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378A - 전등 - Google Patents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378A
KR19990028378A KR1019970709694A KR19970709694A KR19990028378A KR 19990028378 A KR19990028378 A KR 19990028378A KR 1019970709694 A KR1019970709694 A KR 1019970709694A KR 19970709694 A KR19970709694 A KR 19970709694A KR 19990028378 A KR19990028378 A KR 1999002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base
contact lug
lead wir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842B1 (ko
Inventor
페터 헬비히
헤르만 슈타이너
Original Assignee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Publication of KR1999002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특히 자동차용으로 쓰이는 전등에 있어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질로 된 연결부(14)를 가 있는 베이스(base)를 갖고, 전등의 전기적 연결영역(15)을 가진 것. 전구(10)으로부터 나오는 급전선(11)이 연결부(14)의 내부 공동(18)에서 접촉러그(15)로 디자인 된 전기적 연결영역으로 납땜되어져 있다. 베이스는 하나 또는 여러 형상부분(19)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형상부분은 내열성, 탄력성 있는 재료가 공동(18)의 경계를 정하는 벽 및 형상부분(들)(19)을 통과하는 급전선(11)에 압축되어 끼워져 있다. 적절한 압력은 형상부분(들)(19)에 압력을 가하는 접촉러그에 의해 보장된다.

Description

전등
이 발명은 특허 제 1 청구항의 전문에 있는 전등에 관한 것이다.
특허 제1청구항의 전문에 있는 형태의 전등은 예를 들어 특허EP 0 172 529와 같이 이미 개발되어 있다. 그 서류(특허EP 0 172 529)는 특히 자동차 전조등에 사용되는 백열전등에 관한 것인데, 그 전등은 한쪽으로 조여진 전구 및 금속과 플라스틱 부분으로 구성된 전등 베이스(base)로 구성되어 있다.
전구의 조임 베이스는 전등 베이스의 금속제 홀더(holder)부에 고정되어 있고, 전등의 전기적 연결부분은 접촉러그(contact lug)로 되어있으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베이스의 아랫부분에 놓여져 있다. 베이스 아랫부분은 공동(cavity)이며 그 속으로 전등의 급전선 또는 리드선(lead wire)이 조임 베이스(pinch base)로부터 뻗어 나와 있다. 이들 리드선은 각기 베이스의 아랫부분에 있는 공동 내부의 접촉러그의 끝에 용접되어 있다. 도자기 혼합물(potting compound)이 베이스를 밀봉하기 위해서 그 공동 내에 부어져 있다. 이 밀봉이 반사기의 부식을 일으킬 수도 있는 습기로 하여금 전등 베이스를 통해 전등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보장해 준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에 관한 도식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베이스의 연결부에 관한 단면도.
도 3은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접촉러그에 관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접촉러그에 관한 측면도.
이 발명의 목적은 전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그 전등은 개선된 구조인 기체가 새지 않는 베이스로, 특히 밀봉에 시멘트나 도자기 합성물을 요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목적은 특허 제 1 청구항의 특징적 형태에 의한 발명에 의해 구현된다.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가 종속청구항에 나타나 있다.
이 발명에 관한 전등은 전등 베이스와 전기적 절연물질로 만들어진 연결부가 통합되어 있고 그 연결부 속에서 전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부는 하나의 공동으로 나타나는데 그 속으로 전구에서 뻗어 나온 하나 이상의 리드선들이 투사되어 있다. 거기서 리드선들은 각기 접촉러그로 형성된 전기적 접속단에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다. 발명내용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분(shaped part)으로 전등 베이스는 밀봉되어 있는데, 그 형상부분은 리드선을 위한 통로가 있고 내열성, 탄력성을 가진 약간 압축할 수 있는 재료로 되어 있다. 그 형상부분은 적어도 한 개의 접촉러그 위에 있으며 적절한 압력으로 공동의 범위를 정해주는 벽 및 공동 속으로 뻗은 리드선과 접하고 있다. 적절한 압력은 형상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접촉러그에 의해 유리하게 생성된다. 더욱이 형상부분은 정확히 들어맞는 구석(recess)에 편리하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형상부분 위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촉러그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형상부분 전체로 균등하게 분산되어지고, 그 형상부분의 최적의 적절한 압력은 이웃한 공동의 벽과 그 공동을 지나는 리드선으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형상부분은 편리하게 실리콘(silicon)으로 구성된다. 몇몇 비교적 두꺼운 벽의 관같은(tube-like) 실리콘으로된 형상부분(들)은 성공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이는 각기 연결부의 공동으로 뻗어나온 리드선중 하나를 위한 통로를 갖고 있다.
공동 속으로 뻗어나온 접촉러그의 끝부분은 유리하게 갈고리모양을 하고 있고 공동의 벽도 갈고리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적 장력을 받는 접촉러그의 안전하고 임시적인 부착은 접촉러그가 리드선에 용접되기 전에도 보장될 수 있다. 리드선의 연합된 접촉러그와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접촉러그는 유리하게 각기 리드선을 위한 통로를 갖추고 있다.
베이스의 연결부의 접촉러그를 위한 통로는 각기 접촉러그가 베이스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도입되어 베이스의 축에 맞닿도록 하는 삽입 경사면(insert bevel)을 갖추고 있다.
연결부의 공동은 덮개로 봉해져 있는데 그 덮개는 유리하게 공동으로 확장되며 형상부분 또는 형상부분들로부터 반대로 면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러그의 표면 위에 놓여있는 웹(web)을 가진다. 이 웹은 접촉러그를 위한 부가적 지지를 해준다. 베이스의 연결부는 가급적이면 내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아래에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발명에 따른 전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동차 전조등으로 이용되는 단일 필라멘트(single filament)로 구성된 할로겐 백열등이다. 이 전등은 필수적으로 원통형인 전구(10)와 집어서 봉해진(pinch-sealed) 전구끝(10a)을 통합시키고 있는데, 이 전구 끝은 일반적으로 핀치엔드(pinch end)(10a)라 불린다. 전구의 둥근 지붕(dome)(10a)은 검고, 빛을 흡수하는 코팅이 되어있다. 백열 필라멘트(10c)는 빛의 원천이 되는데 이는 전구 축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핀치엔드(10a)에서나온 리드선과 연결되어 있다. 전구(10)는 조임 고리(fastening ring)로 형성된 금속제 홀더(12)에 의해 그 핀치엔드(10a)에 고정되어 있다. 조임 고리(12)는 고리모양의 금속제 지지 슬래브(sleeve)(13)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지지 슬리브(13)는 조임고리(12)에 점용접(spot weld)또는 레이저 용접된 네 가지 모양의(four shaped) 용접탭(weld tab)(13a)으로 되어있다. 금속제 조임고리(12)와 금속제지지 슬리브(13)외에도 전등 베이스는 플라스틱 베이스 부분(14)을 통합하고 있는데 이 플라스틱 베이스는 전등의 전기적 연결부(15)를 갖고 있고 그 속에 지지 슬리브(13)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 베이스부분(14)은 전등 베이스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있다. 전등의 전기적 연결부(15)는 각기 리드선(11)중의 어느 하나와 용접된 접촉러그로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베이스부분(14)은 주사주형(injection-molded)부분인데 그 속으로 금속제 지지 슬리브(13)가 주사되어 있다. 플라스틱 베이스 부분(14)은 세 개의 통합적으로(integrally) 형성된 기준러그(reference lug)를 갖고있는데 이 기준러그는 주위(periphery)를 따라 등간격으로 위치해있으며 이로 인해 백열필라멘트(10c)가 정렬되고 전조등의 반사기(17) 속에 있는 전등이 고정된다. 기본러그(14a)는 전등홀더로 설계된 반사기 속에 있는 개구부(opening)(17a)와 연결되어 있는데 각기 지지 슬리브(13)위에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거기서부터 각도가 구부러진 커버링클립(13b)에 의해 덮여져 있어 백열필라멘트(10c)에 의한 적외선방사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플라스틱 베이스 부분(14)은 고리모양의 원주형의 원통형 홈(14d)의 모양이고 그 홈속에 고무나 실리콘으로된 가스킷(gasket)(16)이 위치해 있다. 가스킷(16)은 반사기벽(17)의 바깥쪽에 놓여 있어서 전등홀더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17a)를 봉하고 있다. 가스킷(16)의 내경은 정확히 원뿔형의 홈(14b)과 일치하고 가스킷의 높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한다. 세 개의 기준러그(14a)와 가스킷(16) 그리고 기본러그(14a)중의 하나 밑에 있는 금속제지지 슬리브(13) 위에 통합적으로 형성된 압축스프링(13c)은 반사기의 전등홀더(17a)속에 있는 전등을 고정시키고 있다. 전등 베이스와 전등홀더(17a)는 베이어닛 연결(bayonet connection)을 하고 있다.
연결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베이스부분(14)의 상세한 모양은 도면2에 나와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핀치엔드(10a)는 도면2에는 그려져 있지 않았고 리드선(11)은 전체 길이가 아닌 부분적 길이만 도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베이스부분(14)은 공동(18)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공동 속에 두 접촉러그(15)의 끝과 전구(10)의 핀치엔드(10a)에서 나오는 두 리드선이 투사되어 있다. 두 개의 관같은 모양의 실리콘으로 된 형상부분(19)은 공동(18)속에 위치되어 있고 플라스틱베이스부분(14)의 벽에 의해 형성된, 정확히 들어맞는, 구석(recess)에 놓여져 있다. 관모양의 형상부분(19)의 외경은 그것의 내경보다 훨씬 크다. 각 리드선(11)은 관모양의 형상부분(19)속에 있는 통로를 따라, 그것이 용접되어 있는 접촉러그(15)의 끝에 있는 개구부(15b)를 통해 배열되어 있고 공동(18)속으로 투사되어 있다. 형상부분(19)은 각기 접촉러그(15)위에 놓여있다. 각 접촉러그(15)는 대응하는 형상부분(19)에 압력을 가하고 그리하여 형상부분은 약간 관축에서 압축되고 그것에 의해 적절한 압력으로 구석(18a)을 정의하는 벽 및 그 속으로 투사된 리드선(11)과 접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등의 밀봉이 리드선(11)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공동(18)으로 뻗어있는 접촉러그(15)의 끝(15a)은 갈고리모양으로 플라스틱베이스부분(14)의 뒷벽으로 굽어져있다. 각 접촉러그(15)를 위한 플라스틱 베이스 부분(14)의 통로(20)는 접촉러그(15)의 부착을 용이하게 해주는 삽입 경사면(20a)의 모습이다. 공동(18)은 스냅식의(snap-on) 덮개(21)에 의해 닫혀있다. 덮개(21)의 내부는 통합적으로 형성된 웹(web)(22)을 갖고 있는데 웹은 형상부분(19)에 반대로 면하고 있는 접촉러그(15)위에서 공동(18)으로 뻗어 있어서 기계적 장력을 받는 접촉러그(15)를 부가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핀치엔드(10a)를 지지부재(13)에 지탱시키는 조임고리(12)를 고정시킨 후 전등베이스를 조립함에 있어서 관모양의 형상부분(19)은 해당 리드선(11)에 꿰어져 각각의 정확히 일치하는 구석부분(18a)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접촉러그(15)는 플라스틱베이스부분(14)에 있는 통로(2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삽입경사면(20a)을 따라 베이스축(A-A)에 비스듬하게 공동(18)을 통과하게 된다. 결국 접촉러그(15)는 베이스축(A-A)에 끝을 붙이게되고 리드선(11)은 대응하는 접촉러그(15)의 개구부(15b)를 통과하게 된다. 관모양의 형상부분(19)은 접촉러그(15)에 의해 구석(18a)속으로 압력을 받아 약간 압축되게 되므로 형상부분(19)은 구석(18a)의 경계를 정하는 벽 및 형상부분(19)을 통과하는 리드선과 적절한 압력으로 접하게 된다. 접촉러그(15)가 베이스축(A-A)과 끝을 맞닿게 될 때, 갈고리 같은 접촉러그(15)의 끝부분(15a)은 동시에 플라스틱 베이스부분(14)의 뒷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접촉러그(15)의 축방향 배열은 임시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끝으로 개구부(15b)를 통해 투사되는 리드선(11)의 끝은 접촉러그(15)에 용접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공동(18)은 스냅식 커버(21)에 의해 닫혀지게 된다.
도면 3과 4는 접촉러그의 두 번째 실시예이다. 두 번째 실시예의 접촉러그(15')는 리드선(11)을 위한 개구부(15b')를 가진 지지면(15d')과 그 위에 접촉면 (15e')가 직각으로 통합적으로 형성된 모습이다. 접촉면(15d')와 접촉면(15e')은 서로 수직으로 되어 비틀어진 부분(15f')에서 연결되고 있다. 세 가지 갈고리 (15a'),(15c')는 통합적으로 접촉러그(15')의 지지면(15d')위에 형성되어 접촉러그 (15')가 부착된 동안 베이스 벽으로 구부러진 형상부분(19)에 대항하여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들 갈고리모양(15a'),(15c')중 두 개의 (15a')는 지지면(15d')의 옆쪽에 접촉러그(15e')와는 반대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세 번째 갈고리(15c')는 같은 쪽에 형성되어 있다. 첫째 실시예에서의 접촉러그(15)와는 반대로 (15a'),(15c')의 갈고리는 지지면(15d')로부터 구부러져 있지 않고 대신에 그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관모양의 형상부분 대신에 예를 들어 내열성, 탄력성 있고 약간 압축될 수 있으며 전구로부터 나오는 리드선을 위한 통로를 갖춘 재료로 된 단일(single)형상부분도 쓰일 수 있다. 또 형상부분이 반드시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으며 실리콘과 비슷한 내열성, 탄력성, 압축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플라스틱 베이스부분의 공동 속으로 뻗어나온 접촉러그의 끝부분은, 예를 들어, 공동 벽의 튀어나온 부분 뒤로 붙일 수도 있다. 접촉러그의 끝부분이 반드시 갈고리 모양과 같은 형태일 필요도 없다. 전등기술에 있어 흔히 사용되는 듀로(duro)플라스틱이나 내열플라스틱이 플라스틱 베이스 부분(14)의 적절한 재료가 된다.

Claims (13)

  1. 전구, 상기 전구(10)로부터 나오는 리드선, 전기적 절연 물질로 된 연결부(14)를 포함하는 베이스, 그리고 전기적 접속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14)는 적어도 하나의 전등 리드선(11)이 내측으로 뻗어있는 공동(18)으로 되어있으며, 베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속부(15)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공동(18)으로 뻗어있는 접촉러그로 형성되어 있고 전등의 리드선(11)과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전등에 있어서,
    - 내열성, 탄력성 있는 재료로 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분(19)이 상기 연결부(14)의 상기 공동(18)속에 위치해 있으며,
    - 상기 형상부분(들)(19)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등의 리드선을 위한 통로를 갖고 있으며,
    - 상기 형상부분(들)(19)이 적어도 하나의 접촉러그(15)위에 놓여져 있고 상기 공동(18)의 경계를 정하는 벽 및 상기 공동을 통과하는 상기 리드선과 적절한 압력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분(들)이 내열성 및 탄력성 있는 약간 압축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분(들)이 각기 정확히 들어맞는 상기 구석(18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분(들)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모양의 형상부분(들)이 공동 속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상기 리드선(11)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러그(15)가 상기 형상부분(들)(19)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적절한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18)속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접촉러그(15)의 끝(15a)이 베이스의 벽위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18)속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접촉러그(15)의 끝(15a)이 갈고리의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접촉러그(15)가 거기에 연결된 리드선(11)을 위한 개구부(15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10. 제 1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연결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접촉러그(15)를 위한 통로(20)를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접촉러그(15)가 베이스 축(A-A)에 대하여 경사지게 도입되어 상기 베이스의 축에 맞닿도록 하는 삽입 경사면(20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연결부(14)의 상기 공동(18)을 닫는 덮개(2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1)는 상기 공동(18)으로 확장되며 상기 형상부분(들)(19)에 반대로 면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러그(15)의 표면 위에 놓여있는 웹(we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KR1019970709694A 1996-04-24 1997-04-17 전등 KR100256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6409A DE19616409A1 (de) 1996-04-24 1996-04-24 Elektrische Lampe
DE19616409.5 1996-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78A true KR19990028378A (ko) 1999-04-15
KR100256842B1 KR100256842B1 (ko) 2000-05-15

Family

ID=779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694A KR100256842B1 (ko) 1996-04-24 1997-04-17 전등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005336A (ko)
EP (1) EP0835521B1 (ko)
JP (1) JP3207439B2 (ko)
KR (1) KR100256842B1 (ko)
CN (1) CN1104033C (ko)
AR (1) AR006798A1 (ko)
AU (1) AU2948897A (ko)
BR (1) BR9702308A (ko)
CZ (1) CZ287439B6 (ko)
DE (2) DE19616409A1 (ko)
ES (1) ES2148981T3 (ko)
HU (1) HU221363B1 (ko)
MX (1) MX9709336A (ko)
PL (1) PL181897B1 (ko)
TW (1) TW400535B (ko)
WO (1) WO1997040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034B2 (ja) * 1997-12-11 2006-05-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ランプ装置用絶縁プラグ
DE19843506A1 (de) * 1998-09-23 2000-03-3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DE19855412A1 (de) * 1998-12-01 2000-06-0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DE19955979A1 (de) * 1999-11-20 2001-05-23 Ist Metz Gmbh Anschlußanordnung für eine stabförmige zweiendige Entladungslampe
EP1190439B1 (en) * 1999-12-17 2007-08-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amp cap, assembly of lamp burner and lamp cap, and method of fastening a lamp
US6577106B2 (en) 2000-11-30 2003-06-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al AC/DC converter
DE10224293A1 (de) * 2002-05-31 2003-12-1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ilbeschichtungen auf Lampenkolben
US6811285B2 (en) 2002-10-24 2004-11-02 Guide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attaching a lens to a housing in an automotive lighting assembly
KR20060061805A (ko) * 2003-08-01 2006-06-08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4007150A1 (de) * 2004-02-12 2005-08-2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ockel für eine Scheinwerferlampe und Scheinwerferlampe
DE102005023797A1 (de) * 2005-05-19 2006-11-23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ockel für eine Lampe
DE202006002888U1 (de) 2006-02-21 2006-05-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sockel und Lampe mit einem Lampensockel
US7417364B2 (en) * 2006-09-11 2008-08-26 Osram Sylvania, Inc. Light source with sealant cover
DE102007023636B4 (de) 2007-05-22 2009-04-16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Lampensockel für eine elektrische Lam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mpensockels
DE102007023637B8 (de) 2007-05-22 2010-06-02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Lampensockel für eine elektrische Lampe
DE102008024495A1 (de) 2007-12-21 2009-06-25 Hubert Stüken GmbH & Co. KG Lampensockel für eine elektrische Lampe
DE102008056185A1 (de) 2008-11-06 2010-05-12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lühlampe
DE102009040572A1 (de) * 2009-09-08 2011-03-10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ampeneinheit
DE102011000716A1 (de) * 2011-02-07 2012-08-09 Novaled Ag Leuchte
US10066801B1 (en) 2017-10-04 2018-09-04 Osram Sylvania Inc. Vehicle lamp reflector having ventilation channel adjacent lamp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8399A1 (de) * 1984-08-24 1986-02-2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Elektrische lampe
EP0618609B1 (en) * 1993-03-31 1996-10-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lamp
JP3259523B2 (ja) * 1994-06-17 2002-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白熱電球
US5610472A (en) * 1994-10-25 1997-03-11 Osram Sylvania Inc. Lamp assembly with resilient connector for locating and cushioning neon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24030A1 (en) 1998-05-11
MX9709336A (es) 1998-02-28
WO1997040521A1 (de) 1997-10-30
CZ415697A3 (cs) 1998-07-15
JP3207439B2 (ja) 2001-09-10
JPH10510675A (ja) 1998-10-13
CN1189917A (zh) 1998-08-05
CZ287439B6 (en) 2000-11-15
HU221363B1 (en) 2002-09-28
BR9702308A (pt) 1999-07-20
EP0835521B1 (de) 2000-07-12
TW400535B (en) 2000-08-01
HUP9901566A2 (hu) 1999-08-30
DE19616409A1 (de) 1997-10-30
HUP9901566A3 (en) 2000-08-28
ES2148981T3 (es) 2000-10-16
AR006798A1 (es) 1999-09-29
PL181897B1 (en) 2001-10-31
CN1104033C (zh) 2003-03-26
EP0835521A1 (de) 1998-04-15
US6005336A (en) 1999-12-21
DE59702003D1 (de) 2000-08-17
KR100256842B1 (ko) 2000-05-15
AU2948897A (en) 199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842B1 (ko) 전등
KR100437557B1 (ko) 접착제없이캡이씌워지는전기램프
US7439662B2 (en) Lamp with single-sided socket
US4722039A (en) Shaded beam vehicular discharge-type head lamp
US4609977A (en) Incandescent lamp-base assembly, particularly for an automotive-type halogen incandescent lamp
JP2007522606A5 (ko)
KR100282092B1 (ko) 일측에 베이스를 갖는 전등
US4868456A (en) Capped electric lamp having a bushing-sleeve arrangement permitting alignment of the lamp vessel with the lamp cap
US4789920A (en) Lamp and base assembly, particularly for association with an automotive head lamp reflector
KR100621263B1 (ko) 전기 램프 및 전기 램프를 가진 조명 시스템
JP3873360B2 (ja)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HU222649B1 (hu) Villanylámpa
CA2225688C (en) Electric vehicle lamp with inserted insulation plug
KR100469209B1 (ko) 전기램프
KR100240807B1 (ko) 가스 백 안전 장치용 조립체
HU207904B (en) Electric lamp with cap unit
JPH0398253A (ja) 電球
US1046677A (en) Reflecting electrical lamp.
JPS6228524B2 (ko)
US6356009B1 (en) Lamp with a slip on envelope retainer and clamp ring
KR890002535Y1 (ko) 곡관 형광램프의 벌브지지체
JPH0332001Y2 (ko)
JP2870857B2 (ja) 照明器具
JPS6328860Y2 (ko)
KR940001592Y1 (ko) 냉장고의 원적외선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