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740A - 자기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740A
KR19990023740A KR1019980033801A KR19980033801A KR19990023740A KR 19990023740 A KR19990023740 A KR 19990023740A KR 1019980033801 A KR1019980033801 A KR 1019980033801A KR 19980033801 A KR19980033801 A KR 19980033801A KR 19990023740 A KR19990023740 A KR 1999002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wder
magnetic layer
layer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브유키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2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to the layer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잡음을 줄일 수 있는 자기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기 기록매체(1)는, 결합제 내에 분산되어 있는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로 만들어진 자성층이 형성된 비자성 지지체(2)를 포함한다. 자성층 내의 비자성 분말은, 자성층에 있는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범위에 포함된다.

Description

자기 기록매체
본 발명은 강자성 분말과 비자성 분말로 구성된 자성층을 갖는 기록매체 특히, 고밀도 기록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낮은 잡음 레벨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기 기록매체는 음성신호, 영상신호, 재생데이터 카트리지, 플로피 디스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근래에는, 기록파장의 파장을 줄이거나 또는 디지털 기록 방법등으로 기록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연구되고 있고, 탁월한 전자 변환 특성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의 개발을 요구한다.
이러한 탁월한 전자 변환 특성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를 얻기 위해서, 자성층을 구성하는 강자성 분말을 개량, 자성층 두께를 감소 그리고 자기 기록매체 자체 표면의 평활화 개량이 연구되었다.
강자성 분말의 개량에 관해서, 예를 들어, 강자성 분말로서 강자성 합금 분말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강자성 분말 입자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이들 개량은 140(Am2/kg)이상의 포화자화량을 갖는 강자성 분말과 0.1(㎛)이하의 장축길이를 갖는 강자성 분말을 개발했다.
더욱이, 강자성 분말의 개량에 관해서, 예들 들어, 강자성 분말의 보자력를 증가시키고 보자력 분포를 평균화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160(㎄/m)이상의 보자력을 갖는 강자성 분말과 보자력 분포를 반영하는 입자 크기의 분포를 더욱 평균화 하는 강자성 분말이 개발되었다.
반면에, 도포형 자기 기록매체의 경우에는, 자기 변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처럼, 자성층의 막 두께를 줄이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이것은 기록중에 자기 멸자손실을 줄이므로써 자기 변환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기초를 두고 있고, 근래에, 다량한 도포형이 제안되고 있다.
즉, 비자성 지지체 상에 직접 자성층이 형성된 종래의 도포형 기록매체에서, 자성층의 두께가 0.005(㎛) 내지 0.5(㎛)로 줄어들면, 자성층은 비자성 지지체의 표면 특성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고, 평균화한 표면을 얻기가 어렵고, 그 결과로서, 기록/재생 중에 공간 손실이 증가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성층과 비자성 지지체 사이에 비자성 언더코트(under-coat)층(이후, 비자성층으로 칭함)을 형성하는 방법이 특개평 5-210838에 공개되었다. 따라서 자성층의 두께를 줄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두 층을 갖는 도포형 자기 기록매체에 관해서, 전자 변환 특성을 향상하고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 어떤 도포 흠집 또는 도포 주름 없이 균일한 도포 막을 얻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다이코터(die coater)에 의해, 비자성 지지체에 상기 자성층 및 비자성층을 동시에 적용하는 소위 동시 중첩방식이 사용된 것을 특개평 5-285443에 공개하고 있다. 이 동시 중첩방식은 자성층 및 비자성층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도 효과적이고 요즘 이 방법은 중첩층 도표용 자기 기록매체를 준비하는데 중요한 방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 기록매체에서, 기록밀도를 더 늘릴 필요가 있다. 이것을 위해서는, 잡음이 상당히 감소되어야 한다.
특히, MR헤드 등의 고감도 헤드로 결합하는데 사용될 때, 재생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잡음 감소가 더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바람직한 재생출력을 유지하는 동안 잡음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자기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의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자기 기록매체 2,11 : 비자성 지지체
3,13 : 자성층 12 : 비자성층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비자성 지지체상에 적어도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물이 결합제(binder) 내에 분산된 것을 포함하는 자성층이 형성되고, 자성층내의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상기 자성층 내에 함유된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총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범위인 것을 포함하는 자기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비자성 분말은 산화철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α-Fe203이다.
더욱이, 상기 강자성 분말은 금속 강자성 분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금속 강자성 분말은 150.0(㎄/m)이상의 보자력과 130.0(Am2/kg)의 포화 자화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는 비자성 지지체상에 결합제 내에 분산된 비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비자성층이 형성되고 상기 자성층은 비자성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에서는, 자기층이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로 구성되고,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은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은 자성층 내에 포함된 자성분말 입자 간의 자기적인 상호작용을 줄일 수 있고, 재생출력을 유지하고 잡음을 줄일 수 있는 자기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비자성 분말이 비자성 산화철일 때, 자성 분말 입자간의 자기적인 상호작용과 잡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자성 산화철이 α-Fe203일 때 좀 더 효과적으로 잡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성층 내에 자성 분말이 150.0(㎄/m)이상의 보자력과 130.0(Am2/kg)의 포화 자화량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일 때, 즉, 자력이 큰 자성 분말이 사용될 때, 심지어 비자성 분말이 다량 포함될 때도 저하된 자속밀도에 의해 발생된 재생 출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재생 출력을 유지하고 잡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비자성 지지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비자성층 및 상기 자성층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에서는, 자성층의 막 두께를 좀 더 줄이고 평탄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생 출력 등의 전자 변환 특성의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1)는, 도 1에 나타낸 것 처럼, 비자성 지지체(2)의 일 측에 자성체(3)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1)에서는 자성층(3)이, 결합제 내에 분산된 강자성 분말과 비자성 분말에서 만들어 진다는 특성이 있다.
비자성 지지체(2)의 재료로서, 폴리에틸렌 텔레프타레이트, 폴리에틸렌 2, 6-나플타레이트 외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 셀룰로우스 트리아세이트 등의 셀룰로우스 및 셀룰로우스 다이아스테이트, 비닐수지, 폴리미디,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자성층(3)에 포함되어 있는 비자성 분말로서는, 루틸형 및 아나타제 등의 산화 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그리고 비자성 산화철 그리고 바람직한 것으로 α-Fe203등의 산화철, α-FeOOH 및 γ-FeOOH 등의 옥시드록시드 이외에 비자성 산화철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비자성 분말은, 그 목적에 따라서, 적당한량의 불순물로 도프(doped)될 수 있고, 분산량의 개량, 전도성, 색조 개량의 목적으로 Zn, Al, Si, Ri, Sn, Sb, Zr, 의 화합물로 표면처리 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사용된 옥시수산화철로서, α-FeOOH, β-FeOOH ,γ-FeOOH등이 특히 α-FeOOH 및 γ-FeOOH 가 적당하다. 이들 옥시수산화철은 Co, Ni, Cr, Mn ,Ca, Ba, Sr, Zn, Mo, Ag, Cu 등의 금속 화합물이 공존하는 것을 가질수 있고 표면에 알루미늄 화합물 그리고 희토류 원소 화합물을 가질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옥시수산화철이 탈수되어 얻어진 중간 생성물로서 산화철을 포함하는 옥시수산화철의 개념을 가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사용된 비자성 분말은 자성층에 포함된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범위에 포함된다.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20∼80중량(%)범위일 때, 강자성 분말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잡음을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즉,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20중량(%)이하일 때, 강자성 분말 입자간의 자기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리고 잡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비자성 분말이 80중량(%)을 초과할 때, 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감소되고, 자속밀도를 감소 시켜, 재생출력을 감소하게 한다.
자성층(3)에 포함되어 있는 강자성 분말로서, 금속 강자성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하고, 예를 들어, Fe, Co, Ni 등의 금속 또는 Fe-Co, Fe-Ni, Fe-Al, Fe-Ni-Al, Fe-Al-P, Fe-Ni-Si-Al, Fe-Ni-Si-Al-Mn, Fe-Mn-Zn, Fe-Ni-Zn, Co-Ni, Co-P, Fe-Co-Ni, Fe-Co-Ni-Cr, Fe-Co-Ni-P, Fe-Co-B, Fe-Co-Cr-B, Mn-Bi, Mn-Al, Fe-Co-V 등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γ-Fe2O3및 Fe2O3등의 수산화물 또는 바륨 페라이트 등의 철화합물을 사용해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된 금속 강자성 분말로서, 강자성 분말은 150.0(㎄/m)이상의 보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금속 강자성 분말은 130.0(Am2/kg)이상의 포화자화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정치 이상인 보자력 및 포화자화량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을 사용하므로써,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을 많이 함유하는 자기 기록매체에서 조차도,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충분한 재생출력을 얻을 수 있다.
즉, 보자력이 150.0(㎄/m)이하이면, 자성층(3) 내에 비자성 분말이 다량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1)에 있어서, 충분한 자속 밀도가 보장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재생출력이 현저하게 낮아진다. 게다가, 포화 자화량이 130.0(㎄/m)이하이면, 자성층(3) 내에 비자성 분말이 다량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1)에 있어서, 충분한 자속 밀도가 보장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재생출력이 현저하게 낮아진다.
상기 비자성 분말 및 강자성 분말이 분산되어 있는 결합제로서, 종래에 자기 기록매체용 결합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반응형 수지등이 사용 가능하다. 평균 분자중량은 15,000∼2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들 결합제는 비자성 지지체(2)의 접착을 증진 시키는 것 뿐 아니라 자기 기록매체(1)의 주행 내구성, 가요성, 인성의 목적에 이용된다.
상기 결합제에 이용된 열가소성 수지로서, 염화비닐, 초산비닐, 염화비닐 - 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 - 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 염화비닐 - 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 -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 비닐리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 염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 염화비닐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플로우르, 폴리염화비닐 -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비닐 부틸, 셀룰로우스 유도체(셀룰로우스 아세트 부틸, 셀룰로우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우스 프로피오네이트, 니트로 셀룰로우스), 스틸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미노 수지, 합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제로서 이용된 열경화성 수지 또는 반응형 수지로서,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경화형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요소포름알데이드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안료분산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SO3M , COOM, P=O(OM)2등의 극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 M은 수소원자 또는 리튬 칼륨, 나트륨 등의 알카리 금속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극성 관능기는 상기 외에 NR1R2,-NR1R2R3 +X-의 말단기를 갖는 측쇄형 또는 NR1R2 +X-의 주쇄형일수 있다. 여기에서, 식중에 R1, R2, 및 R3는 소수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비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소 또는 무기 또는 유기 이온이다. 더욱이, -OH, -SH, -CN, 에폭시 등의 극성 관능기이다. 이들 극성 관능기의 량은 10-1∼10-8(mol/g)이고 10-2∼10-6의 범위가 적당하다. 각각의 결합제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서로 공용해서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 내의 염화비닐과 더불어 결합제의 량은 상기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의 100중량부에 대해서 1∼10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5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비닐 결합제를 단독으로 이용할 때, 그 량은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의 100중량부에 대해서 1∼10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5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결합제의 량이 너무 많으면 자성층 내의 자성 재질의 비율은 감소되고, 자기 기록매체의 포화 자속밀도를 감소시켜 출력을 줄이고 드라이브에서 반복 슬라이딩은 쉽게 돌료막의 소성유통을 일으키고 주행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결합제의 량이 너무 작으면, 비자성 분말이 적당하게 분산되지 않고 도료막의 다이나믹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일어난다.
더욱이, 자성층(3)은 연마제 입자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α, β, γ), 산화크롬, 탄화규소, 다이아몬드, 석류석, 금강사, 질화 붕소, 탄화 티타늄, 산화 티타늄(금홍석, 아나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마제 입자의 양은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서 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그리고 10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마제 입자의 모스(Moh's)강도는 4이상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5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연마제의 비중은 2∼6이 바람직하고 3∼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마제 입자는 0.5㎛이하의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3㎛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는 결합제를 가교경화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 첨가제, 또는 아루킬렌 또는 이 첨가제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시아네이트의 배합량은 결합제의 100중량부에 대해서 5∼8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그리고 10∼50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자성층(3)은 또한 윤활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로서, 흑연, 몰리브덴, 이황화물, 텅스텐 이황화물, 규소오일, 10∼20의 탄소를 갖는 지방산 또는 올리고모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윤활제는 자성층(3)에만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다층이 형성될 때 층의 어떤 부분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노니온, 아니온, 카치온, 량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종류 및 량은 목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고, 이들 작용제는 한 층에만 사용될 수 있다.
자성층(3)은 비자성 지지체(2)상에 층의 형성재료를 도료화하고 건조하므로써 형성된다. 도료화로서 이용되는 용제로서, 아세톤, 메틸렌 케톤, 멜틸 이소브틸렌 케톤, 싸이크로헥산 이외에 알콜 용매,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에틸 랙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세테이트 이외에 에스테르 용매,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에스테르, 2 - 에토키에타놀, 테라히드로프랜, 디옥산 이외의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이외에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메틸렌 크롤로이드, 에틸렌 크롤로이드, 사염화 탄소,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이외에, 할로겐 탄화수소 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성층(3)을 갖지 않는 비자성 지지체(2)의 반대측(2a)은 자기 기록매체의 전송 방지뿐 아니라 주행성 향상 및 대전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백 코트(back coat)층을 갖는다.
더욱이, 자성층과 비자성층간에는, 접착성을 강화하는 하도층(under coat)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하도층은 이후 설명하는 비자성층(12)과 다르다.
더욱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비자성 지지체(11)는 결합제 내에서 분산된 비자성 분말로 만들어진 비자성층(12)으로 덮여져 있고 그 위에는 결합제 내에서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로 만들어진 자성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비자성층(12)의 비자성 분말과 결합제는 상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자성층(13)에 이용된 강자성 분말과 결합제는 상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자성층(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자성층(13)은 0.02(㎛)이상 0.5(㎛)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층(13)의 두께가 0.02(㎛)이하 이면, 충분한 전자 변환 특성을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자성층(13)의 두께가 0.05(㎛)를 초과 하면, 기록파장의 단파장에 대해서 기록 멸자(demagnetization)의 현상이 발생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자기 기록매체(1)는 비자성 지지체(2)상에 도포된 도료 준비공정과 비자성 지지체(2)상에 도포된 도료를 도포하는 자성층 도료 적용 공정과, 자성층을 갖지 않는 비자성층의 지지체(2)의 반대측(2a) 상에는 백 코트층을 형성하는 백 코트층 형성공정과, 자성층(3)과 백 코트층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1)를 절단하는 절단공정으로 제조된다.
우선, 도료 조제공정은 반죽공정, 혼합공정, 분산공정으로 구성된다. 반죽공정과 분산공정은 롤밀(roll mill), 볼밀(ball mill), 샌드밀(sand mill), 에지터(agitor), 니더(kneader), 익스투르더(extruder), 허머자이저(homogenizer), 초음파 분산장치등으로 실행된다. 우선, 반죽공정에서, 강자성 분말, 비자성 분말, 결합제, 첨가제, 분산제등이 혼합된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합물은 온도를 가하여 용해되고 혼합장치에 의해 반복적으로 혼합된 후 여과기에 의해 여과된다.
다음으로, 자성층(3)을 비자성 지지체(2)상에서 얻기 위해 제조된 도료를 자성층 도포공정에서 비자성 지지체상에 도포한다. 자기 기록매체(1)의 도포공정은 상기 도료를 그레이브 도포(gravure coating), 다이 코트 도포(die coat painting), 외에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 비자성 지지체(2)상에 도포한다.
더욱이, 자기 기록매체(10)의 경우에, 비자성층(12)이 상기처럼 비자성층(12)이 자성층(13)과 비자성 지지체(11)사이 제공될 때, 상기 자성층(13)을 형성하기 전에, 결합제 내에 분산된 비자성 분말의 도료를 도포해서 비자성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기 자성층(13)용 도료를 도포해서 자성층(13)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비자성층(12)에 사용된 비자성 분말과 결합제는 종래의 재료중 어떤 것도 가능하다.
비자성 지지체(1)상에 비자성층(12)과 자성층(13)을 형성할 때, 두 가지의 도포 방식이 있다. 한가지는 소위 웨트-온-드라이(wet - on - dry)방식으로 다른 층이 도포되기 전에 층을 형성하고 말리는 하는 방식이다. 다른 한가지는 소위 웨트-온-웨트(wet - on - wet)방식으로 말리지 않은 비자성층(12)상에 자성층(13)을 도포하는 방식이다.
웨트-온-웨트(wet - on - wet)방식에서, 자성층(13)의 자성도료를 젖은 비자성층(12)에 도포하기 때문에, 비자성층(12)의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자성층(13)의 표면도 량호해지고 비자성층(12)과 자성층(13)간의 접착성도 향상된다. 이 결과, 0필링-오프(peeling-off)를 소거할 뿐 아니라 고출력 및 저잡음을 포함하는 고밀도 기록용 자기 기록매체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막(film)강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드롭-아웃(drop - out)도 감소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반면에, 웨트-온-드라이(wet - on - dry)방식에서는, 특개평(6-236543)에 공개된 것 처럼, 자성층 재질로서 그위에 형성된 자성층의 도료에 대해서 충분한 내용제성이 있는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 방식에서, 표면 평활성이 저하되고, 전자 변환 특성에 지장을 준다.
따라서, 2층의 구조를 갖는 자기 기록매체(10)의 자성층 도포 공정으로서는, 상기 웨트-온-웨트(wet - on - wet)방식이 이용된다. 웨트-온-웨트(wet - on - wet)방식에 의해 형성된 비자성층(12)과 자성층(13)은, 도 2에 나타낸 것 처럼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는 경우와 이들 두 층 사이에 두 층의 성분이 일정한 두께로 혼재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 형태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성층 도포공정 후 자성층(3)을 형성한 자기기록매체(1)를 건조기에 도입하고 카렌더(calendar)장치로 카렌더 처리를 실시하고, 권축 롤(roll)에 의해 롤업(roll up)된다.
다음으로, 백 코트층 형성 공정에서, 백 코트층이 자성층(3)을 갖지 않는 자기 기록매체(3)의 반대측(2a)상에 형성된다.
비자성층(12) 및 자성층(13)을 갖지 않는 자기 기록매체(10)의 경우에, 카렌더 처리를 실시하고 백 코트층이 자기 기록매체(1)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성층(12)을 갖지 않는 비자성 지지체(11)의 반대측(11a)에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백 코트층 형성공정후, 자기 기록매체(1)는 절단 공정에서 소정폭으로, 예들 들어, 복수의 자기 테이프를 얻기 위해 세로 방향에 따라 8(mm)로 절단된다.
비자성층(12) 및 자성층(13)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의 경우에, 자기 기록매체(1)와 동일하게, 복수의 자기테이프를 얻기 위해 절단 공정이 실행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강자성 분말과 178.6(㎄/m)의 보자력과 146.2(Am2/kg)의 포화자화량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과 비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자성층내의 비자성층 분말의 함유량이 30중량이고 이하 기술된 조성에 의한 방법으로 자성층 내에 포함된 비자성 분말로서 α-Fe2O3를 이용해서 자기 도료를 실행한다.
자기 도료는 익스투르더(extruder)를 이용해서 강자성 분말, 비자성 분말, 결합제, 첨가제, 및 용제를 혼합해서 도포되고, 후에 혼합물 샌드밀을 이용해서 분산되고 필터로 통과된다.
자성 도료 조성
강자성 분말: 금속 강자성 분말(장축길이 0.10(㎛); X선 입자직경 16.0(㎚); 보자력 178.6(㎄/m); 포화자화량 146.2(Am2/kg) ...................... 70 중량부
비자성 분말; α-Fe2O3(비표면적 54m2) ...................... 30 중량부
결합제; 염화비닐 공중합체 (일본 제온제 MR-110) ............. 14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 (평균 분자량 35000 동량방제) .... 3중량부
첨가제; α-Al2O3............................................. 5중량부
스테아린 산 .......................................... 1중량부
헵틸(Heptill) 스테아르산 ............................ 1중량부
용제; 메틸레틸 케톤 ....................................... 150중량부
시크로헥산 ....................................... 150중량부
분포 직전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3중량부가 혼합물에 첨가되고 7(㎛)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서 만들어진 막에 3(㎛)의 두께를 갖는 자성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구해진 혼합물이 도포되고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해서 배향처리를 실시한후, 건조되고 카렌더 처리 및 경화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이하 기술된 조성을 갖는 백 코트층 도료는 상기 자성층을 갖지 않는 반대측에 도포하고 막이 8(mm) 폭으로 절단된다.
백 코트 도료조성
분말;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50) ........................ 100중량부
결합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상품명: 니포란 N-2304) ...... 100중량부
용제; 메틸레틸 케톤 ........................................ 500중량부
톨루엔 ........................................ 500중량부
실시예 2
α-Fe2O3의 양을 50중량부 금속 강자성 분말의 양을 50중량부로 하고,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50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3
α-Fe2O3의 양을 70중량부, 금속 강자성 분말의 양을 30중량부로하고,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70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4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은 보자력이 172.4(㎄/m), 포화자화량이 148.0(Am2/kg), 장축길이가 0.11(㎛), 그리고 X선입자직경이 23(㎚)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5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은 보자력이 159.8(㎄/m), 포화자화량이 147.2(Am2/kg), 장축길이가 0.20(㎛), 그리고 X선입자직경이 17(㎚)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6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은 보자력이 155.4(㎄/m), 포화자화량이 150.4(Am2/kg), 장축길이가 0.20(㎛), 그리고 X선입자직경이 24(㎚)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
자성층이 비자성 분말이 아닌 것과 강자성 분말의 100중량(%)을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2
α-Fe2O3의 양을 10중량부, 금속 강자성 분말의 양을 90중량부로하고,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10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3
α-Fe2O3의 양을 90중량부, 금속 강자성 분말의 양을 10중량부로하고,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의 함유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90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4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53.4(㎄/m), 포화자화량이 82.1(Am2/kg), 표피면적이 32(m2/g)를 갖는 Fe2O3인 것을 제외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5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175.3(㎄/m), 포화자화량이 110.6(Am2/kg), A선입자직경이 14(㎚) 그리고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6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175.3(㎄/m), 포화자화량이 110.6(Am2/kg), X선입자직경이 14(㎚) 그리고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7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175. 3(㎄/m), 포화자화량이 110. 6(Am2/kg), X선입자직경이 14(㎚) 그리고 장축길이가 0. 10(㎛)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8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142.7(㎄/m), 포화자화량이 135.4(Am2/kg), X선입자직경이 18(㎚) 그리고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9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142.7(㎄/m), 포화자화량이 135.4(Am2/kg), X선입자직경이 18(㎚) 그리고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0
자성층에 포함된 강자성 분말이, 보자력이 142.7(㎄/m), 포화자화량이 135.4(Am2/kg), X선입자직경이 18(㎚) 그리고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자기테이프가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된 각각의 자기 테이프는, 이하 기술한 것 처럼, 표면조도, 전기특성 및 전기 변환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a, 1b 및 표 2a, 2b에 나타내 었다.
표면조도는 중심선을 따라 평균 조도(Ra)를 결정하는 간섭 방식의 비접촉형 표면 조도메터를 이용해서 측정된다. 더욱이, 자기 특성은 보자력, 잔류자속밀도에 있어서 시료 진동형 자력계를 이용해서 측정된다.
더욱이, 전자 변환 특성은 고정 헤드식 전자특성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다. 이 측정기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접촉하는 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기테이프는 드럼 주위에 둘러 싸인다. 우선, 각 테이프의 최적 기록전류로 10(MHz)의 직각파형을 기록하고 스펙트럼 분석기에 의해 10(MHz)의 출력레벨이 검출된다. 탭과 헤드 사이의 상대 속도가 3.33(㎧)로 가정된다. 또한, 9(MHz)에서 잡음과 10(MHz)의 출력 레벨과의 차를 10(MHz C/N)으로 가정한다. 여기에서, 10(MHz)의 출력과 10(MHz C/N)값은 비교예 1의 값을 0으로 가정해서 산출된다.
실시예 1∼6 와 비교예 1∼3의 비교
우선, 표 1a, 1b 및 2a, 2b에서 분명해진 것처럼,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량이 20∼80중량(%)의 범위인 실시예 1∼실시예 6은 자성층 내의 비자성 분말량이 상기 범위외에 있는 비교예 1∼비교예 3보다 10(MHz)에서 C/N값이 현저하게 높다.
더욱이, 실시예 1∼실시예 6에서, 10(MHz) 출력은, 즉, 재생출력의 저하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로 낮아지는 반면 비교예 3은 재생출력의 현저한 저하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에서,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 함유량은 20∼80중량(%)의 범위에서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하면서 현저하게 잡음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즉, 자성층 내에 20중량(%) 이하의 비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자기 기록매체에서는 자성 분말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높은 잡음을 일으키게 되는 반면, 자성층 내에 80중량(%)을 초과하는 비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자기 기록매체에서는, 자성 분말입자 간의 상호작용이 충분히 작게되므로, 자속밀도를 낮게 하고 재생출력의 감소가 일어난다.
실시예 1∼6 와 비교예 4∼7의 비교
표 1a, 1b 및 표 2a, 2b에서 명백히한 것 처럼, 포화자화량이 130. 0(Am2/kg)이상인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실시예 1∼실시예 6은 포화자화력이 130. 0(Am2/kg)이하인 비교예 4∼비교예 7보다 10(MHz)에서 C/N이 현저하게 높다.
더욱이 실시예 1∼실시예 6은 높은 10(MHz)출력 즉, 비교예 4∼비교예 7보다 높은 재생출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는 포화자화력이 130.0(Am2/kg)이상인 금속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고, 잡음의 감소뿐 아니라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즉, 강자성 분말이 130.0(Am2/kg)이상의 포화자화력을 가질 때, 자성 분말 입자간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줄일수 있고 결과적으로, 잡음을 줄일 수 있고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강자성 분말이 130.0(Am2/kg)이하의 포화자화력을 가지면,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재생출력의 저감을 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실시예 1∼6 와 비교예 8∼10의 비교
표 1a, 1b 및 2a, 2b에서 분명히한 것 처럼, 보자력이 150.0(kA/m) 이상인 금속 강자성 분말을 이용한 실시예 1∼실시예 6은 보자력이 150.0(kA/m) 이하인 비교예 8∼10보다 10(MHz)에서 C/N이 현저하게 높다.
더욱이, 실시예 1∼실시예 6은 비교예 8∼비교예 10 보다 10(MHz)의 출력 즉, 재생출력이 높다.
따라서, 보자력이 150.0(kA/m)이상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에서는, 잡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생출력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즉, 금속 강자성 분말의 보자력이 150.0(kA/m)이상이면 자성 분말 입자간 상호작용을 충분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잡음을 줄일 수 있고,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 강자성 분말의 보자력이 150.0(kA/m)이하이면,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재생출력의 저감을 억제할 수 없다.
다음으로, 자성층 및 비자성층을 갖는 2 - 층형 자기 기록매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7
비자성층용 도료로서, 다음 조성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비자성층의 도료는 상기 기술방법과 동일하게 실행된다. 비자성 분말, 결합제, 첨가제 및 용제는 익스투르더에 의해 혼합된 후, 4시간 동안 샌드밀러로 분산된다.
비자성층 도료
비자성층 도료: α-Fe2O3(비표면적 54(m2/g) ................. 100 중량부
결합제: 염화비닐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0000, 관능기 [- SO3K] = 7 × 10 - 5 mol/g ) ..................................................... 16중량부
첨감제: 스테아르산 ...................................... 1중량부
헵틸 스테아르 ....................................... 1중량부
용제: 메틸레틸 케톤 .......................................105중량부
싸이크로헥산 ....................................... 105중량부
도포 직전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실시예 1 및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각각의 자성층 및 비자성층에 부가한다. 각 도료를 4 - 립 다이 코터(die coater)를 이용해서, 두께 7(㎛)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막상에 동시에 도포되기 때문에, 비자성층은 2(㎛)의 두께 그리고 자성층은 0. 2(㎛)의 두께를 갖는다.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해서 배향처리를 실시한후 건조하고, 카렌더 처리 및 경화처리를 실행한다. 더욱이, 실시예 1과 동일한 백 코트층 도료를 상기 자성층을 갖지 않는 막(film)의 반대측에 도포한다. 구해진 막은 8(mm)폭을 갖는 타입으로 절단된다.
실시예 8
자성층에 있어서 비자성 분말의 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50중량(%)이 되도록 자성층이 α-Fe2O3의 50중량부와 금속 강자성 분말의 50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자기 테이프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제조된다.
실시예 9
자성층에 있어서 비자성 분말의 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70중량(%)이 되도록 자성층이 α-Fe2O3의 70중량부와 금속 강자성 분말의 30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자기 테이프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제조된다.
비교예 11
자성층이 비자성 분말를 포함하지 않는 금속 강자성 분말의 100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2
자성층에 있어서 비자성 분말의 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10중량(%)이 되도록 자성층이 α-Fe2O3의 10중량부와 금속 강자성 분말의 90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자기 테이프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제조된다.
비교예 13
자성층에 있어서 비자성 분말의 량이 비자성 분말과 자성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90중량(%)이 되도록 자성층이 α-Fe2O3의 90중량부와 금속 강자성 분말의 10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자기 테이프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제조된다.
비교예 14
자성층이 자성 분말로서, 보자력이 175.3(㎄/m), 포화자화량이 110.6(Am2/kg ), X선 입자직경이 14(㎚) 및 장축길이가 0.10(㎚)를 갖는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5
자성층이 자성 분말로서, 보자력이 175.3(㎄/m), 포화자화량이 110.6(Am2/kg), X선 입자직경이 14(㎚) 및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6
자성층이 자성 분말로서, 보자력이 175.3(㎄/m), 포화자화량이 110.6(Am2/kg), X선 입자직경이 14(㎚) 및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7
자성층이 자성 분말로서, 보자력이 142.7(㎄/m), 포화자화량이 135.4(Am2/kg), X선 입자직경이 18(㎚) 및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8
자성층이 자성 분말로서, 보자력이 142.7(㎄/m), 포화자화량이 135.4(Am2/kg), X선 입자직경이 18(㎚) 및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9
자성층이 자성 분말로서, 보자력이 142.7(㎄/m), 포화자화량이 135.4(Am2/kg), X선 입자직경이 18(㎚) 및 장축길이가 0.10(㎚)을 갖는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된 각 자기 테이프에 대해서 이하 기술처럼 표면조도, 자기특성 및 전자 변환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a, 3b에 나타내었다.
표면조도는 중심선에 따라 평균 조도(Ra)를 결정하는 간섭방식의 비접촉형 표면조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더욱이, 자기 특성은 보자력 및 잔류자속밀도에 있어서 시료 진동형 자력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더욱이, 전자 변환 특성은 고정헤드식 전자 측정기를 이용해서 측정된다. 이 측정기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접촉하는 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기테이프는 드럼 주위에 둘러 싸인다. 우선, 각 테이프의 최적 기록전류로 10(MHz)의 직각파형을 기록하고 스펙트럼 분석기에 의해 10(MHz)의 출력레벨이 검출된다. 탭과 헤드 사이의 상대 속도가 3. 33(㎧)로 가정된다. 또한, 9(MHz)에 있어서의 잡음과 10(MHz)의 출력 레벨과의 차를 10(MHz C/N)으로 가정한다. 여기에서, 10(MHz)의 출력과 10(MHz C/N)값은 비교예 1의 값을 0으로 가정해서 산출된다.
실시예 7∼9와 비교예 11∼13의 비교
표 3a, 3b에서 분명해진 것처럼,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이 20∼80중량(%)의 범위에서 실시예 7∼실시예 9는 비교예 11∼비교예 13보다 10(MHz C/N)값과 잡음감소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실시예 7∼실시예 9는, 10(MHz) 출력은, 즉, 재생출력의 저하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 즉 재생출력이 거의 유지된다. 반면, 특히 비교예 13은 재생출력의 현저한 저하를 나타내고, 충분한 재생출력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2층의 자기 기록매체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실시예 6에서 처럼 자성층을 갖는 자기 기록매체와 동일하게, 자성층 내의 비자성 분말은 20∼8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실시예 1∼6에서 기술된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7∼9와 비교예 14∼16의 비교
표 3에서 분명한 것 처럼, 포화자화량이 130.0(Am2/kg)이상인 금속 강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실시예 7∼실시예 9는 포화자화력이 130.0(Am2/kg)이하인 비교예 4∼비교예 7보다 10(MHz)에서 C/N이 현저하게 높다.
더욱이 실시예 7∼실시예 9는 10(MHz) 출력 즉, 비교예 14∼비교예 16보다 높은 재생출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는 포화자화력이 130.0(Am2/kg)이상인 금속 강자성 분말이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하고 잡음을 저감하는 것으로 판명된다.
즉, 금속 강자성 분말이 130.0(Am2/kg)이상의 포화자화력을 가질 때, 자성 분말 입자간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줄일수 있고 결과적으로, 잡음을 줄일 수 있고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강자성 분말이 130.0(Am2/kg)이하의 포화자화력을 가지면,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재생출력의 저감을 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실시예 7∼9와 비교예 17∼19의 비교
표 3에서 분명히한 것 처럼, 보자력이 150.0(kA/m) 이상인 금속 강자성 분말을 포함한 실시예 7∼실시예 9는 보자력이 150.0(kA/m) 이하인 비교예 17∼19보다 10(MHz)에서 C/N이 현저하게 높다.
더욱이, 실시예 7∼9는 비교예 17∼19보다 10(MHz)의 출력 즉, 재생출력이 높다.
따라서, 보자력이 150.0(kA/m)이상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에서는, 잡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생출력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즉, 금속 강자성 분말의 보자력이 150.0(kA/m)이상이면 자성 분말 입자간 상호작용을 충분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잡음을 줄일 수 있고,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 강자성 분말의 보자력이 150.0(kA/m)이하이면,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자속밀도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재생출력의 저감을 억제할 수 없다.
표 1a, 1b, 2a, 2b 및 3a, 3b의 결과에서, 예를 들어, 실시예 1∼실시예 3과 실시예 7∼ 실시예 9와 비교에서, 비자성층과 자성층으로 구성된 2 - 층의 구조를 갖는 실시예 7∼실시예 9는 자성층의 두께를 줄여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재생출력이 크고 기록파장의 단파장화에 대해서 고밀도를 얻을 수 있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매체에 있어서, 자성층은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로 구성되고, 비자성 분말의 량이 자성층 내에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자성층 내에 포함된 비자성 분말은 자성 분말 입자간 자기 상호작용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재생출력을 거의 유지하고, 잡음을 줄인 자기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비자성 분말이 비자성 산화철일 때, 자성 분말 입자간 자기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잡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자성 산화철은 α-Fe2O3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자성층 내에 자성 분말이, 150.0(kA/m)이상인 보자력과 130.0(Am2/kg)이상인 포화자화량을 갖는 금속 강자성 분말일 때, 즉, 이러한 자력이 큰 자성 분말이 이용될 때, 비자성 분말이 다량 포함되더라도, 자속밀도의 저하에 의해 재생출력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고, 재생출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잡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비자성 지지체 상에 비자성층과 자성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자성층 더욱 얇게 그리고 매끄럽게 할 수 있고, 기록시의 단파장에 대응할 수 있고 재생출력 등의 전자 변환 특성에 대해서 더욱 잇점이 있다.

Claims (7)

  1. 결합제 내에 분산되어 있는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로 만들어진 자성층이 형성된 비자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자기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내의 비자성 분말이, 상기 자성층내의 비자성 분말과 강자성 분말의 합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분말이 비자성 산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산화철이 α-Fe2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 내에 상기 강자성 분말이 금속 강자성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강자성 분말은
    150.0(kA/m)이상의 보자력과 130.0(Am2/kg)이상의 포화자화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6.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제 내에 분산되어 있는 비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비자성층이 상기 비자성 지지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자성층은 상기 비자성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0.02(mm)∼0.5(mm)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매체.
KR1019980033801A 1997-08-28 1998-08-20 자기 기록매체 KR19990023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2767A JPH1173640A (ja) 1997-08-28 1997-08-28 磁気記録媒体
JP97-232767 1997-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40A true KR19990023740A (ko) 1999-03-25

Family

ID=1694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801A KR19990023740A (ko) 1997-08-28 1998-08-20 자기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99722A3 (ko)
JP (1) JPH1173640A (ko)
KR (1) KR19990023740A (ko)
CN (1) CN12144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710A (ja) * 2001-02-22 2002-09-06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8369A (ja) 2004-01-14 2005-08-25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421A (en) * 1980-06-23 1982-01-22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916139A (ja) * 1982-07-20 1984-01-27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媒体
EP0203002B1 (en) * 1985-05-20 1992-01-15 Fujitsu Limited Longitudinal magnetic coated recording medium
JPH0719366B2 (ja) * 1985-08-08 1995-03-06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S6484422A (en) * 1987-09-25 1989-03-29 Konishiroku Photo Ind Disk-shaped magnetic recording medium
DE3841085A1 (de) * 1988-12-07 1990-06-13 Agfa Gevaert Ag Magnetischer aufzeichnungstraeger
JP2866402B2 (ja) * 1989-09-12 1999-03-08 花王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H05174367A (ja) * 1991-12-20 1993-07-13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DE69333235T2 (de) * 1992-01-08 2004-08-05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Magnetisches Aufzeichnungsmedium
JPH0793741A (ja) * 1993-04-06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73640A (ja) 1999-03-16
EP0899722A3 (en) 1999-12-15
CN1214498A (zh) 1999-04-21
EP0899722A2 (en) 1999-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5086A1 (en) Iron nitride magnetic powder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he same
JP3339662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405679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non magnetic underlayer and two magnetic layers of specified composition and thickness
KR19990023740A (ko) 자기 기록매체
JPH0935245A (ja) 磁気記録媒体
JP3852198B2 (ja) 磁気記録媒体
JP3384823B2 (ja) 磁気記録媒体
EP0911814A2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111841B2 (ja) 磁気記録媒体
JP3012190B2 (ja) 磁気記録媒体
JP2789129B2 (ja) 磁気記録媒体
JPH113517A (ja) 磁気記録媒体
JP2813157B2 (ja) 磁気記録媒体
JP3512048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2027B1 (ko) 자기기록매체
JP2820913B2 (ja) 磁気記録媒体
JPH10308014A (ja) 磁気記録媒体
JPH0729151A (ja) 磁気記録媒体
JPH10247316A (ja)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28736A (ja) 磁気記録媒体
EP0982714A1 (en) Magnetic Disk
JPH0724100B2 (ja) 磁気記録媒体
JPH0997415A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60214A (ja) 磁気記録媒体
JP2002123924A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