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890U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890U
KR19990024890U KR2019970037378U KR19970037378U KR19990024890U KR 19990024890 U KR19990024890 U KR 19990024890U KR 2019970037378 U KR2019970037378 U KR 2019970037378U KR 19970037378 U KR19970037378 U KR 19970037378U KR 19990024890 U KR19990024890 U KR 199900248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ase
noise
pip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4117Y1 (ko
Inventor
강동진
Original Assignee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샴
Priority to KR2019970037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11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8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8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7Apparatus used as intake or exhaust silen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10/00Selection of sound absorbing or insulating material
    • F01N2310/02Mineral wool, e.g. glass wool, rock wool, asbesto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음기(muffler)에 흡입되어 내부에 구획된 수개의 격판(baffle)을 통과시 배기가스의 이동속도 및 방향 변경으로 온도저하 및 압력감소로 인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양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일측에 케이스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케이스내부 공간을 분할구획하여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수개의 격판과, 입구측이 개방되며 출구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소음관과, 입구측 및 출구측의 양단부가 개방되며 중간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소음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소음관과, 상기 케이스타측에 케이스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온도와 압력이 감소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배출관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를 제공한다.
이로인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음기에 흡입되어 내부에 구획된 수개의 격판(baffle)을 통과시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변경으로 온도저하 및 압력감소로 인해 소음을 저감시킨 다음, 대기중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소음기
본 고안은 소음기(MUFFL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음기에 흡입되어 내부에 구획된 수개의 격판(baffle)을 통과시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변경으로 온도저하 및 압력감소로 인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소음기 구조는, 원통형의 케이스(1)와, 이 케이스(1)내부를 수개의 공간으로 분할구획하여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음파간섭, 압력변동의 감소, 배기온도의 저하 등에 의해 소음을 점진적으로 격감시키는 수개의 격판(2)과, 전술한 케이스(1)내부에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어 전술한 격판(2)에 차단된 이웃하는 공간을 연통시켜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수개의 배기관(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형성되는 소음기 구조에서는, 전술한 케이스(1) 내부를 분할구획하는 수개의 격판(2) 및 이웃하는 격판(2)에 의해 차단되는 공간을 연통시키는 배기관(3)이 배기가스가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출되어 전술한 케이스(1)에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로인해 작업중 운전자 및 작업장 주변에서는 소음에 시달려야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음기에 흡입되어 내부에 구획된 수개의 격판을 통과시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변경으로 온도저하 및 압력감소로 인해 소음을 저감시킨 다음, 대기중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소음기의 개략적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소음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의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11 : 흡입관
12-15 : 격판16, 18, 20a, 21, 25 : 배출공
17 : 제1소음기19 : 제2소음기
20 : 배출관22 : 내측케이스
23 : 엔드 플레이트24 : 흡음재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일측에 케이스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케이스내부 공간을 분할구획하여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수개의 격판과, 입구측이 개방되며 출구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소음관과, 입구측 및 출구측의 양단부가 개방되며 중간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소음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소음관과, 상기 케이스타측에 케이스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온도와 압력이 감소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배출관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 내주연측에 흡음재로서 그라스 울(glass wool)이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소음관에 천공되는 배출공은 상기 제2소음관에 형성된 배출공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소음관은 상기 제1소음관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음재 내주연측에 장착되는 환형의 내측케이스 및 상기 흡입관측의 환형의 엔드 플레이트에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개의 격판은 배기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제1, 3격판과, 배기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제2, 4격판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소음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케이스(10)와,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흡입되도록 일단부가 미도시된 배기관에 연결되는 흡입관(11)의 타단부가 전술한 케이스(10)일측에 케이스(10)와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며, 전술한 흡입관(11)을 통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수개의 격판(12-15)이 전술한 케이스(10)내부 공간을 분할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전술한 흡입관(11)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16)이 원주방향으로 천공되는 제1소음관(17)의 입구측이 개방되며 출구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전술한 제1소음관(17)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배출공(18) 및 제2배출공(2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소음관(19)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양단부가 개방되며 이들의 중간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전술한 케이스(10)타측에 온도와 압력이 감소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배출관(20)이 전술한 케이스(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제2소음관(19)은 전술한 제1소음관(17)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원주상에 배치되며, 전술한 제1소음관(17)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공(16)의 크기는 전술한 제2소음관(19)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배출공(18) 및 제2배출공(25)의 것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케이스(10)내주연측에 배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배출공(21)이 천공된 환형의 내측케이스(22) 및 전술한 흡입관(11)측에 환형의 엔드 플레이트(23)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전술한 케이스(10)와 내측케이스(21) 및 케이스(10)와 엔드플레이트(23)사이에 흡음재로서 그라스 울(glass wool)(24)이 설치된다.
위와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소음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전술한 흡입관(11)을 따라 유입된 다음 전술한 흡입관(11)에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배출공(11a)을 통해 케이스(10)내측에 배출되며, 전술한 배출공(11a)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전술한 케이스(10)내부공간을 분할구획하도록 형성된 제1격판(12)에 의해 배기가스의 이동속도가 제한된다. 이때 전술한 제1격판(12)에 의해 이동속도가 제한되는 배기가스는 전술한 제1소음관(17)의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다음 전술한 제1소음관(17)의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다수의 배출공(16)을 통해 배출되어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이 변경된다.
전술한 제1소음관(17)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전술한 제2격판(13)에 의해 이동속도가 제한되며, 입구측 및 출구측이 개방되며 중간측이 막힌 전술한 제2소음관(19)의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다음, 전술한 제2소음관(19)의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제1배출공(18)을 통해 배출되어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이 다시 변경된다.
전술한 제1배출공(18)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전술한 제3격판(14)에 의해 이동속도가 제한되며, 전술한 제3격판(14)을 통과하여 전술한 제2소음관(19)의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제2배출공(25)을 통해 유입된 다음, 전술한 제2소음관(19)의 출구를 통해 전술한 제4격판(15)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이 다시 변경된다.
전술한 제4격판(15)을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전술한 배출관(20)에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배출공(20a)을 통해 유입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어진다.
따라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전술한 소음기를 구성하는 흡입관(11)-제1소음관(17)-제2소음관(19)-배출관(20)을 통과시 배기가스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배기가스의 소음은 대폭적으로 저감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음기에 흡입되어 통과시 내부에 구획된 수개의 격판(baffle)에 의해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변경으로 온도저하 및 압력감소로 인해 소음을 저감시킨 다음, 대기중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6)

  1. 양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일측에 케이스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관;
    상기 케이스내부 공간을 분할구획하여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수개의 격판;
    입구측이 개방되며 출구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소음관;
    입구측 및 출구측의 양단부가 개방되며 중간측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소음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배출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소음관; 및
    상기 케이스타측에 케이스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온도와 압력이 감소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배출관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주연측에 흡음재로서 그라스 울(glass wool)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음관에 천공되는 배출공의 크기는 상기 제2소음관에 천공된 배출공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음관은 상기 제1소음관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 내주연측에 장착되는 환형의 내측케이스 및 상기 흡입관측의 환형의 엔드 플레이트에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개의 격판은 배기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제1, 3격판과, 배기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제2, 4격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2019970037378U 1997-12-15 1997-12-15 소음기 KR200234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378U KR200234117Y1 (ko) 1997-12-15 1997-12-15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378U KR200234117Y1 (ko) 1997-12-15 1997-12-15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890U true KR19990024890U (ko) 1999-07-05
KR200234117Y1 KR200234117Y1 (ko) 2001-10-25

Family

ID=5389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378U KR200234117Y1 (ko) 1997-12-15 1997-12-15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1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62B1 (ko) * 2006-03-10 2007-10-08 주식회사 로템 전차용 소음기
KR20140051215A (ko) * 2011-06-08 2014-04-30 에버스파쳐 엑스자우스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소음기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057919A (zh) * 2018-09-27 2018-12-21 江苏瑞昌哥尔德发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降噪消音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769B1 (ko) * 2004-11-01 2005-11-02 세종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장치 삽입형 소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62B1 (ko) * 2006-03-10 2007-10-08 주식회사 로템 전차용 소음기
KR20140051215A (ko) * 2011-06-08 2014-04-30 에버스파쳐 엑스자우스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소음기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057919A (zh) * 2018-09-27 2018-12-21 江苏瑞昌哥尔德发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降噪消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117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2650Y2 (ja) エンジンの排気サイレンサ
US5227593A (en) Muffler assembly for engine
EP0484925B1 (en) Catalyzer-containing muffler
KR101840277B1 (ko) 머플러의 구조
JPH05288047A (ja) 排気消音器
JP4505114B2 (ja) 触媒マフラ
US4359135A (en) Muffler assembly
KR200234117Y1 (ko) 소음기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KR200340730Y1 (ko) 자동차 머플러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JPH11315712A (ja) 自動車用排気消音装置
KR100288234B1 (ko) 내연기관의 소음기
JP2000227019A (ja) 排気消音装置および排気消音装置用連通管
JPH08319817A (ja) 自動車用消音器
JPS6233935Y2 (ko)
JPH0420968Y2 (ko)
JPH0949416A (ja) 自動車用消音器
JP2004330854A (ja) 建設機械の消音装置
JP2501657Y2 (ja) エンジンのマフラ
JP2002147216A (ja) マフラ構造
KR20048359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183228Y1 (ko) 중장비의 소음기
JP2546222Y2 (ja) エンジン用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