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70A -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70A
KR19990013270A KR1019970073229A KR19970073229A KR19990013270A KR 19990013270 A KR19990013270 A KR 19990013270A KR 1019970073229 A KR1019970073229 A KR 1019970073229A KR 19970073229 A KR19970073229 A KR 19970073229A KR 19990013270 A KR19990013270 A KR 1999001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evice
resin package
lead portion
external lead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597B1 (ko
Inventor
후지사와데츠야
사토미츠타카
오리모세이이치
미토베가즈히코
세키마사아키
와키마사키
하마노도시오
하야시다가츠히로
Original Assignee
세키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자와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9001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6Connecting between the body and an opposite side of the item with respect to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63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 H01L2224/48465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being a wedge bond, i.e. ball-to-wedge, regular st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17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 H01L2225/1029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the support being a lead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41Special adaptations for top connections of the lowermost container, e.g. redistribution layer, integral interpo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47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iners
    • H01L2225/1058Bump or bump-like electrical connections, e.g. balls, pillars, po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68Erbium [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화함으로써 고밀도 실장을 도모하는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드가 한층 더 변형하거나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반도체 칩(21)이 밀봉되는 수지 패키지(27A)와, 반도체 칩(21)에 접속되는 내부 리드부(24a) 및 수지 패키지(27A)의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외부 리드부(24b)를 갖는 리드를 구비하고, 외부 리드부(24b)를 수지 패키지(27A)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상기 수지 패키지(27A)의 측면 또는 상면으로 인출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외부 리드부(24b)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상면 홈부(28A)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화함으로써 고밀도 실장을 도모하는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는 소형화, 고속화 및 고기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것들에 이용되는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요구가 수반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반도체 장치 자체에 대한 요구에 부가하여 반도체 장치를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의 실장 효율의 개선도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리드를 실장 기판의 표면에서 접속하는 표면 실장형 반도체 장치가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더욱 실장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반도체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도26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27은 도26의 A-A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이 반도체 장치(1)는 본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반도체 장치로서, 일본국 특개소 63-15453호 또는 일본국 특개소 63-15451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다.
각 도면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는 반도체 소자(반도체 칩)(2), 이 반도체 칩(2)을 밀봉하는 수지 패키지(3), 각각의 일단부(4a)가 반도체 칩(2)과 와이어(5)에 의해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패키지(3)의 저면(3a)에 노출하여 외부 단자(6)를 형성하는 리드(4), 반도체 칩(2)이 탑재되는 스테이지(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반도체 장치(1)에서는 리드(4)의 외부 단자(6)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패키지(3)내에 밀봉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1)에서는 리드(4)의 내, 외부 단자(6)로 되는 부분이 수지 패키지(3)의 저면(3a)에 노출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리드(4)의 패키지(3)로부터 측방향으로의 인출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실장 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드의 인출부의 굽힘 가공이 불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이 굽힘 가공용의 금형도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비용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반도체 장치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칩(2)의 측부에 와이어 접속되는 리드(4)의 단부(4a)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3)가 대형화되어 반도체 장치(1)의 충분한 소형화를 이룰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반도체 장치의 크기로서는 이상적으로는 대략 반도체 칩의 크기와 동일한 정도로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반도체 장치(1)에서는 반도체 칩(2)에 대한 패키지(3)의 크기가 배이상으로 커져 버린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국 특허 출원 평4-281951호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도28은 상기 출원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A)는 반도체 칩(11)과, 이 반도체 칩(11)을 밀봉하는 수지 패키지(17)와, 각각의 내측 단부(14a)가 반도체 칩(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외측 단부가 패키지(17)의 저면(17a)으로 노출하여 외부 단자(16)를 형성하고, 이 외부 단자(16)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패키지(17)에 밀봉된 구성인 복수의 리드(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리드(14)를 패키지(17)내에서 높이 방향에 대하여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반도체 칩(11)과 겹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도체 장치(10A)를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리드(14)는 패키지(17)내에서 높이 방향에 대하여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반도체 칩(11)과 겹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도26 및 도27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에 비하여 이 겹쳐져 있는 부분(도면중, 화살표 L1 으로 나타낸다)의 면적만큼 반도체 장치(10A)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28에 있어서, 12는 스테이지를, 13은 전극 패드를, 15는 와이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더욱 고밀도 실장을 행하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3차원적으로 적층(스택)하여 실장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도28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에서는 이것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할 수 없고, 한층 더 고밀도 실장화(즉 3차원적 실장)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국 특허 출원 평6-168449호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을 제안하였다. 도29 및 도30은 상기 출원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B)는 내부 리드부(18a) 및 외부 리드부(18b)로 되는 리드(18)의 외부 리드부(18b)를 수지 패키지(17)의 외측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이 외부 리드부(18b)를 수지 패키지(17)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제1 내지 제3 단자부(18b-1∼18b-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단자부(18b-1)는 수지 패키지(17)의 저면에 위치하고, 제2 단자부(18b-2)는 수지 패키지(17)의 상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10B)를 적층(스택)하여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져, 한층 더 고밀도 실장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도29 및 도30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B)는 단지 외부 리드부(18b)를 수지 패키지(17)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수지 패키지(17)의 상면으로까지 인출하는 것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제2 및 제3 단자부(18b-2,18b-3)는 수지 패키지(17)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30 참조).
이 때문에, 외력이 인가되면 외부 리드부(18b)는 용이하게 변형해 버려 인접한 외부 리드부(18b)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제2 및 제3단자부(18b-2, 18b-3)의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반도체 장치(10B)를 적층하였을 때에, 상하의 반도체 장치(10B)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인서트 성형 등을 이용하여 구부려진 상태의 외부 리드부(18b)의 전체를 수지 패키지(17)내에 매설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면은 수지 패키지(17)로부터 노출하도록 구성해 놓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부 리드부(18b)는 위치 결정되고 불필요한 변위는 억제된다.
그런데, 외부 리드부(18b)를 수지 패키지(17)내에 매설하는 구성으로는 외부 리드부(18b)는 수지 패키지(17)내에서 변위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예컨대 반도체 칩(11)의 발열 등에 의해 장치 온도가 상승한 경우, 리드(18)와 수지 패키지(17)와의 열 팽창차로 인하여 리드(18)와 수지 패키지(17)의 계면에 응력이 발생하여 버린다.
일반적으로 리드(18)의 열팽창 계수는 수지 패키지(17)의 열팽창 계수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면 리드(18)는 수지 패키지(17)를 가압하여, 최악의 경우에는 수지 패키지(17)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반도체 장치를 땜납을 이용하여 적층한 경우에는 상기한 응력이 땜납 접합 부분에 인가되어 땜납 박리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행하여진 것으로서, 신뢰성이 높은 고 밀도 실장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 유닛 및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로서, 외부 리드부와 홈부와의 높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로서, 외부 리드부와 홈부와의 높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9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단면도.
도2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의 단면도.
도26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
도27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도면.
도28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
도29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4도면.
도30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5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A∼20L : 반도체 장치
21 : 반도체 칩
24,48 : 리드
24a,48a : 내부 리드부
24b,48b : 외부 리드부
24b-1,48b-1 : 제1 단자부
24b-2,48b-2 : 제2 단자부
24b-3 : 제3 단자부
25 : 와이어
27A∼27H : 수지 패키지
27a : 저면
27b : 상면
27c : 측면
28A,28B : 상면 홈부
29 : 측면 홈부
30,31 : 접착제
31A : 테이프형 접착제
32,47 : 땜납
33 : 땜납조
34 : 트레이
35 : 땜납 페이스트
36 : 인쇄 마스크
37A∼37C : 걸어 맞춤 부재
38A∼38C : 걸어 맞춤 오목부
40 : 금형
44 : 돌기부
45 : 실장 기판
46A,46B : 방열판
50A∼50E : 반도체 장치 유닛
상기 과제는 하기의 수단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반도체 소자가 밀봉되는 수지 패키지와, 상기 반도체 소자에 접속되는 내부 리드부와,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외부 리드부를 갖는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드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상기 수지 패키지의 측면 또는 상면으로 인출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 또는 상기 수지 패키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외부 리드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수지 패키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는 걸어 맞춤되는 홈부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상기 홈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을때,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는 상기 수지 패키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의 측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의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의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와 상기 홈부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외부 리드부를 상기 홈부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걸어 맞춤부와, 상기 수지 패키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외부 리드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걸어 맞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9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어 맞춤부를 수지 부재로 하고, 상기 제2 걸어 맞춤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에 형성된 오목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0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수지 패키지와 동일 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반도체 소자가 밀봉되는 수지 패키지와, 상기 반도체 소자에 접속되는 내부 리드부와,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외부 리드부를 갖는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드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으로 인출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패키지의 4개의 코너 위치에 상기 수지 패키지의 표면보다 높고, 상기 외부 리드부의 두께보다도 낮은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의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저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와,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적층된 각 반도체 장치의 상기 수지 패키지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부 리드부를 외부 접속 단자로서 실장 기판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인접한 반도체 장치 사이에 방열 기능을 갖는 접착 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접합재를 부착하는 접합재 부착 공정과, 상기 접합재가 부착된 상기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적층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반도체 장치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접합재에 의해 인접한 상기 각 반도체 장치끼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6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 부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합재로서 땜납을 이용함과 동시에 땜납 딥 또는 땜납 페이스트 인쇄를 이용하여 상기 접합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 부착 공정의 실시후와 상기 적층 공정의 실시전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 장치를 가접합함과 동시에 방열성을 갖는 접착 부재를 부착하는 접착 부재 부착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각 수단은 하기와 같이 작용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를 수지 패키지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수지 패키지의 측면 또는 상면으로 인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지 패키지의 상면 및 저면의 각 면에서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할 수 있게 되어 반도체 장치의 실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리드부의 일부와 걸어 맞추어서 그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반도체 장치의 조립시 또는 실장시 등에 있어서 외부 리드부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부 리드부는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인접한 외부 리드부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위치 결정 기구는 외부 리드부의 전체와 걸어 맞춤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와 걸어 맞춤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외부 리드부는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서 변형 또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 또는 변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와 수지 패키지와의 사이에 열 팽창율차가 있는 경우라도 가열시에 발생하는 응력은 외부 리드부가 변위 또는 변형함으로써 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지 패키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실장 위치에서 땜납의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 기구를 수지 패키지에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걸어 맞춤되는 홈부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외부 리드부의 변형 또는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홈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을때,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수지 패키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적층(스택)하였을 때에, 각 외부 리드부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홈부를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만 형성함으로써 외부 리드부는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서 위치 결정되고, 수지 패키지의 측면에서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응력은 주로 외부 리드부의 수지 패키지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흡수된다.
즉, 응력 발생시에 있어서는, 주로 반도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가 변위 또는 변형하고, 상하 위치에서의 외부 리드부는 변위 또는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에 각 반도체 장치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홈부를 수지 패키지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외부 리드부는 수지 패키지의 측면에서 위치 결정되고,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서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생하는 응력은 주로 외부 리드부의 수지 패키지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흡수된다.
즉, 응력 발생시에 있어서는, 주로 반도체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가 변위 또는 변형하고, 측면 위치에서의 외부 리드부는 변위 또는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스택하는 경우에 각 반도체 장치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의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 도록 구성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각 리드사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접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를 적층하였을 때의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정식 접합을 행하기 전에 통상 실시되는 가접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의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이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 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리드부의 구부러진 위치(즉, 각부)는 수지 패키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의 상면에 형성된 외부 리드부의 각부는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의 저부에 존재하는 외부 리드부와 당접한 상태가 된다. 즉,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의 각부는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적층되는 상하 각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바꾸어 말하면 상하의 각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사이에 땜납 등이 개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적층하였을 때에 그 전체 높이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와 홈부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외부 리드부를 홈부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외부 리드부는 보다 확실히 홈부에 걸어 맞추어(고정)지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걸어 맞춤부와, 수지 패키지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1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추어져 외부 리드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걸어 맞춤부로 위치 결정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걸어 맞춤부가 걸어 맞추어지는 것에 의하여, 외부 리드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수지 패키지에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걸어 맞춤부를 수지 부재로 하고, 제2 걸어 맞춤부를 수지 패키지에 형성된 오목부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걸어 맞춤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지 부재를 수지 패키지와 동일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수지 부재와 수지 패키지를 일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1 및 제2 걸어 맞춤부의 성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를 수지 패키지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수지 패키지의 측면 또는 상면으로 인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지 패키지의 상면 및 저면의 각 면에서 전기적 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실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패키지의 4개의 코너 위치에 수지 패키지의 표면보다 높고, 외부 리드부의 두께보다도 낮은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측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을 돌기부에 의해 상기 외력을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각 외부 리드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 리드부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예컨대 반도체 칩이 고 밀도화하고, 이것에 따라 리드수가 증대하여 리드 피치가 협소하게 되더라도, 각 외부 리드부에 대응하여 홈 등을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의 반도체 장치의 저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와, 하부에 설치된 반도체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고, 따라서 용이하게 반도체 장치의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 적층된 각 반도체 장치의 수지 패키지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외부 리드부를 외부 접속 단자로서 실장 기판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는 세워져 설치된 상태로 실장되게 되어 하나의 반도체 장치에 필요로 되는 설치 장소는 좁아도 되며,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적층되는 인접하는 반도체 장치사이에 방열 기능을 갖는 접착 부재를 접착함으로써, 각 반도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은 접착 부재를 통해 실장 기판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반도체 장치가 적층된 반도체 장치 유닛이라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우선 접합재 부착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접합재를 부착하고, 계속해서 적층 공정을 실시하여 접합재가 부착된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적층한다. 계속해서, 접합 공정을 실시하여 적층된 복수의 반도체 장치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접합재에 의해 인접하는 각 반도체 장치끼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한다.
이와 같이, 개개의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접합재를 부착한 후에 접합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적층한 뒤에 접합 부재를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서 접합재의 부착 처리 및 접합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합재 부착 공정에서, 접합재로서 이용되는 땜납을 땜납 딥 또는 땜납 페이스트 인쇄를 이용하여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부착함으로써, 복수의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땜납을 부착할 수 있어 접합재 부착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합재 부착 공정의 실시후와 적층 공정의 실시전에 접착 부재 부착 공정을 실시하여 인접한 반도체 장치를 가접합함과 동시에 방열성을 갖는 접착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적층 공정에서 복수의 반도체 장치를 적층하였을때, 접착 부재에 의해 각 반도체 장치는 가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는 방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유닛이 형성된 뒤, 각 반도체 장치에서 발생한 열은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실장 기판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유닛의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A)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반도체 장치(20A)의 사시도이고, 도2는 반도체 장치(20A)의 단면도이고, 또한 도3은 반도체 장치(20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50A)을 도시하고 있고, 이 반도체 장치 유닛(50A)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를 복수개(도7에 도시한 예에서는 3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스택)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선, 반도체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반도체 소자(반도체 칩)(21)는 예컨대 메모리 칩용 칩으로써 그 형상은 비교적 큰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반도체 칩(21)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 패드(23)는 칩 상면의 중앙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24는 복수의 리드로써, 내부 리드부(24a)와 외부 리드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에 형성된 내부 리드부(24a)는 반도체 칩(21)에 형성된 전극 패드(23)와 와이어(2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리드부(24b)는 상기 내부 리드부(24a)와 일체적으로 연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단자부(24b-1∼24b-3)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동 도면에 있어서 27A는 수지 패키지이고, 상기한 반도체 칩(21), 와이어(25), 리드(24)의 내부 리드부(24a)는 이 수지 패키지(27A)내에 밀봉되어 보호된다. 이 수지 패키지(27A)는 평면적으로 보아 반도체 칩(21)의 면적과 대략 같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 장치(20A)의 소형화가 도모됨으로써, 실장 기판에 대한 실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반도체 장치(20A)를 탑재하는 기기류의 소형화, 고 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는 복수의 상면 홈부(28A)가 형성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 상면 홈부(28A)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한 리드(24)의 내, 외부 리드부(24b)는 수지 패키지(27)의 외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패키지(27A)로부터 연장된 외부 리드부(24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차례 구부러짐으로써 제1 단자부(24b-1), 제2 단자부(24b-2), 및 제3 단자부(24b-3)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단자부(24b-1)는 수지 패키지(27A)의 저면(27a)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2 단자부(24b-2)는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제3 단자부(24b-3)는 수지 패키지(27A)의 측면(27c)과 대향하도록 연직 상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 리드부(24b)는 수지 패키지(27)의 외형에 따라 수지 패키지(27A)의 저면(27a)으로부터 상면(27b)까지 인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단자부(24b-1∼24b-3)의 내, 제1 단자부(24b-1)는 그 일부분이 수지 패키지(27A)의 저면(27a)에 매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리드(24)는 수지 패키지(27A)에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20A)는 외부 리드부(24b)를 수지 패키지(27A)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수지 패키지(27A)의 측면(27c) 또는 상면(27b)으로 인출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 및 저면(27a)의 각 면에서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20A)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도7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 유닛(50A)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 유닛(50A)은 1개의 반도체 장치(20A)의 설치 공간에 복수개의 반도체 장치(20A)를 실장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반도체 장치(20A)의 실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A)은 인접하는 상하의 반도체 장치(20A)사이에 방열 기능을 갖는 접착재(31)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반도체 장치(20A)에서 발생하는 열은 접착재(31)를 통해 반도체 장치 유닛(50A)이 실장되는 실장 기판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반도체 장치(20A)가 적층된 구조이더라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반도체 장치(20A)는 땜납(32)에 의한 접합력에 부가하여 접착재(31)에 의한 접착력을 통해서도 접합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유닛(50A)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력 인가가 있었다고 해도 각 반도체 장치(20A)는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 유닛(50A)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는 수지 패키지(27A)의 측면(27c)에도 제3 단자부(24b-3)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20A)를 가로 방향으로도 스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택하는 방향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에 대하여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20A)를 3차원적으로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장 밀도는 더욱 향상하고,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20)를 탑재하는 기기류의 소형화 및 고 성능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1 내지 도3에서는 스테이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구성의 반도체 장치(20A)를 도시하였지만, 도7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 유닛(50A)에서 이용되고 있는 반도체 장치(20A)는 스테이지(49A)에 반도체 칩(21)을 탑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4b)에 형성된 상면 홈부(28A)에 주목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면 홈부(28A)는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4b)에서 제2 단자부(24b-2)의 소정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 홈부(28A)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단자부(24b-2)가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자부(24b-2)가 상면 홈부(28A)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제2 단자부(24b-2)는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4b)에서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단자부(24b-2)는 상면 홈부(28A)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걸어 맞추어져 있으며, 따라서 상면 홈부(28A)내에서 제2 단자부(24b-2)는 약간에 걸쳐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지, 제2 단자부(24b-2)의 변위 가능한 범위는 인접하는 제2 단자부(24b-2)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범위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면 홈부(28A)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인 제2 단자부(24b-2)와 걸어 맞추어져 그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기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20A)의 조립시 또는 실장시 등에 있어서 외부 리드부(24b)에 외력이 인가되어도 제2 단자부(24b-2)가 상면 홈부(28A)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24b)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인접한 외부 리드부(25b)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면 홈부(28A)는 외부 리드부(24b)의 전체와 걸어 맞추어져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인 제2 단자부(24b-2)와만 걸어 맞추어져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부 리드부(24b)는 상면 홈부(28A)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소성적인 변형 또는 인접하는 외부 리드부(24b)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로 변위 또는 가요(可撓)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24)와 수지 패키지(27A)사이에 열 팽창율차가 있는 경우에도, 가열시에 발생하는 응력은 외부 리드부(24b)가 변위 또는 변형함으로써 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 홈부(28A)가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24b)는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서만 위치 결정되고, 수지 패키지(27A)의 측면(27c)에서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생하는 응력은 주로 외부 리드부(24b)의 수지 패키지(27)의 측면(27c)과 대향하는 제3 단자부(24b-3)에서 흡수된다(상면(27b)에 위치하는 제2 단자부(24b-2)가 상면 홈부(28A)내에서 변위하는 것에 의해서도 약간의 응력 흡수가 행하여진다).
즉, 응력 발생시에 있어서는, 주로 반도체 장치(20A)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3 단자부(24b-3)가 변위 또는 변형하고, 상하로 위치하는 제1 및 제2 단자부(24b-1,24b-2)는 거의 변위 또는 변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지 패키지(27A)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또한 반도체 장치 유닛(50A)을 형성한 상태에서 각 반도체 장치(20A)를 접합하는 땜납(32)에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특히 반도체 장치(20A)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스택)한 경우에 효과가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리드부(24b)의 위치 결정을 수지 패키지(27A)에 형성된 상면 홈부(28A)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면 홈부(28A)의 형성을 수지 패키지(27A)의 형성 공정에서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면 홈부(28A)를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로 공정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상면 홈부(28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외부 리드부(24b)의 두께 및 형상과, 상면 홈부(28A)의 깊이 및 형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단자부(24b-2)가 상면 홈부(28A)에 걸어 맞추어져 있을 때,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자부(24b-2)(외부 리드부(24b))가 수지 패키지(27A)의 표면(27b)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부(24b-1)(외부 리드부(24b))도 수지 패키지(27A)의 저면(27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중 화살표(h1)로 나타내는 제1 단자부(24b-1)의 저면(27a)으로부터의 돌출량 및 도면중 화살표(h2)로 나타내는 제2 단자부(24b-2)의 상면(27b)으로부터의 돌출량은 모두 정(正)의 값으로 되어 있다(h10, h20).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단자부(24b-1) 및 제2 단자부(24b-2)는 수지 패키지(27A)로부터 돌출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20A)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스택)하여 반도체 장치 유닛(50A)을 형성하였을 때, 상하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A)의 각 외부 리드부(24b)사이의 전기적 접속(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부(24b-1)와 제2 단자부(24b-2)와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부(24b-2)의 형상은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서 약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20A)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각 리드(24)사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접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도체 장치(20A)를 적층하였을 때의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정식 접합을 행하기 전에 통상 실시되는 가접합(이것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B)를 도시하고 있고, 또한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B)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4 및 도8에 있어서, 도1 내지 도3 및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 및 반도체 장치 유닛(50B)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는 제2 단자부(24b-2)를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서 약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B)는 외부 리드부(24b)의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 위치하는 제2 단자부(24b-2)가 상면(27b)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단자부(24b-2)가 상면(27b)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리드부(24b)의 구부러지는 위치, 즉 제2 단자부(24b-2)와 제3 단자부(24b-3)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각부(26)는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20B)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도 8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 유닛(50B)을 형성하면,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에 형성되어 있는 각부(26)는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저부에 존재하는 제1 단자부(24b-1)(외부 리드부(24b))와 당접한 상태로 된다. 즉,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외부 리드부의 각부(26)는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제1 단자부(24b-1)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각부(26)와,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제1 단자부(24b-1)와의 사이에는 땜납(32)이 개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며, 따라서 반도체 장치(20B)를 적층하여 반도체 장치 유닛(50B)을 형성하였을 때, 그 전체 높이(도 8에 화살표(H1)로 나타낸다)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A)은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제2 단자부(24b-2)와,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제1 단자부(24b-1)와의 사이에 땜납(32)이 개재하고, 이 땜납(32)의 두께에는 필연적으로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유닛(50A)의 전체 높이(도7에 화살표(H2)로 나타낸다)에도 불균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유닛(50B)의 전체 높이(H1)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제2 단자부(24b-2)와,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20b)의 제1 단자부(24b-1)와의 사이에는 각부(26)와 제1 단자부(24b-1)가 접촉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좌우 위치에 약 삼각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반도체 장치(20B)를 땜납(32)으로 접합할 때, 이 공간 부분에 땜납 필릿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땜납 형성 위치에 약 삼각 형상의 비교적 넓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땜납 접합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24b-1,24b-2)사이에 충분한 땜납(32)을 장전할 수 있고, 그에따라 땜납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C)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5에 있어서,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B)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C)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B)와 같이, 외부 리드부(24b)의 제2 단자부(24b-2)가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 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에 부가하여, 제2 단자부(24b-2)가 걸어 맞추어지는 상면 홈부(20B)도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C)에 있어서도, 각부(26)가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20C)를 적층하여 반도체 장치 유닛(도시 생략)을 형성하였을때, 그 전체 높이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땜납 접합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24b-1, 24b-2)사이에 충분한 땜납(32)을 장전할 수 있어 땜납 접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C)는 상면 홈부(20B)가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경사 각도는 제2 단자부(24b-2)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지 외부 리드부(24b)를 상면 홈부(20B)에 따라 구부림으로써 제2 단자부(24b-2)를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2 단자부(24b-2)를 성형할 때, 별도로 치구(治具)나 금형이 필요없게 될 뿐만 아니라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는 제2 단자부(24b-2)를 용이하게 염가로 성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D)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6에 있어서,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3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C)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D)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C)와 같이, 제2 단자부(24b-2) 및 상면 홈부(28B)가 수지 패키지(27B)의 상면(27b)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D)는 상기 구성에 추가로 외부 리드부(24b)와 상면 홈부(28B)가 대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외부 리드부(24b)를 상면 홈부(28B)에 고정하는 접착제(30)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30)는 제2 단자부(24b-2)의 선단부에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2 단자부(24b-2)의 선단부는 확실히 상면 홈부(28B)에 걸어 맞추어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 인가시 등으로 인한 외부 리드부(24b)의 변형 및 단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도 9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제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B)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스택)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의 기본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 유닛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계 S10A(도면에서는 단계을 S로 약칭하고 있다)에서 땜납 딥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 단계 S10B에서 땜납 페이스트 인쇄 처리를 행함으로써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접합재가 되는 땜납을 부착한다(접합재 부착 공정).
접합재 부착 공정이 종료하면, 계속해서 단계 S12에서 반도체 장치의 수지 패키지의 저면 또는 상면에 가접합 수지가 되는 접착제를 도포한다(접착 부재 부착 공정). 이 접착 부재 부착 공정이 종료하면, 계속해서 단계 S14에서 접합재가 부착된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적층한다(적층 공정). 이 적층 공정이 종료하면, 계속해서 단계 S16에서 열처리(예컨대, 온풍, 적외선 리플로우 등)가 행하여져 땜납을 용융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반도체 장치끼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한다(접합 공정).
이와 같이, 개개의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땜납(접합재)을 부착한 뒤에 접합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적층한 뒤에 접합 부재를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서 접합재의 부착 처리 및 접합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도10 및 도11을 이용하여 반도체 장치 유닛의 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0은 접합재 부착 공정으로서 땜납 딥 처리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20B)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2 단자부(24b-2)를 땜납조(33)에 침지하여 제2 단자부(24b-2)에 접합재가 되는 땜납(32)을 부착한다. 이 땜납 딥 처리는 다수개소에 일괄적으로 땜납(32)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접합재 부착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0의 (b)는 접착 부재 부착 공정 및 적층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실시되는 접착 부재 부착 공정에서는 접착제(31)를 반도체 장치(20B)에 부착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접착 부재 부착 공정은 상기한 접합재 부착 공정의 실시후와 후술하는 적층 공정의 실시전에 행하여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31)를 포팅(potting)에 의해 반도체 장치(20B)의 저면(27a)에 부착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접착 부재 부착 공정에서 이용하는 접착제(31)는 접착성과 동시에 방열성을 갖고 있다.
반도체 장치(20B)에 접착제(31)가 부착되면, 계속해서 복수의 반도체 장치(20B)는 적층된다. 이 때, 각 반도체 장치(20B)에는 접착제(31)가 부착되어 있기때문에, 이 접착제(31)에 의해 각 반도체 장치(20B)는 적층된 상태에서 가접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후 실시되는 처리에서는 복수의 각 반도체 장치(20B)는 가접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 반도체 장치(20B)의 가접합이 행하여지면, 계속해서 접합 공정이 실시된다. 이 접합 공정에서는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온풍, 적외선 리플로우 등에 의해 적층된 반도체 장치(20B)에 대하여 가열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가열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땜납(32)은 용융하고,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반도체 장치(20B)는 땜납(32)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대향한 제1 단자부(24b-1)와 제2 단자부(24b-2)가 접합되어 반도체 장치 유닛이 완성된다.
또한, 접착 부재 부착 공정에서 부착된 접착제(31)는 반도체 장치 유닛이 형성된 뒤에도 각 반도체 장치(20B)사이에 개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31)는 방열성을 갖는 재료로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반도체 장치(20B)에서 발생한 열은 이 접착제(31)를 통해 실장 기판으로 방열된다. 따라서, 접착제(31)를 부착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유닛의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11은 접합재 부착 공정으로서 땜납 페이스트 인쇄 처리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20B)를 트레이(34)에 장착하여 위치 결정한 후, 반도체 장치(20B)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단자부(24b-1)의 설치면(트레이(34)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1 단자부(24b-1)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에 인쇄 마스크(36)를 설치한다.
이 인쇄 마스크(36)의 제1 단자부(24b-1)와 대향하는 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생략한 스키지(squeegee)를 이용하여 땜납 페이스트(35)를 인쇄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24b-1)에만 땜납 페이스트(35)가 도포된다. 이 땜납 페이스트 인쇄 처리를 이용하여도 다수개소에 일괄적으로 땜납(32)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접합재 부착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1의 (b)는 접착 부재 부착 공정 및 적층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실시되는 접착 부재 부착 공정에서는 테이프형 접착제(31A)를 반도체 장치(20B)에 부착하는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지 테이프형 접착제(31A)를 반도체 장치(20B)의 저면(27a)에 추가로 부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접착 부재 부착 공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테이프형 접착제(31A)도 접착성과 동시에 방열성을 갖고 있다.
반도체 장치(20B)에 테이프형 접착제(31A)가 부착되면, 계속해서 복수의 반도체 장치(20B)는 적층된다. 이 때, 각 반도체 장치(20B)에는 테이프형 접착제(31A)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테이프형 접착제(31A)에 의해 각 반도체 장치(20B)는 적층된 상태에서 가접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이후 실시되는 처리에서 적층된 상태의 각 반도체 장치(20B)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 반도체 장치(20B)의 가접합이 행하여지면, 계속해서 접합 공정이 실시되지만, 이후의 공정은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 공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2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E)를 도시하고 있다. 도12는 반도체 장치(20E)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반도체 장치(20E)의 단면도이고, 또한 도14는 반도체 장치(20E)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50C)을 도시하고 있고, 이 반도체 장치 유닛(50C)은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를 복수개(도16에 도시한 예에서는 3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스택)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12 내지 도14 및 도16에 있어서, 도1 내지 도3 및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 및 반도체 장치 유닛(50A)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반도체 장치(20E)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는 수지 패키지(27A)에 상면 홈부(28A)만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는 수지 패키지(27C)에 상면 홈부(28A)에 추가로 측면 홈부(2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에 형성된 상면 홈부(28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와 마찬가지로 수지 패키지(27C)의 상면(24b)에 제2 단자부(24b-2)의 소정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 홈부(28A)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단자부(24b-2)가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자부(24b-2)가 상면 홈부(28A)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제2 단자부(24b-2)는 수지 패키지(27C)의 상면(24b)에서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측면 홈부(29)는 수지 패키지(27C)의 측면(24c)에서 제3 단자부(24b-3)의 소정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 홈부(29)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단자부(24b-3)가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단자부(24b-3)가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제3 단자부(24b-3)는 수지 패키지(27C)의 측면(24c)에서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단자부(24b-2, 24b-3)는 상면 홈부(28A), 측면 홈부(29)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상면 홈부(28A), 측면 홈부(29)내에서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는 소량에 걸쳐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지,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의 변위 가능한 범위는 인접하는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범위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면 홈부(28A)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인 제2 단자부(24b-2)와 걸어 맞추어지고, 측면 홈부(29)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인 제3 단자부(24b-3)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제2 및 제3 단자부(24b-2, 24b-3)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기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20E)의 조립시 또는 실장시 등에 있어서 외부 리드부(24b)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는 상면 홈부(28A),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24b)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인접한 외부 리드부(25b)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에서는 제2 단자부(24b-2)에 추가로 제3 단자부(24b-3)가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측면(27c)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3 단자부(24b-3)가 변형하거나 단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는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에 대하여 매설 또는 걸어 맞추어진 상태가 아니라 유동 가능한 상태로 걸어 맞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는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추어져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내에서 변위 또는 가요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지, 이 변위 또는 가요 변형 가능한 범위는 소성적인 변형 또는 인접한 외부 리드부(24b)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도 리드(24)와 수지 패키지(27A)와의 사이에 열 팽창율차가 있어, 가열시에 이 열 팽창율차로 인하여 응력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이 응력은 외부 리드부(24b)가 변위 또는 변형함으로써 흡수 또는 방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에 비하여 제3 단자부(24b-3)가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만큼 외부 리드부(24b)의 변위 또는 변형이 규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반도체 칩(21)이 고밀도화하여 외부 리드부(24b)의 갯수가 증대하면, 이것에 따라 외부 리드부(24b)의 폭 치수 및 두께가 작아진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히 외부 리드부(24b)의 기계적 강도는 저하하여 외력 등에 의해 변형하기 쉽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이면, 외부 리드부(24b)의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는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24b)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단자부(24b-2,24b-3)는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가열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확실히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패키지(27C)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에 의해 반도체 장치 유닛(50C)을 제조한 경우에는 각 땜납(32)에 의해 접합부에서 땜납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의 형성은 수지 패키지(27C)의 형성 공정에서 일괄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외부 리드부(24b)의 두께 및 형상과, 상면 홈부(28A), 측면 홈부(29)의 깊이 및 형상과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부(24b-1)(외부 리드부(24b))는 수지 패키지(27C)의 저면(27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부(24b-2)는 상면 홈부(28A)와의 걸어 맞춤 상태에서 수지 패키지(27C)의 표면(27b)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단자부(24b-3)는 측면 홈부(29)와의 걸어 맞춤 상태에서 수지 패키지(27C)의 측면(27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중 화살표(h1)로 나타낸 제1 단자부(24b-1)의 저면(27a)으로부터의 돌출량, 도면중 화살표(h2)로 나타낸 제2 단자부(24b-2)의 상면(27b)으로부터의 돌출량, 및 도면중 화살표(h3)로 나타낸 제3 단자부(24b-3)의 측면(27c)으로부터의 돌출량은 모두 정의 값으로 되어 있다(h10, h20, h30).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단자부(24b-1∼24b-3)는 수지 패키지(27A)로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20E)를 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적층(스택)하여 반도체 장치 유닛을 형성하였을 때, 상하 및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반도체 장치(20E)의 각 외부 리드부(24b)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50C)은 상하 방향으로 반도체 장치(20E)를 적층한 구성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F)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F)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15에 있어서, 도12 내지 도14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는 수지 패키지(27C)에 상면 홈부(28A) 및 측면 홈부(29)를 함께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F)는 수지 패키지(27D)에 측면 홈부(29)만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지 패키지(27D)에 측면 홈부(29)만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리드부(24b)는 수지 패키지(27D)의 측면(27c)에서만 위치 결정되고, 수지 패키지(27D)의 상면(24b)에서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열시 등에 발생하는 응력은 주로 외부 리드부(24b)의 제2 단자부(24b-2)가 변위 또는 변형함으로써 흡수된다.
즉, 응력 발생시에 있어서는 주로 제2 단자부(24b-2)가 변위 또는 변형하고, 측면(27c)에 위치하는 제3 단자부(24b-3)는 위치 규제되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장치(20F)를 수평 방향(가로 방향)으로 스택하는 경우에 각 반도체 장치(20F)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G)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17에 있어서, 도1 내지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20F)에서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를 상면 홈부(28A,28B) 또는 측면 홈부(29)에 걸어 맞춤함으로써 외부 리드부(24b)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는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에 걸어 맞춤 부재(37A)(제1 걸어 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지 패키지(27E)에 걸어 맞춤 오목부(38A)(제2 걸어 맞춤부)를 형성하고, 이 걸어 맞춤 부재(37A)를 걸어 맞춤 오목부(38A)에 걸어 맞춤으로써 외부 리드부(24b)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걸어 맞춤 부재(37A)와 걸어 맞춤 오목부(38A)는 협동하여 위치 결정 기구를 구성한다).
걸어 맞춤 부재(37A)는 수지 패키지(27E)와 동일한 수지 재료가 되고, 외부 리드부(24b)에 고정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부재(37A)는 복수개 설치되는 외부 리드부(24b)의 각각에 개개로 설치한 구성으로 하거나 복수개 설치되는 외부 리드부(24b)를 연통하도록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어 맞춤 부재(37A)를 외부 리드부(24b)의 제2 단자부(24b-2)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걸어 맞춤 오목부(38A)는 수지 패키지(27E)에 형성된 오목부이고, 외부 리드부(24b)가 구부러져 있을 때의 걸어 맞춤 부재(37A)의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외부 리드부(24b)의 일부를 수지 패키지(27E)에 걸어 맞추기 위해서는 외부 리드부(24b)를 구부렸을 때에 걸어 맞춤 부재(37A)를 걸어 맞춤 오목부(38A)에 걸어 맞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 리드부(24b)를 적극적으로 수지 패키지(27E)에 걸어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24b)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18은 상기한 제7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수지 패키지(27E)를 형성하는 수지 밀봉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패키지(27E)를 성형할때 반도체 칩(21) 및 리드(24)는 상형(40a)과 하형(40b)으로 구성되는 금형(40)에 장착된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반도체 칩(21)은 상형(40a)과 하형(40b)이 협동하여 형성하는 캐비티(cavity)(43)내에 위치하고, 또한 외부 리드부(24b)는 상형(40a)과 하형과의(40b)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형(40a)에 형성된 캐비티(43)에는 볼록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41)의 형성 위치는 걸어 맞춤 오목부(38A)의 소정 형성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형(40a)의 외부 리드부(24b)와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는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2)의 형성 위치는 걸어 맞춤 부재(37A)의 소정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정되어 있다.
더욱이, 오목부(42)는 캐비티(43)와 연통하고 있고, 따라서 캐비티(43)에 도입되는 수지는 오목부(42)에도 장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또한, 걸어 맞춤 부재(37A)는 수지 패키지(27E)의 재질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금형(40)을 이용하여 수지 패키지(27E)를 성형함으로써 걸어 맞춤 부재(37A) 및 걸어 맞춤 오목부(38A)도 일괄적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어 맞춤 부재(37A) 및 걸어 맞춤 오목부(38A)를 별개로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비하여 용이하게 염가로 반도체 장치(20G)를 제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H)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H)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19에 있어서, 도1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7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7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는 제2 단자부(24b-2)에 걸어 맞춤 부재(37A)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지 패키지(27E)의 상면(27b)에 걸어 맞춤 오목부(38A)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걸어 맞춤 부재(37A)와 걸어 맞춤 오목부(38A)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외부 리드부(24b)는 상면(27b)에서 수지 패키지(27E)에 걸어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구성에서는 외력 및 응력이 인가된 경우, 주로 외부 리드부(24b)의 제3 단자부(24b-3)에서 외력 및 응력의 흡수가 행하여진다(제2 단자부(24b-2)에 비해서 제3 단자부(24b-3)쪽이 변형하기 쉽기 때문임).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H)는 제3 단자부(24b-3)에 걸어 맞춤 부재(37B)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지 패키지(27E)의 측면(27c)에 걸어 맞춤 오목부(38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걸어 맞춤 부재(37B)와 걸어 맞춤 오목부(38B)가 걸어 맞추어지면, 외부 리드부(24b)는 측면(27c)에서 수지 패키지(27F)와 걸어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H)에 의하면, 외력 및 응력이 인가된 경우, 주로 외부 리드부(24b)의 제2 단자부(24b-2)에서 외력 및 응력의 흡수가 행하여진다. 이것은 제3 단자부(24b-3)에 비해서 제2 단자부(24b-2)쪽이 변형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걸어 맞춤 부재(37A,37B) 및 걸어 맞춤 오목부(38A,38B)의 설치 위치는 수지 패키지(27E, 27F)의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력이 인가되기 쉬운 위치 및 열 응력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따라서 적시에 선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I)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I)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20에 있어서, 도1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7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7 및 제8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G,20H)는 걸어 맞춤 부재(37A,37B)를 걸어 맞춤 오목부(38A,38B)에 걸어 맞추는 것만으로 외부 리드(24b)의 일부를 수지 패키지(27E,27F)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단자부(24b-2)의 선단부에 걸어 맞춤 부재(37C)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지 패키지(27B)의 상면(27b)에 걸어 맞춤 오목부(38C)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오목부(38C)는 수지 패키지(27B)의 상면(27b)에 넓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부에는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부(24b-2)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어 맞춤 부재(37C)는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38C)의 단부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이용되고 있는 리드(24)는 도전성을 갖는 용수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걸어 맞춤 부재(37C)가 걸어 맞춤 오목부(38C)의 단부에 걸어 맞추어진 상태에서 제2 단자부(24b-2)는 도면중 화살표(X)로 도시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제4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D)(도 6 참조)와 같이 접착제(30)를 이용하지 않고, 제2 단자부(24b-2)를 수지 패키지(27G)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J)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J)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21에 있어서, 도1 내지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는 수지 패키지(27A)의 상면(27b)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상면 홈부(28a)를 형성하고, 이 상면 홈부(28a)에 제2 단자부(24b-2)를 걸어 맞춤하는 것에 의해 외부 리드부(24b)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J)는 상면 홈부(28a)대신에 수지 패키지(27H)의 4개의 코너 위치에 수지 패키지(27H)의 상면(27b)보다 높고, 각 제2 단자부(24b-2)(외부 리드부(24b))의 두께보다도 낮은 돌기부(4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수지 패키지(27H)의 4개의 코너 위치에 수지 패키지(27H)의 상면(27b) 표면보다 높고, 외부 리드부(24b)의 두께보다도 낮은 돌기부(44)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리드부(24b)의 설치 영역의 외주부(외주 4개의 코너 위치)가 돌기부(44)에 의해 보호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측부에서 외력(측방향 외력)이 인가된 경우, 이 돌기부(44)에 의해 인가된 측방향 외력을 받아 낼 수 있다. 따라서, 각 외부 리드부(24b)에 측방향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리드부(24b)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컨대 반도체 칩(21)이 고밀도화함에 따라 리드(24)의 갯수가 증대하여 리드 피치가 협소하게 되어도 상기한 각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와 달리 각 외부 리드부(24b)에 대응하여 홈 등을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리드 피치의 협소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K), 및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D)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K)의 단면도이고, 도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50D)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22 및 도23에 있어서, 도1 내지 도3,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 및 반도체 장치 유닛(50A)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A)는 이것을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 수지 패키지(27A)가 평면적으로 되도록, 즉 제1 단자부(24b-1)가 외부 접속 단자로서 실장 기판에 접합되도록 실장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는 실장시에 필요하게 되는 반도체 장치(20A)의 실장 면적이 넓어져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K)는 실장 기판(45)에 대하여 반도체 장치(20K)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K)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45)에 대하여 세워 설치한 상태로 실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리드(24)를 모두 수지 패키지(27A)의 일측면(도면중 실장 기판(45)과 대향하는 면)에 집약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리드(24)가 설치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는 방열판(46A)이 설치되어 있어 반도체 칩(21)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20K)를 실장 기판(45)에 실장하기 위해서는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단자부(24b-3)를 실장 기판(45)에 땜납(47)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 장치(20K)는 실장 기판(45)에 세워 설치되어 실장되게 됨으로써, 실장에 요하는 면적의 소 공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K)는 반도체 칩(21)이 탑재되는 스테이지(49B)가 수지 패키지(27A)의 외부로 노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도체 칩(21)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한 방열판(46A)과 같이 스테이지(49B)로부터도 방열된다. 따라서, 스테이지(49B)를 수지 패키지(27A)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열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20K)를 가로 방향으로 스택하는 것에 의해 도23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 유닛(50D)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 유닛(50D)은 도면중 좌단부의 반도체 장치(20K)의 제3 단자부(24b-3)가 땜납(47)에 의해 실장 기판(45)에 접합되어 있고, 다른 반도체 장치(20K)는 인접하는 제1 단자부(24b-1)와 제2 단자부(24b-2)를 땜납(47)으로 접합하여 스택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D)은 각 반도체 장치(20K)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또한 밀접한 상태로 실장하기 때문에, 하나의 반도체 장치(20K)에 필요로 되는 실장 공간이 적어도 되며, 따라서 상기 반도체 장치 유닛(50D)으로 함으로써 실장 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L), 및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E)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20K)의 단면도이고, 도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 유닛(50E)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24 및 도25에 있어서, 도12 내지 도14, 도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 및 제3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C)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5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E)는 이것을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 수지 패키지(27C)가 평면적으로 되도록, 즉 제1 단자부(24b-1)가 외부 접속 단자로서 실장 기판에 접합되도록 실장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L)는 실장 기판(45)에 대하여 반도체 장치(20L)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L)는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리드(48)를 모두 수지 패키지(27C)의 일측면(도면중, 실장 기판(45)과 대향하는 면)에 집약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리드(48)가 설치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는 방열판(46B)이 설치되어 있어 반도체 칩(21)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20L)는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단자부(24b-2)가 설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외부 리드부(48b)는 수지 패키지(27A)의 저면(27a)에 설치된 제1 단자부(48b-1)와, 수지 패키지(27A)의 측면(27c)에 설치된 제2 단자부(48b-2)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20L)를 실장 기판(45)에 실장하기위해서는 도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자부(48b-2)를 실장 기판(45)에 땜납(47)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 장치(20L)는 실장 기판(45)에 세워 설치되어 실장되게 되므로 실장에 요하는 면적의 소 공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20L)를 가로 방향으로 스택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50E)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 유닛(50E)은 각 반도체 장치(20L)의 제2 단자부(48b-2)를 땜납(47)으로 실장 기판(45)에 접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I)도 상기한 제4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 유닛(50D)과 같이 각 반도체 장치(20L)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또한 밀접한 상태로 실장하기 때문에, 하나의 반도체 장치(20L)에 필요로 되는 실장 공간은 적어도 되며, 따라서 반도체 장치 유닛(50E)으로 함으로써 실장 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여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지 패키지의 상면 및 저면의 각 면에서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실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의 조립시 또는 실장시 등에 있어서 외부 리드부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부 리드부는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인접한 외부 리드부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외부 리드부는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서, 변형 또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 또는 변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시 등에 발생하는 응력은 외부 리드부가 변위 또는 변형함으로써 방열되고, 따라서 수지 패키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실장 위치에서 땜납의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 기구를 수지 패키지에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걸어 맞추어지는 홈부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간단하고 확실하게 외부 리드부의 변형 또는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홈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을때,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수지 패키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층시에 있어서 각 외부 리드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응력 발생시에 있어서는 주로 반도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가 변위 또는 변형하고, 상하 위치에 있어서의 외부 리드부는 변위 또는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할 경우에 각 반도체 장치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응력 발생시에 있어서는 주로 반도체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가 변위 또는 변형하고, 측면 위치에 있어서의 외부 리드부는 변위 또는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스택하는 경우에 각 반도체 장치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각 리드 사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접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도체 장치를 적층하였을 때의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정식 접합을 행하기 전에 통상 실시되는 가접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밑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의 각부는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적층되는 상하의 각 반도체 장치의 외부 리드부는 직접 접촉하며, 따라서 반도체 장치를 적층하였을 때의 전체 높이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리드부는 보다 확실히 홈부에 걸어 맞추어(고정)지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걸어 맞춤부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외부 리드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수지 패키지에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외부 리드부에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걸어 맞춤부를 수지 부재로 하고, 제2 걸어 맞춤부를 수지 패키지에 형성된 오목부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걸어 맞춤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지 부재와 수지 패키지를 일괄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1 및 제2 걸어 맞춤부의 성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측부에서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 돌기부에 의해 이 외력을 받아 낼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외부 리드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 리드부의 변형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예컨대 반도체 칩이 고밀도화함에 따라 리드수가 증대하여 리드 피치가 협소하게 되더라도 각 외부 리드부에 대응하여 홈 등을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반도체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용이하게 반도체 장치의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는 세워 설치된 상태로 실장되게 되므로, 하나의 반도체 장치에 필요로 되는 설치 공간은 적어도 되고,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반도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은 접착 부재를 통해 실장 기판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반도체 장치가 적층된 반도체 장치 유닛이더라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개의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접합재를 부착한 후에 접합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적층한 뒤에 접합 부재를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서 접합재의 부착 처리 및 접합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땜납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접합재 부착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적층 공정에서 복수의 반도체 장치를 적층하였을 때, 접착 부재에 의해 각 반도체 장치는 가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는 방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유닛이 형성된 후에 각 반도체 장치에서 발생한 열은 접착 부재를 통해 실장 기판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유닛의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8)

  1. 반도체 소자가 밀봉되는 수지 패키지와, 상기 반도체 소자에 접속되는 내부 리드부와,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외부 리드부를 갖는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드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상기 수지 패키지의 측면 또는 상면으로 인출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 또는 상기 수지 패키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외부 리드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수지 패키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는 걸어 맞춤되는 홈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가 상기 홈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을 때,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는 상기 수지 패키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 패키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의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의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부와 상기 홈부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외부 리드부를 상기 홈부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외부 리드부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걸어 맞춤부와, 상기 수지 패키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외부 리드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걸어 맞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어 맞춤부는 수지 부재이고, 상기 제2 걸어 맞춤부는 상기 수지 패키지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수지 패키지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반도체 소자가 밀봉되는 수지 패키지와, 상기 반도체 소자에 접속되는 내부 리드부와,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외부 리드부를 갖는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드부를 상기 수지 패키지의 외형에 따라 구부려서 상기 수지 패키지의 상면으로 인출한 구성으로 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패키지의 4개의 코너 위치에 상기 수지 패키지의 표면보다 높고, 상기 외부 리드부의 두께보다도 낮은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의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저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와,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외부 리드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적층된 각 반도체 장치의 상기 수지 패키지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부 리드부를 외부 접속 단자로서 실장 기판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인접한 반도체 장치 사이에 방열 기능을 갖는 접착 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
  16.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에 접합재를 부착하는 접합재 부착 공정과;
    상기 접합재가 부착된 상기 반도체 장치를 복수개 적층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반도체 장치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접합재에 의해 인접하는 상기 각 반도체 장치끼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 부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합재로서 땜납을 이용함과 동시에 땜납 딥 또는 땜납 페이스트 인쇄를 이용하여 상기 접합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 부착 공정의 실시후와 상기 적층 공정의 실시전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 장치를 가접합함과 동시에 방열성을 갖는 접착 부재를 부착하는 접착 부재 부착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유닛의 제조 방법.
KR1019970073229A 1997-07-08 1997-12-24 반도체장치와반도체장치유닛및반도체장치유닛의제조방법 KR100280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282797 1997-07-08
JP97-182827 1997-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70A true KR19990013270A (ko) 1999-02-25
KR100280597B1 KR100280597B1 (ko) 2001-02-01

Family

ID=1612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229A KR100280597B1 (ko) 1997-07-08 1997-12-24 반도체장치와반도체장치유닛및반도체장치유닛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80597B1 (ko)
DE (1) DE19756941B4 (ko)
TW (1) TW37137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30B1 (ko) * 2005-03-1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78709B1 (ko) * 2006-06-30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의 표시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4357B2 (ja) * 1992-10-20 1999-08-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362909B2 (ja) * 1993-05-07 2003-01-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
JPH06315431A (ja) * 1994-03-30 1994-11-15 K Ii Corp:Kk 食品加熱槽
JPH088389A (ja) * 1994-04-20 1996-01-12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ユニット
JP3417095B2 (ja) * 1994-11-21 2003-06-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30B1 (ko) * 2005-03-1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78709B1 (ko) * 2006-06-30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의 표시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56941B4 (de) 2006-03-23
DE19756941A1 (de) 1999-01-14
KR100280597B1 (ko) 2001-02-01
TW371370B (en)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8241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805422A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 flexible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520575B2 (ja) 集積回路チップ・パッケ―ジを基板の表面に電気的に且つ機械的に接続する弾力性リ―ド及びこれの製造方法
US5218229A (en) Inset die lead frame configuration lead frame for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eans for improved busing and die-lead frame attachment
US586381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A2039417C (en) Molded hybrid ic package and lead frame therefore
US780751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hip integrated substrate
JP282508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10127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280597B1 (ko) 반도체장치와반도체장치유닛및반도체장치유닛의제조방법
JP3232698B2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6111315A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 offset die pad
JP200103588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37912B1 (ko) 패키지 반도체,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667916B2 (ja) 樹脂パッケージ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7280757U (zh) 用于小型表面安装器件的半导体封装结构
JPH1187601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ユニット及び半導体装置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0179833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3109988A (ja) 装着ツール及びicチップの装着方法
JP2925814B2 (ja) 混成集積回路
JP3631372B2 (ja) 樹脂パッケージ型半導体装置
JPH0735400Y2 (ja) 混成集積回路
KR100267766B1 (ko) 외부접속단자를 리벳 핀으로 한 브이·씨·에이 패키지 및그 제조방법
JP200417930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3140A (ja) 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