방법으로 1지점에 50g, 10아르당 10지점, 합계 500g 처리하였다.
입제 처리후 30일째에 각종 잡초에 대한 제초효과 및 수도에 대한 약해의 조사를 아래의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판정기준
5 : 완전 고사 혹은 90% 이상의 억제
4 : 70∼90%의 억제
3 : 40∼70%의 억제
2 : 20∼40%의 억제
1 : 5∼20%의 억제
0 : 5% 이하의 억제
억제의 정도는 육안에 의한 관찰조사로부터 구하였다.
조사지점은 시험법 4에서 실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온 바와 같이 논안의 12지점을 설정하고, 각각의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50cm 이내의 원형을 조사범위로 하였다. 시험법 4이외에서 실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온 바와 같이 논안의 12지점을 설정하고, 각각의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50cm 이내의 원형을 조사범위로 하였다. 각 조사범위 내의 각종 잡초에 대한 제초효과 및 수도에 대한 약해의 판정기준의 평균치(소수점 이하 사사오입)를 구하였다.
도 1에서는 논두렁과 논두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처리지점 사이의 거리 및 각 처리지점간의 거리는 논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각각에 관하여 동일하게 설정되고 세로방향(40m)은 6.7m, 가로방향(25m)은 8.3m이다.
도 2에서는 논두렁과 논두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조사지점 사이의 거리 및 각 조사지점간의 거리는 논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각각에 관하여 동일하게 설정되고 세로방향(40m)은 8m, 가로방향(25m)은 6.25m이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그리고 제1표중의 기호는 아래의 의미를 나타낸다.
A : 수도, B : 들피, C : 올챙이 고랭이, D : 물달개비, E : 너도방동사니
제1표 제초효과 및 수도에 대한 영향
A B C D E
실시예1 0 4 5 5 5
실시예2 0 4 5 5 5
실시예3 0 4 5 5 5
실시예4 0 4 5 5 5
실시예5 0 4 5 5 5
실시예6 0 4 5 5 5
실시예7 0 5 5 5 5
실시예8 0 5 5 5 5
실시예9 0 5 5 5 5
실시예10 0 4 5 5 5
실시예11 0 5 5 5 5
실시예12 0 5 5 5 5
실시예13 0 5 5 5 5
실시예14 0 5 5 5 5
실시예15 0 5 5 5 5
실시예16 0 5 5 5 5
실시예17 0 5 5 5 5
실시예18 0 5 5 5 5
실시예19 0 5 5 5 5
실시예20 0 5 5 5 5
실시예21 0 5 5 5 5
실시예22 0 5 5 5 5
실시예23 0 5 5 5 5
실시예24 0 5 5 5 5
실시예25 0 5 5 5 5
실시예26 0 5 5 5 5
실시예27 0 5 5 5 5
실시예28 0 5 5 5 5
실시예29 0 5 5 5 5
실시예30 0 4 5 5 5
A B C D E
실시예31 0 4 5 5 5
실시예32 0 4 5 5 5
실시예33 0 5 5 5 5
실시예34 0 4 5 5 5
실시예35 0 5 5 5 5
비교예1 0 3 4 4 5
비교예2 0 2 3 3 4
비교예3 0 2 3 3 4
비교예4 0 3 4 4 5
비교예5 0 2 3 3 4
비교예6 0 2 3 3 4
비교예7 0 3 3 3 4
비교예8 0 2 4 3 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중 붕괴성이 우수한 제제예 1∼제제예 19의 농약 고형제제는 종래의 조성, 제조법에 준하여 제조한 입제에 비하여 훨씬 용이한 살포방법으로 우수한 제초효과가 얻어졌다.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특히 제초 고형제제는 종래의 입제에 비하여 훨씬 용이한 살포방법임에도 구애받지 않고 우수한 농약활성, 특히 제초활성을 나타낸다.

Claims (46)

10아르당 10∼500g의 처리량으로 담수(湛水)밑의 논에 살포하는, 1종 이상의 농약활성 성분을 1∼80% 함유하며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300g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100g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2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3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2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3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가 입제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5∼70%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9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10∼60%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제초제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5∼30%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나프탈렌술폰산, 메틸 나프탈렌술폰산 및 부틸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6항에 있어서, 리그닌술폰산 나트륨을 함유하고 계면활성제와 그 중량 비율이 1:0.1∼1:1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붕괴제를 5∼94% 함유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8항에 있어서, 붕괴제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 담체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수용성 포장체에 포장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두렁에서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살포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논에 물을 공급하는 윗물고에 시용(施用)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제21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고체의 농약 조성물 또는 비료와 동시에 시용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
1종 이상의 농약활성 성분을 1∼80% 함유하고,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20회 미만인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를 10아르당 10∼500g의 처리량으로 담수밑의 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의 사용방법.
제24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g∼300g인 사용방법.
제24항에 있어서, 10아르당의 처리량이 10g∼100g인 사용방법.
제24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사용방법.
제25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사용방법.
제26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10회 미만인 사용방법.
제24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사용방법.
제25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사용방법.
제26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중 붕괴성이 5회 이내인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논에 사용되는 농약 고형제제가 입제인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5∼70% 함유하는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을 10∼60% 함유하는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제초제인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농약활성 성분중에서 적어도 1종이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를 5∼30% 함유하는 사용방법.
제38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나프탈렌술폰산, 메틸나프탈렌술폰산 및 부틸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사용방법.
제39항에 있어서, 리그닌술폰산 나트륨을 함유하고 계면활성제와 그 중량 비율이 1:0.1∼1:1인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붕괴제를 5∼94% 함유하는 사용방법.
제41항에 있어서, 붕괴제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 담체인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에 있어서, 수용성 포장체에 포장한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논두렁에서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살포하는 사용방법.
제24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논에 물을 공급하는 윗물고에 시용하는 사용방법.
제45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고체의 농약 조성물 또는 비료와 동시에 시용(施用)하는 사용방법.
KR1019970709874A 1995-07-21 1996-07-18 논에 사용되는 고형제제와 그 시용(施用)방법 KR19990028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7636 1995-07-21
JP20763695 1995-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554A true KR19990028554A (ko) 1999-04-15

Family

ID=1654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874A KR19990028554A (ko) 1995-07-21 1996-07-18 논에 사용되는 고형제제와 그 시용(施用)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9990028554A (ko)
CN (1) CN1191465A (ko)
AU (1) AU6469996A (ko)
WO (1) WO1997003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792B1 (en) * 1998-06-17 2004-09-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ackaged pesticide prepa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33181B1 (es) * 1989-09-07 1994-04-01 Ishihara Sangyo Kaisha Una tableta o capsula de herbicida para su aplicacion en arrozales.
JPH059101A (ja) * 1990-10-11 1993-01-19 Sumitomo Chem Co Ltd 発泡性農薬組成物
JPH04297403A (ja) * 1991-03-06 1992-10-21 Ishihara Sangyo Kaisha Ltd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H04297404A (ja) * 1991-03-06 1992-10-21 Ishihara Sangyo Kaisha Ltd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H0517305A (ja) * 1991-07-03 1993-01-26 Sds Biotech Kk 水田除草用固型水和剤
JPH05262606A (ja) * 1991-07-30 1993-10-12 Nissan Chem Ind Ltd 水田用除草固体製剤
JPH05117102A (ja) * 1991-10-29 1993-05-14 Tosoh Corp 水田用固形農薬組成物
JPH05139905A (ja) * 1991-11-21 1993-06-08 Tosoh Corp 水田用農薬組成物
JPH0616502A (ja) * 1991-12-06 1994-01-25 Tosoh Corp 水田用の固形農薬組成物
JP3450365B2 (ja) * 1992-01-06 2003-09-22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株式会社 新規投げ込み用農薬製剤
JPH05255002A (ja) * 1992-03-13 1993-10-05 Nissan Chem Ind Ltd 水田用農薬固形製剤
JPH0656604A (ja) * 1992-08-07 1994-03-01 Hodogaya Chem Co Ltd 水田用除草剤
JPH0656603A (ja) * 1992-08-07 1994-03-01 Hodogaya Chem Co Ltd 水田用除草剤
JP3753746B2 (ja) * 1992-09-28 2006-03-08 三共アグロ株式会社 農薬組成物
JPH06298602A (ja) * 1993-04-13 1994-10-25 Takeda Chem Ind Ltd 農薬粒剤
JPH06298603A (ja) * 1993-04-13 1994-10-25 Takeda Chem Ind Ltd 農薬粒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469996A (en) 1997-02-18
CN1191465A (zh) 1998-08-26
WO1997003558A1 (fr) 199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2355B (zh) 一种含有机硅表面活性剂的农药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KR20140017518A (ko) 수면 부유 확산성 농약 정제 제형
JP2014037443A (ja) 顆粒状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8787B2 (ja) 粒状農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KR100687514B1 (ko) 수면 시용 농약 조성물
KR20050094454A (ko) 농원예용 과립 수화제
FI93416C (fi) Menetelmä rae- tai tablettimuotoisen herbisidituotteen valmistamiseksi
JPH10265302A (ja) 水面施用農薬粒剤
KR100225878B1 (ko)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2035B1 (ko) 생력화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9990028554A (ko) 논에 사용되는 고형제제와 그 시용(施用)방법
JPH07233002A (ja) 農薬製剤
JP3489842B2 (ja) 水面施用発泡性農薬製剤
KR100347392B1 (ko) 농약입제
JPH03223203A (ja)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4623783B2 (ja) 農薬固形製剤
JPH09118602A (ja) 水面浮上性農薬製剤
KR100730590B1 (ko) 수중 유화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AU2225101A (en) Granular water-dispersible ag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274387B1 (ko) 장기보존이 가능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활성성분 함유 입제 및 그 제조방법
JP5060390B2 (ja) 散布性の改良された水面施用農薬粒剤
JPH05255002A (ja) 水田用農薬固形製剤
KR100221344B1 (ko) 농약 조성물 및 그의 시용방법
WO1999057979A1 (fr) Granules de pesticide pour application a la surface de l&#39;eau
RU2147179C1 (ru) Пестицидное дозированное средство в виде единичной прессованной фор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022

Effective date: 2006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